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3857A - 유도기전력을 이용한 자가동력 블럭완구 - Google Patents

유도기전력을 이용한 자가동력 블럭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3857A
KR20010103857A KR1020000024359A KR20000024359A KR20010103857A KR 20010103857 A KR20010103857 A KR 20010103857A KR 1020000024359 A KR1020000024359 A KR 1020000024359A KR 20000024359 A KR20000024359 A KR 20000024359A KR 20010103857 A KR20010103857 A KR 20010103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ower supply
electrically connected
protrusions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4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철
최규만
Original Assignee
황의식
원모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의식, 원모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황의식
Priority to KR20200000129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9485Y1/ko
Priority to KR1020000024359A priority patent/KR20010103857A/ko
Publication of KR20010103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385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6Magnetic or electric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Abstract

상면에는 복수개의 외부돌기(12a-12h)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복수개의 내부돌기(14a-14c)가 형성된 하우징(11);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면에는 코일(22)이 권선되어 있는 보빈(21); 상기 보빈의 중공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된 유동 마그네트(25); 상기 유동 마그네트(25)의 이동에 따라 상기 코일에 발생하는 유도전압을 승압하고 정류하는 충전조정회로(30); 상기 충전조정회로를 거친 유도전압을 충전하는 슈퍼 커패시터(40); 상기 슈퍼 커패시터(4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복수개의 외부돌기(12a-12h) 각각에 부착된 복수개의 외부공급단자(19a-19c); 및 상기 슈퍼 커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하우징(11)의 하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내부공급단자(18a-18h)로 구성되는 전원공급블럭(10)을 포함하는 블럭완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유도기전력을 이용한 자가동력 블럭완구 {Toy blocks self-driven using electromagnetic induction}
본 발명은 블럭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별도의 전지 또는 전원없이 유도기전력을 이용하여 자발적으로 동력을 발생하여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가동력 블럭완구에 관한 것이다.
블럭완구는 여러가지 형상을 가진 다수의 블럭을 조립함으로써 자동차, 비행기, 배, 집과 같은 모형을 만들 수 있는 완구이며 어린이들로 하여금 창의력과 상상력을 가지게끔 하는 놀이기구로서 이른바 조이블럭(Joy block)이라고도 불리운다.
이러한 블럭완구는 여러가지 모형을 만들 수는 있으나 예컨대, 완성된 배나 자동차 등을 움직이게 하는 데에는 여러가지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외에도 전지와 같은 전원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그 설치구조가 커져 다른 블럭과 조립하기에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미리 정해진 블럭들만 결합시킬 수 있어 기존의 다른 블럭들과 호환성이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건전지를 다 소모하였을 경우 이것을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해 동력완구로서의 효용이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별도의 건전지나 전원없이 스스로 자가발전에 의해 동력을 생성하여 구동할 수 있는 블럭완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 형상이나 용도에 상관없이 다수의 블럭과 조립되어 호환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한 블럭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의 블럭완구에 따르면, 동력을 발생하는 전원공급블럭을 다른 동작블럭과 조립하며, 상기 전원공급블럭은 전자기 유도현상에 의해 필요한 전력을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럭완구의 전원공급블럭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원공급블럭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전원공급블럭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전원공급블럭을 나타낸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럭완구의 동작블럭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동작블럭의 구성을 보여주는 저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블럭완구의 동작블럭의 다른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평면도와 저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블럭완구의 동작블럭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평면도와 저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서, 전원공급블럭과 도 5에 도시된 동작블럭을 조립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서, 전원공급블럭과 도 5에 도시된 동작블럭을 조립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서, 전원공급블럭과 도 7에 도시된 동작블럭을 조립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전원공급블럭에 구비된 충전조정회로의 연결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블럭에 형성된 돌기에 설치되는 단자들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원공급블럭 12a-12h.외부돌기 14a-14c.내부돌기
