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3731A - Pc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카드 커넥터 - Google Patents

Pc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카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3731A
KR20010093731A KR1020010016145A KR20010016145A KR20010093731A KR 20010093731 A KR20010093731 A KR 20010093731A KR 1020010016145 A KR1020010016145 A KR 1020010016145A KR 20010016145 A KR20010016145 A KR 20010016145A KR 20010093731 A KR20010093731 A KR 20010093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terminal
terminals
card connector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6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4848B1 (ko
Inventor
니이쯔도시히로
Original Assignee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루이스 에이. 헥트
Publication of KR20010093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3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8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PC 카드(1)를 수용하기 위한 개선된 카드 커넥터(2)가 개시되어 있다. 카드 커넥터는 카드 커넥터 섹션(3) 및 기판 커넥터 섹션(4)을 포함하며, 카드 커넥터 부분은 카드의 외부 케이싱과 접촉하도록 접지 단자(9) 및 카드의 대응 리셉터클과 정합하기 위해 핀 단자(6)의 측방향 어레이(7)를 구비한 절연 하우징(5)을 포함한다. 절연 하우징은 하향 연장 레그부(29)를 갖춘 후방으로 연장하는 정렬 연장부(28)를 더 포함한다. 핀 단자는 정렬 섹션(28)의 레그부(29)를 따라 단일 열로 배열된 연결 미부(8)를 포함한다. 기판 커넥터 섹션(4)은 정렬 섹션(28)의 인접한 레그부(29)를 따라 카드 커넥터 섹션의 핀 단자의 개별 연결 미부를 수용하기 위한 "C"형 접촉 단면을 구비한 연결 미부(22a)를 갖춘 신호 단자(22)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열은 카드 커넥터의 종방향 크기를 상당량 감소시켜 준다.

Description

PC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카드 커넥터 {CARD CONNECTOR FOR RECEIVING PC CARD}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며, 특히 하나 이상의 PC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카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카드 커넥터는 핀 단자 어레이 및 하나 이상의 PC 또는 다른 메모리 카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평행하게 배열된 접지 단자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핀 단자는 카드 내에 일렬로 상응하게 배열된 카드의 대응 암형 리셉터클과 정합하기 위해 일렬로 배열되며(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9-54898호 참조), 접지 단자는 카드의 도전성 외부 하우징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카드 커넥터에는 카드 또는 카드 커넥터로부터 카드를 제거하기 위해 카드 배출 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접지 단자는 카드 커넥터가 장착되는 주어진 회로 기판의 접지 회로에 접속되어야 한다. 단일 카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공지된 카드 커넥터에서 이러한 접속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접지 단자는 핀 단자의 미부를 덮는 단자의 후방 섹션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며,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9-54898호로부터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 단자 또는 관련 차폐판의 연장부를 통해서 회로 기판의 접지 회로에 접속된다.
두 개 이상의 레벨에서 두 개 이상의 핀 단자 어레이를 갖춘 카드 커넥터의 경우에 있어서, 전술한 단일 핀 단자 어레이에서와 같이 간단한 차폐판에 의존하여서는 접지가 달성될 수 없다. 대신에, 카드 커넥터의 후방측에 릴레이 회로 기판을 위치시키는 것이 공지되어 있어, 이로 인해 릴레이 회로 기판의 대응 도전체에 핀 단자 및 접지 단자의 미부를 접속시키며, 그리고 나서, 릴레이 회로 기판은 카드 커넥터가 기판-대-기판 커넥터 또는 카드 에지 커넥터를 이용함으로써 장착되는 회로 기판에 접속된다.
이러한 릴레이 회로 기판 및 보드-대-보드 커넥터의 사용은 카드 커넥터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어렵게 만들었다. 왜냐면, 릴레이 회로 기판 및 기판-대-기판 커넥터가 카드 커넥터의 후방측으로부터 상당량 연장되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러한 종래 기술의 커넥터에서, 부품 및 공정의 수는 증가되며, 따라서 제조 비용 또한 증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크기가 최소로 감소된 접지 단자를 갖는 카드 커넥터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개의 PC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커넥터가 마련되어 있는 데, 이는 카드의 외부 케이싱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각 어레이 위에 연장하는 2개의 평행한 접지 단자와 PC 카드의 해당 리셉터클과 정합하도록 구성된 핀 단자의 2개의 평행한 측방향 어레이를 장착하는 절연 하우징을 갖는다. 카드 커넥터는 접지 단자를 함께 접속하도록 핀 단자의 측방향 어레이를 수직으로 횡단하는 접지 단자 로드를 더 포함하여, 모든 접지 단자가 연결 단자 로드를 거쳐 주어진 회로 기판의 접지 회로에 접속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배열로, 접지 단자는 접지 단자 로드를 거쳐 주어진 인쇄 회로 기판의 접지 회로에 접속되어, 주지의 커넥터에서 절연 하우징의 후방측 상에 카드 커넥터의 크기를 연장하는 릴레이 회로 기판의 사용을 제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카드 커넥터의 종방향 크기가 감소된다.
