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4354A - 이동 단말기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내의 엔티티 간의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내의 엔티티 간의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4354A
KR20010104354A KR1020017010916A KR20017010916A KR20010104354A KR 20010104354 A KR20010104354 A KR 20010104354A KR 1020017010916 A KR1020017010916 A KR 1020017010916A KR 20017010916 A KR20017010916 A KR 20017010916A KR 20010104354 A KR20010104354 A KR 20010104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nc
ran
identifier
connection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0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4644B1 (ko
Inventor
팜하칸
루네죄란
발렌틴폰투스
빌라르스퍼
베밍퍼
묄러발터
Original Assignee
클라스 노린, 쿨트 헬스트룀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297930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10435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스 노린, 쿨트 헬스트룀,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클라스 노린, 쿨트 헬스트룀
Publication of KR20010104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4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6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0Reselecting an access point control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4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using triggered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NA)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환경에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중 하나 사이에서 접속이 설정된다. 일시적인 RAN 식별자는 설정된 접속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와 관련된다. 일시적인 RAN 식별자가 사용되어 설정된 접속 또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한 그 접속의 설정에 관한 정보의 전송을 지원하도록 한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제 1의 지리적인 유효범위 영역과 관련된 제 1 RAN 노드 및 제 2의 지리적인 영역과 관련된 제 2 RAN 노드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가 제 1 유효범위 영역으로부터 제 2 유효범위 영역으로 이동할때, 접속은 일시적인 RAN 식별자를 사용하여 제 1 및 제 2 RAN 노드를 경유하여 RAN을 통하여 재-설정된다. 설정된 접속에 대응하는 패킷 내의 일시적인 RAN 식별자가 사용되어 그러한 패킷을 제 1 및 제 2 RAN 노드로 지향하도록 하며 제 1 및 제 2 RAN 노드로부터 지향되도록 한다. 제 1 및 제 2 RAN 노드는 각각의 패킷 내에 포함된 일시적인 RAN 식별자를 포함하며, 설정된 접속에 대응하는 패킷을 분석한다. 일시적인 RAN 식별자의 분석으로부터, 제 1 및 제 2 RAN 노드는 패킷이 어디로 루팅되어야만 하는지를 결정한다. 일시적인 RAN 식별자가 또한 유용하게 사용되어 이동 단말기 등록 및 페이징 동작을 용이하게 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내의 엔티티 간의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BETWEEN MOBILE TERMINALS AND ENTITIES IN A RADIO ACCESS NETWORK}
셀룰러 전화는 일반적으로 "이동국"(MS), "이동 단말기"(MT), 또는 "사용자 장비"(UE)로서 특징지워진 것의 일례이다. 이하의 서술에서, 이동 단말기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전기통신 서비스는 공중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무선 주파수를 통하여 셀룰러 전기통신 네트워크 및 이동 단말기 사이에서 제공된다. 활성 이동 단말기가 공중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기지국과 통신한다. 기지국은 기지국 제어기(BSC)에 의해 관리되며, 이 제어기는 일부의 시스템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로서 공지되어 있다. 이하의 서술에서, RNC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무선네트워크 제어기는 PSTN 및/또는 ISDN과 같은 접속-지향이며 회로-스위칭된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이동 스위칭 센터(MSC) 노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제어 노드, 그리고 인터넷과 같은 비접속이며, 패킷-스위칭된 네트워크로 접속하기 위한 일반적인 패킷 무선 서비스(예를 들어,GPRS) 노드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전기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다.
기본적인 셀룰러 통신 시스템(10)이 도 1에서 간소화된 기능 블럭 포멧으로 도시되어 있다. 일례의 코어 네트워크(12)는 RNC1, RNC2, 및 RNC3를 포함하는 여러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14)에 접속된다. 각각의 RNC(14)는 한 세트의 셀에 대해 무선 자원의 할당 및 무선 접속 동작을 제어한다: RNC1은 셀(1:1-1:5)을 제어하고, RNC2는 셀(2:1-2:5)을 제어하며, RNC3는 셀(3:1-3:5)을 제어한다. RNC는 일반적으로 16으로 표시된 시그널링 네트워크, 예를 들어, 시그널링 시스템 번호 7(SS7), 및 전송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한다. 각 셀은 무선 유효범위가 무선 기지국 지대에서 무선 기지국 장비에 의해 제공되는 지리적인 영역이다.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셀을 서비스할 수 있다. 핸드오버는 이동 단말기가 구 셀(old cell)로부터 새로운 셀로 이동할때 발생된다. 이로 인해 이동 전화는 상당한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각 셀은 공통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하여 그 셀 내에 브로드캐스팅된 특정 아이덴티티(identity)를 사용하여 식별된다.
도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RNC(14), 상호접속 시그널링 및 전송 네트워크 (16), 그리고 각각의 셀에서의 무선 기지국 장비가 함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RAN)(20)를 구성한다. 이동 단말기(MT)(18)는 RAN(20)을 통하여 코어 네트워크(12)에 의해 제공된 전기통신 서비스에 가입자가 접속하는 것을 허용한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20)는 코어 네트워크(12)와 이동 단말기(18) 간의 무선 접속의 제어 및 무선 전송에 대한 책임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황, 구성 등에 따라서 RAN 내의 RNC로 다양할 역할이 할당된다. RNC의 하나의 역할은 자신의 세트의 셀에서의 무선 자원을 제어하는 "제어" RNC(CRNC)의 역할이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RNC1은 셀(1:1 내지 1:5)에 대한 제어 RNC이고, RNC2는 셀(2:1 내지 2:5)에 대한 제어 RNC이며, RNC3은 셀(3:1 내지 3:5)에 대한 제어 RNC이다.
도 2는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에서 인접한 셀을 도시한 것이다. 활성 셀은 현재 이동 전화와의 무선 접속을 지원하는 셀을 나타낸다. 인접한 이웃하는 셀은 접속을 지원하도록 순방향 핸드오버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순방향 핸드오버는 이동 단말기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내의 다양한 셀들 사이를 이동할때, 이동 단말기 자신이 코어 네트워크와 이동 단말기 간의 설정된 접속을 지속하는 공정이다. 종래의 핸드오버와 대조적으로, 순방향 핸드오버에서 이동 단말기는 새로운 셀과의 무선 접속을 독립적으로 재설정한다. 이런 접속의 재설정은 구 셀을 통하여 미리 통지하지 않고 수행된다. 새로운 셀을 통한 통신을 지속하기 위하여 네트워크에서의 사전 준비도 또한 존재하지 않는다. 순방향 핸드오버를 시작하여 조합하는 것은 코어 네트워크, 코어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MSC), 또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NC)보다는 차라리 이동 단말기이다.
