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4358A - 무선 핸드셋 - Google Patents

무선 핸드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4358A
KR20010104358A KR1020017010947A KR20017010947A KR20010104358A KR 20010104358 A KR20010104358 A KR 20010104358A KR 1020017010947 A KR1020017010947 A KR 1020017010947A KR 20017010947 A KR20017010947 A KR 20017010947A KR 20010104358 A KR20010104358 A KR 20010104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set
application
content
wireless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0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1151B1 (ko
Inventor
스테이지얼링
페더센클라우스
Original Assignee
다니엘 태그리아페리, 라이조 캐르키, 모링 헬레나
노키아 모빌 폰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엘 태그리아페리, 라이조 캐르키, 모링 헬레나, 노키아 모빌 폰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니엘 태그리아페리, 라이조 캐르키, 모링 헬레나
Publication of KR20010104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4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1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11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289Intermediate processing functionally located close to the data consumer application, e.g. in same machine, in same home or in same sub-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3Data redirection of data network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핸드셋의 사용자가 인터넷 게이트웨이에 무선 패킷들을 송신하고 상기 인터넷 게이트웨이로부터 무선 패킷들을 수신하도록 정해진 제1 송수신기 수단을 통해 인터넷에 액세스하도록 허용하는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인터넷을 브라우징하기 위한 무선 핸드셋. 상기 무선 핸드셋은, 상기 제1 송수신기 수단을 통해 상기 인터넷 게이트웨이에 의해 공급된 컨텐트를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에 라우팅하도록 정해지는 라우팅 수단으로서, 상기 컨텐트는 상기 컨텐트를 수신하는데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구비하고 등록에 관한 애플리케이션을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와 연관시킴으로써 애플리케이션들을 등록하도록 정해진 라우팅 수단을 더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사용자 입력 수단을 구비한 상기 브라우저 수단에 연결된다. 또한, 인터페이스는 원격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부속 장치의 인터페이스와 연결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무선 핸드셋{Radio handset}
이동 전화기들은 보안성,이동성 및 유연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 상기 인터넷에 관한 인기는 일반인들 사이에서 증가하고 있다. 상기 인터넷은 소위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브라우징될 수 있는데, 상기 브라우저는 쉽게 사용가능하고 시각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동 전화의 손에 휴대하는 특성과 그것의 연관된 휴대성을 상기 인터넷을 브라우징하기 위한 능력과 결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할 것이다. 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WAP)은 이러한 목적을 염두에 두고 개발되었다. 상기 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은 무선 핸드셋이 인터넷 게이트웨이에서 송수신기와 통신하도록 허용하고 무선 링크를 통해 상기 인터넷에 액세스한다.
데스크톱 컴퓨터 또는 유사한 것은 지금까지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에 액세스하기 위한 표준 장치였다. 상기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마우스와 같은 커서 제어 및 선택 장치, 및 키보드를 구비한다. 상기 월드 와이드 웹을 브라우징하기 위한 장치를 사용할 때, 상기 장치는 상기 인터넷 게이트웨이와정보를 교환한다. 상기 장치는 클라이언트로서 동작하고 상기 인터넷은 서버로서 동작한다. 전형적으로 컨텐트는 상기 장치에서의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이 '액티브'한 많은 아이템들 또는 아이콘들을 구비한 한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인터넷으로부터 상기 장치로 다운로드된다. 상기 커서 제어 및 선택 장치를 사용하여 아이템 또는 아이콘을 고르고 선택하는 것은 다른 정의된 페이지에 "링크"를 생성한다. 상기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은 서버로서 동작하는 상기 인터넷으로부터 상기 페이지를 요구한다. 상기 인터넷으로부터 상기 장치로 다운로드된 정보는 상기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이 링크된 상기 페이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허용한다. 상기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와 상기 인터넷 사이에서 중재한다. 상기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인터넷으로 요구들을 송신하고 상기 인터넷으로부터 컨텐트를 수신한다.
상기 인터넷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컨텐트는 상기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정확한 링크들을 갖는 페이지를 재생성하도록 허용하는 명령들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것은 상기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처리될 수 없는 컨텐트, 그러나 뷰어(viewer), 오디오 애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다른 개별 애플리케이션을 필요로 하는 컨텐트일지도 모른다. 전형적으로 상기 개별 애플리케이션들은 상기 브라우저와 함께 통합되지 않고 분리된다. 무선 핸드셋과 같은 소형 장치는 어느 일정 시점에 제한된 수의 상기 애플리케이션들만을 등록할 수 있다. 상기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은 등록된 경우 수신된 명령을 상기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으로 라우팅한다.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을 가진 무선 핸드셋의 사용자가 액세스하는 많은 애플리케이션들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인터넷을 브라우징하기 위한 무선 핸드셋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상기 핸드셋의 기능성을 증대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무선 핸드셋 및 부속 장치를 도해한 것이다.
