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7863A - 차량용 휴대폰 핸즈프리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휴대폰 핸즈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7863A
KR20010107863A KR1020010068754A KR20010068754A KR20010107863A KR 20010107863 A KR20010107863 A KR 20010107863A KR 1020010068754 A KR1020010068754 A KR 1020010068754A KR 20010068754 A KR20010068754 A KR 20010068754A KR 20010107863 A KR20010107863 A KR 20010107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s
free
mobile phone
cal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8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호
Original Assignee
신용호
(주)원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호, (주)원더텍 filed Critical 신용호
Priority to KR1020010068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7863A/ko
Publication of KR20010107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786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에 착신되는 발신자정보의 표시를 포함하는 핸즈프리기능과 무전기능을 갖춘 차량용 휴대폰 핸즈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폰에 착신되는 발신자정보의 표시기능과 모드선택에 의한 핸즈프리기능 및 무전기능을 갖는 핸즈프리본체와, 상기 휴대폰과 상기 핸즈프리본체에 공급되는 전원을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전원잭을 갖춤과 더불어 상기 휴대폰과 상기 핸즈프리본체와의 사이에서 교신되는 통화음성을 입력/출력하는 통화음성중계포트를 갖춘 중계유니트, 차량의 실내에 고정설치되면서 상기 핸즈프리본체를 착탈수납하는 거치대, 상기 휴대폰과 상기 중계유니트의 사이에서 통화음성의 교환을 위한 통화음성중계컨넥터 및, 상기 핸즈프리본체에 연결되어 통화음성의 입력과 출력을 위한 이어폰/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휴대폰을 통해 착신되는 발신자정보가 핸즈프리본체의 LCD패널상에 표시됨에 따라 발신자의 확인이 용이하게 되고, 그 핸즈프리본체가 무전기로서 작동함에 따라 비교적 근거리에 위치한 상대방과의 무전교신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호출번호의 입력을 위한 '0'∼'9'의 버튼이 상호 다른 위치에 다른 형상 및 치수로 형성되는 호출번호입력부가 그 핸즈프리본체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됨에 따라 호출번호의 조작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휴대폰 핸즈프리장치{HANDS-FREE APPARATUS FOR PORTERB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차량용 휴대폰 핸즈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어 휴대폰을 직접 취하지 않고서도 통화가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차량용 휴대폰 핸즈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입자가 휴대하면서 통화가 가능한 휴대통신단말(예컨대 셀룰라 폰, PCS폰 등; 휴대폰)이 널리 보급된 상태이다.
그러한 휴대폰은 차량의 운전중에 통화를 행하는 경우에는 운전자의 전방시선집중력을 저해하여 안전운행에 악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최근에는 차량의 운전중에는 휴대폰을 직접 취하여 통화를 행하는 일을 금지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차량에는 휴대폰을 직접 취하지 않고서도 통화가 가능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핸즈프리장치가 개발되어 상품화된 상태이다.
그러한 핸즈프리장치는 차량의 시가라이터잭으로부터 전원을 수전하여 작동전원으로 사용하면서 충전컨넥터를 통해 휴대폰에 충전/작동전원을 인가하는 한편, 휴대폰과의 사이에서 통화음성을 입력/재생하기 위해 그 휴대폰의 통화음성입력/출력포트에는 통화음성중계컨넥터를 통해 그 핸즈프리장치의 통화음성입력/재생포트가 접속되고, 그 핸즈프리장치의 통화음성입력/재생포트에는 통화음성의 입력과 재생을 위해 이어폰/마이크가 착탈가능하게 제공되거나 필요한 경우 스피커와 플렉시블하게 방향설정이 가능한 마이크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한 핸즈프리장치를 차량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휴대폰에 착신이 도래되어 호출경보가 발생되면 핸즈프리장치의 통화버튼 또는 휴대폰의 통화버튼을 조작함으로써 통화경로가 설정되고, 상기 휴대폰을 통해 착신된 통화음성은 상기 통화음성중계컨넥터를 통해 핸즈프리장치에 전달됨으로써 스피커 또는 이어폰/마이크의 이어폰을 통해 재생되는 반면, 플렉시블한 마이크 또는 이어폰/마이크의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그 핸즈프리장치로부터 상기 통화음성중계컨넥터를 통해 휴대폰의 통화음성입력/출력포트측을 통해 입력됨으로써 통화음성의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또, 휴대폰의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그 핸즈프리장치에서 연설되는 충전컨넥터를 휴대폰의 저면에 형성된 충전포트에 접속함으로써 그 휴대폰의 배터리가 충전된다.
그런데, 최근에는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발신자정보(Caller ID; CID)를 휴대폰의 LCD패널에 표시해주는 발신자정보(CID)표시서비스가 시행되는 상태이지만, 그 휴대폰이 상기한 핸즈프리장치에 거치된 상태에서 차량의 운전중에 착신이 도래되는 경우에 그 휴대폰의 LCD패널에 표시된 발신자정보(CID)를 확인하기는 곤란한 실정이다.
