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6301A - The can-receptacle possibility carrying plural stratum structure - Google Patents

The can-receptacle possibility carrying plural stratum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6301A
KR20010106301A KR1020010052368A KR20010052368A KR20010106301A KR 20010106301 A KR20010106301 A KR 20010106301A KR 1020010052368 A KR1020010052368 A KR 1020010052368A KR 20010052368 A KR20010052368 A KR 20010052368A KR 20010106301 A KR20010106301 A KR 20010106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container
plate
lower plat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23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29705B1 (en
Inventor
임종민
Original Assignee
임종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민 filed Critical 임종민
Priority to KR10-2001-0052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9705B1/en
Publication of KR20010106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63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9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9705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3Closed containers provided with local cooperating elements i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e.g. projection and re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On one end of a rotor and a face opposite to that end, there are provided holding sections having a function to center a ball to be held between them and thereby to dispense with a sleeve bearing, and a boss, protruding from a motor housing toward a motor holder, to position and hold a bearing,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motor housing, thereby enhancing accuracy of rotor-stator alignment, a simplifying bearing structure for the motor and improving shaft aligning accuracy.

Description

다층 적재가능한 구조를 갖는 캔용기{The can-receptacle possibility carrying plural stratum structur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n container having a multi-

본 발명은 포장용 캔의 적재 및 적층성을 향상하여, 액상 또는 겔상의 내용물을 충진하여 포장하기 위한 포장용 캔용기를 다층 적재하더라도 쓰러지거나 무너지는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하기 위한 적재 가능한 구조를 갖는 캔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다층 적재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 캔용기 및 그 캔용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n container having a stackable structure capable of improving the stacking and stacking properties of a packaging can to completely prevent the collapse or collapse of a packaging container for packing a liquid or ge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an container.

캔용기는 1679년 프랑스의 발명가 중 한사람이었던 토니빠삥이 "증기냄비"를 개발한 것이 시초가 되었으며, 영국의 피터 듀란드가 철제(鐵製)의 캔용기가 더 효과적일 것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1810년 캔통조림을 발명하고, 1860년대에는 더욱 얇은 강판(鋼板)을 이용하여 만들게 되었으며, 1819~1901년에는 주석캔(Tinned Can)을 사용하게 되면서 몇차례의 개발 및 발명에 의한 특허등에 의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The can container was first invented in 1679 by one of the inventors of France, Toni Papy, who invented the "steam pot," and the British Peter Durand considered that iron can containers would be more effective, It was invented canned in the 1860s, made of thinner steel plates, and was made using several kinds of tinned can from 1819 to 1901, .

일반적으로 캔용기는 전기주석도금판재로 되는 금속판재를 말아 몸통체를 형성하고, 상기 몸통체 양단을 밀폐하기 위한 각각의 상하판을 형성한 후, 상하판과 몸통체간의 밴딩작업에 의해 밀봉성을 갖는 캔용기를 제조하고 있다.In general, the can container is formed by forming a body of a metal plate made of an electro-tin plated plate, forming upper and lower plates for sealing both ends of the body, and then sealing the upper and lower plates by a banding opera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Is manufactured.

즉, 주석도금강판에 원하는 디자인으로 금속 인쇄하는 인쇄공정과, 인쇄된 주석도금강판을 적정크기로 절단하는 절단공정과, 적정크기의 상하판을 제조하기위한 상하판 제조공정과, 절단된 블랭크에 형상을 주어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판넬링공정과, 판넬링이 완성된 블랭크를 용접하기 위해 사각형상으로 각접기하는 보디각접기 공정과, 각접기공정이 완료된 캔을 동선에 의한 전기용접에 의해 융착시키는 용접공정과, 동체를 시밍하기 위해 상하단을 2~3mm벌려주는 후렌지공정과, 동체의 상하단에 각각 결합되는 상판 및 하판 부분의 실링을 위해 콤파운드등으로 도포하는 라이닝공정과, 동체와 상하판을 이중 권체로 결합시키는 시밍공정과, 시밍 완료된 완제품의 누유 등의 방지를 위해 에어(air)를 충진하여 새는지(Leak) 여부를 확인하는 테스트공정과, 적정개수로 묶어 포장하기 위한 포장공정 및 포장된 캔용기를 적재하는 적재공정등을 통하여 완성된 캔을 제조 하고 있음은 통상적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in-plated steel sheet, comprising: a printing process of metal-printing a desired design on a tin-plated steel sheet; a cutting process of cutting the printed tin-plated steel sheet to an appropriate size; A body folding step of folding each blank into a square shape for welding the blank to which the panel ring has been completed, and a step of folding the can finished each folding process by welding with a copper wire A lining process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joined together by a compounding process for sealing the upper and lower plate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ody, A test to check whether leaks are occurred by filling the air to prevent leakage of seamed finished products, It is common to manufacture the finished can through a process, a packaging process for bundling and packaging in a suitable number, and a loading process for loading the canned container.

이와같이 제조되는 캔용기는 도 11에서 보는바와 같이 주석도금강판을 절곡, 각접기하여 평활한 상태의 강판을 육면체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보디몸체부(3)를 이루고, 상판(10)과 하판(30)을 각각 결합, 시밍하여 기밀성, 밀봉성 및 밀폐성을 유지하도록 하고, 그 상판(10)으로 캔용기(100)의 내용물을 외부로 유출하여 사용하기 위한 토출구(15) 및 중앙으로 캔용기(100)의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부(14)를 형성하는 것이 통상적 캔용기(100)의 구조이다.11, the tin-plated steel sheet is folded and folded to form a body body portion 3 in a flattened state in a flat state, and the upper and lower plates 10 and 30, The canister 100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15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of the can container 100 to the outside and use the can container 100 as a center, It is a typical structure of the can container 100 to form the handle 14 for facilitating transportation of the can.

이와같은 캔용기를 제조시 또는 제조완성 후 내용물을 충진하여 밀봉처리한 상태에서 다층으로 적재를 하여 출고되거나, 대형판매점등의 마켓에 적재 적층된 상태로 보관되는 것이 통상적이다.It is common that such a can container is packed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or after the completion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filled with the contents in a sealed state, and stored in a stacked state in a market such as a large store or the like.

그러나, 종래의 캔용기를 적재하고자 할 때, 캔용기의 상판의 테두리부와 하판의 테두리부간의 단순 내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다층의 적재시 외부로부터의 작은 충격력등에 의해 적층적재된 캔용기가 쓰러지는 경우가 발생되어 작업자가 상해를 입게 되는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되거나, 캔용기의 파손으로 인한 내용물의 유출사고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같은 캔용기의 파손시 내용물의 유출시 그 내용물이 독극물 종류일 경우에는 그 피해가 상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a conventional can container is to be stacked, the can container is simply fitted between the rim of the upper plate and the rim of the lower plate. When the can container is stacked by a small impact force from the outside Which may lead to a safety accident in which the operator is injured, or that there is a leakage of contents due to breakage of the can container. When the content of the can container is broken and the content of the can container is the kind of the poisonous substance, the damage is significant.

