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697B1 - 공기순환에 의한 발 질병을 예방하는 신발 - Google Patents

공기순환에 의한 발 질병을 예방하는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697B1
KR102328697B1 KR1020210063721A KR20210063721A KR102328697B1 KR 102328697 B1 KR102328697 B1 KR 102328697B1 KR 1020210063721 A KR1020210063721 A KR 1020210063721A KR 20210063721 A KR20210063721 A KR 20210063721A KR 102328697 B1 KR102328697 B1 KR 102328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ing
air
foot
sole
sh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민환
Original Assignee
노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민환 filed Critical 노민환
Priority to KR1020210063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6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4Plastics, rubber or vulcanised fibr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4Insertions or other supports preventing the foot canting to one side , preventing supination or pron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을 신은 사람이 보행하는 것 만으로도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흡입하여 신발 내부로 주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공기의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발 내부가 쾌적한 환경이 유지되도록 하여 발 질병 발생을 예방하여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공기순환에 의한 발 질병을 예방하고, 상기 신발을 신고 보행시 외측으로 쏠리지 않도록 하여 발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공기순환에 의한 발 질병을 예방하는 신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공기순환에 의한 발 질병을 예방하는 신발{shoes that prevent foot disease caused by air circulation}
본 발명은 밑창과 중창 및 깔창과 갑피로 이루어진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밑창에 형성된 펌핑부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중창과 깔창을 거쳐 갑피 내부로 신선한 공기가 주입 및 배출되게 하는 동시에 공기의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발 내부를 쾌적하게 하여 무좀이나 습진 등 발 질병을 예방하는 동시에 용천혈을 비롯한 발바닥을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도와 건강을 증진시키는 한편 보행시 충격을 흡수하여 무릎과 발 관절을 보호함은 물론 상기 깔창에 의해 발날이 외측으로 쏠리지 않도록 하여 발의 교정까지도 할 수 있도록 한 공기순환에 의한 발 질병을 예방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통풍화는 보행할 때 신발 내부로 외기가 흡인되어 발에서 발생하는 땀을 말리고 발의 체온을 떨어뜨려 시원하고 상쾌한 보행감을 준다.
이러한 통풍화는 흡배기구조에 따라 크게 2가지로 대별된다. 흡기공과 펌프실, 펌프실에서 신발 내부로 이어지는 통풍공이 중창에 몰려 있는 통풍화와, 흡기공이 신발의 발목 뒷부분에 형성된 통풍화이다.
전자의 통풍화는 흡기공이 지면 가까이 위치하기 때문에 발을 들 때마다 지면의 흙먼지가 외기에 휩쓸려 펌프실로 유입되고 발을 디디면 흙먼지가 외기와 함께 신발 내부로 유입되어 발바닥과 안창 및 내피 또는 발바닥과 깔창 및 내피 사이에 낌으로써 보행감을 떨어뜨리고, 발가락 사이로 스며든 흙먼지는 발가락 사이의 피부와 마찰을 일으켜 거북스러운 데다, 정도가 심하면 발가락 피부가 손상되기도 한다. 이런 불편을 덜려면 수시로 신발 또는 깔창을 세척해야 하므로 번거롭다.
후자의 통풍화는 등록특허 제10-1147675호, 동 제10-137695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흡기공의 입구를 지면으로부터 되도록 먼 통풍화의 발목 뒷부분 상단으로 이설하여 흙먼지의 유입을 최소화해 전자의 단점을 해소한 것이다.
후자의 통풍화는 흡/배기 계통이 이원화됨으로써 1보행당 외기의 흡인량과 배기량이 적어 통풍이 미흡하다. 또, 상시 통풍형이라 동절기에는 한기로 인해 발이 시렵고, 우중에는 습기의 유입으로 인해 신발 속이 눅눅해지는 흠도 있다.
