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6409A - 원 인코더 멀티 디코더 지원 브이오아이피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 인코더 멀티 디코더 지원 브이오아이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6409A
KR20010096409A KR1020000027144A KR20000027144A KR20010096409A KR 20010096409 A KR20010096409 A KR 20010096409A KR 1020000027144 A KR1020000027144 A KR 1020000027144A KR 20000027144 A KR20000027144 A KR 20000027144A KR 20010096409 A KR20010096409 A KR 20010096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et
block
compression
data
enco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7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혁종
Original Assignee
조성호
정보영
(주)알찬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호, 정보영, (주)알찬테크 filed Critical 조성호
Publication of KR20010096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640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04M7/0072Speech codec negot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 인코더(One Encorder) 멀티 디코더(Multi Decorder) 지원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축하여 인터넷망에 접속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원 인코더 멀티 디코더 구현 인터넷폰용 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VoIP 시스템(10)에 PSTN/LAN스위칭 블록(1), AD/DA콘버터 블록(2), 콤프레스/디콤프레스 블록(3), PC인터페이스블록(4)을 구비하고 이 VoIP시스템(10)을 인터넷망에 접속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패킷 데이터를 DSP쪽에 다운 로딩하지 않고 다 가지고 있다가 해독이 될 때 여러 방법에 의해 데이터를 해독하도록 하는데 있고, 또한 패킷 데이터를 PC에서 해독하는 것은 동일하나, 해독하면서 명령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압축해야 할 디코더를 DSP칩에 다운 로드시켜 주고, 이렇게 입력된 데이터를 다운로드된 방법에 의해 해독하도록 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원 인코더 멀티 디코더 지원 브이오아이피 시스템{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system employing one-encoder and multi-decoder}
본 발명은 원 인코더(One Encorder) 멀티 디코더(Multi Decorder) 지원 VoIP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축하여 인터넷망에 접속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상에서 음성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을 인터넷 전화(Internet Telephone)라고 한다.
IDC(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의 전망으로는 인터넷 전화 시장이 1999년 5억 6천만 달러정도에서 2001년까지 인터넷 전화에 따라 약 6억 2천만 달러에서 9억 5천만 달러 정도의 국제 전화 시장을 잠식당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인터넷 전화가 관심을 끄는 첫 번째 이유는 저렴한 장거리 음성통신 가격과비디오 전화, 영상 회의와 같은 응용에 쉽게 확장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인터넷 전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화망인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PSTN은 QoS (Quality of Service)를 보장하는 실시간 또는 동기화 음성 통신을 제공하는 회선교환망(circuit switched network)이다.
전화 신호가 시작되면 발신측과 수신측 사이에 회선이 설정된다. PTSN은 양측간에 64 Kbps 양방향 회선을 할당하여 QoS를 보장한다. 한 쪽에서 말을 하건 하지 않건 상관없이 그 호가 종료될 때까지 64Kbps를 할당하며, 대역폭이 일정하기 때문에 전화 사용료는 거리와 시간에 비례한다.
반면에, 인터넷은 이-메일(E-mail) 또는 파일 전송과 같이 다양한 QoS에도통신이 가능한 패킷교환망으로, 이러한 패킷교환망은 송신측과 수신측 사이에 경로를 고정시키지 않기 때문에 QoS를 보장하지 않으며, 그 결과 인터넷 사용료는 거리와 시간이 아닌 대역폭에 비례한다.
이와 같이 비록 인터넷이 QoS를 보장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인터넷 전화는 일반화 추세이다. 즉, 인터넷 전화 사용자는 어느 정도의 품질 저하를 받아들이면서도 장거리 음성 통신을 이용하려고 할 것인데, 이는 현재 인터넷 전화 사용자가 시내전화 요금으로 국제전화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인터넷 전화의 품질은 부분적으로 인터넷 접속 속도와 인터넷상의 트래픽(Traffic)양에 따라 좌우된다.