도 3은 인터넷에 액세스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도해한 것이다.
도 4는 브라우저를 구비한 무선 핸드셋을 도해한 것이다.
도 5는 라우팅 표를 도해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핸드셋의 사용자가 인터넷 게이트웨이에 무선 패킷들을 송신하고 상기 인터넷 게이트웨이로부터 무선 패킷들을 수신하도록 정해진 제1 송수신기 수단을 통해 인터넷에 액세스하도록 허용하는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상기 제1 송수신기 수단을 통해 상기 인터넷 게이트웨이에 의해 공급된 컨텐트를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에 라우팅하도록 정해지는 라우팅 수단으로서, 상기 컨텐트는 상기 컨텐트를 수신하는데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구비하고, 등록에 관한 애플리케이션을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와 연관시킴으로써 애플리케이션들을 등록하도록 정해진 라우팅 수단;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사용자 입력 수단을 구비한 상기 브라우저 수단에 연결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원격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부속 장치의 인터페이스와 연결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기를 구비하고 상기 원격 애플리케이션에 라우팅된 컨텐트를 수신하여 상기 핸드셋의 기능성을 증가시키도록 정해지는 인터페이스로서, 상기 원격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핸드셋과 부속 장치의 연결에 응답하여 상기 라우팅 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등록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인터넷을 브라우징하기 위한 무선 핸드셋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인터넷을 브라우징하고 상기 인터넷으로부터 컨텐트를 다운로딩하기 위한 무선 핸드셋 및 상기 컨텐트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핸드셋의 기능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부속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핸드셋은, 상기 핸드셋의 사용자가 인터넷 게이트웨이에 무선 패킷들을 송신하고 상기 인터넷 게이트웨이로부터 무선 패킷들을 수신하도록 정해진 제1 송수신기 수단을 통해 상기 인터넷에 액세스하도록 허용하는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상기 제1 송수신기 수단을 통해 상기 인터넷 게이트웨이에 의해 공급된 컨텐트를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에 라우팅하도록 정해지는 라우팅 수단으로서, 상기 컨텐트는 상기 컨텐트를 수신하는데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구비하고, 등록에 관한 애플리케이션을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와 연관시킴으로써 애플리케이션들을 등록하도록 정해진 라우팅 수단;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스크린과 사용자 입력 수단을 구비한 상기 브라우저 수단에 연결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원격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부속 장치의 인터페이스와 연결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기를 구비하고 상기 원격 애플리케이션에 라우팅된 컨텐트를 수신하여 상기 핸드셋의 기능성을 증가시키도록 정해지는 인터페이스로서, 상기 원격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핸드셋과 부속 장치의 연결에 응답하여 상기 라우팅 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등록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부속 장치와 연결함으로써 상기 핸드셋은 상기 핸드셋에 의한 사용을 위해 상기 인터넷으로부터 다운로드될 수 있는 컨텐트의 범위를 증가시킨다. 상기 연결은 상기 핸드셋의 사용자가 액세스하는 인터넷 관련 펑션들의 범위를 증가시킨다.
상기 핸드셋은 손으로 휴대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핸드셋은 예를 들어 수동으로 애플리케이션들을 등록하기 위해 복잡한 명령들을 입력시키는 것을 어렵게 하는 제한된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할지도 모른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의 자동 등록은 이러한 어려움들을 극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핸드셋은 그안에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들을 구비한 부속 장치에 연결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핸드셋은 하나 이상의 부속 장치와 연결하는데, 각 부속 장치는 그안에 적어도 하나의 원격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원격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은 상기 핸드셋을 통해 상기 핸드셋의 사용자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하여 그리고 본 발명이 어떻게 수행될 수 있는지를 이해하기 위하여 이제 첨부된 도면들이 단지 예시로서 참조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이후에 단말 또는 무선 핸드셋(2)으로서 지칭되는 손으로 휴대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를 도해한 것이다. 상기 단말(2)은 손으로 휴대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작고 재킷의 주머니에 맞는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말은 전파를 사용하여 다른 단말들 또는 장치들과 통신한다.
