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9448A -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9448A
KR20010099448A KR1020010060719A KR20010060719A KR20010099448A KR 20010099448 A KR20010099448 A KR 20010099448A KR 1020010060719 A KR1020010060719 A KR 1020010060719A KR 20010060719 A KR20010060719 A KR 20010060719A KR 20010099448 A KR20010099448 A KR 20010099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hoe
suction space
elastic memb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0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규
송단비
Original Assignee
송영규
송단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규, 송단비 filed Critical 송영규
Priority to KR1020010060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9448A/ko
Publication of KR20010099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944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45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deodorant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기능을 갖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은 신발 깔판 상에 위치하며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제1 공기관로와, 깔판의 하단에 위치하는 공기흐름판 상에 제1 공기관로와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2 공기관로와, 제2 공기관로와 연결되어 유입된 공기를 흡입하는 제1 공기통로와, 제1 공기통로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2 공기통로와, 제1 및 제2 공기통로 사이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보행에 따라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공기흡입공간과, 공기흡입공간 근방에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공기조절밸브와, 공기흡입공간 내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보행에 따라 압축 및 신장하는 탄성부재와, 탄성부재를 고정시키며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하도록 상기 탄성부재의 압축 및 신장에 대응하여 공기흡입공간 내부로 신축하는 탄성부재홈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신발{Footwear}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환기기능을 갖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착용자의 발을 보호하는 가장 큰 목적을 가지고 제작되는 것으로, 예전에는 주로 발을 보호할 수 있도록 감싸는 정도로만 제작되어 착용하였으며 그에 따라 장시간 신발을 착용하고 있는 착용자에게는 발에 많은 무리가 가해져 쉽게 피로감을 갖게 되었다.
또한, 신발 내부가 전부 밀폐되게 형성되어 신발 내부로 통풍이 제대로 되지 않아, 보행시 발바닥에 많은 양의 땀과 같은 분비물을 발생시킨다. 이로 인해 일정기간 사용 후에는 신발 내부에 심각한 악취와 인체에 유해한 악성세균을 자생시키도록 하여 착용자에게 심한 불쾌감을 주게 되며 악성무좀 및 습진과 같은 필부질환을 옮겨 주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에 따라 근래에는 신발을 단순히 발을 보호하는 목적 뿐만 아니라 착용자가 보다 편안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발의 피로감을 최소화하고자 착용자의 보행에 따른 신발에 쿠션 기능을 갖도록 하는 것과, 또는 지압기능을 갖도록 한 것 및 외부공기가 신발 내로 순환되도록 구성된 다양한 형태의 신발 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기기능을 갖는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g는 도 1에 도시된 신발의 각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밑판 4 : 스프링
6 : 공기흐름판 8 : 공기조절밸브
10 : 안전판 12 : 접합부
14 : 깔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은 신발 깔판 상에 위치하며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제1 공기관로와, 깔판의 하단에 위치하는 공기흐름판 상에 제1 공기관로와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2 공기관로와, 제2 공기관로와 연결되어유입된 공기를 흡입하는 상기 제1 공기통로와, 제1 공기통로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2 공기통로와, 제1 및 제2 공기통로 사이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보행에 따라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공기흡입공간과, 공기흡입공간 근방에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공기조절밸브와, 공기흡입공간 내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보행에 따라 압축 및 신장하는 탄성부재와, 탄성부재를 고정시키며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하도록 상기 탄성부재의 압축 및 신장에 대응하여 공기흡입공간 내부로 신축하는 탄성부재홈을 구비한다.
상기 공기조절밸브는 공기흐름판과 제1 공기통로 사이에 설치되어 공기를 모이는 제1 공기조절밸브와, 공기흐름판과 제2 공기통로 사이에 설치되어 모인 공기를 배출하는 제2 공기조절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흐름판과 깔판 사이에는 형성되는 접합판을 구비하며, 접합판 상에는 깔판의 제1 공기관로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공기관로와 다른 방향을 갖는 제3 공기관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흡입공간 내부에 공기흡입공간과 동일크기로 형성되는 안전판을 추가로 구비하며, 안전판은 박판 또는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2g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환기기능을 갖는 신발은 밑판(2)과 깔판(14) 사이에는 밑판(2)에 고정되는 스프링(4)과, 공기를 신발내부로 흡입/배출하는 공기 흐름판(6)과, 공기의 흡입과 배출을 제어하는 공기조절밸브(8)와, 착용자의 보행에 따라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공기흡입공간(24)과, 밑판(2)과 깔판(14)을 접합하는 접합부(12)를 구비한다.
