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3157A - 식물병 방제물질로서 비타민 b1의 신규한 용도 - Google Patents

식물병 방제물질로서 비타민 b1의 신규한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3157A
KR20010103157A KR1020000015155A KR20000015155A KR20010103157A KR 20010103157 A KR20010103157 A KR 20010103157A KR 1020000015155 A KR1020000015155 A KR 1020000015155A KR 20000015155 A KR20000015155 A KR 20000015155A KR 20010103157 A KR20010103157 A KR 20010103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tamin
plants
rice
defense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5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환
안일평
좌남수
김순옥
박찬호
박숙영
손영준
Original Assignee
이용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환 filed Critical 이용환
Priority to KR1020000015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3157A/ko
Priority to KR10-2002-7011615A priority patent/KR100438393B1/ko
Priority to PCT/KR2001/000478 priority patent/WO2001070025A1/en
Priority to US10/239,574 priority patent/US20030139296A1/en
Priority to AU48862/01A priority patent/AU4886201A/en
Priority to EP01922078A priority patent/EP1267614A4/en
Priority to JP2001568234A priority patent/JP3936196B2/ja
Publication of KR20010103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315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541,3-Diazines; Hydrogenated 1,3-diaz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7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 A01N43/7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nd either one oxygen atom or one sulfur atom in positions 1,3
    • A01N43/781,3-Thiazoles; Hydrogenated 1,3-thiazo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병 방제물질로서 비타민 B1의 신규한 용도에 관한 것으로 비타민 B1은 벼와 같은 단자엽 식물과 토마토와 같은 쌍자엽 식물에서 병원균 감염 시 발현되는 방어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초기에 유도하여 발병을 방제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고, 또 비타민 B1은 식물체 뿐만 아니라 종자에 처리할 경우에도 식물병원균 감염에 의한 발병을 방제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식물병 방제물질로서 비타민 B1의 신규한 용도{Novel use of vitamin B1 as protection of plants}
본 발명은 식물병 방제물질로서 비타민 B1의 신규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식물병원균 감염 방어 유전자를 발병 초기에 발현시켜 식물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하는 식물병 방제물질로서 비타민 B1의 신규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근세기 들어 폭증하기 시작한 인구는 작물의 안전적인 증산을 요구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식량 생산을 위협하는 원인 중 하나인 식물병 방제에 대한 요구 또한 증가하고 있다. 20세기 들어 사용되기 시작한 농약과 화학 비료는 작물의 증산에는 필수적이었으나 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안을 초래하였고 더불어 환경에도 악영향을 주고 있다. 또한 지속적인 합성 농약의 사용에 대한 저항성 병원 균주의 출현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안전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식물병을 방제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에 연구가 집중되고 있고 그 중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식물의 병원균에 대한 자체 방어력을 증진시킴으로서 병을 방제하는 분야이다.
식물은 병원균의 침입에 대해 매우 정교한 방어 반응을 나타낸다. 이에는 과민성 반응 (hypersensitive reaction: HR)으로 알려져 있는 침입 주위 세포의 치사, 미생물에 항생력을 나타내는 파이토알렉신(phytoalexin)의 합성, 리그닌(lignin)이나 하이드록시프롤린-리치 글라이코프로테인(hydroxyprolin-rich glycoproteins;HRGPs) 축적 등에 의한 세포벽의 강화, 키티나아제(chitinase)나 글루카나아제(glucanase)와 같은 미생물 세포벽 분해효소나 프로테인나아제 저해제(proteinase inhibitor)의 분비 등이 포함되며 그외에 정확한 기능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많은 병 방어관련 단백질(pathogenesis-related (PR) proteins)이 식물의 방어 반응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Lamb et al., 1989; Bowles, 1990).
