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6949A - 가위 - Google Patents

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6949A
KR20010106949A KR1020000028064A KR20000028064A KR20010106949A KR 20010106949 A KR20010106949 A KR 20010106949A KR 1020000028064 A KR1020000028064 A KR 1020000028064A KR 20000028064 A KR20000028064 A KR 20000028064A KR 20010106949 A KR20010106949 A KR 20010106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issors
rubber ring
silicone rubber
finger
spring 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8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일기
Original Assignee
장일기
라영자
주식회사 야일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일기, 라영자, 주식회사 야일금속 filed Critical 장일기
Priority to KR1020000028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6949A/ko
Publication of KR20010106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694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12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 B26B13/20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with gripping bows in the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8Joi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지된 가위에 있어서, 손잡이부(12)의 손가락 삽입구(13)내에 고정홈(31)과 에어쿠션 공간부(32)를 일체로 구비한 실리콘 고무링(3)을 하나 또는 이중으로 설치하고, 상기 힌지부재(2)를 구성하고 있는 타측 결합부재(22)의 내면에 스프링 와셔(4)가 끼워지는 삽입홈(222)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홈(222) 또는 스프링 와셔(4)에는 상기 스프링 와셔(4)의 회동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수단을 구비시켜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 크기 또는 길이나 굵기 등에 부응하여 손가락 삽입구의 내경을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가위 자체를 그 크기에 무관하게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고, 또 가위를 이용하여 불특정 물체를 절단하거나 오리는 동작을 실시할시 실리콘 고무링의 자체 탄성력 및 에어쿠션 공간부를 통해 가압력을 완화시킬 수 있어 실제 사용자의 손가락에 전달되는 압력 자체의 저감을 통해 가위 자체를 부드러운 감촉속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야간에도 가위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음은 물론 가위 자체의 심미감이 대폭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또한 불특정 물체의 절단면을 깨끗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가위날의 마모는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위{Scissors}
본 발명은 가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가위의 손잡이부에 형성된 손가락 삽입구에 에어큐션 공간부가 구비된 실리콘 고무링을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 또는 길이나 굵기 등에 부응하여 하나 또는 이중으로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가위의 사용시 가위 크기에 무관하게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강한 가압력을 주면서도 손가락에 전달되는 감촉을 매우 부드럽도록 하고, 또 절단시 가위날의 절단각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절단면이 깨끗하고 가위날의 마모는 최소화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위는 금속판체를 이용하여 일측부에 가위날이 형성되고 타측부에 손가락 삽입구가 일체로 구비되는 손잡이부가 형성된 두개의 몸체를 십자로 교차시켜 놓은 상태에서 두 몸체의 중간부분(즉, 가위날이 형성된 부위와 손잡이부의 대략 경계부분)에 힌지부재를 설치하여 사용시에는 사용자의 한쪽 손 엄지와 검지 또는 엄지와 중지를 상기한 손잡이부의 손가락 삽입구에 집어 넣고 손가락을 조였다 폈다하는 방식을 통해 불특정 물체들을 자유롭게 절단 또는 오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에 있어서 가위 몸체부의 손잡이부 마져 금속판체의 형상을 가질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에 강한 압력이 가해질 우려가 있으므로 일부에서는 상기 손잡이부 자체를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하여 가위날부에 결합시키거나 손잡이의 손가락 삽입구내에 별도의 합성수지재 링을 설치한 것도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가위는, 가위 몸체 제작시 손잡이부의 손가락 삽입구 크기가 결정되어짐에 따라, 사용자에 따라서는 그 크기가 적당한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는 경우도 있다.
