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6900A - 정수 장치 - Google Patents

정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6900A
KR20010106900A KR1020000027946A KR20000027946A KR20010106900A KR 20010106900 A KR20010106900 A KR 20010106900A KR 1020000027946 A KR1020000027946 A KR 1020000027946A KR 20000027946 A KR20000027946 A KR 20000027946A KR 20010106900 A KR20010106900 A KR 20010106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in body
solenoid valve
control unit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7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4080B1 (ko
Inventor
신기식
Original Assignee
신기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기식 filed Critical 신기식
Priority to KR10-2000-0027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4080B1/ko
Publication of KR20010106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6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4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40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돗물 또는 지하수 등의 원수를 지장(地漿) 형태로 정수 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정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측부에 덮개가 마련되고, 지장물질이 내외측으로 도포된 소정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부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내의 여과부로 유입되는 원수의 유입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밸브 및 전자펌프와, 상기 본체내에 저장된 물을 일정시간 마다 다시 정수하여 주는 타이머, 솔레노이드밸브 및 전자펌프와, 상기 본체에 저장된 지장수가 냉온수기의 물저장탱크로 유입되는 것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를 지장수로 여과하여 본체로 유출하는 여과부와, 상기 본체로부터 유입되는 지장수를 저장하는 냉온수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정수 장치{A DEVICE CLEANING WATER}
본 발명은 정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돗물 또는 지하수 등의 원수를 지장(地漿) 형태로 정수 하여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정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장수(地漿水)이란, 한방에서, 석 자쯤 판 황토 속에서 나오는 물을 휘저어 가라앉힌 맑은 물을 일컫는 것으로, 황토수(黃土水)라고도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지장수는 최근과 같이 식수 오염이 심각한 상황에서는 저질 급수를 정류한 수돗물이나 또는 기타의 물에 비하여 양질의 물로서 각광 받고 있다.
또한, 근래에는 다양한 종류의 정수기 제품이 출시되고 있지만, 단지 수돗물 또는 여타의 물은 정수 하는 기본 기능 이외에는 별다른 효과가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배경 하에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돗물 또는 지하수 등 여타의 물을 지장수 형태로 정수 하여 물의 품질을 높이도록 한 정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돗물 또는 지하수 등 여타의 물을 지장수로 정수함이 매우 용이하도록 한 정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측부에 덮개가 마련되고, 지장물질이 내외측으로 도포된 소정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부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내의 여과부로 유입되는 원수의 유입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밸브 및 전자펌프와, 상기 본체내에 저장된 물을 일정시간 마다 다시 정수하여 주는 타이머, 솔레노이드밸브 및 전자펌프와, 상기 본체에 저장된 지장수가 냉온수기의 물저장탱크로 유입되는 것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를 지장수로 여과하여 본체로 유출하는 여과부와, 상기 본체로부터 유입되는 지장수를 저장하는 냉온수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부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수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 장치의 제어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20: 덮개
30: 제어부 40: 여과부
41: 인입관 42: 유출구
43: 여과물질 50: 냉온수기
60: 퇴수부 S1: 만수위감지 센서
S2: 저수위감지 센서 S3: 공통단자
SV1~SV3: 솔레노이드밸브 P1~P3: 전자펌프
SW: 급수스위치 T: 타이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수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 장치는 크게 옹기형태의 상부에 개폐식 덮개(20)를 가지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외부 저면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본체(10) 내로 유입되는 원수의 유동과 냉온수기(50)로 유입되는 정수의 유동을 단속하는 복수개의 솔레노이드밸브, 전자펌프 및 회로기판 등을 구비한 제어부(30)와, 상기 본체(10)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30)로부터 유입된 원수를 지장수로 여과하는 여과부(40)와, 상기 본체(10)로부터 정수된 물을 공급받는 냉온수기(50)로 구성된다.
이를 상세히 알아보면, 상기 제어부(30)에는 외부에서 내부로 수돗물 등의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관(31)이 상기 제어부(30) 내부의 제1솔레노이드밸브(SV1) 및 전자펌프(P1)를 개재하여 상기 여과부(40)의 인입관(41)으로 이어지고, 본체(10) 내부에 정수된 물이 냉온수기(50)로 유출되도록 하는 안내관(34)이 제3솔레노이드밸브(SV3)를 개재하여 상기 냉온수기(5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에는 상기 본체(10)내에 저장된 정수가 일정시간 지나도록 어떤 유동이 없을 때 이를 강제적으로 다시 정수시키기 위하여, 흡인관(33), 전자펌프(P2), 제2솔레노이드밸브(SV2) 및 배출관(32)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10)내 저장된 물을 흡인관(33) 및 배출관(32)을 통해 인입관(41)을 거쳐 다시 여과부(40)로 인입하여 준다.