상기 반응의 특이성은 기주식물과 병원균이 가지고 있는 유전적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Keen, 1990). 기주 식물의 서로 다른 품종은 서로 다른 병원균 레이스(race)에 대해 특이적인 반응을 나타낸다. 이러한 품종-레이스(race)간의 특이적인 반응에 대한 유전분석으로부터 기주식물의 방어반응도 기주식물에 저항성에 관련된 유전자가 있으면 병원균에도 그에 상보적인 비병원성 유전자가 존재한다는 진-포-진(gene-for-gene) 가설을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Elingboe, 1981; Meiners, 1981). 저항성 유전자의 개수에 관계없이 이들의 조합에 따라 친화적 관계 (compatible interaction), 즉 병이 나는 관계와 비친화적 관계 (incompatible interaction), 즉 병이 나지 않는 관계가 결정된다. 비친화적 관계에서는 병원균의 침입을 받은 초기에 국부적인 과민반응과 함께 방어반응이 유도된다.
방어 반응은 주로 방어 관련 유전자의 전사(transcription) 수준에서 일어나며 한 가지 유전자만이 발현되는 것이 아니라 방어 반응에 관련된 여러 유전자가 함께 발현된다 (Chappell and Hahlbrock, 1984; Cramer et al., 1985; Lawton and Lamb, 1987; Somssich et al., 1986; Ward et al., 1991). 잠두 세포배양에 탄저병균인 콜레토트리쿰 린데무티아눔(Colletotrichum lindemuthianum)의 세포벽 물질의 유도체(elicitor)를 처리하였을 때 방어 관련 유전자들의 전사체들이 5분 이내에 10배로 증가함이 관찰되었다. 또한 페닐알라닌 암모니아 라이아제 (Phenylalanine ammonia lyase; PAL), 찰콘 신타아제(chalcone synthase;CHS), 찰콘 아이소머라아제(chalcone isomerase;CHI) 등 파이토알렉신(phytoalexin)과 리그닌(lignin) 생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들이 함께 발현 유도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Hedrick et al., 1986; Lawton and Lamb, 1987; Walter et al., 1988). 이러한 결과는 비친화적 관계에서 파이토알렉신(phytoalexin)의 합성이 방어반응의 초기에 일어나며 유도체(elicitor)가 수용체(receptor)에 결합한 후 방어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이 일어나기까지 세포내 신호전달체계가 급속히 이루어짐을 시사한다. 반면, HRGPs 유전자들의 발현은 유도체(elicitor)처리 후 한시간 후에나 관찰되며 전사체의 축적도 느리게 진행되었다 (Lawton and Lamb, 1987; Showalter et al., 1985). 이러한 반응의 차이는 유전자의 발현을 위한 자극이 다르든지, 같은 자극이라도 다양한 신호전달체계로 나뉘어진 결과일 것이다. 또한 유도체(elicitor)가 다르면 비슷한 세포에서도 서로 다른 반응 양상을 보여주는데 이는 방어관련 유전자를 발현시키기 위한 신호전달경로가 다양하고 복잡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Dixon and Lamb, 1990; Lamb et al., 1990).
방어 반응이 곧 저항성 반응은 아니지만 대부분의 비친화적, 혹은 저항성인 관계에서 방어 관련 유전자(PR gene)들이나 방어 시스템에서 중개자 역할을 담당하는 자스몬산(jasmonic acid), 살리실산(salicylic acid)의 대사 및 합성에 관련되는 리포옥시게나아제(lipoxygenase), 페닐알라닌 암모니아 라이아제(phenylalanine ammonia lyase;PAL)의 초기 발현이 강화된다는 사실에서 방어 반응이 기주의 저항성 발현에서 차지하는 역할을 알 수 있다 (Yang et al., 1997; Shah et al., 1997). 동일한 유전자들이 친화적 관계에서는 병원균이 기주에 전형적인 병반을 형성하기 시작할 무렵, 즉 침입 후기에 방어 관련 유전자들이 발현된다. 적절한 생리적 조건하에서라면, 또는 자스몬산이나 살리실산의 대사를 강화시켜서 조기에 방어 체계를 발현시킬 수 있다면 친화적 관계에서라도 병의 진전을 막을 수 있다.