즉, 비교적 큰 가위인 경우 어른들이 사용하기에는 별 문제가 없으나 어린이들이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손가락 삽입구의 크기 자체가 어린이들의 손가락 굵기 및 길이 등에 비해 매우 큰 상태이므로 두 몸체의 손잡이부위에 형성된 삽입구상에 엄지와 검지 또는 엄지와 중지를 넣고 특정 물체를 절단하거나 오리고자할시 헐렁거리게 되어 사용상 매우 불편하게 됨은 물론 가위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손잡이부 자체가 탄력성이 없고, 또 비록 상기 손잡이부의 삽입구상에 합성수지재의 링을 설치한 경우에도 상기 링 자체가 탄성력이 전혀 없으므로 가위를 이용하여 불특정 물체를 절단 또는 오릴시 가위를 통해 전달되는 압력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그데로 전달되어 아품을 그끼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없음을 물론 감촉 역시 부드럽지 않는(즉, 닦닦한 감촉을 갖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가위의 힌지부재로는 리벳을 사용하거나 두개의 결합부재를 힌지공상에 끼워 스크류로 상호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같이 리벳이나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힌지부의 결합력을 결정할 경우 제조당시에 결정된 결합력만을 갖게 되는데, 가위의 생산당시 작업자의 숙련정도에 따라 모든 가위의 힌지부 결합력이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지 못함은 물론 장기간의 사용시 가위몸체 및 가위날 부위의 접촉에 의한 마모로 가위날의 절단각이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어 불특정 물체들의 절단 또는 오릴시 그 절단면이 깨끗하지 못하게 됨은 물론 힌지부위가 흔들릴 경우 가위날의 마모가 심하게 발생되고, 또 상기와 같이 힌지부위가 흔들릴 경우 사용자가 가위를 사용할시 가위날 부위가 잘 접촉되도록 손잡이부에 힘을 가해야만 되므로 불특정 물체의 절단 밀 오림작업을 실시하는데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가위는 그 위치를 알 수 있는 어떠한 기능 또는 장치도 구비되어 있지 않아 특히 야간에 자신이 어느 위치에 가위를 놓았는지를 인식하고 있지 않는 한 가위를 찾는데 매우 힘든 문제점이 있고, 또 손잡이부가 일정한 칼라를 유지하므로 가위 자체의 미려함이 결여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에어큐션 공간부를 구비된 실리콘 고무링을 사용자의 크기 또는 길이나 굵기 등에부응하여 가위의 손잡이부에 하나 또는 이중으로 설치하여 누구라도 쉽게 가위 크기에 무관하게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고(즉, 가위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강한 가압력을 주면서도 손가락에 전달되는 압력은 저감시켜 부드러운 감촉을 느끼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손잡이부에 설치되는 고무링의 다양한 칼라 표출을 가위 자체에 심미감을 줄수 있고, 또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가위날의 절단각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절단면이 깨끗하고 가위날의 마모는 최소화할 수 있고, 는 가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판체를 이용하여 일측부에 가위날이 형성되고 타측부에 손가락 삽입구가 일체로 구비되는 손잡이부가 형성된 두개의 몸체와; 원봉의 단부에 한쌍의 안치홈이 구비된 장방형 돌부가 일체로 형성된 일측 결합부재와 상기 장방형 돌부의 안치홈상에 끼워지는 걸림돌기를 일체로 구비한 타측 결합부재를 상기 두 몸체의 교차부에 형성시킨 원형 통공과 장방형 통공에 결합시켜 스크류를 통해 상호 고정시키는 힌지부재로 구성된 가위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손가락 삽입구내에 고정홈과 에어쿠션 공간부를 일체로 구비한 실리콘 고무링을 하나 또는 이중으로 착탈 가능하게 선택적으로 설치하고, 상기 힌지부재를 구성하고 있는 타측 결합부재의 내면에 스프링 와셔가 끼워지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 또는 스프링 와셔에는 상기 스프링 와셔의 회동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수단을 구비시켜 주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가위의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 크기 또는 길이나 굵기 등에 부응하여 손잡이부의 손가락 삽입구상에 하나 또는 이중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가위의 크기에 무관하게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고, 또 가위를 이용하여 불특정 물체를 절단하거나 오리게 될 때 에어쿠션 공간부를 통해 가압력이 완충되어 실제 사용자의 손가락에 전달되는 압력 자체가 저감되므로 부드러운 감촉을 느끼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고무링을 다양한 칼라도 제작하는 방식을 통해 가위 자체의 심미감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또한 스프링와셔의 탄성력을 통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가위날의 절단각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불특정 물체의 절단면을 깨끗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가위날의 마모는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가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가위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가위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가위중 힌지부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가위중 힌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몸체 2 : 힌지부재
