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5040A - Display combin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Display combining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5040A
KR20010105040A KR1020000026708A KR20000026708A KR20010105040A KR 20010105040 A KR20010105040 A KR 20010105040A KR 1020000026708 A KR1020000026708 A KR 1020000026708A KR 20000026708 A KR20000026708 A KR 20000026708A KR 20010105040 A KR20010105040 A KR 20010105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ain body
light
connection member
suppor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67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08045B1 (en
Inventor
강희종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26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045B1/en
Publication of KR20010105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50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045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8Use of optical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체와 이 본체로부터의 화상신호를 입력받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에 설치되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연결부재와; 연결부재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장착부를 가지며, 연결부재의 착탈방향을 제1축으로 하여 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지지유니트; 및 지지부재와 지지유니트 각각에 상호 대응되게 마련되며, 장착시 광을 이용하여 화상신호를 전송하는 광콘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가 개시된다.A display coupling structure capable of detachably coupling a main body and a display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image signals from the main body, the display coupling structure comprising: a connection member mounted to the display and detach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A support unit having a mounting portion to which the connection member is inserted and mounted, the support unit being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with a detachable direc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as a first axis; And an optical connector provid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support unit and transmitting an image signal using light when mounted.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Display combining structure}Display combining structur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본체에 대해 디스플레이를 착탈할 수 있도록 된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coupling structure of an electronic product having a display,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coupling structure of an electronic product that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display body.

일반적으로, 노트북 컴퓨터, 웹 비디오 폰,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와 같이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 가능한 전자제품은 본체와 디스플레이가 일체화되어 있다.In general,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having a display, such as a notebook computer, a web video phone, a digital video camera, have a main body and a display.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제품의 일 예인 노트북 컴퓨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노트북 컴퓨터는 컴퓨터 시스템을 내장하고 있는 본체(1)와, 이 본체(1)로부터의 화상신호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3)를 구비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notebook computer which is an example of an electronic product having a conventional display. As shown, the notebook computer has a main body 1 incorporating a computer system and a display 3 for displaying an image in accordance with an image signal from the main body 1.

상기 본체(1)에는 조작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CD-ROM, 모뎀 및 LAN카드 등의 주변장치 및, 오디오를 제공할 수 있는 음향장치 등이 결합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3)는 본체(1)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화상형태로 출력하는 출력장치의 하나로, 본체(1)의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리본형 케이블(5)에 의해 본체(1)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The main body 1 is combined with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and a mouse for inputting an operation command, peripheral devices such as a hard disk drive, a CD-ROM, a modem and a LAN card, and an audio device for providing audio. Is installed. The display 3 is an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ain body 1 in the form of an image. The display 3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1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ed with the main body 1 by a ribbon cable 5. Electrically connect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제품은 디스플레이(3)가 본체(1)에 직접 힌지결합되어 있고, 리본형 케이블(5)을 통해 본체(1)와 디스플레이(3) 사이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본체(1)에 대한 디스플레이(3)의 분리가 불가능하였다. 즉, 본체 또는 디스플레이의 불량이 발생하거나 수명이 다된 경우, 또는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디스플레이를 사용자가 직접 교체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리본형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다.In the electronic product having the display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3 is hinged directly to the main body 1, and the main body 1 and the display 3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ribbon cable 5. It was not possible to separate the display 3 relative to the body 1. That is, when the main body or the display is defective or the end of life, or if you want to change the size of the display, the user can not replace the display directly. In addition, the ribbon cable is exposed to the outside, which is not aesthetically good.

또한, 종래의 디스플레이는 본체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힌지결합만 되어 있어 열린상태에서의 회전은 불가능하다. 때문에 화면의 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해서는 본체 자체의 자세를 바꿔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display is only hinged to be opened and clos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it is impossible to rotate in the open state. Therefore, in order to change the orientation of the screen, it is inconvenient to change the posture of the main body itself.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체에 대해 디스플레이가 착탈가능하고, 본체상에서 교차하는 두 축 각각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된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display coupling structure in which a display is detachable with respect to a main body and is rotatable about each of two axes intersecting on the main body.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제품의 일 예로 노트북 컴퓨터를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notebook computer as an example of an electronic product having a conventional display.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분리사시도.Figure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lay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부분 절개 분리사시도.Figure 3 is a partial incision separation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Figure 2 extracted.