최근, 전신획득 저항성(systemic acquired resistance; SAR)을 유도시켜서 친화적인 관계를 비친화적인 관계로 전환시키는 약제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중이며 좋은 예로는 여러 가지 작물, 특히 가지과 및 십자화과에 대한 SAR 유도 효과가 입증된 바 있는 벤조티아디아졸(benzothiadiazole;BTH) (Lawton et al., 1996; Molina et al., 1999; Shah et al., 1997) 및 벼의 SAR을 유도하는 프로베나졸(probenazole)(Midoh and Iwata, 1996) 등이 있다. 하지만 상기의 약제들은 처리한 후 최소 5 ~ 7일 이상이 경과해야 병 방어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이 유도된다는 약점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약제 처리 효과의 지속성에 있어서도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한 결과, 비타민 B1이 독성이 없으면서도 인체에 유익하고 지속적으로 병원균의 침입에 대해 저항성을 부여하는 특성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자엽 및 쌍자엽 식물 뿐만 아니라 종자에 처리함으로써 식물병원균 감염을 방어하여 식물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하는 식물보호용 비타민 B1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비타민 B1을 증류수에 용해시켜 이를 단자엽 식물인 벼에 분무처리하거나 벼의 종자에 침지처리한 후 식물병원균을 접종하여 병반발생 및 병반진행 상태를 조사하고 상기와 같이 비타민 B1을 처리한 벼 식물체로부터 전체 RNA를 추출하고 탐침유전자를 이용하여 병원균 방어 유전자의 발현 여부를 확인하고, 또 쌍자엽 식물인 토마토에 비타민 B1을 증류수에 용해시킨 용액을 침지처리한 후 토마토 식물체로부터 전체 RNA를 추출하고 탐침유전자를 이용하여 병원균 방어 유전자의 발현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탐침자를 사용하여 비타민 B1으로 처리된 벼에서 식물병원균 감염 방어 관련 유전자가 발현된 것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탐침자를 사용하여 비타민 B1으로 처리된 토마토에서 식물병원균 감염 방어 관련 유전자가 발현된 것을 확인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벼 품종 화청에 미리 증류수에 용해시킨 비타민 B1을 분무처리한 후 벼도열병균 마그나포르테 그리세아 KJ201(Magnaporthe griseaKJ201) 균주를 접종하고 경시적으로 병반의 모양, 크기, 병반 면적율을 측정하여 병 발생량을 조사하는 단계; 벼 품종 낙동에 미리 증류수에 녹인 비타민 B1을 분무처리한 후 벼흰잎마름병균인 잔토모나스 오라이제 패소바 오라이제 KX021(Xanthomonas oryzae pv. oryzaeKX021) 균주를 접종하고 접종부위로부터 병징이 진전된 거리를 측정하여 병 발생량을 조사하는 단계; 벼품종 화청 종자를 비타민 B1 용액에 1일간 침지한 후 한 달간 생육시켜 벼 도열병을 일으키는 마그나포르테 그리세아 KJ201(Magnaporthe griseaKJ201) 균주를 분무접종하고 경시적으로 병반의 모양, 크기, 병반 면적율을 측정하여 병발생량을 조사하는 단계; 벼품종 화청에 미리 증류수에 용해한 비타민 B1을 분무처리한 후 벼도열병균 마그나포르테 그리세아 KJ201(Magnaporthe griseaKJ201) 균주를 접종한 식물체와 비타민 B1만 처리한 벼 식물체로부터 24시간 마다 전체 RNA를 추출하고 막에 트랜스퍼한 후 탐침자로서 병 방어관련 유전자 1 (PR1), 프로베나졸 유도 유전자 (PBZ1), 퍼옥시다아제 유전자 (POX22.3)를 이용하여 병원균 방어 유전자 발현여부를 조사하는 단계; 및 토마토 품종 서광의 식물체 지제부를 절단하여 비타민 B1에 침지처리한 다음 경시적으로 식물체를 수거하여 전체 RNA를 추출하고 막에 트랜스퍼한 후 탐침자 PAL 유전자(phenylalanine ammonia lyase), APX 유전자(ascorbate peroxidase) 및 HMGR 유전자(3-hydroxy-3- methylglutaryl-CoA reductase)를 이용하여 병원균 방어 유전자 발현여부를 조사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벼도열병원균 마그나포르테 그리세아 KJ201(Magnaporthe griseaKJ201), 벼흰잎마름병원균 잔토모나스 오라이제 패소바 오라이제 KX021(Xanthomonas oryzae pv. oryzaeKX021) 균주는 경기도 수원시 서둔동에 위치한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식물병리과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비타민 B1은 단독으로 증류수에 용해시켜 사용하거나 다른 부형제와 함께 제제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공지된 통상의 합성 농약 및 다른 생물농약과 병행하여 사용함으로써 농약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증류수에 용해한 비타민 B1의 농도는 5 ~ 100mM이다.
