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5096A - 배전반 및 프레임 부재 - Google Patents

배전반 및 프레임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5096A
KR20010095096A KR1020010016489A KR20010016489A KR20010095096A KR 20010095096 A KR20010095096 A KR 20010095096A KR 1020010016489 A KR1020010016489 A KR 1020010016489A KR 20010016489 A KR20010016489 A KR 20010016489A KR 20010095096 A KR20010095096 A KR 20010095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frame member
opening
switchboard
fron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6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8749B1 (ko
Inventor
야마토모미츠오
키타미와
Original Assignee
후지타 마사카츠
테라사키덴키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타 마사카츠, 테라사키덴키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타 마사카츠
Publication of KR20010095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5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7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56Mounting on plugbo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0Wall-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4Hinged covers or d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6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having associated enclosures, e.g.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배전반은, 개폐 접점을 조작하기 위한 접점 조작부(8b)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8)를 내부에 수납하고, 그 전면(前面) 패널(10)에 접점 조작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10a)를 형성하고 있다. 배선용 차단기는, 전면 패널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떨어져 위치한다. 전면 패널의 개구부에는, 안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벽(15d), 하측 벽(15h), 우측 벽(15d) 및 좌측 벽(15d)을 갖는 프레임 부재가 장착되어 있다. 하측 벽(15h)은, 전면 패널측을 향해서 하측으로 경사져 있다.

Description

배전반 및 프레임 부재{Switchboard and frame member}
본 발명은,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교적 많은 배선용 차단기를 장착하고 있는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선박용 배전반 중에는, 급전반(級電盤)이라고 불리는 전기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많은 배선용 차단기를 장착한 것이 있다.
도 9 및 도 10은, 종래 기술의 일례로서, 실공평 1-40256호 공보에 개시된 배전반을 도시하고 있다. 이 배전반의 전면부(前面部)에는 복수의 배선용 차단기(100, 101 및 102)가 장착되어 있다. 각각의 배선용 차단기(예를 들면, 배선용 차단기(100))는, 절연 재료로 제작한 케이스의 내부에 개폐 접점을 수납하고 있다. 절연 케이스로부터 돌출된 손잡이(100a)를 상하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개폐 접점을 조작할 수 있다.
이 절연 케이스의 표면의 손잡이(100a)가 돌출된 부분에는, 손잡이(100a)를 둘러싸도록 정면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의 뱅크(bank) 부분(100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배전반의 표면 패널(103)에는, 배선용 차단기(100)의 뱅크 부분(100b)을 끼워 넣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는, 안전성이나 미관의 면에서, 뱅크 부분(100b)의 외형 형상에 대략 일치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배선용 차단기(100)와 높이가 다른 배선용 차단기(106)가 장착 부재(105)에 설치되어 있다. 배선용 차단기(100)의 장착 부재(104)와 장착 부재(105)는, 용접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 배전반의 주회로 도전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배전반은 3상전원 시스템에 사용되는 것이며, 그 내측에는, 구리 스트립으로 제조된 종 도체(111) 및 종 도체(111)에 접속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리 스트립로 제조된 횡 도체(112)가 배치되어 있다. 종 도체(111)는, 전원에 접속된 메인 바(110)에 접속된다. 횡 도체(112)는, 단자 접속 도체(113)에 의해서, 배선용 차단기의 전원측 단자(100c)에 접속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는 배선용 차단기를, 종래의 배전반에 설치하는 데 있어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표면 패널(103)을 폐쇄하였을 때 배선용 차단기의 뱅크 부분(100b)이 표면 패널의 개구부에 꼭 맞도록, 배선용 차단기(100)의 상하, 좌우, 안쪽의 장착 위치를 미조정할 필요가 있었다. 더욱이, 서로 종류가 다른 배선용 차단기(100)와 배선용 차단기(106)와 같이 높이가 다른 것에 대해서는, 표면 패널(103)로부터의 치수가 각각 d1 및 d2가 되는 2개의 장착 부재(104 및 105)를 용접에 의해서 연결할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사양 변경 등에 의해 배선용 차단기를 종류가 다른 것으로 교체할 필요성이 생겼을 때에는, 장착 부재나 표면 패널을 새로 만들지 않으면 안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는 배전반 및 프레임 부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일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배전반의 정면도.