이동 단말기가 서로다른 RNC에 의해 제어되는 셀 간을 이동하여 순방향 핸드오버를 수행할때, 코어 네트워크와 이동 단말기 간을 접속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RNC로 다른 역할이 할당된다. 이동 단말기로의 접속이 최초로 설정되는 셀을 제어하는 RNC는 접속 기간동안 "서비스하는" RNC 역할을 할당받는다. 이동 단말기가 새로운 셀로 이동할때, 이동 단말기는 "드리프트(drift)" RNC로 일컬어질 다른 RNC에 의해 제어되는 새로운 셀을 통하여 접속을 재설정할 수 있다. MT1로의 접속에 대하여, 셀(1:2)의 제어 RNC(즉, RNC1)는 서비스하는 RNC로서 동작한다. MT3로의 접속에 대하여, 셀(2:5)의 제어 RNC(즉, RNC2)는 드리프트 RNC로서 동작한다. 서비스하는 RNC 역할은 접속동안 다른 RNC로 재-할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그러한 재-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서비스하는 RNC(SRNC)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20) 내에서 이동 단말기 접속을 관리 제어하며 그 이동 단말기 접속을 위하여 코어 네트워크(12)로 단일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드리프트 RNC의 역할은 상기 드리프트 RNC에 의해 제어되는 셀에서 이동 단말기 접속을 위한 무선 자원으로 서비스하는 RNC를 지원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RNC1는 코어 네트워크와 이동 단말기(MT1, MT2, 및 MT3) 간의 접속을 위한 서비스하는 RNC로서 동작한다. 순방향 핸드오버 이후에, 이동 단말기 (3)(MT3)로의 접속은 RNC2에 의해 제어되는 셀(2:5)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RNC2는 이 특정 접속을 위한 드리프트 RNC로서의 기능을 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MT2)는 이웃 셀(1:4 및 2:1)을 갖는 셀 (1:5)을 통하여 RAN(20)과 접촉하고 있다. 이웃하는 셀 정보로부터 검파된 변화된 무선 상태의 결과로서, MT2는 무선 통신이 RNC1 보다는 차라리 RNC2에 의해 제어되는 이웃 셀(2:1)을 통해 재설정되어야만 한다고 결정한다. 따라서, 무선 접속을 재설정하기 위해 RNC1 및 RNC2 간의 시그널링 및 데이터 전송이 필요로된다. RNC1은 서비스하는 RNC로서 동작하며, RNC2는 MT2의 접속을 위한 드리프트 RNC로서 동작한다. 더구나, 이동 단말기(MT3)는 이웃 셀(2:4 및 3:1)을 갖는 셀(2:5)를 통하여 RAN(20)과 접촉하고 있다. 이웃하는 셀 정보로부터 검파된 변화된 무선 상태로 인해, MT3는 무선 통신이 RNC3에 의해 제어되는 셀(3:1)을 통하여 재-설정되어야만 한다고 결정한다. RNC1은 서비스하는 RNC로서 동작하며, RNC3는 MT3의 접속을 위한 드리프트 RNC로서 동작한다.
이러한 시나리오(scenario) 둘 모두에서, 무선 접속을 재-설정하기 위해 서비스하는 RNC와 드리프트 RNC 간의 시그널링 및 데이터 전송이 필요로된다. 일단, 이동 단말기가 순방향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결정한 경우, 이동 단말기는 셀 갱신 요구 메세지를 드리프트 RNC로 전송하며, 드리프트 RNC는 셀 갱신 메세지를 서비스하는 RNC로 전송한다. 그리고 나서, 서비스하는 RNC는 셀 갱신 수용 메세지를 드리프트 RNC로 귀환시키는데, 그 드리프트 RNC는 적절한 셀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로 그 메세지를 다시 통과시킨다.
순방향 핸드오버가 하나 이상의 RNC와 관계할 수 있기 때문에, RAN(20)을 통하여 MT로부터 코어 네트워크(12)로 그리고 반대도 마찬가지로 제어 메세지 및 사용자 데이터를 루팅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식이 필요로된다. 이것은 RAN 내의 RNC들 간에 제어 및 사용자 데이터를 루팅하기 위한 효율적인 메커니즘을 필요로한다. RAN 노드 또는 엔티티 간의 그러한 효율적인 통신은 다른 시나리오에 유용하다.
일례의 시나리오가 이동성(mobility) 관리의 문맥, 즉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페이징하여 추적하는 것과 관련된 메세지에서 발견된다. 패킷-스위칭 통신 서비스에서, 무선 자원은 통상적으로 복수의 이동 단말기에 의해 공유되어 단지 (1) 이동 단말기가 전송하고자 할때 이거나 (2) 네트워크가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때에만 사용된다. 이동 단말기가 패킷 스위칭 서비스와 관계한 접속동안 네트워크와 접속될때, 셀 갱신 및 등록 영역 갱신은 이동성 관리를 위해 사용된다. 활성 이동 단말기가 다른 셀의 유효범위 영역으로 들어간 후에, 이동 단말기는 셀 갱신 절차("셀 접속 상태")에 의하여 새로운 셀과 무선 접속을 재-설정한다.
그러나, 데이터 전송이 없는 유휴 주기에서, 셀 갱신은 무선 자원을 낭비하므로, 등록 영역(RA) 갱신이 사용된다. RA 갱신시에, 유휴 이동 단말기는 이하에 소위 "등록 영역 접속 상태"로 언급된다. 등록 영역은 한 그룹의 셀에 대응한다. 패킷 스위칭 서비스를 위한 트래픽이 패킷이 장기간 동안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 실제로 버스티(birsty)하기 때문에, 무선 채널이 접속부에 지속적으로 할당되는 경우, 무선 자원이 낭비될 것이다. 그러므로, "RA 접속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가 새로운 영역으로 이동할때, 이동 단말기는 셀 갱신 절차와 유사한 등록 영역 갱신 절차를 사용하여 자신의 현재 등록 영역으로 네트워크를 갱신한다. 그 후에, 이동 단말기는 갱신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동일한 RA에 속하는 셀들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패킷이 네트워크로부터 이동 단말기로 전송되어야만 하고 이동 단말기의 위치가 (셀 레벨에서보다 차라리) 등록 영역 레벨에서만 공지된 경우, 페이징 메세지가 이동 단말기가 자신의 최종 등록 영역 갱신을 행한 등록 영역에 속하는모든 셀 내로 브로드캐스팅된다. 이동 단말기가 현재 위치되어 있는 특정 셀로부터 페이지에 응답할때, 이동 단말기는 "셀 접속 상태"로 들어간다. 셀 갱신 관련 메세지 및 등록 영역 갱신 관련 메세지 둘 모두가 RAN 내의 RNC들 사이에서 메세지 루팅을 필요로할 수 있다.
도 3은 RNC1-RNC3에 의해 제어된 셀이 하나 또는 여러 셀로 각각 구성되어 있는 등록 영역(RA1-RA6)으로 그룹화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각각의 셀 내의 브로드캐스팅 채널 상에서 전송된 정보는 등록 제어를 위한 셀 및 등록 영역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셀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그러한 셀 및 등록 영역 식별자가 가장 최근의 셀 또는 RA 등록 절차 동안에 이동 단말기로 할당된 동일한 셀 및 등록 영역 식별자를 포함하는한, 이동 단말기는 등록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가 그 셀에서 브로드캐스팅된 셀 및 등록 영역 식별자를 인식하지 못할때, 이동 단말기는 RA 갱신 절차를 개시한다.
이동 단말기를 위한 개개의 등록 영역(IRA)은 (RA 아이덴티티에 의해 식별된) 하나 이상의 등록 영역 및/또는 (셀 아이덴티티에 의해 식별된) 하나 또는 여러 셀로 구성되는 것으로 규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3에서 IRA의 RA4, RA5 및 셀(3:4)로 할당된 이동 단말기는 셀(2:2 또는 3:5)로 들어갈때가지 새로운 등록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이동 단말기로 전송되어야만 하는 정보가 존재하고 서비스하는 RNC가 이동 단말기를 셀 레벨에 위치시켜야만할때, 서비스하는 RNC는 페이징 절차를 개시하여 페이징 메세지가 IRA에 속하는 모든 셀로 전송되도록 한다. IRA의 셀이 하나 이상의 RNC에 속하는 경우, 서비스하는 RNC는 IRA 내의 셀이 속하는 각각의 RNC로 페이징 요구 메세지를 직접 전송한다. 대안적으로, 서비스하는 RNC는 페이징 요구 메세지를 IRA의 등록 영역을 제어하는 각각의 RNC 및 IRA의 부가적인 셀을 제어하는 RNC로 전송할 수 있다. 상이한 등록 영역을 제어하는 RNC는 그 등록 영역 내의 셀을 제어하는 다른 RNC로부터 페이징을 차례로 요구할 것이다. 그 페이지에 대한 이동 단말기 응답은 서비스하는 RNC보다 다른 RNC에 의해 제어되는 셀, 그리고 아마 가장 최근의 RA 등록에서 드리프트 RNC로 동작했던 RNC 이외의 RNC에 의해 제어되는 셀에서 수신될 것이다.