즉, 차량내의 핸즈프리장치에 거치된 휴대폰에 발신자정보(CID)가 표시되어도 운전중에는 그 발신자정보를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이지만, 대개의 핸즈프리장치는 그 휴대폰에 도래된 발신자정보를 중계하기 위한 기능을 갖추지 못한 실정이다.
여기서, 핸즈프리장치에 발신자정보의 중계기능이 갖추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휴대폰에 착신되는 모든 호출에 응답을 해야하는 상황이어서 핸즈프리장치를 사용한다 해도 안전운전에 그다지 유리한 상황은 아니지만, 핸즈프리장치에 발신자정보를 중계하기 위한 기능이 갖추어지게 되면 차량의 운전중에라도 필요한 호출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통화가 가능하게 되어 차량의 안전운전에 보다 유리하게 된다.
또, 비교적 근거리에 위치한 상대방과 통신을 위해 휴대폰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통화료의 부담이 초래되기 때문에, 예컨대 핸즈프리장치에 무전기 기능이 부가되는 경우에는 비교적 근거리에 위치한 상대방과 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유리하게 된다.
더구나, 핸즈프리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대방을 호출하기 위해 일일이 호출대상의 전화번호를 그 휴대폰을 통해 조작해야만 하는 경우에는 그 핸즈프리장치를 사용하는 이점을 상실하게 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운전중에는 휴대폰의 버튼조작이 용인되지 않기 때문에 운전자의 전방 주시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호출대상의 전화번호를 적절하게 입력하도록 지원하기 위한 적절한 방안이 강구되어야만 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 목적은 차량내에서 휴대폰에 대한 핸즈프리기능에 더하여 비교적 근거리에 위치한 상대방과의 무전통신이 가능한 무전기능을 지원하면서, 휴대폰에 착신되는 발신자정보를 중계하여 표시해줌과 더불어 호출대상의 전화번호에 대한 단축호출기능 및 용이한 전화번호의 입력이 보장되도록 설계된 차량용 휴대폰 핸즈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폰에 착신되는 발신자정보의 표시기능과 모드선택에 의한 핸즈프리기능 및 무전기능을 갖는 핸즈프리본체와; 상기 휴대폰과 상기 핸즈프리본체에 공급되는 전원을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전원잭을 갖춤과 더불어 상기 휴대폰과 상기 핸즈프리본체와의 사이에서 교신되는 통화음성을 입력/출력하는 통화음성중계포트를 갖춘 중계유니트; 차량의 실내에 고정설치되면서 상기 핸즈프리본체를 착탈수납하는 거치대; 상기 휴대폰과 상기 중계유니트의 사이에서 통화음성의 교환을 위한 통화음성중계컨넥터 및; 상기 핸즈프리본체에 연결되어 통화음성의 입력과 출력을 위한 이어폰/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차량용 휴대폰 핸즈프리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계유니트는 그 일단이 상기 휴대폰의 저면에 형성된 컨넥터연결포트에 연결되는 휴대폰연결컨넥터로 형성됨과 더불어 그 타단은 상기 핸즈프리본체에 연결되는 본체연결컨넥터로 형성되고, 상기 중계유니트의 휴대폰연결컨넥터와 상기 본체연결컨넥터는 상기 전원잭의 '+'단자와 '-'단자에 연결되는 전원배선을 갖추며, 상기 휴대폰연결컨넥터와 상기 본체연결컨넥터의 데이터배선은 상호 대응해서 접속배선되고, 상기 휴대폰연결컨넥터에는 상기 통화음성중계포트의 음성입력단자와 음성출력단자가 포함된다.
상기 핸즈프리본체는 그 상면에 상기 휴대폰에 도래되는 발신자정보의 표시와 그 핸즈프리본체에서 설정되는 호출번호의 표시를 위한 LCD패널과, 호출번호의입력을 위한 10-키와 통화버튼, 통화종료버튼, 단축호출버튼 및, 해당하는 핸즈프리본체를 핸즈프리기능과 무전기능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모드선택버튼을 갖추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핸즈프리본체에는 해당하는 핸즈프리본체의 전체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단축호출번호의 저장 및 발신자정보의 저장을 위한 통화데이터기억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통신경로를 스위칭하는 통신경로스위칭부, 상기 통신경로스위칭부의 스위칭에 의해 연결되어 해당하는 핸즈프리장치의 무전통신신호를 변조증폭하여 안테나를 통해 전송하는 무전신호송신부,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전통신신호를 복조증폭하여 상기 통신경로스위칭부측으로 인갛는 무전신호수신부 및, 상기 중계유니트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충전지로 이루어지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선택버튼에 의해 설정되는 핸즈프리기능과 무전통신기능의 제어와,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전달되는 발신자정보를 상기 LCD패널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발신자정보표시 제어, 상기 단축호출번호와 10-키에 의해 설정되는 호출번호를 단축호출번호로서 처리하여 단축호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를 포함하게 된다.