밑판(2)은 신발의 바닥면으로서 생고무로 형성된다. 이 밑판(2)의 뒷굽 부분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4)을 고정시키는 스프링홈(20)이 형성된다. 이 스프링홈(20)이 움직이는 데 용이하도록 스프링홈(20) 주변부는 W형태로 형성된다.
스프링홈(20)은 압력을 받으면 즉, 신발이 지면에 닿으면 스프링홈(20)은 신발 속에 있는 공기흡입공간(24)으로 들어가게 되고, 신발이 지면에서 떨어지면 스프링홈(20)은 스프링(4)으로 인해 공기흡입공간(24)으로부터 나오게 된다. 이 스프링홈(20)은 피스톤역할을 하면서 공기흡입공간(24) 내부에 있는 공기를 밖으로 배출시키고 신발 내부의 공기를 공기흡입공간(24) 내부로 모이게 한다. 이 스프링홈(20)의 크기에 따라 1회에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 결정된다.
스프링(4)은 스프링홈(20)을 공기흡입공간(24)으로부터 밀어내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 스프링홈(20)이 공기흡입공간(24) 내부로 깊숙이 들어와도 스프링(4) 자체의 두께로 인해 방해받지 않도록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형으로 형성되어 안전판(10) 내에 장착된다. 이 스프링(4)은 보행 중 신발이 지면에 닿으면, 착용자의 체중이 작용되어 쿠션기능으로 착용자의 발바닥을 지압시키게 되며, 신발이지면에서 떨어지면, 피스톤기능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 스프링(4)의 장력은 신발 사이즈와 비례하며, 일반적으로 스토록(stroke)은 10~15mm, 스프링(4)의 선경은 1~2.5mm로 형성된다.
공기 흐름판(6)은 공기의 흐름을 결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공기흐름판(6)은 쿠션성질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며, 앞부분은 3mm이상, 뒷부분은 10mm이상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공기 흐름판(6)의 앞부분에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기관로(22)가 형성되고, 뒷부분에는 공기흡입공간(24)과 제1 공기관로(22)를 연결하는 제1 공기통로(28)와, 공기흡입공간(24)과 배출구(도시하지 않음)를 연결하는 제2 공기통로(26)를 구비한다. 제1 공기통로(28)는 신발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공기흡입공간(24)으로 유입하게 되며, 제2 공기통로(26)는 공기흡입공간(24) 내부에 오염된 공기를 배출하게 된다.
공기흐름판(6) 내에는 도 2d에 도시된 공기조절밸브(8)를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져 있다. 공기조절밸브(8)는 공기가 한쪽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것으로서, 이 공기조절밸브(8)는 공기흡입공간(24)의 근접한 곳에 제1 내지 제2 공기조절밸브(8a,8b)가 형성된다. 제1 공기조절밸브(8a)는 제1 공기통로(28)와 공기흡입공간(24) 사이에 장착되어 신발 내부에 공기를 공기흡입공간(24)으로 흐르도록 한다. 제2 공기조절밸브(8b)는 제2 공기통로(26)와 공기흡입공간(24) 사이에 장착되어 공기흡입공간(24)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다. 이 제1 및 제2 공기조절밸브(8a,8b)는 공기가 흐를 수 있는 공간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작게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내경이 3mm, 외경이 5mm, 길이 10~15mm로 형성된다.
