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8956A - 전자 지불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지불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8956A
KR20010108956A KR1020000030027A KR20000030027A KR20010108956A KR 20010108956 A KR20010108956 A KR 20010108956A KR 1020000030027 A KR1020000030027 A KR 1020000030027A KR 20000030027 A KR20000030027 A KR 20000030027A KR 20010108956 A KR20010108956 A KR 20010108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er
payment
server
billing
acc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0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0181B1 (ko
Inventor
신상익
Original Assignee
신상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상익 filed Critical 신상익
Priority to KR10-2000-0030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0181B1/ko
Publication of KR20010108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8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0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0181B1/ko

Links

Landscapes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발생되는 청구서에 대한 전자 지불 시, 대금 청구 자와 지불 고객(지불자)에게 부가되는 비용을 최소화 하고, 대금 청구 자나 지불 고객(지불자)이 서로 신뢰할 수 있는 안전한 지불처리가 가능한 전자 지불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a)은행 서버 군내의 각 은행 서버에 지불자를 대행할 수 있는 지불자 대행 계좌와 대금 청구자를 대행할 수 있는 대금 청구자 대행 계좌를 각각 등록할 수 있는 단계; (b) 지불 대행자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대금 청구자 단말기 또는 대금 청구자 서버로부터 송출되는 적어도 1건의 지불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c)(b)단계에서 수신된 지불에 관련된 정보를 토대로 접속된 지불자 단말기 또는 지불자 서버의 사용자가 지불하여야 하는 지불금을 지불자의 계좌가 개설되어 있는 은행내의 상기 지불자 대행 계좌로 이체하는 단계; (d)제 1 일정기간동안 (c)단계를 통해 지불자 대행 계좌로 이체된 금액들을 대금 청구자 별로 구분하고, 해당되는 대금 청구자의 계좌가 개설된 은행내의 대금 청구자 대행 계좌로 해당되는 이체 금액을 일괄 이체하는 단계;(e)제 2 일정기간동안 대금 청구자 대행 계좌로 이체된 금액을 대금 청구자의 계좌로 일괄 이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지불방법 및 그 장치{Electronic payment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지불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상거래(Electronic Commerce) 또는 인터넷을 통한 상거래를 통해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발생되는 청구서에 대한 전자 지불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인터넷의 상용화에 따라 전자상거래 또는 인터넷을 통한 상거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상거래 또는 인터넷을 통한 상거래의 유형은 거래 주체에 따라 기업간 거래(business-business), 기업과 개인간 거래(business-consumer), 개인과 행정기관간 거래(consumer-administration)로 분류된다. 이와 같이 독립된 조직간 또는 조직과 개인간에 다양한 전자적 매체를 이용하여 상품이나 용역을 교환하는 것을 전자상거래라 한다.
이러한 전자 상거래나 인터넷을 통한 상거래는 1994년 온라인 서비스 2억 16백만 달러, TV 홈쇼핑 등을 통해서 4조 달러, 월드와이드웹(WWW)을 통해 4백만 달러, CD-ROM시장이 1백만 달러 등이었으나 2000년도 예측치는 온라인 서비스가 2.4조 달러, TV 홈쇼핑이 3.4조 달러, 월드와이드웹(WWW)이 4.4조 달러, CD-ROM시장이 8천4백만 달러, 대화형 TV(Interactive TV) 시장이 7억39백만 달러 등으로 인터넷을 통한 전자거래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청구서 또는 고지서도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을 통한 발행을 시도하려는 곳이 증가하고 있고, 전자 지불 시장도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현재 이용되고 있는 전자 지불방식은 전자화폐를 이용하는 방식, 계좌 이체 방식, 신용카드 이체 방식 등이다. 이러한 방식들은 지로 용지를 이용하여 은행 창구를 통해서만 지불이 가능하였던 기존의 지불 방식에 비해 진보된 방법이기는 하나 아직도 획기적으로 비용이 절감되거나 서비스의 질이 향상되지는 않았다.
즉, 전자화폐를 이용하는 방식은 전자화폐를 제공하는 업체를 통해 디지털 코인이나 신용카드와 유사한 집적회로(IC) 카드를 구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 아니라 각 화폐를 제공하는 회사별 프로그램을 별도로 설치하여야 한다. 계좌 이체 방식은 고객이 여러 은행을 방문하거나 이체 가능한 계좌가 개설된 은행의 폰뱅킹이나 PC뱅킹을 이용하여야 하는데, 이와 같은 이체가 서로 다른 은행간에 이루어질 경우에 대금 지불 자는 이체 수수료를 부담하여야 한다. 그리고, 신용카드를 이용한 이체 방식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나 청구 자에게 부가되는 수수료가 비싸 상당한 정도의 금액 거래 시 적합한 단점이 있을 뿐 아니라 고객의 입장에서는 고객의 신용카드 번호의 유출을 막아야 하고 청구자의 입장에서는 가짜 신용카드 소지자의 거래를 막기 위해 강력한 암호화 기술이 수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발생되는 청구서에 대한 전자 지불 시, 대금 청구 자와 지불 고객(지불자)에게 부가되는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전자 지불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발생되는 청구서에 대한 전자 지불 시, 대금 청구 자나 지불 고객(지불자)이 서로 신뢰할 수 있는 안전한 지불처리가 가능한 전자 지불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지불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지불방법의 동작 