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3955A - 인터넷을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3955A
KR20010103955A KR1020000025271A KR20000025271A KR20010103955A KR 20010103955 A KR20010103955 A KR 20010103955A KR 1020000025271 A KR1020000025271 A KR 1020000025271A KR 20000025271 A KR20000025271 A KR 20000025271A KR 20010103955 A KR20010103955 A KR 20010103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atabase
user
internet
regist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5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봉근
Original Assignee
김정민
(주)디딤돌넷스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민, (주)디딤돌넷스쿨 filed Critical 김정민
Priority to KR1020000025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3955A/ko
Publication of KR20010103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395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여 컨텐츠 제공자가 컨텐츠를 등록하고 사용자는 상기 등록된 컨텐츠에 대하여 소정의 이용료를 지불함으로서 컨텐츠 제공자와 사용자간의 자율적인 정보의 이용을 가능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을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은 컨텐츠의 제공자가 자율적으로 자신의 컨텐츠를 등록신청하고 이를 공시하며 규정된 등록기준에 의하여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컨텐츠 등록 모듈 호출' 단계; 상기 등록된 컨텐츠를 검색하고 사용할 컨텐츠를 선택하여 다운로드 받은 후 사용자의 포인트를 계산 및 사용한 컨텐츠에 대한 그 사용내역을 회원 관리 데이터베이스와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컨텐츠 사용 모듈 호출' 단계; 회원관리 데이터베이스중 컨텐츠 를 제공한 회원을 검색하여 컨텐츠 사용자가 이용한 횟수에 비례하여 컨텐츠 사용료 지불금액을 산출하는 '컨텐츠 제공료 지불 모듈 호출'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METHOD OF INTERNET CONTENTS MANAGEMENT}
본 발명은 인터넷상의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터넷을 기반으로 컨텐츠 제공자가 컨텐츠를 등록하고 사용자는 상기 등록된 컨텐츠에 대하여 소정의 이용료를 지불함으로서 컨텐츠 제공자와 사용자간의 자율적인 정보의 이용을 가능하게 한 인터넷을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의 일반적인 보급과 인터넷의 발달로 인하여 현재 인터넷에는 국내뿐만이 아니라 전세계에 걸쳐서 수많은 종류의 컨텐츠들이 인터넷 이용자에게 제공되어지고 있다. 개인의 홈페이지에 있는 정보에서부터 검색엔진에 등록되어 있는 컨텐츠까지 그 컨텐츠의 종류와 양은 이루 말할 수 없이 다양하고 방대하다.
그런데 이러한 많은 컨텐츠들은 제공되는 종류와 양 못지 않게 잘못된 정보와 유해한 정보 또한 여과 없이 무방비로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인터넷 상에 있는 정보들은 대부분이 무료로 제공되어지고 있고 체계적인 컨텐츠의 데이터베이스 체계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지속적인 양질 정보의 제공이 어렵게 된다.
또한 기존의 저작물(컨텐츠) 관리 시스템(대한민국 출원번호 10-1999-0028973)은 저작권자로부터 저작물을 등록하여 그 이용에 따라서 사용료를 지불하게 되어있는 구조로, 관리자가 주체적으로 저작권자로부터 저작물을 공급받아 등록하고 사용자는 등록된 저작물에 대하여 일정한 사용료를 지불하고 단순히이를 이용하는 방식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기존의 저작물 관리 시스템에서는 제공되는 저작물에 대하여 사용자의 참여와 검증이 불가능하게 되고, 컨텐츠 제공자와 이용자 쌍방간의 정보의 교류가 이루어지지 않는 단 방향 정보 제공의 형태를 가질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터넷을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의 자율적인 정보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고 사용자의 참여와 검증을 통해 컨텐츠의 품질을 향상시키며 컨텐츠 제공자와 사용자간의 상호 쌍방향의 정보 교류가 가능한 컨텐츠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컨텐츠 관리 방법은 컨텐츠 관리자와 사용자가 인터넷에 서로 연결되어 컨텐츠를 자율적으로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컨텐츠에 대하여 소정의 사용료를 지불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의 제공자가 자율적으로 자신의 컨텐츠를 등록신청하고 이를 공시하며 규정된 등록기준에 의하여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컨텐츠 등록 모듈 호출' 단계; 상기 등록된 컨텐츠를 검색하고 사용할 컨텐츠를 선택하여 다운로드 받은 후 사용자의 포인트를 계산하고 사용한 컨텐츠에 대하여 그 사용내역을 회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컨텐츠 사용 모듈 호출' 단계; 회원관리 데이터베이스중 컨텐츠 제공 회원을 검색하여 사용자가 이용한 횟수에 비례하여 컨텐츠 사용료 지불금액을 산출하는 '컨텐츠 제공료 지불 모듈 