한편, 통풍화도 계절, 일기 등 상황에 따라서는 통풍을 차단시킬 필요가 있다. 빗길을 걸을 때, 동절기에 그렇다. 외기와 함께 빗물이 신발 속으로 유입되면 눅눅해지고, 한기 때문에 발이 시려 보행이 불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먼지가 다량 발생하고 일단 착용하면 장시간 보내야 하는 작업화, 등산화의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등록특허 제10-0848171호 등록특허 제10-1147675호
본 발명은 신발을 신은 사람이 보행하는 것 만으로도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흡입하여 신발 내부로 주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공기의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발 내부를 쾌적하게 하여 무좀이나 습진 등 발 질병을 예방하는 동시에 용천혈을 비롯한 발바닥을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도와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공기순환에 의한 발 질병을 예방하는 신발을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신발을 신고 보행시 충격을 흡수하여 무릎과 발 관절을 보호함은 물론 발날 부분이 외측으로 쏠리지 않도록 하여 발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공기순환에 의한 발 질병을 예방하는 신발을 제공하고자 안출된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천연 또는 인조 가죽을 이용하여 발 모양으로 가공되며, 발의 내측 중간 부분에 해당되는 위치에 소정 길이로 제공되는 제1 및 제2유입호스가 매입되게 설치되는 갑피와; 상기 갑피의 하부에 일체로 접착되고,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커버시트의 저면에, 다수의 유입공이 통공되고, 뒤꿈치 부분의 저면에 결합부가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시트가 일체로 접착되되, 상기 커버시트와 지지시트 사이에 상기 제1유입호스의 일단이 삽입, 연결되는 중창과; 상기 중창의 저면에 진공상태가 되도록 일체로 접착, 고정되고, 뒤꿈치 부분과 중간부분 및 앞꿈치 부분에는 각각 외부 공기를 순차적으로 흡입하는 제1 내지 제3펌핑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펌핑부를 서로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호스가 상부면에 일체로 매립되고, 상기 제1 및 제2펌핑부 사이에는 상기 지지시트의 결합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결합홈이 소정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유입호스의 일단이 상기 제2펌핑부에 연결,고정되는 밑창과; 상기 갑피의 내부로 삽입되어 중창의 상부에 위치되며, 저면에 심재가 일체로 접착되고, 상기 심재의 저면 소정 위치에 각각 쿠션패드가 일체로 접착된 깔창; 및 상기 갑피의 발등 부분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유입호스의 타단이 연결되어 외부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공기조절구;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갑피의 발등 부분 타측에 공기배출구를 더 설치하고, 이 공기배출구에 일단이 연결, 고정되는 소정 길이로 제공되는 배출호스의 타단은 갑피 내부로 연결되게 매입시켜 상기 배출호스와 공기배출구를 통해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창을 이루는 지지시트는 뒤꿈치 부분 상부면에 "U자 형태로 절개홈을 관통시켜 상기 절개홈에 의해 텐션부를 형성되게 하여 상기 텐션부가 상기 제1펌핑부를 압착한 후 자체 탄성에 의해 복귀되어 펌핑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창을 이루는 지지시트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된 보조패드를 일체로 접착시켜 보행시 발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밑창에 형성된 제1펌핑부는 소정 직경의 제1펌핑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펌핑공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작은 직경으로 구비되되, 상부에는 제1스프링이 수직으로 장착된 제1펌핑구의 상단이 상기 제1펌핑공의 내주연 중간 부분에 일체로 접합되게 하여 상부에 제1공기저장홈이 형성되도록 하고, 하부는 밑창의 저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공기저장홈이 형성된 밑창의 상부면에 텐션패드를 일체로 접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밑창에 형성된 제2펌핑부는 소정 형태로 제2펌핑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펌핑공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 형태로 구비되되, 상부에는 제2스프링이 수직으로 장착된 제2펌핑구의 상단이 상기 제2펌핑공의 내주연 중간 부분에 일체로 접하되게 하여 상부에 제2공기저장홈이 형성되도록 하고, 하부는 밑창의 저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밑창에 형성된 제3펌핑부는 소정 직경의 제3펌핑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3펌핑공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작은 직경으로 구비되되, 상부면에는 텐션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제3펌핑구의 상단이 상기 제3펌핑공의 내주연 중간 부분에 일체로 접합되게 하여 상부에 제3공기저장홈이 형성되고, 하부는 밑창의 저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깔창은 