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4952A - 응급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응급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4952A
KR20010104952A KR1020000026305A KR20000026305A KR20010104952A KR 20010104952 A KR20010104952 A KR 20010104952A KR 1020000026305 A KR1020000026305 A KR 1020000026305A KR 20000026305 A KR20000026305 A KR 20000026305A KR 20010104952 A KR20010104952 A KR 20010104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information
medical
medical institution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6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욱배
Original Assignee
황욱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욱배 filed Critical 황욱배
Priority to KR1020000026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4952A/ko
Publication of KR20010104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495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컴퓨터를 이용한 응급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원이 응급 상황에 처한 경우, 미리 저장된 회원의 의료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의료 기관 데이터베이스 등을 이용하여 회원 환자를 신속히 적절한 의료 기관으로 이송하고 응급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등록된 회원이 응급 상황에 처한 경우에 양방향 호출기와 같은 응급 호출 수단을 단순히 버턴 조작하는 것에 의해, 응급 관리 센터에서 응급 호출한 회원의 신분 및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응급 의료 서비스가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전에 응급 의료 관리 센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등록된 회원의 의료 정보 및 의료 기관 정보 등을 활용하여, 의료 기관으로의 초기 이송 단계 및 의료 기관에서의 응급 치료 단계에서부터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응급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mergency medical service}
본 발명은 등록된 회원에게 응급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원이 응급 상황에 처한 경우, 미리 저장된 회원의 의료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의료 기관 데이터베이스 등을 이용하여 회원 환자를 신속히 적절한의료 기관으로 이송하고 응급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응급 환자가 발생하는 경우 119, MediTaxi, 또는 인근 의료 기관의 앰뷸런스 등의 응급 이동 서비스를 통해 의료 기관으로 이송되어 치료를 받게 된다. 이러한 경우, 응급 환자가 이송된 해당 의료 기관은 응급 환자의 병력에 대한 정보 없이 응급 의료 조치를 행해야 한다.
하지만, 응급 환자를 치료하는 의료 기관은 환자의 최근 의료 기록이 없는 경우 응급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여 예기치 못한 상황이 종종 발생한다. 특히, 환자가 주거지에서 이탈하여 원격지에서 응급 상황이 발생하게 되는 경우, 응급 상황에서 환자의 치료를 담당하는 의료 기관에서는 응급 환자에 대한 의료 정보가 전혀 없기 때문에 응급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독거 노인, 장애인, 임산부 등의 경우에는 행동에 제약이 있어 응급 상황에 처하더라도 신속하게 응급 서비스를 요청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종래의 응급 의료 시스템으로서는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등록된 회원이 응급 상황에 처한 경우에 양방향 호출기와 같은 응급 호출 수단을 단순히 버턴 조작하는 것에 의해, 응급 관리 센터에서 응급 호출한 회원의 신분 및 위치를 파악할수 있도록 하여, 응급 의료 서비스가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전에 응급 의료 관리 센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등록된 회원의 의료 정보 및 의료 기관 정보 등을 활용하여, 의료 기관으로의 초기 이송 단계 및 의료 기관에서의 응급 치료 단계에서부터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응급 의료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응급 관리 센터의 서버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원 의료 기관 서버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응급 이송국 서버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를 이용한 응급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컴퓨터에 회원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회원으로부터의 응급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응급 호출 신호로부터 상기 회원을 식별하고, 상기 회원의 위치를 인지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회원의 회원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와, 응급 이송국에 상기 인지된 회원의 위치와 상기 검색된 회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원에게 응급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는, 저장 장치와,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저장 