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7452B1 - 단말기의 위치 추적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위치 추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7452B1
KR100757452B1 KR1020010053871A KR20010053871A KR100757452B1 KR 100757452 B1 KR100757452 B1 KR 100757452B1 KR 1020010053871 A KR1020010053871 A KR 1020010053871A KR 20010053871 A KR20010053871 A KR 20010053871A KR 100757452 B1 KR100757452 B1 KR 100757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terminal
tracking
rnc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3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0173A (ko
Inventor
이원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3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7452B1/ko
Publication of KR20030020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0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7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7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S-MAP 방식의 IMT-2000 시스템에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페이징 로드를 줄이고 신속하게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CN (Core Network)이 다수 개의 영역 ID들을 포함하는 항목이 추가된 위치보고 제어메시지를 RNC (Radio Network Controller)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RNC는 상기 위치보고 제어메시지를 수신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찾고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찾았을 때 다수 개의 위치 ID들을 포함하는 항목이 추가된 위치보고 메시지를 상기 CN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단말기의 위치 추적 방법{LOCATION SEARCHING METHOD FOR USER EQUIPMENT}
도 1은 IMT-2000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유휴 상태의 단말기에 대한 위치 추적 신호 흐름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위치보고 제어메시지의 포맷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의한 위치보고 메시지의 포맷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위치보고 제어메시지의 포맷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위치보고 메시지의 포맷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코어 네트워크 21A-21P : 제어국
31A-31N : 기지국 41A-41C : 단말기
본 발명은 DS-MAP(DS-MAP: Direct Spread-GSMMAP) 방식의 IMT-2000 시스템에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피에스(GPS : Global Positioning System)가 사용되지 않는 비동기 방식의 제어국 및 기지국을 사용하여 유휴(idle) 상태에 있는 단말기의 위치를 신속하게 추적할 수 있도록 한 단말기의 위치 추적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DS-MAP 방식의 IMT-2000 시스템은 도 1에서와 같이 여러개의 제어국(RNC:Radio Network Controller)(21A-21P)이 코어 네트워크(CN:Core Network)(10)에 연결되어 있고, 각각의 제어국(21A-21P)은 제어국(21A)과 같이 다수의 기지국(31A-31N)과 각기 연결되어 있다. 또한, 단말기(41A-41C)들의 위치를 상세하게 파악하기 위한 LCS 클라이언트(23)가 상기 코어 네트워크(10) 내의 MSC 또는 SGSN과 연동되어 로케이션-베이스 서비스(Location-base Service)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임의의 단말기(41A-41C)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코어 네트워크(10)와 제어국(21A-21P), 제어국(21A-21P)과 기지국(31A-31N)간의 인터페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파트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 각각 Iu, Iub 인터페이스와 RANAP(RANAP: Radio Access Network Application Part), NBAP(NBAP: Node B Application Part)가 이용되고 있다. 이들은 코어 네트워크(10)와 제어국(21A-21P) 간 및, 제어국(21A-21P)과 기지국(31A-31N)간의 신호 메시지(Signaling Message) 및 트래픽 데이터(Traffic Data)를 손실 없이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단말기(41A-41C)와 UTRAN(RNC와 Node-B로 이루어진 Network)과의 신호 메시지 전달을 위해 라디오 리소스 콘트롤(RRC:Radio Resource Control), 라디오 링크 콘트롤(RLC:Radio Link Control), 미디움 액세스 콘트롤(MAC:Medium Access Control) 레이어(Layer)가 존재하며, 기지국(31A-31N)에서 단말기(41A-41C)와의 RTT(RTT: Round Trip Time)를 측정하기 위해 제어국(21A-21P)과 기지국(31A-31N)간의 NBAP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IMT-2000 시스템에서 단말기가 유휴 상태에 있을 때 도 2와 같은 통신 과정을 통해 단말기의 위치정보(location Positioning)를 제공하게 된다.