18a-18h.내부공급단자 19a-19c.외부공급단자 20.발전부
30.충전조정회로 40.슈퍼 커패시터 50,60,70.동작블럭
52a-52h,61,71.상부결합돌기 54a-54h,63,73.하부접속단자
55a-55c,62,72.하부결합돌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블럭완구는, 상면에는 복수개의 외부돌기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복수개의 내부돌기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면에는 코일이 권선되어 있는 보빈; 상기 보빈의 중공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된 유동 마그네트; 상기 유동 마그네트의 이동에 따라 상기 코일에 발생하는 유도전류를 승압하고 정류하는 충전조정회로; 상기 충전조정회로를 거친 유도전류를 충전하는 슈퍼 커패시터; 상기 슈퍼 커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복수개의 외부돌기 각각에 부착된 복수개의 외부공급단자; 및 상기 슈퍼 커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내부공급단자로 구성되는 전원공급블럭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블럭의 보빈의 양단에는 상기 유동 마그네트의 대향극과 동일한 자극이 마주하도록 고정 마그네트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원공급블럭의 외부공급단자 및 내부공급단자를 양극과 음극이 번갈아 위치하도록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도전라인들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면에는 상기 전원공급블럭의 내부돌기와 내부공급단자 사이에 끼워맞춤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상부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전원공급블럭의 외부돌기가 끼워맞춤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하부결합돌기가 형성된 몸체; 상기 상부결합돌기 각각에 부착되어 상기 전원공급블럭과 조립시에 내부공급단자 중 일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개의 상부접속단자; 상기 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전원공급블럭과 조립시 외부공급단자 중 일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개의 하부접속단자; 및 상기 상부접속단자 및하부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동작블럭을 포함하는 블럭완구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상부접속단자 및 하부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 상기 모터와 연동되어 회전하며 바퀴가 부착된 회전축; 및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기어트레인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접속단자 및 하부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몸체에 설치된 전구 또는 상기 상부접속단자 및 하부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음향신호발생회로와, 상기 음향신호발생회로로부터 전송받은 음향신호에 따라 음파를 발생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블럭완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럭완구의 전원공급블럭(10)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원공급블럭(10)은 하면이 개방된 하우징(11)와 상기 하우징(11)의 상면에 돌출형성된 복수개의 외부돌기(12)를 포함한다.
상기 전원공급블럭(10)의 단면도, 평면도 및 배면도를 도시한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원공급블럭(10)의 내부에는 발전부(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발전부(20)는 자기유도현상에 의해 전류를 발생시키는 부분으로서, 하우징(11)의 내부에 설치되며 그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보빈(21), 상기 보빈(21)의 외주면에 감긴 코일(22), 상기 보빈(21)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유동 마그네트(25)를 포함한다. 상기 보빈(21)은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빈(21)의 양단부에 고정 마그네크(23)(24)가 설치되는데, 이때 보빈(21) 내부에 삽입된 유동 마그네트(25)는 그 자극이 고정 마그네트(23)(24)의 대향극과 동일한 극성이 되도록 하여 반발력에 의해 보빈의 중앙부에 놓이게 된다.
상기 코일(22)은 충전조정회로(30)로 접속되고 이 충전조정회로는 다시 슈퍼커패시터(super capacitor)(40)와 같은 충전수단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충전수단은 순간적인 충전을 위한 슈퍼커패시터 또는 단계적인 충전을 위한 2차전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전부(20)에서 자기유도현상에 의해 발생된 전류는 충전조정회로(30)를 거쳐 슈퍼커패시터(40)에 일시적으로 저장되는데, 상기 슈퍼커패시터(40)는 통상의 커패시터 구조를 가진 전기 이중층 콘덴서(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EDLC)로 구성되어 기존의 커패시터에 비해 충전용량이 약 1,000 ∼ 100,000배 정도 더 크다.
상기 충전조정회로(30)는 발전부(20)에서 발생한 미세한 유도기전력을 적절한 전압레벨로 승압시켜 정류하는 것으로서, 그 구성이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조정회로(30)는 발전부(20)에서 발생한 미약한 교류전압을 승압하기 위한 승압부(31)와, 승압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컨버터(32)로 구성된다. 이러한 승압부와 컨버터를 포함하는 충전조정회로의 구성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채용될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하우징(11)의 하부 즉, 발전부(20)의 베이스 기판(13) 하면에는 복수개의 내부돌기(14)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내부돌기(1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립되는 블럭의 상부결합돌기가 끼워맞춤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발전부(20)에서 생성되어 슈퍼커패시터(40)에 축적된 전압은 배선을 따라 단자로 공급되는데 이러한 배선 및 단자의 구성이 도 3 및 도 4를 통해 설명된다.