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접속된 처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 장치는 상기 회원 정보 및 상기 처리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회원으로부터의 응급 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회원을 식별하고, 상기 회원의 위치를 인지하며, 상기 식별된 회원의 의료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치를 통하여 응급 이송국에 상기 인지된 회원의 위치와 상기 검색된 회원 정보를 전송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응급 의료 서비스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급 관리 센터(100)와, 무선 호출기 또는 무선 휴대폰과 같은 응급 호출 수단(200)과, 응급 관리 센터(100)에 등록된 의료 기관(300)과, 응급 관리 센터(100)에 등록된 응급 환자를 의료 기관(300)으로 이송하는 응급 택시 등을 관리하는 응급 이송국(400)을 포함한다. 상기 응급 의료 서비스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네트워크는 인터넷(internet), LAN, WAN, Cable 망, 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셀룰러(cellular),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s), 마이크로웨이브, 또는 인공 위성 네트워크(satellite networks), 무선 통신망 등을 의미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급 관리 센터(100)의 서버는 중앙 제어 장치(110)와, RAM 및 ROM(도시되지 않음), 운영 시스템(operation system)(120)과, 입력 장치(13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network interface)(140)와, 모니터(150), 데이터 저장 장치(160)로 이루어진다. 대용량의 저장 공간 및 처리 능력을 가지는 종래의 개인용 컴퓨터 또는 컴퓨터 워크스테이션이 응급 관리 센터(100)의 서버로서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장치(160)는 하드디스크(harddisk), CD-ROM과 같은 광 저장 유닛, 자기 테이프 장치(magnetic tape device), 자기 디스크 장치(magnetic diskdevice) 또는 플래시메모리 등을 사용한다. 데이터 저장 장치(160)는 본 발명에 따른 응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회원 의료 정보 데이터베이스(162), 회원 의료 기관 정보 데이터베이스(164), 및 응급 이송국 정보 데이터베이스(166), 일반 의료 기관 정보 데이터베이스(168) 등과 같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회원 의료 정보 데이터베이스(162)는 회원의 이름, 식별 번호, 나이, 성별, 주소, 응급시 연락 가능한 전화 번호, 호출기 번호 등과 같은 일반 회원 자료와, 회원의 의료 검사 자료, 및 회원의 의료 검진 자료 등의 회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회원 의료 정보 데이터베이스(162)에 포함된 정보는 회원 가입시 작성한 자료 및 회원이 회원 의료 기관 또는 기타 협력 의료 기관에서 검사 및 진료를 받은 경우, 회원 의료 기관 및 기타 협력 의료 기관으로부터 제공된 자료들이다.
회원 의료 기관 정보 데이터베이스(164)는 회원 의료 기관(300)의 명칭, 주소, 응급 전화 번호, 전자 메일 주소(electronic mail address), 팩시밀리 번호, 전문 분야, 설치된 의료 기기, 현재 응급 환자 수용 가능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회원 의료 기관 정보 데이터베이스(164)는 응급 관리 센터(10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회원 의료 기관(300)과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계속적으로 갱신된다. 특히, 현재 응급 환자 수용 가능 여부에 관한 정보는 실시간(real time)으로 갱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급 이송국 데이터 베이스(166)는 응급 이송국(400)의 위치, 응급 전화 번호, 전자 메일 주소, 팩시밀리 번호, 및 의료 장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응급 이송국 정보 데이터베이스(166)는 응급 관리 센터(10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응급 이송국(400)의 서버와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계속적으로 갱신된다.
일반 의료 기관 데이터베이스(168)는 회원 의료 기관이외의 기타 의료 기관의 명칭, 주소, 전화 번호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의료 기관 데이터베이스(168)의 정보는 계속적으로 갱신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0)는 각각의 응급 호출 수단(200), 회원 의료 기관(300), 응급 이송국(400) 등과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게이트웨이(gateway)로서 역할을 한다.
응급 관리 센터(100)의 서버는 응급 호출 수단(200)으로부터의 신호로부터 회원의 위치 정보를 직접 파악하거나, 또는 전역 위치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으로부터 회원의 위치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응급 관리 센터(1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회원 의료 기관(300) 및 응급 이송국(400)과 환자의 의료 정보에 관한 파일, 그래픽, 비디오 정보들을 교환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0)는 웹 사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모니터(150)는 중앙 제어 장치(110)와 접속된 모니터 구동 장치(152)에 의해 구동된다. 모니터(150)에는 회원으로부터의 응급 호출 신호가 있는 경우, 중앙 제어 장치(110)에 의해 처리된 정보들이 표시된다. 입력 장치(130)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와 같은 종래의 입력 수단이 사용된다.