이러한 인터넷 전화 접속의 품질을 결정하는 두 가지 요인은 레턴시(latency)와 음질로 여기서, 레턴시는 한 쪽에서 말을 하고 다른 쪽에서 그 말을 들을 때까지의 지연시간(delay)을 말한다.
일반 국제전화는 위성을 통해서 전송되며 어느 정도의 지연을 느낄 수 있다. 또, 다른 요인은 말할 때의 음질과 전송 음질 사이의 차이이다. 어떤 음성 패킷은 특정 임계점까지는 지연되며 인터넷 전화 소프트웨어는 이 패킷을 이용할 것이다.
비록 인터넷 전화가 현재는 좋은 품질을 제공하지 못하지만 고속 인터넷망을 갖는다면 상당한 통신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실시간 인터넷 통신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IETF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의 Intserv WG에서 제안한 RSVP(ReSource reserVation Protocol)는 실시간 데이터 전송을 보장한다.
한편, 인터넷 전화 소프트웨어는 상당히 많이 상품화되어 있고 가격도 저렴하다.
특히 인터넷 사용자는 동시에 정보를 보고 수정할 수 있는 공동작업 환경을 제공하며, 비디오 전화, 영상 회의, 국제전화 기능 등을 제공한다.
멀티미디어 PC에는 특별한 하드웨어가 필요 없지만 저가의 PC에 인터넷 전화를 위한 카드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Quicknet Technologies의 인터넷 폰잭(Internet PhoneJACK)이 그 중 하나로, 보드에서 DSP(Digital Signal Processing)에 의한 반향제거와 압축 기능을 제거하며 레턴시와 음질을 향상시켰다.
인터넷 전화 소프트웨어의 중요한 고려사항은 상호 운용성 (interoperability)으로, 많은 인터넷 전화 제품들은 동일한 응용을 이용하는 모든 참석자들과의 통신을 요구한다.
예를 들면, 보컬텍(VocalTec)의 인터넷전화 사용자와 마이크로 소프트의 넷미팅(NetMeeting) 사용자는 서로 통신이 가능한데, 그 이유는 둘 다 ITU-T의 H.323 표준을 따르기 때문이며, 여기서 H.323은 음성, 데이터, 영상 통신을 지원하는 사양이다.
한편, 인터넷 전화 게이트 웨이는 PSTN에 접속된 일반 전화 사용자와의 통신을 지원하는 장치로 PSTN으로부터의 음성을 받아서 인터넷에 전달하고, 반대로 인터넷으로부터의 패킷을 받아서 음성으로 변환시킨 후 PSTN에 전송한다.
이러한 게이트웨이는 송신자와 수신자에게 로컬망으로 접속되므로 PSTN을 사용하는 값을 최소화하며, 그 결과 인터넷 전화 게이트웨이는 Telephone-to-Telephone, Telephone-to-Computer, Computer-to-Computer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통상, 인터넷 전화는 Computer-to-Computer, Computer-to-Telehone, Telephone-to-Telephone 방식으로 분류되며, 이외에 추가로 Telephone-to-Computer, Web-to-Telephone 방식이 가능하다.
먼저, Computer-to-Computer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보컬텍(VocalTec)의 인터넷 폰과 같이 통신(전화)하고자 하는 양측의 사용자는 특정 서버 컴퓨터에 접속하고, 서버 컴퓨터는 접속된 사용자들의 목록을 보여주는 디렉토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통화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이 방법은 컴퓨터에 모뎀(또는 LAN 카드), 사운드 카드, 마이크, 스피커를 필요로 함과 동시에 인터넷을 통해서 사용자들이 접속되어 있어야 한다.
다음에 Computer-to-Telephone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컴퓨터 사용자는 인터넷 전화 소프트웨어를 작동시킨 후에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며, 서버로부터 신호가 떨어지면 전화 번호를 입력한다.
물론 이때 사용자는 서비스 업체로부터 미리 전화카드 사용료를 지불한 후에 계정과 암호를 할당받아야 한다.