발의 외측 부분에 해당되는 위치의 외측면을 소정 형태로 높게 형성하여 쏠림방지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보행시 발이 외측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순환에 의한 발 질병을 예방하는 신발을 제공함으로써, 신발을 신은 사람이 보행하는 것 만으로도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흡입하여 신발 내부로 주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공기의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신발 내부를 항상 쾌적하게 하여 무좀이나 습진 등 발 질병을 예방하는 동시에 용천혈을 비롯한 발바닥 소정 부위를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도와 건강을 증진시키는 한편 보행시 충격을 흡수하여 무릎과 발 관절을 보호함은 물론 상기 깔창에 의해 발날이 외측으로 쏠리지 않도록 하여 발을 교정하는 동시에 보행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동시에 장시간 보행에 따른 발의 피로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조절구를 발등 부분에 형성함으로써, 먼지나 기타 이물질의 유입을 최소화하여 신발 내부의 청결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계절에 따라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거나 차단할 수 있어 사계절 모두 착용 가능한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요부 중 하나인 중창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요부 중 하나인 중창을 이루는 지지시트의 평면과 저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요부 중 하나인 밑창의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요부 중 하나인 밑창의 평면과 저면 예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A-A선 확대 종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B-B선 확대 종 단면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C-C선 확대 종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요부 중 하나인 깔창의 평면과 저면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갑피에 설치되는 공기조절구의 분해된 상태의 정면도와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순환에 의한 발 질병을 예방하는 신발은 갑피(100)와 중창(200), 밑창(300), 깔창(400) 및 공기조절구(500)로 크게 구성된다.
즉, 천연 또는 인조 가죽을 이용하여 발 모양으로 가공되며, 발의 내측 중간 부분에 해당되는 위치에 소정 길이로 제공되는 제1 및 제2유입호스(110)(120)가 매입되게 설치되는 갑피(100)와; 상기 갑피(100)의 하부에 일체로 접착되고, 다수의 통기공(212)이 형성된 커버시트(210)의 저면에, 다수의 유입공(222)이 통공되고, 뒤꿈치 부분의 저면에 결합부(224)가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시트(220)가 일체로 접착되되, 상기 커버시트(210)와 지지시트(220) 사이에 상기 제1유입호스(110)의 일단이 삽입, 연결되는 중창(200)과; 상기 중창(200)의 저면에 진공상태가 되도록 일체로 접착, 고정되고, 뒤꿈치 부분과 중간부분 및 앞꿈치 부분에는 각각 외부 공기를 순차적으로 흡입하는 제1 내지 제3펌핑부(310)(320)(330)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펌핑부(310)(320)(330)를 서로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호스(340)가 상부면에 일체로 매립되고, 상기 제1 및 제2펌핑부(310)(320) 사이에는 상기 지지시트(220)의 결합부(224)가 안착될 수 있도록 결합홈(302)이 소정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유입호스(120)의 일단이 상기 제2펌핑부(320)에 연결,고정되는 밑창(300)과; 상기 갑피(1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중창(200)의 상부에 위치되며, 저면에 심재(410)가 일체로 접착되고, 상기 심재(410)의 저면 소정 위치에 각각 쿠션패드(420)가 일체로 접착된 깔창(400); 및 상기 갑피(100)의 발등 부분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유입호스(110)(120)의 타단이 연결되어 외부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공기조절구(500);를 포함한 구성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갑피(100)는 천연 또는 인조가죽 및 합성섬유 등을 이용하여 발 모양으로 재단 및 재봉되어 구비되어 발을 전체적으로 감싸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의 갑피(100)에는 발등 부분 내측에 소정 길이로 제공되는 제1 및 제2유입호스(110)(120)가 내,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매립되게 설치하되, 상기 제1 및 제2유입호스(110)(120)의 타단을 상기 공기조절구(500)에 연결시켜 공기의 흡입 또는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공기조절구(500) 하부에 역류방지구(540)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제1 및 제2유입호스(110)(120)의 타단이 연결되게 하여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역류되어 배출되지 않도록 하면 되는데, 상기 역류방지구(540)는 