KR20010109380A - Apparatus for Handy Dance-Practing G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Handy Dance-Practing G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9380A
KR20010109380A KR1020000029385A KR20000029385A KR20010109380A KR 20010109380 A KR20010109380 A KR 20010109380A KR 1020000029385 A KR1020000029385 A KR 1020000029385A KR 20000029385 A KR20000029385 A KR 20000029385A KR 20010109380 A KR20010109380 A KR 200101093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cceleration
dance practice
user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93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도우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20000029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9380A/en
Publication of KR20010109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9380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14Musical performances, e.g. by evaluating the player's ability to follow a n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using 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or gy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2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using sensors worn by the player, e.g. for measuring heart beat or leg a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for interfacing with the game device, e.g. specific interfaces between game controller and console
    • A63F13/235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for interfacing with the game device, e.g. specific interfaces between game controller and console using a wireless connection, e.g. infrared or picon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2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local area network [LAN] connections
    • A63F13/323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local area network [LAN] connections between game devices with different hardware characteristics, e.g. hand-held game devices connectable to game consoles or arcade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250/00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 A63F2250/10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with measuring devices
    • A63F2250/1094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with measuring devices for veloc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47Music g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ard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댄스 연습 오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알(Dead Reckoning) 센서를 이용한 휴대용 댄스 연습 오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댄스 연습 오락 장치는 사용자 신체 일부에 부착되어 가속도와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된 가속도와 회전속도로부터 생성된 위치 좌표와 기 설정된 기준 좌표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결과에 따른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음악을 재생하는 음악 재생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메시지를 출력하는 표시부로 구성되는 것으로써, 시간 및 장소의 제한이 없어 활용도가 극대화되고,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들과 동기되면 같은 스텝신호에 맞추어 여러 명이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오락실용 댄스 연습 오락 장치(DDR) 기기와는 달리 발판의 크기가 가상의 공간에 설정되므로, 소프트웨어 조작에 따라 발판의 크기를 크게 변경해서 운동효과를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nce practice entertainmen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dance practice entertainment apparatus using a dead reckoning sensor. The portable dance practice entertain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part of the user body to detect the acceleration and the rotational speed, and compares the position coordinates generated from the detected acceleration and rotational speed and the preset reference coordinates 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 music player for reproducing music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messag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There is no limit to maximize utilization, and when synchronized with 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multiple people can use the same step signal. In addition, unlike the existing recreational dance practice entertainment device (DDR) device, the size of the footrest is set in the virtual spac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exercise effect by greatly changing the size of the foothold in accordance with the software operation.

Description

휴대용 댄스 연습 오락 장치{Apparatus for Handy Dance-Practing Game}Portable dance practice entertainment device {Apparatus for Handy Dance-Practing Game}

본 발명은 댄스 연습 오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알(Dead Reckoning) 센서를 이용한 휴대용 댄스 연습 오락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nce practice entertainmen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dance practice entertainment apparatus using a dead reckoning sensor.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이용되고 있는 댄스 연습 오락 장치(DDR)는 본체(101)와, 모니터(102)와, 스피커(103)와, 발판(104)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dance practice entertainment apparatus (DDR) generally used on the market is composed of a main body 101, a monitor 102, a speaker 103, and a footrest 104.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댄스 연습 오락 장치(DDR)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ance practice entertainment device (DD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을 참조하면, 댄스 연습 오락 장치(DDR)가 구동이 되면 본체(101)는 모니터(102)를 통해 사용자가 밟을 스텝을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본체(101)의 제어에 따라 스피커(103)를 통해 배경음악을 출력한다.Referring to FIG. 1, when the dance practice entertainment apparatus (DDR) is driven, the main body 101 sequentially displays steps for the user to step through the monitor 102 and the speaker 103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body 101. Outputs background music through.

사용자는 상기 본체(101)에서 표시하는 스텝에 따라 발판을 디딤으로써, 스텝을 생성하고, 이 스텝 정보가 본체(101)로 입력된다.The user generates a step by stepping on the footrest according to the step displayed on the main body 101, and the step information is input to the main body 101.

본체(101)는 사용자의 스텝을 감시하여, 사용자의 스텝이 지시한 스텝과의 방향과 시점이 일치하는 정도에 따라서 적절한 메시지를 모니터(102)를 통해 표시하거나, 적절한 효과음을 스피커(103)를 통해 출력한다.The main body 101 monitors the user's step and displays an appropriate message on the monitor 102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he direction of the user's step coincides with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user's step, or the speaker 103 with an appropriate sound effect. Output through

이러한 종래의 댄스 연습 오락 장치(DDR)는 기기를 구현하는데 고가이며, 많은 공간을 차지해야 하므로 가정용이나 휴대용으로는 적합하지가 않다.Such a conventional dance practice entertainment device (DDR) is expensive to implement the device, because it requires a lot of space is not suitable for home or portable use.

가정용으로 가정용 댄스 연습 오락 장치(DDR)가 출시되고 있기는 하지만, 가정용 오락 장치나 개인용 컴퓨터에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어 휴대성이 떨어진다.Although home dance practice entertainment devices (DDRs) are being released for home use, they are not portable because they are connected to home entertainment devices and personal computers.

