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6642A - 다기능 전화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6642A
KR20010096642A KR1020010026055A KR20010026055A KR20010096642A KR 20010096642 A KR20010096642 A KR 20010096642A KR 1020010026055 A KR1020010026055 A KR 1020010026055A KR 20010026055 A KR20010026055 A KR 20010026055A KR 20010096642 A KR20010096642 A KR 20010096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dtmf
sensor
telephone
telephone 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6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용식
Original Assignee
오용식
주식회사 이에프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용식, 주식회사 이에프통신 filed Critical 오용식
Priority to KR1020010026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6642A/ko
Publication of KR20010096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664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선로에서 송출되어 오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스피커에 전달하는 링거와, 선로에서 송출되어 오는 CID 신호를 검출하여 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와, DTMF 신호를 검출하고 또한 숫자에 대한 DTMF 신호를 송출하는 DTMF와, 전화번호와 제어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다이얼 패드와, 소리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앰프와,
외부의 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와, 외부의 상황을 소리 신호로서 입력하여 전달하는 마이크와, 전화기 전체를 제어하며 메모리를 내장하는 제어기로 구성되어,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상황이 외부에 연락을 취해야 할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미리 정해진 외부로 전화를 하여 외부의 지시에 따라서 소정의 소리를 스피커를 통하여 내게 하고, 또한 제어기는 내장된 메모리에 ACR을 위한 정보를 갖고 있다가 사용자가 전화를 하고자 전화번호를 누를 때에 ACR 모드라고 판단되면 상기 전화번호에 앞서서 소정의 ACR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화기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전화기{MULTIFUNCTION TELEPHONE}
본 발명은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기능을 구비하는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화기는 단순히 음성 통화를 위주로 하는 것이 대부분이였다. 따라서 전화기에 다른 기능을 추가하여 나온 제품은 보이지 않는다. 특히 최근에 그 서비스가 시작된 CID(Caller ID) 서비스는 장난전화의 퇴치 등 그 편리성이 인정되어 많이 보급되는 현실이다. 이러한 CID 기능을 구비하고 다른 기능을 구비하는 다기능 전화기의 보급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CID 기능을 구비하는 전화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전화기가 설치된 곳의 방범이나 안전을 도모하는 전화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 ACR(Auto Call Router) 기능을 구비하는 전화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한 다기능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링거(RINGER)
2 : 표시장치(LCD) 21 : 표시장치 스위치
3 : DTMF(DualToneMultiFrequency) 31 : 다이얼 패드
4 : 앰프(AMP) 41 : 스피커
5 : 제어부(CPU) 6 : 센서(SENSOR)
7 : 마이크 8 : 서지(SURGE)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로에서 송출되어 오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스피커에 전달하는 링거와, 선로에서 송출되어 오는 CID 신호를 검출하여 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와, DTMF 신호를 검출하고 또한 숫자에 대한 DTMF 신호를 송출하는 DTMF와, 전화번호와 제어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다이얼 패드와, 소리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앰프와, 외부의 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와, 외부의 상황을 소리 신호로서 입력하여 전달하는 마이크와, 전화기 전체를 제어하며 메모리를 내장하는 제어기로 구성되어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상황이 외부에 연락을 취해야 할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미리 정해진 외부로 전화를 하여 외부의 지시에 따라서 소정의 소리를 스피커를 통하여 내게 하며, 또한 제어기는 내장된 메모리에 ACR을 위한 정보를 갖고 있다가 사용자가 전화를 하고자 전화번호를 누를 때에 ACR 모드라고 판단되면 상기 전화번호에 앞서서 소정의 ACR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화기를 제공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부호 1은 링거이다. 이 링거(1)는 선로로부터 링신호가 전송되어 오면 이를 검출하여 스피커(41)에 송출하여 링을 울리게 한다.
도면에서 부호 2는 표시장치로서 통상은 LCD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선로로부터 오는 발신자 정보 등을 표시한다.
또 부호 21은 표시장치 스위치로서 후술하는 제어부(5)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표시장치(2)를 선로에 연결하거나 떨어뜨리는 기능을 한다.
도면에서 부호 3은 DFMF(Dual Tone Multi Frequency)로서 선로에서 오는 DTMF 신호를 해석하여 이를 후술하는 제어부(5)에 전달하고, 또한 다이얼 패드(31)를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번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선로에 송출하는 기능을 한다.