바람을 불어넣으면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되는 반면 바람을 불어넣지 않으면 내부 공기압에 의해 차단판(도시하지 않음)이 주입구를 차단하여 공기가 배출되지 않는 통상적인 튜브나 에어매트에 적용되는 역류방지구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 갑피(100)의 발등 부분 타측에 공기배출구(600)를 더 설치하고, 이 공기배출구(600)에 일단이 연결, 고정되는 소정 길이로 제공되는 배출호스(610)의 타단은 갑피(100) 내부로 연결되게 매입시켜 상기 배출호스(610)를 통해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중창(200)은 상기 갑피(100)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동시에 상기 밑창(300)이 저면에 일체로 접착되어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부의 커버시트(210)와 하부의 지지시트(220)가 일체로 접착되어 구비되는데, 먼저 상기 커버시트(210)는 미끌림방지 및 땀 흡수가 용이한 일정 두께를 갖는 피혁을 발바닥 형태로 재단하여 구비하되, 평면 상에는 다수의 통기공(212)을 관통되게 펀칭하여 이 통기공(210)들을 통해 신선한 공기가 갑피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시트(220)는 합성수지 또는 여러겹의 종이를 압착한 판지를 발바닥 형태로 형성하여 구비하되, 평면상에는 다수의 유입공(222)이 통공되고, 뒤꿈치 부분의 저면에 결합부(224)가 돌출되게 형성하면 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224)는 자체 탄성을 갖는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224)의 저면을 일정 깊이 및 간격으로 다수의 절곡홈(224a)을 형성하여 휨성을 좋게 하여 보행에 불편을 주지않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시트(220)의 뒤꿈치 부분 상부면에 "U자 형태로 절개홈(226)을 관통시켜 상기 절개홈(226)에 의해 텐션부(228)를 형성되게 하여 상기 텐션부(228)가 상기 제1펌핑부(310)를 압착한 후 자체 탄성에 의해 복귀되어 펌핑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시트(220)의 텐션부(228)에 얇은 금속 판체로 제공되는 철심(229)을 매립되게 설치하여 상기 텐션부(228)의 탄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중창(200)을 이루는 지지시트(220)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된 보조패드(230)를 일체로 접착시켜 보행시 발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밑창(300)은 상부면이 진공상태가 되도록 상기 중창(200)의 저면에 일체로 접착, 고정되어 지면과 직접 맞닿아 발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밑창(300)의 뒤꿈치 부분과 중간부분 및 앞꿈치 부분에는 각각 외부 공기를 순차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3펌핑부(310)(320)(330)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펌핑부(310)(320)(330)는 밑창(300)의 상부면에 매립된 다수의 연결호스(340)에 의해 서로 연통되도록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펌핑부(310)(320) 사이에는 소정 깊이로 결합홈(302)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시트(220)의 결합부(224)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고, 뒷굽의 측면에는 수평으로 다수의 충격흡수공(304)을 관통시켜 보행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며, 상기 제2유입호스(120)의 일단을 상기 제2펌핑부(320)에 연결,고정시키면 된다.
이때, 상기 밑창(300)에 형성된 제1펌핑부(310)는 소정 직경의 제1펌핑공(312)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펌핑공(312)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작은 직경으로 구비되되, 상부에는 제1스프링(316)이 수직으로 장착된 제1펌핑구(314)의 상단이 상기 제1펌핑공(312)의 내주연 중간 부분에 일체로 접합되게 하여 상부에 제1공기저장홈(318)이 형성되도록 하고, 하부는 밑창의 저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공기저장홈(318)이 형성된 밑창의 상부면에 텐션패드(319)를 일체로 접착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밑창(300)에 형성된 제2펌핑부(320)는 소정 형태로 제2펌핑공(322)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펌핑공(322)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 형태로 구비되되, 상부에는 제2스프링(326)이 수직으로 장착된 제2펌핑구(324)의 상단이 상기 제2펌핑공(322)의 내주연 중간 부분에 일체로 접하되게 하여 상부에 제2공기저장홈(328)이 형성되도록 하고, 하부는 밑창의 저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밑창(300)에 형성된 제3펌핑부(330)는 소정 직경의 제3펌핑공(332)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3펌핑공(332)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작은 직경으로 구비되되, 상부면에는 텐션돌기(336)가 일체로 형성된 제3펌핑구(334)의 상단이 상기 제3펌핑공(332)의 내주연 중간 부분에 일체로 접합되게 하여 상부에 제3공기저장홈(338)이 형성되고, 하부는 밑창의 저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3펌핑공(312)(322)(332)과 