단말기(UE)(41)의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는 코어 네트워크(CN)(10)의 요구에 따라 셀 ID를 보고해 주는 셀 ID 방식과, 여러개의 셀에 대한 UP(UP: User Positioning) 측정 결과를 근거로 단말기(41)의 위치를 위도와 경도로 보고해 주는 OTDOA(OTDOA : 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방식이 있다.
상기 두 가지 방식은 도 2에서 코어 네트워크(10)에서 제어국(21)으로 송신하는 도 3과 같은 위치보고 제어메시지(LRCM: Location Reporting Control Message)에 의해 시작된다.
그리고, 상기 셀 ID 방식에 의해 제어국(21)에서 셀 베이스(Cell base)로 단말기(41)의 위치를 찾아냈을 때, 제어국(21)이 코어 네트워크(10)측으로 송신하는 RANAP(RANAP: Radio Access Network Application Part) 메시지인 위치보고 메시지(LRM: Location Report Message)는 도 4와 같은 포맷을 갖는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위치보고 제어메시지(LRCM)에는 단말기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즉, 제어국(21)은 코어 네트워크(10)로부터 위치보고 제어메시지(LRCM)를 수신했을 때, 제어국(21)에 설정되어 있는 모든 셀로 라디오 리소스 콘트롤(RRC) 메시지인 페이징 메시지(Paging Message)를 송신해야 한다.
또는 단말기(41)가 위치 등록을 시도할 때, 등록된 영역 식별(Area Identity) 정보를 제어국(21)에 보관하고 있다가 단말기(41)의 위치를 추적할 때 사용하는 방법을 취해야 하는데, 이는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메시지가 포함된 라디오 리소스 콘트롤(RRC) 메시지인 이니셜 다이렉트 트랜스퍼 메시지(Initial Direct Transfer Message)를 분석해야 하는 과정이 포함되므로 표준에 어긋나 적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한 단말기(41)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많은 페이징 로드가 걸리는 현상을 피할 수 없다. 그리고,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RANAP 메시지인 위치보고 메시지(LRM)를 송신할 때 SAI(SAI: Service Area Identity)를 이용하므로 셀 ID와 SAI를 맵핑하는 과정을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SAI는 여러 개의 셀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제어국(21)에서 찾아낸 단말기(41)의 위치보다 훨씬 더 광범위한 영역을 나타내는 형태로 보고하게 되어 위치에 대한 정확성이 많이 떨어진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IMT-2000 시스템의 통신 단말기의 위치 추적 방 법에 있어서는 제어국에서 RANAP 메시지인 위치보고 제어메시지를 수신할 때, 유휴 상태의 단말기를 추적하기 위한 페이징 로드가 많이 걸리고, 셀 ID를 보고할 때 SAI로 보고하게 되므로 위치정보의 정확성이 저하되는 결함이 있었다. 만약, 이러한 결함을 회피하기 위해 SAI와 셀 ID를 1:1로 맵핑하는 경우 SAI 개념을 무시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국이 유휴 상태의 단말기에 대한 위치 추적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단말기를 찾기 위한 페이징 로드를 최소화 하고 단말기의 위치 보고 시 셀 ID 레벨로 상세하게 보고하는 단말기의 위치 추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의 위치 추적 방법은, CN (Core Network)이 다수 개의 영역 ID들을 포함하는 항목이 추가된 위치보고 제어메시지를 RNC (Radio Network Controller)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RNC는 상기 위치보고 제어메시지를 수신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찾고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찾았을 때 다수 개의 위치 ID들을 포함하는 항목이 추가된 위치보고 메시지를 상기 CN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한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임의의 단말기 예를 들어, 단말기(41)의 현재 위치를 찾아내기 위해 코어 네트워크(10)에서 제어국(21)측으로 RANAP(RANAP: Radio Access Network Application Part) 메시지인 위치보고 제어메시지(LRCM: Location Reporting Control Message)를 송신할 때, 도 5와 같은 포맷으로 송신하여 제어국(21)에서의 처리 부하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코어 네트워크(10)에서 제어국(21)측으로 RANAP 메시지인 위치보고 제어메시지(LRCM: Location Reporting Control Message)를 송신할 때, LAI(LAI: Location Area Identity)와 RAI(RAI: Routing Area Identity)를 조건부로 포함하는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를 항목으로 추가하고, 이들을 여러개로 그룹핑하기 위한 그룹핑 항목(Area Identity to be searched)을 추가하여 송신하도록 하였다.
