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5110A - Remote edu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Remote edu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5110A
KR20010105110A KR1020000027093A KR20000027093A KR20010105110A KR 20010105110 A KR20010105110 A KR 20010105110A KR 1020000027093 A KR1020000027093 A KR 1020000027093A KR 20000027093 A KR20000027093 A KR 20000027093A KR 20010105110 A KR20010105110 A KR 20010105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cture
data
terminal
server
for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70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민종
Original Assignee
박노영
주식회사 메트로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노영, 주식회사 메트로넷 filed Critical 박노영
Priority to KR1020000027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5110A/en
Publication of KR20010105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5110A/en

Links

Landscapes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 효율 및 사용자 편의성이 낮은 종래 원격 장치를 개선하기 위해서, 양방향 통신에 의해서 전통 강의에서 학습 효과를 증진시키던 요소, 예를 들어, 표정, 음성, 손짓 및 판서 등을 도입하고, 송수신되는 다양한 형식의 강의 데이터를 표준 데이터로 자동 변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학습 효율 및 사용자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발명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버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강사 단말 및 수강생 단말을 구비하며, 상기 강사 단말 및 수강생 단말은 각기, 동기화 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영상, 음성 및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강의 데이터를 입력 및 감지하는 수단과, 상기 동기화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강의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의 표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해서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형식 변환 및 전송 수단과, 상기 표준 데이터 형식의 강의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해서 상기 동기화 신호에 의거하여 원래의 영상, 음성 및 텍스트 데이터로 각각 변환하는 수신 및 형식 변환 수단으로 구성된다.In order to improve the conventional remote device having low learning efficiency and user convenience, 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s elements that enhance the learning effect in traditional lectures, such as facial expressions, voices, gestures, and writings, by two-way communication, and transmits and receives them. The invention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convert lecture data in various formats into standard data, thereby improving learning efficiency and user convenience.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instructor terminal and learner terminal connected to a server through a network, wherein the instructor terminal and the learner terminal each have means for generating a synchronization signal and at least one of video, audio and text data. Means for inputting and sensing lecture data comprising: a format conversion and transmission means for converting the lecture data into a standard data format of the network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and transmitting the lecture data to the server; and lecture data of the standard data format. And receiving and format converting means for receiving from the server and converting the original video, audio, and text data, respectively,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Description

원격 강의 시스템{REMOTE EDUCATION SYSTEM}Remote lecture system {REMOTE EDUCATION SYSTEM}

본 발명은 원격 강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사와 수강생 간에 멀티미디어 강의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원격 강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lectur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mote lecture system that allows a multimedia lecture to be performed in real time between a lecturer and a student.

공지된 바와 같이, 전통적으로 개인 학습이나 집합 교육(이하, '전통 강의'이라 칭함)에 의해서 이루어지던 학습 과정은,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 확대와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원격 강의에 의해서 보완되거나 아예 대체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이와 같은 원격 강의는 공간적, 시간적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운 장점으로 인해서 그 개발 및 사용이 가속화되는 추세에 있다.As is known, the learning process traditionally done by individual learning or collective edu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raditional lecture') is supplemented or completely complemented by remote lectures due to the expansion of personal computers and the development of network technology. The trend is being replaced. In particular, such remote lectures tend to be accelerated in their development and use due to advantages free from space and time constraints.

종래에 제안되었던 원격 강의(이하, '종래 원격 강의'라 칭함)는 통상적으로 강사가 텍스트로 작성된 교안을 서버 상에 업로드(up-load) 해 놓으면, 인증된 수강생은 그 서버에 접속해서 해당 교안을 다운 로드(down-load) 받아서, 인쇄된 출력물이나 컴퓨터 모니터 상으로 학습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ly proposed remote le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raditional remote lecture'), the instructor uploads a textbook written in text on the server, and the authenticated learner connects to the server. It was configured to download and download to a printed output or a computer monitor.

그러나, 종래 원격 강의는 전통 강의에서 얻을 수 있는 장점, 예를 들어, 표정, 음성, 손짓 및 판서 등을 통한 학습 효과를 얻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remote lecture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learning effect through the advantages obtained from the traditional lecture, for example, facial expressions, voice, gestures and writing.