제1 내지 제3펌핑구(314)(324)(334)는 원형 또는 다각형을 비롯하여 별 모양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하여 소비자에게 심미감을 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깔창(400)은 상기 갑피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중창의 상부에 안착되어 발을 편안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보행시 발을 교정하는 기능도 같이 수행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발명된 특허등록 제10-2236233호 '신발 깔창'이 적용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9와 같이 전방을 새부리 형태로 형성하여 엄지발가락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무지외반증 및 족저근막염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상기 깔창(400)은 저면에 소정 형태로 사출 성형되어 제공되는 심재(410)를 일체로 접착시키고, 상기 심재(410)의 저면 소정 위치에 각각 복수의 쿠션패드(420)를 일체로 접착시켜 구비하면 되는데, 이때 상기 깔창(400)은 발의 외측 부분에 해당되는 위치의 외측면을 소정 형태로 높여 쏠림방지부(430)를 일체로 형성하여 보행시 발이 외측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깔창(400)의 저면 중간 부분에는 일정 두께의 고정패드(440)를 접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패드(440)의 양측으로 고정공(442)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고정공(442)에 스프링(450)을 각각 수직으로 장착시켜 줌으로써, 보행시 발바닥의 어느 한쪽으로 무게 중심이 쏠릴 때 상기 고정패드(440) 및 스프링(450)의 탄성에 의해 발바닥의 발란스를 잡아줄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공기조절구(500)는 밑창(300)에 형성된 제2펌핑부(320)에 일단이 연결된 제1유입호스(110)와 상기 중창(200)에 일단이 연결된 제2유입호스(1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 또는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갑피(100)의 발등 부분 일측에 설치하여 먼지나 기타 이물질의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공기조절구(500)의 구성은 상기 갑피(100)의 내측으로 장착되며, 전방 내주연에는 조절날개(512)와 흡입구(514)가 형성된 조절본체(510)와, 상기 조절본체(510)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며, 후방 내주연에는 조절날개(522)와 흡입구(524)가 형성된 커버(520)와, 상기 커버(520)의 전방 내주연으로 삽입 결합되어 먼지나 기타 이물질을 걸러주는 걸름망(530)과,
상기 조절본체의 하부에 일체로 돌출되게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유입호스(110)(120)의 타단이 연결되며,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류방지구(54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공기조절구(500)는 계절의 변화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펌핑부(310)(320)(330)에 의해 흡입되는 외부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여 4계절 신발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바, 그 작용은 상기 걸름망(530)이 설치된 커버(520)를 회전시켜 커버(520)에 형성된 조절날개(522)가 조절본체(510)에 형성된 흡입구(514)의 면적을 좁히는 동시에 상기 커버(520)에 형성된 흡입구(524)도 상기 조절본체(510)의 조절날개(512)에 의해 면적이 좁혀지면서 공기의 흡입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절구(500)가 설치된 갑피(100)의 반대편에 설치되는 공기배출구(600)도 상기 공기조절구(500)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 및 구비되어 신발 내부의 공기를 간편하게 배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다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공기순환에 의한 발 질병을 예방하는 신발의 작용은 먼저,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공기조절구(500)를 조절하여 공기 유입량이 일정한 상태가 되도록 한 다음 발을 떼면 상기 역류방지구(540)를 거쳐 상기 제1 및 제2유입호스(110)(120)를 통해 상기 밑창(300)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펌핑부(310)(320)(330)에는 공기가 유입된 상태가 되며, 유입된 공기는 상기 역류방지구(540)에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이어서, 보행시 신발이 지면에 닿게 되어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중창(200)을 이루는 지지시트(220)에 형성된 텐션부(228)가 밑으로 내려가면서 하중이 상기 밑창(300)에 그대로 전달되어 상기 제1펌핑부(310)를 용이하게 가압하게 되며, 상기 밑창(300)의 저면 뒤꿈치 부분에 돌출된 제1펌핑부(310)의 제1펌핑구(314)가 지면과 가장 먼저 닿게 되고, 이로인해 상기 제1펌핑구(314)가 제1펌핑공(312) 내에서 상승하여 제1펌핑구(314) 상부에 장착된 제1스프링(318)과 텐션패드(319)가 압착되는 동시에 제1공기저장홈(318)에 저장된 공기를 상기 연결호스(340)를 통해 제2펌핑부(320)의 제2공기저장홈(328)으로 유입시키게 된다.