따라서, 순방향 핸드오버 및 이동 단말기 위치/이동성 관리 동작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20)에서 RNC와 같은 RAN 엔티티들 간의 상당한 시그널링 및 데이터 전송을 필요로한다. RAN은 또한 어느 RNC가 MT가 현재 공지되어 있는 셀 또는 등록 영역을 제어하는지를 추적하여야만 한다. 그러므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외부에서 투명한 RAN 내의 RNC들 간의 통신/정보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효율적인 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셀룰러 전기통신에 적용되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정보의 전송에 관한 것이다.
관련 출원
본 특허 출원은 1998년 5월 5일자로 출원되고, 명칭이 "Multicell Area Paging For Cellular Telecommunications System"이며, 널리 공지된 미국 특허 출원 SN 09/071,886에 관한 것이며, 이것은 본원에 참조된다.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기술로부터 본 발명의 상술된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성, 및 장점을 명백히 인지할 것이며, 여기서 여러 도면에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병기되어 있다. 도면은 항상 스케일링되거나 강조될 필요가 없으며, 그 대신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배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능적인 블럭도.
도 2는 이웃하는 셀로 둘러쌓인 활성 셀을 식별하는 셀룰러 네트워크를 개념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일부 및 등록 영역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6a는 도 1에서 RAN 엔티티 간에 통신된 메세지의 예를 도시한 시그널링 도면.
도 6b는 도 6a에서 사용된 메세지 포멧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a는 셀 갱신 절차의 시그널링 흐름도.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메세지 포멧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a는 서비스하는 RNC 및 드리프트 RNC 둘 모두를 포함하는 셀 갱신 요구의 시그널링 도면.
도 8b는 도 8a에서 사용된 메세지 포멧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a는 상태 변화 시그널링 흐름도.
도 9b는 도 9a에서 사용된 메세지 포멧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a는 페이징 동작의 시그널링 흐름도.
도 10b는 도 10a에서 사용된 메세지의 메세지 포멧의 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단말기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내의 엔티티/노드(예를 들어, RNC) 간에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통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의 노드가 미리 모든 다른 노드의 어드레스를 인지하지 않고 RAN 내에 개개의 노드의 어드레싱(addressing)을 제공하고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이동 단말기와의 접속과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현재 셀 또는 등록 영역의 아이덴티티, 현재 서비스하는 RNC 어드레스, 현재 드리프트 RNC 어드레스, 현재 일시적인 이동 단말기 RAN 식별자 등이 저장되는 RAN에 공통의 위치 레지스터 없이 RAN 내에 노드의 어드레싱을 제공하고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접속이 원래 설정되었던 RNC와 다른 RNC에 속하는 새로운 셀에서 효율적인 무선 접속 재-설정을 제공하고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접속이 원래 설정된 RNC와 다른 RNC에 속하는 새로운 셀에서 무선 접속 재설정한 이후에 제어 및 사용자 데이터의 효율적인 루팅을 제공하고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페이징 및 다른 이동성 관리 메세지에 관한 제어 및 사용자 데이터의 효율적인 루팅을 제공하고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와 연결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상황에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코어 네트워크와 다수의 이동 단말기중 하나 사이에서 접속이 설정될 수 있다. 일시적인 RAN 식별자는 설정된 접속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와 관련된다. 일시적인 RAN 식별자가 사용되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그 접속의 설정 또는 설정된 접속에 속하는 정보의 전송을 지원하도록 한다. 일시적인 RAN 식별자는 접속과 관련된 각각의 데이터 패킷 내에 포함되며, 그러한 접속 데이터 패킷은 각각의 접속 패킷에 포함된 일시적인 RAN 식별자를 사용하여 RAN을 통해 루팅된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제 1 지리적인 유효범위 영역과 관련된 제 1 RAN 노드 및 제 2 지리적인 유효범위 영역과 관련된 제 2 RAN 노드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가 제 1 유효범위 영역으로부터 제 2 유효범위 영역으로 이동할때, 접속은 일시적인 RAN 식별자를 사용하여 제 1 및 제 2 RAN 노드에 의해 RAN을 통하여 재설정된다. 설정된 접속에 대응하는 패킷에서 사용된 일시적인 RAN 식별자가 사용되어 이러한 패킷을 제 1 및 제 2 RAN 노드로 지향하도록 하며 제 1 및 제 2 RAN 노드로부터 지향되도록 한다. 제 1 및 제 2 RAN 노드는 각각의 패킷에 포함된 일시적인 RAN 식별자를 사용하여 설정된 접속에 대응하는 패킷을 분석한다. 일식적인 RAN 식별자의 그 분석으로부터, 제 1 및 제 2 RAN 노드는 패킷이 어디로 루팅되어야만 하는지를 결정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일시적인 RAN 식별자는 (1) 접속이 최초로 설정되는 제 1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에 대응하는 RAN 노드 식별자(서비스하는 RNC 아이덴티티) 및 (2) 이 RNC 내에서의 특정한 국부적인 이동 단말기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새로운 지리적인 유효범위 영역과 최초로 접촉할때, RAN 노드 식별자 및 국부적인 이동 단말기 식별자 둘 모두가 사용된다. 그 후에, 현재 제어 RNC 내에서 특정 국부적인 이동 단말기 식별자가 사용되어 무선 자원을 절약하도록 한다. 일단, 설정된 접속이 종료된 경우, 일시적인 RAN 식별자의 사용이 중단된다.
부가적인 정보가 내부-RAN 메세지에서 일시적인 RAN 식별자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그러한 부가적인 정보는 제 1 RNC가 이동 단말기에 대한 메세지를 이동 단말기가 현재 위치된 영역을 제어하는 특정 드리프트 RNC로 루팅하도록 하는 영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영역 정보는 등록 영역 또는 그 등록 영역 외부의등록 영역 및 부가적인 셀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인 정보는 또한 무선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의 기술에서, 특정 실시예, 데이터 흐름, 시그널링 수행, 프로토콜, 기술 등등과 같은 특정 세부항목은 본 발명을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설명을 목적으로 한 것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특정 세부항목 이외의 다른 실시예에서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들은 명백히 인지할 것이다. 널리-공지된 방법, 인터페이스, 장치, 및 시그널링 기술의 상세한 서술은 본 발명의 서술을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본 발명은 도 1-3에 도시되고 상술된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예에서 수행될 수 있다. 물론, 당업자들은 본 발명이 다른 상황에서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명백히 인지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최초로, 이동 단말기(MT)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사이에서 접속이 설정될 것이다(블럭 100). 일시적인 RAN 식별자는 접속이 최초로 설정되는 RNC, 즉 서비스하는 RNC와 관련된다. 그 일시적인 RAN 식별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와 관련되며, 결과적으로, 특정 RAN 접속을 식별한다(블럭102). 그리고 나서, 일시적인 RAN 식별자가 사용되어 MT-RAN 접속과 관련된 RAN 내의 엔티티들 사이 뿐만 아니라, MT 및 RAN 사이에 정보 전송을 지원하도록 한다(블럭 104). 이것은 접속을 설정시, 그 접속을 유지시, 그리고 이동 단말기가 이동할때 상이한 셀들 간에 그 접속을 전이시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MT-RAN 접속이 종료될때, 일시적인 RAN 식별자의 사용이 중단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보다 상세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MT-RAN 접속은 서비스하는 RNC(SRNC)를 통하여 코어 네트워크(20)와 이동 단말기(18)중 하나 사이에서 설정된다(블럭 110). 설명을 위하여, RNC1이 MT-RAN 접속이 설정되는 셀에 대한 제어 RNC(CRNC)라고 가정하면, 서비스하는 RNC는 도 1의 RNC1에 대응한다. SRNC는 일시적인 RAN ID 및 CRNC MT ID를 MT로 할당하여 MT-RAN 접속을 식별하도록 한다(블럭 112). 접속의 무선 인터페이스 부분이 단지 CRNC 및 MT만와 관계하기 때문에, 단지 CRNC MT ID만이 사용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단지 CRNC MT ID만이 MT-RAN 접속과 관련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송된 제어 및 사용자 데이터가 패킷 내로 삽입된다(블럭 114). 일시적인 RAN ID는 SRNC를 식별하는 한 부분(SRNC 식별자 또는 어드레스) 및 SRNC 내에서 이동 단말기를 식별하는 한 부분(SRNC MT 식별자)으로 구성되어 있다. CRNC MT ID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어드레싱 정보 길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일시적인 RAN ID보다 작다. 두 식별자-SRNC MT ID 및 CRNC MT ID의 사용은 다른 RNC에 의해 제어되는 셀에서 수행되는 이후의 셀 갱신 절차에서 특히 유용하다. SRNC MT ID는 SRNC에 의해 할당되어야만 하지만, CRNC MT ID는 충돌을 피하기 위하여 DRNC에 의해 할당될 수 있다. MT의 셀을 제어하는 CRNC가 SRNC일때, SRNC MT ID 및 CRNC MT ID는 동일할 수 있다.