본 발명의 카드 커넥터는 카드 커넥터 섹션에 접속되는 기판 커넥터 섹션과 PC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카드 커넥터 섹션을 더 포함한다. 카드 커넥터 섹션은 하향 연장하는 L-형상의 레그부를 갖는 2개의 후방으로 연장하는 정렬 연장부를 포함하고 핀 단자의 2개의 측방향 어레이를 장착한 절연 하우징을 포함한다. 측방향 어레이 2 세트의 핀 단자는 절연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그들의 L-형상의 연결 미부는 하우징의 정렬 연장부의 레그부를 따라서 단일 열 내에 배열된다. 기판 커넥터 섹션은 2개의 섹션이 접속될 때 핀 단자와 접촉하기 위한 신호 단자를 포함하는 데, 이는 즉, 카드 커넥터 섹션의 절연 하우징의 후방측 상에 노출된 핀 단자의 연결 미부가 카드 커넥터 섹션이 기판 커넥터 섹션에 접속될 때 기판 커넥터 섹션의 절연 하우징의 전방측 상에서 신호 단자의 결합 미부와 접촉한다. 기판 커넥터 섹션의 신호 단자의 결합 미부는 그 각각이 정렬 연장부의 인접 레그부를 따라서 카드 커넥터 섹션의 핀 단자의 각 연결 미부를 수용하기 위한 C-형상의 접촉 섹션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기판 커넥터 섹션의 절연 하우징의 전방측 상의 신호 단자의 결합 미부의 배열로, 카드 커넥터 섹션의 핀 단자 및 기판 커넥터 섹션의 신호 단자는 감소된 공간 내에 한정되고, 그에 의해 카드 커넥터의 종방향 크기의 감축에 더 기여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커넥터의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드 커넥터의 종단면도.
도2는 도1의 카드 커넥터의 주요부의 확대 종단면도.
도3은 부가적인 상세부를 도시하기 위해서 부분적으로 절취된 카드 커넥터의 평면도.
도4는 카드 커넥터의 평면도.
도5는 카드 커넥터의 후방도.
도6은 카드 커넥터의 정면도.
도7은 카드 커넥터의 측면도.
도8은 카드 커넥터의 저면도.
도9는 접지 단자 로드가 다른 레벨의 핀 및 접지 단자 배열을 횡단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카드 커넥터의 일 부분의 확대도.
도10은 접지 단자 로드의 사시도.
도11은 캐리어 스트립(carrier strip)에 연결되고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의 접지 단자를 갖춘 스탬핑되고 형성된 시트의 단면도.
도12는 카드 커넥터의 기판 커넥터 섹션의 확대된 종단면도.
도13은 기판 커넥터 섹션의 확대 평면도.
도14는 접지 연결 단자의 스탬핑되고 형성된 시트의 일부분의 확대도.
도15는 도14의 접지 연결 단자의 스탬핑되고 형성된 측면도.
도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핀 단자의 단일 측방향 어레이를 갖는 카드 커넥터의 종단면도.
도17은 도16의 카드 커넥터의 주요부의 확대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PC 카드
2 : 카드 커넥터
3 : 카드 커넥터 섹션
4 : 기판 커넥터 섹션
5 : 절연 하우징
6 : 핀 단자
8 : 연결 단부
9 : 접지 단자
10 : 접지 단자 로드
22 : 신호 단자
22a : 결합 단부
28 : 정렬 연장부
29 : 레그부
신규한 것으로 믿어지는 본 발명의 특징들은 후속의 청구범위에 특징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그 목적 및 장점과 함께, 유사한 참조부호가 유사한 요소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된 후속의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먼저 도1 내지 도3에서, PC 카드(1)를 수용하기 위한 카드 커넥터(2)는 카드 커넥터 섹션(3) 및 그에 일체로 접속되는 기판 커넥터 섹션(4)을 포함한다.