또한, 상기 제어부(3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기판(36)과, 배선관(35)을 통해 수위감지용 센서인, 만수위감지센서(S1), 저수위감지센서(S2) 및 공통단자(COM)가 본체(10)의 소정개소에 설치되고, 배선관(37)을 통해 동일 기능을 가진 또 다른 수위감지용 센서인, 만수위감지센서(S), 저수위감지센서(S) 및 공통단자가 냉온수기(50)의 소정개소에 설치된다.
도 2는 상기 여과부(40)의 상세 구성도로서, 원통형의 케이스 내부에는 아래로부터 은+활성탄, 지장물질, 활성탄 및 프리필터 등의 여과물질(42)을 적층하여 상기 인입관(41)을 통해 여과부(40) 내로 공급된 물을 지장수 형태로 정화시키게 되며, 이와 같이 여과된 정수는 유출구(43)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출된다. 따라서, 인입관(41)을 통해 유입된 원수는 1단계 프리필터를 통과하고, 2단계 활성탄을 통과하며, 3단계 지장물질인 일명 "K2000"을 통과하여, 4단계 은세라믹을 거쳐비로소 지장수로 정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여과부(40)내에 적층되는 여과물질(42)의 순서는 원수의 수질에 따라 변경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여과부(40)의 상부에는 마개(44)를 구비하여 내부에 적층된 여과물질(42)을 교환 또는 청소하는데 용이하도록 하여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자면, 상기 본체(10)의 내, 외측 표면에는 지장물질을 도포 하여 지장수로 정수 하는 효과를 극대화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수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덮개(20) 및 여과부(40)의 구성은 도 1의 구성과 동일하다.
단지, 제어부(30)에는 본체(10)에 저장된 물을 또 다른 흡인관(38)을 통해 강제 흡인하는 전자펌프(P3)가 구성되고, 상기 전자펌프(P3)의 출구에는 유입되는 물을 단속하는 제4솔레노이드밸브(SV4)가 마련되며, 상기 제4솔레노이드밸브(SV4)의 출구가 급수관(39)을 통해 제어부(30) 외부에 형성된 급수부(F)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급수부(F)는 레버에 의해 작동되는 급수스위치(SW)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의 저면에는 퇴수부(60)를 설치하여 퇴수가 미도시된 퇴수로를 통해 배수되도록 하여준다.
도 4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 장치의 제어 회로도로서, 전원입력단(AC)이 전원트랜스(TRS)를 통하고, 그 출력단이 고수위감지센서(S1)의접점에 연결되고, 동시에 제1릴레이스위치(RS1a)를 개재하여 저수위감지센서(S2)의 접점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트랜스(TRS)의 출력단이 다이오드(D1)을 통해 저항(R1~R3), 캐패시터(C1)(C2), 제1릴레이코일(RC1), 램프(LED), 트랜지스터(Q1)(Q2) 및 다이오드(D2)를 통해 공통단자(S3)의 접점에 연결된다.
상기 수위감지용센서(S1~S3)의 회로구조는 추가에 따라 상기 본체(10)의 수위감지는 물론 냉온수기(50)의 수위감지를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원(AC)단에는 타이머(T)가 연결되고, 제1릴레이스위치(RS1b), 제1솔레노이드(SV1) 및 전자펌프(P1)로 구성된 전자펌프구동회로가 연결되며, 제1릴레이스위치(RS1a), 타이머스위치(TS), 제2솔레노이드(SV2) 및 전자펌프(P2)로 구성된 전자펌프구동회로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트랜스(TRS)의 출력단에 제4릴레이코일(RC4 ), 저항(R4), 급수스위치(SW) 및 트랜지스터(Q3)로 구성되어 연결된 회로(70)와, 제4릴레이스위치(RS4a), 제4솔레노이드(SV4) 및 전자펌프(P3)로 구성된 회로(71)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적용되는 회로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수 장치의 동작을 상기 회로도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먼저, 전원(AC)을 인가하면, 인가된 전원(AC)은 트랜스(TRS) 및 다이오드(D1)를 통해 정류되어 고수위감지센서(S1)에 인가된다. 그러나 트랜지스터(Q1)(Q2)는 턴오프상태를 유지하여 제1릴레이코일(RC1)은 차단상태이어서, 그 a접점인 제1릴레이스위치(RS1a)는 오프(OFF) 상태를 유지하고, b접점인 제1릴레이스위치(RS1b)는 온(ON)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전원단(AC)에 연결된 제1솔레노이드밸브(SV1)는 개방(OPEN)되고, 전자펌프(P1)는 구동되어, 유입관(31)을 통해 유입된 원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SV1) 및 전자펌프(P1)를 거치고, 인입관(41)을 통해 여과부(40)내로 인입된다.