강의의 주요 목적이 학습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이와 같은 문제점은, 시간적/공간적 자유로움이라는 원격 강의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전통 강의를 원격 강의로 대체하는 데 큰 제약이 되고 있다.Given that the main purpose of lectures is learning, this problem, despite the advantages of remote lectures in terms of temporal / spatial freedom, is a major limitation in replacing traditional lectures with remote lectures.

한편, 근래에 들어서 강사의 강의 내용을 녹음한 음성 강의가 도입되어 그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시도되고 있으나, 이 역시 일방향 강의로서, 전통 강의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와는 현저한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학습 내용중에서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있는 경우 그 이후에 진행되는 내용에 대한 이해가 어려운데도 불구하고, 일방적으로 강의는 진행된다. 이 경우, 그 이후에 진행된 학습에 대한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전자 우편(E-mail)이나 게시판 등에 질문을 업 로드(up-load)해서, 강사로부터 응답을 얻을 수 있다 하더라도, 그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서 학습 효과는 그다지 기대하기 어렵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voice lectures recorded by lecturers have been introduced to try to improve such problems, but this is also a one-way lecture, which is remarkably different from the effect that can be obtained from traditional lectures. For example, if there is a part of the content that is not understood, the lecture proceeds unilaterally even though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what is going on. In this case, the effects on the learning progressed thereafter are difficult to expect. In addition, even if a user uploads a question to an e-mail or a bulletin board and obtains a response from an instructor, the learning time is not expected to be very long due to the long time required.

다른 한편, 종래 원격 강의에서는 아래 한글 형식(.hwp)이나 MS 오피스 형식(.txt) 등 다양한 파일로 교재 또는 교안 등이 작성되고, 영상 및 음성 파일 형식도 MPEG, AVI, MP3, WAVE, RM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바, 강사측의 데이터를 수강생 측에서 원활히 수강하기 위해서는, 해당 강의 데이터를 다운 로드 받은 후, 그 다운 로드 받은 데이터의 형식에 대응하는 지원 프로그램을 구동해야만 영상, 음성 또는 텍스트를 지원받을 수 있다. 몇몇 형식의 경우 여러 프로그램에서 공통적으로 지원하기는 하지만, 단일 미디어(예를 들어, 음성, 텍스트)간에 이루어지며, 멀티 형식으로 통합되어 있지는 않으며, 그 지원하는 형식도 제한적이어서, 수강생이 완전한 강의를 수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컴퓨터의 사용에 미숙한 강사나 수강생의 경우에 그러한 문제점은 더욱 가중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remote lecture, textbooks or teaching materials are prepared in various files such as Korean format (.hwp) or MS office format (.txt) as below, and video and audio file formats such as MPEG, AVI, MP3, WAVE, RM As it is used in various ways, in order to take the instructor's data smoothly on the part of the instructor, the video, audio, or text is supported only after downloading the corresponding lecture data and running a support program corresponding to the downloaded data format. I can receive it. Although some formats are commonly supported by many programs, they are between single media (eg, voice, text), are not integrated into multiple formats, and the formats supported are limited, so students can complete the entire course. There was a problem that was difficult to take. In addition, the problem is further exacerbated in the case of instructors or students who are inexperienced in using a computer.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전통 강의에서 학습 효과를 증진 시키던 요소, 예를 들어, 표정, 음성, 손짓 및 판서 등을 도입하고 송수신되는 다양한 형식의 강의 데이터를 표준 데이터 형식으로 자동 변환하는 원격 강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ntroduced the elements that enhance the learning effect in traditional lectures, such as facial expressions, voices, gestures and writing, and the lecture data of various formats that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are standard data format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remote lecture system that automatically converts the data into the system.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버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강사 단말 및 수강생 단말을 통해서 원격으로 강의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강사 단말 및 수강생 단말은 각기, 동기화 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영상, 음성 및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강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과, 상기 동기화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강의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의 표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해서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형식 변환 및 전송 수단과, 상기 표준 데이터 형식의 강의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해서 상기 동기화 신호에 의거하여 원래의 영상, 음성 및 텍스트 데이터로 각각 복원하는 수신 및 형식 복원 수단을 포함하는 원격 강의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ystem for remotely lecturing through one or more instructor terminal and the student terminal connected to the server through a network, the instructor terminal and the student terminal, respectively, means for generating a synchronization signal Means for inputting lecture data comprising at least one of video, audio, and text data; and format conversion and transmission for converting the lecture data into a standard data format of the network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and transmitting the lecture data to the server. Means and receiving and format restoring means for receiving lecture data in the standard data format from the server and restoring the original video, audio, and text data, respectively,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강의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mote lectu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강의(또는 수강생) 단말 구성을 상세 도시한 블록 구성도,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details of a lecture (or student) terminal configuration illustrated in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강의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lectur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다른 원격 강의 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원격 강의 과정의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remote lecture process performed in a remote lectur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강의 단계(S 400)에서 진행되는 상세 과정의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detailed processes performed in the lecture step S 400 of FIG. 4.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강의 서버 110 : 저장부100: lecture server 110: storage unit

