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8878A - 문자인식 기술을 이용한 핫키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문자인식 기술을 이용한 핫키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8878A
KR20010108878A KR1020000029871A KR20000029871A KR20010108878A KR 20010108878 A KR20010108878 A KR 20010108878A KR 1020000029871 A KR1020000029871 A KR 1020000029871A KR 20000029871 A KR20000029871 A KR 20000029871A KR 20010108878 A KR20010108878 A KR 20010108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key
character
function
inpu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9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9917B1 (ko
Inventor
김형근
김영식
Original Assignee
김영식
(주)네이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식, (주)네이스텍 filed Critical 김영식
Priority to KR10-2000-0029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9917B1/ko
Publication of KR20010108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8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9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99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단말기에서의 핫키 기능 실행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장착하거나 좌표를 이용해 입력하는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PC 등의 시스템에서 문자인식에 기반한 핫키를 이용해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원하는 프로그램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문자인식 기술을 이용한 핫키 사용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단말기에 적용되는 문자인식 기술을 이용한 핫키 사용 방법에 있어서, 핫키 기능에 사용될 문자와 그 기능에 대한 실행 정보를 대응시켜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 1 단계; 사용자로부터 핫키 기능 실행을 위한 핫키 버튼의 클릭이 있는 경우에 핫키 입력창을 활성화 시켜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핫키 입력창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문자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입력 문자에 대응하는 핫키 기능을 상기 제 1 단계의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로부터 파악하여 그 기능을 실행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단말기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문자인식 기술을 이용한 핫키 사용 방법{Method For Utilizing Hotkey Using A Technique Of Character Recognition}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단말기에서의 핫키 기능 실행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터치스크린을 장착한 장치의 경우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사용하려고 할 때 전용 펜으로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메뉴를 하나씩 열어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여야만 삭제, 오려두기, 붙이기 등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었다. 즉, 문자인식 기술을 기반으로 터치스크린에 키보드가 아닌 펜으로 입력할 수 있는 디바이스나 좌표를 이용해 입력하는 장치를 사용하는 PC와 같은 시스템에서 설치된 프로그램의 기능을 사용하려고 할 때 주로 메뉴에 있는 해당 기능을 펜이나 기타 입력 장치로 선택해서 실행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메뉴에서 해당 기능을 일일이 찾아 선택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선을 옆으로 긋는다거나 아래로 내리는 등의 제스처를 설정해 주어서 이와 같은 기능을 실행할 수 있었다. 즉, PDA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 중에는 펜으로 특정 제스처(gesture)를 정해주어 이를 사용해서 원하는 기능을 사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이와 같이 메뉴를 선택하는 불편을 없애고 있다. 그러나, 제스처를 많이 사용할수록 사용자들이 이를 암기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어 사용할 수 있는 제스처의 가지수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두 가지 방법은 모두 펜이나 기타 입력 도구를 사용해야 함으로 화면에 입력을 하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메뉴 항목을 누르는데 몇 번의펜 터치를 해야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제스처를 설정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터치스크린을 장착하거나 좌표를 이용해 입력하는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PC 등의 시스템에서 문자인식에 기반한 핫키를 이용해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원하는 프로그램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문자인식 기술을 이용한 핫키 사용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단말기의 일실시예 외부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단말기에서의 핫키 입력창의 일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단말기에서의 핫키 입력창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인식 기술을 이용한 핫키 사용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단말기에 적용되는 문자인식 기술을 이용한 핫키 사용 방법에 있어서, 핫키 기능에 사용될 문자와 그 기능에 대한 실행 정보를 대응시켜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 1 단계; 사용자로부터 핫키 기능 실행을 위한 핫키 버튼의 클릭이 있는 경우에 핫키 입력창을 활성화 시켜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핫키 입력창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문자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입력 문자에 대응하는 핫키 기능을 상기 제 1 단계의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로부터 파악하여 그 기능을 실행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문자인식 기술을 이용한 핫키 사용을 위하여,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단말기에, 핫키 기능에 사용될 문자와 그 기능에 대한 실행 정보를 대응시켜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 1 기능; 사용자로부터 핫키 기능 실행을 위한 핫키 버튼의 클릭이 있는 경우에 핫키 입력창을 활성화 시켜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제 2 기능; 및 상기 핫키 입력창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문자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입력 문자에 대응하는 핫키 기능을 상기 제 1 기능의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로부터 파악하여 그 기능을 실행하는 제 3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문자인식 기술을 사용해 화면에 Ctrl과 Alt키를 조합할 수 있는 작은 입력창을 띄운 후 일반적인 애플리케이션에서 많이 사용되는 핫키(hotkey)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문자인식을 기반으로 펜이나 기타 좌표 기반 입력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화면에 작은 입력창을 띄우거나 핫키 버튼 위에서 문자인식 기술을 이용해 알파벳을 써서 Ctrl 키와 Alt 키를 이용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핫키 기능뿐만 아니라 해당 알파벳을 입력해 원하는 프로그램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도 1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단말기는 수기입력방식에 의해 입력된 각종 명령어를 인식하는 입력부(101), 입력부를 통해 인식된 명령어에 해당하는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처리부(102), 중앙 처리부에서 처리된 결과를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하는 출력부(104) 및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03)로 구성되어 있다.
