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3921A - 장파장대역 및 단파장대역의 증폭이 가능한 어븀 첨가광섬유 증폭기 - Google Patents

장파장대역 및 단파장대역의 증폭이 가능한 어븀 첨가광섬유 증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3921A
KR20010093921A KR1020000017245A KR20000017245A KR20010093921A KR 20010093921 A KR20010093921 A KR 20010093921A KR 1020000017245 A KR1020000017245 A KR 1020000017245A KR 20000017245 A KR20000017245 A KR 20000017245A KR 20010093921 A KR20010093921 A KR 20010093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edfa
wdm
doped fiber
fiber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7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경환
류우찬
Original Assignee
김효근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효근, 광주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김효근
Priority to KR1020000017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3921A/ko
Publication of KR20010093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392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5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Accommodation of active medium therein;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Construction or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3Waveguide lasers, i.e. whereby the dimensions of the waveguide are of the order of the light wavelength
    • H01S3/067Fibre lasers
    • H01S3/06754Fibre amplif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9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 H01S3/091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using optical pumping
    • H01S3/094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using optical pumping by coherent light
    • H01S3/0941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using optical pumping by coherent light of a laser di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4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as the active medium
    • H01S3/16Solid materials
    • H01S3/1601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an active (lasing) ion
    • H01S3/1603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an active (lasing) ion rare earth
    • H01S3/1608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an active (lasing) ion rare earth erbiu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s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평행한 구조의 EDFA와는 달리 L 대역과 C 대역을 증폭하는 각각의 EDFA를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서로 비슷한 증폭대역을 가지며, C 대역 EDFA의 입력 변화에 대한 출력 변화를 줄일 수 있는 광대역 특성을 갖는 장파장대역 및 단파장대역의 증폭이 가능한 어븀 첨가 광섬유 증폭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광신호를 C 대역과 L 대역으로 분리하는 제 1 WDM 결합기와; 제 1 WDM 결합기에 의해 분리된 L 대역을 증폭하는 L 대역 EDFA와; 증폭된 L 대역과 제 1 WDM 결합기에 의해 분리된 C 대역을 다시 하나의 광신호로 결합하는 제 3 WDM 결합기 및; 제 3 WDM 결합기에 의해 결합된 광신호중 C 대역을 증폭하는 C 대역 EDFA가 직렬로 연결된 장파장대역 및 단파장대역의 증폭이 가능한 어븀 첨가 광섬유 증폭기를 구현한다. 따라서, L 대역 EDFA의 출력을 C 대역 EDFA의 입력으로 사용하여 C 대역 EDFA를 포화시킴으로써 C 대역 입력 신호의 변화에 따른 C 대역 EDFA 출력의 변화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그로 인해 C 대역의 출력 변화를 일정한 범위 내에 유지하는데 있어서 변화시켜야하는 변화 폭이 감소되어 증폭이득평탄도를 효율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장파장대역 및 단파장대역의 증폭이 가능한 어븀 첨가 광섬유 증폭기{ERBIUM DOPED FIBER AMPLIFIER CAPABLE OF AMPLIFYING A LONG WAVELENGTH BAND AND A SHORT WAVELENGTH BAND}
본 발명은 클래드 영역에 어븀을 첨가하여 광섬유 증폭기(Erbium Doped Fiber Amplifier : 이하 EDFA라 한다)의 증폭대역을 증가시킬 수 있는 광섬유 증폭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증폭 이득 대역을 갖는 EDFA를 직렬로 결합함으로써 증폭 대역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는 장파장대역 및 단파장대역의 증폭이 가능한 어븀 첨가 광섬유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광섬유 증폭기는 신호광을 광섬유 안에서 증폭시킴으로써 신호광이 광섬유를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손실을 보상해 주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광섬유 증폭기는 다중파장분할전송(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 WDM) 방식이 도입되면서 증폭이득 대역폭에서 평탄한 이득을 나타내는 대역이 넓어야 하는 특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도 1은 종래의 단파장대역 EDFA의 파장에 따른 증폭이득 특성곡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통상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이득곡선에서 증폭이득대역인 1525㎚ 부근에서 1560㎚ 부근까지의 파장대역을 단파장대역(Short Wavelength Band)이나 기존증폭대역(Conventional Band : 이하 C 대역이라 함) 또는 1550㎚ 대역이라 한다.