도 3은, 유닛 케이스의 구성 요소인 유닛 베이스와 전면 벽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배선용 차단기를 수납한 유닛 케이스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유닛 케이스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부재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프레임 부재의 측면도.
도 8은, 배선용 차단기 및 프레임 부재를 장착한 유닛 케이스의 주요부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9는, 종래의 배전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배전반을 이면측에서 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 유닛 케이스 15 : 프레임 부재
18 : 절연 스페이서 105 : 장착 부재
110 : 메인 바 113 : 단자 접속 도체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은, 개폐 접점을 조작하기 위한 접점 조작부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를 내부에 수납하고, 그 전면 패널에 상기 접점 조작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형성하고 있다. 배선용 차단기는, 전면 패널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떨어져 위치한다. 전면 패널의 개구부에는, 주위를 둘러싸고 안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을 갖는 프레임 부재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프레임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배전반의 표면 패널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떨어져 배선용 차단기를 장착하여도, 주위를 둘러싸고 안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이 있기 때문에 조작상 안전하다. 또한, 배선용 차단기의 뱅크부가 배전반의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뱅크부와 프레임 부재의 내측의 개구부가 다소 어긋나도 미관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전형적으로는, 전면 패널의 개구부의 형상은 사각형이다. 이 경우, 프레임 부재는, 안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벽, 하측 벽, 우측 벽 및 좌측 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하측 벽은, 전면 패널측을 향해서 하측으로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외부로부터 프레임 부재에 물방울이 들어오더라도, 물은 하측 벽을 타고 밖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배전반 내부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 부재는, 상측 벽, 하측 벽, 우측 벽 및 좌측 벽의 안쪽 끝에 접속된 배면 벽을 갖고 있다. 배면 벽에는, 접점 조작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배면 벽의 존재에 의해, 배전반 내부로 물 등이 침입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배선용 차단기의 접점 조작부는, 전형적으로는, 전방을 향해서 돌출된 손잡이를 포함한다. 이 경우, 손잡이는, 프레임 부재의 배면 벽의 개구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전면 패널의 개구부의 상측 가장자리에 결합하는 상측 폴(pawl)과, 개구부의 하측 가장자리에 결합하는 하측 폴을 갖는다. 상측 폴 및 하측 폴 중 적어도 한 쪽은, 탄력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조이면, 프레임 부재를 전면 패널에 간단하게(예를 들면, 원터치식으로) 장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배전반은, 복수의 다른 종류의 배선용 차단기를 내부에 수납하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배전반은, 공통의 장착면에 설치된 크기가 다른 제 1 배선용 차단기와 제 2 배선용 차단기를 구비한다. 배전반의 전면 패널에는, 제 1 배선용 차단기의 접점 조작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제 1 개구부와 제 2 배선용 차단기의 접점 조작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제 2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개구부 및 제 2 개구부는, 같은 형상이고 같은 크기를 갖고 있다. 전면 패널에서 제 1 배선용 차단기까지의 간격은, 전면 패널에서 상기 제 2 배선용 차단기까지의 간격보다도 크다. 