따라서 이와같은 문제점들로 인하여, 종래의 캔용기에 내용물을 충진한 후 적층할 경우에는 높게 적재하는 것을 가급적 피하고, 저층으로 적재하게 되는 경향이 발생되어, 보관 용적을 크게 차지하게 되므로 많은 양의 캔용기의 보관이 사실상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Therefore, when the contents are filled in the conventional can container and then laminated, the tendency to avoid the high loading and to load the low can be large, and the storage capacity is largely occupied. Therefore,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storage of containers is virtually impossible.

또한, 내용물을 적재하지 않고 출고시 적층보관하더라도 높게 적층되었을 경우 상기한 불안정한 상태의 적층상태로 인하여 외부로부터의 작은 충격등에도 쉽게 넘어지는 경우가 많아 이에 따른 제품의 파손등이 쉽게 발생되므로 가급적 저층으로 적재하고 있어 상기한 바와 같이 적재장소의 활용이 극대화 되지 못하게 됨은 물론, 포장 단계에서 일정정도 적층 적재된 빈상태의 캔용기를 다른 장소로 이동하거나 출고시켜야 하는 작업주기시간이 단축되어 불필요한 작업요소의 증가로 인한 생산성의 저하를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even when laminated at the time of shipment without storing the contents, when the laminated material is stacked at a high level, the laminated state of the unstable state easily causes a small impact from the outside, The utilization time of the loading place is not maximized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since the work cycle time required to move or discharge the can container in the empty state stacked up to a certain extent in the packaging step to another place is shortened, Which is a cause of deterioration of the productivity due to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water.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식용유나 페인트등의 액상 또는 겔상의 내용물을 충진 보관, 유통 판매하기 위한 캔용기를 제조함에 있어서 캔용기의 상판으로 내측으로 요홈을 갖으며 일정높이로 돌출되는 상판돌출부를 성형하고, 그 상판돌출부의 요홈에 내합되기 위한 하판돌부를 갖는 하판을 각각 하나의 캔용기 상하단에 형성하여, 완성된 빈 캔용기의 적재 적층시, 상기 하단돌출가 타 캔용기 상판의 상판돌출부 내측에 형성되는 요홈에 내합되는 형상으로 적재 적층 가능하도록 하여, 적층된 캔용기가 견고하며 안정되게 적층 적재될 수 있도록 하여, 외부로부터의 가벼운 충격등에 의해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사고 및 제품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고,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n container for filling, storing and distributing liquid or gel- A lower plate having lower plate protrusions to be fitted in the recesses of the upper plate protrusions is formed at each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one can container so that when the finished can container is stacked, The can container top plate can be stacked and stacked in a shape to be fitted in a groove formed in the inside of the top plate projection of the top plate of the can container so that the stacked can containers can be stacked securely and stably so as not to fall down due to a light impact from the outsid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nd damage to the product, an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There.

또한 본 발명은 협소한 장소에서도 높게 그 캔용기의 적층 적재가 가능하도록 하고, 일정정도의 적재가 이루어진 후 타장소로의 이송트레이에 의한 작업주기 시간을 대폭 단축하여 제품의 생산성 향상을 이루고자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enable stacking of can containers with a high degree of compactness even in a narrow place, and to shorten the work cycle time by a transfer tray to another place after a certain degree of loading, There is a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내용물이 충진된 상태에서 일반 대형마켓등에 다층으로 적층, 적재하여 진열시에도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보관 용이하고, 협지장소의 활용도를 극대화 하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ximize the utilization of the nipping place by facilitating the storage of the contents by stacking and stacking multiple layers on a general large market or the like in a state of being filled with contents so as to maintain a stable state even on display.

도 1은 본 발명의 캔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보디몸체부를 적정 크기로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ody portion of a body for forming a can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ut to an appropriate size,

도 2 및 도 3은 도 1에 의해 형성된 보디몸체부가 각접기 공정에 의해 육면체의 형상을 갖을 때,상기 보디몸체부 개방된 양단을 밀봉, 밀폐 커버하기 위한 상판 및 하판을 프레싱작업에 의해 형성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으로,FIGS. 2 and 3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when the body body formed by FIG. 1 has a hexahedral shape by the folding process,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for sealing and hermetically sealing both ends of the body body are formed by a pressing operation In this figure,

도 2,3a는 프레싱공정을 수행하기 전의 개략도이고,Figures 2 and 3 are schematic views before performing the pressing process,

도 2,3b는 프레싱공정을 수행한 후의 개략도이다.Figs. 2 and 3B are schematic views after performing the pressing process.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2,3,4,5실시예 각각을 도시한 도면으로,FIGS. 4 to 8 are views respectively showing the first, second, third, fourth, and fif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5a,6a,7a,8a는 상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4A, 5A, 6A, 7A and 8A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upper plate,

도 4b,5b,6b,7b,8b는 하판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며,4B, 5B, 6B, 7B and 8B are bottom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lower plate,

도 4c,5c,6c,7c,8c는 상기 상판, 하판을 이용하여 캔용기를 제작한 상태의 사시도이고,4C, 5C, 6C, 7C, and 8C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can container prepared using the upper and lower plates,

도 4d,5d,6d,7d,8d는 도4c,5c,6c,7c,8c 각각의 캔용기를 이용하여 적재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s. 4D, 5D, 6D, 7D and 8D are sectional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can containers of Figs. 4C, 5C, 6C, 7C and 8C are stacked.

도 9는 본 발명의 상판 및 하판으로 각각 돌출되는 상판돌출부 및 하판돌부 표면층에 엠보싱, 요철부 또는 너어링가공을 한 상태를 도시한 일예시도이다.Fig. 9 is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embossing, concavo-convex part, or narrowing process is applied to the top plate projection part and the bottom plate projection part surface layer projecting from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캔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을 도시한 공정도이고,10 is a process diagram showing a process for manufacturing a can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종래의 캔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an container.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S1; 인쇄공정S1; Printing process

S2; 인쇄된 주석도금강판을 적정크기로 절단하는 절단공정S2; Cutting process for cutting the printed tin-plated steel sheet to an appropriate size

S3; 상,하판 제조공정 S4; 판넬링 공정S3; Upper and lower plate manufacturing process S4; Paneling process

S5; 보디각접기 및 용접 가공공정 S6; 후렌지 공정S5; Body folding and welding process S6; Frenzy process

S7; 시밍공정 S8; 테스트 공정S7; Seaming step S8; Test process

S9; 포장 및 적재공정S9; Packaging and Loading Process

1; 포장용 문구 또는 디자인 2; 주석도금강판 3; 보디몸체부One; Packing phrase or design 2; A tin-plated steel plate 3; Body body portion

10; 상판 11; 상판돌출부 12; 시밍커버부10; Top plate 11; A top plate protrusion 12; Seaming cover part