상기한 신발이 지면에 닿는 과정에서 밑창(300)의 뒤굽 부분에 형성된 다수의 충격흡수공(304)이 압착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발 관절은 물론 무릎 관절까지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밑창(300)의 저면 중간 부분에 돌출된 제2펌핑부(320)의 제2펌핑구(324)가 지면과 닿아 상기 제2펌핑구(324)가 제2펌핑공(322) 내에서 상승하여 제2펌핑구(324) 상부에 장착된 제2스프링(326)이 압착되는 동시에 제2공기저장홈(328)에 저장된 공기를 상기 연결호스(340)를 통해 제3펌핑부(330)의 제3공기저장홈(338)으로 유입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밑창(300)의 저면 앞꿈치 부분에 돌출된 제3펌핑부(330)의 제3펌핑구(334)가 지면과 닿아 상기 제3펌핑구(334)가 제3펌핑공(332) 내에서 상승하여 제3펌핑구(334)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텐션돌기(336)가 압착되는 동시에 제3공기저장홈(338)에 저장된 신선한 공기를 상기 중창(200)의 지지시트(220)에 형성된 다수의 유입공(222)과 커버시트(210)에 형성된 다수의 통기공(212)을 거쳐 갑피(100)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보행시 발을 허공으로 들어 하중이 상쇄되면, 상기 중창(200)을 이루는 지지시트(220)에 형성된 텐션부(228)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동시에 상기 밑창(300)의 제1펌핑부(310)의 제1펌핑구(314) 상부에 형성된 제1스프링(316)과 텐션패드(319)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1펌핑구(314)가 제1펌핑공(312) 내에서 하강하여 밑창(300) 저면으로 다시 돌출되면서 상기 연결호스(340)와 상기 제2펌핑부(320)에 일단이 연결된 제1유입호스(110)를 통해 상기 제1펌핑구(314) 상부에 형성된 제1공기저장홈(318)으로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밑창(300)의 제2펌핑부(320)의 제2펌핑구(324) 상부에 형성된 제2스프링(326)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2펌핑구(324)가 제2펌핑공(322) 내에서 하강하여 밑창(300) 저면으로 다시 돌출되면서 상기 제1유입호스(110)를 통해 상기 제2펌핑구(324) 상부에 형성된 제2공기저장홈(328)으로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흡입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밑창(300)의 제3펌핑부(330)의 제3펌핑구(334) 상부에 형성된 텐션돌기(326)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3펌핑구(324)가 제3펌핑공(332) 내에서 하강하여 밑창(300) 저면으로 다시 돌출되면서 상기 연결호스(340)와 상기 제2펌핑부(320)에 일단이 연결된 제1유입호스(110)를 통해 상기 제3펌핑구(334) 상부에 형성된 제3공기저장홈(338)으로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흡입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을 하게 되면 발의 뒤꿈치 부분부터 중간 부분, 앞꿈치 부분이 순차적으로 지면에 맞닿으면서 상기한 바와 같이 밑창(300)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펌핑부(310)(320)(330)의 작용이 연속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갑피(100)의 내부에 신선한 공기를 계속해서 유입시킬 수 있으므로 발에서 발생하는 질병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상기 갑피(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일정 시간 머물면서 오염이 되면 발목 부분을 통해 자연스럽게 배출되게 할 수 있으나, 상기 갑피(100)의 발등 부분 타측에 설치된 공기배출구(600)를 조절하여 배출호스(610)를 통해 내부 공기를 신속하게 배출시켜 갑피(100) 내부의 공기 순환을 원활하게 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순환에 의한 발 질병을 예방하는 신발은 신발을 신은 사람이 보행하는 것 만으로도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흡입하여 신발 내부로 주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공기의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신발 내부가 항상 쾌적함을 유지되도록 하여 발 질병 발생을 예방할 수 있어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고, 신발을 신고 보행시 뒤꿈치 부분이 외측으로 쏠리지 않도록 하여 발을 교정함은 물론 보행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동시에 장시간 보행에 따른 발의 피로도를 저감시킬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은 발명인 것이다.