유리하게, 상기 핸즈프리본체에 착탈되면서 호출대상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호출번호입력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호출번호입력부는 상기 핸즈프리본체에 형성된 호출번호입력단자에 유선접속되면서, '0'버튼이 공통적으로 배치됨과 더불어 '1'∼'9'의 버튼이 군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0'버튼과 '1'∼'9'의 버튼의 조작에 의해 설정된 호출번호를 전송하기 위한 통화버튼이 갖추어진다.
그에 대해, 상기 호출번호입력부는 상기 핸즈프리본체에 무선접속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호출번호입력부는 그 하단에 펜심을 갖춘 필기구형상이 적절하게 채용된다.
더욱 유리하게, 상기 호출번호입력부의 '0'∼'9'의 버튼은 상호 다른 크기와 형상을 갖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핸즈프리장치에 의하면, 휴대폰에 착신되는 발신자정보는 중계유니트를 통해 핸즈프리본체에 인가되고, 그 핸즈프리본체의 제어부는 그 발신자정보를 그 핸즈프리본체에 설치된 LCD패널상에 표시해줌으로써 발신자정보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핸즈프리본체의 모드선택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그 핸즈프리본체가 무전기로서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비교적 근거리에 위치하는 상대방과는 상기 휴대폰을 통하지 않고서도 핸즈프리간의 무전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또, 상기 핸즈프리본체에 대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호출번호입력부가 접속되면 차량의 전방 주시력을 저하하지 않고서도 통화대상의 호출번호에 대한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핸즈프리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중계유니트의 배선 레이아웃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핸즈프리본체의 기능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핸즈프리장치에 호출번호입력부가 부가된 일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휴대폰, 106: 컨넥터접속포트,
200: 중계유니트, 204: 전원잭,
300: 핸즈프리본체, 308: LCD패널,
320: 모드선택버튼, 324: 제어부,
306: 통화데이터기억부, 330: 통신경로스위칭부,
332: 무전신호송신부, 334: 무전신호수신부,
400: 이어폰/마이크, 500: 거치대,
600: 호출번호입력부.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핸즈프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100은 주지의 휴대폰으로서, 그 휴대폰(100)은 메뉴키라든지 10-키('0'∼'9') 및 기능설정키(예컨대 방향키 등)를 포함하는 다수의 버튼/키가 설치된 키패드(102)와, 해당하는 휴대폰(100)의 현재 상태(예컨대, 통화대기상태에서의 현재시각, 배터리잔량, 호출경보모드(진동/멜로디) 등) 및 선택적으로 발신자정보 (CID)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LCD패널(104), 그 휴대폰(100)의 외부적인 충전 및 데이터의 입력/출력을 위해 그 저면에 형성된 컨넥터접속포트(106) 및, 외부로 착신통화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외부로부터의 통화음성신호를 입력받는 통화음성입력/출력포트(108)를 갖추게 된다.
또, 도면에서 20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핸즈프리장치를 구성하는 중계유니트를 나타내는 바, 그 중계유니트(200)는 예컨대 차량의 시가라이터잭으로부터 전원을 상기 휴대폰(100)의 충전/작동 전원으로 인가함과 더불어 후술하는 핸즈프리본체에 충전/작동전원으로 인가하면서, 상기 휴대폰(100)과 핸즈프리본체의 사이에서 통화데이터(특히, 발신자정보/호출대상의 전화번호 및 통화음성)의 교신을 담당하게 된다.
즉, 상기 중계유니트(200)는 그 본체(202)의 일측에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LED소자로 이루어진 작동표시램프(202a)를 갖춤과 더불어, 그 일측에는 해당하는 차량의 시가라이터잭에 연결되어 전원을 수전하기 위한 전원잭(204)이 설치된다.
또, 상기 중계유니트(200)는 그 일단에 상기 휴대폰(100)의 저면에 형성된컨넥터접속포트(106)에 연결되는 휴대폰접속컨넥터(206)가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그 타단에는 후술하는 핸즈프리본체에 연결되는 본체접속컨넥터(208)가 형성된다.
그에 더하여, 상기 중계유니트(200)는 그 일측에 상기 휴대폰(100)으로부터의 음성신호를 핸즈프리본체측으로 중계하고 그 핸즈프리본체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상기 휴대폰(100)측으로 중계하기 위해 상기 휴대폰(100)의 통화음성입력/ 출력포트(108)에 대응하는 통화음성중계포트(210)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휴대폰(100)의 통화음성입력/출력포트(108)와 상기 중계유니트(200)의 통화음성중계포트(210)의 사이에는 통화음성중계컨넥터(212)의 양단에 형성된 제 1 및 제 2컨넥터단자(214,216)가 착탈가능하게 제공된다.
또, 필요한 경우 상기 중계유니트(200)는 그 저면에 예컨대 양면테이프가 포함되는 고정부재(218)에 의해 예컨대 차량 내의 적절한 위치에 고착설치된다.