200 : 강사 단말 210, 310 : 동기화 신호 발생부200: lecturer terminal 210, 310: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or

220, 320 : 형식 변환 및 전송부 230, 330 : 수신 및 형식 복원부220, 320: format conversion and transmission unit 230, 330: reception and format restoration unit

240 : 데이터 입력 및 감지부 250 : 출력부240: data input and detection unit 250: output unit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강의 시스템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s 1 to 4, a representative embodiment of a remote lectur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실시예1Example 1

본 실시예는 도 1 및 도 2와 관련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따른 원격 강의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강의(또는 수강생) 단말 구성을 상세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This embodiment is related to FIGS. 1 and 2, and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mote lectu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lecture (or student) terminal configuration shown in FIG. 1. It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 detail.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원격 강의 시스템은, 강의 서버(100), 강사 단말(200), 수강생 단말(300/1, 300/2, …, 300/n) 및 네트워크(400)로 이루어지며, 그 개별 구성 및 기능은 다음과 같다.First, referring to FIG. 1, the remote lectur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cture server 100, a lecturer terminal 200, student terminals 300/1, 300/2,..., 300 / n, and a network 400. It consists of, its individual configuration and function is as follows.

본 실시예에서, 강의 서버(100), 강사 단말(200), 수강생 단말(300/1, 300/2, …, 300/n)은 컴퓨터 또는 전용 단말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400)는 랜이나 인터넷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lecture server 100, the instructor terminal 200, the student terminal (300/1, 300/2, ..., 300 / n) may be composed of a computer or a dedicated terminal device, the network 400 May be configured as a LAN or the Internet.

서버(100)는 원격 강의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110)를 구비하며, 수강생의 등록 및 인증, 인증된 수강생의 단말과 강의 단말(200) 간의 접속 제어 등을 수행한다.The server 100 includes a storage unit 110 that stores programs and various data for operating a remote lecture system, and registers and authenticates students, and controls access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lecture terminal 200 of the authenticated students. Do this.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강사 단말(200) 및 수강생 단말(300/1, 300/2, …, 300/n)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그 구성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instructor terminal 200 and the student terminals 300/1, 300/2, ..., 300 / n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nd the configuration is shown in FIG.

도 2를 참조하면, 강사 단말(200) 및 수강생 단말(300/1, 300/2, …, 300/n)은 각기 동기화 신호 발생부(210), 형식 변환 및 전송부(220), 수신 및 형식 복원 부(230), 데이터 입력 및 감지부(240) 그리고 출력부(250)를 포함한다. 이때, 형식 변환 및 전송부(220), 수신 및 형식 복원부(230)는 통합된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고, 서로 연계해서 동작하는 형식 변환 장치와 데이터 송수신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2, the instructor terminal 200 and the student terminal (300/1, 300/2, ..., 300 / n) is a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or 210, a format conversion and transmission unit 220, receiving and It includes a format recovery unit 230, a data input and detection unit 240 and the output unit 250. In this case, the format conversion and transmission unit 220 and the reception and format recovery unit 230 may be configured as an integrated device, or may be configured as a format conversion device and 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that operate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동기화 신호 발생부(210)는, 후술하는 데이터 입력 및 감지부(240)에서 각기 발생되는 영상, 음성 및 텍스트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화 신호를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는, 현장감을 살리고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강의하는 강사의 표정, 몸짓, 판서 내용 등의 영상 데이터, 강사의 강의 내용에 대한 음성 데이터, 참고 자료 및 교재로서 제공될 수 있는 텍스트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그와 같은 표정, 몸짓, 판서 내용 등과 강사의 목소리 및 판서 내용등을 일치시키기 위해서 동기화 신호가 사용된다.Th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or 210 generates a synchronization signal for synchronizing video, audio, and text data generated by the data input and detection unit 24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nhance the sense of realism and enhance the learning effect, one of the text data that can be provided as video data, such as facial expressions, gestures, written content of the lecturer, audio data about the lecture contents of the lecturer, reference materials and teaching materials It is comprised so that the above may be included,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image data and audio data are included. At this time, a synchronization signal is used to match such expressions, gestures, written content, etc. with the instructor's voice and written content.