호출'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등록 신청한 컨텐츠는 일정 기간동안 공시과정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공시된 컨텐츠의 검증 또는 수정과정을 거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는 문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와 일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회원관리 데이터베이스 및 공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이 구현되는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등록 모듈 호출을 설명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사용 모듈 호출을 설명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료 지불 모듈 호출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2: 컨텐츠 제공자 14, 16: 사용자
18: PCS 단말기 20: 셋톱박스
30: 웹서버 32: 관리 프로그램
40: 데이터베이스서버 42: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44: 문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46: 일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48: 회원관리 데이터베이스 50: 공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이 구현되는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이 구현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각종 컨텐츠들을 자율적으로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10,12)와 등록된 컨텐츠를 사용하는 사용자(14,16) 및 컨텐츠 등록신청을 위한 양식과, 등록된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화면을 제공하여 등록 신청한 컨텐츠를 등록하고 사용할 수 있는 관리 프로그램(32)이 웹서버(30)에 탑재되어 있고, 이러한 웹서버(30), 컨텐츠 제공자(10,12), 사용자(14,16)는 통상의 전자 네트워크인 인터넷에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컨텐츠 사용자(14,16)는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는 컴퓨터로서 통상은 개인용 컴퓨터이고, 다른 실시 예로 휴대폰(18) 및 텔레비전 수상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셋톱 박스(20)가 될 수 있다.
이외에도 윈도우즈 시리즈와 같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기능을 지원하는 운영 체제 및 웹서버(30)에 링크된 웹문서를 읽어들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웹브라우저( 예컨데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익스플로러나 네스케이프사의 네비게이터 등)가 기본적인 소프트웨어로 탑재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웹문서에서 본 발명의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는 관리 프로그램은 자바 스크립트(JAVA SCRIPT), C(PROGRAMMING LANGUAGE), ASP(ACTIVE SERVER PAGE), CGI(COMMON GATEWAY INTERFACE), DCOM(DISTRIBUTE COMPONENT), DLL(DYNAMIC LINK LIBRARY) 등으로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웹서버(30)와 데이터베이스서버(40)내의 각종 데이터베이스들과의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34) 를 사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웹서버(30)는 데이터베이스서버(40)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42), 회원관리 데이터베이스(48), 공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50)들과 연동되어 각종 입력양식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들을 입력받고 사용된 컨텐츠에 대한 카운트 정보를 저장하여 이용 회원의 포인트 계산과 컨텐츠 제공자에게 지불할 금액 산출의 데이터로 사용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42)는 문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44)와 일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46)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문제 컨텐츠로는 단계별 입시 관련 문제, 각종 국가시험 문제 및 일반 사회에 관련된 모든 문제들이 될 수 있다. 한편, 문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44) 내부에는 등급, 문제 수정허락 여부, 다운로드 카운트, 각 데이터베이스와 연계될 수 있는 식별 필드를 두어 프로그램 코딩시 각 필드 비트를 참조하여 관리 프로그램(32)에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일반 컨텐츠는 상기 문제 컨텐츠를 제외한 컨텐츠를 일컫는 것으로서 시, 수필, 소설, 작곡, MP3 파일, 전문 의료정보 및 각종 생활정보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을 것이다. 일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46) 내부에도 컨텐츠의 다운로드 횟수 및 각 데이터베이스와 연계될 수 있는 필드를 둘 수 있다.