상기 하우징(11)의 상면에 형성된 외부돌기(12a-12h)에는 도 15a, 도 15b,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가지 형태의 도전성 외부공급단자(19a)(19b)(19c)가 부착될 수 있다. 즉, 원형 또는 십자형의 금속박막을 외부돌기(12a-12h)에 부착시키거나, 대안으로서 상기 외부돌기(12a-12h)의 표면 전체를 감싸도록 외부공급단자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나아가, 이러한 단자의 형성방법은 통상적인 기술수준 내에서 변형가능하다.
위와 같이 외부공급단자가 형성된 복수개의 외부돌기는 도전라인에 의해 상호 접속되는데,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단자가 되는 외부돌기(12a)(12c)(12f)(12h)는 하우징(11)의 예컨대, 상면을 가로지르는 도전라인(16)(실선으로 도시됨)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음극단자가 되는 외부돌기(12b)(12d)(12e)(12g)는 하우징(11)의 예컨대, 하면을 가로지르는 도전라인(17)(점선으로 도시됨)을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상기 도전라인(16)(17)은 슈퍼커패시터(40)와 연결되어 직류전압이 인가된다.
상기 하우징(11)의 하부에는 내부공급단자(도2의 18)가 형성되는데, 더 상세하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블럭의 상부결합돌기가 전원공급블럭의 내부돌기와 끼워맞춤 결합되는 위치(도면에서 원형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에 놓일 때 그 상부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우징(11)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양극이 되는 내부공급단자(18a)(18c)(18f)(18h)는 도전라인(26)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음극이 되는 내부공급단자(18b)(18d)(18e)(18g)는 도전라인(27)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도전라인(26)(27)은 또한 슈퍼커패시터(40)와 연결된 채 전압이 인가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럭완구의 동작블럭(50)을 보여준다. 예시된 동작블럭(50)은 예컨대, 자동차를 나타내는 것인데 본 발명에 따른 블럭완구는 다양한 형태의 모형조립이 가능하지만 설명의 편의상 예시된 자동차 블럭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동작블럭(50)의 몸체(51) 상면에는 상부결합돌기(52a-52h)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하부결합돌기(55a)(55b)(55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결합돌기(52a-52h)에는 상부접속단자가 마련되고, 몸체(21)의 내측하부에는 하부접속단자(54a-54h)가 마련되는데, 이들의 배열과 도전라인에 의한 상호접속구성은 전술한 외부공급단자 및 내부공급단자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동작블럭들은 바퀴를 회전시키거나, 전구에 불을 밝히거나 또는 음악 및 소리가 나게하는 등 그 필요에 따라 고유의 동작을 수행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구동수단은 바퀴(53)를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51) 내에는 바퀴(53)를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56) 및 이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회전축(58)으로 전달하는 기어트레인(57)을 구비한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블럭완구의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자동차 모형을 조립하기 위해 전원공급블럭(10)과 동작블럭(50)을 조립한 예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는, 동작블럭(50)의 상부결합돌기(도5의 52a-52h)가 전원공급블럭(10)의 내부돌기(도 4의 14a-14c) 및 내부공급단자(18a-18h)와 끼워맞춤 결합된다. 즉, 도 4의 원형점선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동작블럭(50)의 상부결합돌기(52a)는 전원공급블럭(10)의 내부돌기(14a)와 내부공급단자(18e) 사이에 끼워맞춤 결합되고, 상부결합돌기(52b)는 내부돌기(14a)(14b)와 내부공급단자(18f) 사이에, 상부결합돌기(52c)는 내부돌기(14b)(14c)와 내부공급단자(18g) 사이에, 상부결합돌기(52d)는 내부돌기(14c)와 내부공급단자(18h) 사이에, 상부결합돌기(52e)는 내부돌기(14a)와 내부공급단자(18a) 사이에, 상부결합돌기(52f)는 내부돌기(14a)(14b)와 내부공급단자(18b) 사이에, 상부결합돌기(52g)는 내부돌기(14b)(14c)와 내부공급단자(18c) 사이에, 상부결합돌기(52h)는 내부돌기(14c)와 내부공급단자(18d) 사이에 각각 끼워맞춤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동작블럭(50)의 상부결합돌기(52a-52h)에 있는 상부접속단자는 대응하는 전원공급블럭(10)에 있는 내부공급단자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상태에서, 어린이가 조립된 완구블럭을 가지고 놀면서 좌우로 흔들거나 진동을 가하게 되면, 전원공급블럭(10)의 하우징(11) 내에 있는 유동 마그네트(25)가 보빈(21)내에서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일정한 자속을 가지는 유동 마그네트(25)가 소정 권선수로 코일(22)이 감겨있는 보빈을 따라 운동하게 되면 자속의 변화가 발생되어 보빈에 감겨있는 코일의 양단에는 패러데이의 법칙에 따른 유도기전력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보빈의 크기, 길이, 코일의 권선회수, 마그네트의 자속 등은 원하는 기전력을 감안하여 적절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코일(22)의 양단에서 발생한 유도기전력은 충전조정회로(30)로 전달되어, 승압부(도 14의 31)에서 적절한 전압으로 승압된 후 컨버터(32)를 거치면서 교류전압이 직류전압으로 변환된다.