형식 변환 및 송신부(220)는, 후술하는 데이터 입력 및 감지부(240)에서 각기 발생되는 영상, 음성 및 텍스트 데이터, 예를 들어, 상술한 동기화 신호 발생부(210)에서 발생된 동기화 신호를 다중화해서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표준 데이터 형식, 예를 들어, HTML과 같은 웹언어로 변환한 후, 통상적인 전송 방식에 의거하여 네트워크(400)를 통해서 강의 서버(100)로 제공한다.The format conversion and transmission unit 220 multiplexes the video, audio and text data generated by the data input and detection unit 240 to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th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ed by th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or 210 described above. After converting to a standard data format used in the network, for example, a web language such as HTML, it is provided to the lecture server 100 through the network 400 in accordance with a conventional transmission method.

한편, 수신 및 형식 복원부(230)는, 네트워크(400)를 통해서 강의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강의 데이터를 상술한 형식 변환 및 송신부(220)의 동작을 역으로 수행하여, 원래의 영상, 음성 및 텍스트 데이터로 복원한다. 즉, 수신된 강의 데이터를 역다중화하여 동기화 신호, 영상, 음성 및 텍스트 데이터로 분리하고, 그 분리된 영상, 음성 및 텍스트 데이터를 복조 및 오류 정정과 복호화를 통해서 원래의 영상, 음성 및 텍스트 데이터로 복원한 후, 그 복원된 신호를 동기화 신호에 의거하여, 각기 해당 출력부(250)로 제공한다.Meanwhile, the reception and format restoration unit 230 reversely performs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of the format conversion and transmission unit 220 on the lecture data received from the lecture server 100 through the network 400, thereby reconstructing the original image, Restore to voice and text data. In other words, the received lecture data are demultiplexed and separated into synchronization signals, video, audio, and text data, and the separated video, audio, and text data are decoded into original video, audio, and text data through demodulation, error correction, and decoding. After the restoration, the restored signal is provided to the corresponding output unit 250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이와 같은 방식으로, 형식 변환 및 송신부(220) 그리고 수신 및 형식복원부(230)에 의해서 모든 입력 데이터가 자동으로 변환되어 강의 서버(100)로 제공되고, 강의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자동으로 영상, 음성 및 텍스트로 변환된 후, 출력부(250)로 출력되기 때문에, 컴퓨터에 숙련되지 않은 사람일 지라도 용이하게 원격 강의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In this manner, all input data is automatically converted by the format conversion and transmission unit 220 and the reception and format restoration unit 230 to the lecture server 100, and the data received from the lecture server 100 is Since it is automatically converted to video, audio, and text, and then output to the output unit 250, even those who are not skilled in the computer can easily use the remote lecture system.

데이터 입력 및 감지부(240)는 영상을 포착하여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화상 카메라, 음성을 감지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마이크, 문자 및 기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나 마우스 또는 디지타이저 등(도시하지 않음)으로 구성된다.The data input and detection unit 240 captures an image and converts the image data into image data, a microphone that detects and converts the voice into voice data, a keyboard, a mouse or a digitizer for inputting characters and symbols, and the like (not shown). It is composed of

출력부(250)는, 텍스트, 기호 및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모니터,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output unit 250 includes a monitor for displaying text, symbols, and images, a speaker for outputting audio, and the like.