회원관리 데이터베이스(48)에는 가입한 컨텐츠 제공자(10,12)와 컨텐츠 사용자(14,16)의 회원 정보들이 기록되며, 회원관리 데이터베이스(48) 내에는 컨텐츠 제공자(10,12)와 컨텐츠 사용자(14,16)를 구분할 수 있는 식별 필드 및 포인트 정산 필드를 두어 관리 프로그램 코딩시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50)는 등록 신청한 컨텐츠들을 임시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공시 기간 중에 입력된 각종 여론조사 항목들의 데이터를 저장하여 공시기간 만료후 컨텐츠 데이버테이스(42)에 등록하기 위한 데이터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사용 가능한 부분 즉, 컨텐츠 등록신청 서비스와 컨텐츠 이용 서비스의 카테고리로 구분되어져 컨텐츠 제공자(10,12)와 컨텐츠 사용자(14,16)가 수행할 수 있는 화면이 제공된다. 우선 이용자가 컨텐츠 등록신청 서비스를 선택하면 웹서버는 관리프로그램(32)중의 하나인 컨텐츠 등록 모듈을 호출하게 되는데, 이후에 설명되는 도 2, 도 3 내지 도 4의 각 프로세스는 별다른 설명이 없는 한 관리용 웹서버(30)가 주체가 되어 수행함을 밝혀둔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등록 모듈을 설명한 흐름도이며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컨텐츠 등록 모듈이 호출되면 단계(S100)에서 신규 회원을 구분하여 신규 회원인 경우에 단계(S102)에서 회원가입을 위한 양식을 제공하고, 단계(S104)를 거쳐 회원관리 데이터베이스(48)에 입력한 데이터을 저장받게 된다. 상기 회원가입을 위한 양식에는 회원 ID, 비밀번호, 전자우편주소, 전화번호, 생년월일, 결혼기념일 등을 입력하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특정한 기념일을 기억할 수 있는 메일을 보내는 등의 컨텐츠 제공자(10,12)에 대한 관리에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기존 회원이거나 단계(S102, S104)거친 회원인 경우에는 단계(S106)를 통하여 사용자 인증을 받은 후, 단계(S108)에서 등록할 컨텐츠를 분류하여 입력받게 된다. 즉, 등록할 컨텐츠가 문제관련 컨텐츠로 분류된 경우에는 작성되는 데이터가 문제 관련 컨텐츠임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 필드를 참조하여 단계(S110)로 진행하여 문제 컨텐츠를 등록할 수 있는 등록양식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공되는 문제 컨텐트 등록 양식에는 등록신청 일시, 수정 허락여부, 문제의 난이도 등을 입력할 수 있는 항목을 제공하여 저장시 각 항목별 내용을 코드화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단계(S112)에서는 작성된 컨텐츠 등록양식을 전송 받는다. 그리고 단계(S114)에서는 전송된 데이터중 수정 필드를 참조하여 '온'인 경우에는 컨텐츠 제공자(10,12)가 자신의 컨텐츠 수정을 허락한 의미이므로, 단계(S116)로 진행하여전송된 컨텐츠를 수정 가능한 카테고리로 분류한 후 공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시키고, 단계(S126)에서 홈페이지 공시란에 내용을 추가시킨다. 반면에 단계(S114)에서 컨텐츠 수정 필드가 '오프' 인 경우는 컨텐츠 제공자(10,12)가 자신의 컨텐츠 수정을 허락하지 않은 것이므로, 단계(S118)로 진행하여 전송된 컨텐츠를 수정 불가능한 카테고리로 분류한 후 공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하고, 단계(S126)에서 홈페이지 공시란에 내용을 추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단계(S108)에서 등록할 컨텐츠가 문제 관련 컨텐츠가 아니고 일반 컨텐츠가 선택된 경우에는, 단계(S120)로 진행하여 일반 컨텐츠를 등록할 양식을 제공하게 되고, 단계(S122)에서 작성된 컨텐츠를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단계(S124)에서는 상기 단계(S122)에서 전송된 컨텐츠 정보를 코드화하여 공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킨 후, 단계(S126)로 진행하여 등록 신청한 컨텐츠를 공시하게 된다.
