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4993A - Voice output keyboard - Google Patents

Voice output key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4993A
KR20010104993A KR1020000026549A KR20000026549A KR20010104993A KR 20010104993 A KR20010104993 A KR 20010104993A KR 1020000026549 A KR1020000026549 A KR 1020000026549A KR 20000026549 A KR20000026549 A KR 20000026549A KR 20010104993 A KR20010104993 A KR 20010104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output
voice
computer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65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우협
Original Assignee
정우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협 filed Critical 정우협
Priority to KR1020000026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4993A/en
Publication of KR20010104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4993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27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input arrangement with other functional units of a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하고 운영하는 대표적인 입력장치인 키보드의 음성출력에 관한 것으로써, 더 상세하게는 기존에 일반키보드의 발전은 기본적인 형식에 있는 키보드와 사용자의 편리성과 건강을 위한 인체공학용 키보드와 같은 키보드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리성과 건강을 고려한 키보드의 발전은 어느 정도 단계에 이르렀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output of a keyboard, which is a representative input device for configuring and operating a computer system. More specifically, the development of a conventional keyboard is a keyboard in a basic form and an ergonomic keyboard for user convenience and health. There is a keyboard like this.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he keyboard considering the user's convenience and health has reached a certain stage.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을 운영하는 대표적인 입력장치인 키보드에 음성을 출력할 수 있는 칩과 스피커를 내장하여 키보드의 자판을 누를 때마다 해당 자판의 음을 음성으로 출력해 준다. 영문 자판을 입력할 경우 알파벳 하나하나의 음을 스피커로 출력해 주거나 조합된 알파벳이 단어를 이루게 되면 단어를 음성으로 출력해 준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built-in chip and a speaker that can output voice on a keyboard, which is a representative input device for operating a computer system, and outputs the sound of the corresponding keyboard as a voice whenever the keyboard is pressed. In case of inputting English keyboard, the sound of each letter is output through speaker or when the combined letters form a word, sound is output.

한글의 경우 한글에 자음과 모음이 있기 때문에 이것을 조합한 문자음을 들려준다.In the case of Hangeul, Hangeul has consonants and vowels.

또한, 키보드상에 나타나있는 기능키와 기호를 나타내는 자판들은 각각 불려지는 명칭을 음성으로 들려준다. 이렇게 컴퓨터 입력장치인 키보드를 통해 음성으로 들려줌으로써, 기존에 일부 소프트웨어에서만 지원하던 음성 출력 기능에 의존하여 컴퓨터를 사용했던 시각장애인들에게 큰 도움을 주게 된다. 키보드 자판을 두드리면 바로 입력했던 내용을 키보드에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해 줌으로써, 컴퓨터 출력장치인 모니터 화면을 볼 수 없는 시각장애인들이 음성을 출력해 주는 키보드를 의지하여 컴퓨터를 운영할 수 있게 하는데 큰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unction keys and keyboards that appear on the keyboard sound spoken names. By speaking through the keyboard, which is a computer input device, it is very helpful for the visually impaired who use the computer by relying on the voice output function that was previously only supported by some software. By tapping the keyboard, the inputted contents are output by voice through the built-in speaker so that the visually impaired who can't see the monitor screen, which is a computer output device, can operate the computer by relying on the keyboard to output the voice. There is a big advantage to this.

Description

음성 출력 키보드{.}Voice Output Keyboard {.}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하고 운영하는 대표적인 입력장치인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써, 더 상세하게는 직사각형의 기본적인 형태의 키보드와 사용자의 편리성과 건강을 위한 인체공학용 키보드와 같이 단순히 입력만을 위한 키보드들이 현재의 키보드 발전사이다. 좀 더 효과적으로 자팜을 두드리거나 사용자의 편안함을 위해 자판 배열이나 자판의 형태를 바꿔는 식의 변화만 이루워 졌다. 쉽게 얘기해서 모양이나 자판의 배열만 바뀌었지 단순히 입력장치 이상의 기능을 생각하지 않았던 것이다. 이러함 때문에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로 입력한 데이터를 모니터와 같은 출력장치로 볼 수 없는 시각장애인들은 모니터를 볼 수 있는 시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과 같은 키보드를 사용하게 되어 있어 컴퓨터를 운영하는데 시각장애인들의 컴퓨터 사용에 단순 입력장치로써의 기능을 하는 키보드는 많은 어려움가 문제점을 주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board which is a representative input device for constructing and operating a computer system. More specifically, keyboards for only input are present, such as a rectangular basic type keyboard and an ergonomic keyboard for user convenience and health. Is a keyboard developer. Only changes were made to tap the palm or change the layout of the keyboard or the shape of the keyboard for the user's comfort. To put it simply, the shape and layout of the keyboard changed, but I didn't think much more than just an input device. Because of this, visually impaired people who cannot see the data input by input devices such as keyboards can use the same keyboards as those who have vision to see the monitors. A keyboard that functions as a simple input device for use has many difficulties.