도 4는 도 3의 하우징을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housing of FIG.

도 5는 도 2에서 본체에 디스플레이를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단면도.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mounting a display to the main body in FIG.

도 6은 도 2에서 본체의 요부를 발췌해 보인 평면도.6 is a plan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main body in FIG.

도 7은 도 3의 광콘넥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FIG. 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optical connector of FIG. 3. FIG.

도 8은 본체에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play is coupled to a main body.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0..본체 20..디스플레이10. Main unit 20. Display

30..연결부재 31..힌지부30. Connecting element 31. Hinge

33..결합부 40..지지유니트33. Coupling part 40. Support unit

41..하우징 43..트러스트 베어링41 .. Housing 43. Thrust bearing

51..발광소자 53..투광창51. Light emitting element 53. Floodlight

60..광콘넥터 70..발광모듈60. Optical connector 70. Light emitting module

71..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 73..제1홀더71. Laser array 73. First holder

75..제1전극 80..수광모듈75. First electrode 80. Light receiving module

81..포토 다이오드 어레이 83..제2홀더81..Photodiode array 83..Second holder

85..제 2전극 91..메인전원85. Second electrode 91. Main power supply

93..보조전원 95..구동부93. Auxiliary power supply 95. Driving par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는, 본체와 이 본체로부터의 화상신호를 입력받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장착부를 가지며, 상기 연결부재의 착탈방향을 제1축으로 하여 상기 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지지유니트; 및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유니트 각각에 상호 대응되게 마련되며, 장착시 광을 이용하여 화상신호를 전송하는 광콘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in the display coupling structure that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the display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image signal from the main body, is installed in the display, A connection member detach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A support unit having a mounting portion to which the connection member is inserted and mounted, the support unit being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with a detachable direc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as a first axis; And an optical connector provid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support unit and transmitting an image signal by using light when moun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isplay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는, 본체(10)에 대해 디스플레이(20)를 상호 교차하는 제1축(y)과 제2축(x) 각각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결합구조체는 디스플레이(20)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2축(x)에 대해 상호 상대회동되는 연결부재(30)와, 본체(10)에 마련되는 지지유니트(4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2, the display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otate about each of the first axis y and the second axis x that cross the display 2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To combine. The coupling structure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30 hinged to the display 20 to be relative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axis x, and a support unit 40 provided on the main body 10.

상기 연결부재(30)는 디스플레이(20)에 힌지결합되는 힌지부(31)와, 상기 지지유니트(40)에 착탈가능한 결합부(33)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부(33)는 힌지부(31)로부터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지지유니트(40)에 대응되는 일면이 개방된 통형의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결합부(33)의 외주에는 상기 지지유니트(40)와의 결합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33a)이 형성되어 있다.The connection member 30 includes a hinge portion 31 hinged to the display 20 and a coupling portion 33 detachable from the support unit 40. The coupling part 33 extends from the hinge part 31 and is integrally formed, and has a cylindrical structure in which on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unit 40 is open. In addition, a guide groove 33a for guiding engagement with the support unit 40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upling part 33.

상기 지지유니트(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33)가 장착되는 하우징(41)과, 트러스트베어링(43)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41)은 본체(10) 내의 프레임(1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41)의 하단에는 상기 프레임(11)에 결합시 탄성변형되고, 결합후에는 탄성변형되어 하우징(41)의 이탈을 방지하는 후크(4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41)은 상기 결합부(33)가 삽입되어 장착가능하도록 상단이 개방된 장착부(41b)를 갖는다. 이러한 하우징(41)은 상기 제1축(y)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되며, 이를 위해 상기 트러스트베어링(43)이 하우징(41)과 프레임(11) 사이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장착부(41b)에 안착된 연결부재(30)는 하우징(41)과 함께 회동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20)는 상기 본체(10) 상에서 제1축(y)과 제2축(x) 각각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된다.As shown in FIG. 3, the support unit 40 includes a housing 41 on which the coupling part 33 is mounted, and a thrust bearing 43. The housing 41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frame 11 in the main body 10. To this end, a lower end of the housing 41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coupled to the frame 11, and after the coupling, a hook 41a is formed to prevent detachment of the housing 41. In addition, the housing 41 has a mounting portion 41b whose top is open to allow the coupling portion 33 to be inserted therein. The housing 41 is rotatable about the first axis y, and for this purpose, the thrust bearing 43 is installed between the housing 41 and the frame 11. By this configuration, the connecting member 30 seated on the mounting portion 41b is rotatable together with the housing 41. Thus, the display 20 is rotatable about the first axis y and the second axis x on the body 10.