그리고, 발판을 통해 사용자의 스텝을 입력받도록 되어 있어 실행 장소에 제한이 생긴다.In addition, since the user's step is input through the scaffold, execution places are limit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댄스 연습 실행 장소에 상관없이 이용할 수 있는 휴대용 댄스 연습 오락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dance practice entertainment apparatus that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user's dance practice execution place in view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mentioned above.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 신체 일부에 부착되어 가속도와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된 가속도와 회전속도로부터 생성된 위치 좌표와 기 설정된 기준 좌표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결과에 따른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음악을 재생하는 음악 재생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메시지를 출력하는 표시부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 devic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detection unit attached to a part of the user body for detecting the acceleration and rotational speed, position coordinates generated from the detected acceleration and rotational speed and the preset reference coordinates And a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a music reproducing unit for reproducing music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messag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바람직하게, 상기 감지부는 상기 사용자 신체 일부에 부착되는 신체 부착부와, 상기 사용자 신체 일부의 움직이는 가속도를 센싱하는 가속도 센서부와, 상기 사용자 신체 일부의 움직이는 회전속도를 센싱하는 각속도 센서부로 구성되며, 상기 가속도 센서부는 다시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의 움직이는 가속도를 센싱하는 가속도 센서와, 상기 가속도 센서의 출력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는 제1 필터부와, 상기 제1 필터부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제1 저잡음 증폭기와, 상기 제1 저잡음 증폭기의 출력 신호의 왜곡 성분을 제거하는 제2 필터부와, 상기 제2 필터부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로 구성된다.Preferably, the sensing unit is composed of a body attachment portion attached to the user's body portion, an acceleration sensor unit for sensing the moving acceleration of the user's body portion, and an angular velocity sensor unit for sensing the moving rotational speed of the user's body portion, The accelerometer further includes an acceleration sensor for sensing a moving acceleration of a part of the user's body, a first filter unit for removing noise of an output signal of the acceleration sensor, and a first low noise for amplifying an output signal of the first filter unit. And an amplifier, a second filter unit for removing distortion components of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low noise amplifier, and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filter unit into a digital signal.

바람직하게, 상기 각속도 센서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부에서 가속도 센서를 각속도 센서로 대치하여 구성된다.Preferably, the angular velocity sensor unit is configured by replacing the acceleration sensor with the angular velocity sensor in the acceleration sensor unit.

또한, 상기 디알 센서의 신체 부착부는 클립형과, 부착형과, 벨트형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다.In addition, the body attachment portion of the dial sensor uses any one of a clip type, an attachment type, and a belt type.

그리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어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데 특히, 상기 감지부가 상기 제어부와 무선으로 연결될 때 상기 감지부는 상기 센싱된 가속도와 회전속도를 인코딩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상기 인코딩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 송신부를 더 포함한다.The sensor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by wire or wireless. In particular, when the sensor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the sensor may include a digital signal processor for encoding the sensed acceleration and rotational speed, and the encoded signal.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wireless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이때, 상기 무선 송신부는 상기 제어부와 근거리 무선 랜(LAN) 방식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in the short-range wireless LAN (LAN) method with the control unit.

상기 감지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댄스 연습 오락 장치의 일부인 상기 제어부와, 음악 재생부와, 표시부는 이동통신 단말기나 엠피쓰리(MP3) 플레이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the music reproducing unit, and the display unit, which are part of the portable dance practice entertainment device including the detecting unit, may be mounted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MP3 play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댄스 연습 오락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ance practice entertain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댄스 연습 오락 장치의 블록 구성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dance practice entertain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와 유선으로 연결된 감지부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nsing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shown in FIG. 2 in a wired man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가속도 센서부의 하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one of the acceleration sensor shown in Figure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각속도 센서부의 하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Figure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one of the angular velocity sensor unit shown in Figure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와 유선으로 연결된 또 다른 감지부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sensing unit connected by wire with the control unit shown in Figure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에서 도시된 제어부와 무선으로 연결된 감지부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nsing unit wireless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illustrated in FIG.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8a, 도 8b,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신체 부착부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Figures 8a, 8b, 8c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body attachment portion shown in Figure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휴대용 댄스 연습 오락기를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Figure 9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a plurality of portable dance practice amusement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댄스 연습 오락 장치의 제어 흐름도.10 is a control flowchart of a portable dance practice entertain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201 : 감지부201: detection unit

202 : 제어부202: control unit

203 : 표시부203: display unit

204 : 음악 재생부204: music play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댄스 연습 오락 장치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ortable dance practice entertain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댄스 연습 오락 장치는 사용자가 디디는 스텝을 감지하여 스텝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감지부(201)와, 상기 감지부(201)에 의해 생성된 스텝 데이터를 유/무선으로 입력받아 생성된 위치 좌표를 기준 좌표와 비교하여 상기 비교결과에 따른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02)와, 상기 제어부(202)의 제어 신호에 따라 어떤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상기 사용자가 디딜 스텝을 연속적으로 출력하는 표시부(203)와, 상기 제어부(202)의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효과음이나 배경음악을 재생하여 출력하는 음악 재생부(204)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2, the portable dance practice entertain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tector 201 for detecting a step that the user makes and generating step data, and the step data generated by the detector 201. And a control unit 202 for outputting a first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by comparing the position coordinates generated by wireless input with reference coordinates, and displaying a message or displaying the messag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202. And a display unit 203 for continuously outputting a tread step, and a music player 204 for reproducing and outputting an effect sound or background music which can be heard by a user according to the second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202.

상기에서 제어부(202)와, 표시부(203)와, 음악 재생부(204)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나, 엠피쓰리(MP3) 플레이어에 장착 가능하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ontrol unit 202, the display unit 203, and the music reproduction unit 204 can be mounted in a commonly us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MP3 player.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댄스 연습 오락 장치는 상기 제어부(202)와, 표시부(203)와, 음악 재생부(204)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주로 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refore, the portable dance practice entertain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he control unit 202, the display unit 203, and the music reproduction unit 204.