도 3은 회원 의료 기관(300) 서버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회원 의료 기관(300)의 인터페이스 장치는 중앙 제어 장치(310), RAM 및 ROM(도시되지 않음), 운영 시스템(320), 키보드 또는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330)와, 통신 포트 및 모뎀과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40)와, 모니터 구동 장치(352)에 의해 구동되는 모니터(350)와, 데이터 저장 장치(360)를 구비하는 종래의 개인용 컴퓨터이다. 모뎀(340)은 응급 관리 센터(100)로부터 환자의 의료 정보를 신속히 전송 받을 수 있기 위해 고용량 초고속의 데이터 전송 능력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 저장 장치(360)는 하드디스크 저장 유닛과 같은 종래의 자기 저장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응급 환자 의료 정보 데이터베이스(362)는 응급 관리 센터(1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회원 의료 기관(300)의 인터페이스 장치는 인터넷, WAN, 무선 통신망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응급 관리 센터(100)의 서버에 접속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회원 의료 기관의 인터페이스 장치는 전자 통신 시스템, 팩시밀리, PSTN, 무선통신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응급 이송국(400) 서버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응급 이송국(400) 서버는 중앙 제어 장치(410), RAM 및 ROM(도시되지 않음)과, 운영 시스템(420), 키보드 또는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430)와, 통신 포트 및 모뎀과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40)와, 모니터 구동 장치(452)에 의해 구동되는 모니터(450)와, 데이터 저장 장치(460)를 구비하는 종래의 개인용 컴퓨터이다. 응급 이송국(400)의 인터페이스 장치는 인터넷, WAN, 무선 통신망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응급 관리 센터(100)의 서버에 접속되어 있다. 응급 이송국(400)은 선택적으로 전화, 팩시밀리, 쌍방향 호출기, PSTN, 무선 통신기 등에 의해 응급 의료 센터(100)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이외에도, 응급 관리 센터(100)와 응급 호출 수단(200), 회원 의료 기관(300) 및 응급 이송국(400)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상업적인 수단도 사용될 수 있다. 응급 이송국(400)은 예를 들면 무선 통신 장비로 서로 연락이 가능한 택시를 보유하는 택시 (예를 들면, 메드 택시) 중계국 또는 119 상황본부이며, 선택적으로는 응급 관리 센터(100)와 통신 가능한 응급 이송 수단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의 플로우 차트를 도시하고 있다.
단계 500에서, 환자는 응급 관리 센터(100)에 회원 가입 신청을 하고, 이름, 주소, 성별, 나이, 신장, 체중, 응급시 연락 가능한 회원의 전화 번호 등의 일반 정보 자료와 최근 병력 자료, 의료 검사 및 진료 자료를 제공하고, 응급 관리 센터(100)는 회원 가입 신청이 완료된 환자에게 회원 식별 번호(ID)를 부여하고, 환자(300)의 ID 번호, 일반 정보 자료, 및 의료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일정한 포맷으로 저장한다. 상기 회원 환자 의료정보 데이터베이스(162)의 정보는 계속적으로 갱신된다. 응급 관리 센터(100)는 회원 가입 신청이 완료된 회원 환자에게 무선 호출기 또는 무선 휴대폰 등과 같은 응급 호출 수단(200)을 지급한다. 응급 호출 수단(200)의 응급 호출 신호는 회원 환자의 식별 번호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응급 호출 수단(200)은 응급 서비스를 위해 특별히 제작된 것일 수 도 있고, 무선 호출기 또는 무선 이동 통신기기와 같은 상용 이동통신기에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입력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응급 호출 수단은 자동 위치 파악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원 가입 신청은 환자(300)가 인터넷을 통하여 응급 관리 센터(100) 서버에 접속하여 신청하거나, 우편이나 팩시밀리 또는 방문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단계 520에서, 회원 환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회원 환자는 응급 호출 수단(200)을 사용하여 응급 호출 신호를 송신하고, 응급 관리 센터(1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상기 응급 호출 신호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응급 관리 센터(100)는 회원 환자로부터의 응급 호출 신호를 전역 위치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과 같은 상용 위치 파악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 서비스 업체 (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제공받는다.