12a; 공간부 13; 요홈 14; 손잡이부12a; Space portion 13; A groove 14; Handle portion

15; 토출구 20; 상판프레스금형틀 21; 상부금형15; A discharge port 20; A top plate press mold 21; Upper mold

22; 하부금형 30; 하판 31; 하단돌부22; A lower mold 30; Lower plate 31; Bottom projection

32; 시밍커버부 32a; 공간부32; A seaming cover portion 32a; Space portion

40; 하판프레스금형틀 41; 상부금형 42; 하부금형40; A lower plate press mold 41; Upper mold 42; Lower mol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인쇄공정, 인쇄된 주석도금강판을 적정크기로 절단하는 절단공정, 상하판 제조공정, 판넬링공정, 보디각접기공정, 용접공정, 후렌지공정, 라이닝공정, 시밍공정, 테스트공정, 포장공정, 적재공정등으로 이루어지는 공지된 캔용기 제조공정에의해 제조되는 캔용기에 있어서,Printing process, cutting process for cutting the printed tin-coated steel sheet to an appropriate size, upper and lower plate manufacturing process, paneling process, body folding process, welding process, flanging process, lining process, seaming process, test process, In a can container manufactured by a known can container manufacturing process,

상기 상하판 제조시 캔용기의 상판을 제조하기 위한 상판프레스금형틀에 의해 프레싱하여 상판의 상면으로 요홈을 갖는 상판돌출부가 프레싱 성형되고,The upper plate protruding portion having a groov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is pressed by the upper plate press mold die for manufacturing the upper plate of the can container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upper and lower plates,

상기 상판돌출부의 요홈 위치와 동일한 위치의 하판 저면부측으로 돌출되는 하판돌부를 하판프레싱금형틀에 의해 프레싱 성형하여, 시밍공정에 의해 상판 및 하판이 보디몸체부 양단부에 각각 결합된 후, 적재시 캔용기 하판의 하판돌부가 타 캔용기의 상판돌출부내 요홈으로 삽입 고정, 적재 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한다.A lower plate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lower plate bottom face portion at the same position as the groove position of the upper plate projection is press-molded by the lower plate pressing die frame so that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ody body portion by the seaming process, And the lower plate protrusion of the lower plate of the container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groove in the upper plate projection of the tin can contain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 인쇄공정 ; S1 -- printing process; S1 -

본 공정은 각종 포장용 문구나 디자인(1)등을 주석도금강판(2)면에 인쇄하기 위한 공정으로, 주석도금강판(2) 및 주석도금강판(2)에 폴리에스테르 수지필름을 피복한 강판을(이하 편의상 주석도금강판이라 통칭함) 이용하여 그 표면층에 각종 광고용 디자인, 문구(2)등을 인쇄하는 공정이다.This process is a process for printing various packing textiles or designs (1) on the surface of the tin-plated steel sheet (2), in which a steel sheet coated with a polyester resin film on the tin-plated steel sheet (2) (Hereinafter, referred to as tin-plated steel sheet for convenience sake) for printing various advertising designs, stationery 2, etc. on the surface layer thereof.

- 인쇄된 주석도금강판을 적정크기로 절단하는 절단공정 ; S2 -A cutting step of cutting the printed tin-plated steel sheet to an appropriate size; S2 -

본 공정은 인쇄된 소정크기를 갖는 주석도금강판을 개개의 캔용기(100)로 제작하기 위한 소요면적을 갖는 적정크기로 블랭킹화하여 절단하기 위한 공정으로 도 1 에서 보는바와 같이 사각면체로 형성되기 전의 상하판이 없는 상태에서 전개된 상태로 직사각형상을 갖도록 절단되어진다.This process is a process for blanking and cutting a tin-plated steel sheet having a predetermined size printed thereon to a proper size having a required area for manufacturing the individual can containers 100, It is cut so as to have a rectangular shape in a state in which it is expanded in the state in which there is no upper and lower plates.

- 상,하판 제조공정 ; S3 -- Upper and lower plate manufacturing process; S3 -

본 공정은 상기 절단공정에 의해 직사각형상으로 블랭킹화하여 형성된 보디몸체부(3)를 후술하는 각접기등의 공정에 의해 육면체로 형성되었을 때, 상기 보디몸체부(3) 상하단에 각각 취부 결합되기 위한 상판(10) 및 하판(30)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이다.When the body body portion 3 formed by blanking in a rectangular shape by the cutting process is formed into a hexahedron by a process such as folding,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process is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ody body portion 3 (10) and the lower plate (30).

보디몸체부(3)의 양단부는 이후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각각 개방된 상태에서 판넬링가공이 이루어진 후 보디각접기 공정을 거친 다음 상하판(10,30)을 각각 덮은 상태에서 시밍작업등에 의해 밀봉처리 하게 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As described later, both end portions of the body body portion 3 are subjected to the panel ringing process in the opened state, and then the body is folded. Th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10 and 30 are covered, And the like.

이와같은 가공공정을 거쳐 완성된 제품을 만들기 위한 필수공정으로 상하판 제조공정(S3)을 거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위 상하판 제조공정에 의해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plate manufacturing process (S3) is performed as an essential process for producing a finished product through such a processing step.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plate manufacturing process can achieve the object.

먼저 상판(10) 및 하판(30)의 규격으로 되는 주석도금강판(2)을 보디몸체부 (3)의 상하단에 각각 취부할 수 있을 규격으로 절단 가공하게 되는데, 이와같이 적정 규격으로 절단가공된 동일한 판넬을 상판(10)을 성형하기 위한 상판프레스금형틀(20)과 하판(30)을 성형하기 위한 하판프레스금형틀(40)로 되는 각각의 별도 프레스금형틀(20,40)에서 별도의 프레싱 가공공정을 거쳐 상판(10)과 하판(30)을 제조하게 된다.The tin-plated steel sheet 2 having the dimensions of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30 is first cut to a size that can be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ody portion 3, A separate pressing die mold 20 or 40 is formed in each of the separate press die molds 20 and 40 to be a lower plate press mold die 40 for molding the upper plate press mold die 20 for forming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30, And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30 are manufactured through a processing step.

상판(10) 및 하판(30)을 구성하기 위한 주석도금강판(2)을 원하는 소정 크기로 먼저 절단가공하게 되면, 상기 각각의 주석도금강판(2)을 각각의 프레스금형틀 (20,40)로 도시하지 않은 공급레일을 따라 공급되어지게 되는데, 상판(10)으로 제조되기 위해 상기와 같이 소정크기로 절단된 주석도금강판(2)이 상판프레스금형틀 (20)로 진입되어지면, 도시하지 않은 복수개의 지그등이 상기 진입된 주석도금강판(2)을 각각 취부, 고정한 상태에서 상판프레스금형틀(20)의 상부금형(21)과 하부금형(22)의 당접 프레싱 작용에 의해 원하는 상판(10)을 얻을 수 있다.When the tin-plated steel sheet 2 for constituting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30 is first cut to a desired predetermined size, the respective tin-plated steel plates 2 are cut into the respective press die molds 20, When the tin-plated steel sheet 2 cut into a predetermined size as described above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plate press mold 20 in order to be manufactured by the upper plate 10, The upper mold 21 and the lower mold 22 of the upper mold press mold 20 are pressed against each other by a contact pressing action of the upper mold 21 and the lower mold 22 in a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jigs, 10) can be obtained.