한편, 상기 연결부재(30)와 지지유니트(40)의 결합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수단으로, 하우징(41)의 내벽에 설치된 가이드레일(42)과 상기 결합부(33)에 형성된 가이드홈(33a)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레일(42)은 가이드홈(33a)에 대응되도록 제1축(y)에 나란하게 형성되어 장착시 가이드홈(33a)에 슬라이딩 삽입된다.On the other hand, the guide means for guiding the coupling of the connection member 30 and the support unit 40, the guide rails (42)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41 and the guide groove (33a)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33) ). The guide rail 42 is formed parallel to the first axis (y) to correspond to the guide groove (33a) is slidingly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33a) when mounted.

또한, 디스플레이(20)의 상기 제1축(y)에 대한 회동위치를 표시할 수 있도록 위치표시수단이 더 구비된다. 이 위치표시수단은 지지유니트(40)에 마련된 발광소자(51)와 지지유니트(40) 주위에 설치된 투광창(53)을 구비한다. 상기 발광소자(51)는 하우징(41)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그 하우징(41)과 함께 회전되면서 본체(10) 외측으로 광을 조사한다. 이와 같이 조사된 광을 본체(10) 외측에서 사용자가 관측할 수 있도록 조사된 광이 투과되도록 마련된 것이 상기 투광창(53)이다. 따라서, 이 투광창(53)은 발광소자(51)의 회동반경에 대응되도록 원형으로본체(10)에 설치된다.In addition, the position display means is further provided to display the rotation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s (y) of the display 20. The position display means includes a light emitting element 51 provided in the support unit 40 and a light transmission window 53 provided around the support unit 40. The light emitting device 51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41,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housing 41 to irradiate light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The light emitting window 53 is provided so that the irradiated light is transmitted so that the user can observe the irradiated light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Therefore, the light-transmitting window 53 is provided in the body 10 in a circular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the turning radius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51.

계속해서, 상기 디스플레이(20)를 제1축(y)을 기준으로 회동시키기 위해 외력을 가했을 경우에만 하우징(41)이 회동되고, 외력이 없을 경우에는 자유회전되는 것을 억제시키기 위한 클릭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클릭수단은 하우징(41)과 프레임(11) 사이에 설치된 클릭볼(61)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1)의 배면에 형성된 클릭홈(41c)을 구비한다. 상기 클릭볼(61)은 프레임(11)에 위치고정되어 하우징(41)과의 접촉시 구름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클릭홈(41c)은 클릭볼(61)에 대응되는 위치에 원주방향으로 인입형성되며, 하우징(41)이 불연속적으로 회전되도록 예컨대 엠보싱형상이 연속된 구조를 갖는다.Subsequently, the housing 41 is rotated only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rotate the display 20 relative to the first axis y, and click means for suppressing free rotation when there is no external force is further provided. It is preferred to be provided. The click means includes a click ball 61 provided between the housing 41 and the frame 11 and a click groove 41c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41, as shown in FIG. The click ball 61 is fixed to the frame 11 to make a rolling motion when in contact with the housing 41. The click groove 41c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lick ball 61,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embossing shape is continuous such that the housing 41 is discontinuously rotated.

상기 구성에 있어서, 연결부재(30)와 지지유니트(40) 각각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장착시 광을 이용하여 화상신호를 전송하는 광콘넥터(60)가 구비된다. 상기 광콘넥터(60)는 하우징(41)의 장착부(41b) 내에 설치된 발광모듈(70)과, 이 발광모듈(70)에 대응되도록 결합부(33) 내에 설치된 수광모듈(80)을 구비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optical connector 60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connecting member 30 and the support unit 40 and transmits an image signal using light when mounted. The optical connector 60 includes a light emitting module 70 installed in the mounting portion 41b of the housing 41 and a light receiving module 80 installed in the coupling portion 33 so as to correspond to the light emitting module 70.