그리고, 도 2는 종래의 장파장대역 EDFA의 파장에 따른 증폭이득 특성곡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이득곡선에서 증폭대역인 1570㎚ 부근에서 1610㎚ 부근까지의 파장대역을 장파장대역(Long Wavelength Band : 이하 L 대역이라 함) 혹은 확장대역(Expanded Band) 혹은 1580㎚ 대역이라 한다.
이러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각각의 증폭대역은 약 40㎚ 이하로써 이 증폭 대역의 선택은 일정한 펌프 광에 대한 광섬유(EDF)의 길이에 따라 결정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각각의 증폭대역을 가지는 두 개의 EDFA를 결합하여 하나의 증폭기로 구성함으로써 증폭 이득 대역폭이 보다 더 넓은 광섬유 증폭기를 구현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에 대해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먼저, C 대역과 L 대역을 증폭할 수 있는 서로 다른 두 개의 EDFA를 평행하게 배열하고 이 두 대역을 WDM 결합기로 분리하여 각각을 두 개의 EDFA로 증폭한 후 다시 다른 WDM 결합기로 결합하는 구조와, 두 개의 광 회전기(Circulator)와 두 개의 대역반사필터(Band Rejection Filter)를 이용하여 C 대역과 L 대역을 분리, 증폭, 결합하는 평행한 구조의 EDFA가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제안된 EDFA들은 증폭 이득 평탄화 필터(Gain Equalization Filter)를 이용하였을 때 약 80㎚의 평탄화된 증폭이득대역을 나타낸다.
한편, 이와는 달리, L 대역과 C 대역을 증폭하는 각각의 EDFA를 직렬로 연결하게 되면, 각 EDFA에서 비슷한 증폭대역을 가지게 되며, L 대역을 이용하여 C 대역을 증폭하는 EDFA를 포화시킴으로써 C 대역 EDFA의 입력 변화에 대한 출력 변화를 줄일 수 있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종래의 평행한 구조의 EDFA와는 달리 L 대역과 C 대역을 증폭하는 각각의 EDFA를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각각 비슷한 증폭대역을 가지며, C 대역 EDFA의 입력 변화에 대한 출력 변화를 줄일 수 있는 광대역 특성을 갖는 장파장대역 및 단파장대역의 증폭이 가능한 어븀 첨가 광섬유 증폭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장파장대역(L 대역) 및 단파장대역(C 대역)의 증폭이 가능한 어븀 첨가 광섬유 증폭기에 있어서, 광신호를 C 대역과 L 대역으로 분리하는 제 1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결합기와; 상기 제 1 WDM 결합기에 의해 분리된 L 대역을 증폭하는 L 대역 EDFA(Erbium Doped Fiber Amplifier)와; 상기 증폭된 L 대역과 상기 제 1 WDM 결합기에 의해 분리된 C 대역을 다시 하나의 광신호로 결합하는 제 3 WDM 결합기 및; 상기 제 3 WDM 결합기에 의해 결합된 광신호중 C 대역을 증폭하는 C 대역 EDFA가 직렬로 연결된 장파장대역 및 단파장대역의 증폭이 가능한 어븀 첨가 광섬유 증폭기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단파장대역 증폭 EDFA의 파장에 따른 증폭이득 특성곡선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장파장대역 증폭 EDFA의 파장에 따른 증폭이득 특성곡선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파장대역 및 단파장대역의 증폭이 가능한 어븀 첨가 광섬유 증폭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구조의 증폭기에서 발생하는 파장에 대한 증폭이득특성곡선을 도시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d는 도 3에 도시된 EDFA의 2단 구조 조합 중에서 대표적인 4가지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파장대역 및 단파장대역의 증폭이 가능한 어븀 첨가 광섬유 증폭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1 : 제 1 광 고립기 312 : 제 1 WDM 결합기
321 : 제 2 WDM 결합기 322 : 제 1 펌프용 레이저 다이오드
323 : 제 1 EDF 324 : 제 2 광 고립기
331 : 제 3 WDM 결합기 341 : 제 4 WDM 결합기
342 : 제 2 펌프용 레이저 다이오드