이때 상기 상판(10)은 도시한 도면에서와 같이 상부측으로 다각형상을 갖는 상판돌출부(11)가 복수개 돌출 성형되도록 프레싱하여서 되는 것으로, 상판(10)의 테두리부로부터 상방측으로 형성되는 시밍커버부(seaming of cover)(12)의 높이보다 약 2mm 정도 높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upper plate 10 is pressed so that a plurality of upper plate protrusions 11 having a polygonal shape on the upper side are protruded and formed. The upper plate 10 has a seaming cover portion (not shown) formed upward from the rim of the upper plate 10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cover 12 is about 2 mm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eaming cover 12.

통상 상판(10)의 상면으로부터 시밍커버부(12) 상단까지의 높이(h1)는 약 3mm~5mm 정도이고, 상판프레스금형틀(20)에 의해 프레싱되어 상판(10) 상면으로부터 상판돌출부(11)측의 전체 돌출높이(H)를 약 5mm~7mm 정도 돌출되도록 한다.The height h1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 to the upper end of the seaming cover portion 12 is about 3 mm to 5 mm and is pressed by the upper plate press mold 20 to move the upper plate protrusion 11 (H) of about 5 mm to about 7 mm.

한편 상하부금형(21,22)에 의해 상기한 상판돌출부(11)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내측방으로 요홈(13)이 형성되도록 하여 후술하는 하판(30)의 하판돌부(31)가 내합될 수 있도록 한다.The upper plate projections 11 are formed by the upper and lower dies 21 and 22 and the groove 13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plate projections 11 so that the lower plate projections 31 of the lower plate 30, do.

이와같이 성형되는 상판(10)의 중앙에는 미리 제조되는 손잡이부(14)를 시임용접등에 의해 융착 고정하고, 상판(10)의 어느 일측의 모서리부에 캔용기(100)에 충진되는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15)를 통상의 방법에 의해 가공처리한다.A grip 14 to be manufactured in advance is fused and fixed to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10 to be molded by seam welding or the like and the contents to be filled in the can 100 are transferred to the outside The discharge port 15 for discharging is processed by a usual method.

한편, 상기한 바와는 달리 하판(30)을 프레싱하기 위해 동일 크기로 미리 절단된 상태의 주석도금강판(2)의 판넬이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송되어 하판프레스금형틀(40)로 이동 된 후 사면으로부터 작동되는 지그에 의해 고정 지지되면, 상하부금형(40,41)의 작동에 의해 프레싱 가공하여 원하는 하판(30)을 얻게 된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e above, the panel of the tin-plated steel sheet 2, which has been previously cut in the same size to press the lower plate 30, is transferred along a guide rail (not shown) and moved to the lower plate press mold frame 40 The upper and lower metal molds 40 and 41 are pressed to obtain a desired lower plate 30. In this case,

이와같은 하판(30)은 각각의 실시예에 첨부한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기한 상판(10)의 상판돌출부(11) 내측으로 형성되는 요홈(13)과 대응되는 위치상에 하단돌부(31)가 형성되도록 프레싱 가공하여 형성하는 것이다.The bottom plate 30 has a lower protrusion 31 o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roove 13 formed inside the upper plate protrusion 11 of the upper plate 10 as shown in the drawings attached to the respective embodiments. Is formed by a pressing process.

즉, 하나의 캔용기(100) 상판(10)으로 상판돌출부(11)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상판돌출부(11) 내측의 요홈(13)으로 내합될 수 있는 하판돌부(31)를 갖는 하판(30)을 각각 구비하여, 캔용기(100)의 다층 적재시, 타 캔용기(100')간의 상판 (10)및 하판(30) 각각의 상판돌출부(11) 및 요홈(13)과 하판돌부(31)가 각각 결합되어 다층 적재가 안정적이며 용이하게 적재, 적층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upper plate 11 is formed by the upper plate 10 of one can container 100 and the lower plate protrusion 31 having the lower plate protrusion 31 which can be fitted into the groove 13 inside the upper plate protrusion 11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30 of the can container 100 'are provided with the upper plate projection 11 and the groove 13 and the lower plate protrusion 31)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multilayer stacking can be stably and easily stacked and laminated.

상기와 같이 상판(10)과 하판(30)의 제조공정을 마치게 되면, 상판(10) 및 하판(30) 내측의 내주면으로 콤파운드등을 이용하여 기밀성 및 밀봉성을 제공하기 위한 라이닝 공정을 거치게 된다.Whe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30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a lining process is performed to provide airtightness and sealing property by using a compound or the lik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side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30 .

즉, 상기한 상판(10) 및 하판(30)의 제조 공정시 각각 소망하는 상판(10)의 상판돌출부(11) 및 요홈(13)과 하판(30)의 하판돌부(31)가 각각의 프레싱금형틀 (20,40)에 의해 제조된 후, 테두리부 즉 보디몸체부(3)의 양단부측에 끼워지며 가압 결합시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상판(10)의 저면측 테두리부 및 하판(30)의 상면측 테두리부의 시밍커버부(seaming of cover)(12,3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vacant space)(12a,32a)에 컴파운드를 주입 시킨 후 미도시한 오븐등의 건조장치를 통과시켜 경화시키게 된다..That is, the upper plate projection 11 and the groove 13 of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projection 31 of the lower plate 30, which are desir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30,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30 of the upper plate 10 are pressed against each other by the metal molds 20 and 40, The compound is injected into vacant spaces 12a and 32a formed by the seaming covers 12 and 32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0 and then passed through a drying device such as an oven Cured.

- 판넬링공정 ; S4 -- paneling process; S4 -

한편 본 공정은 상기한 상하판(10,30) 제조 공정과는 별도로 상기한 절단공정에 의해 캔용기(100)의 보디몸체부(3)가 전개된 상태의 주석도금강판(2)을 얻은 상태에서 그 주석도금강판(2)으로 되는 보디몸체부(3)의 휘어짐 현상이나 굴곡 현상 및 응력의 불균일 분포에 따른 비틀림 현상등을 방지하기 위해 보디몸체부(3)에 일정 형상을 제공하기 위한 공정이다.On the other hand, in this step, the tin-plated steel sheet 2 in a state in which the body portion 3 of the can body 100 is unfolded is obtained by the above-described cutting process separately from the above-described steps of manufacturing the upper and lower plates 10, 30 A process for providing a predetermined shape to the body body portion 3 in order to prevent a warp phenomenon or a bending phenomenon of the body body portion 3 made of the tin-plated steel sheet 2 and a torsion phenomenon caused by a non- to be.