입력부(101)는 터치스크린상에 스트로크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중앙 처리부(102)로 전달해 준다.
중앙 처리부(102)는 입력부(101)를 통해 전달된 정보가 핫키를 사용하기 위한 입력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핫키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을 띄우게 되며 그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저장부(103)에 저장되어 있는 기능들과 비교하여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때, 수행된 결과는 출력부(104)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지게 된다.
즉, 핫키를 사용하기 위한 각종 정보들은 저장부(103)에 저장되어 있으며, 중앙 처리부(102)가 입력부(101)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해당하는 기능을 저장부(103)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들로부터 판단하여 수행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하는 핫키 기능이란, 일반적인 개인용 컴퓨터(PC)에서 사용되는 핫키 기능을 말하는 것으로서 Cltr키나 Alt키와 결합된 문자를 입력함으로써 복사, 오려두기, 지우기, 붙이기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핫키 기능뿐만 아니라 각종 프로그램과 특정 문자를 대응시켜 그 정보를 저장부(103)에 저장하여 두었다가 상기 입력창에 특정 프로그램을 지칭하는 특정 문자가 입력되면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도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단말기의 일실시예 외부 구성도이다.
즉, 도 2 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단말기(201), 터치스크린에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펜(102) 및 터치스크린상에 나타난 핫키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버튼(103)을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는 핫키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 또는 특정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펜(202)을 이용하여 일단 원하는 블록을 지정하게 되며(블록의 지정이 필요치 않은 경우에는 생략 가능), 단말기(201)의 터치스크린 상에 나타난 버튼(203)을 클릭한 후 나타나는 입력창(도 3 에 도시된 입력창)에 핫키나 특정 문자를 입력하여 원하는 기능을 수행시킬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단말기에서의 핫키 입력창의 일예시도로서, 도 2 의 핫키 버튼(203)을 누르는 경우에 나타나는 입력창을 표시한 것으로서, 이 입력창(301)에 원하는 기능의 문자나 제스처를 입력해 핫키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입력창의 구조를 더 상세하게 표현하면 도 4 와 같다.
도 4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단말기에서의 핫키 입력창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로서 도 3 에 도시된 핫키 입력창(301)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즉, 핫키 입력창의 Ctrl과 Alt 키를 조합해서 여러 가지 핫키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trl 키를 누른 경우에는 Ctrl 키가 하이라이트되어(즉, 활성화 되어) 이 키와 조합해서 다수개의 핫키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Alt 키를 누른 경우에는 Alt 키가 하이라이트되어 이 키와 조합해서 다수개의 핫키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Ctrl 키나 Alt 키를 아무것도 선택하지 않고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링크'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모드가 되는데, 이때 Ctrl이나 Alt 윗부분의 입력창에 특정 문자를 써서 해당 프로그램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trl 이나 Alt 키가 하이라이트되지 않은 상태에서 'N'이라고 입력하면 '노트패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때, 'N'이라는 특정 문자와 '노트패드 프로그램'의 링크는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단말기에 설치시 저장부(103)에 등록시켜 놓은 정보에 따른 것이다. 즉, 단말기 구입시 이미 각 응용프로그램과 특정 문자의 대응관계가 단말기 제공업자에 의하여 정해져 있을 수도 있으며, 단말기 사용자가 새로운 응용프로그램을 설치시 자신이 직접 특정 문자를 지정할 수도 있다.
또한, 입력창(301)을 띄우지 않고도 버튼(203) 위나 버튼에 걸쳐지게 문자나 제스처를 직접 써서 핫키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창(301)에서 Ctrl 키와 해당 문자를 써서 핫키를 이용한 경우, 다음에 핫키를 다시 이용하고자 할 때에는 다시 입력창(301)을 띄우지 않고도 핫키 버튼(203) 위에 Ctrl 키와 조합하여 쓸 수 있는 문자를 직접 씀으로써 핫키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즉, 핫키를 사용한 경우에는 Ctrl 과 Alt 키 중 어떠한 키가 사용되었는지를 저장부(103)에 저장하여 두었다가 핫키 버튼(202)위에 문자가 다시 입력되면 해당 문자가 Ctrl 또는 Alt 키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문자인지를 중앙 처리부(102)에서 판단하여 사용될 수 있는 문자인 경우에는 해당하는 핫키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인식 기술을 이용한 핫키 사용 방법의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우선, 핫키로 사용될 문자 또는 기호를 정하여 저장부(103)에 저장한다(502).