흐름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지불방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지불자와 지불 대행자간의 이체 과정에 대한 상세 흐름도의 일 실시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지불방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지불자와 지불 대행자간의 이체 과정에 대한 상세 흐름도의 다른 실시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지불방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지불자와 지불 대행자간의 이체 과정에 대한 상세 흐름도의 또 다른 실시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지불방법에 의한 자금 이체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지불방법에 의한 자금 이체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지불자 군 100_1∼100_n:지불자 단말기 1∼n
110:대금 청구자 군 110_1∼110_o:대금 청구자 단말기 1∼O
120:지불 대행자 서버 130:은행 서버 군
130_1∼130_m:은행 서버 1∼m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지불 방법은, 적어도 1개의 지불자 단말기 또는 지불자 서버로 구성된 지불자 군, 적어도 1개의 대금 청구자 단말기 또는 대금 청구자 서버로 구성된 대금 청구자 군, 지불 대행자 서버 및 은행별로 할당된 은행 서버가 적어도 1개 구비된 은행 서버 군이 연결된 네트워크 환경에서 적어도 한 지불자로부터 적어도 한 대금 청구자로의 전자 지불방법에 있어서, (a)은행 서버 군내의 각 은행 서버에 지불자를 대행할 수 있는 지불자 대행 계좌와 대금 청구자를 대행할 수 있는 대금 청구자 대행 계좌를 각각 등록할 수 있는 단계; (b) 지불 대행자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대금 청구자 단말기 또는 대금 청구자 서버로부터 송출되는 적어도 1건의 지불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c)(b)단계에서 수신된 지불에 관련된 정보를 토대로 접속된 지불자 단말기 또는 지불자 서버의 사용자가 지불하여야 하는 지불금을 지불자의 계좌가 개설되어 있는 은행내의 상기 지불자 대행 계좌로 이체하는 단계; (d)제 1 일정기간동안 (c)단계를 통해 지불자 대행 계좌로 이체된 금액들을 대금 청구자 별로 구분하고, 해당되는 대금 청구자의 계좌가 개설된 은행내의 대금 청구자 대행 계좌로 해당되는 이체 금액을 일괄 이체하는 단계;(e)제 2 일정기간동안 대금 청구자 대행 계좌로 이체된 금액을 상기 대금 청구자의 계좌로 일괄 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전자 지불 장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적어도 한 지불자로부터 적어도 한 대금 청구자로의 전자 지불장치에 있어서, 한 개의 지불 계좌를 통해 정기적으로 청구된 과금에 대한 지불 요청을 네트워크를 통해 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지불자 단말기 또는 지불자 서버로 구성된 지불자 군; 은행별로 할당된 은행 서버가 적어도 1개 구비된 은행 서버 군; 한 개의 대금 청구자 계좌를 통해 일괄적으로 청구하였던 과금을 수금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대금 청구자 단말기 또는 대금 청구자 서버로 구성된 대금 청구자 군; 네트워크를 통해 대금 청구자 단말기 또는 대금 청구자 서버로부터 일괄적으로 수신된 지불 관련 정보를 토대로 상기 지불자 단말기 또는 지불자 서버로부터 지불 요청이 수신되면, 은행 서버중 지불 계좌가 개설된 은행의 은행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지불 대행 계좌로의 이체를 해당되는 은행 서보로 요구하고,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 지불 대행 계좌에 이체된 금액을 대금 청구자별 계좌가 개설된 은행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대금 청구자 대행 계좌로의 일괄 이체를 해당되는 은행 서버로 요구하는 지불 대행자 서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전자 지불 장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적어도 한 지불자로부터 적어도 한 대금 청구자로의 전자 지불장치에 있어서, 한 개의 대금 청구자 계좌를 통해 비정기적으로 발생되는 과금에 대한 수금을 요청하여 수금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대금 청구자 단말기 또는 대금 청구자 서버로 구성된 대금 청구자 군; 한 개의 지불 계좌를 통해 청구된 과금에 대한지불 요청을 네트워크를 통해 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지불자 단말기 또는 지불자 서버로 구성된 지불자 군; 은행별로 할당된 은행 서버가 적어도 1개 구비된 은행 서버 군; 네트워크를 통해 대금 청구자 단말기 또는 대금 청구자 서버로부터 비정기적으로 발생된 과금에 대한 수금이 요청되면, 요청된 과금에 대한 지불 대행자 코드를 할당하여 해당되는 지불자 단말기 또는 지불자 서버로 송출하고, 상기 해당되는 지불자 단말기 또는 지불자 서버로부터 지불이 요청되면, 은행 서버중 지불 계좌가 개설된 은행의 은행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지불 대행 계좌로의 이체를 해당되는 은행 서버로 요구하고,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 지불 대행 계좌에 이체된 금액을 대금 청구자별 계좌가 개설된 은행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대금 청구자 대행 계좌로의 일괄 이체를 해당되는 은행 서버로 요구하는 지불 대행자 서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지불장치의 개략적인 블록 도로서, 지불자(payer) 단말기 1∼n(100_1∼100_n)로 구성된 지불자 군(100), 대금 청구자(biller) 단말기 1∼o(110_1∼110_o)로 구성된 대금 청구자 군(110), 지불 대행자(agent) 서버(120), 은행 서버 1∼m(130_1∼130_m)으로 구성된 은행 서버 군(130)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에서 지불자 단말기 1∼n(100_1∼100_n)와 대금 청구자 단말기 1∼o(110_1∼110_o)는 서버로 운영되는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각각 개인 또는 기업 또는 정부 기관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은행 서버 군(130)에 구비되는 은행서버 1∼m(130_1∼130_m)은 각 은행별 서버로 간주한다. 즉, 은행 서버 1(130_1)과 은행 서버 2(미 도시됨)는 서로 다른 은행의 서버이다.
또한, 지불자 군(100), 대금 청구자 군(110), 지불 대행자 서버(120) 및 은행 서버 군(130)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환경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지불방법의 동작 흐름 도이다.