본 발명에서 비타민 B1으로 처리가능한 식물에 단자엽 식물, 쌍자엽 식물 뿐만 아니라 종자도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비타민 B1의 처리방법은 분무, 관주 및 침지 등 통상의 약제 처리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병 방어 관련 PR1, PBZ1, POX22.3, PAL, APX 또는 HMGR 유전자의 전사를 활성화시켜 식물병의 발병을 방제하는 비타민에는 비타민 B1 뿐만 아니라 비타민 B6. 비타민 C 등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비타민 B1을 사용하여 벼품종 화청에 비타민 B1 수용액을 분무처리한 결과, 식물병 방어 관련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되어 식물병 발병 방제효과를 달성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비타민 B1의 벼도열병원균의 방제효과
벼 도열병을 일으키는 마그나포르테 그리세아 KJ201(Magnaporthe griseaKJ201)균주를 귀리 한천배지에서 12 ~ 15일간 25℃, 명조건에서 배양하여 분생포자를 형성시킨 다음 250 ppm (v/v) Tween 80 (polyoxyethylene glycol) 용액을 가하여 포자를 수거하였다. 헤마사이토메터(Hemacytometer)를 이용하여 최종 농도를 5 × 105포자/mL로 적정하여 벼 식물체 (품종: 화청)에 분무접종하였다. 접종 후 20분간 실온에서 방치하여 접종원이 흘러내리지 않을 정도로 건조시킨 다음 25℃, 상대 습도 100%에서 24시간 동안 처리하고 온실로 옮긴 후 경시적으로 병 진전을 검사하였다. 이를 위해, 벼 품종 화청은 호마이 수화제에 1일간 침지하여 종자소독한 후 2일간 28℃에서 최아시킨 다음 농용상토에 심었다. 5 ∼ 6 주간 28 ∼ 35℃가 유지되는 온실에서 재배한 다음 접종에 이용하였으며 비타민 B1(Vitamin B1, Thiamine;Cat. No. T4625; Sigma Co, St. Louis, MO, USA)은 1 M이 되도록 증류수에 녹인 후 농도별로 희석하여 이용하였다. 2500 ppm (v/v) Tween 80을 최종농도250 ppm이 되도록, 또 비타민 B1은 각각 최종농도 5, 10, 20, 50, 100 mM이 되도록 첨가하여 분무처리하였다. 비타민 B1에 의한 방제 효과 검정 실험시에는 약제 처리 4시간 후 도열병균을 접종하였으며 접종 1주일 후 병반의 모양, 크기 및 병반면적률을 기준으로 하여 병발생량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타민 B1 5 mM, 10 mM 처리시 방제가는 30% 미만이었지만 20 mM 이상 처리에서는 80% 가량의 방제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비타민 B1의 벼도열병 방제효과
처리 방제가(%)
5mM 비타민 B1→KJ201 접종 27.3 ±14.8
10mM 비타민 B1→KJ201 접종 25.0 ±11.4
20mM 비타민 B1→KJ201 접종 71.6 ± 5.7
50mM 비타민 B1→KJ201 접종 78.4 ±12.5
100mM 비타민 B1→KJ201 접종 83.0 ± 9.1
[주] 가:
실시예 2: 비타민 B1의 벼 흰잎마름병원균 방제효과