상기 감지부(201)는 사용자가 손이나 발등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기(203)의출력 스텝에 따라 움직이면, 이러한 사용자 신체 일부의 움직임 가속도와 회전 속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디알(Dead Reckoning) 센서를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디알(Dead Reckoning) 센서는 직선 방향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세 개의 가속도 센서와, 회전 속도를 측정하는 자이로스코프 세 개를 각각 연결하여,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 측정된 가속도와 자이로스코프에서 측정된 회전속도로부터 세 방향으로의 회전각과 이동거리를 계산한다.When the user moves according to the output step of the indicator 203 using a hand or an instep, the detection unit 201 uses a dead reckoning sensor to detect a movement acceleration and a rotation speed of a part of the user's body. And the dead reckoning. The sensor connects three acceleration sensors measuring linear acceleration and three gyroscopes measuring rotational speed, respectively, and rotates in three directions from the acceleration meas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he rotational speed measured by the gyroscope. Calculate the angle and distance traveled.

따라서, 휴대용 댄스 연습 오락 장치가 구동이 되면 상기 감지부(201)의 디알(Dead Reckoning) 센서를 양발목이나 양손에 하나씩 부착하고, 이 양쪽을 모아 원점을 초기화하고, 이 원점으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의 발판영역을 설정한다.Therefore, when the portable dance practice entertainment device is driven, a dead reckoning sensor of the sensing unit 201 is attached to both ankles and both hands, and both are collected to initialize the origin, and the user desires the size from the origin. Set the scaffolding area of.

이후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움직일 때마다 상기 디알(Dead Reckoning) 센서가 발목의 원점의 상대적인 위치를 계속 탐지해 줌으로써 이러한 상대적인 위치에 대한 거리 및 회전각에 대한 스텝 데이터를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Thereafter, whenever a body part of the user moves, the Dead Reckoning sensor continuously detect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origin of the ankle to generate step data about the distance and the rot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relative position.

상기에서 이러한 원점 및 발판 크기의 초기 설정은 기존의 발판 영역을 가상의 공간으로 옮겨 놓았다고 가정한 것이다. 다만, 실제 발판 크기를 소프트웨어 상에서 축소한 것이며, 실제 사용자가 신체의 일부를 움직여 생성된 스텝 데이터는 상기 제어부(202)에 입력된다.The initial setting of the origin and scaffold size assumes that the existing scaffolding area is moved to the virtual space. However, the actual scaffold size is reduced in software, and the step data generated by the actual user moving a part of the body is input to the controller 202.

이때, 제어부(202)에 입력되는 스텝 데이터 값은 이동통신 단말기 하단의 연결 커낵터인 카킷(Car Kit)형태로 제공되는 시리얼 포트를 통해 유선의 형태로 제어부(202)에 입력된다.At this time, the step data value input to the controller 202 is input to the controller 202 in the form of a wire through a serial port provided in the form of a car kit, which is a connection connector at the botto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다른 한편, 상기 디알 센서(Dead Reckoning)에 의해 생성된 스텝 데이터는 무선의 형태로 제어부(202)에 입력되어지기도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tep data generated by the dead sensor (Dead Reckoning) may be input to the controller 202 in the form of a radio.

상기에서 무선의 형태는 근거리 무선 랜 방식인 블루투쓰(bluetooth)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부(202)에 입력되어지도록 한다.The wireless form is input to the controller 202 using Bluetooth, which is a short-range wireless LAN.

또한, 상기 제어부(202)와, 표시부(203)와, 음악 재생부(204)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나, 엠피쓰리(MP3) 플레이어는 마찬가지로 블루투쓰 수신장치를 장착하여 상기 디알(Dead Reckoning) 센서에 의해 생성된 스텝 데이터를 블루투쓰 방식으로 입력받는다. 이때, 디알(Dead Reckoning) 센서에는 블루투스 송신부를 구성한다.In addi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he control unit 202, the display unit 203, and the music playback unit 204, or an MP3 player, is similarly equipped with a Bluetooth receiver to receive the dead reckoning sensor. The step data generated by is received in a Bluetooth manner. In this case, a Bluetooth transmitting unit is configured in the dead reckoning sensor.

상기 제어부(202)는 상기 시리얼 포트와 블루투쓰(Bluetooth) 방식으로 입력된 데이터 즉, 스텝 데이터로부터 위치 좌표를 생성하여 상기 초기 설정된 가상 좌표와 비교를 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The controller 202 generates a position coordinate from the data inputted through the serial port and the Bluetooth method, that is, the step data, and compares it with the initially set virtual coordinate to output a control signal.

이러한 제어 신호는 표시부(203)에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음악 재생부(204)에 효과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signal outputs a message to the display unit 203 or controls an effect sound to the music reproducing unit 204.

즉,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설정된 가상 좌표 영역에서 사용자 신체일부의 움직임에 대한 위치 좌표가 어느 위치에 있는가와, 일치되는 시점을 판단하여 그 일치되는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메시지를 표시부(203)에 출력한다.That is, th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movements of a part of the user's body in the virtual coordinate region set by the user's operation are determined, and when they coincide with each other, a different message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203 according to the degree of matching. do.