그러면, 도 1 및 도 2를 토대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불자 군(100)내의 지불자 단말기 1∼n(100_1∼100_n)과 대금 청구자 군(110)내의 대금 청구자 단말기 1∼o(110_1∼110_o)는 각각 은행에 등록된 하나의 계좌를 갖고 있어야 한다. 이 때, 지불자 단말기 1∼n(100_1∼100_n)의 계좌는 본 발명에 따라 지불 계좌가 되고, 대금 청구자 단말기 1∼o(110_1∼110_0)의 계좌는 수금 계좌가 된다.
이와 같이 지불 계좌와 수금 계좌가 임의의 은행에 개설된 상태에서, 지불 대행자(미 도시됨)는 각 은행에 지불자 대행(payer attended) 계좌와 대금 청구자 대행(biller attended) 계좌를 각각 등록하여야 한다. 이 때, 등록방식은 지불 대행자 서버(120)를 이용하여 은행 서버 군(130)내의 은행 서버 1∼m(130_1∼130_m)과 네트워크를 통해 일대일 접속하여 등록하거나 해당 은행을 방문하여 등록할 수도 있다. 지불자 대행 계좌는 상술한 지불 계좌가 개설된 은행과 동일한 은행에 등록된 계좌이고, 대금 청구자 대행 계좌는 상술한 수금 계좌가 개설된 은행과 동일한 은행에 등록된 계좌이다.
이 때, 은행 서버 군(130)내의 은행 서버 1∼m(130_1∼130_m)은 지불 대행자를 통한 입금 또는 이체처리시 지불 대행자 관리 코드(AgentTranCode:Agent Transaction Code)에 대한 처리가 가능하여야 한다. 지불 대행자 관리 코드는 해당 계좌가 지불 대행자와 관련된 계좌임을 나타내는 지불 대행자 식별자(agent ID), 지불 대행자에 등록시 할당받은 대금 청구자의 코드(AgentClientCode), 대금 청구자가 제공하는 과금 단위로 할당되거나 지불 대행자에 과금 등록시 할당되는 지불자 코드(PayCode 또는 AgentPayerCode) 및 지불자에 관련된 임의의 코드를 부여할 수 있는 여분 코드(IndexCode)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지불처리를 위하여 지불 대행자 서버(120)에서 관리하는 코드이다.
이와 같이 은행 서버 1∼m(130_1∼130_m)에 지불자 대행 계좌와 대금 청구자 대행 계좌를 각각 등록한 후, 단계 203에서 지불 대행자 서버(120)는 대금 청구자 군(110)에 구비되어 있는 대금 청구자 단말기 1∼o(110_1∼110_o)로부터 각각 지불관련정보를 수신한다. 지불 관련 정보는 정기적으로 발생되는 청구서의 경우에는 지불자의 지불 대행자 관리 코드(AgentTranCode)와 금액 등 상세한 내역정보로서 다수의 지불자에 대해 일괄적으로 송출되는데 가급적 한 트랜잭션 내에서 처리된다. 비정기적으로 발생되는 청구서에 대한 지불 관련 정보는 해당 과금정보와 지불 대행자 관리 코드 할당을 요청하는 정보 등이 송출된다. 비정기적으로 발생되는 청구서의 경우에는 하나의 트랙잭션당 한 건의 지불 정보가 송출된다.
그 다음 단계 205에서 지불 대행자 서버(120)는 지불자 군(100)에 존재하는지불자 단말기 1∼n(100_1∼100_n)중 접속된 임의의 지불자 단말기의 지불 계좌로부터 지불자 대행 계좌로의 지불금 이체 처리를 수행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단계 205에서의 지불금 이체 과정에 대한 상세 흐름도의 예시도로서, 도 3은 정기적으로 발생되는 청구서에 대해 해당되는 대금 청구자 단말기로부터 해당되는 지불자 단말기로 전자 청구서가 발송된 경우이고, 도 4는 정기적으로 발생되는 청구서의 발송 여부와 관계없이 지불자 단말기가 지불 대행자 서버(120)와 직접 접속을 통해 수행되는 경우이고, 도 5는 비정기적으로 발생되는 청구서에 대한 처리과정이다.
즉, 지불자 군(100)내의 지불자 단말기 1(100_1)이 대금 청구자 단말기 1(110_1)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청구서를 수신하면, 단계 301에서 수신된 전자 청구서를 이용하여 지불 대행자 서버(120)와 접속한다. 즉, 전자 청구서의 아이콘(icon)을 클릭(click)하는 것만으로 지불자 단말기 1(100_1)은 지불 대행자 서버(120)와 접속된다. 이 때, 전자 청구서에 포함되어 있던 지불 대행자 관리 코드(AgentTranCode)와 과금정보를 포함한 지불 정보가 지불 대행자 서버(120)로 자동적으로 송출된다.
이를 수신한 지불 대행자 서버(120)의 안내 메시지에 따라 지불자 단말기 1(100_1)로부터 사용자 코드가 입력되어 수신되었는지를 단계 303에서 체크한다. 사용자 코드는 지불자 단말기 1(100_1)이 지불 대행자 서버(102)에 등록된 경우에 이용되는 고유코드로서 사이트 접속시 이용되는 ID와 같은 것이다. 이 때, 사용자 코드 뿐 아니라 비밀번호도 고려될 수 있다. 이 비밀번호 역시 지불 대행자서버(102)에 등록시 지불자 단말기 1(100_1)이 설정한 정보이다.
단계 303의 체크결과, 사용자 코드가 수신되었으면, 단계 305에서 지불 대행자 서버(120)는 수신된 사용자 코드를 이용하여 지불자 단말기 1(100_1)이 등록된 사용자인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등록된 사용자가 아니면, 단계 307에서 인증 재시도를 요구하고, 단계 303으로 리턴된다.
그러나, 체크결과, 등록된 사용자이면, 단계 309로 진행되어 해당 지불 계좌 정보가 등록되어 있거나 현재 접속을 통해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등록되지도 입력되지도 않은 경우에 단계 311에서 해당 지불 계좌정보 등록 또는 입력을 요구하고 단계 309로 리턴된다.