한편, 통상적으로 강사는 한 명인데 비하여 수강생은 다수로 이루어지므로, 강사 단말(200)에는 다수의 수강생을 하나 이상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멀티 화면 구현 장치가 부가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멀티 화면으로 표시되는 다수의 수강생 중에서 질의 메시지 또는 응답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수강생에 대해서 수신되는 영상만을 하나의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 선택 수단을 더 부가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re are typically one instructor but a large number of students, it may be desirable to add a multi-screen realization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students on one or more screens. In addition, when receiving a query message or a response request message among a plurality of students displayed on the multi-screen, selection means configured to display only the image received for the learner on one full screen may be further added.

실시예 2Example 2

도 1 및 도 2와 비교해서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원격 강의 시스템은, 실시예 1에 따른 원격 강의 시스템의 강사 단말(200) 및 수강생 단말(300/1,300/2,..., 300/n)에 구비된 형식 변환 및 전송부(220), 수신 및 형식복원부(230)가 강의 서버(100)에 탑재된다.Referring to FIG. 3 in comparison with FIGS. 1 and 2, the remote lectur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instructor terminal 200 and the student terminals 300 / 1,300 / 2, .. The format conversion and transmission unit 220 and the reception and format restoration unit 230 provided at 300 / n are mounted on the lecture server 100.

실시예 1에서는 형식 변환 및 전송부(220)와 수신 및 형식 복원부(230)가 개별 단말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각 단말에서는 본 발명을 응용한 다른 서버로부터의 서비스를 개별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자동 형식 변환을 강의 서버(100)에서 지원하므로 별도의 장치 또는 프로그램을 개별 단말마다 탑재하지 않고도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강의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format conversion and transmission unit 220 and the reception and format restoration unit 230 are provided in individual terminals, each terminal may be individually provided with services from other server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lecture server 100 supports automatic format conversion,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a remote lectur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without having to install a separate device or program for each terminal.

즉, 동기화 신호에 의거하여 강의 단말(200)이나 수강생 단말(300/1,300/2,...,300/n)에서 제공되는 강의 데이터가 강의 서버(100)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형식 변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당업자라면 상술한 실시예 1의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본 실시예의 구성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at is, the lecture data provided by the lecture terminal 200 or the student terminal 300 / 1,300 / 2, ..., 300 / n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is configured to be automatically converted by the lecture server 100. ha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easily understand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by referring to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1,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만, 실시예 1에서는 데이터 송수신 전에 수행되는 통상의 데이터 압축 과정 및 신장 과정이 형식 변환 전송부(220), 수신 및 형식 복원부(230)에서 수행되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형식변환 및 전송부(320), 수신 및 형식 복원부(330)가 강의 서버(100)에 탑재되는 바, 그와 같은 데이터 압축 및 신장 과정은 개별 단말기에 전형적으로 구비되는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해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However, in the first embodiment, the normal data compression process and the decompression process performed befor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re performed by the format conversion transmitter 220, the reception and format restoration unit 230,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ormat conversion and transmission unit ( 320, the receiving and format recovery unit 330 is mounted on the lecture server 100, such data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process will be performed by a data processing device typically provided in the individual terminal.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강의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본 시스템에서 원격 강의가 이루어지는 과정의 일예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a remote lecture is performed in the present system will be described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remote lectur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강의 시스템에서 원격 강의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강의 단계(S 400)에서 진행되는 상세 과정의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remote lecture is performed in the remote lectur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etailed process performed in the lecture step S 400 illustrated in FIG. 4.

본 원격 강의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강사와 수강생간의 강의 시간에 대한 약속이 정해져 있어야 되고, 유료인 경우에는 수강 신청, 대금 납입을 통한 수강 등록이 이루어져야 한다. 물론, 강의 진행 중에도 참여할 수 있고, 해당 강의 사이트와 수강생 단말의 동기화를 통해서 오프라인 상에서의 강의도 가능하다.In order for this remote lecture to be carried out in real time, appointments for the lecture time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students must be set, and in the case of a paid fee, the course registration must be made through the course registration and payment. Of course, you can participate while the course is in progress, and offline lectures are also possible through synchronization of the course site and the student's terminal.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특정 서퍼가 네트워크(400)를 통해서 해당 강의 사이트를 제공하는 강의 서버(100)에 접속하면(S 100), 강의 서버(100)는 내부의 저장부(110)로부터 등록된 서퍼(이하, 수강생이라 칭함)인 지를 판정한다(S 200).Referring to FIG. 4, when a specific surfer first connects to a lecture server 100 providing a corresponding lecture site through the network 400 (S 100), the lecture server 100 registers from an internal storage unit 110.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surf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tudent) has become (S200).