그리고, 이와 동시에 음악 재생부(204)에서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른 효과음을 재생하도록 한다.At the same time, the music reproducing unit 204 reproduces the effect soun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상기 표시부(203)는 상기 휴대용 댄스 연습 오락 장치의 스텝 출력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면서, 상기 제어부(202)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다른 메시지를 출력한다.The display unit 203 continuously displays the step output of the portable dance practice entertainment device and outputs a different messag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202.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와 유선으로 연결된 감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nsing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shown in FIG. 2 in a wired man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감지부(201)는 디알(Dead Reckoning) 센서를 이용하므로, 이하 감지부를 디알(Dead Reckoning) 센서로 칭한다.Since the sensing unit 201 uses a dead reckoning sensor, the sensing unit 201 is referred to as a dead reckoning sensor.

도 3을 참조하면, 이러한 디알(Dead Reckoning) 센서는 신체에 센서를 부착하기 위한 신체 부착부(301)와, 스텝의 직선 방향의 가속도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부(302)와, 스텝의 회전 속도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각속도 센서부(303)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3, such a dead reckoning sensor includes a body attachment part 301 for attaching a sensor to a body, an acceleration sensor part 302 for measuring an acceleration magnitude in a linear direction of a step, It consists of an angular velocity sensor unit 303 for measuring the magnitude of the rotational speed.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가속도 센서부(302)에 의해 감지된 가속도 크기를 이용하여 움직인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각속도 센서부(303)에 의해 감지된 회전 속도의 크기를 이용하여 회전각을 측정한다.By this configuration, the moving distance is measured using the magnitude of the acceleration detect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unit 302, and the rotation angle is measured using the magnitude of the rotation speed detected by the angular velocity sensor unit 303. do.

이러한 움직인 거리와, 회전각은 스텝 데이터로써, 상기 제어부(202)에 유선으로 전송된다.This moved distance and rotation angle ar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02 by wire as step data.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도 3에 도시된 가속도 센서부의 하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one of the acceleration sensor unit shown in FIG.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직선방향의 가속도 크기를 전압의 크기로 출력하는 가속도 센서(401)와, 상기 가속도 센서(40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는 제1 필터부(402)와, 상기 제1 필터부(402)로부터 출력된 미약한 신호를 증폭하는 저잡음 증폭기(403)와, 상기 저잡음 증폭기(403)의 왜곡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2 필터부(404)와, 상기 제2 필터부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405)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4, an acceleration sensor 401 for outputting a magnitude of acceleration in a linear direction, a first filter unit 402 for removing noise of a signal output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401, and A low noise amplifier 403 for amplifying a weak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filter unit 402, a second filter unit 404 for removing distortion components of the low noise amplifier 403, and a second filter unit And an analog to digital converter 405 for converting the output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디알(Dead Reckoning) 센서의 가속도 센서부(302)는 가속도 센서(401)에 의해 직선방향의 가속도 크기를 감지하여 전압의 크기로 출력한다.The acceleration sensor unit 302 of the dead reckoning sensor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detects the magnitude of the acceleration in the linear direction by the acceleration sensor 401 and outputs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현재 가속도 센서는 10g(1g은 9.8m/s의 가속도를 의미)까지의 가속도 크기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것의 아날로그 출력은 0.2~2V/g로서, 1g의 가속도 센서의 경우 동작 시간동안 1g이상의 가속도가 발생하지 않으면, 시간축에 따라 선형출력이 나타난다.Currently, the acceleration sensor is used to detect the magnitude of the acceleration up to 10g (1g means 9.8m / s acceleration), its analog output is 0.2 ~ 2V / g, it operates in the case of 1g acceleration sensor If no acceleration more than 1g occurs during the time, linear output appears along the time axis.

댄스 연습 오락 장치의 경우, 사용자의 발이 0.25초에 30cm~90cm 간격을 등가속 이동한다면, 평균속도는 1.2m/s~3.6m/s로서 약 0.97g~2.93g에 해당하여 기존의 가속도 센서를 적용 가능하다.In the case of the dance practice entertainment device, if the user's foot moves at a constant interval of 30 cm to 90 cm in 0.25 seconds, the average speed is 1.2 m / s to 3.6 m / s, which corresponds to about 0.97 g to 2.93 g. Applicable

상기 가속도 센서(401)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제1 필터부(402)에 입력되어 잡음이 제거된다.The signal output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401 is input to the first filter unit 402 to remove noise.

그리고, 상기 제1 필터부(402)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미약한 크기를 갖는 신호이므로 저잡음 증폭기(403)에 의해 증폭되고, 이러한 증폭과정에 의하여 발생된 왜곡 신호를 제거하기 위하여 제2 필터부(404)에 통과시킨다.In addition, since th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filter unit 402 is a signal having a weak magnitude, it is amplified by the low noise amplifier 403, and the second filter unit (3) is used to remove the distortion signal generated by the amplification process. 404).

상기 제2 필터부(404)를 통과한 신호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405)에 의해 미소 시간간격으로 샘플링되며, 이러한 미소시간 간격동안의 이동거리를 계산하게된다. 등속운동일 경우 가속도 센서는 기준전압을 출력한다.The signal passing through the second filter unit 404 is sampled at a minute time interval by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405, and the moving distance during the minute time interval is calculated. In case of constant velocity, the acceleration sensor outputs the reference voltage.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405)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제어부(202)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이 없을 때 추가적으로 설치된다.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405 is additionally installed when the controller 202 shown in FIG. 2 does not have a function of converting an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하나의 가속도 센서부는 앞에서도 설명한것과 같이 3개의 가속도 센서(401)가 합쳐져 하나의 가속도 센서부를 이룬다.As described above, one acceleration sensor uni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ncludes three acceleration sensors 401 to form one acceleration sensor unit.