단말기 사용자가 핫키 버튼(203)을 클릭하면 중앙 처리부(102)는 핫키 사용을 요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핫키 입력창(301)을 출력한다(504).
상기 사용자는 핫키 입력창(301 및 도 4)에 표시된 Ctrl 키와 Alt 키 중에서 원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키를 선택하여 클릭한 후 각 기능에 따라 부여된 문자 또는 기호를 입력한다(506).
즉, 일반적으로 개인용 컴퓨터(PC) 등에서 사용되는 핫키의 기능에 해당하는 문자는 물론 다양한 기호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에서 Ctrl 키와 'c'를 입력하는 경우 블록으로 지정된 부분의 복사, Ctrl 키와 'x'를 입력하면 오려두기를, Ctrl 키와 'v'는 붙이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과 마찬가지의 동작 원리이다. 다만, 개인용 컴퓨터에서는 상기와 같이 키보드에 지정되어 있는 문자가 입력되어야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문자이외에 별표, 브이(v)표, 엑스(x)표 등 사용자가 원하는 기호를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핫키의 기능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입력창(301)에서 Ctrl키나 Alt키를 선택하지 않은 상태에서 특정 문자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입력된 특정 문자와 대응되는 응용프로그램이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된다.
즉, Ctrl키 또는 Alt키와 조합된 문자(기호도 포함됨)가 입력되거나, 상기 키가 선택되지 않은 상태에서 특정 문자가 입력되는 경우에(506), 중앙 처리부(102)는 저장부(103)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검색하여 입력된 문자와 대응하는 핫키의 기능을 수행하거나, 대응하는 응용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508).
이때, 응용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특정 문자는 사용자가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할 때에 지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핫키 입력창(301)을 사용하여 핫키기능 또는 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중앙 처리부(102)는 Ctrl키 및 Alt키 중 어떠한 키가 사용되었는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저장부(103)에 기록한다. 이때, Ctrl키와 Alt키중 어떠한 것도 사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문자가 입력된 경우에도 해당하는 정보를 저장부(103)에 기록한다.
이후, 사용자가 다시 문자를 입력할 때에 상기 문자가 핫키 버튼(203)에 걸쳐 입력되는 경우에는, 중앙 처리부(102)는 저장부(103)에 저장되어 있는 핫키 입력창 사용 정보를 불러와 상기 입력 문자가 상기 저장되어 있는 핫키 입력창 사용정보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문자인 경우에는 핫키 입력창을 활성화 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해당하는 기능, 즉, Ctrl키 또는 Alt키와 결합된 핫키 기능 및 응용프로그램 실행기능을 실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동일한 핫키 기능을 반복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 핫키 입력창(301)을 클릭하여 활성화된 입력창(301)에서 Ctrl키 또는 Alt키를 선택한 후 원하는 핫키 기능과 대응하는 문자를 입력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단말기에서 메뉴를 이용해 원하는 핫키 기능을 일일이 클릭해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앨뿐만 아니라, 문자인식 기술을 이용하는 연속선상에서 핫키 입력창을 이용해 문자나 제스처를 입력해 그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최소의 입력과정을 거쳐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스처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Alt키와 Ctrl 키의 조합을 사용해서 더 많은 기능을 핫키를 이용해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많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창을 통해 핫키 기능뿐만 아니라 응용프로그램의 실행도 제어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입력창을 사용한 정보를 기록하여 두었다가 다시 핫키 기능을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 기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단말기에 적용되는 문자인식 기술을 이용한 핫키 사용 방법에 있어서,
    핫키 기능에 사용될 문자와 그 기능에 대한 실행 정보를 대응시켜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 1 단계;
    사용자로부터 핫키 기능 실행을 위한 핫키 버튼의 클릭이 있는 경우에 핫키 입력창을 활성화 시켜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핫키 입력창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문자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입력 문자에 대응하는 핫키 기능을 상기 제 1 단계의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로부터 파악하여 그 기능을 실행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인식 기술을 이용한 핫키 사용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입력창을 사용한 정보를 저장하여 두었다가, 상기 핫키 버튼에 걸쳐 입력된 문자가 있는 경우 상기 문자가 상기 사용정보로부터 실행가능한 문자인 경우에는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4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문자인식 기술을 이용한 핫키 사용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의 상기 문자는, 영문자, 한글, 기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인식 기술을 이용한 핫키 사용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의 핫키 기능은, 응용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인식 기술을 이용한 핫키 사용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핫키 입력창을 통해 선택키를 제공하는 제 5 단계;
    상기 선택기가 선택된 후 문자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선택기와 상기 문자가 조합된 정보와 대응하는 핫키 기능을 상기 제 1 단계의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로부터 파악하여 그 기능을 실행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선택기를 선택하지 않은 상태에서 문자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문자와 대응하는 응용프로그램을 상기 제 1 단계의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로부터 파악하여 그 기능을 실행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인식 기술을 이용한 핫키 사용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상기 선택키가 선택된 후에 문자가 입력된 경우에는 선택된 선택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며, 선택키가 선택되지 않은 상태에서 문자가 입력된 경우에는 선택기가 선택되지 않았다는 정보를 저장하는 제 8 단계;