단계 309에서 체크한 결과, 해당 지불 계좌 정보가 등록 또는 입력된 경우에 단계 313에서 지불 대행자 서버(120)는 사용자 코드 및 지불 금액이 사전에 대금 청구자 단말기 1(110_1)로부터 수신한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 즉, 사용자 코드를 통해 단계 301에서 수신한 지불 대행자 관리 코드(AgentTranCode)와 과금정보를 얻고, 이 정보를 이용하여 사전에 대금 청구자 단말기 1(110_1)로부터 수신한 지불 정보중 동일한 지불 대행자 관리 코드와 그에 부가되어 있는 과금정보와 일치하는 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단계 315에서 확인 결과를 지불자 단말기 1(100_1)로 통보한다. 통보방식은 지불 고객 명, 지불 고객 코드, 지불 금액 등의 정보 제공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 317에서 통보된 내용을 확인하였다는 정보가 수신되면, 지불 대행자 서버(120)는 단계 319에서 해당되는 은행 서버와 접속하여 지불 계좌에서 지불자 대행 계좌로 해당되는 지불금에 대한 이체처리를 한다. 단계 321에서 체크한 결과, 상술한 이체 처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인식되면, 지불 대행자 서버(120)는 단계 325에서 지불자 단말기 1(100_1)로 이를 통보한다. 통보방식은 예를 들어 고객명, 고객 코드, 지불 금액 등을 제시하고, 이 금액이 어떤 용도의 요금으로 지불되었으며, 현재 지불 계좌에 잔고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단계 321에서 체크한 결과, 정상적인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단계 323에서 지불자 단말기 1(100_1)로 처리 불가 사유를 통보하고, 단계 309로 리턴되어 지불 계좌 정보에 대한 등록 또는 입력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한편, 단계 303에서 체크한 결과, 사용자 코드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지불 대행자 서버(120)는 단계 327에서 게스트(guest)를 의미하는 정보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입력되지 않았으면, 단계 303으로 리턴되어 상술한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그러나, 체크결과, 입력되었으면, 단계 309로 진행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도 4의 단계 401에서 청구서의 송달여부와 관계없이 지불자 단말기 1(100_1)이 지불 대행자 서버(120)와 직접 접속하면, 단계 403에서 지불 대행자 서버(120)는 사용자 코드가 수신되었는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수신되었으면, 단계 405로 진행되어 지불 대행자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인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등록된 사용자가 아니면, 단계 407로 진행되어 인증 재시도를 요구하면서 단계 403으로 리턴된다. 그러나, 등록된 사용자이면, 단계 409에서 지불 대행자 관리 코드(AgentTranCode)가 수신되었는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수신되지않았으면, 단계 411에서 지불 대행자 서버(120)는 해당되는 지불 리스트를 지불자 단말기 1(100_1)로 송출한다. 이 경우는 접속한 지불자 단말기 1(100_1)의 사용자가 현재 자신이 지불해야할 청구서의 내역을 전혀 알지 못하는 경우를 고려한 것이다. 송출되는 지불 리스트는 대금 청구자 군(110)에 존재하는 대금 청구자 단말기들로부터 수신된 정보들로서, 지불 대행자 서버(120)가 사용자 코드를 기준으로 이를 검색할 수 있도록 재편성한 정보이다. 따라서, 지불자 단말기 1(100_1)은 아직 지불되지 않은 청구서들의 내역을 모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송출된 지불 리스트를 통해 지불자 단말기 1(100_1)의 사용자가 지불 항목을 선택하면, 지불 대행자 서버(120)는 단계 413에서 선택된 지불 항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그 다음 단계 415에서 해당 계좌 정보가 등록되었거나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한다. 단계 409에서 체크한 결과, 지불 대행자 관리 코드가 수신된 경우에는 지불 대행자 서버(120)는 바로 단계 415로 진행되어 상술한 작업을 수행한다.
단계 415의 체크결과, 해당 계좌 정보가 등록되지 않았거나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 지불 대행자 서버(120)는 단계 417로 진행되어 해당 계좌정보 등록 또는 입력을 요구하고 단계 415로 리턴된다.
그러나, 단계 415의 체크결과, 해당 계좌 정보가 등록되어 있거나 입력된 경우에 단계 419에서 지불 대행자 서버(120)는 도 3의 단계 313과 같이 사용자 코드 와 지불금액이 일치하는 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단계 421에서 확인한 결과를 지불자 단말기 1(100_1)로 통보하고, 단계 423에서 통보한 내용을 확인하였다는 정보가 수신되면 단계 425에서 해당되는 은행 서버와 접속하여 지불 계좌에서 지불자 대행계좌로의 이체 처리를 수행한다. 이 처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단계 427에서 단계 431로 진행되어 지불자 단말기 1(100_1)로 결과를 통보하고 1차적인 계좌 이체 작업을 종료한다. 그러나, 단계 427에서 체크한 결과 이체 결과가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단계 429에서 처리 불가 사유를 통보하고 단계 415로 진행된다.
한편, 단계 403에서 체크한 결과, 사용자 코드가 수신되지 않았으면, 지불 대행자 서버(120)는 단계 433에서 게스트를 의미하는 정보가 수신되었는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게스트를 의미하는 정보가 수신되지 않았으면 단계 403으로 리턴되어 상술한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그러나, 게스트를 의미하는 정보가 수신되었으면, 단계 435에서 지불자 단말기 1(100_1)로 지불 대행자 관리 코드, 과금 정보, 해당 계좌 정보 등의 입력을 요구한다. 이에 따라 단계 437에서 이들 정보가 수신되면, 지불 대행자 서버(120)는 단계 439에서 지불 대행자 관리 코드를 이용하여 일치하는 과금 정보가 존재하는 지를 확인한 뒤, 단계 421로 진행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수행된다.