공기조절밸브(8)는 신발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신발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흡입부(30)와 배출부(32)가 형성된다. 흡입부(30)는 제1 공기통로(28)와 연결되며, 배출부(32)는 제2 공기통로(26)와 연결된다. 이 흡입부(30)와 배출부(32)는 반대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안전판(10)은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 안으로 유입된 공기의 누출을 막고 스프링(4)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안전판(10)에는 공기흡입공간(24)이 압력을 받아도 공기흡입공간(24)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공기흡입공간(24) 내부에 공기흡입공간(24)과 비슷한 크기를 갖는 얇은 박판이나 경질 프라스틱으로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쿠션효과 및 발보호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안전판(10)에는 2개의 홈(34,36)이 형성되며, 이 홈(34,36)은 공기흡입공간(24)과 연결되는 제1 및 제2 공기통로(28,26)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을 도와주게 된다.
접합부(12)는 신발의 밑판(2)과 공기흐름판(6)이 형성된 신발의 밑부분과, 깔창(14)이 형성된 신발의 본체부를 연결하기 위해 형성된다. 이 접합부(12)에는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가락 부위에 공기흐름판(6)의 제1 공기관로(22)와 대향되게 제2 공기관로(38)를 형성하게 된다.
신발 깔창(14)은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공기관로(38)와 다른 방향으로 제3 공기관로(40)가 발가락 부위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신발깔창(14)이 움직여도 제3 공기관로(40)가 항상 일정하도록 유지시키기 위해 제1 공기관로(22)와교차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3 공기관로(22,38,40)가 같은 방향으로 형성될 경우 신발 깔창(14)이 비고정적이어서 앞뒤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3 공기관로(22,40)를 교차하게 형성함에 따라 공기의 관로를 최소화하여 공기압을 증대시키게 된다.
신발 깔창(14)은 천이 삽입되지 않은 스티로폼종류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천을 삽입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습진, 무좀 등과 같은 세균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신발의 몸체에는 우천시에 방수가 미흡하여 물이 신발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신발의 몸체를 구성하는 천에 코팅처리를 하게 되며, 가죽신발인 경우에는 가죽몸체내부에 코팅처리를 하게 된다.
이러한 신발의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보행 중 신발이 지면에서 떨어지면, 신발 외부의 공기가 발목과 신발 사이를 거쳐 신발 앞쪽에 있는 제1 내지 제3 공기관로(22,38,40), 제1 공기통로(28) 및 제1 공기조절밸브(8a)를 통해 스프링(4)으로 인해 내부공간이 확정된 공기흡입공간(24)으로 흡입된다.
보행 중 신발이 지면에 닿으면, 착용자의 체중이 가중되어 스프링(4)이 가압되면서 스프링홈(20)이 공기흡입공간(24)으로 들어오게 되어 공기흡입공간(24)에 차있던 오염된 공기가 제2 공기조절밸브(8b), 제2 공기통로(26)를 통해 신발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흡입/배출되는 공기의 양은 스프링홈(20)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이와 같이 환기기능을 갖는 신발은 착용자의 보행과 더불어 환기기능이 반복적으로 동작되면서 신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신발 내부의 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기기능을 갖는 신발은 신발을 장시간 착용하여도 순환된 공기에 의해서 신발 내부를 쾌적하게 할 수 있어 발냄새가 제거되고, 습진이나 무좀 등의 피부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신발 뒷축에 스프링이 형성되어 신발내부로 공기를 압축함과 동시에 발과 척추에 주는 충격을 완화하여 피로감을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신발몸체를 구성하는 천에 코팅처리를 하고 가죽 신발인 경우 가죽 내부에 코팅처리함으로써 우천시 물이 신발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우천시에도 발의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4)

  1. 신발 깔판 상에 위치하며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제1 공기관로와,
    상기 깔판의 하단에 위치하는 공기흐름판 상에 상기 제1 공기관로와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2 공기관로와,
    상기 제2 공기관로와 연결되어 유입된 공기를 흡입하는 상기 제1 공기통로와,
    상기 제1 공기통로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2 공기통로와,
    상기 제1 및 제2 공기통로 사이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보행에 따라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공기흡입공간과,
    상기 공기흡입공간 근방에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공기조절밸브와,