343 : 제 2 EDF 344 : 제 3 광 고립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반적인 EDFA의 기본 원리를 살펴보면, 980㎚ 혹은 1480㎚ 대역인 펌프광을 펌프(Pump)/1550㎚ WDM 결합기롤 사용하여 EDF에 넣어주면 높은 에너지를 가지는 펌프광이 EDF를 매개로 하여 보다 낮은 에너지를 갖는 1550㎚ 신호로 에너지를 더해주어 신호광을 증폭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증폭 대역은 일정한 길이의 EDF에 대한 펌프광의 세기, 일정한 세기의 펌프광에 대한 EDF의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전술한 도 1의 C 대역을 증폭하는 EDFA의 파장에 따른 이득 특성곡선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C 대역 오른쪽의 L 대역에서도 약간의 증폭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C 대역 EDFA에서의 L 대역 증폭 특성을 이용하여 L 대역을 C 대역과 동시에 넣어 C 대역 EDFA에서 증폭하는 광대역 EDFA, 즉 장파장대역 및 단파장대역의 증폭이 가능한 어븀 첨가 광섬유 증폭기를 구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L 대역 EDFA의 출력을 C 대역 EDFA에 C 대역신호와 동시에 넣음으로써 C 대역의 증폭과 일정부분 L 대역의 증폭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파장대역 및 단파장대역의 증폭이 가능한 어븀 첨가 광섬유 증폭기(EDFA)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 1 광 고립기(311), 제 1 WDM 결합기(312), 제 2 WDM 결합기(321), 제 1 펌프용 레이저 다이오드(322), 제 1 EDF(323), 제 2 광 고립기(324), 제 3 WDM 결합기(331), 제 4WDM 결합기(341), 제 2 펌프용 레이저 다이오드(342), 제 2 EDF(343), 제 3 광 고립기(34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2 WDM 결합기(321), 제 1 펌프용 레이저 다이오드(322), 제 1 EDF(323), 제 2 광 고립기(324)는 L 대역 EDFA(320)가 되며, 제 4 WDM 결합기(341), 제 2 펌프용 레이저 다이오드(342), 제 2 EDF(343), 제 3 광 고립기(344)는 C 대역 EDFA(340)가 된다. 즉, 도 3은 C 대역과 L 대역을 증폭하는 각각의 EDFA를 직렬로 연결하여 구성된 하나의 EDFA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 및 제 3 WDM 결합기(312, 331)는 1550㎚/1580㎚ WDM 결합기이며, 제 2 및 제 4 WDM 결합기(321, 341)는 Pump/1550㎚ WDM 결합기이다. 또한, 제 1 및 제 2 펌프용 레이저 다이오드(322, 342)는 980㎚ 또는 1480㎚의 펌프광을 발생하는 펌프용 레이저 다이오드로 구성된다.
그리고, 동도면의 양쪽에 구비된 제 1 및 제 2 광 고립기(311, 344)는 다른 여러 가지 소자나 광의 산란에 의해서 반사된 광이 역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을 막아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동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파장대역 및 단파장대역의 증폭이 가능한 EDFA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C 대역과 L 대역은 제 1 WDM 결합기(312)에 의해 분리되고, 여기서 분리된 L 대역은 L 대역을 증폭하는 L 대역 EDFA(320)에 의해서 일부 증폭된다. 이렇게 증폭된 L 대역은 제 3 WDM 결합기(331)에 의해서 제 1 WDM 결합기(312)에 의해 분리된C 대역과 다시 결합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거쳐 결합된 L 대역과 C 대역은 C 대역을 증폭하는 C 대역 EDFA(340)에 입력된다.
이때, C 대역 EDFA(340)로부터 얻어지는 증폭이득특성곡선에서 L 대역 증폭 이득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면서 증폭 이득에서 파장에 따른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L 대역에서의 증폭 이득의 차이는 앞단의 L 대역 EDFA(320)의 증폭 이득을 C 대역 EDFA(340)의 L 대역 증폭과 역전이 되도록 함으로써 보상해 주게 된다.