단계 540에서, 응급 관리 센터(100)는 수신된 응급 호출 신호로부터 응급 상황에 있는 회원 환자의 위치를 인지하고, 회원 환자의 회원 ID를 식별한다. 응급 관리 센터(100)는 회원 환자로부터 응급 호출 신호를 수신한 경우, 사용된 응급 호출 수단(200)을 확인하고, 수신 확인 신호를 확인된 응급 호출 수단(200)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원 환자의 위치 정보는 전역 위치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서비스와 같은 상업용 위치 파악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 기관 (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식별된 회원 ID로부터 회원 환자 의료 정보 데이터베이스(162)에서 회원 환자의 의료 정보를 검색한다. 식별된 회원 ID, 인지된 회원 위치 정보, 및 검색된 회원 의료 정보 등은 응급 의료 센터(100)의 모니터(180)에 표시되어, 관리자가 응급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560에서, 응급 관리 센터(100)의 서버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인지된 회원 환자의 위치에 가장 인접하게 위치한 응급 이송국(400)에 회원 환자의 위치, 단계 540에서 검색된 회원 환자의 의료 정보, 및 인접한 의료 기관(300) 정보를 자동적으로 전송한다. 상기 조치는 응급 관리 센터(100)의 관리자에 의해 행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정보를 수신한 응급 이송국(400)은 가능한 경우 회원 의료 정보에 포함된 회원의 응급 전화 번호로부터 회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고, 회원에게 가장 접근하기 용이한 119, 메드택시, 앰뷸런스 등과 같은 응급 이송 택시에게 출동 명령을 내리고, 상기 응급 관리 센터(100)로부터 전송된 의료 기관 또는 회원이 원하는 병원이나 회원의 위치에서 가장 접근하기 용이한 의료 기관으로 회원을 이송하도록 지시한다. 회원이 응급 관리 센터(100)가 전송한 의료 기관 이외의 의료 기관으로 이송되는 경우, 응급 이송국(400)은 회원이 실제 이송되는 의료 기관 정보를 응급 관리 센터(100)로 전송한다.
단계 580에서, 응급 관리 센터(1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회원이 이송되는 의료 기관에 응급 환자 발생을 통보하고, 단계 540에서 검색된 의료 정보 및 환자를 이송하는 응급 이송국(400) 정보를 전송한다. 필요한 경우, 상기 의료 기관(300)은 회원 환자를 이송하는 응급 이송국(400)에 회원 환자의 상태를 보고 받고 응급 조치를 지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플로우 차트를 도시하고 있다.