상기와 같은 단점을 좀 더 보완하고 컴퓨터 사용자에 있어 컴퓨터 시스템 출력장치인 모니터를 보면서 컴퓨터 작업을 할 수 없는 시각장애인들이 스스로 입력한 자판의 데이터들을 키보드 속에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듣게 해 줌으로써, 시각장애인 스스로가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키보드를 통해 입력한 데이터의 정보를 사람의 귀를 통해 듣게 해 준다.By supplementing the above shortcomings and allowing the computer user to visually input the keyboard data input by the visually impaired who can not work while looking at the monitor which is the computer system output device through the speaker built in the keyboard, It allows the visually impaired to hear the information of the data entered through the human ear through the keyboar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 입력장치인 키보드에 사운드 출력을 위한 칩과 스피커를 컴퓨터 내부에 장착한다. 그 다음 컴퓨터 시스템에 키보드를 연결하고 전원을 키보드에 공급한다. 전원이 공급된 키보드는 그때부터 컴퓨터 시스템 운영 체제의 실행과 상관없이 음성 출력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운영 체제가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운영체제가 지원하는 언어와 2개이상의 언어변환 상태에 맞춰 키보드의 자판을 누를 때마다 문자음을 들려준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mounts a chip for outputting sound and a speaker inside a computer to a keyboard which is a computer system input device. Then connect the keyboard to the computer system and supply power to the keyboard. From then on, the powered keyboard can function as a voice output regardless of the computer system operating system.In the state that the operating system is running, the keyboard of the keyboar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language supported by the operating system and two or more languages. Every time you press, you hear a lette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사용 방법을 상술 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method of use according to the invention.