상기 충전조정회로(30)를 거친 기전력은 슈퍼커패시터(40)에 일시적으로 저장되어 버퍼링되는 동시에 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부공급단자(12a-12h) 및 내부공급단자(18a-18h)에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공급단자(18a-18h)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동작블럭(50)의 상부결합돌기(52a-52h)에 있는 상부접속단자를 통해 전압이 인가되며, 이 상부접속단자와 접속된 모터(56)가 회전하면서 구동력이 발생하고, 이 구동력은 기어트레인(57)을 거쳐 회전축(58)으로 전달되어 결국 바퀴(53)가 회전하면서 자동차 모형은 스스로 전진하게 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기어트레인(57)의 배열을 조정하는 레버를 추가할 경우 자동차 모형의 전진과 후진이 모두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전원공급블럭(10)과 동작블럭(50)은 예컨대, 상호 직각이 되도록 조립될 수 있으며 이때에도 동작블럭(50)의 상부결합돌기(52a-52h)에 있는 상부접속단자의 일부가 전원공급블럭(10)의 내부공급단자(18a-18h) 중 일부와 결합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발전부(20)에서 발생한 유도기전력이 동일한 과정을 거쳐 동작블럭(50)까지 인가될 수 있다.
나아가, 전원공급블럭(10)이 동작블럭(50)의 하부에 결합될 경우에도, 전원공급블럭(10)의 외부돌기(도3의 12a-12h)가 동작블럭(50)의 하부결합돌기(55a-55c)와 하부접속단자(54a-54h) 사이에 끼워맞춤 결합되어, 전원공급블럭의 외부공급단자(19a-19c)와 동작블럭의 하부접속단자가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므로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동작블럭(50)의 모터(56)에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블럭의 외부공급단자와 내부공급단자가 상호 번갈아 형성되어 위치하므로 블럭의 조립방향을 달리 하더라도 그 동작에는 지장이 없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작블럭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접속단자가 전원공급블럭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공급단자와 결합되기만 하면 동작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블럭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동작블럭(60)은 몸체 상면에 형성되며 상부접속단자가 부착된 상부결합돌기(61), 몸체 하부에 형성된 하부결합돌기(62) 및 하부접속단자(63)를 포함하며, 몸체의 측면에는 전구(64)가 상기 상부접속단자 및 하부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동작블럭(60)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블럭(10)과조립한 후 진동을 가하면, 발전부(20)에서 발생된 유도기전력에 의해 상기 동작블럭(60)의 전구(64)를 밝힐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블럭을 나타낸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동작블럭(70)은 몸체 상면에 형성되며 상부접속단자가 부착된 상부결합돌기(71), 몸체 하부에 형성된 하부결합돌기(72) 및 하부접속단자(73), 상기 상부접속단자 또는 하부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음향신호발생회로(74), 및 상기 음향신호발생회로(74)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따라 음파를 발생시키는 스피커(75)를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방식으로, 본 실시예의 동작블럭(70)을 전원공급블럭(10)과 조립한 후 진동을 가하면, 발전부(20)에서 발생된 유도기전력에 의해 상기 음향신호발생회로(74)로부터 음향신호가 출력되고 이에 따라 스피커(75)로부터 음향 또는 음악이 나오게 된다. 상기 음향신호발생회로(74)에는 블럭완구를 가지고 노는 어린이들의 취향에 맞도록 다양한 음악 또는 음향을 미리 입력하여 저장한 멜로디 칩을 내장하여 이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보다 진보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동차 동작블럭(50)과 전구 동작블럭(60) 또는 스피커 동작블럭(70)을 전원공급블럭(10)과 동시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동작블럭(50)의 상부에 전원공급블럭(10)을 조립하고, 그 전원공급블럭(10) 상부에 다시 전구 동작블럭(60) 또는 스피커 동작블럭(7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조립된 모형을 흔들거나 진동시키면 자동차 동작블럭(70)의 구동에 따라 조립 모형이 전진하는 동시에 전구 동작블럭(60)으로부터 빛이 조사되거나 아니면 스피커 동작블럭(70)으로부터 음악이 흘러나오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블럭완구에 따르면, 전자기유도현상에 의해 기전력을 발생하는 전원공급블럭을 별도로 마련하고 여러가지 모형의 동작블럭을 조립함으로써 단순한 블럭조립에서 벗어나 조립된 블럭을 구동시킴으로써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구동가능한 