여기서, 도 2는 상기 중계유니트(200)의 내부적인 배선 레이아웃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중계유니트(200)에서 상기 휴대폰(100)의 컨넥터접속포트(106)를 위한 상기 휴대폰접속컨넥터(206)에는 그 휴대폰(100)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 및 작동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배선(220a,220a)과, 그 휴대폰(100)으로부터 발신자정보(CID)라든지 핸즈프리본체로부터의 호출대상의 전화번호를 교환하기 위한 데이터배선(222a∼222n)이 구비된다.
또, 상기 중계유니트(200)에서 상기 핸즈프리본체에 접속되는 본체접속컨넥터(208)에는 그 핸즈프리본체에 충전 및 작동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배선(220b,220b)과 상기 휴대폰(100)측의 데이터배선(222a∼222n)에 대응하는 데이터배선 (224a∼224n) 및, 상기 통화음성중계포트(210)에 연설되는 음성신호배선(224,228)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음성신호배선(224,228)중의 어느 하나는 휴대폰(100)으로부터의 음성을 핸즈프리본체측으로 전달하는 배선으로 기능하는 반면 다른 하나는 핸즈프리본체로부터의 음성을 상기 휴대폰(100)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배선으로 기능하게 된다.
또, 상기 휴대폰(100)측의 전원배선(220a,220a)중의 '+'단자와 상기 핸즈프리본체측의 전원배선(220b,220b)중 '+'단자는 상기 시가라이터잭(204)의 '+'단자에 접속되는 반면, 상기 휴대폰(100)측의 전원배선(220a,220a)중의 '-'단자와 상기 핸즈프리본체측의 전원배선(220b,220b)중 '-'단자는 상기 시가라이터잭(204)의 '-'단자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휴대폰접속컨넥터(208)측의 데이터배선(222a∼222n)과 상기 본체접속컨넥터(208)측의 데이터배선(224a∼224n)의 사이는 대응하는 배선연결패턴 (223a∼223n)에 의해 상호 신호적으로 연결된다.
또, 도 1에서 참조부호 300은 핸즈프리본체를 나타내는 바, 그 핸즈프리본체 (300)의 일측에는 상기 중계유니트(200)의 본체접속컨넥터(208)에 접속되는 컨넥터접속포트(304)가 형성되고, 그 상면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휴대폰(100)으로부터 상기 중계유니트(200)의 데이터배선(222a∼222n→223a∼223n→224a∼224n)을 통해 전달되는 발신자정보(CID)의 표시라든지 호출대상의 전화번호가 표시되는 LCD패널(308)이 구비된다.
또, 상기 핸즈프리본체(300)에서 상기 키패드(302)상에는 상기 휴대폰(100)을 통해 착신된 호출에 응답하기 위한 통화버튼(310)과, 통화를 종료하기 위한 통화종료버튼(312) 및, 호출번호의 단축메모리 및 설정을 위한 단축호출버튼(314)이 갖추어짐과 더불어, 호출번호의 입력을 위한 10-키 및 특수키(*/#)를 포함하는 다수의 키/버튼(316)이 갖추어지게 된다.
또, 상기 핸즈프리본체(300)의 측면에는 통화음성신호의 재생 및 입력을 위한 통화음성입력/출력단자(318)가 구비되고, 그 상면의 소정위치에는 그 핸즈프리본체(300)를 무전기로서 사용하기 위한 무전기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버튼(320)이 설치되며, 그 전면 소정위치에는 무전신호를 송신/수신하기 위한 안테나(322)가 갖추어지게 된다.
도면에서 400은 상기 핸즈프리본체(300)의 음성입력/출력단자(318)에 착탈접속되면서 통화음성의 입력과 재생을 위한 이어폰/마이크를 나타내는 바, 그 이어폰/마이크(400)에는 상기 핸즈프리본체(300)의 상기 음성입력/출력단자(318)에 착탈되는 통화음성컨넥터단자(402)와 음성의 입력을 위한 마이크(404) 및 통화음성의 재생을 위한 이어폰(406)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핸즈프리본체(300)에는 필요한 경우 스피커폰 기능을 위해 스피커와 마이크가 일체로 설치되도록 해도 되고, 상기 스피커에 대해서는 상기 전원잭(204)측에 설치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중계유니트(200)에 그 스피커에 대한 음성신호배선이 배치되도록 해도 된다.
또, 도면에서 500은 상기 핸즈프리본체(300)를 차량의 소정 위치에 착탈가능하게 거치하는 거치대로서, 그 거치대(500)는 상기 핸즈프리본체(300)를 수납하는 포켓형상이 바람직하지만, 예컨대 자력에 의해 그 핸즈프리본체(300)를 거치하는 방식의 적용도 가능함은 물론이고, 그 거치대(500)의 저면에는 양면테이프(504)가 적용되어 그 거치대(500)를 차량의 실내에서 적정한 위치에 고착되도록 지원하게 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핸즈프리본체(300)의 기능블록을 나타낸다.