또한, 비정기적인 청구서가 발행되는 경우는 예를 들어 지불자 단말기 1(100_1)이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쇼핑몰에서 물건을 구입하였을 경우에 발생된다. 이와 같이 비정기적인 청구서가 발행되는 경우에 대금 청구자 단말기 1(110_1)은 해당되는 과금정보와 함께 지불 대행자 관리 코드 할당을 요구하는 신호를 지불 대행자 서버(120)측으로 송출하게 된다.
지불 대행자 서버(120)는 대금 청구자 단말기 1(110_1)로부터 상술한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되는 지불자 단말기 1(100_1)로 할당된 지불 대행자 관리 코드와 과금정보를 송출한다. 이에 따라 지불자 단말기 1(100_1)은 단계 501에서 수신된 지불 대행자 관리 코드와 과금정보를 토대로 전자 청구서 발행시와 같은 방법으로 접속하거나 직접 접속을 시도할 때와 같이 해당되는 지불 대행자 관리 코드와 과금정보를 직접 입력하여 송출하는 방식으로 접속할 수 있다.
지불자 단말기 1(100_1)과 지불 대행자 서버(120)가 접속되면, 지불 대행자 서버(120)는 단계 503에서 사용자 코드가 수신되었는 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사용자 코드가 수신되었으면, 단계 505에서 지불 대행자 서버(120)는 수신된 사용자 코드를 이용하여 지불자 단말기 1(100_1)이 등록된 사용자인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등록된 사용자가 아니면, 단계 507에서 인증 재시도를 요구하고, 단계 503으로 리턴된다.
그러나, 체크결과, 등록된 사용자이면, 단계 509로 진행되어 해당 지불 계좌 정보가 등록되어 있거나 현재 접속을 통해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등록되지도 입력되지도 않은 경우에 단계 511에서 해당 지불 계좌정보 등록 또는 입력을 요구하고 단계 509로 리턴된다.
단계 509에서 체크한 결과, 해당 지불 계좌 정보가 등록 또는 입력된 경우에 단계 513에서 지불 대행자 서버(120)는 사용자 코드 및 지불 금액이 사전에 대금 청구자 단말기 1(110_1)로부터 수신한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 즉, 사용자 코드를 통해 단계 501에서 수신한 지불 대행자 관리 코드(AgentTranCode)와 과금정보를 얻고, 이 정보를 이용하여 사전에 대금 청구자 단말기 1(110_1)로부터 수신한 지불 정보중 동일한 지불 대행자 관리 코드와 그에 부가되어 있는 과금정보와 일치하는 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단계 515에서 확인 결과를 지불자 단말기 1(100_1)로 통보한다. 통보방식은 지불 고객 명, 지불 고객 코드, 지불 금액 등의 정보 제공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 517에서 통보된 내용을 확인하였다는 정보가 수신되면, 지불 대행자 서버(120)는 단계 519에서 해당되는 은행 서버와 접속하여 지불 계좌에서 지불자 대행 계좌로 해당되는 지불금에 대한 이체처리를 한다. 단계 521에서 체크한 결과, 상술한 이체 처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인식되면, 지불 대행자 서버(120)는 단계 525에서 지불자 단말기 1(100_1)로 이를 통보한다. 통보방식은 예를 들어 고객명, 고객 코드, 지불 금액 등을 제시하고, 이 금액이 어떤 용도의 요금으로 지불되었으며, 현재 지불 계좌에 잔고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단계 521에서 체크한 결과, 정상적인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단계 523에서 지불자 단말기 1(100_1)로 처리 불가 사유를 통보하고, 단계 509로 리턴되어 지불 계좌 정보에 대한 등록 또는 입력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한편, 단계 503에서 체크한 결과, 사용자 코드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지불 대행자 서버(120)는 단계 527에서 게스트(guest)를 의미하는 정보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입력되지 않았으면, 단계 503으로 리턴되어 상술한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그러나, 체크결과, 입력되었으면, 단계 509로 진행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작업을 수행한다.
상술한 여러 가지 방법으로 지불 계좌에서 지불자 대행 계좌로 지불금이 이체되면, 지불자 단말기 1(100_1)은 해당 청구서에 대한 지불이 완료된 것으로 인식한다. 그러나, 지불 대행자 서버(120)는 단계 207로 진행되어 해당 이체금에 대해 지불자 대행 계좌로부터 대금 청구자 대행 계좌로의 이체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해당되는 은행 서버로 요청한다. 이에 따하 해당되는 은행 서버는 지불자 대행 계좌에 이체된 다수의 지불금에 대해 일괄 이체처리를 수행한다. 즉, 지불자 대행 계좌에 이체된 다수의 지불금중 대금 청구자 단말기 1(110_1)에 해당되는 지불금을 1회에 걸쳐 해당되는 대금 청구자 대행 계좌로 이체한다.
이러한 이체처리가 완료되면, 지불 대행자 서버(120)는 단계 209에서 해당되는 은행 서버로 대금 청구자 대행 계좌에 이체된 금액중 해당되는 금액들에 대해 대금 청구자 계좌로 일괄 이체가 되도록 요청하고, 이에 따라 해당 은행 서버는 이에 대한 이체처리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지불자 대행 계좌는 각각의 지불 계좌로부터의 이체되는 금액을 일정 기간동안 축적하고, 이를 대금 청구자 대행 계좌로 일괄 이체하는데, 대금 청구자 대행 계좌 역시 일정기간동안 각 지불자 대행 계좌로부터 이체되는 금액을 축정하였다가 일괄적으로 해당되는 수금 계좌인 대금 청구자 계좌로 일괄 이체한다. 상술한 일정기간은 최소한 하루가 소요된다.