MT가 SRNC로서 동작하고 있는 동일한 RNC에 의해 제어되는 새로운 셀을 통하여 MT-RAN 접속을 재-설정할때, 일시적인 RAN ID가 사용되어 재-설정을 이루도록 하는데(블럭 116), 그 이유는 MT가 새로운 셀이 동일한 RNC에 의해 제어되는지 다른 RNC에 의해 제어되는지를 인지하고 못하기 때문이다. SRNC는 선택적으로 새로운 CRNC MT ID를 MT로 할당하여(블럭 118) MT-RAN 접속시에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송된 각각의 제어 및 사용자 데이터 패킷 내에 삽입되도록 한다(블럭 120). 물론, 블럭(112)에서 할당된 동일한 CRNC MT ID가 지속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MT가 MT-RAN 접속에 대한 DRNC로서 동작하는 새로운 RNC에 의해 제어된 새로운 셀을 통하여 MT-RAN 접속을 재-설정할때, 일시적인 RAN ID가 다시 사용되어 새로운 셀에서 접속을 설정하도록 하는데(블럭 128), 그 이유는 MT가 새로운 셀이 다른 RNC에 의해 제어되지를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DRNC는 새로운 CRNC MT ID를 MT로 할당하여(블럭 124) MT-RAN 접속시에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송된 각각의 제어 및 사용자 데이터 패킷 내에 삽입되도록 한다(블럭 126).
그리고 나서, 선택적으로, MT-RAN 접속이 RAN(20)을 통하여 패킷 형태 접속으로부터 전용된 형태의 접속으로 변환된 경우,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패킷을 식별하기 위한 일시적인 RAN ID를 사용하는 것은 중단되는데(블럭 128), 그 이유는 채널이 단지 그 접속으로 전용되기 때문이다. 더 이상 패킷을 라우팅/어드레싱할 필요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MT-RAN 접속이 이후에 패킷-형태의 접속으로 재-변환된 경우, 사전의 일시적인 RAN ID의 사용이 재개되거나, 새로운 일시적인 RAN ID가 SRNC에 의해 할당된다. 어쨌든, MT-RAN 접속이 종료될때, 일시적인 RAN ID의 사용은 중단된다(블럭 130).
MT-RAN 접속 설정에 관한 특정 실시예가 도 1과 3에 도시된 셀룰러 시스템 (10), 도 6a에 도시된 신호 흐름, 및 도 6b에 도시된 패킷 포멧과 관련하여 이하에 기술될 것이다. MT1이 셀(1:2)을 통하여 RNC1과 접속을 최초로 설정할때, RNC1은 그 MT-RAN 접속에 대하여 서비스하는 RNC로서 동작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속 요구 메세지(1)가 MT1으로부터 SRNC로 전송된다. 가령, 임의의 액세스 채널을 통하여 임의의 액세스 시도시에 충돌을 피하기 위하여 사용된 (본 발명과 무관한) 램덤 ID도 또한 포함된다. 그리고 나서, SRNC는 접속 수용 메세지(2)를 MT1으로 전송하는데, 이 메세지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시적인 RAN ID를 포함한다. 이것이 최초의 접속 설정 요구이기 때문에, 일시적인 RAN ID는 이 실시예에서 SRNC ID 뿐만 아니라, SRNC에 의해 인식된 MT 식별자(즉, SRNC MT ID) 둘 모두를 포함한다. MT가 SRNC에 의해 제어되는 셀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 외부로 이동할때, 특히 SRNC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 셀에서 접속이 재-설정될때, RAN을 통하여 루팅을 설정하고 MT-RAN 접속을 식별하도록 하기 위하여 ID 둘 모두가 사용된다. MT-RAN 접속에 대하여 SRNC로서 동작하고 있는 RNC1이 또한 셀(2:1)에 대한 CRNC이기 때문에, RNC1은 또한 MT로 CRNC ID를(즉, CRNC MT ID를) 할당한다. 이 단일 RNC의 예에서, SRNC MT ID는 CRNC MT ID로서 채택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제어 및 사용자 데이터 메세지는 MT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에서 SRNC를 통하여 교환될 수 있다. 제어 메세지는 가령, 본 발명과 무관한 세부항목,인증 및 서비스 협상에 관한 것일 수 있다. SRNC와 MT 사이에서 전송된 제어 및 사용자 데이터 메세지 포멧의 예는 도 6b의 메세지(3) 및 (4)에 도시되어 있으며 단지 CRNC MT ID만을 사용한다.
CRNC MT ID는 일시적인 RAN ID 보다 짧으므로 무선 자원으로 사용될 수 없기 때문에, 메세지(3) 및 (4)에 대한 어드레스로서 사용된다. 이것은 또한 보다 긴 일시적인 RAN ID는 SRNC와 MT 간의 루팅 경로가 메세지(2)에 의해 최초로 설정된 이후에 필요로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된다. 그러나, 보다 긴 RAN ID는 메세지(3) 및 (4)에 대한 어드레스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단, RNC1이 서비스하는 RNC라는 것을 인식한 경우, RNC1은 그 접속을 위하여 코어 네트워크 및 대한 이동 단말기로의 직접적인 인터페이스로서의 기능을 한다.
도 7a 및 7b는 이동 단말기(MT1)가 셀(1:2)로부터 셀(1:3)으로 이동할때, 셀 갱신 절차에 대한 시그널링 도면 및 메세지 포멧의 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새로운 셀로 들어갈때, 이동 단말기(MT1)는 새로운 셀에 등록되어야만 하므로, 셀 갱신 요구 메세지(1)를 서비스하는 RNC(RNC1)로 전송한다. 도 7b에 도시된 셀 갱신 요구 메세지(1)은 본질적인 메세지 이외에, (SRNC ID 및 SRNC MT ID를 포함하는) 일시적인 RAN ID를 포함한다. MT는 자신이 셀 갱신을 수행하는 셀을 어느 RNC가 제어하는지를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보다 긴 일시적인 RAN ID가 필요로된다. 그리고 나서, SRNC는 도 7b에 도시된 것에 대응하는 포멧을 갖는 셀 갱신 메세지(2)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 특히, 새로운 CRNC MT ID는 MT가 셀 갱신을 행하는 셀을 제어하는 CRNC에 의해 할당된다. 대안적으로, 그 셀을 제어하는 RNC가 SRNC이기 때문에, 접속이 셀(1:2)을 통하여 최초로 설정될때 할당된 SRNC MT ID가 또한 CRNC MT ID로서 사용될 수 있다. 더구나, 사전 셀에서 할당된 동일한 CRNC MT ID가 사용될 수 있다. 메세지 포멧(3)-(5)을 사용하는 정보 전송은 각각의 패킷 내의 제어 및 사용자 데이터를 가지고 어드레싱/라우팅하기 위해 포함된 단지 보다 짧은 CRNC MT ID만으로 지속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실시예는 보다 정밀한 셀 갱신 절차에 대한 시그널링 도면 및 메세지 포멧의 예를 각각 도시한 도 8a 및 8b와 관련하여 이하에 기술될 것이다. 이동 단말기(MT1)가 셀(1:5)로부터 이동하여 셀(2:1)로 들어간다. 셀(2:1)은 새로운 RNC(RNC2)에 의해 제어된다. 이동 단말기(MT1)는 (1)에서 도 8b에 도시된 메세지 포멧을 사용하여 셀 갱신 요구 메세지(1)를 드리프트 RNC(RNC2)로 전송한다. 셀 갱신 요구에 첨부된 일시적인 RAN 식별자(ID)는 SRNC ID 및 SRNC MT ID 어드레스 정보 둘 모두를 포함한다. 드리프트 RNC(DRNC)는 새로운 CRNC MT ID를 할당한다. 일시적인 RAN ID에 포함된 SRNC ID를 사용하여, 드리프트 RNC(RNC2)는 SRNC 어드레스를 결정하고 SRNC MT ID, DRNC 어드레스, DRNC ID, 새로운 CRNC MT ID, 및 새로운 셀 정보(예를 들어, SRNC가 이 정보를 인지하도록 새로운 셀의 셀 식별)와 함께 셀 갱신 요구 메세지를 SRNC로 전송한다. SRNC는 셀 갱신 요구 메세지(2)를 분석하고 DRNC 어드레스 및 CRNC MT ID를 사용하여 셀 갱신 수용 메세지(3)을 적절한 드리프트 RNC(즉, RNC2)로 다시 루팅하도록 한다. 메세지(3)는 또한 (어쨌든, 이 DRNC에 의해 할당된) 구 CRNC MT ID를 포함하여 이 식별 번호를 DRNC로 할당하지 않도록 한다. 제 3 RNC가 포함된 경우(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RNC2의 제어하에 있는 셀로부터 RNC3의 제어하에 있는 셀로 이동한 경우), RNC1은 서비스하는 RNC이지만, 특정 메세지가 사용되어 "구" 드리프트 RNC(RNC2)에서 CRNC MT ID를 해제하도록 한다.