100 : 갑피 110 : 제1유입호스
200: 중창 210: 커버시트
212 : 통기공 220: 지지시트
224 : 결합부 226 : 절개홈
228 : 텐션부 230 : 보조패드
300: 밑창 302 : 결합홈
310: 제1펌핑부 320: 제펌핑부
330 : 제3펌핑부 340 : 다수의 연결호스
400 : 깔창 410 : 심재
420 : 쿠션패드 500 : 공기조절구
510 : 조절본체 520 : 커버
530 : 걸름망 600 : 공기배출구
610 : 배출호스

Claims (9)

  1. 천연 또는 인조 가죽을 이용하여 발 모양으로 가공되며, 발의 내측 중간 부분에 해당되는 위치에 소정 길이로 제공되는 제1 및 제2유입호스가 매입되게 설치되는 갑피와;
    상기 갑피의 하부에 일체로 접착되고,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커버시트의 저면에, 다수의 유입공이 통공되고, 뒤꿈치 부분의 저면에 결합부가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시트가 일체로 접착되되, 상기 커버시트와 지지시트 사이에 상기 제1유입호스의 일단이 삽입, 연결되는 중창과;
    상기 중창의 저면에 진공상태가 되도록 일체로 접착, 고정되고, 뒤꿈치 부분과 중간부분 및 앞꿈치 부분에는 각각 외부 공기를 순차적으로 흡입하는 제1 내지 제3펌핑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펌핑부를 서로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호스가 상부면에 일체로 매립되고, 상기 제1 및 제2펌핑부 사이에는 상기 지지시트의 결합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결합홈이 소정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유입호스의 일단이 상기 제2펌핑부에 연결,고정되는 밑창과;
    상기 갑피의 내부로 삽입되어 중창의 상부에 위치되며, 저면에 심재가 일체로 접착되고, 상기 심재의 저면 소정 위치에 각각 쿠션패드가 일체로 접착된 깔창; 및
    상기 갑피의 발등 부분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유입호스의 타단이 연결되어 외부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공기조절구;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에 의한 발 질병을 예방하는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의 발등 부분 타측에 공기배출구를 더 설치하고, 이 공기배출구에 일단이 연결, 고정되는 소정 길이로 제공되는 배출호스의 타단은 갑피 내부로 연결되게 매입시켜 상기 배출호스와 공기배출구를 통해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에 의한 발 질병을 예방하는 신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을 이루는 지지시트는 뒤꿈치 부분 상부면에 "U자 형태로 절개홈을 관통시켜 상기 절개홈에 의해 텐션부를 형성되게 하여 상기 텐션부가 상기 제1펌핑부를 압착한 후 자체 탄성에 의해 복귀되어 펌핑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에 의한 발 질병을 예방하는 신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시트의 텐션부에 얇은 금속 판체로 제공되는 철심을 매립되게 설치하여 상기 텐션부의 탄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에 의한 발 질병을 예방하는 신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을 이루는 지지시트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된 보조패드를 일체로 접착시켜 보행시 발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에 의한 발 질병을 예방하는 신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에 형성된 제1펌핑부는 소정 직경의 제1펌핑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펌핑공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작은 직경으로 구비되되, 상부에는 제1스프링이 수직으로 장착된 제1펌핑구의 상단이 상기 제1펌핑공의 내주연 중간 부분에 일체로 접합되게 하여 상부에 제1공기저장홈이 형성되도록 하고, 하부는 밑창의 저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공기저장홈이 형성된 밑창의 상부면에 텐션패드를 일체로 접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에 의한 발 질병을 예방하는 신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에 형성된 제2펌핑부는 소정 형태로 제2펌핑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펌핑공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 형태로 구비되되, 상부에는 제2스프링이 수직으로 장착된 제2펌핑구의 상단이 상기 제2펌핑공의 내주연 중간 부분에 일체로 접하되게 하여 상부에 제2공기저장홈이 형성되도록 하고, 하부는 밑창의 저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에 의한 발 질병을 예방하는 신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창에 형성된 제3펌핑부는 소정 직경의 제3펌핑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3펌핑공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작은 직경으로 구비되되, 상부면에는 텐션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제3펌핑구의 상단이 상기 제3펌핑공의 내주연 중간 부분에 일체로 접합되게 하여 상부에 제3공기저장홈이 형성되고, 하부는 밑창의 저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에 의한 발 질병을 예방하는 신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깔창은 발의 외측 부분에 해당되는 위치의 외측면을 소정 형태로 높게 형성하여 쏠림방지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보행시 발이 외측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에 의한 발 질병을 예방하는 신발.