3 : 실리콘 고무링 4 : 스프링 와셔
11 : 가위날 12 : 손잡이부
13 : 손가락 삽입구 14 : 원형 통공
15 : 장방형 통공 21,22 : 결합부재
23 : 스크류 31 : 고정홈
32 : 에어큐션 공간부 41 : 절개부
42 : 절곡부 211 : 원봉
212 : 장방형 돌부 213 : 안치홈
221 : 걸림돌기 222 : 삽입홈
223 : 걸림돌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 가위에 대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가위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의 A-A'산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 가위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 가위의 사용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 가위중 힌지부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 가위중 힌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일측부에 가위날(11)이 형성되고 타측부에는 손가락 삽입구(13)가 일체로 구비되는 손잡이부(12)가 형성된 두개의 몸체(1)와; 상기 두 몸체(1)를 교차부시킨 부위에 형성된 원형 통공(14)과 장방형 통공(15)을 관통하도록 원봉(211)과 장방형 돌부(212)를 일체로 돌출 형성시키되 상기 장방형돌부(212)의 외주면에는 걸림돌기 안치홈(213)을 형성시켜서 된 일측 결합부재(21)와, 상기 장방형 돌부(212)의 안치홈상에 끼워지는 걸림돌기(221)를 일체로 구비한 타측 결합부재(22) 및 이 결합부재(21)(22)들을 상호 고정시키켜 주는 스크류(23)로 구성된 힌지부재(2)를 구비한 가위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2)의 손가락 삽입구(13)내에 고정홈(31)과 에어쿠션 공간부(32)를 일체로 구비한 실리콘 고무링(3)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힌지부재(2)를 구성하고 있는 타측 결합부재(22)의 내면에 스프링 와셔(4)가 끼워지는 삽입홈(222)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홈(222) 또는 스프링 와셔(4)에는 상기 스프링 와셔(4)의 회동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수단을 구비한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 굵기에 따라 상기 실리콘 고무링(3)의 내측으로 상기 실리콘 고무링의 내경보다 작은 또 다른 실리콘 고무링(3)을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부가적인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실리콘 고무링(3)은 그 제조시 원재료에 형광물질을 함유시켜 야간에도 그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또 다른 부가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수단의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5와 같이 삽입홈(222)상에 스프링 와셔(4)의 절개부(41)가 가위날측으로 향하도록 걸림돌부(223)를 형성하여 사용시 삽입홈(222)상에 설치되는 스프링 와셔(4)가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 수단의 다른 실시예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타측 결합부재(22)에 형성된 삽입홈(222)내에 끼워지는 스프링 와셔(4)의 일측 단부에 절곡부(42)를 형성하여 상기 절곡부가 일측 결합부재(21)의 장방형 돌부(212)에 형성된 안치홈(213)내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가위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주요 기술 구성은, 가위를 사용할시 사용자의 손가락에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손잡이부(12)의 손가락 삽입구(13)내에 실리콘으로 제조한 고무링(3)을 설치한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리콘 고무링(3)의 외주면에 손가락 삽입구(13)의 내주면이 끼워져 감쌓지도록 하는 고정홈(31)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상기 고정홈(31)의 모서리부에는 에어쿠션 공간부(32)를 형성시켜 주므로써, 가위를 이용하여 불특정 물체를 자르거나 오리는 등의 동작을 위해 두 몸체(1)를 벌렸다 오무리는 동작을 반복수행할시(특히 손잡이부(12)를 가압하여 오무리는 동작을 수행할시) 상기 손가락 삽입구(13)의 