콜(Call)은 패킷화되어 인터넷을 통해서 서버에 도착하고, 다시 그 콜은 인터넷상에서 상대방과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서버에 도착하며, 다시 그 콜은 서버로부터 일반 전화 번호로 바뀌어 전화망을 통해서 상대방 전화에 전달된다.
컴퓨터상에서 보내지는 음성은 패킷화되어 인터넷을 통과하고, 다시 최종 전화망으로 갈 때 음성 신호로 재생되어 전화망으로 전달된다.
다음에 Telephone-to-Computer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방식은 Computer-to-Telephone 방식과는 반대의 방식으로, 사용자가 일반 전화에서 서버에 전화를 하면, 서버로부터 인터넷 주소를 입력하라는 음성을 듣는다.
그러면 사용자의 콜은 전화를 이용하여 인터넷 주소를 입력하며, 그 콜은 전화망을 통해서 서버에 도착하는데, 상기 서버는 상대방 인터넷 주소를 패킷화하여 상대방과 가장 가까운 서버에 보내고, 이 서버는 그 접속 패킷을 상대방 컴퓨터에게 보낸다.
접속이 설정되면 사용자로부터의 음성 데이터가 서버에서 압축된 패킷으로 변환되고, 이 패킷은 인터넷을 통해서 상대방 컴퓨터에 전달되는 것으로, 상대방 컴퓨터에서 전송되는 음성은 Internet-to-Telephone 방식으로 전송된다.
다음에 Telephone-to-Telephone 에 대하여 설명한다.
보통 Phone-to-Phone 서비스로 통용되며, 기존의 전화처럼 국제 전화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일반 전화망에 접속된 사용자는 일반 전화기를 이용하여 서버(게이트웨이)에 전화를 한다.
이때, 서버는 상대방 전화를 입력하라는 자동 응답을 하며, 사용자는 상대방 전화 번호를 입력하면 그 콜(Call)이 서버에 전달되고, 서버는 상대방 전화 번호를패킷화하여 인터넷을 통해서 상대방과 가장 가까운 서버에게 보내며, 그 서버는 패킷을 다시 일반 전화 번호로 바꾸고 일반 전화망을 통해서 상대방에게 콜을 보낸다.
두 사용자 사이에 접속 설정이 끝나면 두 사용자 사이에 음성 데이터는 서버에서 압축되어 인터넷 패킷으로 인터넷을 통과하고, 다시 상대방 서버에서 이를 분해하여 음성 신호를 재생한 후 전화망에 보내게 되는 것으로, 그 결과 국제 전화를 일반 전화 사용료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Web Browser Plug-In-to-Telephone 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웹상에서 전화를 필요로 하며, 인터넷 전화 사업자가 웹을 이용하여 국제 전화를 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일반 사용자가 자신에게 전화를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인터넷 전화의 경우에는 압축을 하지 않거나 2배 압축인 ADPCM방식 정도로만 구현되어 있지만, 현재 열악한 우리 나라 인터넷 망 사정을 고려할 때 통화품질이 떨어지는 원인이 된다.