이렇게 공시된 상기 문제 컨텐츠와 상기 일반 컨텐츠에 대하여는 공시란 하단 또는 별도의 웹페이지에 여론조사 및 투표 실시 공간을 구비하여 지정된 공시기간동안 사용자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단계(S128)에서 여론조사에 참여한 사용자들의 전송 내용을 공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킴으로서 공시된 컨텐츠에 대한 검증을 실시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투표를 실시할 내용은 해당 컨텐츠에 대한 반 사회성여부, 등급, 전체적인 평가, 컨텐츠 중복여부 및 표절에 관한 의견 등을 고려하여 컨텐츠에 대한 등록의 찬반 여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찬반 여부 투표 결과에 따라 과반수 또는 별도 규정에 의하여 일정 비율 이상의 찬성을 획득한 컨텐츠에 대하여 등록시키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컨텐츠 사용자로부터는 수정 허락된 컨텐츠뿐만이 아니고 이미 등록된 컨텐츠에 대하여도 데이터 카테고리 분류의 오류 등과 같은 데이터베이스 등록상의 구조적인 오류 모니터링을 유도하여 정보의 질을 높이는 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단계(S130)에서는 공시 기간 만료여부를 체크하여 공시 기간이 만료되지 않은 컨텐츠에 대하여는 상기 단계(S126)로 복귀하고, 공시 기간이 만료된 컨텐츠는 단계(S132)에서 컨텐츠 등록을 위한 등록기준을 적용하게 된다. 상기 등록기준을 통과한 컨텐츠들은 단계(S136)에서 공시 기간중 투표된 결과를 관리자에게 전자메일등의 전송 수단을 이용하여 등록 신청한 컨텐츠의 등록 내용을 전송시킨 후 해당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즉, 문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44) 또는 일반 컨텐츠 데이터베이스(46)에 저장시킨다. 상기 작성된 문제 컨텐츠와 일반 컨텐츠가 각각 해당하는 데이터베이스에 자동으로 저장되도록 하기 위하여는 상기 단계(S108)의 등록할 컨텐츠를 분류하는 과정에서 저장된 컨텐츠 식별 필드를 체크함으로서 구현할 수 있다.
다음 단계(S138)에서는 컨텐츠를 제공한 회원에 대해서는 컨텐츠 제공회원에 적용되는 포인트를 해당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포인트를 정산 기준에 의하여 가산하고, 해당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내의 정산 필드를 '오프' 시킴으로서 이후 정산할 컨텐츠임을 표시하게 된다. 상기 단계(S138)에서 등록된 컨텐츠에 대해서는, 단계(S140)에서 등록된 컨텐츠에 해당하는 동일한 컨텐츠를 공시 컨텐츠데이터베이스에서 삭제시킴으로서 공시되어 있던 컨텐츠를 제거하고 프로세스를 종료하게 된다.
한편 단계(S132)에서 컨텐츠 등록 기준을 통과하지 못한 경우에는 등록 불가 내용을 컨텐츠 제공자에게 전송하고 단계(S140)로 이동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사용자 모듈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일반 사용자가 컨텐츠 사용자 모듈을 호출하게 되면, 단계(S200)에서 신규회원 유무를 판단하여 신규회원인 경우, 단계(S202)로 진행하여 회원가입 절차를 거쳐, 단계(S204)에서 입력된 회원정보를 회원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킨다. 회원정보로는 아이디(ID), 패스워드, 전자메일주소, 주소, 생년월일, 결혼기념일 등이 될 수 있으며 별도로 회원 관리 데이터베이스내에 컨텐츠 이용 카운터 및 식별 필드 등을 두어 각 데이터베이스간의 연동 및 컨텐츠 제공자와 사용자간의 식별자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컨텐츠 이용 횟수가 많은 사용자를 위한 정규 및 비정규 이벤트를 실시하는 등 회원관리를 위한 정보로 활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의 회원이거나 단계(S202,S204)를 거친 회원이 단계(S206)에서 사용자 인증과정을 거치게 되면, 단계(S208)에서는 사용자에게 컨텐츠 분류별 검색할 수 있는 검색화면 및 사용자의 사용 가능한 포인트 화면을 제공하게 된다.