따라서, L 대역에서 기울기가 서로 다른 증폭 EDFA를 직렬 연결하여 L 대역에서 이득의 평탄도가 일정한 범위 내로 들어오게 되고, L 대역의 파장에 따른 증폭이득특성이 도 2에 도시된 특성곡선과 유사하게 된다.
또한, L 대역 EDFA(320)의 출력으로 나오는 증폭된 신호광은 그 세기가 충분히 증폭되어 후단의 C 대역 EDFA(340)의 출력을 충분히 포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포화된 EDFA는 입력 신호의 크기가 변화더라도 출력이 포화되지 않은 EDFA에 비해 출력의 변화가 더 작게 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면 C 대역의 입력 신호광의 변화에 따른 C 대역의 이득의 변화를 L 대역 EDFA의 출력 세기로써 조절할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본 발명에서 제안한 L 대역과 C 대역을 직렬로 연결한 EDFA는 입력 신호의 변화에 따른 EDFA의 출력 세기의 변화를 일정한 범위 내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C 대역 EDFA의 이득 평탄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있어서 L 대역이 없을 때보다 변화시키는 정도가 더 작게 된다.
그리고, EDF와 펌프용 레이저 다이오드의 수를 증가시키게 되면, L 대역 EDFA(320)와 C 대역 EDFA(340) 각각의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L 대역과 C 대역을 직렬로 연결한 EDFA에서 발생하는 파장에 따른 증폭이득특성곡선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에서 도시된 각 EDF(323, 343)가 상용 EDF로써 L 대역 증폭 EDFA(320)에서는 약 50m, C 대역 증폭 EDFA(340)에는 약 15m 정도로 구성되었을 때 나타나는 증폭이득특성곡선이다. 이 EDF의 길이는 그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L 대역 증폭 EDFA(320)의 증폭이득의 세기와 대역의 넓이는 EDF의 종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L 대역 증폭 EDFA(320)나 C 대역 증폭 EDFA(340)는 증폭이득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WDM 결합기의 수를 늘려 펌프광의 수를 더할 수 있다. 즉, 각 EDFA가 2단, 3단 등 여러 단으로 늘어날 수도 있다. 이러한 각 EDFA는 펌프의 방향과 신호광의 방향에 따라 다양한 여러 가지 구조로 구현될 수 있는데, 도 5a 내지 도 5d는 2단 구조의 조합 중에서 대표적인 4가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펌프용 레이저 다이오드의 위치를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하게 변경하여 EDFA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EDFA에서 증폭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지 않는 증폭된 자가 방출 광(Amplified Spontaneous Emission: 이하 ASE라 함)을 재활용할 수 있는데, 도 6은 이러한 ASE를 재활용할 수 있는 증폭기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EDFA의 전반적인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EDFA와 유사하며, 별도의 WDM 결합기(325)와 광 회전기(Circulator)(332)가 추가되었다.