- 보디각접기 공정 및 용접가공 ; S5 -- Body folding process and welding process; S5 -

본 공정은 상기한 판넬링공정(S4)을 거친 보디몸체부(3)로 되는 판넬을 용접하기 위해 사각면체로 형성하기 위한 공정으로, 통상의 장치를 이용하여 직사각형상의 보디몸체부(3)를 순차적으로 직각을 이루며 접는 방식으로 롤링하여 원하는 사각면체를 얻는다.This process is a process for forming a rectangular body to weld a panel as a body body part 3 which has been subjected to the paneling step S4 described above. The rectangular body body part 3 is formed by using a conventional apparatus And sequentially rolled in a folding manner at right angles to obtain a desired square-shaped body.

이와같이 보디각접기 공정에 의해 원하는 사각면체를 얻은 상태의 보디몸체부(3)의 이음매 부위를 통상의 동선을 이용한 전기용접등의 방법에 의해 용접하여 캔용기(100)의 형상을 이루는 사각면체를 얻는다.The joining portion of the body portion 3 in a state in which the desired square-shaped body is obtained by the body folding process is welded by a method such as electric welding using a normal copper wire so as to form a rectangular- .

- 후렌지공정 ; S6 -- Frenzy process; S6 -

본 공정은, 보디몸체부(3)의 양단부를 각각 상기한 상판(10)과 하판(30)을 고정하기 위한 시밍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대략 2~3mm 벌려주기 위한 공정이다.This step is a step for spreading the both ends of the body body part 3 by about 2 to 3 mm in order to facilitate the seaming work for fixing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30 described above.

- 시밍공정 ; S7 -- seaming process; S7 -

본 공정은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공정을 거쳐 얻게 되는 보디몸체부(3)의 양단부측을 커버링하여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상판(10) 및 하판(30)을 각각 융착, 고정하기 위한 공정으로,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보디몸체부(3)의 양단부측이 절곡되고 그 절곡된 부위가 상판(10) 또는 하판(30)의 시밍커버부(12,32) 내측으로 위치되며 이중권체로 결합 되어지는 과정을 거쳐 보디몸체부(3)와 상판(10) 및 하판 (30)간의 기밀성 및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This step is a step for fusing and fixing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30 to cover the both end sides of the body body part 3 obtained through the series of steps as described above to maintain airtightness, The process of folding both ends of the body body 3 and folding the folded parts into the seaming cover parts 12 and 32 of the upper plate 10 or the lower plate 30 as shown in FIG. So that the airtightness and sealability between the body body 3 and the upper and lower plates 10 and 30 can be ensured.

- 테스트공정 ; S8 -- test process; S8 -

본 공정은 완성된 캔용기(100)의 토출구(15)를 에어컴프레샤 주입구(미도시)등으로 강제 밀폐시킨 상태에서 캔용기(100) 내부로 공기를 일정압력(P)으로 불어넣은 후 일정시간(T초) 유지하여 이음매 부위나 상하판(10,30) 결합 부위등 취약지점으로부터 공기가 새어나가는 현상을 체크하여 불량제품을 걸러내기 위한 공정이다.In this step, air is blown into the can container 100 at a constant pressure (P) in a state where the discharge port (15) of the completed can container (100) is forcibly closed by an air compressor inlet (not shown) (T seconds) to check for the leakage of air from weak points such as joints or joints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10 and 30, thereby filtering off the defective products.

- 포장 및 적재공정 ; S9 -- packaging and loading processes; S9 -

본 공정은 상기한 테스트공정(S8)을 거쳐 통과되어 합격된 완제품을 적정개수로 묶어 포장하기 위한 공정이고, 이와같이 포장된 단위를 다수층 다수열 적재, 적층하여 출고시까지 보관하기 위한 트레이 적재공정을 거 얻게 된다.The present process is a process for bundling the finished products pass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test step (S8) and passing them in an appropriate number, and a tray loading process .

이하 캔용기의 제조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상판(10) 및 하판(30)을 이용하여 캔용기를 제조하는 각각의 실시예를 나누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embodiment for manufacturing a can container using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30 manufactured by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a can contain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1실시예)(Embodiment 1)

상,하판(10,30) 제조공정(S3)시 적정크기 즉 캔용기(100)의 보디몸체부(3)가 각접기 공정등(S5)에 의해 형성되는 양단부를 커버하기 위한 크기로 절단된 상태의 상판(10) 및 하판(30)을 별도의 프레싱 공정에 의해 원하는 상판(10) 및 하판(30)으로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상판프레스금형틀(20)에 진입된 상판(10)을 통상의 다수 지그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 및 하부금형(21,22)의 작동에 의해 프레싱되면 상판(10) 모서리부 일측과, 이와 대향되는 타측의 모서리부에 각각 요홈(13)을 갖는 상판돌출부(11)가 형성되도록 프레싱 성형한다.The body portion 3 of the can container 100 is cut to a size for covering both ends formed by the folding process S5 and the like during the upper and lower plates 10 and 30 manufacturing process S3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30 in the state of being pressed into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30 by a separate pressing process, When the upper and lower dies 21 and 22 are pressed by the operation of the upper and lower dies 21 and 22 in a state where the upper and lower dies 21 and 22 are fixed by the plurality of jigs of the upper plate 10, (11).

도면상, 상판돌출부(11)의 형상은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삼각형상의 상판돌출부(11) 내측으로 다시 삼각형상의 요홈(13)이 형성되어지는 구성을 갖는다.(도 4a 참조)In the figure, the shape of the upper plate projection 11 is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and a triangular groove 13 is formed again inside the upper plate projection 11 on the triangle. (See FIG. 4A)

그런다음, 하판(30)으로 성형되기 위한 재료가 하판프레스금형틀(40)로 진입된 후 상하부금형(41,42)의 프레싱에 의해 성형되면,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한 상판 (10)의 상판돌출부(11) 위치와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상판돌출부(11)의 요홈(13)에 내합되기 위한 하판돌부(31)가 성형되어진다.(도 4b 참조)When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lower plate 30 enters the lower plate press mold 40 and is formed by pressing the upper and lower molds 41 and 42, A lower plate protruding portion 31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11 so as to be fitted into the groove 13 of the upper plate protruding portion 11 (see FIG. 4B)

이와같이 되는 상판(10)과 하판(30)을 시밍공정에 의해 캔용기(100)의 보디몸체부(3)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어져 완성된 제품을 얻을 수 있으며, 이와같이 하여 얻은 캔용기(100)가 도 4c 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 upper and lower plates 10 and 30 can be joined to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3 of the can container 100 by a seaming process to obtain a finished product. As shown in FIG. 4C.