S 200 단계에서 수강생이라고 판정되면, 강의 서버(100)는 수강생이 등록한 강의를 제공하는 강사 단말(200)과 그 수강생의 수강생 단말(300)을 접속한다(S 300). 이때, S 200 단계에서 수강생이 아니라고 판정되면 강의 서버(100)는 별도의 안내 메시지를 서퍼의 단말로 발송해서 수강 신청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을 것이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 200 that the learner, the lecture server 100 connects the instructor terminal 200 providing the lecture registered by the learner and the student's terminal 300 of the student (S 300). 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udent is not a student in step S 200, the lecture server 100 may send a separate guide message to the terminal of the surfer may check whether or not to register.

S 300 단계에서와 같이 강사 단말(200)과 수강생 단말(300)이 접속한 상태에서, 강의가 진행되고, 그 강의 내용은 수강생 단말(300)에 저장된다(S 400). 즉, 강사 단말(200)과 수강생 단말(300) 간의 데이터 송수신 및 개별적인 데이터 처리에 의해서, 강사의 동영상 및 판서 내용들이 수강생 단말(300)에 부가된 모니터(도시 생략함)에 표시되고, 음성 강의 내용이 스피커(도시 생략됨)로 출력되며, 그 데이터는 수강생 단말(300)에 부가된 저장부(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에 저장된다. 또한, 다수의 수강생에 대한 동화상이 멀티 화면 또는 다수의 페이지로 강사 단말(300)에 표시되고, 수강생의 질문 내용은 선택적으로 강사 단말(300)에 표시/출력된다. 그 과정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In the state where the instructor terminal 200 and the student terminal 300 are connected as in step S 300, the lecture proceeds, and the contents of the lecture are stored in the student terminal 300 (S 400). That is, the video and writing contents of the instructor are displayed on the monitor (not shown) added to the student terminal 300 by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data processing between the instructor terminal 200 and the student terminal 300, and the voice lecture The content is output to a speaker (not shown), and the data is stored in a storage unit (for example, a hard disk) added to the student terminal 300. In addition, moving images of a plurality of learners are displayed on the instructor terminal 300 on a multi-screen or a plurality of pages, and the questions of the learners are selectively displayed / outputted on the instructor terminal 300. The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먼저, S 300 단계에서 강사 단말(200)과 수강생 단말(300)이 접속되면, 강사의 동영상, 음성, 텍스트 등의 강의 데이터는 강사 단말(200)의 데이터의 입력 및 감지부(240)에서 감지 및 입력된 후, 개별 미디어 형식의 강의 데이터(예를 들어, MPEG2로 압축된 동영상 데이터, MP3로 압축된 음성 데이터, hwp 데이터 등)로 처리된다(S 410). 그 개별 강의 데이터는, 형식 변환 및 송신부(220)에서 동기화 신호에 대응하여 표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된 후 네트워크(400)를 통해서 송신된다. 이때, 동기화 신호는 동기화 신호 발생부(210)에서 제공된 것으로서, 동영상 및 음성 그리고 텍스트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위해서 동기화 신호 발생부(210)로부터 발생된다(S 420). 그와 같이 송신된 강의 데이터는 네트워크(400)를 통해서 강사 단말(200)에 접속된 다수의 수강생 각각의 수신 및 형식 복원부(230)에서 수신된 후, 역다중화되어 원래의 개별 신호로 복원되어 출력 수단(250)으로 제공된다. 즉, 동영상, 텍스트 및 음성 데이터로 분리되어 표시 장치 및 음성 출력 장치로 제공된다(S 430). 출력 수단(250)에서는 수신 및 형식 복원부(230)로부터 제공받은 개별 데이터를 신호 처리하여 각기 표시 또는 출력한다. 이때, 각각의 데이터는 동기화 신호에 의거하여 표시 또는 출력된다(S 440).First, when the instructor terminal 200 and the student terminal 300 is connected in step S 300, lecture data such as video, voice, text, etc. of the instructor is detected by the input and detection unit 240 of the instructor terminal 200. And after input, it is processed as lecture data (for example, video data compressed in MPEG2, audio data compressed in MP3, hwp data, etc.) in an individual media format (S410). The individual lecture data is converted by the format conversion and transmission unit 220 into a standard data format in response to a synchronization signal, and then transmitted through the network 400. In this case, the synchronization signal is provided by th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or 210 and is generated from the synchronization signal generator 210 to synchronize the video, voice, and text data (S420). The lecture data transmitted as described above is received by the receiving and format restoring unit 230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tudents connected to the instructor terminal 200 through the network 400, and then demultiplexed and restored to the original individual signal. To the output means 250. That is, the video, text, and voice data are separated and provided to the display device and the voice output device (S430). The output unit 250 processes the individual data received from the reception and format restoration unit 230 to display or output the respective data. At this time, each data is displayed or output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S440).