상기 발광모듈(7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신호에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71)와, 이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71)를 지지한 채 장착부(41) 내에 고정된 제1홀더(73)를 구비한다.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71)는 제1홀더(73)의 단부로부터 소정깊이에 몰입된 위치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다수의 레이저 다이오드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5, the light emitting module 70 includes a laser diode array 71 for irradiating light independently according to a driving signal, and a mounting portion 41 while supporting the laser diode array 71. A fixed first holder 73 is provided. The laser diode array 71 is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t a position immersed in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end of the first holder 73,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aser diodes.

상기 수광모듈(80)은 수광된 입사광을 각각 독립적으로 광전변환하는 포토 다이오드 어레이(81)와, 이 포토 다이오드 어레이(81)가 지지되며 상기 결합부(33)내에 설치되는 제2홀더(83)를 구비한다. 포토 다이오드 어레이(81)는 다수의 포토 다이오드로 구성되며, 제2홀더(83)의 단부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장착시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81)에 소정 간격 이격된 채 마주하게 된다.The light receiving module 80 includes a photodiode array 81 that independently photoelectrically converts received incident light, and a second holder 83 supported by the photodiode array 81 and installed in the coupling part 33. It is provided. The photodiode array 81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hotodiodes and is installed to be exposed at the end of the second holder 83 so as to face the laser diode array 81 at predetermined intervals.

또한, 상기 발광모듈(70)과 수광모듈(80) 각각에는 장착시 디스플레이(20)와 본체(10) 사이에 전원연결을 위한 전원콘넥터가 더 구비되어 있다. 이 전원콘넥터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홀더(73)의 인입부(73a)에 탄성변형 가능하게 설치된 제1단자(75)와, 이 제1단자(75)에 대응되도록 제2홀더(83)에 설치된 제2단자(85)를 구비한다. 이 제2단자(85)는 장착시 상기 인입부(73a)에 삽입되어 제1단자(75)에 탄력적으로 접속된다. 이러한 전원콘넥터의 접속과, 상기 각 모듈(70,80)의 결합은 장착시 상기 가이드수단에 의해 가이드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단자(75)는 본체(10)로부터 디스플레이(20)로 전력공급을 위해 마련된 한 쌍의 제1메인단자(75a)와,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71)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 한 쌍의 제1보조단자(75b)를 구비한다. 상기 제1메인단자들(75a) 중 어느 하나는 본체(10)에 마련된 메인전원(91)에 연결되며, 나머지 하나는 그라운드부(미도시)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보조전극들(75b) 중 어느 하나는 본체(10)의 보조전극(93)에 연결되며, 나머지 하나는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71)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9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In addition, each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70 and the light receiving module 80 is further provided with a power connector for power connection between the display 20 and the main body 10 when mounted.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power connector corresponds to the first terminal 75 elastically deformable at the inlet portion 73a of the first holder 73 and the first terminal 75. The second terminal 85 provided in the second holder 83 is provided. The second terminal 85 is inserted into the lead portion 73a at the time of mounting and is elast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75. The connection of the power connector and the coupling of the respective modules 70 and 80 are guided by the guide means when mounted. In addition, the first terminal 75 supplies a pair of first main terminals 75a provided for power supply from the main body 10 to the display 20, and power for driving the laser diode array 71. A pair of first auxiliary terminals 75b provided for the purpose is provided. One of the first main terminals 75a is connected to a main power source 91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and the other of the first main terminals 75a is connected to a ground part (not shown). One of the first auxiliary electrodes 75b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electrode 93 of the main body 10, and the other of the first auxiliary electrodes 75b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er 95 for driving the laser diode array 71. do.