여기서 가속도 센서부를 3개의 가속도 센서로 구성하는 이유는 3차원 공간 영역상에서 거리를 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x,y,z축의 세점으로부터 거리를 구하는 방식과 같이 상기 각각의 가속도 센서가 하나의 축을 이루면서 가속도에 의한 거리를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the acceleration sensor unit is composed of three acceleration sensors is that each acceleration sensor forms an axis in accordance with the acceleration, such as a method of obtaining a distance from three points of x, y, and z axes to obtain a distance in a three-dimensional space domain. This is because the distance can be obtain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각속도 센서부의 하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one of the angular velocity sensor unit shown in FIG.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4에서 가속도 센서는 각속도 센서로 대치되어 구성 가능하다.In FIG. 4, the acceleration sensor may be replaced with an angular velocity sensor.

상기 각속도 센서는 센서의 회전속도의 크기를 전압의 크기로 출력하는 센서이다.The angular velocity sensor is a sensor that outputs the magnitude of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ensor as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이러한 각속도 센서의 감도는 300degree/second로서 0.25초당 75도의 회전각을 감지한다. 댄스 연습 오락 장치 동작시 사용자의 발목이나 발 자체는 인체구조상 크게 회전할 수 없어 댄스 연습 오락 장치 동작 중에서 몸을 크게 돌리는 동작을 제외하고 기존의 스텝 밟기 동작 감지에만 작용한다면, 기존의 각속도 센서를 적용가능하다.The sensitivity of this angular velocity sensor is 300 degrees / second, which detects a rotational angle of 75 degrees per 0.25 seconds. If the user's ankle or the foot itself cannot be rotated greatly due to the structure of the human body during the dance practice entertainment device, the existing angular velocity sensor is applied if it only acts on the detection of the stepping motion of the existing dance movement. It is possible.

상기 각속도 센서부를 구성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505)는 상기 도 4에도시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405)와 마찬가지로 상기 도 2에 도시된 제어부(202)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이 없을 때 추가적으로 설치된다.When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505 constituting the angular velocity sensor unit is similar to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405 shown in FIG. 4, the control unit 202 shown in FIG. 2 does not have a function of converting an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dditionally installed.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하나의 각속도 센서부는 3개의 각속도 센서(501)가 합쳐져 하나의 각속도 센서부를 이룬다.In addition, one angular velocity sensor uni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ombines three angular velocity sensors 501 to form one angular velocity sensor unit.

그러므로, 상기 각각의 각속도 센서(501)가 하나의 축을 이루면서 회전 속도에 의한 회전각을 구하는 방식이다.Therefore, each angular velocity sensor 501 forms a single axis and obtains a rotation angle due to the rotation speed.

따라서, 도 4와 도 5에서 같이 가속도 센서부 및 각속도 센서부는 제1 필터부(402,502)이하의 소자와 각각 연결하여 3개의 가속도 센서와, 3개의 각속도 센서를 구성하여 스텝의 위치를 파악하여 제어부(202)에 전송한다.Therefore,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acceleration sensor unit and the angular velocity sensor unit are connected to the elements of the first filter unit 402 and 502 or less, respectively, to form three acceleration sensors and three angular velocity sensors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step controller. To 202.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또 다른 감지부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sensing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shown in FIG. 2 by wire.

상기 감지부는 디알 센서를 이용하므로, 이와 같은 감지부는 이하 디알 센서로 칭한다.Since the detector uses a dial sensor, such a detector 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ial sensor.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디알(Dead Reckoning) 센서는 신체에 센서를 부착하기 위한 신체부착부(601)와, 스텝의 직선 방향의 가속도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부(602)와, 스텝의 회전 속도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각속도 센서부(603)와, 상기 가속도 센서부(602)와 각속도 센서부(603)로부터 생성된 스텝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인코딩하여 상기 제어부(202)에 유선으로 제공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604)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6, the dead reckoning sensor includes a body attachment part 601 for attaching a sensor to a body, an acceleration sensor part 602 for measuring an acceleration magnitude in a linear direction of a step, An angular velocity sensor unit 603 for measuring the magnitude of the rotation speed, step data generated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unit 602 and the angular velocity sensor unit 603 are input, encoded, and provided to the controller 202 by wire. It consists of a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604.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가속도 센서부(602)와, 각속도 센서부(603)에 의해 생성된 스텝 데이터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604)에 의해 인코딩되어 상기 제어부(202)에 제공되며, 상기 제어부(202)는 이러한 신호를 디코딩하여 위치좌표를 생성하여 기준 좌표와 비교를 한다.In this configuration, the acceleration sensor unit 602 and the step data generated by the angular velocity sensor unit 603 are encoded by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604 and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202, and the control unit 202 ) Decodes this signal, generates position coordinates, and compares them with reference coordinates.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감지부를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FIG.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nsing unit wireless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illustrated in FIG.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감지부는 디알(Dead Reckoning) 센서를 이용하므로, 이 감지부를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이하 디알 센서로 칭한다.Since the detector uses a dead reckoning sensor, the detector is referred to as a dial sensor as described above.

도 7을 참조하면, 무선으로 연결되는 디알 센서(Dead Reckoning)는 상기 도 6에 도시된 장치 이외에도 무선 송신부(707)를 추가적으로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7, a dead sensor connected to a wireless unit further includes a wireless transmitter 707 in addition to the apparatus illustrated in FIG. 6.

이러한 무선 송신부(707)는 무선 랜 방식의 블루 투쓰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The wireless transmitter 707 transmits and receives data using a wireless Bluetooth method.