내주면으로 부터 손가락에 전달되는 가압력이 실리콘 고무링(3) 자체의 쿠션(즉, 실리콘 고무링을 구성하고 있는 자체 재질의 완충력) 및 상기 실리콘 고무링(3)의 고정홈(31)에 일체로 형성된 에어쿠션 공간부(32)의 흡수력에 의해 감소되므로 실제 사용자의 손가락에 전달되는 가압력을 크게 줄일 수 있어 가위를 잡고 있는 손가락이 부드러운 감촉을 느끼는 가운데 가위 자체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에 따라서는 자신의 손가락 굵기나 길이 및 크기에 따라 상기와 같이 손잡이부(12)의 손가락 삽입구(13)내에 하나의 실리콘 고무링(3)만 설치한 경우 일부 헐렁거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경우 상기 손가락 삽입구(13)내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실리콘 고무링(3)의 내측으로 또 다른 실리콘 고무링(3)을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가위를 제조할시 가위의 손잡이부(12) 손가락 삽입구(13)상에는 고정홈(31)과 에어쿠션 공간부(32)를 구비한 실리콘 고무링(3)을 기 설치하여 판매하되, 판매시에는 상기 실리콘 고무링(3)의 내측으로 설치할 수 있는 또 다른 실리콘 고무링(3)을 두개정도 제공하여 사용자 자신이 자신의 손가락 길이나 크기 또는 굵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장착(예를들어, 도 3과 같이 검지나 중지가 끼워질 손가락 삽입구(13)의 내부 반경이 자신의 손가락 굵기 보다 매우 클 경우 해당 부위에만 고정홈(31)과 에어쿠션 공간부를 일체로 구비한 또 다른 실리콘 고무링(3)을 이중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가위의 크기나 자신의 손가락 굵기 등에 무관하게 모든 가위를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어 가위의 사용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실리콘 고무링(3)의 제조시 여러가지의 색소를 삽입하여 다양한 칼라로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 실리콘 자체내에 형광물질을 함유시켜 성형시킬 수 있는데, 이와같이 실리콘 고무링(3) 자체를 여러가지 칼라도 제작하면 서로 다른 칼라의 고무링(3)을 이중으로 설치할 경우 가위 차체에 미려함 또는 심미감을 줄 수 있고, 또한 형광체로 성형시킨 경우 어두운 곳 또는 야간에도 가위의 위치를 쉽게 찾아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힌지부재(2)의 타측 결합부재(22) 내면과 일측 몸체(1)의 접촉부 사이에는 스프링 와셔(4)를 설치하여 주므로써 두 몸체(1) 사이에 강한 탄성력을 지속적으로 줄 수 있어 가위를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가위날(11)의 절단각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불특정 물체의 절단면을 깨끗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가위날의 마모는 최소화할 수 있고, 특히 가위날 및 접촉부의 마모로 인한 사용시 측방부로 가압하여 가위날들이 정확히 교차되도록 해야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음은 물론 가위의 사용시 측방부로 힘을 가하지 않는 상태에서 벌렸다 오므렸다만 하면 되므로 절단작업이 매우 편리해지게 된다.
한편, 상기에 있어서 타측 결합부재(22) 내면과 일측 몸체(1)의 접촉부 사이에는 스프링 와셔(4)를 그데로 설치할 경우 스프링 와셔 자체가 회동될 우려가 있음은 물론 탄성력 자체가 가위날(11) 부위에 가해지지 않고 손잡이(12) 부위에 가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5와 같이 상기 힌지부재(2)를 구성하고 있는 타측 결합부재(21)(22)의 내면에는 스프링 와셔(4) 삽입홈(222)을 형성시키되, 상기 스프링 와셔(4)의 탄발력이 가위날(11)측으로 가해지도록 함과 동시에 회동을 방지하는 스토퍼수단으로 스프링 와셔 절개부(41)가 끼워져 걸려지도록 걸림돌부(223)를 가위날(11) 부위를 향하도록 형성시키거나, 도 6과 같이 상기 스프링 와셔(4)의 일측 단부에 스토퍼수단으로 절곡부(42)를 형성시켜 상기 일측 결합부재(21)의 장방형 돌부(212)에 형성된 한쌍의 안치홈(213) 중 가위날(11) 부위에 위치되는안치홈(213)상에 상기 스프링 와셔(4)의 절곡부(42)가 끼워져 걸려지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위의 손잡이부에 형성된 손가락 삽입구내에 고정홈과 에어쿠션 공간부를 일체로 구비한 실리콘 고무링을 하나 또는 이중으로 설치하여 주므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손가락 크기 또는 길이나 굵기 등에 부응하여 손가락 삽입구의 내경을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어 가위 자체를 그 크기에 무관하게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고, 또 가위를 이용하여 불특정 물체를 절단하거나 오리는 동작을 실시할시 실리콘 고무링의 자체 탄성력 및 에어쿠션 공간부를 통해 가압력을 완화시킬 수 있어 실제 사용자의 손가락에 전달되는 압력 자체의 저감을 통해 가위 자체를 부드러운 감촉속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고무링의 형성시 다양한 칼라 및 형광성을 갖도록 제작하여 주므로써 야간에도 가위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음은 물론 가위 자체의 심미감이 대폭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또한 