상기 단말(2)은 입력을 위해 키들(24a)을 구비한 키패드(24)와 마이크로폰(20)과 출력을 위해 스피커(18) 및 디스플레이(14)를 포함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키패드(24)와 디스플레이(14)의 크기는 상기 단말(2)의 크기에 의해 필연적으로 제한된다. 상기 단말(2)은 컨트롤러(4)에 의해 제어되고 배터리(26)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상기 컨트롤러(4)는 상기 마이크로폰(20)과 상기 키패드(24)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고 신호들을 상기 디스플레이(14)와 상기 스피커(18)에 제공한다. 상기 단말(2)은 인터페이스(34)와 송수신기(3)를 구비하는데, 상기 인터페이스(34)와 송수신기(3)는 상기 단말(2)의 외부와 통신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인터페이스(34)는 버스(32)를 통해 상기 컨트롤러에 접속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무선 또는 적외선 통신용 송수신기 및/또는 직접 전기 접속용 포트를 구비할지도 모른다. 상기 송수신기(3)는 안테나(28)와 컨트롤러(4)에 접속된 무선 주파 송수신기이다. 그것은 무선 주파 인터페이스(30)를 통해 통신하도록 정해진다. 상기 송수신기(3)는 상기 컨트롤러(4)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변조하기 위한 변조기(8)와 상기 변조된 신호들을 상기 안테나(28)에 제공하기 위한 송신기(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송수신기(3)는 상기 안테나(28)에서 수신된 신호들을 처리하고 상기 컨트롤러(4)에 복조된 신호들을 제공하는 복조기(10)에 상기 처리된 신호들을 제공하는 수신기(12)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2)은 버스를 통해 상기 컨트롤러(4)에 접속된 램(RAM) 메모리(16)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단말은 상기 단말(2)이 이동전화로서 기능하도록 허용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컨트롤러(4)에 접속된 심(SIM) 메모리(22)를 구비한다. 이동전화로서 기능할 때, 상기 단말(2)은 상기 안테나(28)를 통해 무선 주파 신호들을 송신하고 수신한다.
상기 단말(2)은 상기 인터페이스(34)를 통해 부속 장치(40)의인터페이스(42)에 접속된다. 상기 인터페이스(34)와 인터페이스(42) 간의 접속(36)은 많은 방법들로 달성될지도 모른다. 예를들어 전파들이 사용될 수 있다. 한가지 적합한 무선 통신 프로토콜은 "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wireless applications protocol, WAP) 아키텍쳐 버젼 1998년 4월 30일"에 설명된 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WAP)이다. 이것은 인터페이스(34)가 WAP 스택과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할 것을 요구하고, 마찬가지로 인터페이스(42)가 WAP 스택과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할 것을 요구한다. 다른 적합한 프로토콜은, 그 내용이 여기에 참조로써 통합되고, 인터페이스(34)와 인터페이스(42)가 저전력 RF 송수신기를 포함할 것을 요구하는, 공동계류 중인 영국 특허 출원 번호 9820859.8에 설명된 블루투스(Bluetooth) 프로토콜이다.
비록 단일 부속 장치(40)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될지라도, 상기 단말(2)은 복수의 부속 장치들과 동시에 접속할 수 있다. 비록 상기 송수신기(4)/안테나(28) 및 상기 인터페이스(34)가 개별적으로 도시될지라도, 그들은 통합될지도 모른다.
상기 단말(2)의 기본적인 펑션들은 상기 컨트롤러(4)와 상기 메모리(16)의 결합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부속 장치(40)는 상기 버스(32)와 인터페이스(34)를 통해 상기 컨트롤러(4)에 의해 액세스될지도 모르고 따라서 상기 단말(2)의 기능성을 증대시킨다.
상기 단말(2)은 무선 통신 능력(WAP, 블루투스, GSM, AMPS 또는 다른 통신 프로토콜들을 포함하는지 어떤지)과 관련된 시스템 능력들과 상기 단말이 데이터베이스, 퍼스널 오거나이저(personal organiser), 워드 프로세서 또는 웹 브라우저의특징들을 제공하도록 허용하는 다른 능력들을 포함하는 많은 기본적인 능력들을 구비한다. 상기 기본 능력들은 상기 단말의 특징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코히어런트(coherent)한 방법으로 함께 통합된다.