이러한 블루 투쓰(Bluetooth)로 지칭되는 근거리 무선 랜(LAN)방식은, 현재 통달거리는 최장 10m, 단방향 통신의 경우, 721kbps이고, 칩의 크기가 가로*세로 (2*3cm)이므로 디알(Dead Reckoning) 센서 모듈내에 탑재가 가능하기 때문에 디알 센서(Dead Reckoning)의 무선 통신모듈로 이용된다.The short-range wireless LAN (LAN) method, which is referred to as a Bluetooth, currently has a maximum communication distance of up to 10 m, unidirectional communication, 721 kbps, and the size of the chip is horizontal * vertical (2 * 3 cm). Since it can be mounted in the sensor module, it is used a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f dead reckoning.

또한, 2.4GHZ 대역에서 대역폭 1MHZ의 채널을 79개 설정하여, 1초간에 1600회 채널을 바꾸는 주파수 호핑방식의 스펙트럼 확산 기술로 전파를 송수신하므로 잡음이 많은 무선 주파수에서도 성능이 고르게 유지되어 복수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동기화된 복수의 사용자가 경합을 벌이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by setting 79 channels with a bandwidth of 1MHZ in the 2.4GHZ band and transmitting / receiving radio waves with a 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 technology that changes 1600 channels per second, performance is maintained evenly even in noisy wireless frequencies. It is also possible for a plurality of users synchronized using a terminal to compete.

이때, 상기 제어부(202)와, 표시부(203)와, 음악 재생부(204)를 장착하여 휴대용 댄스 연습 오락 장치를 겸용하는 이동 단말기나 엠피쓰리(MP3) 플레이어는 디알(Dead Reckoning)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부(201)와 마찬가지로 블루 투쓰(Bluetooth)로 불리우는 무선 랜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감지부(201)의 디알(Dead Reckoning) 센서로부터 스텝 데이터를 입력받는다.In this case, the mobile terminal or MP3 player, which is equipped with the control unit 202, the display unit 203, and the music reproducing unit 204, which is a portable dance practice entertainment device, includes a dead reckoning sensor. Like the sensing unit 201, the step data is received from a dead reckoning sensor of the sensing unit 201 using a wireless LAN method called a Bluetooth.

도 8a부터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신체 부착부의 여러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8A to 8C are views illustrating various shapes of the body attachment part shown in FIG.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도 8b, 도 8c를 참조하면, 디알(Dead Reckoning) 센서는 단독 혹은 디지털 변환기와 통합되거나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까지 통합된 형태로 사용자의 몸 다양한 부분에 부착되며 부착방법은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S. 8A, 8B, and 8C, a dead reckoning sensor may be attached to various parts of a user's body either alone or integrated with a digital converter or integrated with a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클립형(도 8a)과, 밸크로(갈고리 칙칙이) 또는 자석과 같은 부착식의 방법(도 8b)과, 고무벨트와 같은 벨트형(도 8c)으로 이용 가능하다.Commonly used clip types (Fig. 8a), velcro (hooked) or attachable methods such as magnets (Fig. 8b) and belt types (Fig. 8c) such as rubber belts are available.

도 9는 복수의 휴대용 댄스 연습 오락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using a plurality of portable dance practice entertainment apparatus.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휴대용 댄스 연습 오락 장치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도 7에서 설명한 블루투쓰(BlueTooth)로 불리우는 근거리 무선 랜(LAN) 방식이 이용된다.In order for a plurality of users to simultaneously use the portable dance practice entertainment apparatus, a short-range wireless LAN (LAN) method called BlueTooth described in FIG. 7 is used.

즉, 제1 단말기(901)와 제2 단말기(903)가 무선 송신부(705)의 블루투쓰(Bluetooth)를 통해 동기신호를 주고받음으로써 서로 동기가 일치된다.That is, the first terminal 901 and the second terminal 903 are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by sending and receiving a synchronization signal through the Bluetooth of the wireless transmitter 705.

그리고, 휴대용 댄스 연습 오락 장치가 구동이 되면, 제1 단말기(901)와,제2 단말기(903)는 표시부를 이용하여 같은 스텝을 출력하거나, 서로 다른 스텝을 출력한다.When the portable dance practice entertainment apparatus is driven, the first terminal 901 and the second terminal 903 output the same steps or different steps using the display unit.

이때, 같은 스텝을 출력할 때에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디알 센서를 나누어 부착하여 같은 스텝을 나누어 밟도록 한다.In this case, when outputting the same step, the plurality of users separately attach one dial sensor to divide the same step.

한편, 서로 다른 스텝을 출력할 때에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가 각각의 디알 센서를 부착하여 서로 다른 스텝을 나누어 밟음으로써 경합을 벌일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outputting different steps, the plurality of users attach each of the dial sensors so that they can compete by stepping on different steps.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댄스 연습 오락 장치의 제어 흐름도이다.10 is a control flowchart of a portable dance practice entertain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휴대용 댄스 연습 오락 장치는 사용자의 움직이는 가속도와 회전속도의 크기를 감지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에 의하여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적절한 효과음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Referring to FIG. 10, the portable dance practice entertainment apparatus detects the magnitude of the user's moving acceleration and rotation speed and outputs an error message or generates an appropriate sound effect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

먼저, 사용자의 양발에 디알(Dead Reckoning) 센서가 부착된다.(S10)First, a dead reckoning sensor is attached to both feet of the user (S10).

상기 디알 센서(Dead Reckoning)를 부착한 사용자는 이러한 디알(Dead Reckoning) 센서를 이용해 스텝의 원점 위치를 설정하고, 스텝크기를 설정한다.(S11)The user who attaches the dead reckoning sets the origin position of the step and sets the step size using the dead reckoning sensor (S11).