드리프트 RNC는 일시적인 RAN ID(SRNC ID 및 SRNC MT ID) 및 새로운 CRNC MT ID와 관련된 셀 갱신 수용 메세지(4)를 MT1으로 전송하여 동일한 셀 내에서 그 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사용되도록 한다. 이동 단말기는 "셀 갱신 확인" 메세지 (5)를 드리프트 RNC로 전송함으로써 CRNC MT ID의 할당을 통지한다. 드리프트 RNC는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SRNC 어드레스 및 SRNC MT ID와 함께 이 메세지를 서비스하는 RNC로 전송한다.
그 후의 데이터 메세지는 메세지 (7)-(10)에서 드리프트 RNC 및 서비스하는 RNC를 통하여 MT1와 코어 네트워크 사이에서 통과된다. MT1으로부터 SRNC로의 방향에서, 메세지(7)는 이동 단말기가 현재 위치된 드리프트 RNC로 루팅된다. DRNC ID는 RNC2의 RAN 어드레스 또는 RNC2의 RAN 어드레스를 도출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CRNC MT ID가 사용되어 드리프트 RNC(RNC2) 내에서 MT1을 식별하도록 한다. 드리프트 RNC는 이동 단말기 식별자로서 CRNC MT ID를 사용하여 (8)에서 메세지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 RAN을 향한 업링크 방향에서, 이동 단말기는 메세지(9)에서 CRNC MT ID 식별자를 사용한다. 드리프트 RNC는 그것의 RAN 어드레스로서 또는 서비스하는 RNC의 RAN 어드레스를 도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서비스하는 RNC ID를 사용하여 메세지(10)을 RAN을 통하여 그 메세지를 루팅시키는 서비스하는 RNC로 전송한다. 서비스하는 RNC는 또한 SRNC MT ID를 사용하여 대응 사용자를 식별하고 코어네트워크로 메세지를 전송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는 또다른 사나리오의 예가 도 9a 및 9b와 관련하여 기술되어 있다. 이동 단말기에 관계한 트래픽이 매우 낮은 주기에서, SRNC는 이동 단말기(MT1)의 활동도 레벨을 낮춰서 이동 단말기는 단지 자신의 현재 위치에서 등록 영역 경계를 통과할때 RAN으로 등록/갱신할 필요가 있으므로 무선 자원을 보존하도록 한다(도 3에 도시된 등록 영역의 예를 참조하라). SRNC는 이동 단말기(MT1)의 활동도 레벨을 "RA 상태"로 변화하도록 결정한다. SRNC는 (드리프트 RNC에 의해 사전에 할당된 바와 같은) CRNC MT ID를 사용해서 메세지 (1) "RA 상태로 변화"를 드리프트 RNC로 전송하여 이동 단말기(MT1)를 식별하도록 한다. 이 메세지는 이동 단말기(MT1)가 자신의 위치를 갱신하지 않고 이동할 수 있는 영역을 (셀 및/또는 RA 아이덴티티에 의해서) 규정하는 셀 정보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 영역은 이 MT에 대한 개별적인 등록 영역(IRA)로 언급된다. 그 메세지 내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MT는 유효한 등록 영역 정보를 셀의 브로드캐스팅 채널로부터 수신한다. 드리프트 RNC는 어드레스로서 CRNC MT ID를 사용하여 그 메세지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동 단말기는 "RA 상태로 변화 수용" 메세지를 드리프트 RNC로 전송함으로써 그 메세지의 수신을 통지한다. 그 후에, 드리프트 RNC는 SRNC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이 메세지를 서비스하는 RNC로 전송한다. SRNC MT ID가 사용되어 SRNC 내에서 이동 단말기를 식별하도록 한다.
RAN의 모든 RNC 내에 그러한 등록 영역의 셀을 제어하는 모든 등록 영역 및 RNC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도 9b에서 메세지 (1)을 전송하기 전에, SRNC는 드리프트 RNC로부터 이 정보를 선택적으로 요구한다. 드리프트 RNC는 (등록 영역 및/또는 셀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에 대한 적절한 영역을 선택하여 그 영역의 셀을 제어하는 RNC 아이덴티티 및 RNC 어드레스와 함께 이 정보를 서비스하는 RNC로 귀환시킨다.
이동 단말기 활동도 레벨과 관계없이, SRNC는 그 이동 단말기로 전송될 데이터가 존재할때마다 유휴 이동 단말기를 셀 레벨로 위치시킬 필요가 있다. SRNC는 IRA의 셀을 제어하는 각각의 RNC로 페이징을 위한 요구를 전송한다.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는 페이징 절차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페이징 요구(1)는 서비스하는 RNC(예를 들어, RNC1)로부터 MT의 IRA의 셀을 제어하는 다른 RNC(RNC2및 RNC3)로 전송된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지 요구는 SRNC ID 및 SRNC MT ID와 함께 적절한 다른 RNC(RNC2또는 RNC3)중 하나의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서비스하는 RNC로부터 페이지 요구를 수신하는 다른 RNC 둘 모두는 또한 SRNC ID 및 SRNC MT ID를 포함하는 페이징 메세지(2)를 그 RNC에 의해 제어되는 각각의 셀로 전송한다. 이러한 브로드캐스팅된 페이징 메세지(2)는 SRNC ID 및 MT ID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RNC3에 의해 제어되는 셀중 하나로부터 이동 단말기로부터 페이지 응답(3)이 수신된다. (RNC3에 대응하는) 드리프트 RNC는 SRNC 어드레스, SRNC MT ID, 페이지 응답 메세지 그 자체, 드리프트 RNC3어드레스, RNC3에 의해 새롭게 할당된 CRNC MT ID, 그리고 셀 및 이웃하는 셀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징 응답 메세지(4)를 다시 서비스하는 RNC로 전송한다. 서비스하는 RNC는 RNC3어드레스 및 CRNC MT ID를 포함하는 접속 수용 메세지(5)를 드리프트 RNC로 전송한다. 드리프트 RNC(RNC3)는 그 메세지와 함께 SRNC ID, SRNC NT ID, RNC2CRNC MT ID를 포함하는 접속 수용 메세지 (5)를 다시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 따라서, 제어 및 사용자 데이터는 도 8b의 메세지 (7)-(10)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메세지 포멧을 사용하여 DRNC(RNC2)를 통해 SRNC 및 이동 단말기 사이에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내의 노드(예를 들어, RNC) 사이에서 어드레스/라우팅 정보의 효율적이며 동적인 교환을 제공한다. 이것은 이동 단말기가 순방향 핸드오버를 사용하여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접속을 재설정할때 특히 유용하다. 이동 단말기는 RAN 내의 임의의 RNC에 의해 제어되는 셀을 통하여 접속을 재-설정할 수 있으며, 제어 메세지가 RAN 내의 RNC들 사이에서 루팅되어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즉, 셀 및 제어하는 RNC)로 서비스하는 RNC를 갱신하도록 하며, 제어 및 사용자 데이터는 RAN을 통하여 코어 네트워크와 이동 단말기 사이에서 효율적으로 루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율적인 어드레싱 및 루팅 방식은 또한 유휴 이동 단말기가 자신의 현재 위치를 통신하거나 자신이 위치될 필요가 있을때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들은 본 발명이 본원에 기술되고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도시되고 기술된 것 이외에 다양한 포멧, 실시예, 및 개조 뿐만 아니라, 많은 수정, 변경, 및 등가 장치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공표는 단지 본 발명의 예라는 것을 주의하라.