블럭에서 필수적으로 구비하여야 했던 건전지 등의 전원수단과 이것의 교체 등에 따른 번거로움을 없애고 블럭완구를 흔들거나 진동시킴에 따라 발생하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반영구적으로 블럭완구를 작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전원공급블러과 동작블럭에는 복수개의 내,외부공급단자와 내,상부접속단자가 마련되어 이들 중 일부만 서로 접속되어도 동작에는 지장이 없으므로 여러가지 모형을 만드는데 필요한 다양한 종류의 동작블럭과 호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상면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외부돌기(12a-12h)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내부돌기(14a-14c)가 형성된 하우징(11);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면에는 코일(22)이 권선되어 있는 보빈(21);
    상기 보빈의 중공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된 유동 마그네트(25);
    상기 유동 마그네트(25)의 이동에 따라 상기 코일에 발생하는 유도전압을 승압하고 정류하는 충전조정회로(30);
    상기 충전조정회로를 거친 유도전압을 충전하는 충전수단(40);
    상기 충전수단(4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외부돌기(12a-12h) 각각에 부착된 복수개의 외부공급단자(19a-19c); 및
    상기 슈퍼 커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하우징(11)의 하부에 형성된 내부공급단자(18a-18h)로 구성되는 전원공급블럭(10)을 포함하는 블럭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블럭(10)의 보빈(21)의 양단에는 상기 유동 마그네트(25)의 대향극과 동일한 자극이 마주하도록 고정 마그네트(23)(2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블럭(10)의 외부공급단자 및 내부공급단자를양극과 음극이 번갈아 위치하도록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도전라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완구.
  4. 상기 전원공급블럭(10)의 충전조정회로(30)는, 상기 코일의 양단에서 발생한 미약한 교류전류를 승압하기 위한 승압부(31)와, 승압된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변환하기 위한 컨버터(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완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면에는 상기 전원공급블럭(10)의 내부돌기(14a-14c)와 내부공급단자(18a-18h) 사이에 끼워맞춤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상부결합돌기(52a-52h)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전원공급블럭(10)의 외부돌기(12a-12h)가 끼워맞춤 결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하부결합돌기(55a-55c)가 형성된 몸체(51);
    상기 상부결합돌기(52a-52h) 각각에 부착되어 상기 전원공급블럭과 조립시에 내부공급단자(18a-18h) 중 일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개의 상부접속단자;
    상기 몸체(51)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전원공급블럭과 조립시 외부공급단자(19a-19c) 중 일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개의 하부접속단자(54a-54h); 및
    상기 상부접속단자 및 하부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동작블럭(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완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상부접속단자 및 하부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56);
    상기 모터와 연동되어 회전하며 바퀴가 부착된 회전축(58); 및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기어트레인(5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완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상부접속단자 및 하부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몸체에 설치된 전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완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상부접속단자 및 하부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음향신호발생회로(74)와, 상기 음향신호발생회로(74)로부터 전송받은 음향신호에 따라 음파를 발생하는 스피커(7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완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수단은 슈퍼커패시터 또는 2차전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완구.