상기 여과부(40)내로 투입된 물은 정수과정을 거쳐 유출구(43)를 통해 본체(10)에 저장되며, 차후 본체(10)내의 수위가 올라가 수면이 상기 만수위감지센서(S1)에 이르면, 상기 만수위감지센서(S1)와 공통단자(S3)가 물을 매개로 하여 도통되기 때문에 상기 만수위감지센서(S1) 및 공통단자(S3)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트랜지스터(Q2)와 트랜지스터(Q1)를 턴온(TURN ON)시켜,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단에 연결된 제1릴레이코일(RC1)이 여자되고, 정수된 물이 있는 것을 표시하는 램프(LED)가 발광된다. 따라서 제1릴레이스위치(RS1a)는 온되고, 제1릴레이스위치(RS1b)는 오프되어, 제1솔레노이드밸브(SV1)는 폐쇄되고, 전자펌프(P1)은 정지된다. 따라서, 유입관(31)을 통해 더 이상의 원수가 여과부(40)로 유입되지 않는다.
차후, 본체(10) 내의 수위가 저수위감지센서(S2)의 아래로 내려가면, 상기 공통단자(S3)에 유입되는 전류가 차단되어, 트랜지스터(Q2)(Q1)가 턴 오프되고, 이에 따라 제1릴레이코일(RC1)이 차단되며, 동시에 램프(LED)도 소등된다.
따라서, 제1릴레이스위치(RS1a)가 오프되고, 제1릴레이스위치(RS1b)가 온되어, 제1솔레노이드밸브(SV1)는 개방되고, 전자펌프(P1)는 다시 구동된다. 결국, 상기 만수위감지센서(S1)와 저수위감지센서(S2) 사이의 수위를 유지하도록 제1솔레노이드밸브(SV1) 및 전자펌프(P1)는 구동되는 것이다.
또한, 미도시된 냉온수기(50)의 수위감지용센서(S)에 의해 제어부(30)의 제3솔레노이드밸브(SV3)를 제어하여, 본체(10)내에 정수된 물을 안내관(34)을 통해 냉온수기(50)로 유입하여 준다.
또한, 전원단(AC)에 연결된 타이머(T)는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그 스위치접점(TS)를 일정시간동안 온 하여주어 본체(10)내에 저장된 물을 강제적으로 다시 한번 정수해 주는 것으로, 일정시간이 경과되어, 상기 타이머(T)가 작동하여 스위치(TS)가 온되면, 제2솔레노이드밸브(SV2) 및 전자펌프(P2)에 전원(AC)이 인가되어, 제2솔레노이드밸브(SV2)가 개방되고, 전자펌프(P2)가 구동된다.
따라서, 본체(10)에 저장된 물이 흡인관(33)을 통하고, 제2솔레노이드밸브(SV2) 및 전자펌프(P2)를 거치고, 다시 배출관(32) 및 인입관(41)을 통해 여과부(40)로 투입되어 일정시간 정수동작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타이머스위치(TS)에는 직렬로 제1릴레이스위치(RS1a)가 연결되어, 제1솔레노이드밸브(SV1) 및 전자펌프(P1)를 통해 정상적인 정수동작이 수행중일때에는 제1릴레이스위치(RS1a)가 오프됨으로써, 타이머(T)가 동작되더라도, 상기 제2솔레노이드밸브(SV2) 및 전자펌프(P2)가 구동되지 않도록 하여 불필요한 2중의 정수동작을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회로블럭, 70 및 7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적용되는 회로로서, 먼저, 사용자가 제어부(30)의 일측에 마련된 급수부(F)의 토출구에 컵을대고 레버인 급수스위치(SW)를 밀면(ON), 트랜지스터(Q3)가 턴온하여, 제4릴레이코일(RC4)이 여자된다. 따라서 그 스위치접점인 제4릴레이스위치(RS4a)가 온되고, 제4솔레노이드밸브(SV4) 및 전자펌프(P3)에 전원(AC)이 인가되어, 상기 제4솔레노이드밸브(SV4)는 개방되고, 상기 전자펌프(P3)는 구동하여 본체(10)에 저장된 물이 흡인관(38)을 통하고, 전자펌프(P3) 및 제4솔레노이드밸브(SV4)를 거치고, 급수관(39) 및 급수부(F)를 통해 컵에 투입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급수스위치(SW)를 오프하면, 급수는 중단된다.