도 6과 도 7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지불 대행자 서버(120)의 요청에 의해 은행 서버들(130_1∼130_m)간의 자금 이체 흐름 도로서, 도 6은 지불 계좌와 대금 청구자 계좌가 서로 다른 은행에 존재하는 경우이고, 도 7은 지불 계좌와 대금 청구자 계좌가 동일 은행에 존재하는 경우이다.
도 6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은행에 지불 대행 서버(120)의 지불자대행 계좌가 각각 한 개씩 존재하고, 이 지불자 대행 계좌로 해당 은행에 존재하는 다수의 지불 계좌로부터의 이체가 이루어진다. 이 때, 이체는 하나의 대금 청구자의 청구서에 대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대금 청구자의 청구서에 대해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한 은행에 존재하는 지불자 대행 계좌에는 다수의 지불자가 다수의 대금 청구자에게 지불하고자 하는 금액이 이체되게 된다.
이와 같이 지불자 대행 계좌에 이체된 금액은 대금 청구자 별로 분리되고, 해당되는 대금 청구자 계좌가 존재하는 은행에 등록되어 있는 대금 청구자 대행 계좌로 일괄 이체가 이루어진다. 즉, 1회에 다수의 지불자의 지불금이 이체된다. 예를 들어 지불자 대행 계좌 1에 이체된 지불금중 대금 청구자 계좌 1로 이체되어야 하는 지불금들은 대금 청구자 대행 계좌 1로 일괄 이체된다.
이에 따라 대금 청구자 대행 계좌 1은 은행 1∼m에 등록되어 있는 지불자 대행 계좌 1 내지 m으로부터 대금 청구자 계좌 1 내지 i에 해당되는 지불금에 대해서만 입금처리를 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일괄적으로 이체된 지불금을 각 대금 청구자 별로 분리하여 해당되는 대금 청구자 계좌로 일괄 이체한다.
도 7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은행에 지불 계좌와 대금 청구자 계좌가 존재하는 경우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동일한 은행에 지불 계좌와 대금 청구 계좌가 존재한다고 하여도 각각 지불자 대행 계좌(703)에서 다수의 지불 계좌(701_1∼701_l)로부터 지불금을 이체 받고, 이와 같이 이체된 지불금중 대금 청구자 계좌 1 내지 p(707_1∼707_p)에 입금되어야 할 금액에 대해서만 대금 청구자 대행 계좌(705)로 일괄 이체 처리한다.
상술한 도 6 및 도 7에서의 이체처리는 지불 대행자 서버(120)의 요청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지불 계좌에서 지불자 대행 계좌로의 이체, 지불자 대행 계좌로부터 대금 청구자 대행 계좌로의 이체, 및 대금 청구자 대행 계좌로부터 대금 청구자 계좌(또는 수금 계좌)로의 이체는 지불 대행자 서버(120)의 요청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지불 대행자 계좌를 지불자 대행 계좌와 대금 청구자 대행 계좌로 분리하여 각 은행에 등록하여 운영함으로써, 지불자가 청구된 금액을 지불할 때, 수수료를 전혀 부담하지 않아도 되고, 대금 청구자 역시 기존의 지로용지 발행을 통한 수금방식에 비해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수금처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불 계좌에서 수금 계좌로의 이체 기간동안 은행 밖으로의 출금이 불가능하므로 지불자와 대금 청구자간의 자금 이동에 대한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은행의 경우에는 대금 청구자의 자금을 집중시킬 수 있고, 일괄처리를 위하여 일정 기간동안 은행 밖으로 자금이 유출되지 않으므로 이에 따른 이자 소득이 발생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가급적 지불 대행자 관리 코드를 이용하여 지불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지불자의 개인 정보 유출을 최대한 막을 수 있고, 비정기적인 구매에 따른 청구서는 지불 대행자를 통해 즉시 해당 지불자에게 송출하고, 이에 대한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허위 구매자로 인한 대금 청구자의 피해를 막을 수 있어 지불자와 대금 청구자 상호간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2)

  1. 적어도 1개의 지불자 단말기 또는 지불자 서버로 구성된 지불자 군, 적어도 1개의 대금 청구자 단말기 또는 대금 청구자 서버로 구성된 대금 청구자 군, 지불 대행자 서버 및 은행별로 할당된 은행 서버가 적어도 1개 구비된 은행 서버 군이 연결된 네트워크 환경에서 적어도 한 지불자로부터 적어도 한 대금 청구자로의 전자 지불방법에 있어서,
    (a)상기 은행 서버 군내의 각 은행 서버에 상기 지불자를 대행할 수 있는 지불자 대행 계좌와 상기 대금 청구자를 대행할 수 있는 대금 청구자 대행 계좌를 각각 등록할 수 있는 단계;
    (b)상기 지불 대행자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대금 청구자 단말기 또는 대금 청구자 서버로부터 송출되는 적어도 1건의 지불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c)(b)단계에서 수신된 지불에 관련된 정보를 토대로 접속된 지불자 단말기 또는 지불자 서버의 사용자가 지불하여야 하는 지불금을 상기 지불자의 계좌가 개설되어 있는 은행내의 상기 지불자 대행 계좌로 이체하는 단계;
    (d)제 1 일정기간동안 상기 (c)단계를 통해 상기 지불자 대행 계좌로 이체된 금액들을 대금 청구자 별로 구분하고, 해당되는 대금 청구자의 계좌가 개설된 은행내의 상기 대금 청구자 대행 계좌로 해당되는 이체 금액을 일괄 이체하는 단계;
    (e)제 2 일정기간동안 상기 대금 청구자 대행 계좌로 이체된 금액을 상기 대금 청구자의 계좌로 일괄 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 지불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1)상기 대금 청구자 단말기 또는 대금 청구자 서버로부터 수신된 전자 청구서를 통해 상기 지불자 단말기 또는 지불자 서버에 의해 상기 지불 대행자 서버와의 접속이 이루어지면, 상기 지불자 단말기 또는 지불자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지불자 단말기 또는 지불자 서버의 사용자가 상기 지불 대행자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인지를 체크하는 단계;