컴퓨터 시스템에 키보드를 연결하고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음성 키보드의 기능은 시작된다. 음성 출력 키보드는 글자 단위와 단어 단위의 설정 방법을 통해 음성 출력을 할 수 있다. 음성 키보드의 동작은 컴퓨터 시스템 운영체제인 Windows XX, 유닉스, 리눅스, 매킨토시등의 운영체제의 실행이나 동작과 상관없이 음성 출력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운영 체제가 실행되고 운영되는 있는 사이에도 음성 출력 기능을 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키보드는 영문자판을 기준으로 음성을 출력하게 되는데 운영 체제가 실행되기 전에 글자 단위로 출력하는 설정상태의 경우에는 키보드에 문자형 키인 'A'라는 자판을 누르면 음성으로 'A'라는 음성을 출력하고 'B'라는 자판을 누르면 음성으로 'B'라는 음성을 출력한다. 숫자의 경우 '3'을 누르면 '3'이라고 음성을 출력한다. 기호를 나타내는 키 '%'나 '!'키는 그 기호를 부르는 고유 명칭을 음성으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는 '퍼센트', '!'는 '느낌표'로 음성 출력한다. 또 다른 설정 방법인 단어 단위로 출력하는 설정상태로 해 놓으면 'S', 'O', 'U', 'N', 'D'란 단어를 입력한다면, 'S', 'O', 'U', 'N', 'D'를 다 입력하고 키보드의 스페이스 키를 입력하면 'SOUND"란 단어를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S', 'O', 'U', 'N', 'D'를 다 입력하고 스페이스 키를 치지 않고 있으면 키보드에 내장된 사운드 칩에 저장되어 있는 단어와 일치하는 값을 검색하여 일치하는 단어 'SOUND'를 음성으로 출력해 준다. 문자형이나 숫자형 키가 아닌 기능키를 입력할 경우 글자 단위나 단어 단위 설정에 상관없이 'F1'자판을 누르면 'F1'이란 음성을 출력하고 'Shift'키를 누르면 'Shift'란 음성을 출력하고 'HOME'자판을 누르면 'HOME'이란 음성을 출력하게 된다. 'Num Lock', 'Caps Lock', 'Scroll Lock'키와 같이 설정과 해제를 하는 토글키들은 설정과 해제를 구분할 수 있도록 'Num Lock'키를 입력하여 설정하면 'Num Lock ON'을 한번 더 키를 입력하여 해제하면 'Num Lock OFF'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운영 체제가 실행된 상태에서의 음성 키보드의 동작은 운영 체제가 지원 하는 언어에 따라 다르겠지만, 한글과 영문을 지원하는 운영 체제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컴퓨터 시스템 운영체제가 영문 입력 상태에 있을 때 음성 출력 키보드가 글자 단위로 설정된 상태에서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A'는 'A'를 'F1'은 'F1'이란 음성을 출력한다. 한편 운영 체제가 한/영 변환 기능에 의해 한글 입력 상태가 되면 2벌식이나 3벌식 형식의 한글 자판 형식에 따라 자음이나 모음 하나를 입력해서는 음성으로 출력이 안되고글자를 이루었을 때 음성으로 출력한다. 'ㄱ'만 쳐서는 안되고 'ㅏ'나 'ㅗ'가 왔을 때 '가'나 '고'란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단어 단위로 설정된 상태에서는 상기의 단어 단위 설정 상태의 예와 마찬가지로 '음', '성'이란 단어를 입력한다면, '음', '성'을 다 입력하고 키보드의 스페이스 키를 입력하면 '음성"이란 단어를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음', '성'을 다 입력하고 스페이스 키를 치지 않고 있으면 키보드에 내장된 사운드 칩에 저장되어 있는 단어와 일치하는 값을 검색하여 일치하는 단어 '음성'을 음성으로 출력해 준다. 숫자나 기호를 나타내는 키는 글자나 단어 단위 설정에 상관없이 '3'은 '3', '15'를 입력해도 '1', '5'로 음성 출력하고 기호를 나타내는 키 '%'나 '!'키는 그 기호를 부르는 고유 명칭을 음성으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는 '퍼센트', '!'는 '느낌표'로 음성 출력한다. 문자형이나 숫자형이 아닌 기능키는 상기 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음성을 출력하게 된다.Connect and power the keyboard to the computer system. With the power on, the function of the voice keyboard starts. The voice output keyboard may output voice through a method of setting a character unit and a word unit. The operation of the voice keyboard can function as a voice output regardless of the execution or operation of the computer system operating systems such as Windows XX, Unix, Linux, and Macintosh. It also functions as a voice output while the operating system is running and running. Basically, the keyboard outputs the voice based on the English keyboard. In the case of the setting state that outputs by character before the operating system is executed, the keyboard outputs the voice of 'A' by pressing the letter 'A' key on the keyboard. And press 'B' to output the voice 'B'. In the case of numbers, pressing '3' outputs the voice as '3'. The key representing the symbol '%' or '!' Produces a phonetic name for the symbol. For example, '%' is spoken as 'percent' and '!' As 'exclamation mark'. Another setting method is outputting by word unit. If you set the word 'S', 'O', 'U', 'N', 'D', 'S', 'O', 'U' Type ',' N ',' D 'and the space key on your keyboard to read the word' SOUND 'as a spoken word or use' S ',' O ',' U ',' N ', or' D '. If you do not press the space key after typing, the search for a value that matches the word stored in the sound chip built into the keyboard and outputs the matching word 'SOUND' by voice. When typing, regardless of the character unit or word unit setting, if you press the 'F1' keyboard, it will sound 'F1', if you press the 'Shift' key, it will sound 'Shift' and if you press the 'HOME' keyboard, it will display 'HOME' Toggle keys such as 'Num Lock', 'Caps Lock' and 'Scroll Lock' keys can be set to use the 'Num Lock' key to distinguish between on and off. If input is set, 'Num Lock ON' is pressed once more and the key is released, 'Num Lock OFF' is output as a voice, and the operation of the voice keyboard while the operating system is running is supported by the language supported by the operating system. For example, an operating system that supports Korean and English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When the computer system operating system is in the English input state and the audio output keyboard is set to characters, as above, 'A' is 'A'. 'F1' outputs a voice called 'F1.' 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ing system enters Hangul input by Korean / English conversion function, it is necessary to input one consonant or vowel depending on the Korean keyboard type of 2 beol or 3 beol type. When the letters are formed, the sound is output when the letter is formed. In the state set in units, as in the example of the word unit setting state above, if the words 'sound' and 'last name' are inputted, the words 'sound' and 'last name' are inputted, and if the space key of the keyboard is entered, If you output a word as a voice, or if you type 'voice' or 'last name' without hitting the space key, you can search for a value that matches the word stored in the keyboard's built-in sound chip. Print it out. Regardless of the letter or word unit setting, numbers representing numbers or symbols are spoken as '1' or '5' even if '3' or '15' is input. 'Key outputs the unique name calling the symbol. For example, '%' is spoken as 'percent' and '!' As 'exclamation mark'. Function keys that are not alphanumeric or numeric will output voice in the same way as the above example.