도면에서, 324는 상기 키패드(302)상에서의 키조작 또는 상기 휴대폰(100)으로부터 상기 중계유니트(200)를 매개하여 전달되는 통화상태에 응답하여 그 핸즈프리본체(300)의 전체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를 나타낸다. 그 제어부(324)는 상기 휴대폰(100)으로부터의 발신자정보에 대한 저장 및 표시를 위한 제어와, 상기 모드선택버튼(320)의 조작에 응답하여 핸즈프기능과 무전기능의 선택적인 실행을 위한 제어, 단축호출번호기능의 제어 등을 담당하게 된다.
326은 상기 제어부(324)의 제어하에 단축호출번호라든지 상기 휴대폰(100)으로부터 전달되는 발신자정보(CID)가 저장되는 통화데이터기억부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324)는 상기 키패드(302)상에서 상기 10-키(316)의 조작에 의해 특정한 전화번호를 입력하고나서 상기 단축호출버튼(314)을 조작하게 되면 그 전화번호를 단축호출번호로서 후술하는 통화데이터기억부에 저장하게 되고, 그러한 과정의 반복에 의해 다수의 단축호출번호에 대한 저장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제어부(324)는 상기 단축호출버튼(314)과 단축호출번호에 대응하는기억번지의 번호를 조작하게 되면 그 단축호출번호에 대한 전화번호를 상기 통화데이터기억부에서 독취해서 상기 중계유니트(200)를 통해 상기 휴대폰(100)측으로 전달되어 호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328은 상기 제어부(324)의 제어하에 현재 시각의 표시와 호출대상의 전화번호의 표시 및 상기 휴대폰(100)으로부터의 발신자정보가 표시되는 상기 LCD패널 (308)을 구동하는 LCD구동부를 나타낸다.
330은 상기 모드선택버튼(320)의 조작에 응답하여 그 핸즈프리본체(300)가 핸즈프리로서 기능하거나 무전기로서 기능하도록 상기 제어부(324)의 제어하에 통신경로를 스위칭하는 통신경로스위칭부를 나타낸다.
332는 상기 모드선택버튼(320)에 의해 무전기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무전통신신호를 변조처리하여 상기 안테나(322)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무전신호송신부를 나타내고, 334는 그 안테나(322)를 통해 수신되는 무전신호를 복조처리하는 무선신호수신부를 나타낸다.
또, 도 3에서 336a와 336b는 상기 통화음성신호 또는 상기 무전신호를 증폭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설치가능한 증폭부를 나타낸다.
338은 해당하는 핸즈프리본체(300)가 무전기로서 작동하는 경우 그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바람직하게 충전지로 구성된 전원부를 나타내는 바, 그 전원부(338)는 건전지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핸즈프리장치에 의하면, 상기 중계유니트(200)는 상기 양면테이프에 의한 고정부재(218)가 제공되는 경우 그 고정부재(218)에 의해 차내의 적정한 위치에 고정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거치대(500)도 양면테이프(504)에 의해 차내의 적정한 위치에 고착설치되는 바, 상기 중계유니트(200)는 반드시 양면테이프(218)에 의해 고정설치될 필요는 없다.
그리고, 상기 휴대폰(100)의 컨넥터접속포트(106)에는 상기 중계유니트(200)의 휴대폰접속컨넥터(206)가 연결됨과 더불어, 그 휴대폰(100)의 통화음성입력/출력포트(108)에는 상기 통화음성중계컨넥터(212)의 제 2컨넥터단자(216)가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중계유니트(200)의 상기 통화음성중계포트(210)에는 상기 통화음성중계컨넥터(212)의 제 2컨넥터단자(214)가 접속된다.
그와 더불어, 상기 중계유니트(200)의 본체접속컨넥터(208)는 상기 핸즈프리본체(300)의 컨넥터접속포트(304)에 접속되며, 그 핸즈프리본체(300)의 통화음성입력/출력단자(318)에는 상기 이어폰/마이크(400)의 상기 통화음성컨넥터단자(402)가 연결된다.
그 상태에서, 차량의 운전중에는 상기 핸즈프리본체(300)를 상기 거치대 (500)에 거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통신경로스위칭부(330)의 단자'a'는 항시 휴대폰(100)의 통화모드를 대기하기 위해 단자'b'에 접속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 상기 키패드(302)에서 상기 단축호출버튼(314) 및 10-키(316)에 의해 필요한 전화번호에 대한 단축호출저장이 이루어지게 되고, 그 단축호출번호는 상기 제어부(324)의 제어하에 상기 통화데이터기억부(326)에 저장된다.