제 1 개구부에 장착되는 제 1 프레임 부재의 안쪽 치수는, 상기 제 2 개구부에 장착되는 제 2 프레임 부재의 안쪽 치수보다도 크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전면 패널에 대한 장착에 관해서는, 제 1 프레임 부재 및 제 2 프레임 부재는 호환성이 있다. 따라서, 종류가 다른 배선용 차단기를 장착하는 경우에도, 대응하는 프레임 부재와 조합시키도록 하면 배선용 차단기를 공통의 장착면에 장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배전반을 적어도 부분적으로표준화할 수 있어, 배전반의 조립 완료 후에도, 배선용 차단기의 종류의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배전반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연결된 직육면체 형상의 복수의 유닛 케이스를 갖는다. 이 경우, 배전반의 전면 패널은, 유닛 케이스의 전면 벽에 의해서 형성된다. 각 유닛 케이스의 배면 벽에는, 배선용 차단기가 장착되고, 각 유닛 케이스의 전면 벽에는, 프레임 부재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유닛 케이스 마다 배선용 차단기 및 그에 적합한 프레임 부재를 장착하여 둘 수 있기 때문에, 종류가 다른 배선용 차단기마다 장착을 위한 특별한 연구를 하는 것이 불필요해진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유닛 케이스는, 전면 측에서 보았을 때 같은 폭 치수를 갖고 있고, 또한 상하로 겹쳐 쌓여 있다. 상하에 인접하는 유닛 케이스는, 예를 들면, 유닛 케이스의 양측 면에 위치하는 좌우의 측판을 개재하여 행하여진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부재는,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 접점 조작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배전반의 전면 패널에 형성된 개구부에 장착되는 것이며, 안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벽, 하측 벽, 우측 벽 및 좌측 벽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하측 벽은, 전방을 향해서 하측으로 경사져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프레임 부재는, 상측 벽, 하측 벽, 우측 벽 및 좌측 벽의 안쪽 끝에 접속된 배면 벽을 구비한다. 배면 벽에는,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 접점 조작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이 배전반은, 육면체 구조이고, 복수의 배선용 차단기가 장착된 앞 부분과, 배선용 차단기에 접속되는 도체를 배치한 중앙부와, 상세한 것은 도시하지 않지만 각종 제어선 등을 배치한 뒷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앞 부분의 구조에 주목하면, 베이스 부재(1)의 위에, 유닛 케이스(2, 3, 4, 5)가 순차 상측 방향으로 쌓아 올려져 있다. 유닛 케이스(2)와 베이스 부재(1)와의 사이 및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각 유닛 케이스 상호 사이가 나사로 연결되어 있다. 유닛 케이스(2)에는 비교적 대형의 배선용 차단기(6)가 가로 일렬로 복수 장착되고, 유닛 케이스(3)에는 각 열 복수의 비교적 소형의 배선용 차단기(7)가 상하 이열로 장착되어 있다. 유닛 케이스(4)도 유닛 케이스(3)와 같이 배선용 차단기(8)가 장착되어 있다. 유닛 케이스(5)는, 높은 위치에 있어 조작이 곤란하기 때문에 배선용 차단기는 장착되어 있지 않다.
유닛 케이스(2, 3 및 4)는, 거의 같은 구조이기 때문에 특기하지 않는 한, 유닛 케이스(4)를 대표로 설명한다. 도 3,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유닛 케이스(4)는 박판의 강판으로 이루어지고, U자형의 유닛 베이스(9)와, 전면 벽(10)에 의해서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닛 베이스(9)는, 그 끝 가장자리에, 측방 직각 굴곡편(9a)과 전면 직각 굴곡편(9b)을 갖는다. 유닛 케이스(2, 3, 4 및 5)는, 서로 같은 폭 치수(정면에서 보아 관찰되는 폭 치수)와 같은 안쪽 치수를 갖고 있다.
배전반의 측판(11)은, 앞 부분 측판(11a), 중간 측판(11b), 뒷 부분 측판(11c)으로 이루어지는 박강판으로 제작되고, 그 주위에는 직각 굴곡편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직각으로 구부러진 귀부(耳部)를 나사로 연결시킨 구조로 되어있다. 유닛 베이스(9)는, 측편 직각 굴곡편(9a)에 있어서, 배전반의 측판(11)과 나사로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모두 직각으로 구부러진 유닛 베이스와 배전반의 측판을 결합함으로써, 박판 부재로 강도가 있는 전체 케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면 벽(10)은, 유닛 베이스(9)의 전면 직각 굴곡편(9b)에 힌지(12; hinge)에 의해서 설치되고, 그 반대측의 나사(13)를 측판(11)에 설치된 암나사 부재에 죄어서 열리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유닛 케이스(2, 3, 4 및 5)는 같은 안쪽 치수라고 기재하였지만, 반드시 같은 안쪽 치수로 할 필요는 없다.