Claims (52)

  1.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중 하나 사이에서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을 위하여 일시적인 RAN 식별자를 상기 이동 단말기와 관련시키는 단계와,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접속에 관한 정보의 전송을 지원하도록 일시적인 RAN 식별자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적인 RAN 식별자는 상기 접속과 관련된 상기 RAN 내의 하나 이상의 엔티티들 사이에서 정보를 루팅하도록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은 패킷에-근거한 접속이며 상기 일시적인 RAN 식별자는 각각의 접속 패킷 내에 포함되며, 상기 방법은 각각의 접속 패킷 내에 포함된 상기 일시적인 RAN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RAN을 통해 접속 패킷을 루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제 1의 지리적인 유효범위 영역과 관련된 제 1 노드 및 제 2의 지리적인 유효범위 영역과 관련된 제 2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노드로 그러한 패킷을 지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접속에 대응하는 그러한 패킷 내의 일시적인 RAN 식별자를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효범위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2 유효범위 영역으로 이동하는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일시적인 RAN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접속을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적인 RAN 식별자는 상기 접속이 최초로 설정되는 노드에 대응하는 노드 식별자 및 이동 단말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새로운 지리적인 유효범위 영역과 최초로 접촉할때, 상기 접속이 최초로 설정되는 노드에 대응하는 상기 노드 식별자 및 상기 이동 단말기 식별자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지리적인 유효범위 영역과 최초로 접촉한 이후에, 상기 이동 단말기 식별자만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적인 RAN 식별자는 상기 접속이 최초로 설정된 노드에 대응하는 노드 식별자 및 이동 단말기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노드 식별자가 없는 단축된 일시적인 RAN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노드 사이에서 상기 접속과 관련된 패킷을 루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드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의 견지에서 상기 접속을 제어하는 최초의 RAN 노드이며 상기 제 2 노드는 상기 이동 단말기를 현재 서비스하는 다른 RAN 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접속이 종료될때 상기 일시적인 RAN 식별자의 사용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접속은 패킷에-근거한 접속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설정된 접속이 전용된 무선 채널로 할당될때 상기 일시적인 RAN 식별자의 사용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13.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며, 코어 네트워크 및 제 1의 지리적인 영역 내에 위치된 다수의 이동 단말기중 하나 사이의 접속이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설정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에 있어서,
    설정될 접속을 위하여 제 1 RAN 식별자를 하나의 이동 단말기와 관련시키는 단계와,
    상기 하나의 이동 단말기가 제 2의 지리적인 영역으로부터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최초로 통신할때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상기 접속을 취급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제 1 RAN 식별자를 사용하는 단계와,
    제 2의 지리적인 영역으로부터 상기 하나의 이동 단말기에 의하여 최초 통신한 이후에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상기 접속을 취급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제 2 RAN 식별자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RAN 식별자는 일시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RAN 식별자는 상기 제 2 RAN 식별자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RAN 식별자는 상기 접속이 최초로 설정되는 RAN 노드에 대응하는 노드 식별자 및 이동 단말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RAN 식별자는 상기 노드 식별자가 아니라 상기 이동 단말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다수의 RAN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RAN 노드중 하나는 상기 제 1 및 제 2 RAN 식별자중 하나를 사용하여 RAN 노드 어드레스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19. 제 1 영역과 관련된 제 1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및 제 2 영역과 관련된 제 2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를 구비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며, 접속이 상기 제 1 RNC를 사용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및 제 1 영역 내에 위치된 다수의 이동 단말기중 하나 사이에서 설정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RNC가 상기 접속을 위하여 일시적인 RAN 식별자를 상기 하나의 이동 단말기와 관련시키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제 2 RNC와 상기 접속을 재-설정할때, 상기 제 1 RNC가 상기 일시적인 RAN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제 2 RNC와상기 접속과 관련된 정보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적인 RAN 식별자는 상기 접속이 최초로 설정되는 상기 제 1 RNC에 대응하는 RNC 식별자 및 이동 단말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적인 RNC 식별자는 상기 제 1 RNC의 RAN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적인 RNC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RNC의 어드레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RNC로의 메세지 내에 부가적인 RAN 정보를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적인 정보는 상기 제 1 RNC가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한 메세지를 상기 이동 단말기가 현재 위치되어 있는 영역을 제어하는 RNC로 루팅하도록 하는영역 정보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적인 정보는 무선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26.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적인 RAN 식별자는 제 1 RNC ID 및 상기 제 1 RNC와 관련된 제 1 이동 단말기 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이 상기 제 1 RNC와 설정된 이후에, 제어 또는 사용자 데이터는 상기 제 1 이동 단말기 ID만을 사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제 1 RNC 사이에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28.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RNC에서 패킷 내에 포함된 상기 일시적인 RAN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접속에 대응하는 패킷을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RNC에서 상기 일시적인 RAN 식별자로부터 상기 패킷이 상기 제 1 RNC로 루팅되는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패킷을 상기 제 1 RNC로 루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29.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적인 RAN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RNC의 RAN 어드레스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RNC로부터 상기 제 1 RNC로 루팅될 다음 메세지에서 상기 결정된 제 1 RNC의 RAN 어드레스를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RNC는 제 2 이동 단말기 ID를 이동 단말기로 할당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 2 이동 단말기 ID 만을 사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제 2 RNC 사이에서 제어 또는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3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이 종료될때, 다른것과 관련된 일시적인 RAN 식별자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3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RNC가 상기 제 2 RNC에 대응하는 다른 RAN 식별자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RNC가 상기 접속과 관련된 메세지를 상기 제 2 RNC로 루팅하기 위하여 다른 RAN 식별자를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이 접속을 위하여 상기 제 2 이동 단말기 ID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제 2 RNC 사이에서 제어 또는 사용자 데이터를 지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이동 단말기 ID를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34.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RAN 노드에 있어서,
    컴퓨터 실행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영역을 갖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하며,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코어 네트워크 및 상기 하나의 이동 단말기 사이의 접속을 설정하기 위하여 그리고 상기 접속에 대한 일시적인 RAN 식별자를 관련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중 하나와 또는 하나에 의해 통신하기 위한 요구에 응답하는 코드 및 상기 무선 엑세서 네트워크에서 정보의 전송을 지원하도록 일시적인 RAN 식별자를 사용하는 코어 네트워크로부터의 메세지에 응답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RAN 노드.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로부터의 페이지 메세지에 응답해서 상기 일시적인 RAN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페이지를 지원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RAN 노드.
  36.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상기 일시적인 RAN 식별자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셀 갱신 메세지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 관한 셀 갱신 동작을 지원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RAN 노드.