벼 흰잎마름병을 일으키는 잔토모나스 오라이제 패소바 오라이제 KX201 (Xanthomonas oryzaepv.oryzaeKXO21)균주를 펩톤 슈크로스 한천배지에서 3일간 30℃, 암조건에서 배양한 다음 250 ppm (v/v) Tween 80 (polyoxyethylene glycol) 용액을 가하여 접종원을 수거하였다. 광도측정계를 이용하여 600 ㎚에서의 흡광도가 0.5가 되도록 적정하여 벼 식물체(품종: 낙동)에 가위접종하였다. 25℃, 상대 습도 100%에서 24시간 동안 처리하고 온실로 옮긴 후 경시적으로 병 진전을 검사하였다. 이를 위해, 벼 품종 낙동은 호마이 수화제에 1일간 침지하여 종자소독한 후 2일간 28℃에서 최아시킨 다음 농용상토에 심었다. 4 주간 28 ∼ 35℃가 유지되는 온실에서 재배한 다음 접종에 이용하였다. 비타민 B1(Vitamin B1, Thiamine;Cat. No. T4625; Sigma Co, St. Louis, MO, USA)은 1 M이 되도록 증류수에 녹인 후 농도별로 희석하여 이용하였다. 2500 ppm (v/v) Tween 80을 최종농도 250 ppm이 되도록, 또 비타민 B1은 각각 최종농도 5, 10, 20, 50, 100 mM이 되도록 첨가하여 처리하였다. 비타민 B1에 의한 방제 효과 검정 실험시에는 약제 처리 4시간 후 흰잎마름병균을 접종하였으며 1주일 후 접종 부위로부터 병징이 진전된 거리를 측정하여 병발생량을 표시하였다. 실험결과,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타민 B1 10 mM 이하의 처리 농도에서는 방제가가 20% 미만이었지만 20 mM에서는 80%, 50 및 100 mM에서는 97%의 방제가가 확인되었다.
비타민 B1의 벼 흰잎마름병 방제효과
처리 방제가(%)
5mM 비타민 B1→KX021 접종 16.4 ±26.9
10mM 비타민 B1→KX021 접종 11.9 ± 7.5
20mM 비타민 B1→KX021 접종 80.6 ±25.4
50mM 비타민 B1→KX021 접종 97.0 ± 1.5
100mM 비타민 B1→KX021 접종 97.0 ± 1.5
[주] 가:
실시예 3: 비타민 B1 용액에 종자침지에 의한 벼도열병 방제효과
벼 도열병을 일으키는 마그나포르테 그리세아 KJ201(Magnaporthe griseaKJ201)균주를 귀리한천배지에서 12 ~ 15일간 25℃, 명조건에서 배양하여 분생포자를 형성시킨 다음 250 ppm (v/v) Tween 80 (polyoxyethylene glycol) 용액을 가하여 포자를 수거하였다. 헤마사이토메터(Hemacytometer)를 이용하여 최종 농도를 5 × 105포자/mL로 적정하여 벼 식물체(품종: 낙동)에 분무접종하였다. 접종 후 20 분간 실온에서 방치하여 접종원이 흘러내리지 않을 정도로 건조시킨 다음 25℃, 상대 습도 100%에서 24시간 동안 처리하고 온실로 옮긴 후 경시적으로 병 진전을 검사하였다. 이를 위해, 벼 품종 화청은 호마이 수화제에 1일간 침지하여 종자소독한 후 1일간 28℃에서 최아시켰다. 최아시킨 종자를 1일간 5, 10, 20, 50, 100 mM의 비타민 B1 용액에 침지하여 28℃에서 처리한 다음 농용상토에 심었다. 5 ∼ 6 주간 28 ∼ 35℃가 유지되는 온실에서 재배한 다음 접종에 이용하였다. 비타민 B1(Vitamin B1, Thiamine, Cat. No. T4625; Sigma Co, St. Louis, MO, USA)은 1 M이 되도록 증류수에 녹인 후 농도별로 희석하여 이용하였다. 비타민 B1 종자 침지에 의한 방제 효과 검정 실험시에는 접종 1주일 후 병반의 모양, 크기 및 병반 면적률을 기준으로 하여 병발생량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타민 B1 20 mM을 발아시에 처리하면 44%, 50 mM을 처리하면 73%의 방제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비타민 B1의 종자 침지처리시 도열병 방제효과