스프링 와셔의 탄성력을 통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가위날의 절단각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불특정 물체의 절단면을 깨끗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가위날의 마모는 최소화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일측부에 가위날(11)이 형성되고 타측 부에는 손가락 삽입구(13)가 일체로 구비되는 손잡이부(12)가 형성된 두개의 몸체(1)와; 상기 두 몸체(1)를 교차시킨 부위에 형성된 원형 통공(14)과 장방형 통공(15)을 관통하도록 원봉(211)과 장방형 돌부(212)를 일체로 돌출 형성시키되 상기 장방형 돌부(212)의 외주면에는 걸림돌기 안치홈(213)을 형성시켜서 된 일측 결합부재(21)와, 상기 장방형 돌부(212)의 안치홈상에 끼워지는 걸림돌기(221)를 일체로 구비한 타측 결합부재(22) 및 이 결합부재(21)(22)들을 상호 고정시켜 주는 스크류(23)로 구성된 힌지부재(2)를 구비한 가위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2)의 손가락 삽입구(13)내에 고정홈(31)과 에어쿠션 공간부(32)를 일체로 구비한 실리콘 고무링(3)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힌지부재(2)를 구성하고 있는 타측 결합부재(22)의 내면에 스프링 와셔(4)가 끼워지는 삽입홈(222)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홈(222) 또는 스프링 와셔(4)에는 상기 스프링 와셔(4)의 회동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고무링(3)의 내측으로 상기 실리콘 고무링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시킨 또 다른 실리콘 고무링(3)을 2중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3. 청구항 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고무링(3)은 그 제조시 원재료에 형광물질을 함유시켜 야간에도 그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위.
KR1020000028064A 2000-05-24 2000-05-24 가위 KR200101069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8064A KR20010106949A (ko) 2000-05-24 2000-05-24 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8064A KR20010106949A (ko) 2000-05-24 2000-05-24 가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949A true KR20010106949A (ko) 2001-12-07

Family

ID=19670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8064A KR20010106949A (ko) 2000-05-24 2000-05-24 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69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691B1 (ko) * 2018-03-26 2019-10-01 최윤석 출몰형 칼을 갖는 가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691B1 (ko) * 2018-03-26 2019-10-01 최윤석 출몰형 칼을 갖는 가위
WO2019189980A1 (ko) * 2018-03-26 2019-10-03 최윤석 출몰형 칼을 갖는 가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42249A (en) Knife
US11148310B2 (en) Razor with handle having articulable joint
US7805845B2 (en) Razor
US4403623A (en) Combined toothbrush and gum massage device
AU717256B2 (en) Disposable razor
US20050044718A1 (en) Hair trimmer with trim length adjustment mechanism
AU2013256328A1 (en) Handle for a shaving razor
JPH01166794A (ja) かみそり
KR20030014715A (ko) 회전식 면도기 및 면도 방법
ES2346804T3 (es) Herramienta manual de apertura automatica.
JP2007513732A (ja) 中指ガイドを有する鋏
US6883238B1 (en) Hairstyling scissors
KR20010106949A (ko) 가위
KR20160093847A (ko) 손잡이부분의 크기조절이 가능한 가위
JP2007182049A (ja) 筆記具
US5979061A (en) Hand-actuated scissors
KR200209843Y1 (ko) 가위
US3066412A (en) Scissors handle construction
EP0998864B1 (en) Cutting device with two cutting blades having plastic applications on the handles
US6098237A (en) Buffer brush for stenciling
KR20240022528A (ko) 양손 사용에 편이한 회전식 손잡이를 구비한 가위
KR101832035B1 (ko)
KR100730314B1 (ko) 가위
KR200268248Y1 (ko) 가위
JPS5845656Y2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