다음 단계(S210)에서 사용자가 검색을 실행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는 양식을 제공한다. 그리고 단계(S212)에서 다운로드를 실행하면 다운로드 기능을 수행하고, 단계(S214)로 이동하여 선택된 컨텐츠의 포인트 값과 사용자의 사용 가능한 포인트 값을 비교하여 다운로드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렇게 서로 다른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한 값을 조회하여 결과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은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에 의하여 구현 가능하다. 또한, 다운로드전 선택한 컨텐츠에 대해서는 포인트 합계를 계산하여 자신의 사용가능 포인트와 비교할 수 있는 기능을 다운로드 화면에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단계(S216)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한 경우에는 단계(S220)에서 다운로드 진행을 허락하고 사용자의 아이디(ID)를 이용하여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내의 포인트 값을 계산하여 수정한다. 그리고 단계(S222)에서 다운로드한 파일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사용횟수 카운트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42)에서 검색하여 증가시키고, 컨텐츠를 제공한 회원에 대하여 회원관리 데이터베이스내의 정산 필드를 '오프' 시켜 정산이 필요한 데이터임을 표시함으로서 컨텐츠 사용자 모듈의 프로세스를 종료하게 된다. 이러한 사용횟수 카운트와 정산 필드는 이후 컨텐츠 제공자에 대한 비용 정산에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단계(S216)에서 다운로드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단계(S218)로 진행하여 다운로드가 불가능함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단계(S208)로 복귀한다.
도 4는 컨텐츠 제공료 지불 모듈을 설명한 흐름도로서, 시스템 관리자가 정기적 혹은 비정기적인 호출을 통하여 실행할 수 있다.
운영자에 의하여 컨텐츠 제공료 지불 모듈이 호출되면,
단계(S300)에서는 데이터베이스 서버(40)내의 회원관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컨텐츠를 제공한 회원을 추출하게 된다. 그리고 단계(S302)에서 추출한 회원 데이터에 대한 정산 필드의 값이 '오프'인지를 판단한다. 판단 후 정산 필드 값이 정산이 필요한 의미인 '오프'인 경우, 단계(S304)로 진행하여 컨텐츠 제공료 지불에 관련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포인트를 정산한다. 상기 컨텐츠 제공료 지불에 관련된 데이터에는 컨텐츠 제공자 아이디(ID), 컨텐츠 이용 횟수, 전자우편 주소, 전화번호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포인트를 정산하는 계산 기준은 컨텐츠 제공자 및 컨텐츠 사용자 모두 가변적일 수 있을 것이며, 사용한 횟수에 비례하여 정산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컨텐츠의 등급, 오류 모니터링 참여 및 투표참여 등의 요인 등을 고려하여 포인트의 가중치를 둘 수 있다.
다음 단계(S306)에서 컨텐츠 제공료가 정산된 회원에 대해서는 회원관리 데이터베이스내의 정산 필드를 '온' 시켜서 정산된 회원임을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단계(S308)에서 검색이 완료된 경우에는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S300)로 복귀하여 회원관리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계속 실시한다.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다양한 컨텐츠 제공을 통한 사용자의 증가는 본 발명의 웹사이트에 대한 광고주의 광고 유치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며, 기존의 과금 시스템을 별도로 더 구비하여 사용료의 지불과 징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에 따르면 모든 등록 신청한 컨텐츠에 대하여 일정 기간의 공시과정을 거침으로서, 등록되어질 컨텐츠에 대한 검증을 통하여 양질의 컨텐츠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자와 컨텐츠 사용자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자율적인 컨텐츠의 등록, 이용 및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쌍방향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컨텐츠 제공자와 컨텐츠 사용자가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이용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컨텐츠를 등록신청을 받는 단계;
    상기 등록신청된 컨텐츠를 일정 기간 공시하는 단계;
    상기 일정기간 공시된 상기 등록신청된 컨텐츠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사용자가 등록된 컨텐츠를 요구하면 상기 등록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컨텐츠는 문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신청을 받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상기 등록신청한 컨텐츠의 수정여부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
  4.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시단계는 상기 등록신청된 컨텐츠에 대하여 상기 콘텐츠 사용자로부터 등록여부를 검증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검증받는 단계에서 참가한 상기 콘텐츠 사용자의 일정비율 이상 찬성하는 콘텐츠만을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
KR1020000025271A 2000-05-12 2000-05-12 인터넷을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 KR200101039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271A KR20010103955A (ko) 2000-05-12 2000-05-12 인터넷을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271A KR20010103955A (ko) 2000-05-12 2000-05-12 인터넷을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3955A true KR20010103955A (ko) 2001-11-24

Family

ID=45811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5271A KR20010103955A (ko) 2000-05-12 2000-05-12 인터넷을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395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586A (ko) * 2000-10-07 2001-01-05 구자혁 컴퓨터 통신을 이용한 다운로드 방법