S 440 단계가 진행되는 중에 멀티 화면으로 표시되는 수강생 중 특정 수강생의 질문 표시를 보고 강사가 자신의 단말(200)에 구비된 입력 수단(240)을 조작하여, 특정 수강생을 선택하면(S 450), 강사 단말(200)에 부가된 선택 수단(도시 생략함)은 수신 및 형식 복원부(230)에서 제공되는 다수 수강생의 강의 데이터중에서 해당 수강생 단말(300/1)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만을 선택적으로 출력 수단(250)에 제공한다(S 460). 유의할 점은, 이 단계에서 다른 수강생 단말(300/2∼300/n)에는 강사 단말(200)에서 송신되는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제공되고 있어야 한다.If the instructor manipulates the input means 240 included in his terminal 200 while viewing the question display of a specific student among the students displayed on the multi-screen during step S 440 (S 450). The selecting means (not shown) added to the instructor terminal 200 selectively outputs only a signal provided from the corresponding student terminal 300/1 among the plurality of students' lecture data provided by the receiving and format restoring unit 230. Provided to the means 250 (S 460). Note that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instructor terminal 200 should be continuously provided to the other student terminals 300/2 to 300 / n at this stage.

상술한 S 460 단계에서, 질의 응답이 완료되어 강사가 자신의 단말(200)에 구비된 입력 수단(240)을 조작하여 특정 수강생에 대한 선택을 해제하면(S 470), 강사 단말(200)에 부가된 선택 수단(도시 생략함)은 원래대로 전체 수강생(300/1∼300/2)으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출력 수단(250)으로 제공하여 S 440 단계로 복귀한다.In the above-described step S460, when the question and answer is completed and the instructor manipulates the input means 240 provided in his terminal 200 to release the selection for a particular student (S470), the instructor terminal 200 The added selection means (not shown) returns the signal provided from the entire students 300/1 to 300/2 to the output means 250, and returns to step S440.

다시 도 4로 돌아와서, 상술한 S 400 단계가 진행되는 도중 강의가 종료하면, 강사는 강사 단말(200)의 입력 수단(240)을 조작해서 접속 종료 메시지를 강의 서버(100)로 송신하고(S 500), 강의 서버(100)는 강의 서버(100)와 그 강의 서버(100)에 접속된 전체 수강생(300/1∼300/2)의 접속을 종료한다(S 600).4 again, when the lecture ends during the above-described step S400, the instructor operates the input unit 240 of the instructor terminal 200 to transmit a connection termination message to the lecture server 100 (S). 500, the lecture server 100 terminat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lecture server 100 and all students 300/1 to 300/2 connected to the lecture server 100 (S 600).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터넷 등을 통하여 원격교육을 받고자 하는 사용자 편의성을 증진시키면서, 원격 강의에서 이루어지는 학습 효과도 크게 향상시킬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기대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expected that the learning effect made in the remote lecture can be greatly improved while improving the user convenience of receiving the distance education through the Internet.