도 6에 도시된 EDFA는 C 대역 증폭 EDFA(340)의 후방 ASE를 광 회전기(332)를 이용하여 C 대역 경로에서 분리한 후 1550㎚/1580㎚ WDM 결합기(325)를 이용해 L 대역 경로로 삽입하여 L 대역 증폭기의 2차 펌프로 사용한 구조이며, 이러한 경우에는 EDFA의 증폭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광통신 증폭기로 이용되고 있는 어븀 첨가 광섬유 증폭기(EDFA)의 서로 다른 두 개의 증폭 대역인 장파장대역(L-band)과 단파장대역(C-band)을 직렬 구조로 결합함으로써 증폭 대역을 확장하여 파장분할다중(WDM) 방식의 광통신에 적합한 광섬유 증폭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C 대역을 증폭할 수 있는 EDFA와 L 대역을 증폭할 수 있는 EDFA를 직렬로 연결하여 광대역 EDFA를 구현함으로써, 평행한 구조를 가지는 광대역 EDFA와 동일한 증폭이득대역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L 대역 EDFA의 출력을 C 대역 EDFA의 입력으로 사용하여 C 대역 EDFA를 포화시킴으로써 C 대역 입력 신호의 변화에 따른 C 대역 EDFA 출력의 변화를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그로 인해 C 대역의 출력 변화를 일정한 범위 내에 유지하는데 있어서 변화시켜야하는 변화 폭이 감소되어 증폭이득평탄도를 효율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장파장대역(L 대역) 및 단파장대역(C 대역)의 증폭이 가능한 어븀 첨가 광섬유 증폭기에 있어서,
    광신호를 C 대역과 L 대역으로 분리하는 제 1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결합기와;
    상기 제 1 WDM 결합기에 의해 분리된 L 대역을 증폭하는 L 대역 EDFA(Erbium Doped Fiber Amplifier)와;
    상기 증폭된 L 대역과 상기 제 1 WDM 결합기에 의해 분리된 C 대역을 다시 하나의 광신호로 결합하는 제 3 WDM 결합기 및;
    상기 제 3 WDM 결합기에 의해 결합된 광신호중 C 대역을 증폭하는 C 대역 EDFA가 직렬로 연결된 장파장대역 및 단파장대역의 증폭이 가능한 어븀 첨가 광섬유 증폭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 대역 EDFA는,
    펌프광을 발생하는 제 1 펌프용 레이저 다이오드와; 상기 제 1 WDM 결합기에 의해 분리된 L 대역과 상기 제 1 펌프용 다이오드로부터 발생된 펌프광을 결합하여 전송하는 제 2 WDM 결합기 및; 상기 제 2 WDM 결합기로부터 출력된 광신호를 통과시키는 제 2 EDF(Erbium Doped Fiber)와; 상기 제 1 EDF를 통과한 광신호를 상기제 3 WDM 결합기로 전송하는 제 2 광 고립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C 대역 EDFA는,
    펌프광을 발생하는 제 2 펌프용 레이저 다이오드와; 상기 제 3 WDM 결합기에 의해 결합된 광신호와 제 2 펌프용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발생된 펌프광을 결합하여 전송하는 제 4 WDM 결합기 및; 상기 제 4 WDM 결합기로부터 출력된 광신호를 통과시키는 제 2 EDF와; 상기 제 2 EDF를 통과한 광신호의 역방향 진행을 방지하는 제 3 광 고립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파장대역 및 단파장대역의 증폭이 가능한 어븀 첨가 광섬유 증폭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븀 첨가 광섬유 증폭기는, 증폭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C 대역 EDFA의 후방 ASE(Amplified Spontaneous Emission)를 광 회전기를 이용하여 분리한 다음 제 5 WDM 결합기를 이용해 상기 L 대역 EDFA로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파장대역 및 단파장대역의 증폭이 가능한 어븀 첨가 광섬유 증폭기.
KR1020000017245A 2000-04-03 2000-04-03 장파장대역 및 단파장대역의 증폭이 가능한 어븀 첨가광섬유 증폭기 KR200100939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245A KR20010093921A (ko) 2000-04-03 2000-04-03 장파장대역 및 단파장대역의 증폭이 가능한 어븀 첨가광섬유 증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245A KR20010093921A (ko) 2000-04-03 2000-04-03 장파장대역 및 단파장대역의 증폭이 가능한 어븀 첨가광섬유 증폭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921A true KR20010093921A (ko) 2001-10-31

Family

ID=19661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7245A KR20010093921A (ko) 2000-04-03 2000-04-03 장파장대역 및 단파장대역의 증폭이 가능한 어븀 첨가광섬유 증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392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661A (ko) * 2001-09-25 2003-04-10 주식회사 머큐리 광대역용 광섬유 증폭기
WO2003065621A1 (en) * 2002-01-30 2003-08-07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 method for decreasing and compensating the transmission loss at a wavelength-division-multiplexed passive optical network and an apparatus therefor