또한, 종래의 인터넷 전화에서는 AD/DA콘버터 블록이 사용되지만 그 양이 크기 때문에 그만큼 회선에 부담이 되며, 또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게 되어 보상을 위한 구조가 반드시 시스템에 들어가야 하므로 가격이 비싸지며, 시스템이 복잡해지는 결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버스 시스템에서는 인터페이스 장치가 로컬버스를 통하여 CPU에 직접 연결되므로 로컬버스를 많이 사용하면 CPU에 많은 부하가 걸리게 되고,이에 따라 CPU 자체의 처리속도가 저하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전용단말기를 이용한 Internet-to-Telephone 또는 Internetphone-to-Internetphone으로 통화를 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넷 전화에 있어서, PC와 연동되는 방식을 채택하여 PC- to-PC 방식 및 PC-to-phone 방식을 응용한 Phone-to-Phone 방식의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IP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PC를 기반으로 시스템이 장착되며, 이때 IP 네트워크에는 반드시 원 인코더 멀티 디코더 지원 게이트웨이가 구현되어 있어야 하며, 가정에서 사용되는 전화기가 연결되고,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한 전화 및 PSTN을 이용한 전화 모두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한 전화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른 어떤 프로그램의 구동 없이 전화기처럼 사용 가능한 원 인코더 멀티 디코더 지원 VoIP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 인코더 멀티 디코더 지원 VoIP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RTP패킷 형식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 LPC를 잉여오디오 정보로 이용한 손실패킷의 복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PSTN/LAN 스위칭 블록 2 : AD/DA콘버터 블록
3 : 콤프레스/디콤프레스 블록 4 : PC인터페이스 블록
10 : VoIP 시스템 20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21 : RTP콘버터 22 : RTP-TCP/IP콘버터
23 : IP관리,제어,송출부 24 : 입출력 버퍼
25 : LAN인터페이스 26 : 패킷 재배열부
27 : 손실 패킷 복구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상의 특징은, 패킷 데이터를 DSP쪽에 다운 로딩하지 않고 다 가지고 있다가 해독이 될 때 여러 방법에 의해 데이터를 해독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상의 다른 특징은, 패킷 데이터를 PC에서 해독하는 것은 동일하나, 해독하면서 명령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압축해야 할 디코더를 DSP칩에 다운 로드시켜 주고, 이렇게 입력된 데이터를 다운로드된 방법에 의해 해독하도록 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VoIP 시스템(10)을 나타낸 것으로, 물리적으로 회선을 연결해 주며, 사용자가 외부에 나와 있는 스위치를 조작하면 릴레이의 구동에 의해 회선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PSTN / LAN 스위칭 블록(1)과, 아날로그 데이터인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해 주는 AD/DA 콘버터 블록(2)과, 하나의 압축 방식과 실시간으로 가변 가능한 압축 복원 방식을 채택한 원 인코더 멀티 디코더 방식의 콤프레스(Compress)/디콤프레스(Decompress) 블록(3)과, PC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서 PCI 버스(Bus)방식을 사용하는 PC인터페이스 블록(4)과 마이크로 콘트롤러 블록(5)으로 구성된 것이다.
단, 상기 콤프레스/디콤프레스 블록(3)은 하나의 DSP칩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Voip 시스템(10)과 PC부분을 인터페이싱해주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분을 나타낸 블록도로,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로 변환시켜 주는 RTP콘버터(21), RTP-TCP/IP콘버터(22), IP관리,제어,송출부(23), 상기 IP관리,제어,송출부(23)와 RTP-TCP/IP콘버터(22)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입출력신호의 완충역할을 해 주는 입출력 버퍼(24), LAN과의 신호 인터페이싱을 수행하기 위한 LAN인터페이스(25), 상기 입출력 버퍼(24)로부터의 패킷을 재배열하는 패킷 재배열부(26), 상기 패킷 재배열부(26)의 손실 패킷을 복구해 상기 RTP-TCP/IP콘버터(22)로 보내는 손실 패킷 복구부(27)로 구성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RTP패킷 형식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PC에서 패킷에 있는 내용을 풀어 데이터를 가져오는데, 이때 상기 패킷에는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데이터 앞단에 데이터 정보가 어떤 식으로 압축되어 있는가를 알려주는 헤더를 하나 넣어주며, 헤더가 PC에서 해독되어 시스템(10) 자체에 이것은 어떤 방식으로 압축된 데이터이므로 어떤 방식으로 해독(디코딩)하라는 명령을 내린다
본 발명은 PC상에서 전화가 되면서 다른 기능도 할 수 있으며, 전화는 아주 기본적인 인터넷망 사용에만 즉, PC는 해당되는 쪽으로 패킷하고, 또한 그 패킷을 해독하는 데에만 사용하고, 나머지는 VoiP 시스템(10)에서 다 처리하도록 한다.