또한, 상기 제2단자(85)는 상기 제1메인단자(75a)에 대응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제2메인단자(85a)와, 상기 제1보조단자(85b)에 대응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제2보조단자(85b)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2메인단자(85a) 각각은디스플레이(10)에 마련된 소정의 전력공급경로로 연결되며, 제2보조단자(85b)는 장착시 보조전원(93)과 구동부(95)가 통전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장착시 본체(10)와 디스플레이(20) 사이의 전원이 연결됨과 동시에, 구동부(95)로 전력이 공급되어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71)가 구동된다. 반면에, 분리시에는 각 메인전극(75a,85a)이 단락됨으로써 본체(10)와 디스플레이(20) 사이의 전원이 끊기게 되고, 이와 동시에 각 보조전극(75b,85b)이 단락됨으로써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71)의 구동이 중지된다. 따라서, 분리시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71)에서 조사되는 광을 차단시켜 사용자의 안전을 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terminal 85 may include a pair of second main terminals 85a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main terminal 75a and a pair of second installed terminal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uxiliary terminal 85b. Two auxiliary terminals 85b are provided. Here, each of the second main terminals 85a is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power supply path provided in the display 10, and the second auxiliary terminal 85b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uxiliary power source 93 and the driving unit 95 when mounted.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it. Therefore, when the power source is connected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display 20 at the time of mounting, power is supplied to the driving unit 95 to drive the laser diode array 71. On the other hand, during separation, the main electrodes 75a and 85a are short-circuited to cut off power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display 20, and at the same time, the auxiliary electrodes 75b and 85b are short-circuited to cut off the laser diode array ( 71) is stopped. Therefor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aser diode array 71 at the time of separation can be blocked to ensure the safety of the user.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의 착탈동작 및 사용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Detachable operation and use method of the display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디스프레이(20)를 본체(10)에 장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연결부재(30)가 힌지결합된 디스플레이(20)와 상기 지지유니트(40)가 설치된 본체(10)를 준비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33)의 가이드홈(33a)과 가이드레일(42)을 상호 대응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결합부(33)를 하우징(41)의 장착부(41b) 쪽으로 밀어넣는다. 그러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33a)이 가이드레일(42)에 가이드되어 진입되고, 결합부(33)는 장착부(41b)에 억지끼워짐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71)와 포토 다이오드 어레이(81)는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마주하게 위치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전극(75)과 제2전극(85)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라서, 이러한 상태가 되면 디스플레이(20)로의 전력공급이 가능하게 되고, 구동부(95)로의 전력공급이 가능하여 레이저 다이오드어레이(71)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20)가 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20)는 상기 하우징(41)에 의해 제1축(y)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되며, 힌지부(31)에 의해 제2축(x)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된다. 그리고, 제1축(y)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20)를 회동시킬 때는 회전된 각도만큼 발광소자(51)의 위치도 이동되므로, 투광창(53)을 통해 투과되는 발광소자(51)의 광을 확인하여 그 회동각도를 알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20)는 상기 클릭수단의 마찰력에 의해 제1축(y)에 대한 자유로운 회동이 억제되고 외력을 가했을 경우에만, 일정한 회동각도씩 이동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20)를 상호 교차하는 두축(x,y) 각각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됨으로써, 디스플레이(20)의 자세를 자유롭게 조정하여 사용자뿐 만 아니라 제3자에도 디스플레이(20)의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First, in order to mount the display 20 on the main body 10, a display 20 in which the connection member 30 is hinged and a main body 10 in which the support unit 40 is installed are prepared. As shown in FIG. 5, the coupling part 33 is mounted to the mounting part 41b of the housing 41 in a state in which the guide groove 33a and the guide rail 42 of the coupling part 33 ar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To the side. Then, as shown in Figure 8, the guide groove 33a is guided to enter the guide rail 42, the engaging portion 33 is engaged by being fitted to the mounting portion (41b). In addition, the laser diode array 71 and the photodiode array 81 are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first electrode 75 and the second electrode 85 are electrically connected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in this state,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display 20, and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driving unit 95 to drive the laser diode array 71. In this state in which the display 20 is mounted on the main body 10, the display 20 is rotatable about the first axis y by the housing 41, and by the hinge part 31. It is rotatable about the second axis x. When the display 20 is rotated about the first axis y, the position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51 is also moved by the rotated angle, so that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51 transmitted through the light transmission window 53 is moved. Check the angle of rotation can be known. In addition, the display 20 is moved by a predetermined rotational angle only when free rotation about the first axis y is suppressed by the frictional force of the click means an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this way, by being able to rotate about each of the two axes (x, y) intersecting the display 20, the posture of the display 20 can be freely adjusted to provide a screen of the display 20 not only to the user but also to a third party. can do.