단계 600에서, 의료기관(300)은 응급 관리 센터(100)에 회원 가입 신청을 하고, 의료 기관 명칭, 주소, 전화 번호, 팩시밀리 번호, 전자 메일 어드레스, 전문분야, 의료 장비, 현재 응급 환자 수용 가능 여부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응급 관리 센터(100)는 회원 가입 신청이 완료된 의료 기관(300)의 정보 자료를 회원 의료 기관 데이터베이스(164)에 일정한 포맷으로 저장한다. 상기 회원 의료 기관 데이터베이스(164)에 저장된 데이터는 계속적으로 갱신된다. 특히, 현재 응급 환자 수용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는 실시간(real time)으로 갱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원 가입 신청은 인터넷, 전화 접속 등의 상용 통신망을 통하여 응급 관리 센터(100)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우편이나 팩시밀리, 또는 방문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단계 610에서, 환자는 응급 관리 센터(100)에 회원 가입 신청을 하고, 이름, 주소, 성별, 나이, 신장, 체중, 응급시 연락 가능한 회원의 전화 번호 등의 일반 정보 자료와 최근 병력 자료, 의료 검사 및 진료 자료를 제공하고, 응급 관리 센터(100)는 회원 가입 신청이 완료된 환자에게 회원 ID를 부여하고, 환자의 ID, 일반 정보 자료, 및 의료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일정한 포맷으로 저장한다. 회원 환자의 일반 정보 자료 및 의료 정보의 저장 양식은 회원 의료 기관(300)과 용이하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원 환자 의료 정보 데이터베이스(162)의 정보는 계속적으로 갱신된다. 응급 관리 센터(100)는 회원 가입 신청이 완료된 회원 환자에게 양방향 호출기 등과 같은 응급 호출 수단(200)을 지급한다. 응급 호출 수단(200)의 응급 호출 신호는 회원 환자의 식별 번호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응급 호출 수단(200)은 응급 서비스를 위해 특별히 제작된 것일 수도 있고, 양방향 호출기 또는 무선 이동 통신기와 같은 상용 이동통신기에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입력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회원 가입 신청 과정은 환자가 인터넷을 통하여 응급 관리 센터(100) 서버에 접속하여 신청하거나, 우편이나 팩시밀리 또는 방문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단계 620에서 회원 환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회원 환자는 응급 호출 수단(200)을 사용하여 응급 호출 신호를 송신하고, 응급 관리 센터(1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상기 응급 호출 신호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응급 관리 센터(100)는 회원 환자로부터의 응급 호출 신호를 상용 위치 파악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 서비스 업체 (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제공받는다.
단계 630에서, 응급 관리 센터(100)는 수신된 응급 호출 신호로부터 응급 상황에 있는 회원 환자의 위치를 인지하고, 회원 환자의 ID를 식별한다. 응급 관리 센터(100)는 회원 환자로부터 응급 호출 신호를 수신한 경우, 수신 확인 신호를 확인된 응급 호출 수단(200)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원 환자의 위치는 전역 위치 시스템 서비스(GPS)와 같은 상업용 위치 파악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 기관으로부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식별된 회원 ID로부터 회원 환자 의료 정보 데이터베이스(162)에서 회원 환자의 의료 정보를 검색한다. 식별된 회원 ID, 인지된 회원 위치 정보, 및 검색된 회원 의료 정보 등은 응급 의료 센터(100)의 모니터(180)에 표시되어, 관리자가 응급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640에서, 응급 관리 센터(100)는 인지된 회원 환자의 위치 및 회원 의료 정보 데이터베이스(162)로부터 검색된 환자의 의료 정보와 회원 의료 기관 정보데이터베이스(164)의 회원 의료 기관의 위치, 전문 분야, 의료 장비, 및 현재 응급환자 수용 가능 여부 등의 정보를 조합하여, 회원 환자를 이송할 최적의 회원 의료 기관(300)을 결정한다. 회원 의료 기관 정보 데이터베이스(164)에서 적합한 회원 의료 기관을 찾지 못한 경우, 일반 의료 기관 데이터베이스(168)에서 회원 환자에 인접한 의료 기관을 결정한다.
단계 650에서, 응급 관리 센터(1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인지된 회원 환자의 위치에 가장 인접하게 위치한 응급 이송국(400)에 회원 환자의 위치, 단계 630에서 검색된 의료 정보, 단계 640에서 결정된 의료 기관(300)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 660에서, 응급 관리 센터(1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단계 640에서 결정된 의료 기관(300)에 응급 환자 발생을 통보하고 단계 630에서 검색된 회원 환자의 의료 정보 및 응급 이송국(400) 정보를 전송한다. 필요한 경우, 상기 의료 기관(300)은 회원 환자를 이송하는 응급 이송국(400)에 회원 환자의 상태를 보고 받고 응급 조치를 지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플로우 차트를 도시하고 있다.