유닛 케이스(4)의 배선용 차단기(8)는, 그 단자(8a)가 유닛 베이스(9)의 배면 벽(9c)에 형성된 개구부(9d)로부터 뒤쪽으로 돌출하도록 배면 벽(9c)에 장착된다. 유닛 케이스(4)의 전면 벽(10)에는, 배선용 차단기(8)의 손잡이(8b)와 대향하는 위치에 큰 개구부(10a)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10a)에 프레임 부재(15)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프레임 부재(15)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있어서, 프레임 부재(15)는, 상부에 명찰(네임 플레이트) 감합 영역(15a)이 형성되어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전면부와, 개구부(15b)가 형성된 배면 벽(15c)과, 전면부와 배면 벽(15c)을 잇는 상하좌우의 벽(15d)과 전면부의 뒷 쪽의 상하에 설치된 장착용의 폴(15e, 15f)을 갖는다. 또한, 이 프레임 부재(15)는 전면부의 주위가 사각형의 틀(15g)로 둘러쌓여 있기 때문에, 물방울이 배면(15c)까지 들어가기 어렵다. 설령 물방울이 프레임 부재(15)의 전면부의 개구로 들어 갔다고 해도, 하부의 벽(15h)이 배면로부터 표면부를 향하여 내려가도록경사져 있기 때문에, 물이 배전반의 내부에 들어가지는 않는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15)를 전면 벽(10)에 장착할 때에는, 아래의 폴(15f)의 요부(凹部)를 전면 패널(10)의 개구부(10a)의 하측 가장자리에 끼워 넣고, 프레임 부재(15)의 상부를 전면 벽(10)을 향해서 꽉 누른다. 그렇게 하면, 탄성이 있는 상측 폴(15e)이 개구부(10a)의 상측 가장자리에 결합하기 때문에, 프레임 부재(15)를 전면 벽(10)에 간단하게(예를 들면, 원터치식으로)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장착하였을 때, 프레임 부재(15)의 배면 벽(15c)은, 배선용 차단기(8)의 표면(8c)에 따라서 위치한다. 개구부(15b)는, 배선용 차단기의 뱅크부(8d)의 바깥 둘레에 꼭 맞는다. 프레임 부재(15)는, 배선용 차단기(8)의 조작을 방해하지 않고, 또한 배선용 차단기를 안전상 지장 없이 위치 결정할 수 있도록, 그 형상 및 설치 위치가 선택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15)의 장착면(15j)에서 배선용 차단기의 표면(8c)까지의 치수 및 프레임 부재(15)의 개구부(15b)의 상하좌우 방향의 위치와 크기가 상술한 구조 및 위치 관계를 대략 만족하도록, 프레임 부재(15)는 배선용 차단기(8)의 종류에 따라서 제작된다. 예를 들면, 유닛 베이스(9)의 배면 벽(9c)에서 배선용 차단기(8)의 표면(8c)까지의 치수(도 8중의 H1)가 작은 배선용 차단기에 대해서는, 장착면(15j)에서 배면까지의 치수가 더욱 큰 프레임 부재를 장착시키면 좋다.