따라서, 정수기의 동작이 수행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수돗물이나 지하수, 또는 여타의 원수를 지장수로 필터링하여 간단하고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7)

  1. 상측부에 덮개가 마련되고, 지장물질이 내외측으로 도포된 소정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의 외부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내의 여과부로 유입되는 원수의 유입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밸브 및 전자펌프와, 상기 본체내에 저장된 물을 일정시간 마다 다시 정수하여 주는 타이머, 솔레노이드밸브 및 전자펌프와, 상기 본체에 저장된 지장수가 냉온수기의 물저장탱크로 유입되는 것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를 지장수로 여과하여 본체로 유출하는 여과부; 및
    상기 본체로부터 유입되는 지장수를 저장하는 냉온수기;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회로기판과, 본체(10)로 이어지는 배선관을 통해 본체의 수위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수위감지용 센서와, 다른 배선관을 통해 냉온수기의 수위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수위감지용 센서를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장치.
  3. 제 1 항 내지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상기 본체로 인입되는 배출관과, 상기 본체의 물을 흡인하는 흡인관과, 상기 본체의 물을 흡인하여 냉온수기로 유출하는 안내관을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관은 원통형의 케이스내의 상부로 원수가 인입되는 인입관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정수된 물이 유출되는 유출관을 형성하며, 상기 케이스내에는 복수개의 여과물질을 적층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의 여과물질은 프리필터, 활성탄, 지장물질 및 은+활성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본체에 저장된 지장수를 흡인하여 급수관을 통해 외부에 마련된 급수부로 이동시켜주는 관을 단속하고, 흡인력을 발생하는 솔레노이드밸브 및 전자펌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에는 본체로부터 공급되는 지장수를 레버의 동작에 의해 급수하도록 하는 급수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장치.
KR10-2000-0027946A 2000-05-24 2000-05-24 정수 장치 KR100374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946A KR100374080B1 (ko) 2000-05-24 2000-05-24 정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946A KR100374080B1 (ko) 2000-05-24 2000-05-24 정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900A true KR20010106900A (ko) 2001-12-07
KR100374080B1 KR100374080B1 (ko) 2003-03-03

Family

ID=19669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7946A KR100374080B1 (ko) 2000-05-24 2000-05-24 정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408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3610B1 (ko) * 2001-06-16 2006-09-12 김진찬 지장수 제조용기
KR100774867B1 (ko) * 2006-05-11 2007-11-13 이승현 수도관에 연결되는 실내 물 이용기구용 자동 급배수장치의안전장치
KR100815592B1 (ko) * 2007-02-07 2008-03-20 김성일 지장수 제조장치
CN105129969A (zh) * 2015-08-31 2015-12-09 罗琼 周边过滤出水生化沉淀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3610B1 (ko) * 2001-06-16 2006-09-12 김진찬 지장수 제조용기
KR100774867B1 (ko) * 2006-05-11 2007-11-13 이승현 수도관에 연결되는 실내 물 이용기구용 자동 급배수장치의안전장치
KR100815592B1 (ko) * 2007-02-07 2008-03-20 김성일 지장수 제조장치
CN105129969A (zh) * 2015-08-31 2015-12-09 罗琼 周边过滤出水生化沉淀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4080B1 (ko) 200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2411A (en) Drinking water purifier
CN101155624B (zh) 净水器中的薄膜过滤器的自动冲洗设备
JP2004505770A (ja) 流し台の下の水処理システム
JP2004520161A (ja) 流し台の下の水処理システム
JP2003305348A (ja) オゾン水生成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CN201271534Y (zh) 前端预处理器
KR200393666Y1 (ko) 침지식 막 분리 시설의 분리막 자동 세정장치
JPH105556A (ja) 浄水器の排水制御装置
KR20010106900A (ko) 정수 장치
CN209507869U (zh) 用于水净化设备的混合水箱以及水净化设备
KR101031210B1 (ko) 순수 및 초순수 제조장치
KR0126324Y1 (ko) 정수기의 살균용 정수순환장치
JPH09248552A (ja) 浄水供給装置
WO2008013068A1 (fr) Purificateur d&#39;eau
KR200307794Y1 (ko) 기능성 정수기
KR200292228Y1 (ko) 폐수 정화용 밸브수단을 구비한 역삼투압방식의 냉온정수기
KR200277037Y1 (ko) 역삼투압 방식의 냉온정수기
KR100575130B1 (ko) 필터식 정수 시스템
KR0118773Y1 (ko) 정수기의 정수 순환장치
KR100204291B1 (ko) 정수기의 정수동작 제어방법
KR101586319B1 (ko) 플러싱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방법
JPH105782A (ja) 浄化槽
CN214880900U (zh) 一种智能杀菌的台面净饮机
KR960001379B1 (ko) 정수장치
KR100575369B1 (ko) 소규모 상수용 무인 제어형 급속 정수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