    상기 정보가 저장된 후 새롭게 입력된 문자가 상기 핫키 버튼에 걸쳐 입력된 경우, 상기 제 8 단계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검색하는 제 9 단계;
    상기 제 9 단계의 검색결과, 선택키가 사용되었던 경우라면 입력된 상기 문자가 상기 선택키와 조합되어 핫키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여, 수행가능한 문자인 경우에는 해당하는 핫키 기능을 실행하는 제 10 단계; 및
    상기 제 9 단계의 검색결과, 선택키가 사용되지 않았던 경우라면 입력된 상기 문자가 응용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한 문자인지를 판단하여 해당하는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 11 단계
    를 포함하는 문자인식 기술을 이용한 핫키 사용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키는, Ctrl키, Alt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인식 기술을 이용한 핫키 사용 방법.
  8. 문자인식 기술을 이용한 핫키 사용을 위하여,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단말기에,
    핫키 기능에 사용될 문자와 그 기능에 대한 실행 정보를 대응시켜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 1 기능;
    사용자로부터 핫키 기능 실행을 위한 핫키 버튼의 클릭이 있는 경우에 핫키 입력창을 활성화 시켜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제 2 기능; 및
    상기 핫키 입력창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문자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입력 문자에 대응하는 핫키 기능을 상기 제 1 기능의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로부터 파악하여 그 기능을 실행하는 제 3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00-0029871A 2000-06-01 2000-06-01 핫키입력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379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871A KR100379917B1 (ko) 2000-06-01 2000-06-01 핫키입력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871A KR100379917B1 (ko) 2000-06-01 2000-06-01 핫키입력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8878A true KR20010108878A (ko) 2001-12-08
KR100379917B1 KR100379917B1 (ko) 2003-04-14

Family

ID=45855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9871A KR100379917B1 (ko) 2000-06-01 2000-06-01 핫키입력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99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138B1 (ko) * 2005-09-19 2012-03-12 봉래 박 컴퓨터 입력과정 단축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138B1 (ko) * 2005-09-19 2012-03-12 봉래 박 컴퓨터 입력과정 단축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9917B1 (ko) 2003-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8902B2 (en) Enhanced on-object context menus
US6208340B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including a drop-down widget that permits a plurality of choices to be selected in response to a single selection of the drop-down widget
US6903730B2 (en) In-air gestures for electromagnetic coordinate digitizers
KR101015291B1 (ko) 동적으로 확장하는 입력 패널로 사용자 입력을 추가하는방법
US5677710A (en) Recognition keypad
US6462760B1 (en) User interfac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that can conserve space on a computer display screen by associating an icon with a plurality of operations
US666499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xt menus on a pen-based device
US6160555A (en) Method for providing a cue in a computer system
US69286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input focus and z-order
CN102246126B (zh) 基于手势的编辑模式
EP2686755B1 (en) Input device enhanced interface
RU2419833C2 (ru) Программируемая клавиатура с развитой логикой
US75929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a directional pad
EP1302850A2 (en) Automatic software input panel selection based on application program state
US20080002888A1 (en) Apparatus,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roviding enhanced text copy capability with touch input display
JP6426417B2 (ja) 電子機器、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381583B1 (ko) 개인용 정보단말기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CN104461338A (zh) 可携式电子装置及控制可携式电子装置的方法
KR101109191B1 (ko) 문자 연관 및 변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CN104423626A (zh) 信息处理装置以及控制方法
KR100380600B1 (ko) 터치스크린을 갖는 단말기에서의 문자입력방법
US2002001808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nu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a menu processing program
JP2001014103A (ja) 文字入力装置及び文字入力方法
KR100379917B1 (ko) 핫키입력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360141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디바이스에서의 제스처를 통한필기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