도 3은 인터넷 네트워크(50) 및 무선 네트워크(60)를 도해한 것이다. 상기 인터넷 네트워크는 웹 서버(52) 및 상기 웹 서버(52)에 대해 클라이언트들인 복수의 인터넷 스테이션(54)을 포함한다. 상기 인터넷 네트워크는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 WWW) 프로토콜들을 사용한다. 상기 무선 네트워크(60)는 복수의 무선 단말들(64)을 포함하는데, 각 무선 단말은 프로토콜 게이트웨이(62)를 통해 상기 웹 서버(52)에 액세스할 수 있다. 상기 단말들은 손으로 휴대가능한 무선 핸드셋들(2)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 단말(64)과 상기 프로토콜 게이트웨이(62) 간의 통신은 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WAP)에 의한다. WAP은 이동 전화기들, 페이저(pagers)들 및 개인 디지털 보조장치들(personal digital assistants)과 같은 무선 단말들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와 네트워크 프로토콜들을 지정한다. WAP은 상이한 무선 네트워크 기술들 및 베어러 유형들(bearer types)(GSM, CDMA 및 SMS)을 가로질러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웹 서버(52)와 프로토콜 게이트웨이(62) 간의 통신은 WWW 프로토콜들에 의한다.
상기 무선 단말은 일반적으로 상기 무선 단말이 덜 강력한 CPU, 더 적은 메모리, 제한된 전력 소비, 더 작은 디스플레이 및 더 제한된 입력 장치들을 구비한다는 점에서 상기 인터넷 스테이션과 상이하다.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상기 무선네크워크가 더 좁은 대역폭, 더 긴 레이턴시(latency), 더 낮은 연결 안정성 및 더 적은 예측가능한 이용도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상기 인터넷 네트워크와 상이하다. 상기 WAP 구조는 잠재적으로 긴 레이턴시를 갖는 좁은 대역폭 베어러들(bearers)을 위해 최적화되고 장치 리소스들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최적화된다.
네트워크에서의 각 장치는 정보의 패킷들을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다. 장치는 상황에 따라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 일지도 모르고, 반면에 서버는 다른 서버에 대한 클라이언트가 되면서 다수의 클라이언트들을 서비스할 지도 모른다. 장치들은 상기 웹 서버(52), 상기 인터넷 스테이션들(54), 상기 무선 단말들(64) 및 상기 프로토콜 게이트웨이(62)를 포함한다. 무선 단말(64)은 클라이언트로서 동작하고 리소스에 액세스하기 위하여, 원래의 서버, 상기 웹 서버(52)와 접속하기 위한 요구를 개시한다. URL(Uniform Resource Locator)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리소스는 원래 서버(52)에서 저장되거나 발생된 데이터이다. 상기 컨텐트는 전형적으로 상기 클라이언트에 의해 디스플레이되거나 해석된다. 상기 프로토콜 게이트웨이는 상기 무선 단말(64)에 의해 사용되는 상기 WAP 프로토콜 스택으로부터의 요구들을 상기 웹 서버에 의해 사용되는 상기 WWW(World Wide Web) 프로토콜 스택으로 번역한다. 상기 웹 서버는 WML(Wireless Markup Language)과 같은 WAP 컨텐트 또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와 같은 WWW 컨텐트를 반환한다.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 필터가 예를 들어 HTML을 WML로 번역하는 것과 같이 상기 WWW 컨텐트를 WAP 컨텐트로 번역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상기 프로토콜 게이트웨이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무선 단말로 송신된 컨텐트를 인코딩하고 상기 무선 단말에 의해 상기 프로토콜 게이트웨이로 송신된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WAP은 이동 단말들과 네트워크 서버들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일련의 표준 프로토콜들을 정의한다. WAP은 원래의 서버들 상의 컨텐트를 식별하는데 어떤 표준 인터넷 URL들이 사용되는지에 따라 표준 명명 모델(standard naming model)을 사용한다. WAP은 또한 컨텐트 타이핑을 사용한다. 모든 WAP 컨텐트에는 무선 단말이 유형에 근거하여 상기 컨텐트를 정확하게 처리하도록 허용하는 WWW 타이핑과 일치하는 특정 유형이 주어진다. 또한, WAP은 표준 컨텐트 포맷들과 표준 통신 프로토콜들을 사용한다.
상기 WAP 스택의 상위 층을 형성하는 무선 애플리케이션 환경(Wireless Application Environment)은 마이크로브라우저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우저는 WML과 경량의 마크업 언어, WMLScript, 경량의 스크립팅 언어를 사용한다.