단계 700에서, 의료기관(200)은 응급 관리 센터(100)에 회원 가입 신청을 하고, 의료 기관 명칭, 주소, 전화 번호, 팩시밀리 번호, 전자 메일 어드레스, 전문 분야, 및 의료 장비, 응급 환자 수용가능여부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응급 관리 센터(100)는 회원 가입 신청이 완료된 의료 기관(300)의 ID 번호 및 정보 자료를 회원 의료 기관 데이터베이스(164)에 일정한 포맷으로 저장한다. 상기 회원 의료 기관 데이터베이스(164)에 저장된 데이터는 계속적으로 갱신된다. 특히, 응급 환자 수용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는 실시간으로 갱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원 가입 신청은 의료 기관(300)이 인터넷, 전화 접속 등의 상용 통신망을 통하여 응급 관리 센터(100)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우편이나 팩시밀리, 또는 방문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단계 710에서, 환자는 응급 관리 센터(100)에 회원 가입 신청을 하고, 이름, 주소, 성별, 나이, 신장, 체중, 응급시 연락 가능한 전화 번호 등의 일반 정보 자료와 최근 병력 자료, 의료 검사 및 진료 자료를 제공하고, 응급 관리 센터(100)는 회원 가입 신청이 완료된 환자에게 회원 ID를 부여하고, 환자(300)의 ID 번호, 일반 정보 자료, 및 의료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일정한 포맷으로 저장한다. 상기 회원 환자 의료정보 데이터베이스(162)의 정보는 계속적으로 갱신된다. 회원 환자의 일반 정보 자료 및 의료 정보의 저장 양식은 회원 의료 기관(300)과 용이하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급 관리 센터(100)는 회원 가입 신청이 완료된 회원 환자에게 양방향 호출기 등과 같은 응급 호출 수단(200)을 지급한다. 응급 호출 수단(200)의 응급 호출 신호는 회원 환자의 식별 번호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응급 호출 수단(200)은 응급 서비스를 위해 특별히 제작된 것일 수도 있고, 양방향 호출기 또는 무선 이동 통신기와 같은 상용 이동통신기에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입력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회원 가입 신청 과정은 환자가 인터넷을 통하여 응급 관리 센터(100) 서버에 접속하여 신청하거나, 우편이나 팩시밀리 또는 방문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단계 720에서 응급 이송국(400)의 위치, 전화 번호, 팩시밀리 번호, 이동통신전화 번호, 이용 가능 여부 및 구비된 의료 장비 등에 대한 정보를 응급 관리 센터(100)에 제공한다. 응급 이송국 정보 데이터베이스(166)의 정보는 정보가 바뀔 때마다 계속적으로 갱신된다. 특히, 응급 이송국(400)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이용가능 상태 여부에 대한 정보는 실시간으로 갱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730에서 회원 환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회원 환자는 응급 호출 수단(200)을 사용하여 응급 호출 신호를 송신하고, 응급 관리 센터(1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상기 응급 호출 신호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응급 관리 센터(100)는 회원 환자로부터의 응급 호출 신호로부터 상용 위치 파악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 서비스 업체로부터 제공받는다.
단계 740에서, 응급 관리 센터(100)는 수신된 응급 호출 신호로부터 응급 상황에 있는 회원 환자의 위치를 인지하고, 회원 환자의 회원 식별 번호를 식별한다. 응급 관리 센터(100)는 회원 환자로부터 응급 호출 신호를 수신한 경우, 수신 확인 신호를 확인된 응급 호출 수단(200)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원 환자의 위치 정보는 전역 위치 시스템(GPS)과 같은 상용 위치 파악 서비스를 제공하는 외부 기관으로부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식별된 회원 식별 번호로부터 회원 환자 의료정보 데이터베이스(162)에서 회원 환자의 의료 정보를 검색한다. 식별된 회원 ID, 인지된 회원 위치 정보, 및 검색된 회원 의료 정보 등은 응급 의료 센터(100)의 모니터(180)에 표시되어, 관리자가 응급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단계 750에서, 응급 관리 센터(100)는 인지된 회원 환자의 위치 및 단계 740에서 검색된 회원 환자의 의료 정보와, 회원 의료 기관 정보 데이터베이스(164)의 회원 의료 기관의 위치, 전문 분야, 의료 장비, 현재 응급 환자 수용가능여부 등의 정보를 조합하여, 회원 환자를 이송할 최적의 회원 의료 기관(300)을 결정한다. 회원 의료 기관 정보 데이터베이스(164)에서 적합한 회원 의료 기관을 찾지 못한 경우, 의료 기관 데이터베이스(168)에서 회원 환자에 인접한 의료 기관을 결정한다.