즉, 명령과 동시에 데이터의 인코딩/디코딩을 수행하는 DSP칩을 사용하며, 상기 DSP칩은 인코딩/디코딩을 실시간 디지털 신호처리 수행하는 빠른 칩으로, 디코딩 방법을 같이 다운로드시킨다.
본 발명을 이용하는 전화기에서 나온 음성데이터는 PSTN/LAN 스위칭 블록(1)에 의해 회선 중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어떤 회선을 사용할 것인지 선택되는데 기본적인 선택은 PSTN망으로 되어 있다.
상기 PSTN / LAN 스위칭 블록(1)은 물리적으로 회선의 연결을 해 주는 부분으로, 릴레이를 사용하여 구현하며, 사용자가 외부에 나와 있는 스위치를 조작하여회선을 선택할 수 있다.
만일, 상기 PSTN/LAN 스위칭 블록(1)에서 LAN회선이 선택되었다면 음성데이터는 다음 블록인 AD/DA 콘버터 블록(2)를 통과하면서 디지털 방식으로 변환된다.
즉, 상기 AD/DA 콘버터 블록(2)은 아날로그 데이터인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해 주는 부분으로, 변환 방식은 우리 나라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μ-law PCM 방식을 사용하며, 이렇게 변환된 데이터는 64kbps의 용량을 가지며, 디지털화 된 음성 데이터를 압축해 준다.
이렇게 AD/DA 콘버터 블록(2)을 통하여 변환된 디지털 방식의 데이터는 콤프레스/디콤프레스 블록(3)으로 입력되어 많은 양의 데이터가 압축되어 인터넷 망에서 전송하기 쉬운 형태로 바뀌게 된다.
또한, 콤프레스/디콤프레스 블록(3)에 의해 압축된 데이터는 PC인터페이스(4)를 거쳐 PC로 전달되며, PC에서는 전달된 데이터를 TCP/IP 패킷으로 변환하여 인터넷망에서 전송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 통신을 하게 된다.
이때, 콤프레스(Compress)/디콤프레스(Decompress) 블록(3)은 인터넷 망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이 적을수록 에러가 발생할 확률이 줄어들며, 더욱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래서 각 인터넷 전화 서비스 업체 및 하드웨어 제작 업체에서는 각자 자신에 맞거나 또는 H.323 권고안에 있는 압축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압축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실시간으로 가변되지는 않고 DSP에 고정적으로 구현됨으로써 구현 및 실시간 구동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는 압축방식으로 H.323 표준의 모든 압축방식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현재 VoIP에서는 여러가지 표준의 압축방식을 지원한다. 지원되는 압축 방식으로는 G.711(PCM), G.723.1(ACELP), G.728(LD-CELP), G.729annex-A(CS-ACELP) 등이 있다. 이들 모두 시스템에서 압축방식으로 사용 가능하다. 그 중에서 현재 구현에서는 G.729annex-A(CS-ACELP) 압축방식을 권고한다. 이는 10배 압축이며 원래의 음질에 거의 손상을 주지 않는 압축방식으로 그 성능이 우수하다고 하겠다.
이러한 압축방식을 DSP칩을 이용하여 구현하므로써 좀더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나, 현재 인터넷 망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망에서 지원하고 있는 압축 기술과의 호환성 유지가 문제이므로 호환성 다양한 압축 알고리즘을 지원하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컴퓨터 CPU의 프로세싱 부하를 줄이기 위하여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원 인코더(One-Encoder)와 멀티 디코더(Multi-Decoder) 개념의 압축을 지원하도록 한다.
이는 압축에 있어서는 시스템의 부하가 많이 걸리는 인코더는 H.323방식 중의 하나를 사용하여 압축한다. 그 중에서 현재 IMT-2000에서 표준으로 채택하고 있으며 고품질의 높은 압축율을 가지고 있는 G.729annex-A(CS-ACELP)의 사용을 권고한다. 반대로 구현하기 쉽고 시스템의 사양을 비교적 덜 타는 디코더는 다중 디콤프레스(Decompress)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H.323 음성 압축 표준 권고안 상의 여러가지 디코딩 방식과 기타 다른 방식의 압축 표준을 지원한다.