도 4는 프로토콜 게이트웨이(62)와 통신하는 그렇기 때문에 웹 서버(52)와 통신하는 단말(2)의 개략도이다. 상기 도면은 이전에 도 2에 도해된 안테나(28), 송수신기(3), 디스플레이(14), 스피커(18), 키보드(24), 마이크로폰(20) 및 인터페이스(34)를 도해한 것이다. 상기 도면은 부가적으로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70) 및 그 라우팅 표(72), 링톤(ringtone) 애플리케이션(76), 이메일 애플리케이션(78) 및 버스(74)를 도해한 것이다. 상기 애플리케이션들은 전형적으로 컨트롤러(4)의 개별 태스크들이다. 상기 부속 장치(40)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예시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프로토콜 게이트웨이(62)와 통신하는 상기 안테나(28)는 상기 송수신기(3)와 양방향으로 통신하고, 차례로 상기 송수신기는 브라우저(70)와 양방향으로 통신한다. 상기 브라우저는 라우팅 표(72) 및 상기 버스(74)와 양방향으로 통신한다. 상기 버스(74)는 입력들을 출력 장치들(상기 스피커(18) 및 디스플레이(14))에 제공하고 입력 장치들(상기 마이크로폰(20)과 키보드(24))로부터 입력들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 버스는 상기 인터페이스(34)와 상기 애플리케이션들(76, 78)과 통신한다.
전형적으로 사용자는 상기 입력 장치들(20, 24)을 통해 상기 브라우저(70)를 제어한다. 바라던 리소스는 URL을 사용하여 식별된다. 상기 브라우저는 상기 리소스에 액세스를 요구하기 위하여 상기 송수신기(3)를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단말(2)은 차례로 상기 웹 서버(52)와 통신하는 상기 프로토콜 게이트웨이(62)와 통신한다. 상기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송수신기에 반환되는 상기 WAP 컨텐트는 상기 브라우저(70)에 공급된다. 그러나, 상기 수신된 컨텐트의 최종 목적지는 상기 수신된 컨텐트의 컨텐트 유형에 의존할 것이다. 상기 컨텐트 유형은 그것이 의도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에 의존하는 표시기이다. 예를 들어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컨텐트 유형들을 사용하거나 디스플레이하거나 해석할 수 있을지도 모르지만 다양한 다른 상이한 컨텐트 유형들을 사용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 마찬가지로 상기 이메일 애플리케이션(78)과 링톤 애플리케이션은 특정 유형들의 컨텐트를 수신하도록 설계될 것이다. 상기 라우팅 표(72)는 상기 단말에 의해 사용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등록한다. 애플리케이션을 등록하자마자 상기 라우팅 표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주소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처리할 수 있는 컨텐트 유형 또는 유형들을 연관시킨다. 전형적인 라우팅 표(72)가 도 5에 도해된다.
상기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70)은 상기 수신된 컨텐트의 컨텐트 유형을 식별하고 상기 라우팅 표(72)에 액세스한다. 상기 라우팅 표는 상기 수신된 컨텐트 유형과 관련된 상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의 주소를 반환하고 상기 브라우저는 상기 수신된 컨텐트를 상기 주소로 전송한다. 상기 수신된 컨텐트 유형과 관련된 아무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도 없는 경우, 널 주소(null address)가 에러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14)에 송신하는 상기 브라우저로 반환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단말(2)은 상기 브라우저 기능성 및 더욱이 부가적인 애플리케이션들의 기능성을 구비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들(76, 78)이 상기 단말(2)내에 통합되는 반면에, 상기 부속 장치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이 경우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단말(2)내에 통합되지 않고 먼 곳에 있다. 상기 부속 장치는 상기 단말의 기능성을 변경하고/변경하거나 증대시키기 위해 대체될지도 모르고, 또는 상기 부속 장치는 제거될지도 모른다.
상기 라우팅 표(72)를 최신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새로운 장치가 상기 인터페이스(34)에 연결될 때, 상기 장치내의 상기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들은 상기 라우팅 표에 엔트리들을 만듬으로써 등록되어야 하고 장치가 상기 인터페이스(34)와의 통신으로부터 제거될 때, 상기 장치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들은 상기 라우팅 표에서 엔트리들을 삭제함으로써 등록해제되어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인터페이스(34)는 그 자신의 주소를 가지며 상기라우팅 표(72)는 상기 주소를, 상기 인터페이스(34)가 통신하는 상기 부속 장치에서의 상기 애플리케이션(또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상기 컨텐트 유형과 관련시킨다. 부속 장치가 처음 상기 인터페이스(34)와 연결할 때, 상기 부속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에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상기 컨텐트 유형을 제공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차례로 상기 데이터를 상기 라우팅 표에 공급하는데, 상기 데이터는 상기 인터페이스의 주소와 관련되어 저장된다. 따라서 상기 부속 장치내의 상기 애플리케이션(들)이 등록된다. 상기 부속 장치가 제거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인터페이스 주소와 관련된 상기 컨텐트 유형 엔트리(엔트리들)가 삭제되는 상기 라우팅 표에 상기 정보를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부속 장치내의 상기 애플리케이션(들)은 등록해제된다.