또한, 배선용 차단기의 뱅크부(8d)가 패널의 표면으로부터 내부로 들어간 위치에 있기 때문에, 안전상, 조작상 및 미관상의 문제가 없으면, 도 8에 도시하는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의 개구부(15b)는 반드시 뱅크부(8d)의 주위에 꼭 맞는 위치에 없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복수 종류의 플랜지(15;flange)의 장착 부분의 치수(폴(15e)과 폴(15f)의 간격 등)는 서로 같고, 전면 벽(10)의 개구부(10a)에는 어떤 프레임 부재도 장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전반은, 인접하는 전원용 배전반으로부터 연장되는 메인 바(116)에 접속되고 또한 절연 스페이서(18)를 통해서 장착되어 있는 구리 스트립로 제조된의 종 도체(17)와, 종 도체(17)에 장착된 구리 스트립로 이루어지는 횡 도체(19)와, 횡 도체(19)와 배선용 차단기(8)의 상측의 단자(8a)를 접속하는 구리 스트립로 제조된의 단자 접속 도체(20)를 갖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배전반을 구성할 때에, 배선용 차단기의 장착 위치를 미조정할 필요가 없다. 또한, 배전반의 전면 패널의 개구부와 배선용 차단기의 뱅크부가 위치적으로 다소 어긋났다고 해도, 배선용 차단기가 전면 패널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떨어져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미관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한, 배선용 차단기를 미리 유닛 케이스 내에 장착하고, 이 유닛 케이스를 베이스 부재, 측판, 천정판 등과 결합함으로써 배전반을 완성하도록 하면, 조립 작업을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유닛 케이스 자체가 뛰어난 강도를 갖기 때문에, 특별한 보강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안쪽 치수가 다른 복수의 프레임 부재를 준비해 두면, 종류가 다른 배선용 차단기를 같은 유닛 케이스 내의 배면 벽에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양 변경이 있어도 배선용 차단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이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 범위의 기재에 근거하여 정해지는 것으로, 본 발명의 균등한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가지의 수정이나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0)

  1. 개폐 접점을 조작하기 위한 접점 조작부(8b)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8)를 내부에 수납하고, 그 전면(前面) 패널(10)에 상기 접점 조작부(8b)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10a)를 형성하고 있는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배선용 차단기(8)는 상기 전면 패널(10)로부터 안쪽 방향으로 떨어져 위치하고,
    상기 개구부(10a)에는 주위를 둘러싸고 안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15d, 15h)을 갖는 프레임 부재(15)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10a)의 형상은 사각형이고,
    상기 프레임 부재(15)는 안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벽, 하측 벽, 우측 벽 및 좌측 벽을 갖고 있는, 배전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벽(15h)은 상기 전면 패널(10)측을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져 있는, 배전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15)는 상기 상측 벽, 하측 벽, 우측 벽 및 좌측 벽의 안쪽 끝에 접속된 배면 벽(15c)을 갖고 있고,
    상기 배면 벽(15c)에는 상기 접점 조작부(8b)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15b)가 형성되어 있는, 배전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은 공통의 장착면(9c)에 장착된 크기가 다른 제 1 배선용 차단기(8)와 제 2 배선용 차단기(6)를 구비하고,
    상기 배전반의 전면 패널(10)에는 상기 제 1 배선용 차단기의 접점 조작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제 1 개구부(10a)와, 상기 제 2 배선용 차단기의 접점 조작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제 2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개구부 및 제 2 개구부는 동일 형상 및 동일 크기이고,
    상기 전면 패널(10)에서 상기 제 1 배선용 차단기(8)까지의 간격은, 상기 전면 패널에서 상기 제 2 배선용 차단기까지의 간격보다도 크고,
    상기 제 1 개구부(10a)에 장착되는 제 1 프레임 부재(15)의 안쪽 치수는, 상기 제 2 개구부에 장착되는 제 2 프레임 부재의 안쪽 치수보다도 큰 배전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은 상하 방향에 배치된 직육면체 형상의 유닛 케이스(2, 3, 4)를 갖고 있고,
    상기 배전반의 전면 패널은 상기 유닛 케이스의 전면 벽(10)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각 유닛 케이스의 배면 벽(9c)에는 상기 배선용 차단기(8)가 장착되고,
    상기 각 유닛 케이스의 전면 벽(10)에는 상기 프레임 부재(15)가 장착되어 있는, 배전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닛 케이스(2, 3, 4)는 전면 측에서 보았을 때 같은 폭 치수를 갖고 있고, 또한 이런 측면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의 측판과 연결되는, 배전반.