  37.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상기 일시적인 RAN 식별자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등록 영역 갱신 메세지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 관한 등록 영역 갱신 동작을 지원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RAN 노드.
  38.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상기 일시적인 RAN 식별자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순방향 핸드오버 메세지에 응답하여 순방향 핸드오버 동작을 지원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RAN 노드.
  39.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상기 접속과 관련된 다른 노드로부터의 메세지에 응답하여 다른 RAN 노드의 RAN 어드레스를 결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RAN 노드.
  40.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며, 접속이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중 하나 사이에서 설정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에 있어서,
    설정된 접속을 위하여 일시적인 RAN 식별자를 상기 이동 단말기와 관련시키는 수단과,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보의 전송을 지원하도록 상기 일시적인 RAN 식별자를 사용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수단은 상기 일시적인 RAN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설정된 접속과 관련된 RAN 내의 하나 이상의 엔티티 사이에서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장치.
  42. 제 40 항에 있어서,
    접속은 패킷에-근거한 접속이며 상기 일시적인 RAN 식별자는 각각의 접속 패킷 내에 포함되며, 상기 방법은 각각의 접속 패킷 내에 포함된 상기 일시적인 RAN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RAN을 통해서 접속 패킷을 루팅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43.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제 1 지리적인 유효범위 영역과 관련된 제 1 노드 및 제 2 지리적인 유효범위 영역과 관련된 제 2 노드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이들 패킷을 상기 제 1 노드로 지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설정된 접속에 대응하는 패킷 내의 상기 일시적인 RAN 식별자를 사용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효범위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2 유효범위 영역으로 이동하는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일시적인 RAN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접속을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적인 RAN 식별자는 접속이 최초로 설정되는 노드에 대응하는 노드 식별자 및 이동 단말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새로운 지리적인 유효범위 영역에 최초로 접촉할때 접속이 최초로 설정되는 노드에 대응하는 노드 식별자 및 이동 단말기 식별자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새로운 지리적인 유효범위 영역에 최초로 접촉한 이후에 상기 이동 단말기 식별자만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48.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적인 RAN 식별자는 접속이 최초로 설정되는 노드에 대응하는 노드 식별자 및 이동 단말기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노드 식별자가 없는 단축된 일시적인 RAN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노드 사이에서 상기 접속과 관련된 패킷을 루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49.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드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의 견지에서 상기 접속을 제어하는 최초의 RAN 노드이며 상기 제 2 노드는 상기 이동 단말기를 현재 서비스하는 다른 RAN 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50. 제 1 영역과 관련된 제 1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및 제 2 영역과 관련된 제 2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를 구비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며, 접속이 상기 제 1 RNC를 사용하여 상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및 제 1 영역 내에 위치된 다수의 이동 단말기중 하나 사이에서 설정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RNC가 상기 접속을 위하여 일시적인 RAN 식별자 및 제 1 RNC 이동 단말기 식별자(MT ID)를 하나의 이동 단말기로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RNC MT ID를 사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제 1 RNC 사이에서 제어 또는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제 2 RNC와 상기 접속을 재-설정한 경우, 상기 제1 RNC가 상기 일시적인 RAN 식별자를 사용하여 제 2 RNC와 상기 접속과 관련된 정보를 통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RNC가 상기 RNC MT ID를 이동 단말기로 할당하는 단계와,
    제 2 RNC MT ID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제 1 및 제 2 RNC 사이에서 제어 또는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저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RNC가 제 1 RNC 식별자 및 상기 제 1 RNC MT ID를 포함하는 페이지 요구를 상기 제 2 RNC로 전송하는 단계와,
    제 2 RNC가 상기 이동 단말기를 페이징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제 1 RNC 식별자 및 제 1 RNC MT ID를 사용하여 상기 페이지에 응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RNC는 상기 제 1 RNC MT ID 및 제 2 RNC MT ID와 함께 상기 페이지 응답을 상기 제 1 RNC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특징으로 하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및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
KR1020017010916A 1999-02-26 2000-02-18 이동 단말기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내의 엔티티 간의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07346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258,151 US6879832B1 (en) 1999-02-26 1999-02-26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between mobile terminals and entities in a radio access network
US09/258,151 1999-0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4354A true KR20010104354A (ko) 2001-11-24
KR100734644B1 KR100734644B1 (ko) 2007-07-02

Family

ID=22979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0916A KR100734644B1 (ko) 1999-02-26 2000-02-18 이동 단말기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내의 엔티티 간의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879832B1 (ko)
EP (1) EP1155580B1 (ko)
JP (1) JP4523172B2 (ko)
KR (1) KR100734644B1 (ko)
CN (1) CN1175689C (ko)
AR (1) AR022762A1 (ko)
AT (1) ATE464765T1 (ko)
AU (1) AU764487B2 (ko)
CA (1) CA2363466C (ko)
DE (1) DE60044184D1 (ko)
ES (1) ES2340659T3 (ko)
TW (1) TW490947B (ko)
WO (1) WO20000513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452B1 (ko) * 2001-09-03 2007-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의 위치 추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8694B1 (en) * 1998-05-05 2006-08-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fer of overlapping routing area control information in a radio access network
FI114077B (fi) * 1999-03-10 2004-07-30 Nokia Corp Tunnuksen varausmenetelmä
ATE362690T1 (de) * 1999-09-07 2007-06-15 Ericsson Telefon Ab L M Übertragung der überlappenden wegewahlbereichssteuerinformationen in einem radioschaltnetz
US8117291B1 (en) * 1999-11-02 2012-02-14 Wireless Technology Solutions Llc Use of internet web technology to register wireless access customers
US8463231B1 (en) 1999-11-02 2013-06-11 Nvidia Corporation Use of radius in UMTS to perform accounting functions
US6865169B1 (en) 1999-11-02 2005-03-08 Ipwireless, Inc. Cellular wireless internet access system using spread spectrum and internet protocol
EP1137296A1 (de) * 2000-03-21 2001-09-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Verfahren und Vorrichtungen für ein zellulares Kommunikationsnetz
US7623447B1 (en) 2000-04-10 2009-11-24 Nokia Corporation Telephony services in mobile IP networks
EP1161004A1 (en) * 2000-05-25 2001-12-05 Lucent Technologies Inc. Synchronisation of CDMA communication systems
DE10046343B4 (de) 2000-09-19 2005-08-18 Siemens Ag Verfahren zum Registrieren eines Endgerätes in einem Paketdatennetzwerk
US7016336B2 (en) * 2000-11-22 2006-03-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dministrative domains for personal area networks
US7079511B2 (en) * 2000-12-06 2006-07-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ff of a wireless packet data services connection
US20040220995A1 (en) * 2001-04-23 2004-11-04 Takehiko Tsutsumi Method, program, and apparatus for delegating information processing
FI118244B (fi) * 2001-06-27 2007-08-31 Nokia Corp Otsikkokenttien kompressiotunnisteen välittäminen datapakettiyhteydellä
US20050021601A1 (en) * 2001-08-21 2005-01-27 Fabio Longoni Method, system and network element for addressing a cell related server
WO2003037021A1 (en) * 2001-10-19 2003-05-01 Nokia Corporation Forwarding a terminal identity between core network nodes
SE0200106D0 (sv) * 2002-01-14 2002-01-14 Ericsson Telefon Ab L M A method and arrangement for paging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FR2838281B1 (fr) * 2002-04-04 2004-07-09 Evolium Sas Procede pour le controle de droits d'acces dans un systeme cellulaire de radiocommunications mobiles
JP4172207B2 (ja) * 2002-05-29 2008-10-29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移動通信システム
CA2393373A1 (en) 2002-07-15 2004-01-15 Anthony Gerkis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the transmission of data with different qos attributes.