또, 상기한 접속상태에서는 상기 전원잭(204)을 매개하여 수전되는 전원이상기 중계유니트(200)의 전원단자(220a,220a;220b,220b)를 통해 상기 휴대폰(100)의 배터리 및 상기 핸즈프리본체(300)의 전원부(338)를 구성하는 충전지를 충전시키게 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휴대폰(100)에 착신이 도래되는 경우에는 그 휴대폰(100)에 설정된 호출경보모드(예컨대 멜로디)에 의한 호출경보가 이루어지게 되고, 그 휴대폰(100)에 발신자정보(CID)가 전달되면 그 발신자정보는 상기 휴대폰(100)의 컨넥터접속포트(106)로부터 상기 중계유니트(200)의 데이터배선(222a∼222n; 223a∼223; 224a∼224n)에 할당된 데이터배선을 통해 상기 핸즈프리본체(300)의 컨넥터접속포트(304)와 상기 제어부(324)에 순차적으로 인가된다.
그러면, 그 제어부(324)는 그 발신자정보를 상기 LCD구동부(328)를 통해 상기 LCD패널(308)상에 표시함과 더불어 상기 통화데이터기억부(326)에 저장하여 차후의 확인 및 호출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상기 LCD패널(308)에 표시된 발신자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핸즈프리본체(300)의 예컨대 통화버튼(310)이 조작되면 그 응답신호가 상기 중계유니트(200)의 데이터배선에 할당된 배선경로를 통해 상기 휴대폰(100)측으로 인가되고, 그 휴대폰(100)이 응답신호를 상대방에게 전송함으로써 통상적인 통화경로가 설정된다.
따라서, 휴대폰(100)에 도래되는 상대방의 음성신호는 상기 통화음성입력/출력포트(108)로부터 상기 통화음성중계컨넥터(216)를 통해 상기 중계유니트(200)의 통화음성중계포트(210)에 전달되고나서 그 중계유니트(200)의 음성신호배선(예컨대226)을 통해 상기 핸즈프리본체(300)내의 통신경로스위칭부(330)에 전달되고, 그 통신경로스위칭부(330)에서 상기 통화음성입력/출력단자(318)를 통해 상기 이어폰/마이크(400)의 이어폰(406)에서 재생된다.
그에 대해, 상기 이어폰/마이크(400)의 마이크(404)에 입력되는 통화음성은 상기 통화음성입력/출력단자(318)을 통해 상기 통신경로스위칭부(330)를 경유하여 상기 중계유니트(200)의 음성신호배선(228)을 통해 상기 휴대폰(100)으로 전달되어 상대방에게 전송됨으로써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핸즈프리본체(300)의 통화종료버튼(312)을 조작하게 되면 상기 휴대폰(100)을 통한 통화가 종료되게 된다.
상기 핸즈프리본체(300)의 10-키(316) 또는 상기 단축호출버튼(314)을 조작하여 특정한 호출대상의 전화번호가 설정되면 그 호출대상의 전화번호는 상기 중계유니트(200)의 데이터배선중에서 할당된 데이터경로를 통해 상기 휴대폰(100)의 컨넥터접속포트(106)측으로 인가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핸즈프리본체(300)의 통화버튼(310)이 조작되면 그 통화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휴대폰(100)으로부터는 그 호출대상의 전화번호에 대한 다이얼링이 이루어지게 되어 상기한 과정의 통화가 실행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핸즈프리본체(300)의 모드선택버튼(320)을 1회 조작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324)는 상기 통신경로스위칭부(330)의 단자'a'를 대응하는 단자'c'측으로 스위칭되도록 제어하여 해당하는 핸즈프리본체(300)가 무전기로서 작동하도록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어폰/마이크(400)의 마이크(404)로부터 입력되는 통신신호(이 경우에는 통신음성)는 상기 스위칭된 통신경로스위칭부(330)를 통해 상기 무전신호송신부(332)에 전달되어 변조 및 증폭되고나서 상기 안테나(322)를 통해 전파되고, 상기 안테나(322)를 통해 수신되는 상대방의 통신신호(즉, 상대방의 통신음성)은 상기 무전신호수신부(334)에서 복조 및 증폭되고나서 상기 통신경로스위칭부 (330)를 통해 상기 이어폰/마이크(400)의 이어폰(406)을 통해 재생출력된다.
또, 상기 핸즈프리본체(300)의 제어부(324)는 최근에 착신된 전화번호에 대해 상기 키패드(302)상에서 통화버튼(310)을 반복적으로 2회 조작하게 되면 그 전화번호에 대한 호출이 이루어지도록 상기한 호출과정을 실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핸즈프리장치는 휴대폰에 도래되는 발신자정보를 그 핸즈프리장치의 LCD패널상에서 확인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휴대폰의 LCD패널을 확인하지 않고서도 발신자의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또, 그 핸즈프리장치를 구성하는 핸즈프리본체(300)가 무전기 기능을 갖게 됨에 따라 비교적 근거리에 위치하는 동일한 기능의 핸즈프리본체와의 사이에서 통화료의 부담없이 무전음성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장치는 최근에 착신된 전화번호에 대한 재호출이 가능함에 따라 휴대폰(100) 또는 핸즈프리본체(100)에서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해야만 하는 번거로움도 해소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핸즈프리장치에 호출번호입력부가 부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핸즈프리본체(300)에 대해서는 상기 휴대폰(100)의 10-키 또는 상기 핸즈프리본체(300)의 10-키(316)를 조작하지 않고서도 통화대상의 호출번호(전화번호)를 용이하게 입력하기 위한 호출번호입력부(600)가 부가된다.