  8. 배선용 차단기의 개폐 접점 조작부를 노출시키기 위해서 배전반의 전면 패널에 형성된 개구부에 장착되는 프레임 부재(15)에 있어서,
    안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측 벽(15d), 하측 벽(15h), 우측 벽(15d) 및 좌측 벽(15d)을 구비하는, 프레임 부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벽(15h)은 전방을 향해서 하측으로 경사져 있는, 프레임 부재.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벽, 하측 벽, 우측 벽 및 좌측 벽의 안쪽 끝에 접속된 배면벽(15c)을 구비하고,
    상기 배면 벽(15c)에는, 배선용 차단기의 계폐 접점 조작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15b)가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 부재.
KR10-2001-0016489A 2000-03-30 2001-03-29 배전반 및 프레임 부재 KR1004487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94530 2000-03-30
JP2000-094530 2000-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5096A true KR20010095096A (ko) 2001-11-03
KR100448749B1 KR100448749B1 (ko) 2004-09-18

Family

ID=18609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489A KR100448749B1 (ko) 2000-03-30 2001-03-29 배전반 및 프레임 부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139532B1 (ko)
KR (1) KR100448749B1 (ko)
CN (1) CN1255914C (ko)
DE (1) DE60100105T2 (ko)
DK (1) DK1139532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46158B1 (fr) * 2002-10-22 2004-12-24 Schneider Electric Ind Sas Chassis pour appareillage electrique
ITRM20060123A1 (it) * 2006-03-09 2007-09-10 Bticino Spa Apparecchio elettrico con porzione frontale riconfigurabile
CN105359361B (zh) * 2013-08-05 2017-09-29 三菱电机株式会社 气体绝缘开关装置
JP7065405B2 (ja) * 2018-06-27 2022-05-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カバーブロック、及び分電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03546A (en) * 1949-08-29 1952-07-15 Henry L Lais Combination service and outlet box
US3989986A (en) * 1973-03-30 1976-11-02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Metal enclosed switchgear having well-shaped front covers
US5886868A (en) * 1996-10-10 1999-03-23 Eaton Corporation Electrical distribution panel enclos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8749B1 (ko) 2004-09-18
EP1139532A1 (en) 2001-10-04
CN1319925A (zh) 2001-10-31
DE60100105D1 (de) 2003-03-27
EP1139532B1 (en) 2003-02-19
DE60100105T2 (de) 2003-10-23
CN1255914C (zh) 2006-05-10
DK1139532T3 (da) 2003-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22177C (en) Housing arrangement with at least two junction boxes
EP1596471B1 (en) Terminal arrangement of electrical apparatus
US4532574A (en) Electric meter center
US7372692B2 (en) Electrical enclosure and interior assembly therefor
US7286338B2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US4931898A (en) Loadcenter busbar retention
MX2008016201A (es) Conjunto de barra colectora modular para un centro de carga.
US7075021B2 (en) Multiple-hole terminal lug, bussing assembly and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4962443A (en) Improved residential loadcenter
US5745337A (en) Wire barrier for electrical panel board
MXPA01010756A (es) Ensamblaje de combinacion de interruptor y conector de bajo perfil.
KR100448749B1 (ko) 배전반 및 프레임 부재
US4618741A (en) Adaptor for connecting raceway trunking to a box for electrical components, and the adaptor and box in combination
US20170018911A1 (en) Doorless modular panelboard
KR200395579Y1 (ko) 저압 배전반용 조립식 부스바커넥터
JP3596869B2 (ja) 配電盤
JP4739967B2 (ja) 端子台
US20040074748A1 (en) Supporting base for a circuit breaker
HU225923B1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for two electrical apparatus such as an electrical protection device combined with a controlled switch, and electrical apparatus adapted to such device.
US3989986A (en) Metal enclosed switchgear having well-shaped front covers
US7227740B2 (en) Bus shroud
KR890004343B1 (ko) 전화 배전후레임 연결장치
KR200398668Y1 (ko) 분전반의 내부사이드커버 고정장치
KR200284459Y1 (ko) 통합 분전함
JP2001286010A (ja) 配電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