    상기 공기흡입공간 내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보행에 따라 압축 및 신장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를 고정시키며 상기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하도록 상기 탄성부재의 압축 및 신장에 대응하여 상기 공기흡입공간 내부로 신축하는 탄성부재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절밸브는
    상기 공기흐름판과 상기 제1 공기통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를 모이는 제1 공기조절밸브와,
    상기 공기흐름판과 상기 제2 공기통로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모인 공기를 배출하는 제2 공기조절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흐름판과 상기 깔판 사이에는 형성되는 접합판을 구비하며,
    상기 접합판 상에는 상기 깔판의 제1 공기관로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공기관로와 다른 방향을 갖는 제3 공기관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공간 내부에 상기 공기흡입공간과 동일크기로 형성되는 안전판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안전판은 박판 또는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KR1020010060719A 2001-09-28 2001-09-28 신발 KR200100994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0719A KR20010099448A (ko) 2001-09-28 2001-09-28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0719A KR20010099448A (ko) 2001-09-28 2001-09-28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9448A true KR20010099448A (ko) 2001-11-09

Family

ID=19714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0719A KR20010099448A (ko) 2001-09-28 2001-09-28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94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08956A (zh) * 2021-06-21 2021-10-19 周加友 可自回收式带有可伸出摩擦盘功能的运动鞋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994U (ko) * 1987-07-09 1989-03-25 이학진 신발의 환기장치
US5341581A (en) * 1993-09-15 1994-08-30 Kinger Huang Compression cooling system of shoe midsole
US5515622A (en) * 1993-06-04 1996-05-14 Ewing Athletics Co., Ltd. Shoe construction
KR200194201Y1 (ko) * 2000-03-22 2000-09-01 한상천 신발용 통풍장치
KR200195951Y1 (ko) * 2000-03-24 2000-09-15 임일곤 통기구가 설치된 신발
KR200248630Y1 (ko) * 2001-06-14 2001-10-31 한상천 통풍신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994U (ko) * 1987-07-09 1989-03-25 이학진 신발의 환기장치
US5515622A (en) * 1993-06-04 1996-05-14 Ewing Athletics Co., Ltd. Shoe construction
US5341581A (en) * 1993-09-15 1994-08-30 Kinger Huang Compression cooling system of shoe midsole
KR200194201Y1 (ko) * 2000-03-22 2000-09-01 한상천 신발용 통풍장치
KR200195951Y1 (ko) * 2000-03-24 2000-09-15 임일곤 통기구가 설치된 신발
KR200248630Y1 (ko) * 2001-06-14 2001-10-31 한상천 통풍신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08956A (zh) * 2021-06-21 2021-10-19 周加友 可自回收式带有可伸出摩擦盘功能的运动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6110A (en) Insole-ventilating shoe
US6006447A (en) Shoe insole with air circulation system
CA2560745C (en) Self-ventilated, ergonomic footwear and sole
WO2008100575A2 (en) Improved ventilated and resiliant shoe apparatus and system
EP1530916A2 (en) Footwear
US6434858B2 (en) Breathing shoes
KR20010099448A (ko) 신발
KR200401187Y1 (ko) 쿠션과 악취 배출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
KR100462809B1 (ko) 외부 공기 유입용 신발깔창
KR200365883Y1 (ko) 통풍구조를 구비한 신발
KR200326251Y1 (ko) 통풍기능을 갖는 신발깔창
KR20060012482A (ko) 에어챔버를 구비한 중창이 설치된 신발
KR200479388Y1 (ko) 지압과 통풍기능이 구비된 신발
WO2000010414A1 (en) Dispersed-air footpad
KR102328697B1 (ko) 공기순환에 의한 발 질병을 예방하는 신발
KR200362056Y1 (ko) 쿠션 기능을 가지는 에어 펌프 신발
KR200271349Y1 (ko) 골프화용 깔창구조
KR200208480Y1 (ko)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깔창
KR200164889Y1 (ko) 공기유통및에어쿠션기능을가진신발창
KR200365768Y1 (ko) 공기순환식 신발용 깔창
KR200333446Y1 (ko) 욕실용 슬리퍼
KR200372085Y1 (ko)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신발용 깔창
KR930007202B1 (ko) 펌프기구를 구비한 구두
KR100238812B1 (ko) 충격완화 및 통풍기능을 갖는 신발
JP2003164304A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