상기 호출번호입력부(600)는 그 일단에 상기 핸즈프리본체(300)의 소정위치에 형성되는 호출번호수신포트(340)에 접속되는 호출번호전송컨넥터(602)를 갖추게 되고, 그 본체(604)는 그 하측에 필기가 가능한 펜심(606)이 구비됨과 더불어 그 본체(604)의 상측 소정위치에는 호출번호에 공통적으로 필요한 '0'을 입력하기 위한 '0'버튼(608)이 공통적으로 배치되며, 그 '0'버튼(608)을 중심으로 '1'∼'3'의 제 1버튼군(610,612,614)과, '4'∼'6'의 제 2버튼군(616,618,620) 및, '7'∼'9'의 제 3버튼군(622,624,626)이 일정한 간격을 갖고서 배치된다.
또, 상기 호출번호입력부(600)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제 1∼제3버튼군에서 입력되는 호출번호를 호출하기 위한 통화버튼(628)이 더 갖추어지게 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핸즈프리본체(300)에는 상기 호출번호입력부(600)에서 입력되는 호출번호가 상기 호출번호수신단(340)을 통해 상기 제어부(324)에 인가되도록 구성되고, 그에 따라 상기 호출번호입력부(600)에서 입력된 호출번호는 상기 제어부(324)의 제어하에 상기 LCD패널(308)에서 확인이 가능하도록 표시됨과 더불어 상기 중계유니트(200)를 통해 상기 휴대폰(100)으로 전송되어 상대방의 호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상기 핸즈프리본체(300)와 상기 호출번호입력부(600)가 상호 무선으로 호출번호를 교신하도록 하게 되면 더욱바람직하게 되는 바, 그 경우에는 상기 호출번호입력부(600)에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핸즈프리본체(300)의 제어부(324)와 상기 무선송신부(332)에 대응하는 구성을 부가해서 상기 제 1∼제 3번호군에서 입력되는 호출번호가 제어부의 제어하에 무선송신부로부터 변조되어 상기 핸즈프리본체(300)측으로 전송되도록 하게 되면 그 핸즈프리본체(300)의 무전수신부(334)에서 수신된 상기 호출번호신호가 상기 제어부 (324)에서 해석이 이루어져 상기 휴대폰(100)을 통한 호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면 유리하게 된다.
그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호출번호입력부(600)는 상기 '0'∼'9'의 버튼을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간격 또는 군을 이루도록 배치해도 되고, 차량의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하는 상태에서도 호출번호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0'∼'9'의 버튼을 상호 다른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발명의 기술적 요지 및 요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발신자정보의 표시기능과 무전기 기능이 상정되면 상기 핸즈프리본체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변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마이크 및 스피커의 추가적인 설치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휴대폰 핸즈프리장치에 의하면 휴대폰에 도래되는 발신자정보를 LCD패널상에 표시해줌으로써 휴대폰을 취하지 않고서도 발신자의 정보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핸즈프리장치의 본체에 무전기능이 부가됨에 따라 비교적 근거리에 위치하는 상대방과는 휴대폰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무전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간편함 및 경제성이 보장될 뿐만 아니라, 핸즈프리본체의 다기능화가 달성되게 된다.
더욱이, 상대방의 호출을 위한 필기구형의 호출번호입력부가 해당하는 핸즈프리본체에 부가적으로 제공됨에 따라 핸즈프리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대방의 호출번호에 대한 호출작업이 번거롭지 않고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휴대폰에 착신되는 발신자정보의 표시기능과 모드선택에 의한 핸즈프리기능 및 무전기능을 갖는 핸즈프리본체와;
    상기 휴대폰과 상기 핸즈프리본체에 공급되는 전원을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전원잭을 갖춤과 더불어 상기 휴대폰과 상기 핸즈프리본체와의 사이에서 교신되는 통화음성을 입력/출력하는 통화음성중계포트를 갖춘 중계유니트;
    차량의 실내에 고정설치되면서 상기 핸즈프리본체를 착탈수납하는 거치대;
    상기 휴대폰과 상기 중계유니트의 사이에서 통화음성의 교환을 위한 통화음성중계컨넥터 및;
    상기 핸즈프리본체에 연결되어 통화음성의 입력과 출력을 위한 이어폰/마이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핸즈프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유니트는 그 일단이 상기 휴대폰의 저면에 형성된 컨넥터연결포트에 연결되는 휴대폰연결컨넥터로 형성됨과 더불어 그 타단은 상기 핸즈프리본체에 연결되는 본체연결컨넥터로 형성되고,
    상기 중계유니트의 휴대폰연결컨넥터와 상기 본체연결컨넥터는 상기 전원잭의 '+'단자와 '-'단자에 연결되는 전원배선을 갖추며,
    상기 휴대폰연결컨넥터와 상기 본체연결컨넥터의 데이터배선은 상호 대응해서 접속배선되고,
    상기 휴대폰연결컨넥터에는 상기 통화음성중계포트의 음성입력단자와 음성출력단자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핸즈프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본체는 그 상면에 상기 휴대폰에 도래되는 발신자정보의 표시와 그 핸즈프리본체에서 설정되는 호출번호의 표시를 위한 LCD패널과,
    호출번호의 입력을 위한 10-키와 통화버튼, 통화종료버튼, 단축호출버튼 및,
    해당하는 핸즈프리본체를 핸즈프리기능과 무전기능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설정하기 위한 모드선택버튼을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핸즈프리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본체에는 해당하는 핸즈프리본체의 전체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단축호출번호의 저장 및 발신자정보의 저장을 위한 통화데이터기억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통신경로를 스위칭하는 통신경로스위칭부,