KR1020210063721A 2021-05-17 2021-05-17 공기순환에 의한 발 질병을 예방하는 신발 KR102328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721A KR102328697B1 (ko) 2021-05-17 2021-05-17 공기순환에 의한 발 질병을 예방하는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721A KR102328697B1 (ko) 2021-05-17 2021-05-17 공기순환에 의한 발 질병을 예방하는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8697B1 true KR102328697B1 (ko) 2021-11-17

Family

ID=78702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721A KR102328697B1 (ko) 2021-05-17 2021-05-17 공기순환에 의한 발 질병을 예방하는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69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171B1 (ko) 2001-07-24 2008-07-23 우베 고산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형내 피복성형용 금형 및 형내 피복성형 방법
KR20090005895U (ko) * 2007-12-11 2009-06-16 류한하 환기구조와 경사면을 형성한 신발의 바닥 창
KR101147675B1 (ko) 2011-08-18 2012-05-21 장창원 풍부한 외부공기가 송풍 되는 통풍신발
KR200491163Y1 (ko) * 2018-08-21 2020-02-26 김종식 신발의 갑피에 통기량 조절수단이 설치된 기능성 신발
KR102236233B1 (ko) * 2019-11-22 2021-04-02 노민환 발 교정용 신발 깔창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171B1 (ko) 2001-07-24 2008-07-23 우베 고산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형내 피복성형용 금형 및 형내 피복성형 방법
KR20090005895U (ko) * 2007-12-11 2009-06-16 류한하 환기구조와 경사면을 형성한 신발의 바닥 창
KR101147675B1 (ko) 2011-08-18 2012-05-21 장창원 풍부한 외부공기가 송풍 되는 통풍신발
KR200491163Y1 (ko) * 2018-08-21 2020-02-26 김종식 신발의 갑피에 통기량 조절수단이 설치된 기능성 신발
KR102236233B1 (ko) * 2019-11-22 2021-04-02 노민환 발 교정용 신발 깔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47104B1 (en) Improvements to footwear
US6976319B2 (en) Footwear construction
US6553690B2 (en) Ventilated footwear
US20040078996A1 (en) Footwear with breathable sole
US20060283043A1 (en) Article of footwear
US20090113767A1 (en) Sole Structure of Footwear
US20100275469A1 (en) Insole with reinforcement element
US6434858B2 (en) Breathing shoes
WO2013184886A1 (en) Energy wave sockliner
KR102328697B1 (ko) 공기순환에 의한 발 질병을 예방하는 신발
KR100356353B1 (ko) 공기 배출 신발
US20130318817A1 (en) Footwear with integrated energy wave sockliner
EP1127505B1 (en) Forced air circulation shoe structure
KR102012076B1 (ko) 신발
KR100664396B1 (ko) 쿠션기능을 가지는 통풍 신발.
US20150335099A1 (en) Memory sneaker
KR101130975B1 (ko) 측면부에서 공기 입출이 가능한 신발깔창
JP2003102502A (ja) 室内用競技シューズ
CN214207389U (zh) 一种健康鞋垫及具有该健康鞋垫的健康鞋
KR200371503Y1 (ko) 통기성 신발안창
KR200208480Y1 (ko)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깔창
KR102012077B1 (ko) 신발용 안창
CN2762597Y (zh) 一种与鞋帮相配的弹性鞋垫
KR100238812B1 (ko) 충격완화 및 통풍기능을 갖는 신발
KR200365768Y1 (ko) 공기순환식 신발용 깔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