또한, 도4 내지 도8을 보면, 카드 커넥터 섹션(3)은 각 카드(1)의 외부 케이싱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접지 단자(9)의 2개 열과 2개의 정합 PC 카드(1)의 해당 리셉터클과 정합되는 핀 단자(6)의 2개의 측방향 어레이를 장착하는 절연 하우징(5)을 포함한다. 절연 하우징(5)은 하향 연장하는 L-형상의 레그부(29)를 갖는 (단자의 2개의 측방향 어레이에 대응하는) 2개의 후방으로 연장하는 정렬 연장부(28)를 포함한다. 핀 단자(6)의 측방향 어레이(7)는 상부 및 하부의 이격된 레벨에서 서로 수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각각의 어레이는 각 카드에 정합하도록 핀 단자(6)의 상부 및 하부 열을 포함한다. 접지 단자(9)는 2개의 레벨에서 유사하게 배열되고, 접지 단자(9)의 각 열은 각 측방향 어레이에서 핀 단자의 각 상부 열 위에 연장한다. 측방향 어레이 2세트의 핀 단자(6)는 절연 하우징(5) 내에 장착되어 그들의 L-형상의 연결 미부(8)가 절연 하우징(5)의 후방측 상에서 정렬 연장부(28)의 각 레그부(29)를 따라서 단일 열 내에 정렬된다(도2에 도시). 이들인-라인의 연결 미부(8) 사이의 공간은 핀 단자(6) 사이의 거리의 절반이다.
접지 단자(9)는 PC 카드(1)가 상기 카드 커넥터 안으로 삽입될 때 핀 단자(6)의 각 상부 열 상으로 연장되어 각 PC 케이싱의 외부면과 접촉하도록 수직으로 정렬된다.
"U"형상인 접지 단자 로드(10; 도10)는 인접 접지 단자(9)들을 서로 연결시키고 접지 단자 로드(10)를 통해 모든 접지 단자(9)를 기재 회로 기판의 접지 회로에 연결시키기 위해 상부 및 하부 핀 단자 어레이(7)의 핀-대-핀(pin-to-pin) 간격은 수직으로 횡단하는 절연 하우징(5) 안에 장착된다. 도3 및 도9 내지 도11에 도시된 것처럼, 각 접지 단자 로드(10)는 두 개의 인접 접지 단자(9)를 브릿지시킨다. 또한, 도8에서 볼 수 있듯이, 각 접지 단자 로드(10)는 두 개의 접지 단부(10a)를 제공하기 위해 절연 하우징(5)의 바닥(5a)으로부터 돌출된다.
도3에서 볼 수 있듯이, 각각이 핀 단자(6)의 하나의 어레이(7)에 할당된 두 개의 카드 방출 기구(12)는 절연 하우징(5)의 하나의 종측(5b) 상에 구비된다. 각각의 카드 방출 기구(12)는 방출 로드(13)와, 일 단부에서 푸시(push) 버튼을 갖춘 푸시 로드(14)와, 방출 로드(13)와 푸시 로드(14) 사이에서의 간격 기어(15)를 포함한다. 방출 로드(13)는 각각의 PC 카드의 전방 단부를 포획하고 방출시키기 위해 일 단부에 후크(18)를 갖는다. 버튼(16)이 가압될 때, 푸시 로드(14)는 방출 로드(13)를 전방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후방으로 밀려서 카드를 방출시킨다.
장방형 금속 쉘(19)은 절연 하우징(5)의 상부면 상에 장착된다. 장방형 셀의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측벽은 PC 카드(1)를 안내하기 위해서 상기 하우징의 종방향 아암(5b)과 협동하는 슬롯(11)을 갖고, 장방형 쉘(19)의 후방벽(26)은 기판 커넥터 섹션(4)의 후방 측을 덮는다. 절연 하우징(5)은 상기 PC 카드의 삽입을 수용하기 위해 그 전방 측면 상에 개구(20)를 갖는다.
도9에 도시된 것처럼, 접지 단자 로드(10)는 화살표 "A"로 표시된 방향으로 절연 하우징(5)에 장착되고 접지 단자(9)의 양 레벨을 통과한다. 도11에 도시된 것처럼, 접지 단자(9)는 장형 얇은 금속 박막을 스탬핑하여 형성시킴으로써 제작된다. 각 접지 단자는 접지 단자 로드(10)의 하나의 레그가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종방향 중심축에 대해 오프셋된 결합 구멍(9a)을 갖는다. 결합 구멍(9a)은 접지 단자 로드(10)에 접촉하도록 내부에 형성된 두 개의 캔티레버와 유사한 접점(9b)을 갖는다.