상기 설정된 원점과 스텝크기로부터 사용자가 원점으로 설정한 영역을 중심으로 좌표영역을 생성하고, 이러한 좌표영역을 저장한다.(S12)The coordinate area is generated based on the area set by the user as the origin from the set origin point and the step size, and the coordinate area is stored.

즉, 상기 사용자가 디알 센서를 이용하여 조작할 스텝크기를 2차원의 좌표 공간으로 만든다.That is, the user makes the step size to be manipulated by using the dial sensor in a two-dimensional coordinate space.

한편, 댄스 연습 오락 장치를 구현한 이동통신 단말기나 엠피쓰리 재생기의액정 표시기에 사용자가 디디게 될 스텝을 표시한다.(S13)Meanwhile, the user's step is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MP3 player that implements the dance practice entertainment device (S13).

사용자는, 상기 표시되는 스텝에 따라 상기 디알 센서를 부착한 신체부위를 움직이게 되고, 이러한 신체부위의 움직임에 대한 가속도와 회전각을 감지하여 이를 가상 좌표 영역상의 위치 좌표로 생성한다.(S14)The user moves the body part to which the dial sensor is attached according to the displayed step, and detects the acceleration and the rotation angle with respect to the movement of the body part and generates it as the position coordinate on the virtual coordinate area (S14).

상기 디알(Dead Reckoning) 센서에 의해 사용자 스텝의 움직임이 감지되어 생성된 좌표와 저장된 좌표영역과 비교한다.(S15)The motion of the user step is detected by the dead reckoning sensor and compared with the generated coordinates and the stored coordinate area (S15).

기준 시간이 흐르면(S16) 디알(Dead Reckoning) 센서의 위치가 저장된 가상좌표 영역에 있는가를 확인한다.(S17)When the reference time passes (S16), it is checked whether the position of the dead reckoning sensor is in the stored virtual coordinate area (S17).

상기 기준 시간이 흐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S15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When the reference time has not passed, step S15 is repeated.

만일, 상기 디알 센서(Dead Reckoning)의 위치가 가상 좌표영역에 있지 않다면 오류 메시지를 출력한다.(S18)If the position of the dead reckoning is not in the virtual coordinate region, an error message is output (S18).

그러나 상기 디알(Dead Reckoning) 센서의 위치가 가상 좌표 영역에 있다면, 다시 이동통신 단말기나 엠피쓰리(MP3) 플레이어의 액정 표시기로 영역에 포함되는 정도나 일치되는 시점에 따라 적절한 메시지를 출력하면서 다음 스텝 지시를 출력하도록 한다.However, if the position of the dead reckoning sensor is in the virtual coordinate region, the next step is output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incidence or coincidence with the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MP3 player. Print the instructions.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첫째, 디알 센서(Dead Reckoning)를 발목위치에 부착하므로 별도의 발판이 필요 없어 장소의 제한이 없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first, because the dead sensor (Dead Reckoning) is attached to the ankle position,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footrest there is no limitation of the place.

둘째,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엠피쓰리(MP3) 플레이어와 통합해서 휴대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므로, 시간 및 장소의 제한이 없어 활용도가 극대화된다.Second, since it can maximize portability by integrating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MP3 player, there is no limitation of time and place, maximizing utilization.

셋째,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들과 동기되면 같은 스텝신호에 맞추어 여러 명이 이용할 수 있다.Third, when synchronized with othe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everal people can use the same step signal.

넷째, 기존의 오락실용 댄스 연습 오락 장치(DDR) 기기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다.Fourth, the price is lower than that of a conventional dance practice entertainment device (DDR).

다섯째, 기존의 오락실용 댄스 연습 오락 장치(DDR) 기기와는 달리 발판의 크기가 가상의 공간에 설정되므로, 소프트웨어 조작에 따라 발판의 크기를 변경해 줄 수 있다. 따라서, 발판영역을 크게 해서 운동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Fifth, unlike the existing recreational dance practice entertainment device (DDR) device, the size of the footrest is set in the virtual spac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ize of the foothold in accordance with the software operation. Therefore, the exercise area can b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scaffolding area.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example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Claims (9)