KR1020000024359A 2000-05-08 2000-05-08 유도기전력을 이용한 자가동력 블럭완구 KR2001010385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999U KR200199485Y1 (ko) 2000-05-08 2000-05-08 유도기전력을 이용한 자가동력 블럭완구
KR1020000024359A KR20010103857A (ko) 2000-05-08 2000-05-08 유도기전력을 이용한 자가동력 블럭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4359A KR20010103857A (ko) 2000-05-08 2000-05-08 유도기전력을 이용한 자가동력 블럭완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999U Division KR200199485Y1 (ko) 2000-05-08 2000-05-08 유도기전력을 이용한 자가동력 블럭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3857A true KR20010103857A (ko) 2001-11-24

Family

ID=1966816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999U KR200199485Y1 (ko) 2000-05-08 2000-05-08 유도기전력을 이용한 자가동력 블럭완구
KR1020000024359A KR20010103857A (ko) 2000-05-08 2000-05-08 유도기전력을 이용한 자가동력 블럭완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999U KR200199485Y1 (ko) 2000-05-08 2000-05-08 유도기전력을 이용한 자가동력 블럭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99485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605B1 (ko) * 2009-08-01 2010-01-22 (주)지원에프알에스 미세전류 자극장치가 내장된 의류
KR100954784B1 (ko) * 2009-04-28 2010-04-28 (주)지원에프알에스 미세전류 자극장치 및 그 장치가 부착된 신발
WO2011016626A2 (ko) * 2009-08-01 2011-02-10 (주)지원에프알에스 미세전류 자극장치 및 그 장치가 부착된 신발
KR101498912B1 (ko) * 2014-02-11 2015-03-05 고중광 해충 퇴치가 가능한 장난감
EP2744579A4 (en) * 2011-08-16 2015-05-06 Seebo Interactive Ltd CONNECTED MULTIFUNCTIONAL SYSTEM AND METHOD OF USE
KR20190074878A (ko) 2017-12-20 2019-06-2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가전력 장난감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784B1 (ko) * 2009-04-28 2010-04-28 (주)지원에프알에스 미세전류 자극장치 및 그 장치가 부착된 신발
KR100938605B1 (ko) * 2009-08-01 2010-01-22 (주)지원에프알에스 미세전류 자극장치가 내장된 의류
WO2011016626A2 (ko) * 2009-08-01 2011-02-10 (주)지원에프알에스 미세전류 자극장치 및 그 장치가 부착된 신발
WO2011016628A2 (ko) * 2009-08-01 2011-02-10 (주)지원에프알에스 미세전류 자극장치가 내장된 의류
WO2011016628A3 (ko) * 2009-08-01 2011-06-16 (주)지원에프알에스 미세전류 자극장치가 내장된 의류
WO2011016626A3 (ko) * 2009-08-01 2011-06-23 (주)지원에프알에스 미세전류 자극장치 및 그 장치가 부착된 신발
EP2744579A4 (en) * 2011-08-16 2015-05-06 Seebo Interactive Ltd CONNECTED MULTIFUNCTIONAL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1498912B1 (ko) * 2014-02-11 2015-03-05 고중광 해충 퇴치가 가능한 장난감
KR20190074878A (ko) 2017-12-20 2019-06-2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가전력 장난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9485Y1 (ko) 2000-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0251B2 (en) Vibrating device for axially vibrating a movable member
KR200199485Y1 (ko) 유도기전력을 이용한 자가동력 블럭완구
KR100452828B1 (ko) 다기능 음향 장치
CN108621964A (zh) 扶手箱
US6486579B1 (en) Electromagnetic vibrator and portable device employing the same
JPH1066323A (ja) 発電装置と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US7666055B2 (en) Traveling device for moving toys
JP2001045126A (ja) 携帯電話機
CN208161035U (zh) 电动式列车玩具
JPS6013464A (ja) 発電装置
JPH07494U (ja) 発電機を用いた玩具
CN208015976U (zh) 一种八音盒音箱
JP2015053843A (ja) 電動機
KR200283085Y1 (ko) 자가발전형 원반
JPH099596A (ja) 2相コアレス偏平振動モータ
KR200176981Y1 (ko) 코어레스 모터의 진동자
KR200288471Y1 (ko) 자가발전형 요요
JPH025660Y2 (ko)
KR100214244B1 (ko)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완구자동차의 기어박스
KR200239668Y1 (ko) 유희용 완구
JPS6224315Y2 (ko)
JPH1118388A (ja) 発電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H03130512U (ko)
JPH0199093U (ko)
JP3067087U (ja) 疑似音発生装置付ラジコンと疑似音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