PC 인터페이스 블록(4)은 PC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서는 PCI 버스(Bus)방식을 사용하였다.
PC와의 인터페이스에는 여러 가지 버스 시스템이 존재하는데, 그 중에서 ISA(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버스 시스템은 1984년에 개발되어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방식으로 많은 기종에서 사용되고, 표준으로 제정되어 있기도 하지만 데이터 폭(Data Width)이 16비트이고 속도는 8.3MHz이므로 고속으로 사용하는 환경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ESIA(Extended ISA)버스 시스템은 32비트의 데이터 폭을 가지면서 ISA와 완벽한 호환을 이루는 방식이다.
본 발명은 현재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PCI 버스 시스템을 사용하여 PC와의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였다.
PCI 버스 시스템은 기존의 ISA방식과는 호환성이 없지만 주변장치의 확장에 있어서는 완전한 호환성을 보장하고 있어 차세대 버스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PCI방식은 PCI브리지라는 컨트롤 장치를 통해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PCI방식에서는 CPU에 직접 부담을 주지 않도록 CPU와 PCI 버스 사이에 PCI 브리지를 설치하여 PCI 버스가 CPU와 별개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확장 및 속도면에 있어서 더 유리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PCI 2.1 스펙(speck)을 완벽하게 따르도록 설계되어 어느 PC에나 장착할 수 있는 호환성을 유지하고 있다.
한편, 도 2와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를 통하여 실시간 데이터 전송, 손실 패킷 복구, 게이트웨이가 기본적으로 구현되는데, 이때의 실시간 전송기술은 End-To-End 또는 게이트웨이-투-게이트웨이 간에 항상 일정한 전송속도를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필요한 것이며, RTP는 실시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표준 패킷 형식, 종단간 네트워크 전송 프로토콜로써 오디오, 비디오 그리고 대화형 시물레이션 등의 실시간 데이터를 멀티캐스트나 유니캐스트로 전송하기에 적합한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의 손실 패킷 복구부(27)에서는 종단간 네트워크 지연, 지터, 비순차패킷, 패킷손실 등을 복구해 준다.
상기 네트워크 지연이나 지터에 대한 대책은 오디오 출력 버퍼를 이용하며, 비순차 패킷은 패킷이 도착하는 순서가 뒤바뀌는 현상으로 이의 대책은 각 패킷마다 가지고 있는 시퀀스 번호를 재배열하는 기능을 추가하였다.
그리고 패킷 손실에 있어서는, 인터넷이라는 공유망을 사용함으로써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것으로, 트래픽이 심한 경우에는 40%까지 손실이 나타난다.
이러한 패킷 손실의 대책으로는 ARQ(Automatic Repeat reQuest)와 FEC(Foward Error Correction)가 있는데 ARQ는 매우 커다란 종단간 지연을 요구하기 때문에 인터넷상의 인터넷 전화 같은 실시간 서비스분야에서는 이용하기가 어려우며, FEC는 손실된 원래의 데이터를 잉여정보로부터 복원하기 위하여 원래의 정보에다 잉여정보를 전송해 주는 것으로, 실시간 전송이 반드시 요구되는 응용분야에이용되며, 패킷 손실이 간헐적으로 발생할 때에는 복구능력이 높다.
상기 도 2에서 IP관리,제어,송출부(23)는 인터넷에서 자신의 위치에 대한 정보인 IP를 관리해 주며, 연결할 게이트 웨이나 상대방에 대한 정보를 내보내는 역할을 한다.
한편, 잉여정보없이 손실된 패킷을 목적지에서 묵음이나 잡음으로 대치하거나 손실된 패킷 바로 전후의 패킷으로 복사하여 재생시키는 방법도 있다.