상기 예에서 상술한 것과 같이 키보드 자체에 내장된 음성 출력 사운드 칩과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가 자판을 입력하는 동시에 자판에 해당하는 문자음을 음성으로 출력해 줌으로써, 시각장애인이 일부 컴퓨터 소프트웨어 운영에서만 가능했던 음성 출력을 키보드 자체에서 해줌으로 운영 체제나 응용 프로그램의 기능적인 제한 없이 키보드의 입력 내용을 음성으로 출력하므로 시각장애인이 컴퓨터를 운영하는데 좀 더 쉽고 편리하게 해 주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the above example, the voice output sound chip and speaker built in the keyboard itself allow the user to input the keyboard at the same time and output a character sound corresponding to the keyboard. The voice output is made by the keyboard itself, so the input contents of the keyboard are output as voice without functional limitations of the operating system or application program, which makes it easier and more convenient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operate the computer.

Claims (1)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입력장치인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써, 키보드에 음성 출력 칩과 스피커를 내장하여 키보드를 두드릴 때마다 해당하는 키의 문자음을 키보드에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을 운영하는 운영 체제와 상관 없이 동작할 수 있으며 운영 체제가 실행된 후에는 프로그램이 지원하는 언어 선택에 따라 키보드에서도 언어에 맞는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글자 한자 단위로 음성 출력하는 설정과 단어 단위로 음성 출력하는 설정을 하여 모니터와 같은 컴퓨터 출력장치를 볼 수 없는 시각장애인들이 컴퓨터를 사용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는 음성 출력 키보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board, which is a representative input device constituting a computer system, and has a voice output chip and a speaker built into the keyboard so that a character sound of a corresponding key is spoken through the speaker built into the keyboard whenever the keyboard is knocked. Outpu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operate regardless of an operating system operating a computer system, and after the operating system is executed, a voice suitable for a language is output from a keyboard according to a language selection supported by a program. In addition, the voice output keyboard helps the visually impaired people who cannot see the computer output devices such as monitors to use the computer by setting the voice output in the unit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 voice output in the unit of words.
KR1020000026549A 2000-05-17 2000-05-17 Voice output keyboard KR2001010499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549A KR20010104993A (en) 2000-05-17 2000-05-17 Voice output key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549A KR20010104993A (en) 2000-05-17 2000-05-17 Voice output keyboar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4993A true KR20010104993A (en) 2001-11-28

Family

ID=45813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6549A KR20010104993A (en) 2000-05-17 2000-05-17 Voice output keybo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499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8020A (en) * 2003-12-29 2005-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Control panel apparatus having embossment on ke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8020A (en) * 2003-12-29 2005-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Control panel apparatus having embossment on ke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6903B1 (en) Input-output device for alphabets of selected languages through hangul
JPH1115584A (en) Character input system by keyboard and electronic equipment
JPH06102979A (en) One handed keyboard
KR100579814B1 (en) Character Inputting System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0336493B1 (en) Expanded telephone keypad system accepting Korean characters
KR19990039862A (en) How to use phone number plate and input keyboard
KR100683338B1 (en) Method for inputing Hangul in a mobile station
KR20010104993A (en) Voice output keyboard
JPS63278114A (en) Japanese language input system by relative vowel method
KR100450587B1 (en)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data
KR100373330B1 (en) Method for korean character inpu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0276288A (en) Portable terminal
KR100373332B1 (en) Method for korean character inpu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28691B1 (en) korean language input system and mehtod thereof
KR20020012823A (en)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a character conversion button
KR200217167Y1 (en) A device of displaying the upper character, codes and marks on keyboard by double-times consecutive typing with mode-switching function in computer
JP3110695B2 (en) Key input device
KR100404339B1 (en) Hangul character array and input apparatus thereof
JP3072312U (en) One-handed operation keyboard for information equipment
JP2001075708A (en) Key input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japanese
JP3130693B2 (en) Japanese mixed sentence input device for personal computer
KR20000042959A (en) Hangul input apparatus and method to which telephone keyboard is attached
JP2009515272A (en) Character input method
JP2666590B2 (en) A character input device
JP2002229721A (en) Simplified character input apparatus based on japanese syllable no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