상기 인터페이스에 대한 부속 장치의 연결 또는 분리를 검출하는 한가지 방법은, 통신하는 장치가 있는지를 검출하고 그러한 장치를 식별하기 위하여 정기적인 간격으로 상기 인터페이스(34)를 폴링(polling)하는 것이다. 장치의 존재 및 제거를 검출하는 다른 방법은, 상기 부속 장치가 상기 단말과 통신하는 기간의 시작과 끝을 상기 단말에 알리는 것이다(즉, 연결과 분리를 각각 알리는 것이다).
비록 도 4의 구조가 버스에 의해 도해되었을지라도, 영국 특허 출원 9903262.5에 설명된 것과 같은 다른 구조들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도 4에 도해된 시스템은 부속 장치내의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브라우저를 가지고 자동으로 등록하고 등록해제하도록 허용한다. 비록 애플리케이션을 등록하기 위한 옵션이, 상기 디스플레이(14) 상에 선택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24) 또는 다른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선택들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등록을 수용하거나 거절하도록 허용함으로써 주어질지 모르더라도 아무런 수동 등록도 없다. 그다음 상기 브라우저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즈 95(상표)에서 현재 요구되는 바와 같은 수동 등록들을 수행할 필요없이 수신된 컨텐트를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에 자동으로 라우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작은 키패드(24)를 통한 힘든 수동 입력이 필요없고 브라우저(70)를 갖는 상기 단말(2)의 기능성이 증대된다.
본 발명은, 그것이 현재 청구된 발명과 관련되든 아니든 또는 다루어진 어떤 또는 모든 문제들을 완화하든 아니든 상관없이, 여기에서 어떤 신규한 특징 또는 명백하게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된 특징들의 조합 또는 어떤 일반화를 포함할지도 모른다. 전술한 설명의 관점에서 다양한 변경들이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16)

  1. 인터넷을 브라우징하기 위한 무선 핸드셋에 있어서,
    상기 핸드셋의 사용자가 인터넷 게이트웨이에 무선 패킷들을 송신하고 상기 인터넷 게이트웨이로부터 무선 패킷들을 수신하도록 정해진 제1 송수신기 수단을 통해 상기 인터넷에 액세스하도록 허용하는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상기 제1 송수신기 수단을 통해 상기 인터넷 게이트웨이에 의해 공급된 컨텐트를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에 라우팅하도록 정해지는 라우팅 수단으로서, 상기 컨텐트는 상기 컨텐트를 수신하는데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구비하고, 등록에 관한 애플리케이션을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와 연관시킴으로써 애플리케이션들을 등록하도록 정해진 라우팅 수단;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사용자 입력 수단을 구비한 상기 브라우저 수단에 연결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원격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부속 장치의 인터페이스와 연결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기를 구비하고 상기 원격 애플리케이션에 라우팅된 컨텐트를 수신하여 상기 핸드셋의 기능성을 증가시키도록 정해지는 인터페이스로서, 상기 원격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핸드셋과 부속 장치의 연결에 응답하여 상기 라우팅 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등록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핸드셋.