도 4는 LPC(Linear Predicitive Coding)를 잉여오디오 정보로 이용한 손실패킷 복구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현재 인터넷 전화에서는 이러한 LPC가 저비트율, 고압축율을 가지므로 잉여오디오 정보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도면상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PC에 구비된 CPU는 전체적인 시스템은 제어하는 부분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동되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어에 사용되며, 인텔(Intel) 팬티엄 200MHz급 CPU 또는 그 이상의 성능을 갖는 CPU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구현시 필요한 조건은 각 전화기의 IP를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서로간에 인터넷 상에서 연결을 해줄 수 있는 게이트웨이가 존재해야 하며, 전체 인터넷 전화망과 PSTN의 상호 연동을 위해 PSTN과 인터넷 망 사이에 교환기능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가 존재해야 하고, 일반 가입자 전화망 서비스 업체와 PSTN사용에 대한 양해 및 서로 간에 서비스 제공에 대한 동의가 필요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하나의 인코딩 방식과 실시간으로 가변되어 구현되는 디코딩 방식을 사용한 원 인코더 멀티 디코더 개념의 압축방식을 사용하여 다양한 환경에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제안한 압축 방식은 G.729annex-A(CS-ACELP)방식의 압축으로서, 10배 압축인 CS-ACELP방식(차세대 이동통신인 IMT-2000에서도 표준으로 정해져 있는 방식)을 적용하여 그 압축률 및 음질에서 탁월한 성능을 보일 수 있으며, 향후 IMT-2000 망에도 다른 음성데이터 변환 장치 없이 바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국내외의 다양한 압축방식에 상관없이 DSP를 사용해서 변환이 자유롭다. 즉, G.729annex-A방식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 압축 방식을 구현, 운영하는 것이 가능하며, 디코딩에는 모든 표준 압축방식을 지원하도록 하여 어떠한 환경에서도 실시간으로 적응하면서 운영할 수 있는 것이다.
단, 이때 IP 네트워크 상에서 이를 지원하여 줄 수 있는 게이트웨이가 존재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PC로 인터넷 전화를 할 때에도 PC의 다른 기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으며, 누구나 인터넷전화 사용이 용이해지며, 압축율을 높였기 때문에 동일한 시간에 보내야 할 데이터량이 적어지므로 에러 발생 확률이 감소되어 보다 양호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Claims (5)

  1. 물리적으로 회선을 연결해 주며, 릴레이를 사용하여 구현하여 사용자가 외부에 나와 있는 스위치를 조작하면 릴레이의 구동에 의해 회선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PSTN/LAN 스위칭 블록과,
    상기 PSTN/LAN 스위칭 블록에 접속되어 아날로그 음성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해 주는 AD/DA 콘버터 블록과,
    압축방식으로 H.323 음성 압축 방식을 사용하며, 원래의 음질에 손상을 주지 않는 DSP칩을 이용한 콤프레스/디콤프레스 블록과,
    PC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서 PCI 버스 방식을 사용하는 PC인터페이스 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인코더 멀티 디코더 지원 VoIP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VoIP 시스템에 컴퓨터 CPU의 프로세싱 부하를 줄이기 위하여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인코더 멀티 디코더 지원 VoIP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하나의 압축방식과 실시간으로 여러가지 압축 복원 방식 중 데이터에 따라 가변되면서 구현되는 압축북원 방식을 이용한 원 인코더 멀티 디코더 지원 VoIP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패킷 데이터를 DSP칩의 콤프레스/디콤프레스 블록에 다운 로딩하지 않고 다 가지고 있다가 해독이 될 때 여러 방법에 의해 데이터를 해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인코더 멀티 디코더 지원 VoIP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패킷 데이터를 PC에서 해독하는 것은 동일하나 압축해야 할 디코더를 DSP칩의 콤프레스/디콤프레스 블록에 다운 로드시켜 주고, 입력된 데이터를 다운 로드된 방법에 의해 해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인코더 멀티 디코더 지원 VoIP 시스템.