도12 및 도13에 도시된 것처럼, 기판 커넥터 섹션(4)은 신호 단자(22)와 통상적으로 "L"형상인 절연 하우징(21) 내에 장착된 접지 연결 단자(23)를 포함한다. 신호 단자(22)의 하나의 열은 절연 하우징(21)의 하부로부터 삽입되어 절연 하우징(21)의 직립벽(21a)을 따라 연장된다. 이와 유사하게, 신호 단자(22)의 다른 열은 절연 하우징의 하부로부터 삽입되어 직립벽(21a)으로부터 수직으로 이격된다. 신호 단자(22)는 핀 단자(6)의 연결 미부로써 등간격, 즉, 동일한 이격 공간으로 배열되고, 신호 단자(22)의 결합 미부(22a)는 상기 카드 커넥터의 전방으로 연장된다. 도12에 도시된 것처럼, 신호 단자(22)의 두 개의 열은 그들의 결합 미부(22a)가 단자 어레이(7)의 상부 및 하부 연결 미부를 접촉시키도록 위치되는 것을 허용하는 상이한 레벨을 갖는다. 또한, 신호 단자(22)는 절연 하우징(21)의 하부면 아래로 연장되고, 단자(22)의 하나의 열은 전방으로 연장되고 단자의 다른 열은 하우징의 하부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다. 도12에 도시되고 도2를 참조할 때, 기판 커넥터 섹션(4)의 신호 단자(22)의 결합 미부(22a)는 카드 커넥터 섹션의 핀 단자(6)의 각각의 연결 미부(8)를 정렬 연장부(28)의 인접 레그부(29)를 따라 수납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C"형상인 접촉 섹션을 각각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도14 및 도15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접지 연결 단자(23)는 중심 결합편(27)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두 개의 섹션을 갖고, 이러한 섹션 각각은 접지 단자 로드(10)의 두 개의 평행한 레그와 일치하여 접촉시키기 위한 결합 구멍(24)을 갖는다. 각각의 결합 구멍(24)은 접지 단자 로드의 하나의 레그에 접촉시키기 위해 자체에 형성된 "U"형상인 캔틸레버와 유사한 접점(24a)을 갖는다. 접지 연결 단자(23)는 장형 얇은 금속 박막을 스탬핑하여 형성시킴으로써 조립된다. 상기 접지 연결 단자는 하우징(21)의 수평벽 안으로 삽입됨으로서 하우징(21) 내에 장착된다. 각각의 접지 연결 단자(23)는 절연 하우징(21)의 하부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땜납 미부(23a)를 갖는다. 절연 하우징(21)의 수평벽(21b)은 접지 단자 로드(10)의 레그(10a)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 구멍(25)을 포함한다.
이렇게 구성된 기판 커넥터 섹션(4)은 카드 커넥터에 핀 단자(6)의 대응 연결 미부(8)와 접촉하는 신호 단자(22)의 결합 미부(8)를 제공하고, 인접 상부 및 하부 접지 단자(9) 및 접지 연결 단자(23)를 통하여 지나가는 접지 단자 로드(10)를 제공하도록 카드 커넥터 섹션(3)에 연결된다.
이렇게 제공된 카드 커넥터(2)는 신호 단자(22)의 납땜 미부(22b)를 회로 기판의 신호 이송 회로 도전체에 납땜함으로써, 그리고 접지 연결 단자(23)의 납땜 미부(23a)를 회로 기판의 접지 회로에 납땜함으로써 (도시되지 않은) 하부 장착식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핀 단자(6)는 신호 단자(22)를 통해 회로 기판의 신호 이송 회로에 접속되고 접지 단자(9)는 접지 단자 로드(10) 및 접지 연결 단자(23)를 경유하여 회로 기판의 접지 회로에 연결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접지 단자(9)의 두 개의 열은 접지 단자 로드(10)에 의해 함께 연결되며, 접지 연결 단자(23)를 경유하여 주어진 회로 기판의 접지 회로에 연결된다. 말하자면, 접지 단자 로드(10)는 절연 하우징(5)의 하부에 있는 회로 기판의 접지 회로에 연결된다. 이러한 배열은 카드 커넥터(2)의 후방측 상의 릴레이 회로 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불필요하게 만들고, 이로써 카드 커넥터(2)의 종방향 크기의 실질적인 감소를 제공하고, 릴레이 회로 기판 및 커넥터 대신에 회로 기판 상에 부가적인 전자 부품의 장착을 허용한다. 따라서, 부가적인 전자 부품은 회로 기판 상의 부품 장착의 밀도를 증가시키도록 회로 기판 상의 절연 하우징(5)에 인접하여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카드 커넥터 섹션(3)의 핀 단자(6)의 연결 미부(8) 및 기판 커넥터 섹션(2)의 신호 단자(22)의 결합 미부(22a)는 카드 커넥터 섹션(3)의 절연 하우징(5)의 후방측과 기판 커넥터 섹션(4)의 절연 하우징(21)의 전방측에 있는 최소화된 공간 내에서 접촉되고, 이로써 카드 커넥터의 종방향 크기의 절감에 기여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면, 도16 및 도17을 참조하여, 카드 커넥터(102)는 한 레벨에서 인-라인(in-line)으로 배열된 핀 단자(106)를 갖고, 이로써 핀 단자(106)의 단일 측방향 배열을 형성한다. 