상기의 캔용기(100)에 의해 다수층으로 캔용기(100,100')를 적재, 적층하는 것을 도시한 도 4d 에서 보듯이, 아래에 위치되는 캔용기(100) 상판(10)의 요홈(13) 내부로 상방에 위치되는 타 캔용기(100') 하판(30)의 하판돌부(31)가 내합되어지고, 이와같은 결합이 상판(10) 양측의 각 모서리부에서 이루어지므로 안정된 상태로 상하단 각각의 캔용기(100,100')가 교호되는 상하판(10,30)의 결합에 의해 적재, 적층될 수 있는 것이다.4D showing the can vessels 100 and 100 'stacked and stacked in a plurality of layers by the can container 100 described above, the groove 13 of the upper plate 10, which is positioned below, Since the lower plate protrusion 31 of the lower can plate 100 'positioned above the can container 100' is engaged with the lower plate protrusion 31 of the upper plate 10, The can vessels 100 and 100 'can be stacked and stacked by interlocking the upper and lower plates 10 and 30 alternately.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한편 제1실시예에서와는 달리, 도 5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판(10)과 하판(30)을 각각 프레싱 성형할 수 있다.5,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30 can be formed by press-molding, respectively, unlike the first embodiment.

여기서는 각각의 상판(10) 및 하판(30)의 성형프레싱 공정에 따른 설명은 생략하며 그 구성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도 5a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판(10)의 상판돌출부(11a)는 사각형상의 상판(10) 각각의 변에 위치되는 삼각형상의 상판돌출부(11a)가 각각 성형되도록 프레싱하고, 그 상판돌출부(11a) 내측으로 원형상의 원형홈(13a)이 형성되도록 한다.Here, the description of the molding press process of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30 will be omitted, and only th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5A, the upper plate protrusion 11a of the upper plate 10 is pressed so that the upper plate protrusion 11a in a triangular shape positioned on each side of the upper plate 10 in a rectangular shape is respectively molded, Thereby forming a circular circular groove 13a.

한편 이와 대응되는 하판(30)으로는 도 5b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기 상판돌출부(11a)의 원형홈(13a)으로 내합되기 위한 원형돌부(31a)를 갖는 하판(30)을 성형하여 하나의 완전한 캔용기(100)를 제조할 수 있다.5B, a lower plate 30 having a circular protrusion 31a for fitting into the circular groove 13a of the upper plate protrusion 11a is molded to form a single complete can (not shown) The container 100 can be manufactured.

이와같이 제조된 캔용기는 도 5c에서 보는바와 같으며, 이를 이용하여 다층으로 적재, 적층한 단면도가 도 5d이다.The can container thus manufactured is as shown in FIG. 5C, and a cross-sectional view in which the container is stacked and laminated using the same is shown in FIG. 5D.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한편 본 실시예는 도 6에서 보는바와 같이 캔용기(100) 상판(10)으로 돌출되는 상판돌출부(11b)의 형상을 사각형상의 상판(10) 변위치에 각각 원형돌출부(11b)가 형성됨과 동시에 원형돌출부(11b) 내측으로 원형상의 원형홈(13b)이 형성되도록 상판프레스금형틀(20)에 의해 성형 제조하고, 이와 대응되는 하판(30) 각각의 변의 위치에 상기 원형홈(13b)에 내합될 수 있는 하판원형돌부(31b)가 각각 형성되도록 하판프레스금형틀(40)에 의해 성형하여 캔용기(100)의 보디몸체부(3) 양단 각각에 취부하여 시밍공정 처리한다.6, the shape of the upper plate projecting portion 11b protruding from the upper plate 10 of the can 100 is defined by the circular projecting portions 11b at the side of the upper plate 10 in a rectangular shape, The upper mold press mold 20 is formed so as to form a circular circular groove 13b inside the circular protruding portion 11b and the circular groove 13b is formed at the side of each of the lower plates 30 corresponding thereto, The bottom plate press mold die 40 is formed so that the lower plate circular protruding portions 31b are formed so that the lower plate circular protruding portions 31b can be respectively formed.

이와 같이하여 도 6c에서 보는바와 같은 캔용기(100)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적재 적층한 상태의 단면도가 도 6d에서 보는바와 같다.Thus, the can container 100 as shown in FIG. 6C can be obtained,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n container 100 is shown in FIG. 6D.

(제4실시예)(Fourth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에서 보는바와 같이 사각형상으로 되는 상판(10)의 각 변 위치에 일측이 개방된 상태의 삼각형 모양을 갖는 갈매기형상 또는 부메랑 형상의 상판돌출부(11c)를 각각 대향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되 그 내측에 일측방으로 개방되는 결합홈(13c)이 형성되도록 하고, 하판(30)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상판돌출부(11c)와 대응되는 위치상으로 상기 결합홈(13c)에 내합되기 위한 삼각형 형상의 삼각돌부(31c)가 돌출되도록 하판프레스금형틀(40)에 의해 성형 되도록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7, the top plate protrusions 11c in the shape of a gull or boomerang having a triangular shape in which one side is open at each side of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30 is formed with an engagement groove 13c which is formed in the engagement groove 13c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plate projecting portion 11c as described above, Shaped triangular protrusion 31c protruding from the bottom mold press mold 40. The triangular protrusion 31c of the triangular protrusion 31c is formed by a lower mold press mold 40 so as to protrude.

이와같이 성형된 상판(10) 및 하판(30)으로 캔용기(100) 보디몸체부(3)의 양단부 각각으로 결합 취부되면 도 7c에서와 같은 캔용기(100)를 얻을 수 있으며, 이와같이 제조된 캔용기(100)를 다층으로 적재, 적층하게 되면 도 7d에서와 같이 위쪽에 위치되는 캔용기(100')의 하판(30)으로 돌출된 삼각돌부(31c)가 그 아래에 위치되는 타 캔용기(100)의 상판(10)으로 돌출되는 상판돌출부(11c) 내측으로 형성된 결합홈(13c)에 내합되어 견고하며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적재 적층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e can container 100 as shown in FIG. 7C can be obtained by being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3 of the can container 100 by the formed upper and lower plates 10 and 30, When the containers 100 are stacked and laminated, a triangular protrusion 31c protruding from the lower plate 30 of the can container 100 'positioned at the upper side as shown in FIG. The upper plate 10 protruding from the upper plate 10 of the upper plate 10 is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3c formed inside the upper plate protrusion 11c to be firmly and stably stacked.

(제5실시예)(Fifth Embodiment)

한편 본 실시예는 도 8에서 보는바와 같이 캔용기(100)의 상측으로 결합되는상판(10)의 각 변위치에 직사각형 형상의 상판돌출부(11d)가 평행한 상태의 1조의 상판돌출부(11d)로 형성되도록 하여 그 사이에 이격홈(13d)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하는바, 이와 동일한 상판돌출부(11d)가 상판(10) 각변의 위치상에 각변마다 대향되도록 상판프레스금형틀(20)에 의해 성형한다.8, a pair of upper plate projections 11d in a state in which a rectangular upper plate projecting portion 11d is parallel to each side of the upper plate 10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can container 100, as shown in FIG. 8, So that the spacing grooves 13d are naturally formed therebetween so that the upper plate protruding portions 11d are formed by the upper plate press mold 20 so as to be opposed to the sides of the upper plate 10 at each side. do.