    상기 통신경로스위칭부의 스위칭에 의해 연결되어 해당하는 핸즈프리장치의 무전통신신호를 변조증폭하여 안테나를 통해 전송하는 무전신호송신부,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전통신신호를 복조증폭하여 상기 통신경로스위칭부측으로 인갛는 무전신호수신부 및,
    상기 중계유니트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충전지로 이루어지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핸즈프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선택버튼에 의해 설정되는 핸즈프리기능과 무전통신기능의 제어와,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전달되는 발신자정보를 상기 LCD패널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발신자정보표시 제어, 상기 단축호출번호와 10-키에 의해 설정되는 호출번호를 단축호출번호로서 처리하여 단축호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핸즈프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즈프리본체에 착탈되면서 호출대상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호출번호입력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핸즈프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번호입력부는 상기 핸즈프리본체에 형성된 호출번호입력단자에 유선접속되면서, '0'버튼이 공통적으로 배치됨과 더불어 '1'∼'9'의 버튼이 군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0'버튼과 '1'∼'9'의 버튼의 조작에 의해 설정된 호출번호를 전송하기 위한 통화버튼이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핸즈프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번호입력부는 상기 핸즈프리본체에 무선접속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핸즈프리장치.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번호입력부는 그 하단에 펜심을 갖춘 필기구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핸즈프리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번호입력부의 '0'∼'9'의 버튼은 상호 다른 크기와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폰 핸즈프리장치.
KR1020010068754A 2001-11-06 2001-11-06 차량용 휴대폰 핸즈프리장치 KR200101078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754A KR20010107863A (ko) 2001-11-06 2001-11-06 차량용 휴대폰 핸즈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754A KR20010107863A (ko) 2001-11-06 2001-11-06 차량용 휴대폰 핸즈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7863A true KR20010107863A (ko) 2001-12-07

Family

ID=45814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8754A KR20010107863A (ko) 2001-11-06 2001-11-06 차량용 휴대폰 핸즈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786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165A (ko) * 2001-11-21 2003-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충전장치
KR100872049B1 (ko) * 2005-10-12 2008-12-05 권영우 발신번호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165A (ko) * 2001-11-21 2003-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충전장치
KR100872049B1 (ko) * 2005-10-12 2008-12-05 권영우 발신번호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04449B (zh) 整合式通讯装置
CN201188610Y (zh) 车载蓝牙电话
US20050096099A1 (en) Integrated hands free mobile system
US7136671B2 (en) Speaker module connectable to an earphone jack of mobile phone and method for using same
KR20020046102A (ko) 블루투스 방식의 무선 핸즈프리 장치
KR20010107863A (ko) 차량용 휴대폰 핸즈프리장치
US20070082665A1 (en) Handsfree device for a mobile telephone
JP2008092189A (ja) ボタン電話システム
KR19980087808A (ko) 핸들 일체형 핸드폰장치
JPH1084405A (ja) 車載用携帯電話装置及び車載用電話機
KR200214828Y1 (ko) 키패드가 구비된 핸드프리
KR200230308Y1 (ko) 차량용 휴대폰 핸즈프리장치
KR200153636Y1 (ko) 휴대용 무선 전화기
KR200235230Y1 (ko) 차량용 휴대폰 핸즈프리장치
KR20010109628A (ko) 키패드가 구비된 핸드프리
KR100731935B1 (ko) 카오디오를 이용한 발신자 정보 표시 시스템과 이를 위한핸즈프리 키트
JP2001231065A (ja) 携帯端末
KR200323289Y1 (ko) 확장형 휴대폰 거치대
JPH11266300A (ja) 電話装置
KR20050110144A (ko) 무선 단말기의 충전 기능을 가진 가정용 핸즈프리 및 그구현 방법
KR100432916B1 (ko) 자동차용 핸즈 프리
JP2004172826A (ja) 携帯電話機
KR200232786Y1 (ko) 차량용 이동통신단말기 거치장치
KR19980044259A (ko) 휴대폰의 통화신호 무선중계장치
KR200235521Y1 (ko) 외부 음성 및 제어 단자를 구비한 이동전화기 및핸즈프리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