한편, 디스플레이(20)를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장착시의 반대방향으로 연결부재(30)를 하우징(41)으로부터 뽑아내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디스플레이(20)가 본체(10)로부터 분리되면, 상술할 바와 같이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71)는 구동이 중단되어 더 이상 광을 조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71)에서 조사되는 광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20)가 분리되면, 다른 크기의 디스플레이(20) 등을 자유롭게 교체하여 장착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isplay 20 is to be separated, the connecting member 30 may be pulled out of the housing 41 in the opposite direction when the display 20 is mounted. When the display 20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 in this manner, the laser diode array 71 stops driving as described above and no longer emits ligh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user from the light emitted from the laser diode array 71. Then, when the display 20 is separated, it is possible to freely replace and mount the display 20 having a different siz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에 따르면, 본체에 대해 디스플레이의 착탈이 용이하므로, 해상도가 보다 좋거나 화면크기가 큰 디스플레이로 교체할 수 있고 휴대가 간편하다.According to the display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isplay can be easily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main body, the display can be replaced with a display having a better resolution or a larger screen size and is easy to carry.

또한, 본체 또는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에 불량이 발생하거나 수명이 다된 경우 손쉽게 교환할 수 있고. 광을 이용하여 화상신호를 전송함으로 전자파 발생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if any one of the main unit or the display is defective or the end of life, can be easily replaced. By using the light to transmit the image signal it can reduce the gener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또한, 본체에 대해 디스플레이를 상호 교차하는 두축 각각에 대해 회동이 가능하므로, 디스플레이의 자세를 자유롭게 취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In addition, since the rotation of the two axes intersecting the display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is possible, it is convenient because the posture of the display can be freely taken.

Claims (13)

본체와 이 본체로부터의 화상신호를 입력받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에 있어서,A display coupling structure capable of detachably coupling a main body and a display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image signals from the main body, 상기 디스플레이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연결부재와;A connection member installed on the display and detach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상기 연결부재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장착부를 가지며, 상기 연결부재의 착탈방향을 제1축으로 하여 상기 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지지유니트; 및A support unit having a mounting portion to which the connection member is inserted and mounted, the support unit being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with a detachable direc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as a first axis; And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유니트 각각에 상호 대응되게 마련되며, 장착시 광을 이용하여 화상신호를 전송하는 광콘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And an optical connector provid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support unit and transmitting an image signal using light when moun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니트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upport unit,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출입을 위해 일면이개방되어 형성된 상기 장착부를 가지는 통형의 하우징과;A tubular housing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the tubular housing having one side of which is open for access of the connecting member; 상기 하우징과 상기 본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을 상기 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트러스트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And a thrust bearing install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main body to rotatably support the housing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유니트의 결합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Display coupling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 guide means for guiding the coupling of the connection member and the connection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guide means, 상기 연결유니트에 상기 제1축방향으로 나란하도록 형성된 가이드레일과;A guide rail formed to be parallel to the connection unit in the first axial direction;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응되도록 상기 연결부재에 형성되어 장착시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And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connection member so as to correspond to the guide rail and slidingly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when the guide rail is mount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동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위치표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And a position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displa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표시수단은,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osition display means, 상기 지지유니트에 설치되어 함께 회동되며,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소자; 및A light emitting device installed on the support unit and rotated together to irradiate light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상기 발광소자의 회동반경에 대응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조사된 광이 투과되어 상기 본체 외부로 향하도록 하는 투광창;를 포함하여,A light transmission window installed on the main body so as to correspond to a rotation radius of the light emitting element, and a light transmitting window for transmitting irradiated light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상기 투광창을 통과한 광을 식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회동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And a light passing through the floodlight window to identify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disp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콘넥터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ptical connector, 구동신호에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어레이를 가지며, 상기 지지유니트의 장착부 내에 설치되는 발광모듈; 및A light emitting module having a laser diode array for irradiating light independently according to a driving signal, the light emitting module being installed in a mounting portion of the support unit; And 수광된 입사광을 각각 독립적으로 광전변환하는 포토 다이오드 어레이를 가지며, 장착시 상기 발광모듈에 커풀링되어 함께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에 설치되는 수광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And a photodiode array having a photodiode array for photoelectrically converting the received incident light, each of which is installed on the connection member so as to be coupled to the light emitting module and rotatable together when mounted.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본체에 장착시 상호간에 전원을 연결시키기 위한 전원콘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And a power connector for connecting power to each other when the display is mounted to the main bod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콘넥터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ower connector, 상기 발광모듈에 탄성변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단자와;A first terminal installed elastically on the light emitting module; 상기 제1단자에 대응되도록 상기 수광모듈에 설치되며, 장착시 상기 제1단자에 탄력적으로 접속되는 제2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And a second terminal installed on the light receiving module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terminal and elast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when moun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member,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1축에 대해 교차하는 제2축을 중심으로 상호 상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힌지부와;A hinge portion hingedly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about a second axis intersecting the display and the first axis; 상기 힌지부에 결합되며 상기 장착부에 삽입결합되어 상기 제1축에 대해 회동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And a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hinge part and inserted into the mounting part and pivoted about the first shaft.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기 두 축 각각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And the display can be rotated independently about each of the two axes.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힌지부와 상기 결합부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And the hinge portion and the coupling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제1축에 대해 자유회전되지 않도록 마찰력을 제공하고, 회전시 비연속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클릭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And a click means for providing a frictional force so that the connection member does not freely rotate about the first axis and to rotate discontinuously upon rota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릭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licking means, 상기 연결수단과 상기 지지유니트 사이에 설치된 클릭볼과;A click ball installed between the connecting means and the support unit; 상기 연결유니트의 배면에 원주방향으로 상기 클릭볼은 수용하도록 엠보싱형으로 연속되게 인입형성된 클릭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결합구조체.And a click groove continuously formed in the embossing type to accommodate the click ball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nnection unit.
KR1020000026708A 2000-05-18 2000-05-18 Display combining structure KR1006080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708A KR100608045B1 (en) 2000-05-18 2000-05-18 Display combin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708A KR100608045B1 (en) 2000-05-18 2000-05-18 Display combining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040A true KR20010105040A (en) 2001-11-28
KR100608045B1 KR100608045B1 (en) 2006-08-02