처리 방제가(%)
20mM 비타민 B1→KJ201 접종 43.8 ±39.6
50mM 비타민 B1→KJ201 접종 72.9 ±31.3
[주] 가:
실시예 4: 비타민 B1의 벼도열병 방어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비타민 B1처리 및 벼도열병균의 접종을 수행하였으며 0 시간부터 96 시간까지 24시간 단위로 비타민 B1만 처리된 벼 식물체 및 도열병균을 접종한 벼 식물체를 수거하여 액체 질소에 담가 급속 냉동시킨 다음 냉동고에 보관하였다. 이때 비타민 B1은 50 mM 농도로 사용하였다. 수거한 식물체를 막자사발에 액체 질소를 가하며 마쇄한 다음 전체 RNA를 추출하였다. 260 ㎚에서의 흡광도를 검사하여 각각의 RNA의 농도를 측정한 다음 15 ㎍씩 전기 영동하고 10 × SSC를 이용하여 나일론 막에 트랜스퍼하였다. 벼의 방어 기작이 발현되는지 발현되지 않는지의 지표로 이용되는 유전자인PR1(pathogenesis-related gene 1),PBZ1(probenazole-inducible gene 1) 및POX22.3(peroxidase gene)를 탐침자로 이용하여 방사성 동위원소로 라벨링(labeling)한 다음 혼성화 반응을 진행시켰다. 나일론 막을 적절한 농도의 세척 완충액에 처리한 다음 X-선 필름에 노출시켜 탐침자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병원균만을 접종한 식물체에서는 72 시간에서 방어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이 최고치를 보인 반면 비타민B1만을 처리한 식물체에서는 24 시간에서 최고의 발현을 보였다.
실시예 5: 비타민 B1의 토마토병원균 방어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토마토 품종 서광 (흥농종묘, 품종등록번호 VT-Hy-43)을 구입하여 물한천 배지 위에 치상한 다음 25℃, 16/8 광주기 조건에서 4 ∼ 6 일간 최아시켰다. 최아시킨 종자를 원예용 상토에 재식하고 6 ∼ 8 주간 28 ∼ 35℃가 유지되는 온실에서 재배한 다음 처리에 이용하였다. 식물체의 지지부를 면도칼로 절단한 후 50μM의 비타민 B1 용액에 침지한 다음 0, 2, 6, 10, 14, 18, 22, 36 시간에서 식물체를 수거하여 액체 질소로 급속 냉동시킨 후 냉동고에 보관하였다. 수거한 식물체를 막자사발에 액체 질소를 가하며 마쇄한 다음 전체 RNA를 추출하였다. 260 ㎚에서의 흡광도를 검사하여 각각의 RNA의 농도를 측정한 다음 15 ㎍씩 전기 영동하고 10 × SSC를 이용하여 나일론 막에 트랜스퍼하였다. 토마토의 방어 기작이 발현되는지 발현되지 않는지의 지표로 이용되는 유전자인 페닐알라닌 암모니아 라이아제(phenylalanine ammonia lyase ;PAL), 아스코베이트 퍼옥시다아제 유전자(ascorbate peroxidase;APX) 및 3-하이드록시-3-메틸글루타릴-CoA 리덕타제 유전자(3-hydroxy-3-methylglutaryl-CoA reductase;HMGR)를 탐침자로 이용하여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지한 다음 혼성화 반응을 진행시켰다. 나일론 막을 적절한 농도의 세척 완충액에 처리한 다음 X-선 필름에 노출시켜 탐침자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타민 B1을 처리한 식물체에서는 2시간 이내에 모든 실험한 방어 관련 유전자들이 발현되었다.