  2. 인터넷을 브라우징하고 상기 인터넷으로부터 컨텐트를 다운로딩하기 위한 무선 핸드셋 및 상기 컨텐트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핸드셋의 기능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부속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핸드셋은,
    상기 핸드셋의 사용자가 인터넷 게이트웨이에 무선 패킷들을 송신하고 상기 인터넷 게이트웨이로부터 무선 패킷들을 수신하도록 정해진 제1 송수신기 수단을 통해 상기 인터넷에 액세스하도록 허용하는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상기 제1 송수신기 수단을 통해 상기 인터넷 게이트웨이에 의해 공급된 컨텐트를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에 라우팅하도록 정해지는 라우팅 수단으로서, 상기 컨텐트는 상기 컨텐트를 수신하는데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구비하고, 등록에 관한 애플리케이션을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와 연관시킴으로써 애플리케이션들을 등록하도록 정해진 라우팅 수단;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스크린과 사용자 입력 수단을 구비한 상기 브라우저 수단에 연결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원격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부속 장치의 인터페이스와 연결하기 위한 무선 송수신기를 구비하고 상기 원격 애플리케이션에 라우팅된 컨텐트를 수신하여 상기 핸드셋의 기능성을 증가시키도록 정해지는 인터페이스로서, 상기 원격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핸드셋과 부속 장치의 연결에 응답하여 상기 라우팅 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등록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로부터 그리고 상기 송수신기로의 전송은 WAP 프로토콜에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셋 또는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수신기 수단과 상기 무선 송수신기는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셋 또는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수신기는 저전력 무선 주파 신호들을 사용하여 상기 부속 장치와 통신하도록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셋 또는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수신기는 블루투스 표준에 따라 신호들을 송신하고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셋 또는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수단과 상기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은 통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셋 또는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모리를 포함하는 프로세서 수단은 상기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의 펑션들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셋 또는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수단은 애플리케이션 주소들을 식별자 또는 식별자들과 연관시키는 룩업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핸드셋 또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의 등록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주소의 엔트리 및 상기 라우팅 테이블에서의 연관된 식별자 또는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셋 또는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를 위한 식별자는 상기 컨텐트 유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셋 또는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수단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와의 연관을 해제시킴으로써 등록된 애플리케이션들의 등록을 해제하도록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셋 또는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등록 해제는 상기 핸드셋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의 제거에 응답하여 그리고/또는 상기 핸드셋과 부속 장치의 연결 해제에 응답하여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셋 또는 시스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은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셋 또는 시스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셋 또는 시스템.
  16.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그리고/또는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인터넷을 브라우징하기 위한 핸드셋 또는 시스템.
KR1020017010947A 1999-03-18 2000-03-06 무선 핸드셋 KR1007311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906317.4 1999-03-18
GB9906317A GB2348083A (en) 1999-03-18 1999-03-18 Radio handset for browsing the Intern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4358A true KR20010104358A (ko) 2001-11-24
KR100731151B1 KR100731151B1 (ko) 2007-06-22

Family

ID=10849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0947A KR100731151B1 (ko) 1999-03-18 2000-03-06 무선 핸드셋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961574B1 (ko)
EP (1) EP1166575B1 (ko)
JP (1) JP2002540688A (ko)
KR (1) KR100731151B1 (ko)
CN (1) CN1132464C (ko)
AT (1) ATE407528T1 (ko)
AU (1) AU3427300A (ko)
DE (1) DE60040140D1 (ko)
GB (1) GB2348083A (ko)
WO (1) WO20000576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4085A (en) * 1998-04-17 1999-10-26 Motorola, Inc. Wireless modem and method therefor for routing data to an application or to storage
US7111076B2 (en) 2000-04-13 2006-09-19 Intel Corporation System using transform template and XML document type definition for transforming message and its reply
WO2002003672A1 (en) * 2000-06-29 2002-01-10 Lin Ching Yi Phone appliance with display screen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7580005B1 (en) * 2000-08-15 2009-08-25 Nokia Corporation Display change between mobile terminal display and external device display
WO2002031760A2 (en) * 2000-10-13 2002-04-18 Gemplus Deployment of smart card based applications via mobile terminals
DE10051147B4 (de) * 2000-10-16 2005-04-14 Siemens Ag Verfahren zum Zugriff auf ein IP-Netz und zur Arbeit in diesem
TW494691B (en) * 2000-11-21 2002-07-1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obile device, auxiliary rendering device and arrangement
US6931463B2 (en) 2001-09-11 2005-08-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rtable companion device only functioning when a wireless link established between the companion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and providing processed data to the electronic device
US7684787B2 (en) * 2002-05-29 2010-03-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messages of different message services in a wireless device
US8060139B2 (en) 2002-06-24 2011-11-15 Toshiba American Research Inc. (Tari) Authenticating multiple devices simultaneously over a wireless link using a single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7165224B2 (en) 2002-10-03 2007-01-16 Nokia Corporation Image browsing and downloading in mobile networks
US6990352B2 (en) 2002-10-03 2006-01-24 Nokia Corporation GPRS signaling via SMS messages
US7336925B2 (en) 2002-10-28 2008-02-26 Nokia Corporation Graphical indication of a proximately located device
US7274909B2 (en) * 2002-10-31 2007-09-2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data items for service requests
US20060200386A1 (en) * 2005-03-07 2006-09-07 Hartman Dorothy M Accessing accessibility process
US7512401B2 (en) 2005-04-04 2009-03-31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capabilities of a device
EP1743681A1 (en) * 2005-07-13 2007-01-17 In Fusio (S.A.) Method for promoting an entertainment-based mobile application
US20070118544A1 (en) * 2005-11-04 2007-05-24 David Lundquist Customized standard format media files
CN100415025C (zh) * 2006-05-29 2008-08-27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移动终端获取应用服务的方法
FR2913546B1 (fr) * 2007-03-05 2009-05-22 Bouygues Telecom Sa Procede d'echange de donnees entre une borne de communication sans contact et un terminal de telephonie mobile.