Family

ID=41750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6708A KR100608045B1 (en) 2000-05-18 2000-05-18 Display combining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804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038B1 (en) * 2002-08-29 2009-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Detachable keyboard device of a portable computer system
WO2014003705A1 (en) * 2012-06-25 2014-01-03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ctronic displays interchangeable with different entiti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545B1 (en) 2007-11-30 2010-07-12 주식회사 메디슨 Portable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having a display part swiveabl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210Y1 (en) * 1995-05-09 1998-12-15 구자홍 Lcd monitor for camcorder
JPH11305870A (en) * 1998-04-27 1999-11-05 Hitachi Ltd Docking station device
JP2000056859A (en) * 1998-06-15 2000-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connection structure for electronic product
KR100286976B1 (en) * 1998-10-07 2001-07-12 윤종용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odule employed therei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038B1 (en) * 2002-08-29 2009-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Detachable keyboard device of a portable computer system
WO2014003705A1 (en) * 2012-06-25 2014-01-03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ctronic displays interchangeable with different entit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8045B1 (en) 200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13465B2 (en) Display assembly structure for electronic products
KR100611957B1 (en) display combining structure for a electronic product
JP3519554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EP1418488B1 (en) Assembly structure of display of electronic appliance
KR100636120B1 (en) Display combining structure for a electronic product
JP2004508599A (en) Optical hinge device
WO2001037558A1 (en) Head-mounted display system
JP2005315902A (en) Optical connector
KR100608045B1 (en) Display combining structure
US20040080496A1 (en) Optical cursor control device
JP2007243357A (en) Transmitter
CN216057251U (en) Television security structure and security television thereof
KR20040061723A (en) camera apparatus of mobile-terminal
JP2005286901A (en) Folding-type portable device
CN110596642A (en) Signal receiving mechanism, traceable head-mounted display device and positioning system
JP2016143018A (en) Optical transmitter, optical receiver and optical fiber
JPH0452823A (en) Personal computer
CN218038437U (en) Folding assembly and terminal equipment
CN213718115U (en) Projection device
CN221043054U (en) Camera module and display device
KR20130079152A (en) Display apparatus
JP3869113B2 (en) Foldable hand scanner
US20110177851A1 (en) Rotatable cell phone
KR100462590B1 (en) Structure for coupling display of electronic device
JPH09244774A (en) Electronic device having optical communication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