여기서, C-ifCS는 CS(Circuit Switched) 도메인에 대해서만 존재함을 의미하고, C-ifPS는 PS(Packet Switched) 도메인에 대해서만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코어 네트워크(10)에서 제어국(21)측으로 위치보고 제어메시지(LRCM)를 송신할 때, 제어국(21)이 단말기(41)의 위치를 찾아내는 영역들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게 되므로, 그 제어국(21)은 위치보고 제어메시지(LRCM)만으로 유휴 상태의 단말기(41)에 대한 페이징(Paging)이 가능하며, 제한된 셀만으로의 페이징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어국(21) 단에서의 페이징 로드를 줄일 수 있게 된 다.
특히, 유휴 상태에 있는 단말기(41)의 위치를 추적하려는 코아 네트워크(10)의 장치(MSC 또는 SGSN)에 따라 영역 ID를 다르게 정의하도록 하였다.
만약, 코어 네트워크(10)에서 한 번의 위치보고 제어메시지(LRCM)의 송신에 의해 제어국(21)이 단말기(41)의 위치를 찾아내지 못하는 경우, 추적하는 영역을 확장하여 계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도록 그룹핑 항목(Area Identity to be searched)을 정의함으로써 여러 차례(예: 1차, 2차, 3차,...,N차)에 걸쳐 단말기(41)의 위치 추적이 가능하다.
한편, 제어국(21)에서 상기와 같은 위치보고 제어메시지(LRCM)를 수신한 후 셀 ID를 기준으로 단말기(41)의 위치를 찾아 내었을 때, 코어 네트워크(10)측으로 보고하는 RANAP 메시지인 위치보고 메시지(LRM: Location Report Message)를 도 6과 같은 포맷으로 송신함으로써, 단말기(41)의 위치를 보다 정학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어국(21)이 셀 ID를 기준으로 단말기(41)의 현재 위치를 찾아내어 코어 네트워크(10)에 보고할 때, 영역 ID(Area Identity)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위치 ID(Location Identity) 항목을 사용하고, 셀 ID는 보고하는 제어국(21)을 나타내는 "RNC ID"와 제어국(21) 내의 유일한 셀을 나타내는 "CID"로 위치 ID(Location Identity)를 표시하였다. 상기 위치 ID(Location Identity)의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로 셀 ID가 포함되며, 이 셀 ID는 RNC ID와 CID로 이루어진다.
결국, 도 5 및 도 6과 같은 메시지를 이용함으로써, 코어 네트워크(10)가 제어국(21)에 단말기(41)의 위치 추적을 요구하였을 때, 그 제어국(21)에서는 적은 양의 페이징 로드를 이용하여 셀 ID 레벨의 상세한 위치 추적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어국이 유휴 상태에 있는 단말기의 위치 추적 서비스를 제공할 때, 단말기를 찾기 위한 페이징 로드를 최소화 하고, 단말기의 위치 보고 시 셀 ID 레벨로 상세하게 보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휴 상태의 단말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추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CN (Core Network)이 다수 개의 영역 ID들을 포함하는 항목이 추가된 위치보고 제어메시지를 RNC (Radio Network Controller)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RNC는 상기 위치보고 제어메시지를 수신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찾고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찾았을 때 다수 개의 위치 ID들을 포함하는 항목이 추가된 위치보고 메시지를 상기 CN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ID들은,
    LAI (Location Area Identity), RAI (Routing Area Identit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LAI는,
    CS (Circuit Switched) 도메인에 대해서만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RAI는,
    PS (Packet Switched) 도메인에 대해서만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보고 제어메시지는,
    상기 RNC가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찾지 못했을 때,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찾고자하는 영역을 확장하는 항목이 더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찾고자하는 영역을 확장하는 항목은 상기 CN에 해당하는 장치들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CN에 해당하는 장치들은,
    MSC (Mobile Switching Center), SGSN (Serving GPRS Support Nod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ID들은,
    RNC ID, 및 CID (Cell Identit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RNC ID는,
    상기 위치보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RNC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CID는,
    상기 RNC 내의 유일한 셀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
KR1020010053871A 2001-09-03 2001-09-03 단말기의 위치 추적 방법 KR100757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871A KR100757452B1 (ko) 2001-09-03 2001-09-03 단말기의 위치 추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871A KR100757452B1 (ko) 2001-09-03 2001-09-03 단말기의 위치 추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173A KR20030020173A (ko) 2003-03-08