KR100424630B1 (ko) * 2002-02-14 2004-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엘-밴드 어븀첨가 광섬유 증폭기
KR20040026396A (ko) * 2002-09-24 2004-03-31 주식회사 케이티 대역 선택이 가능한 광증폭기
KR100474714B1 (ko) * 2002-09-18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광섬유 증폭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2306A (ja) * 1993-12-29 1995-08-04 Nec Corp 波長多重伝送用光ファイバ増幅器
JPH08248455A (ja) * 1995-03-09 1996-09-27 Fujitsu Ltd 波長多重用光増幅器
KR19980063141A (ko) * 1996-12-31 1998-10-07 유기범 이득 평탄화 광섬유증폭기
KR19980073495A (ko) * 1997-03-14 1998-11-05 유기범 이득 평탄화 광섬유증폭기
JPH11122192A (ja) * 1997-10-17 1999-04-30 Fujitsu Ltd 光増幅器及び該光増幅器を備えた光通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2306A (ja) * 1993-12-29 1995-08-04 Nec Corp 波長多重伝送用光ファイバ増幅器
JPH08248455A (ja) * 1995-03-09 1996-09-27 Fujitsu Ltd 波長多重用光増幅器
KR19980063141A (ko) * 1996-12-31 1998-10-07 유기범 이득 평탄화 광섬유증폭기
KR19980073495A (ko) * 1997-03-14 1998-11-05 유기범 이득 평탄화 광섬유증폭기
JPH11122192A (ja) * 1997-10-17 1999-04-30 Fujitsu Ltd 光増幅器及び該光増幅器を備えた光通信システ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661A (ko) * 2001-09-25 2003-04-10 주식회사 머큐리 광대역용 광섬유 증폭기
WO2003065621A1 (en) * 2002-01-30 2003-08-07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 method for decreasing and compensating the transmission loss at a wavelength-division-multiplexed passive optical network and an apparatus therefor
KR100424630B1 (ko) * 2002-02-14 2004-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엘-밴드 어븀첨가 광섬유 증폭기
KR100474714B1 (ko) * 2002-09-18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광섬유 증폭기
KR20040026396A (ko) * 2002-09-24 2004-03-31 주식회사 케이티 대역 선택이 가능한 광증폭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0209B1 (ko) 광대역 광섬유증폭기 및 그 증폭 방법
JP3936533B2 (ja) 希土類ドープファイバ増幅器および多段ファイバ増幅器
US6972899B2 (en) Wide band erbium-doped fiber amplifier with gain enhancement
EP1263096B1 (en) Improved wide band erbium-doped fiber amplifier (EDFA)
JPH04250429A (ja) 光ファイバ増幅器
US6426833B1 (en) Optical amplifier configuration including shared pumps
US6867912B2 (en) Wide-band erbium-doped fiber amplifier and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optical transmission system
KR100424630B1 (ko) 엘-밴드 어븀첨가 광섬유 증폭기
US6529317B2 (en) L-band erbium-doped fiber amplifier pumped by 1530 nm-band pump
US5835259A (en) Optical fiber amplifier
KR100407326B1 (ko) 밴드 간섭을 최소화한 광대역 어븀첨가 광섬유 증폭기
KR100498938B1 (ko) 광대역 광증폭기
KR100474701B1 (ko) 이득 조절이 가능한 광대역 광섬유 증폭기
KR100480259B1 (ko) 툴륨 첨가 광섬유 증폭기
KR20010093921A (ko) 장파장대역 및 단파장대역의 증폭이 가능한 어븀 첨가광섬유 증폭기
KR100474696B1 (ko) 광대역 광섬유 증폭기
KR20030022974A (ko) 분산 보상된 광섬유 증폭기
KR100399578B1 (ko) 장파장 이득대역 어븀 첨가 광섬유 증폭기 및 역방향 진행자연방출광 차단 방법
EP1087550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optical amplification
JP3250473B2 (ja) 光増幅器
KR100341215B1 (ko) 에르븀첨가광섬유의 장파장대역을 이용한 2단 광증폭기
JPH11330593A (ja) 広帯域自然放出光光源
GB2344210A (en) A parallel optical fibre amplifier
KR20000014786A (ko) 고 출력 변환효율을 갖는 광섬유 증폭기
KR20040026396A (ko) 대역 선택이 가능한 광증폭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