5는 제어기로서 메모리를 구비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성되어 전화기 전체를 제어하여 각 기능을 구현한다.
6은 센서로서 열감지 센서로 이루어지는 방범센서나 가스 등의 누출을 감지하는 가스 센서 등으로 구성된다. 이 센서(6)는 전화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다용한 센서를 사용하는 구성할 수 있다.
부호 7은 마이크로서 본 발명의 전화기가 설치되어 있는 곳의 상황을 소리 신호로서 선로에 송출한다.
부호 8은 서지로서 선로를 타고 들어오는 낙뢰를 흡수하여 전화기를 보호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화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CID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평상시에 표시장치 스위치(21)은 표시장치(2)를 선로에 연결하고 있다. 또한 후크 스위치는 ON-HOOK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링거(1)가 이를 감지하여 스피커(41)를 통하여 링을 울려 사용자에게 전화가 왔다는 것을 알린다. 이와 동시에 표시장치(2)는 선로로부터 송출되어 오는 CID 정보를 받아 이를 표시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화기를 들면 즉 OFF-HOOK되면 선로는 제어부(5)에 연결되고 선로에서 송출되어 오는 신호는 이후 제어부(5)가 제어한다.
다음에 센서(6)를 사용하는 방범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센서(6)가 예를 들어 외부로부터 침입자를 감지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센서(6)이 침입을 감지하면 이를 제어부(5)에 통지한다. 침입을 통지받은 제어부(5)는 침입이라고 판단되면 OFF-HOOK으로 하고 이미 정해진 전화번호에 의거하여 DTMF(3)을 제어하면서 전화를 건다. 상대방이 전화를 받으면 마이크(7)을 작동시켜 소리 신호를 보냄으로써 전화를 받을 상대방이 현장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도움을 준다.
전화를 받은 상대방은 현장상황에 따라 미리 정해진 코드를 누른다. 즉 예를 들어 특정한 경고음을 울리고자 할 때에는 그에 해당하는 코드를 누른다. 선로, DTMF(3)를 통하여 이 코드를 받은 제어부(5)는 이를 해석하여 앰프(4) 및 스피커(41)를 구동하여 특정한 경고음을 낸다. 또한 자신의 음성을 직접 송신하고자 할 때에는 말을 한다. 역시 선로롤 통하여 이를 수신한 제어부(5)는 이를 스피커(41)를 통하여 송출하여 침입자에게 소리 신호를 보낸다. 또한 필요에 따라 강력한 사이렌 등의 소리를 낼 수 있다.
또한 센서(6)이 가스누출을 감지한 경우에도 역시 외부로 전화를 걸어 상대방에게 현재의 상황을 알린다.
여기서 상대방은 다기능 전화기의 소유자일 수도 있고, 미리 지정된 경비회사나 소방소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장소를 순차적으로 연결하는 자동연락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즉 관계기관 - 경비실 - 이웃집 - 회사 - 휴대전화 등의 순서롤 연락을 취할 수 있다.
다음에 정전통보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기능 전화기는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다. 평소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거하여 작동하게 되나 이 외부전원이 끊기면 이를 감지하여 전원을 배터리로 전환한다. 또한 이러한 정전사실을 미리 약정된 곳에서 전화를 함으로써 정전사실을 통지하게 된다.
다음에 ACR(Auto Call Router)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기능은 전화요금을 절약하려고 특정한 회사의 회선을 선택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국제전화나 시외전화를 할 때에 전화요금이 가장 싼 회선을 선택하게 하는 것이다.
선불카드 등에 의하여 미리 약정된 전화번호를 다이얼 패드(31)를 사용하여 미리 저장해 둔다. 이러한 상황에서 발신자가 수화기를 들어 전화를 걸고자 다이얼 패드(31)를 통하여 전화번호를 누른다. 제어부(5)는 이 상황이 선불카드에 의한 통화라고 판단하면 이미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읽어 DTMF(3)을 통하여 전화를 걸게 한다. 이 때에 선불카드의 전화번호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선불카드번호, 비밀번호 등을 송출한다. 이러한 선불카드 등에 관련된 번호를 송출하고 나서 사용자가 누른 전화번호를 송출하게 하여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이러한 선불카드 등의 번호를 외부에서 본 발명의 다기능 전화기에 전화를 걸어 입력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5)가 선불카드에 의한 전화라고 판단하는 수단은 딥스위치를 사용하여 이를 사용자게 선택하게 함으로서 할 수 있다.