KR1020000027144A 2000-03-31 2000-05-19 원 인코더 멀티 디코더 지원 브이오아이피 시스템 KR200100964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16825 2000-03-31
KR1020000016825 2000-03-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409A true KR20010096409A (ko) 2001-11-07

Family

ID=19660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7144A KR20010096409A (ko) 2000-03-31 2000-05-19 원 인코더 멀티 디코더 지원 브이오아이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64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751B1 (ko) * 2002-10-23 2004-11-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 전송율을 갖는 음성코덱을 적용한 인터넷전화시스템에서의 음성코덱 모드 할당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208A (ko) * 1997-11-11 1999-06-05 구자홍 게이트웨이 기능을 갖는 랜 카드
KR19990053184A (ko) * 1997-12-23 1999-07-15 서평원 공중전화망용 인터넷 폰 게이트웨이 시스템
JPH11331272A (ja) * 1998-05-12 1999-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ゲートウェイ装置
US6141341A (en) * 1998-09-09 2000-10-31 Motorola, Inc.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telephone system and method
KR20010105042A (ko) * 2000-05-18 2001-11-28 최경희 통신단말기의 다중 통신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208A (ko) * 1997-11-11 1999-06-05 구자홍 게이트웨이 기능을 갖는 랜 카드
KR19990053184A (ko) * 1997-12-23 1999-07-15 서평원 공중전화망용 인터넷 폰 게이트웨이 시스템
JPH11331272A (ja) * 1998-05-12 1999-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ゲートウェイ装置
US6141341A (en) * 1998-09-09 2000-10-31 Motorola, Inc.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telephone system and method
KR20010105042A (ko) * 2000-05-18 2001-11-28 최경희 통신단말기의 다중 통신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751B1 (ko) * 2002-10-23 2004-11-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변 전송율을 갖는 음성코덱을 적용한 인터넷전화시스템에서의 음성코덱 모드 할당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5249B2 (en) Providing real-time voice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connected to an internet protocol network and devices connected to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US6603774B1 (en) Signaling and handling method for proxy transcoding of encoded voice packets in packet telephony applications
US7227922B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transmission of data in a packet-oriented data network
CN101288257A (zh) 向设备发送信令以不执行同步或在多媒体流上包括同步延迟的方法
Babbage et al. Internet phone—changing the telephony paradigm?
US7865634B2 (en) Managing a buffer for media processing
US7664025B2 (en) Packet network telecommunication system
US20090303983A1 (en) Method, Server Device and Converting Device for Setting Up a Payload-Data Connection
WO2010079789A1 (ja) ゲートウェイ装置と方法及びシステム
AU2004200598A1 (en)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system having dynamic gain control function and method thereof
US6977911B1 (en) Scalable voice over IP system configured for dynamically switching codecs during a call
US20070064677A1 (en) Packet media gateway with a secondary PSTN connection and method for time slot switching
US9106725B2 (en) Buffer controller correcting packet order for codec conversion
KR20010096409A (ko) 원 인코더 멀티 디코더 지원 브이오아이피 시스템
KR20150096673A (ko) 홈 네트워크를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와 접속시키기 위해 구성되는 장치
EP1475929B1 (en) Control component removing encoded frames from isochronous telecommunication stream
RU2313195C2 (ru) Передача речевой информации в сети с пакетной передачей данных
KR100646308B1 (ko) 패킷망에서의 무선 코덱 송수신 방법
Moffat et al. The Internet telephone-a new paradigm
CN116233351A (zh) 一种基于小程序互动视频会议的方法及系统
Hassan et al. Voiceover IP: Protocols and Technical Hurdles
Lee et al. Internet Telephony Gateway Server-Software Design
Haile IP Telephony: Architecture and Growth Factor
Singh et al. Speech Communication Using DSP in VoIP
KR20030089304A (ko) 단말기간의 실시간 음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