한편 상기 상판(10)의 이격홈(13d)과 대응되는 하판(30)의 위치상에 각각 직사각형상의 하판돌부(31d)가 돌출되도록 하판프레스금형틀(40)에 의해 성형되도록 하고, 상기의 공정에 의해 얻은 상판(10)과 하판(30)을 각각 캔용기(100) 보디몸체부(3)의 양단부에 취부 결합하여 시밍작업을 완료하게 되면, 도 8c에서와 같은 완성된 캔용기(100)를 얻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ctangular lower plate protrusion 31d is formed on the position of the lower plate 30 corresponding to the spacing groove 13d of the upper plate 10 by means of the lower plate press mold 40, The upper and lower plates 10 and 30 are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3 of the can container 100 to complete the seaming operation. Can be obtained.

이렇게 얻은 캔용기를 다층, 적재 적층하게 되면 도 8d에서와 같이 상방으로 위치되는 캔용기(100')의 하판(30)으로 돌출된 하판돌부(31d)가 그 아래에 위치되는 타 캔용기(100) 상판(10)으로 평행하게 돌출된 상판돌출부(11)에 의해 자연스럽게 형성된 이격홈(13d)에 끼워지는 형상을 갖으며 결합 적층 적재되는 것이다.When the can container obtained as described above is stacked and stacked, the lower can plate portion 31d protruding from the lower plate 30 of the can container 100 'positioned above as shown in FIG. And has a shape to be fitted in the spacing groove 13d formed naturally by the upper plate projecting portion 11 project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plate 10,

(제 6 실시예)(Sixth Embodiment)

본 실시예는 상기한 각각의 실시예에 의해 실시되는 상판(10) 및 하판(30)의 프레싱 성형시 첨부한 도면 도 10에서 보는바와 같이 상판(10) 및 하판(30)으로 각각 돌출되는 상판돌출부(11)와 하판돌부(31)의 표면층에 엠보싱처리(a)하거나 또는 요철부(b)를 형성하거나, 거친표면층을 갖도록 너어링부(c)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10, wh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10 and 30 are press-molded,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30 protrude from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30,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o emboss the surface layer of the protruding portion 11 and the lower plate protruding portion 31 or to form the recessed portion b or to have the narrowed portion c having the rough surface layer.

이와같이 되는 상판(10) 및 하판(30)을 이용한 캔용기(100,100')의 적재, 적층시 상방측에 위치되는 캔용기(100')의 하판(30) 하단으로 돌출되는 하판돌부(31)의 표면층과 그 캔용기(100')의 아래에 위치되는 타 캔용기(100)의 상판(10)으로부터 돌출되는 상판돌출부(11) 표면층간의 상호 작용에 의해, 즉 각 표면층에 형성되어 있는 엠보싱(a), 요철부(b) 및 거친표면층을 갖도록 하는 너어링부(c)의 마찰력에 의해 더욱 공고하며 안정적인 캔용기의 적재 현상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The upper and lower can plates 100 and 100 'using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plate 30 and the lower plate protrusion 31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lower plate 30 of the can container 100'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urface layer and the surface layer of the upper plate projection 11 protruding from the upper plate 10 of the can container 100 positioned below the can container 100 ' ), The irregular portion (b), and the tapered portion (c) having the rough surface layer, the stable loading of the can container can be maintained.

즉, 상방측 캔용기(100')의 하단돌부(31)의 표면층은 하방측 캔용기(100)의 상판돌출부(11) 내측에 형성된 요홈(13)으로 삽입되어 상판(10)의 표면과 당접, 마찰되는 현상을 유지하고, 하방측 캔용기(100)의 상판(10)으로 돌출되는 상판돌출부(11)의 표면층은 그 상방의 캔용기(100') 하판(30)의 저면부 표면과 당접, 마찰되는 현상을 갖게 되어 상호 마찰력에 의해 적재, 적층된 다수의 캔용기가 더욱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surface layer of the lower end protrusion 31 of the upper can reservoir 10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3 formed inside the upper plate protrusion 11 of the lower can reservoir 100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 And the surface layer of the upper plate projection 11 protruding from the upper plate 10 of the lower side can container 100 is held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30 of the upper can container 100 ' And a phenomenon of rubbing, so that a plurality of stacked can containers can be maintained in a more stable state by mutual frictional force.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액상 또는 겔상의 내용물을 충진, 포장하기 위한 포장용 캔용기의 제조시 그 캔용기의 상판으로 일정 높이 돌출되는 여러형상으로 되는 상판돌출부를 갖도록 하고, 그 상판돌출부 내측으로 다시 움푹들어가는 요홈을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하판에서 상기 요홈에 삽입되기 위한 하단돌부를 형성 하여, 캔용기의 제조후 복수층으로 적재, 적층할 때 각각의 상단돌출부와 요홈간의 결합에 의해 안정적 적층 적재가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manufacturing a can container for packaging for filling and packing liquid or gel-like contents, the top plate of the can container is provided with a top plate protrusion having various shapes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lower end protrusion for inserting into the recess is formed in the lower plate corresponding to the recess. When the lower end protrusion is inserted and laminated into a plurality of layers after the can container is manufactured, stable stacking A possible effect can be expect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정적 적재 적층이 가능함에 따라 가벼운 충격력등에 의해 종래와 같이 무너지는 현상을 배제할 수 있어 이에 따른 안전사고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able lamination lamination is possible, so that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phenomenon of collapse as in the prior art due to a light impact force, and it is expected that the safety accident and the like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은 비교적 협소한 장소에서도 그 캔용기를 고층으로 적재, 적층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장소의 효율적 사용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the advantage of maximizing the efficient use of the work place by allowing the can container to be stacked and stacked in a high layer even in a relatively narrow place.

또한 본 발명은 캔용기 내부에 내용물이 충진, 포장되어 할인매장이나 백화점 등의 대량 소비구매가 가능한 장소에 다층 적재되더라도 캔용기 상판 및 타 캔용기의 하판 상호간의 교호적 결합에 의해 적층 적재된 상태의 상당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어 적층된 캔용기등이 넘어지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이에 따른 사고발생시 캔용기내 내용물의 유출에 따른 제품의 훼손등을 방지할 수 있는 상당히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 case where the contents are filled and packed in a can container and are stacked at a place where a large amount of consumption can be purchased such as a discount store or a department st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in which the stacked can vessels and the like are tilted and to prevent damage to the product due to leakage of the contents in the can in the event of an accident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Claims (7)