CN101453705B (zh) * 2007-12-05 2011-04-06 北京邮电大学 一种新闻离线浏览系统
US8140109B2 (en) 2008-11-24 2012-03-2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mobile electronic device
US8644854B2 (en) 2009-12-03 2014-02-04 Osocad Remote Limited Liability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enhanced data exchanged with an enhanced mobile station via a wireless connection
US8572303B2 (en) * 2010-02-03 2013-10-29 Tal Lavian Portable universal communic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250299T1 (de) * 1990-07-25 2003-10-15 Broadcom Corp Multiniveau radiokommunikationssystem
FI102869B1 (fi) * 1996-02-26 1999-02-26 Nokia Mobile Phones Ltd Laite, menetelmä ja järjestelmä eri sovelluksiin liittyvien tietojen lähettämiseksi ja vastaanottamiseksi
GB2327565A (en) * 1997-07-16 1999-01-27 Ibm Accessing a Data File in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US6311058B1 (en) * 1998-06-30 2001-10-30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for delivering data content over a low bit rate transmission channel
US5974085A (en) * 1998-04-17 1999-10-26 Motorola, Inc. Wireless modem and method therefor for routing data to an application or to storage
US6272333B1 (en) * 1998-06-12 2001-08-0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controlling a delivery of data
GB2341963B (en) 1998-09-24 2003-07-02 Nokia Mobile Phones Ltd Pag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44472A (zh) 2002-04-10
EP1166575A1 (en) 2002-01-02
DE60040140D1 (de) 2008-10-16
CN1132464C (zh) 2003-12-24
AU3427300A (en) 2000-10-09
JP2002540688A (ja) 2002-11-26
GB2348083A (en) 2000-09-20
KR100731151B1 (ko) 2007-06-22
EP1166575B1 (en) 2008-09-03
GB9906317D0 (en) 1999-05-12
WO2000057657A1 (en) 2000-09-28
US6961574B1 (en) 2005-11-01
ATE407528T1 (de) 200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1151B1 (ko) 무선 핸드셋
US7865506B1 (en) Method and system for fetching content from a server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S7093198B1 (en) Skin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6553240B1 (en) Print option for WAP browsers
US20030054794A1 (en) Method and system for extending the capabilities of handheld devices using local resources
US20120214455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9438718B2 (en) Method for selecting and configuring wireless connections in an electronic device
KR20020009598A (ko) 브라우저를 구비한 무선 단말기
KR100729654B1 (ko) 브라우저를 구비한 무선 단말기
US20030022677A1 (en) Transporting data
US9185192B2 (en) Method and system of power saving and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KR100640391B1 (ko) 인터넷을 이용한 휴대폰 배경화면 다운로드 시스템 및휴대폰의 배경화면 디스플레이방법
KR10048810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개인용 컴퓨터 및 개인 정보 관리 서버의 정보 동기화 방법
KR100416982B1 (ko) 웹 브라우저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터넷 접속제어방법
KR20080022661A (ko)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연결 장치 및 방법
KR10043011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무선인터넷 데이터 저장방법
KR10071839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바일 홈페이지 서비스 방법
KR100827101B1 (ko) Url을 포함하는 콜백 sms 메시지를 활용한 컨텐츠선물 방법
JP3762129B2 (ja) 携帯電話機
EP1481530B1 (en) Access provider and server for offering an internet portal having a menu
JP2002152809A (ja) 位置情報を利用したネットワーク上の接続管理システム
GB2350974A (en) A cellular communication terminal with browser for accessing servers
KR100597131B1 (ko) 오프라인 무선인터넷 서핑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48105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휴대형 정보단말기의 통신방법
KR20030065120A (ko) 휴대폰의 e-메일 전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