사용자 신체 일부에 부착되어 가속도와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감지부와;A detection unit attached to a part of the user's body to sense acceleration and rotation speed; 상기 감지된 가속도와 회전속도로부터 생성된 위치 좌표와 기 설정된 기준 좌표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결과에 따른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A controller for comparing the position coordinates generated from the sensed acceleration and the rotational speed with a preset reference coordinate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음악을 재생하는 음악 재생부와;A music player for playing music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메시지를 출력하는 표시부로 구성되는 휴대용 댄스 연습 오락 장치.Portable dance practice entertainment device comprising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messag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tection unit 상기 사용자 신체 일부에 부착되는 신체 부착부와,A body attachment part attached to a part of the user's body, 상기 사용자 신체 일부의 움직이는 가속도를 센싱하는 가속도 센서부와,An acceleration sensor unit sensing a moving acceleration of a part of the user body; 상기 사용자 신체 일부의 움직이는 회전속도를 센싱하는 각속도 센서부로 구성되는 휴대용 댄스 연습 오락 장치.Portable dance practice entertainment device comprising an angular velocity sensor unit for sensing a moving rotational speed of a part of the user's body.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센서부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cceleration sensor unit 상기 사용자의 신체 일부의 움직이는 가속도를 센싱하는 가속도 센서와,An acceleration sensor sensing a moving acceleration of a part of the user's body; 상기 가속도 센서의 출력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는 제1 필터부와,A first filter unit removing noise of an output signal of the acceleration sensor; 상기 제1 필터부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제1 저잡음 증폭기와,A first low noise amplifier for amplifying an output signal of the first filter unit; 상기 제1 저잡음 증폭기의 출력 신호의 왜곡 성분을 제거하는 제2 필터부와,A second filter unit which removes a distortion component of an output signal of the first low noise amplifier; 상기 제2 필터부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로 구성되는 휴대용 댄스 연습 오락 장치.Portable dance practice entertainment device comprising an analog to digital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filter unit into a digital signal.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속도 센서부는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angular velocity sensor unit 상기 사용자 신체 일부의 움직이는 회전속도를 센싱하는 각속도 센서와,An angular velocity sensor for sensing a moving rotational speed of a part of the user's body; 상기 각속도 센서의 출력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는 제3 필터부와,A third filter unit for removing noise of an output signal of the angular velocity sensor; 상기 제2 필터부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제2 저잡음 증폭기와,A second low noise amplifier for amplifying an output signal of the second filter unit; 상기 제2 저잡음 증폭기의 출력 신호의 왜곡 성분을 제거하는 제4 필터부와,A fourth filter unit for removing distortion components of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low noise amplifier; 상기 제4 필터부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2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로 구성되는 휴대용 댄스 연습 오락 장치.And a second analog to digital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fourth filter unit into a digital signal for converting the digital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부착부는 클립형과, 부착형과, 벨트형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댄스 연습 오락 장치.The portable dance practice entertainmen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body attachment portion uses any one of a clip type, an attachment type, and a belt ty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어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연습 오락 장치.The portable practice entertainment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ensing unit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by wire or wirelessly. 제 2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가 상기 제어부와 무선으로 연결될 때 상기 감지부는 상기 센싱된 가속도와 회전속도를 인코딩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상기 인코딩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댄스 연습 오락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2 or 6, wherein when the sensing unit i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e sensing unit is a digital signal processor for encoding the sensed acceleration and rotational speed, and a wireless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encoded signal. Portable dance practice entertain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부는 상기 제어부와 근거리 무선 랜(LAN) 방식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댄스 연습 오락 장치.The portable dance practice entertainment apparatus of claim 7, wherein the wireless transmitter transmits the control unit to the controller in a short range wireless local area network.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음악 재생부와, 표시부는 이동통신 단말기나 엠피쓰리(MP3) 플레이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댄스 연습 오락 장치.The portable dance practice entertainmen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the music reproducing unit, and the display unit are mount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n MP3 player.
KR1020000029385A 2000-05-30 2000-05-30 Apparatus for Handy Dance-Practing Game KR2001010938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385A KR20010109380A (en) 2000-05-30 2000-05-30 Apparatus for Handy Dance-Practing G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385A KR20010109380A (en) 2000-05-30 2000-05-30 Apparatus for Handy Dance-Practing G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380A true KR20010109380A (en) 2001-12-10

Family

ID=45856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9385A KR20010109380A (en) 2000-05-30 2000-05-30 Apparatus for Handy Dance-Practing G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9380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6261A (en) * 2004-12-13 2006-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act cognition by using mobile communication station and motion capture
KR101014961B1 (en) * 2004-10-29 2011-02-15 주식회사 팬택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 of music playing using acceleration sens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7889A (en) * 1987-12-24 1989-07-03 Yamaha Corp Musical sound controller
US5524637A (en) * 1994-06-29 1996-06-11 Erickson; Jon W. Interactive system for measuring physiological exer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7889A (en) * 1987-12-24 1989-07-03 Yamaha Corp Musical sound controller
US5524637A (en) * 1994-06-29 1996-06-11 Erickson; Jon W. Interactive system for measuring physiological exer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961B1 (en) * 2004-10-29 2011-02-15 주식회사 팬택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method for providing function of music playing using acceleration sensing
KR20060066261A (en) * 2004-12-13 2006-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act cognition by using mobile communication station and motion cap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57395B2 (en) Portable exercise-related data apparatus
CA2246412C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movement of objects
JPH09512097A (en) 3D displacement of body with computer interface
US20080306330A1 (en) Sleeping mode accessory
US1111351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853465B1 (en) Step length calculation and NFC function having treadmill system
US7616186B2 (en) Acceleration reference devices, cellular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s, and methods that sense terminal movement for cursor control
TW201842432A (en) Method, electronic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sensors
JP6908027B2 (en) Motion measur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otion measuring method
US10845203B2 (en) Indoor/outdoor detection using a wearable computer
JP5892305B2 (en) Activity amount measuring device, activity amount measuring system,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010109380A (en) Apparatus for Handy Dance-Practing Game
US20040224718A1 (en) Multifunctional body/motion signal receiving and display device
US11857840B2 (en) Momentum measurement device, momentum measur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omentum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same
US1104028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210210114A1 (en) Wearable device including a sound detection device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for a body part
EP2042081A1 (en) Training device for athlete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an athlete
JP6928814B1 (en) Exercise system in the pool
US20230101617A1 (en) Full body pose estimation through feature extraction from multiple wearable devices
US20220095957A1 (en) Estimating Caloric Expenditure Based on Center of Mass Motion and Heart Rate
JP2001221841A (en) Position data detection system and game machine using the same
KR100689453B1 (en) Improved controlling signal input system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JPH05309085A (en) Active mass measuring instrument
JP2002273052A (en) Game device using position detector and storage medium
KR20060023904A (en) Drop awar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