이상,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비타민 B1의 처리는 벼와 같은 단자엽 식물과 토마토와 같은 쌍자엽 식물에서 병 방어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하여 발병을 방제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고 또 비타민 B1을 식물체 뿐만 아니라 종자에 처리할 경우에도 식물병원균 감염에 의한 발병을 방제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본 발명은 생물농약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식물체에서 병 방어 관련 PR1, PBZ1, POX22.3, PAL, APX 또는 HMGR 유전자의 전사를 활성화시켜 식물병의 발병을 방제하기 위한 비타민 B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체는 단자엽 식물, 쌍자엽 식물 또는 식물 종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KR1020000015155A 2000-03-24 2000-03-24 식물병 방제물질로서 비타민 b1의 신규한 용도 KR20010103157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155A KR20010103157A (ko) 2000-03-24 2000-03-24 식물병 방제물질로서 비타민 b1의 신규한 용도
KR10-2002-7011615A KR100438393B1 (ko) 2000-03-24 2001-03-24 식물병 방제제로서의 비타민 b1의 용도
PCT/KR2001/000478 WO2001070025A1 (en) 2000-03-24 2001-03-24 Use of vitamin b1 as agents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s
US10/239,574 US20030139296A1 (en) 2000-03-24 2001-03-24 Use of vitamin b1 as agents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s
AU48862/01A AU4886201A (en) 2000-03-24 2001-03-24 Use of vitamin b1 as agents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s
EP01922078A EP1267614A4 (en) 2000-03-24 2001-03-24 USE OF VITAMINE B1 AS AN AGENT TO CONTROL PLANT DISEASES
JP2001568234A JP3936196B2 (ja) 2000-03-24 2001-03-24 植物病害防除剤としてのビタミンb1の用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155A KR20010103157A (ko) 2000-03-24 2000-03-24 식물병 방제물질로서 비타민 b1의 신규한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3157A true KR20010103157A (ko) 2001-11-23

Family

ID=196583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5155A KR20010103157A (ko) 2000-03-24 2000-03-24 식물병 방제물질로서 비타민 b1의 신규한 용도
KR10-2002-7011615A KR100438393B1 (ko) 2000-03-24 2001-03-24 식물병 방제제로서의 비타민 b1의 용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1615A KR100438393B1 (ko) 2000-03-24 2001-03-24 식물병 방제제로서의 비타민 b1의 용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30139296A1 (ko)
EP (1) EP1267614A4 (ko)
JP (1) JP3936196B2 (ko)
KR (2) KR20010103157A (ko)
AU (1) AU4886201A (ko)
WO (1) WO200107002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301B1 (ko) * 2013-08-19 2015-01-21 (주)현농 병해 방제와 리보플라빈 강화 쌀을 생산하기 위한 벼의 재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03565B1 (de) * 2006-06-16 2007-11-15 Jhs Privatstiftung Verfahren zur produktion von organisch gebundenem vitamin b
US9324072B1 (en) * 2008-08-22 2016-04-26 Ixys Intl Limited Bit-flipping memory controller to prevent SRAM data remanence
KR101298112B1 (ko) * 2011-06-20 2013-08-19 주식회사 두산에코비즈넷 수용액 형태의 티아민 다이-라우릴 설페이트를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 및 예방용 농약
US10743535B2 (en) 2017-08-18 2020-08-18 H&K Solutions Llc Insecticide for flight-capable pest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9729A (en) * 1988-09-09 1996-08-27 Yamashita; Thomas T. Method and composition for promoting and controlling growth of plants
DE3943501A1 (de) * 1989-03-28 1990-10-18 Btc Biotech Int Verwendung eines phytosanitaeren mittels
EP0524411A1 (en) * 1991-07-24 1993-01-27 F.Hoffmann-La Roche & Co. Aktiengesellschaft Seed treatment
AU5843499A (en) * 1999-09-24 2001-04-30 Steve Wood Method for improving immunity in plants and anima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301B1 (ko) * 2013-08-19 2015-01-21 (주)현농 병해 방제와 리보플라빈 강화 쌀을 생산하기 위한 벼의 재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36196B2 (ja) 2007-06-27