외부에 통지를 하여야 하는 방범 등의 모드의 판단도 역시 딥스위치를 사용하여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의 전화에 센서, 마이크 등을 부가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방범 등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기의 내부에 메모리를 갖추어 선불카드 등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여 값싼 요금으로 전화를 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표시장치를 구비하여 발신자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선로에서 송출되어 오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스피커에 전달하는 링거와,
    선로에서 송출되어 오는 CID 신호를 검출하여 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와,
    DTMF 신호를 검출하고 또한 숫자에 대한 DTMF 신호를 송출하는 DTMF와,
    전화번호와 제어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다이얼 패드와,
    소리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앰프와,
    외부의 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와,
    외부의 상황을 소리 신호로서 입력하여 전달하는 마이크와,
    전화기 전체를 제어하며 메모리를 내장하는 제어기로 구성되어,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상황이 외부에 연락을 취해야 할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미리 정해진 외부로 전화를 하여 외부의 지시에 따라서 소정의 소리를 스피커를 통하여 내게 하는 다기능 전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제어기는 내장된 메모리에 ACR을 위한 정보를 갖고 있다가 사용자가 전화를 하고자 전화번호를 누를 때에 ACR 모드라고 판단되면 상기 전화번호에 앞서서 소정의 ACR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전화기.
KR1020010026055A 2001-05-14 2001-05-14 다기능 전화기 KR200100966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6055A KR20010096642A (ko) 2001-05-14 2001-05-14 다기능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6055A KR20010096642A (ko) 2001-05-14 2001-05-14 다기능 전화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3310U Division KR200241192Y1 (ko) 2001-05-08 2001-05-08 다기능 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642A true KR20010096642A (ko) 2001-11-08

Family

ID=19709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6055A KR20010096642A (ko) 2001-05-14 2001-05-14 다기능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66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529B1 (ko) * 2012-07-10 2014-10-24 김근휘 일반전화를 이용한 위험상황 대처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529B1 (ko) * 2012-07-10 2014-10-24 김근휘 일반전화를 이용한 위험상황 대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52914B2 (ja) 発呼者電話番号表示装置
US666202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handling accidental dialing on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100318958B1 (ko) 전화기의위급상황연락장치및방법
GB2166321A (en) Emergency call unit
KR20010056261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수신호의 선택적 착신 및 거부 방법
KR200241192Y1 (ko) 다기능 전화기
US7190945B1 (en) Security alarm operation in telephone device
KR20010096642A (ko) 다기능 전화기
KR20000044451A (ko) 전화기에서 부재중 발신자 정보를 원격지에 통보하는 방법
KR20020075967A (ko) 원격 경보/인터폰 기능을 갖는 전화기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US20080079563A1 (en) Security alarm operation in telephone device
JP3529283B2 (ja) 回線選択装置
KR20020091443A (ko) 발신자번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S61212929A (ja) ペ−ジングシステムを利用したリモ−ト監視システム
KR20000041878A (ko) 경보/호출 전화기 및 이를 사용한 경보/호출 방법
KR200254224Y1 (ko) 발신자 번호 표시 유무선 전화기의 발신자 번호 음성안내 장치
KR100962112B1 (ko) 유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장치 및 방법
KR200205423Y1 (ko) 무선 긴급전화 통화 및 자가진단을 위한 시스템
WO1986002798A1 (en) Call unit for use in an emergency call system
KR100365088B1 (ko) 피호자 전화기 상태 검출에 따른 발호자 전화기 표시방법및 그 장치
KR200336932Y1 (ko) 발신자 정보표시 및 자동응답 장치
KR200227531Y1 (ko) 피호자 전화기 상태 검출에 따른 발호자 전화기 표시장치
KR200255558Y1 (ko)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유무선전화기의시큐리티 장치
KR200254223Y1 (ko)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착신벨 발생 장치
JP3467104B2 (ja) 無線電話システム及び無線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