KR20020001217A (ko) * 2000-06-27 2002-01-09 박성준 컨텐츠 거래 중개 방법
KR20030016192A (ko) * 2002-11-27 2003-02-26 주식회사시엔엠코리아 아이디 파일의 제작 및 배포를 통한 전자상거래수행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0703783B1 (ko) * 2005-06-09 2007-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파일을 자동으로 업로드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0756382B1 (ko) * 2006-04-26 2007-09-10 엔에이치엔(주) 사용자 제작 콘텐츠 축적 방법 및 그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1504A (ja) * 1995-12-20 1997-06-3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H10154188A (ja) * 1996-11-22 1998-06-09 Fuji Denki Reiki Kk 情報販売システム
KR20010027764A (ko) * 1999-09-15 2001-04-06 원동학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지식 정보 거래 방법
KR20010081736A (ko) * 2000-02-18 2001-08-29 김동경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103926A (ko) * 2000-05-12 2001-11-24 이봉호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유통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1504A (ja) * 1995-12-20 1997-06-3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H10154188A (ja) * 1996-11-22 1998-06-09 Fuji Denki Reiki Kk 情報販売システム
KR20010027764A (ko) * 1999-09-15 2001-04-06 원동학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지식 정보 거래 방법
KR20010081736A (ko) * 2000-02-18 2001-08-29 김동경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103926A (ko) * 2000-05-12 2001-11-24 이봉호 네트워크 기반의 지식유통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1217A (ko) * 2000-06-27 2002-01-09 박성준 컨텐츠 거래 중개 방법
KR20010000586A (ko) * 2000-10-07 2001-01-05 구자혁 컴퓨터 통신을 이용한 다운로드 방법
KR20030016192A (ko) * 2002-11-27 2003-02-26 주식회사시엔엠코리아 아이디 파일의 제작 및 배포를 통한 전자상거래수행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0703783B1 (ko) * 2005-06-09 2007-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파일을 자동으로 업로드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0756382B1 (ko) * 2006-04-26 2007-09-10 엔에이치엔(주) 사용자 제작 콘텐츠 축적 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3551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and submitting online via an aggregation portal
US8005726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active rate plan recommender
US851003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formation transformation and exchange
AU2003204104B8 (en) Use of Extensible Markup Language in a System and Method for Influencing a Position on a Search Result List Generated by a Computer Network Search Engine
US7797241B2 (en) Global information network product publication system
US20030023550A1 (en) Method and system for billing on the internet
US20020022971A1 (en) Software rental system, software renta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being executed on the software rental system
US2001004963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nline selection of service providers and management of service accounts
US20030144924A1 (en) Smart multi-search method and system
US20080250053A1 (en)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Operators
CN1282432A (zh) 数据通信
CN101099172A (zh) 使用用户的资格以便于用户执行任务
WO2002073358A2 (en) Many-to-many mediated commercial electronic publishing
KR100617858B1 (ko) 디지털 컨텐츠 거래중개 방법 및 시스템
KR20000012750A (ko) 인터넷 쇼핑 중개 사이트의 주문 대행 방법
KR100366772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지식/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US20110282755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Lead Information
KR20010103955A (ko) 인터넷을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
US20020010671A1 (en) Method and system for executable web-object trading
KR101626028B1 (ko) 포털 사이트 시스템
US73499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ccess to set of converged entitlement resources
KR20230060253A (ko) 빅데이터 기반의 음악저작권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020078217A1 (en) Online alcoholic beverage license verification system
KR20100115907A (ko) 네트웍을 이용한 홈브로드캐스팅 서비스에 대한 거래중개방법 및 그 시스템
US20050108202A1 (en) Information search system and information search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