US20030139296A1 (en) 2003-07-24
KR100438393B1 (ko) 2004-07-02
WO2001070025A1 (en) 2001-09-27
EP1267614A1 (en) 2003-01-02
AU4886201A (en) 2001-10-03
JP2003528058A (ja) 2003-09-24
KR20030015206A (ko) 2003-02-20
EP1267614A4 (en) 2005-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ang et al. Lack of induced systemic resistance in peanut to late leaf spot disease by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and chemical elicitors
Kang et al. Salicylic acid changes activities of H2O2-metabolizing enzymes and increases the chilling tolerance of banana seedlings
Olivieri et al. Phosphite applications induce molecular modifications in potato tuber periderm and cortex that enhance resistance to pathogens
Prats et al. Acibenzolar-S-methyl-induced resistance to sunflower rust (Puccinia helianthi) is associated with an enhancement of coumarins on foliar surface
Sen et al. Blister blight a threatened problem in tea industry: A review
US5922316A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grain yield and protein yield of legumes grown under environmental conditions that inhibit or delay nodulation thereof
Bittner et al. Effects of oxathiapiprolin on Phytophthora nicotianae, the causal agent of black shank of tobacco
Yan et al. The effect of the root-colonizing Piriformospora indica on passion fruit (Passiflora edulis) development: Initial defense shifts to fitness benefits and higher fruit quality
Li et al. Caffeic acid in tobacco root exudate defends tobacco plants from infection by Ralstonia solanacearum
Dodd et al. Effects of herbicides on three vesicular-arbuscular fungi associated with winter wheat (Riticum aestivum L.)
Chen et al. Induced resistance against western flower thrips by the Pseudomonas syringae-derived defense elicitors in tomato
Gonsior et al. Induced resistance—an innovative approach to manage branched broomrape (Orobanche ramosa) in hemp and tobacco
Hossain et al. Molecular identification and biological control of Ralstonia solanacearum from wilt of papaya by natural compounds and Bacillus subtilis: an integrated experimental and computational study
Corneo et al. Foliar and root applications of the rare sugar tagatose control powdery mildew in soilless grown cucumbers
CA2338503C (en) Treatment of plants with salicylic acid and organic amines
Prakongkha et al. Changes in salicylic acid in grapevine treated with chitosan and BTH against Sphaceloma ampelinum, the causal agent of grapevine anthracnose
CN112602717B (zh) 一种防控稻瘟病菌的药物
KR20010103157A (ko) 식물병 방제물질로서 비타민 b1의 신규한 용도
Ismail et al. Efficacy of some biotic and abiotic factors in controlling common bean rust disease caused by Uromyces appendiculatus
Ng et al. Foliar spray of silicon enhances resistance against Pyricularia oryzae by triggering phytoalexin responds in aerobic rice
CA2201829A1 (en) Composition comprising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 for enhancing nodulation, nitrogen fixation, grain yield and protein yield of legumes grown under environmental stress conditions that inhibit or delay nodulation thereof
Sharma et al. Fenugreek-rhizobium symbiosis and flavonoids under stress condition
CA2179879C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grain yield and protein yield of legumes grown under environmental conditions that inhibit or delay nodulation thereof
CN113861088B (zh) 一种防治植物细菌性病害的化合物及应用
Khlaif et al. Induce resistance against bacterial speck disease of tomato Pseudomonas syringae pv. tomato by the chemical inducer ß-aminobutyric ac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