FR2843670B1 (fr) * 2002-08-14 2005-01-14 Evolium Sas Procede pour l'allocation de ressources en mode paquet dans un systeme de radiocommunications mobiles
US7546145B2 (en) * 2002-10-15 2009-06-09 Nokia Corporation Method, network node and system for managing interfaces in a distributed radio access network
US7043239B2 (en) 2002-12-09 2006-05-09 Qualcomm Incorporated Download and display of system tag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20040061705A (ko) * 2002-12-31 2004-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캐스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서비스 개시를 위한 정보 전송 방법
US7415274B2 (en) * 2003-02-19 2008-08-19 Nokia Corporation Routing procedure for a communication system
KR100665425B1 (ko) 2003-03-08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방법
EP2367377B1 (en) 2003-04-11 2015-05-13 Fujitsu Limit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data dispersion
ES2294246T3 (es) * 2003-09-29 2008-04-01 M-Stack Limited Metodo y aparato para procesar un mensaje de confirmacion de actualizacion de celda (cuc) en un sistema de telecomunicaciones inalambricas de tercera generacion (3g).
EP1519595A1 (en) * 2003-09-29 2005-03-30 M-Stack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responding to a cell/URA update confirm message using a correct C-RNTI in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ser equipment
KR100640375B1 (ko) * 2003-10-01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하드 핸드오버시 빠른 순방향링크서비스 방법
US7305251B2 (en) * 2003-10-07 2007-12-04 Motorola Inc. Method for selecting a core network
KR100827105B1 (ko) 2004-02-13 200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레인징을 통한 빠른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장치
US20050213541A1 (en) * 2004-02-13 2005-09-2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service information between network nodes for MBMS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4609125B2 (ja) * 2004-05-06 2011-01-12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ータ転送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FI20045258A0 (fi) * 2004-06-30 2004-06-30 Nokia Corp Solukohtaisen tiedon hallinta
CN100450278C (zh) * 2005-03-15 2009-01-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用户终端接入无线网络网关的方法
RU2384020C2 (ru) * 2005-09-30 2010-03-10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м Эрикссон (Пабл) Средства и способы для улучшения характеристик хэндовера интегрированных сетей радиодоступа
US9326221B2 (en) * 2006-01-26 2016-04-26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system for signaling neighboring signals in TPS bits
US20070183351A1 (en) * 2006-02-03 2007-08-0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in a multi-ran communication network
WO2007091598A1 (ja) * 2006-02-08 2007-08-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無線通信基地局装置、無線通信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EP1879414A1 (en) * 2006-07-14 2008-01-16 Nokia Siemens Networks Gmbh & Co. Kg Mitigation of cell signaling load caused by tracking area updates
US8295243B2 (en) * 2006-08-21 2012-10-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in an orthogonal multiple-access communication system
DE602007010318D1 (de) * 2006-08-22 2010-12-1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Verfahren zum übertragen und empfangen von daten und vorrichtung dafür
US8259688B2 (en) 2006-09-01 2012-09-04 Wi-Lan Inc. Pre-allocated random access identifiers
RU2419227C2 (ru) * 2006-10-03 2011-05-20 Квэлкомм Инкорпорейтед Повторная синхронизация временных идентификаторов ue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US9161212B2 (en) * 2006-10-03 2015-10-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synchronizing of temporary UE ID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1309508B (zh) * 2007-05-18 2015-05-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移动终端位置更新和寻呼的方法
CN101136826B (zh) * 2007-09-30 2011-01-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通过核心网控制终端接入家庭基站覆盖区域的方法
CN101500223B (zh) * 2008-02-01 2012-08-29 华为技术有限公司 终端跨接入网元切换的方法及移动性管理网元
CN101562854B (zh) * 2008-04-18 2011-11-16 电信科学技术研究院 用户设备的服务网关重选方法、设备及系统
JP5318949B2 (ja) * 2008-07-08 2013-10-16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ネットワーク・トポロジを不明確化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00040023A1 (en) * 2008-08-15 2010-02-18 Gallagher Michael 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 Home Node B Handover in a Home Node B Group
US20110235604A1 (en) * 2008-11-25 2011-09-29 Nec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base station, mobile station, and program
US8504902B2 (en) * 2009-09-09 2013-08-06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virtually connected communication modes
US8499087B2 (en) * 2009-11-30 2013-07-30 At&T Mobility Ii Llc Service-based routing for mobile core network
WO2015135215A1 (zh) * 2014-03-14 2015-09-17 华为技术有限公司 切换方法、终端、基站及系统
KR102231859B1 (ko) * 2014-09-01 2021-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서비스 연결을 유지하는 장치 및 방법
US11706607B1 (en) 2021-06-16 2023-07-18 T-Mobile Usa, Inc. Location based routing that bypasses circuit-based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5984C (fi) 1994-04-08 1996-04-10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netelmä ja järjestely sijainninhallintaa varten pakettidatasiirron yhteydessä matkaviestinjärjestelmässä
WO1997021313A1 (en) 1995-12-01 1997-06-12 Northern Telecom Limited Mobile packet data communications system
NO319527B1 (no) 1997-01-15 2005-08-22 Ericsson Telefon Ab L M Fremgangsmate for a fremskaffe en entydig identifikasjon ved en mobil stasjon
FI103083B1 (fi) 1997-01-20 1999-04-1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Pakettiradioverkko ja menetelmä reititysalueen päivittämiseksi
FI103084B1 (fi) * 1997-01-20 1999-04-1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Pakettiradioverkko ja menetelmä reititysalueen päivittämiseksi
US6104929A (en) * 1997-06-20 2000-08-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Data packet radio service with enhanced mobility management
FI972725A (fi) * 1997-06-24 1998-12-2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Uudelleenreititys
NO313030B1 (no) * 1997-12-09 2002-07-29 Ericsson Telefon Ab L M Fremgangsmåte for oppdatering av rutingsområde
US6292667B1 (en) 1998-05-05 2001-09-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ulticell area paging for cellular telecommunications system
US6463055B1 (en) * 1998-06-01 2002-10-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Integrated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of interworking an ANSI-41 network and the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US6438370B1 (en) * 1998-06-16 2002-08-20 Nokia Telecommunications, Oy Location update method and inter core network entity handover method
US6505044B1 (en) * 1998-09-24 2003-01-07 Nokia Telecommunications Oy Indicator in the mobility management (MM) procedures to specify the procedure type executed in the core network (CN) entiti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452B1 (ko) * 2001-09-03 2007-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의 위치 추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63466A1 (en) 2000-08-31
WO2000051374A1 (en) 2000-08-31
DE60044184D1 (de) 2010-05-27
TW490947B (en) 2002-06-11
EP1155580A1 (en) 2001-11-21
JP2002538691A (ja) 2002-11-12
CA2363466C (en) 2012-10-16
AU764487B2 (en) 2003-08-21
KR100734644B1 (ko) 2007-07-02
CN1175689C (zh) 2004-11-10
JP4523172B2 (ja) 2010-08-11
ATE464765T1 (de) 2010-04-15
AU3578400A (en) 2000-09-14
US6879832B1 (en) 2005-04-12
EP1155580B1 (en) 2010-04-14
AR022762A1 (es) 2002-09-04
ES2340659T3 (es) 2010-06-08
CN1349721A (zh) 2002-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4644B1 (ko) 이동 단말기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내의 엔티티 간의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US728349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ormant state in a wireless packet data system
KR100483007B1 (ko)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EP1360864B1 (en) Paging method and system for a radio access network
US7457265B2 (en) Mobility management entity for high data rat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CN102307381B (zh) 用于分组数据网中待用模式中的切换的方法和设备
US6580699B1 (en) Method for updating an R-P connection for a roaming mobile station
US6519235B1 (en) Mobile radio communication packet data network
US6975863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 wireless serving node
KR100378895B1 (ko) 라디오 엑세스 네트워크 구조 및 루팅 영역 업데이트 제어 방법
KR100378899B1 (ko) 루팅 영역 업데이트 제어 방법
US7107054B2 (en) Reconnection of wireless calls to mobile units in border cells
US2008001496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La Porta et al. Distributed call processing for 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KR100400730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설정 방법
AU2002360554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 wireless serving n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