KR100757452B1 true KR100757452B1 (ko) 2007-09-11

Family

ID=27722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3871A KR100757452B1 (ko) 2001-09-03 2001-09-03 단말기의 위치 추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74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948B1 (ko) * 2006-01-20 2007-08-13 주식회사 셀리지온 광대역 씨디엠에이 네트워크 기반의 측위방법
KR101967897B1 (ko) 2012-08-17 2019-04-1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가입자 위치정보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2216058B1 (ko) 2019-04-03 2021-02-1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가입자 위치정보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8200A (en) * 1990-06-04 1991-10-15 General Electric Company Transmitter location searching system
KR20000004580A (ko) * 1998-06-30 2000-01-25 윤종용 차세대 무선 전화기 교환시스템에서 무선 전화기의 위치 추적방법
KR20010104354A (ko) * 1999-02-26 2001-11-24 클라스 노린, 쿨트 헬스트룀 이동 단말기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내의 엔티티 간의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020058764A (ko) * 2000-12-30 2002-07-12 이계철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 위치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8200A (en) * 1990-06-04 1991-10-15 General Electric Company Transmitter location searching system
KR20000004580A (ko) * 1998-06-30 2000-01-25 윤종용 차세대 무선 전화기 교환시스템에서 무선 전화기의 위치 추적방법
KR20010104354A (ko) * 1999-02-26 2001-11-24 클라스 노린, 쿨트 헬스트룀 이동 단말기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내의 엔티티 간의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020058764A (ko) * 2000-12-30 2002-07-12 이계철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 위치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173A (ko) 200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716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장치의 지리적 위치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2066143B1 (en) Radio cell performance monitoring and/or control based on user equipment positioning data and radio quality parameters
US6259923B1 (en) Method for providing cell location service
CN1922913B (zh) 提供位置信息的方法、系统和装置
US8032149B2 (en) Tasking and reporting method and implementation for wireless appliance location systems
CN100496150C (zh) 提供位置信息的通信系统和方法
US20060239205A1 (en) Method of call routing
EP1360805B1 (en) Wireless network architecture and protocol for location services in gprs packet data network
US200300966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location of a mobile radio
US75193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o-location of mobile appliances using diverse standard tasking and reporting
CN100359961C (zh) 无线通信网络和设备中的定位技术支持确定
US20170289949A1 (en) Positioning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20050020276A1 (en) Location request control
JP2005505952A (ja) 携帯電話モバイル装置の位置データの伝送方法
JP4532298B2 (ja) 位置情報統合管理装置、及び、位置情報統合管理方法
EP1446972A1 (en) Provision of location information
EP1446963B1 (en) Velocity handling in location services (lsc)
CN101213790A (zh) 执行快速切换的装置和方法
CN100512524C (zh) 一种精确漫游限制的方法
RU2255433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оположения на основе качества
KR100757452B1 (ko) 단말기의 위치 추적 방법
KR100331036B1 (ko) 이동 단말기의 위치 측정 시스템 및 방법
JP2011511521A (ja) PHS網でのロケーティング(locating)およびアシスタント・ロケーティングの方法および装置
FI112157B (fi) Menetelmä ja järjestelmä solukkoradioverkon tilaajapäätelaitteen paikantamiseksi
CN101998624A (zh) 位置信息请求信令的发送方法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