Claims (4)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버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강사 단말 및 수강생 단말을 통해서 원격으로 강의하는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system to remotely lecture through one or more instructor terminal and student terminal connected to the server through the network, 상기 강사 단말 및 수강생 단말은 각기,The instructor terminal and the student terminal, respectively, 동기화 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Means for generating a synchronization signal, 영상, 음성 및 텍스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강의 데이터를 입력 및 감지하는 수단과,Means for inputting and sensing lecture data comprising at least one of video, audio and text data; 상기 동기화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강의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의 표준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해서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형식 변환 및 전송 수단과,Format conversion and transmission means for converting the lecture data into a standard data format of the network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lecture data to the server; 상기 표준 데이터 형식의 강의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해서 상기 동기화 신호에 의거하여 원래의 영상, 음성 및 텍스트 데이터로 각각 변환하는 수신 및 형식 변환 수단Receiving and format converting means for receiving lecture data of the standard data format from the server and converting the lecture data into original video, audio, and text data based on the synchronization signal, respectively; 을 포함하는 원격 강의 시스템.Remote lecture system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형식 변환 및 전송 수단과 수신 및 형식 변환 수단은,The format conversion and transmission means and the reception and format conversion means, 상기 강의 단말 및 수강생 단말 대신에 상기 서버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강의 시스템.Remote lectur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mounted on the server in place of the lecture terminal and the student terminal. 제 1 항 또는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서버는,The server, 상기 강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원격 강의 시스템.The remote lecture system further comprises a storage for storing the lecture data.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원격 강의 시스템의 강사 단말에는,In the instructor terminal of the remote lecture system, 강사의 키 입력에 대응해서 상기 감지 및 입력 수단에서 발생되는 조작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다수의 수강생 단말중 어느 하나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만을 수신하도록 하는 선택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강의 시스템.And a selecting means for receiving only data provided from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tudent terminals based on an operation signal generated by the sensing and input means in response to a key input of the instructor.
KR1020000027093A 2000-05-19 2000-05-19 Remote education system KR2001010511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093A KR20010105110A (en) 2000-05-19 2000-05-19 Remote edu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7093A KR20010105110A (en) 2000-05-19 2000-05-19 Remote educ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110A true KR20010105110A (en) 2001-11-28

Family

ID=45813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7093A KR20010105110A (en) 2000-05-19 2000-05-19 Remote edu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5110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294A (en) * 2000-07-21 2002-01-30 이태호 Browser for internet education system having function of real time correction
KR100466709B1 (en) * 2002-02-06 2005-01-15 사가대학교 learning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8294A (en) * 2000-07-21 2002-01-30 이태호 Browser for internet education system having function of real time correction
KR100466709B1 (en) * 2002-02-06 2005-01-15 사가대학교 learn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tchman et al. Information technology enhanced learning in distance and conventional education
Wilkerson et al. Ubiquitous presenter: increasing student access and control in a digital lecturing environment
US5833468A (en) Remote learning system using a television signal and a network connection
US6408315B1 (en) Computer-based training system using digitally compressed and streamed multimedia presentations
WO2018227761A1 (en) Correction device for recorded and broadcasted data for teaching
JP2004336364A (en) Live program method of sng network active studio and its system
CN104539436A (en) Lesson content real-time live broadcasting method and system
CN104540026A (en) Lesson content video recoding and replaying method and system
CN104408983A (en) Recording and broadcasting equipment-based intelligent teaching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WO2019019406A1 (en) Teaching recording data updating device
TW201044331A (en) Interactive teaching system
KR20010096407A (en) Bidirectional Real-time Studying-Paper Guiding System between Remote Distances Using LAN or Internet and Method thereof
TW589848B (en) Personal computer classroom system using video phone
JP2008096482A (en) Receiving terminal, network learning support system, receiving method, and network learning support method
KR20010056342A (en) Effective user interfaces and data structure of a multi-media lecture, and a system structure for transferring and management of the multi-media lecture for distance education in computer networks
KR101198091B1 (en) Method and system for learning contents
JP2004333525A (en) Bidirectional communication system, server, electronic lecture method, and program
JPH09222847A (en) Remote lecture system method
US200302020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low-bit rate distributed slide show presentation
KR20020018907A (en) Realtime lecture recording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a files thereof
KR20010105110A (en) Remote education system
Abler et al. Distributed engineering education: evolution of the telecollaboration stations for individualized distance learning
Friedland et al. Educational multimedia systems: the past, the present, and a glimpse into the future
CN107749203A (en) A kind of teaching, training cut-in method
JP2022000771A (en) Learning control method and lear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