단계 760에서, 응급 관리 센터(100)는 인지된 회원 환자의 위치 정보 및 단계 740에서 검색된 회원 환자의 의료 정보와, 응급 이송국 데이터베이스(166)의 현재 위치 정보, 이용 가능 상태 정보, 및 의료 장비 정보 등을 조합하여 최적의 응급 이송국(400)을 결정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결정된 응급 이송국(400)에 회원 환자의 위치 및 단계 740에서 검색된 의료 정보, 및 단계 750에서 결정된 의료 기관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 770에서, 응급 관리 센터(100)는 단계 750에서 결정된 회원 의료 기관(300)에 응급 환자 발생을 통보하고, 단계 740에서 검색된 회원 환자의 의료 정보 및 단계 760에서 결정된 응급 이송국(400) 정보를 전송한다. 필요한 경우, 상기 의료 기관(300)은 회원 환자를 이송하는 응급 이송국(400)에 회원 환자의 상태를 보고 받고 응급 조치를 지시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모든 면에서 설명적이고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기서 설명되는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결정되지 않고 특허법에 의해 허용되는 전 범위에 따라 해석되는 청구항으로부터 결정된다. 여기에서 설명되고 도시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의도와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종래 기술에 숙련된 자에 의해 다양한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응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응급 관리 센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회원 환자 의료 정보와 무선 호출기 및 무선 통신기기와 같은 휴대용 응급 호출 수단을 사용하여, 회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회원 환자의 초기 이송 단계 및 응급 치료 단계에서부터 신속하고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컴퓨터를 이용한 응급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회원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회원으로부터의 응급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응급 호출 신호로부터 상기 회원을 식별하고, 상기 회원의 위치를 인지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회원의 회원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와,
    응급 이송국에 상기 인지된 회원의 위치와 상기 검색된 회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응급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이송국은 상기 인지된 회원의 위치에 인접한 응급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상기 수신한 응급 호출 신호에 대한 수신 확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응급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호출 신호는 무선 호출기 또는 무선 휴대폰에 의해 송신되는 응급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 정보는 회원의 성명, 응급시 연락 가능한 회원의 전화 번호, 및 회원의 의료 정보를 포함하는 응급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이송국은 전송된 회원 정보로부터 상기 응급 신호를 호출한 회원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응급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급 이송국은 택시 중계국 또는 119 상황 본부인 응급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회원이 이송되는 의료 기관에 상기 회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응급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의료 기관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응급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된 회원의 위치 및 상기 검색된 회원 정보와 상기 의료 기관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회원을 이송할 최적의 의료 기관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응급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입력되는 상기 의료 기관 정보는 주소, 전자 메일 어드레스, 전문 분야, 의료 장비, 및 현재 응급 환자 수용 가능 여부로 이루어진 그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응급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 위치의 인지는 상용 전역 위치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에 의해 이루어지는 응급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기관에 상기 회원을 이송하는 응급 이송국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응급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14. 회원에게 응급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저장 장치와,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저장 장치 및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접속된 처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 장치는 상기 회원 정보 및 상기 처리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회원으로부터의 응급 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회원을 식별하고, 상기 회원의 위치를 인지하며, 상기 식별된회원의 의료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치를 통하여 응급 이송국에 상기 인지된 회원의 위치와 상기 검색된 회원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는 응급 의료 서비스 제공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장치는 의료 기관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인지된 회원의 위치 및 검색된 회원의 의료 정보와 상기 의료 기관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회원을 이송할 최적의 의료 기관을 결정하는 응급 의료 서비스 제공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의료 기관 정보는 주소, 전자 메일 어드레스, 전문 분야, 의료 장비, 및 현재 응급 환자 수용 가능 여부 정보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응급 의료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000026305A 2000-05-17 2000-05-17 응급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101049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305A KR20010104952A (ko) 2000-05-17 2000-05-17 응급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305A KR20010104952A (ko) 2000-05-17 2000-05-17 응급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4952A true KR20010104952A (ko) 2001-11-28