    (c2)상기 (c1)단계 수행결과, 등록된 사용자이면, 상기 지불 계좌에 관련된 정보가 등록 또는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c3)상기 (c2)단계 수행결과, 상기 지불 계좌에 관련된 정보가 등록 또는 입력되었으면, 해당되는 은행 서버와 접속하여 상기 지불 계좌에서 상기 지불자 대행 계좌로 해당되는 지불금을 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지불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1)상기 지불 대행자 서버로부터 지불 관련 정보를 수신한 상기 지불자 단말기 또는 지불자 서버에 의해 상기 지불 대행자 서버와 접속이 이루어지면, 상기 지불자 단말기 또는 지불자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지불자 단말기 또는 지불자 서버의 사용자가 상기 지불 대행자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인지를 체크하는 단계;
    (c2)상기 (c1)단계 수행결과, 등록된 사용자이면, 상기 지불 계좌에 관련된 정보가 등록 또는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c3)상기 (c2)단계 수행결과, 상기 지불 계좌에 관련된 정보가 등록 또는 입력되었으면, 해당되는 은행 서버와 접속하여 상기 지불 계좌에서 상기 지불자 대행 계좌로 해당되는 지불금을 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지불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4)상기 (c1)단계 수행결과, 등록된 사용자가 아니면, 게스트(guest)로서 접속이 이루어졌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
    (c5)상기 (c4)단계의 확인결과, 상기 게스트로서 접속된 경우에 해당되는 지불 계좌에 관련된 정보가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c6)상기 (c5)단계 수행결과, 상기 지불 계좌에 관련된 정보가 입력되었으면, 해당되는 은행 서버와 접속하여 상기 지불 계좌에서 상기 지불자 대행 계좌로 해당되는 지불금을 이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지불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1)전자 청구서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지불자 단말기 또는 지불자 서버에 의해 상기 지불 대행자 서버와 접속이 이루어지면, 상기 지불자 단말기 또는 지불자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지불자 단말기 또는 지불자 서버의 사용자가 상기 지불 대행자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인지를 체크하는 단계;
    (c2)상기 (c1)단계 수행결과, 등록된 사용자이면, 상기 지불 대행자 관리 코드(AgentTranCode)가 수신되었는 지를 체크하는 단계;
    (c3)상기 지불 대행자 관리 코드가 수신되었으면, 지불 계좌에 관련된 정보가 등록 또는 입력되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c4)상기 지불 계좌에 관련된 정보가 등록 또는 입력되었으면, 해당되는 은행 서버와 접속하여 상기 지불 계좌에서 상기 지불자 대행 계좌로 해당되는 지불금을 이체하는 단계;
    (c5)상기 지불 대행자 관리 코드가 수신되지 않았으면, 상기 지불자 단말기 또는 지불자 서버의 사용자용으로 수집된 지불 리스트를 상기 지불자 단말기 또는 지불자 서버로 송출하는 단계;
    (c6)상기 (c5)수행 후, 지불자 단말기 또는 지불자 서버로부터 선택된 지불항목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지불 계좌에 관련된 정보가 등록 또는 입력되었는 지를 체크하고 상기 (c4)단계로 진행되는 단계;
    (c7)상기 (c1)단계 수행결과, 상기 지불자 단말기 또는 지불자 서버 사용자가 게스트이면, 해당되는 지불정보 송출을 요구하는 단계;
    (c8)상기 (c7)단계 수행결과, 상기 해당되는 지불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b)단계에서 수신된 지불정보와 일치하는 지를 체크하는 단계;
    (c9)상기 (c8)단계 수행결과 일치하면, 상기 (c4)단계로 진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지불방법.
  6. 제 2, 3,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지불금 이체 전에 지불자가 알고 있는 지불 금액과 대금 청구자에 의해 청구된 금액이 일치하는 지를 확인하고, 확인결과를 통보하는 단계;
    상기 지불금 이체 후, 이체 결과를 상기 지불자 단말기 또는 지불자 서버로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지불방법.
  7. 제 2, 3,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불 대행자 관리 코드는 지불 대행자 식별자(Agent ID), 지불 대행자에 등록시 할당받은 대금 청구자의 코드(AgentClientCode), 대금 청구자가 제공하는 과금 단위로 할당되거나 지불 대행자로 과금 등록시 할당받은 지불자의 코드(PayCode) 및 지불자를 위하여 지불 대행자가 부여할 수 있는 여분 코드(IndexCo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지불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정기적인 대금 청구인 경우에, 상기 대금 청구자가 청구하고자 하는 모든 지불자에 대한 지불 정보가 일괄적으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지불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불 정보에는 각 지불자에 대한 지불 대행자 관리 코드(AgentTranCode)와 과금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지불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비정기적인 대금 청구인 경우에, 상기 대금 청구자 단말기 또는 상기 대금 청구자 서버로부터 해당되는 과금정보와 상기 과금정보에 대한 지불 대행자 관리 코드 할당을 요청하는 정보가 상기 지불에 관련된 정보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지불 방법.