인쇄공정, 인쇄된 주석도금강판을 적정크기로 절단하는 절단공정, 상하판 제조공정, 판넬링공정, 보디각접기공정, 용접공정, 후렌지공정, 라이닝공정, 시밍공정, 테스트공정, 포장공정, 적재공정등으로 이루어지는 공지된 캔용기 제조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캔용기에 있어서,Printing process, cutting process for cutting the printed tin-coated steel sheet to an appropriate size, upper and lower plate manufacturing process, paneling process, body folding process, welding process, flanging process, lining process, seaming process, test process, In a can container manufactured by a known can container manufacturing process, 상기 상하판 제조시 캔용기의 상판을 제조하기 위한 상판프레스금형틀에 의해 프레싱하여 상판의 상면으로 요홈을 갖는 상판돌출부가 프레싱 성형되고,The upper plate protruding portion having a groov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is pressed by the upper plate press mold die for manufacturing the upper plate of the can container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upper and lower plates, 상기 상판돌출부의 요홈 위치와 동일한 위치의 하판 저면부측으로 돌출되는 하판돌부를 하판프레싱금형틀에 의해 프레싱 성형하여, 시밍공정에 의해 상판 및 하판이 보디몸체부 양단부에 각각 결합된 후, 적재시 캔용기 하판의 하판돌부가 타 캔용기의 상판돌출부내 요홈으로 삽입 고정, 적재 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적재가능한 구조를 갖는 캔용기.A lower plate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lower plate bottom face portion at the same position as the groove position of the upper plate projection is press-molded by the lower plate pressing die frame so that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ody body portion by the seaming process, And the lower plate of the lower plate of the container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groove of the upper plate projection of the tin can contain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내측으로 삼각형상의 요홈이 형성되는 삼각형상의 상판돌출부가 상판의 양측 모서리부에 돌출성형되고, 상기 삼각형상의 요홈 위치와 대응되는 하판의 양측 모서리 위치에서 삼각형상의 하판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다층 적재가능한 구조를 갖는 캔용기.And a triangular lower plate protrusion is formed at both side edge positions of the lower plate corresponding to the concave position on the triangle. Can container with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내측으로 원형홈이 형성되는 삼각형상의 상판돌출부가 상판의 각변으로 상호 대향되며 형성되고, 상기 원형홈의 위치와 대응되는 하판의 위치 하방으로 각각 원형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다층 적재가능한 구조를 갖는 캔용기.Wherein the upper plate protruding portions on the triangular side where the circular grooves are formed are formed so as to face each other by the sides of the upper plate and the circular protrusions are formed below the positions of the lower plate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circular grooves, Can contain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내측으로 원형홈이 형성되는 원형상의 상판돌출부가 상판 각 변에서 상호 대향되며 형성되고, 상기 원형홈의 위치와 대응되는 하판의 위치 하방으로 각각 원형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다층 적재가능한 구조를 갖는 캔용기.Wherein a circular top plate protruding portion having a circular groove formed inside is formed opposite to each other at the sides of the upper plate and a circular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below the position of the lower plat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circular groove, Can contain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내측으로 일측방 개방되는 결합홈을 형성하며 갈매기 또는 부메랑 형상의 상판돌출부가 상호 대향되며 돌출 성형되고,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기 위해 그 위치와 대응되는 하판 위치 하방으로 삼각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다층 적재가능한 구조를 갖는 캔용기.And a triangular protrusion is formed below the lower plat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gutter or the boomerang-like upper plate protrusions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A can container having a multilayer stackable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이격홈을 갖으며 평행한 직사각형상으로 돌출되는 한조의 상판돌출부가 상호 대향되며 상판에 돌출 성형되고, 상기 이격홈에 삽입되기 위한 직사각형상의 하판돌부가 이격홈의 각 위치에 대응하여 하판으로 하방으로 돌출성형되는 것을 포함하는 다층 적재가능한 구조를 갖는 캔용기.A pair of upper plate protrusions protruding in a parallel rectangular shape having spacing grooves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are protruded and formed on the upper plate, and a rectangular lower plate protrusion for inserting into the spacing groove is formed downward Wherein the can has a multilayer stackable structure. 제 1 항 내지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상기 상판으로 돌출되는 각 상판돌출부의 표면층과, 하판 하방으로 돌출되는 하방돌부의 표면층에 엠보싱, 요철부, 너어링부 중 어느 하나의 가공에 의해 그 표면층에 거칠기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층 적재가능한 구조를 갖는 캔용기.A surface layer of each of the upper plate projecting portions protruding from the upper plate and a surface layer of a lower projecting port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plate to form a roughness on the surface layer by embossing, Can container with structure.
KR10-2001-0052368A 2001-08-29 2001-08-29 The can-receptacle possibility carrying plural stratum structure KR1004297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368A KR100429705B1 (en) 2001-08-29 2001-08-29 The can-receptacle possibility carrying plural stratum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2368A KR100429705B1 (en) 2001-08-29 2001-08-29 The can-receptacle possibility carrying plural stratum structur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328U Division KR200270646Y1 (en) 2001-12-12 2001-12-12 The can-receptacle possibility carrying plural stratum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301A true KR20010106301A (en) 2001-11-29
KR100429705B1 KR100429705B1 (en) 2004-05-04

Family

ID=19713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2368A KR100429705B1 (en) 2001-08-29 2001-08-29 The can-receptacle possibility carrying plural stratum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970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193B1 (en) * 2005-02-01 2008-10-13 컨티넨탈 오토모티브 캐나다 인코퍼레이티드 An electrically operated emission gas recirculation control valve assembly and a method for assembling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644B1 (en) * 2011-11-25 2014-02-19 주식회사 승일 Can for facking and can system having the same
KR200469559Y1 (en) * 2013-01-25 2013-10-18 주식회사 대원금속캔 packing cans which is easy to sta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193B1 (en) * 2005-02-01 2008-10-13 컨티넨탈 오토모티브 캐나다 인코퍼레이티드 An electrically operated emission gas recirculation control valve assembly and a method for assembl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9705B1 (en) 2004-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3806B2 (en) Two component vertical sealing blister packaging
CN207791404U (en) Package sleeve and package
KR100882739B1 (en) Manufacturing device for square shape type necked in can vess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00308096A1 (en) Holster for stick electrodes
EP2810896B1 (en) Funnel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manufacturing packaging container using funnel component
CN108137181A (en) Anvil block and ultrasonic sealing device
US5954432A (en) Double pouch package
KR100429705B1 (en) The can-receptacle possibility carrying plural stratum structure
CN105636872A (en) Blank, method for producing an external packaging unit, and packaging system
CN208086241U (en) packaging material
KR200270646Y1 (en) The can-receptacle possibility carrying plural stratum structure
JP3648951B2 (en) Paper tray-like container assembly method and paper tray-like container manufacturing apparatus
JPH04253630A (en) Container made of paper laminated body as major constituent and its bottom pressing device
JP7314560B2 (en) package
KR101898446B1 (e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ackaging sheet
KR100942227B1 (en) A wrapping box with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7477255B2 (en) Pouch-type case mold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uch-type cases using the same
CN215044604U (en) Unitized heavy pallet packaging box
WO2021182145A1 (en) Pouch container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CA3107405A1 (en) Paper container
JP2019112135A (en) Double carton clip
WO2007091743A1 (en) The can-receptacle possibility carrying plural stratum structure
KR101008657B1 (en) metal can of press seaming end parts
JPH0872870A (en) Metal can
JP5248295B2 (en) Blister pack cover material and blister pack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