Family

ID=45813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6305A KR20010104952A (ko) 2000-05-17 2000-05-17 응급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4952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569B1 (ko) * 2007-01-08 2007-08-16 (주) 대동종합건설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실버타운 의료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58826B1 (ko) * 2006-11-16 2007-09-14 (주)진우정보시스템 유비쿼터스 복지통합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60472B1 (ko) * 2006-03-28 2007-09-20 주식회사 이수유비케어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생체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방법
KR100800026B1 (ko) * 2007-01-29 2008-02-01 대한민국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WO2009075653A2 (en) * 2007-12-12 2009-06-18 Su Kai Oei Resuscitation team mobilization system, device and method.
KR200459614Y1 (ko) * 2010-05-13 2012-04-04 주식회사 코넥트론 스마트폰을 이용한 환자관리 시스템
WO2013129713A1 (ko) * 2012-02-28 2013-09-06 주식회사 엠디웨어 응급환자 정보전송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472B1 (ko) * 2006-03-28 2007-09-20 주식회사 이수유비케어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생체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방법
KR100758826B1 (ko) * 2006-11-16 2007-09-14 (주)진우정보시스템 유비쿼터스 복지통합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49569B1 (ko) * 2007-01-08 2007-08-16 (주) 대동종합건설 유비쿼터스를 이용한 실버타운 의료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00026B1 (ko) * 2007-01-29 2008-02-01 대한민국 응급환자 이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WO2009075653A2 (en) * 2007-12-12 2009-06-18 Su Kai Oei Resuscitation team mobilization system, device and method.
WO2009075653A3 (en) * 2007-12-12 2009-08-20 Su Kai Oei Resuscitation team mobilization system, device and method.
KR200459614Y1 (ko) * 2010-05-13 2012-04-04 주식회사 코넥트론 스마트폰을 이용한 환자관리 시스템
WO2013129713A1 (ko) * 2012-02-28 2013-09-06 주식회사 엠디웨어 응급환자 정보전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5670A (en) Private notification system for communicating 9-1-1 information
US8005937B2 (en) Dynamically integrating disparate computer-aided dispatch systems
US201202903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hysician Location Tracking
WO2011108867A2 (ko) 협의 진료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403585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Messaging of Medical Information
US2005028256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nd routing a message
CN103514378A (zh) 一种基于wlan室内定位技术的远程医疗看护系统
JPH1056508A (ja) 通信システム
JP2009075927A (ja) 医用レポート作成システム及び医用レポート作成装置並びに医用レポート作成方法
US201400196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re-configuring communications session routing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US20190007819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support services
US201300733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sual display of bed status by integr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from ambulance transports
US20070214011A1 (en) Patient Discharge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KR20010104952A (ko) 응급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00078821A (ko)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애완동물 병원예약 제공방법 및 시스템
JP2004038881A (ja) 緊急通報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Isong et al. Mobile-based medical emergency ambulance scheduling system
US5951469A (en) Remote medical system
Jimmy et al. Future connectivity for disaster and emergency point of care
JP6758009B1 (ja) 端末共用装置、端末共用方法、端末共用プログラム
US20020143574A1 (en) Integration of mobile imaging units into an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for data storage and information system support
CN111462876A (zh) 一种基于云平台的智慧城市管理方法和系统
US11837337B2 (en) Voice-activated ambulance booking
US8429230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 communication invitation relating to a medical DICOM image
KR20060009070A (ko)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위급상황 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