  11. 네트워크 환경에서 적어도 한 지불자로부터 적어도 한 대금 청구자로의 전자 지불장치에 있어서,
    한 개의 지불 계좌를 통해 정기적으로 청구된 과금에 대한 지불 요청을 네트워크를 통해 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지불자 단말기 또는 지불자 서버로 구성된 지불자 군;
    은행별로 할당된 은행 서버가 적어도 1개 구비된 은행 서버 군;
    한 개의 대금 청구자 계좌를 통해 일괄적으로 청구하였던 과금을 수금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대금 청구자 단말기 또는 대금 청구자 서버로 구성된 대금 청구자 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대금 청구자 단말기 또는 대금 청구자 서버로부터 일괄적으로 수신된 지불 관련 정보를 토대로 상기 지불자 단말기 또는 지불자서버로부터 상기 지불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은행 서버중 상기 지불 계좌가 개설된 은행의 은행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지불 대행 계좌로의 이체를 해당되는 은행 서보로 요구하고,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 상기 지불 대행 계좌에 이체된 금액을 대금 청구자별 계좌가 개설된 은행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대금 청구자 대행 계좌로의 일괄 이체를 해당되는 은행 서버로 요구하는 지불 대행자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지불장치.
  12. 네트워크 환경에서 적어도 한 지불자로부터 적어도 한 대금 청구자로의 전자 지불장치에 있어서,
    한 개의 대금 청구자 계좌를 통해 비정기적으로 발생되는 과금에 대한 수금을 요청하여 수금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대금 청구자 단말기 또는 대금 청구자 서버로 구성된 대금 청구자 군;
    한 개의 지불 계좌를 통해 청구된 과금에 대한 지불 요청을 네트워크를 통해 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지불자 단말기 또는 지불자 서버로 구성된 지불자 군;
    은행별로 할당된 은행 서버가 적어도 1개 구비된 은행 서버 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대금 청구자 단말기 또는 대금 청구자 서버로부터 비정기적으로 발생된 과금에 대한 수금이 요청되면, 요청된 과금에 대한 지불 대행자 코드를 할당하여 해당되는 지불자 단말기 또는 지불자 서버로 송출하고, 상기 해당되는 지불자 단말기 또는 지불자 서버로부터 지불이 요청되면, 상기 은행 서버중 상기 지불 계좌가 개설된 은행의 은행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지불 대행 계좌로의 이체를 해당되는 은행 서버로 요구하고,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 상기 지불 대행 계좌에 이체된 금액을 대금 청구자별 계좌가 개설된 은행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대금 청구자 대행 계좌로의 일괄 이체를 해당되는 은행 서버로 요구하는 지불 대행자 서버를 포함하는 전자 지불장치.
KR10-2000-0030027A 2000-06-01 2000-06-01 전자 지불방법 및 그 장치 KR100420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027A KR100420181B1 (ko) 2000-06-01 2000-06-01 전자 지불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027A KR100420181B1 (ko) 2000-06-01 2000-06-01 전자 지불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8956A true KR20010108956A (ko) 2001-12-08
KR100420181B1 KR100420181B1 (ko) 2004-03-02

Family

ID=37531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027A KR100420181B1 (ko) 2000-06-01 2000-06-01 전자 지불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01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569A (ko) * 2000-06-12 2000-09-05 차기혁 통합 지불 대행 시스템
KR20030069421A (ko) * 2002-02-20 2003-08-27 주식회사 글로벌티아이엔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이용한 각종 결제 대행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2371A (ja) * 1996-04-10 1997-10-31 Hiroyuki Komai 電子決済システム
KR100766680B1 (ko) * 1999-12-18 2007-10-12 주식회사 케이티 은행의 계좌이체 기능을 이용한 지불시스템 및 그의 온라인 전자상거래 지불서비스 방법
KR20000024216A (ko) * 2000-01-29 2000-05-06 유세형 네트워크 기반의 전자상거래용 지불대행 시스템 및 그운용방법
KR100352123B1 (ko) * 2000-02-08 2002-09-12 김석민 인터넷을 통한 금융기관간 금융이체 방법
KR20000036831A (ko) * 2000-03-30 2000-07-05 황도환 인터넷을 통한 지불 서비스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569A (ko) * 2000-06-12 2000-09-05 차기혁 통합 지불 대행 시스템
KR20030069421A (ko) * 2002-02-20 2003-08-27 주식회사 글로벌티아이엔 씬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이용한 각종 결제 대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0181B1 (ko) 2004-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91202B1 (en) Computerized payment system for purchasing information products by electronic transfer on the internet
AU785092B2 (en) Push model internet bill presentment and payment system
US80993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axes owed for financial transactions conducted over a network
US200402434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commerce
KR20010110740A (ko) 개인간, 개인과 사업체간, 사업체와 개인간 그리고사업체간 금융 거래 시스템
KR20030040403A (ko) 자동화 지불 시스템
WO1998047112A1 (en) Method for electronically vending, distributing, and recharging of pre-paid value, a vending machine and an electronic system for use therein
CA2630263A1 (en) Cash payment for remote transactions
JP5036131B2 (ja) 資金を移転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EP236546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ducting financial transactions over a network
KR100435854B1 (ko) 기업간 대금결제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기업간대금결제 관리 방법
KR100420181B1 (ko) 전자 지불방법 및 그 장치
JP2002335349A (ja) サービス運営システム
KR20020048936A (ko) 전자 수단에 의해 구매되는 물품이나 서비스에 대한선불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KR20020034288A (ko) 인터넷을 이용한 요금 청구 및 수납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0046716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collect micro-payments over a communications network
AU696475C (en) Computerized payment system for purchasing information products by electronic transfer on the internet
CA2592534A1 (en) Computerized payment system for purchasing information products by electronic transfer on the internet
JP2004265241A (ja) 電子オンライン商取引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10097849A (ko) 인터넷 전자상거래용 결제시스템
JP2002150198A (ja) 売掛金の代行回収システム及びその代行回収方法
JP2012178172A (ja) 資金を移転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AU9703898A (en) Computerized payment system for purchasing information products by electronic transfer on the inter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