특히, 카드 커넥터 섹션(103)은 그 절연 하우징(105) 내에 장착된 핀 단자(106)의 상부 및 하부 열의 단일 배열을 갖고, 그 연결 미부(108)는 절연 하우징(105)의 후방측으로 연장된다. 접지 단자는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신호 단자(122)는 핀 단자(106)의 연결 미부(108)와 등간격으로 배열되고, 그 결합 미부(122a)가 절연 하우징(121)의 전방으로부터 연장되고 그 납땜 미부(122b)가 절연 하우징(121)의 하부면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는 기판 커넥터 섹션(104)의 절연 하우징(121) 내에 장착된다.
이 실시예에서, 핀 단자(106) 및 직면하는 신호 단자(122)는 최소의 공간에서 접촉하여, 카드 커넥터(102)의 종방향 크기를 감소시킨다. 또한, 회로 기판의 신호 이송 회로에 납땜되는 납땜 미부(122b)는 카드 커넥터 섹션(102)의 절연 하우징(105) 및 기판 커넥터 섹션의 절연 하우징(121)이 정합되는 영역 내에 남게된다.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중심을 이루는 특성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는 도시된 바와 같은 모든 측면에서 고려될 수 있고 제한적이지 않으며, 본 발명은 여기에 주어진 자세한 설명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8)

  1. 하부 장착식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장착하기 위한 것이고 적어도 하나의 PC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PC 카드의 해당 리셉터클들과 정합되도록 구성된 핀 단자들의 측방향 어레이를 장착하는 절연 하우징, 하방 연장 레그부를 갖춘 후방 연장 정렬 연장부를 구비하는 카드 커넥터 섹션과,
    카드 커넥터 섹션에 연결되기 위한 것이고 핀 커넥터 섹션이 기판 커넥터 섹션에 연결될 때 핀 단자의 대응 연결 미부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결합 미부를 각각 갖는 다수의 신호 단자를 장착하기 위한 절연 하우징을 구비하는 기판 커넥터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핀 단자가 정렬 연장부의 레그부를 따라 배열된 연결 미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미부가 정렬 연장부의 인접 레그부를 따라 핀 단자의 해당 연결 미부를 수용하기 위한 C형 접점 섹션을 각각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핀 단자의 측방향 어레이에 평행하게 그 위에 배열되고 카드의 외부 케이싱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접지 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핀 단자의 측방향 어레이를 횡단하고 두 개의 인접 접지 단자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U형 접지 단자 로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4. 하부 장착식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장착하기 위한 것이고 적어도 두개의 PC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카드 커넥터에 있어서,
    PC 카드의 해당 리셉터클들과 정합되도록 구성된 핀 단자들의 두개의 측방향 어레이를 장착하는 절연 하우징, 하방 연장 레그부를 각각 갖춘 두개의 후방 연장 정렬 연장부를 구비하는 카드 커넥터 섹션과,
    카드 커넥터 섹션에 연결되기 위한 것이고 핀 커넥터 섹션이 기판 커넥터 섹션에 일체로 연결될 때 핀 단자의 대응 연결 미부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결합 미부를 각각 갖는 다수의 신호 단자를 장착하기 위한 절연 하우징을 구비한 기판 커넥터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핀 단자가 연결 미부를 구비하고, 각각의 연결 미부가 정렬 연장부의 해당 레그부를 따라 배열되도록 각각의 측방향 어레이가 절연 하우징 내에 장착되고, 상기 각각의 결합 미부가 정렬 연장부의 인접 레그부를 따라 핀 단자의 해당 연결 미부를 수용하기 위한 C형 접점 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핀 단자의 측방향 어레이에 평행하게 그 위에 배열되고 카드의 외부 케이싱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접지 단자와, 핀 단자의 두 개의 측방향 어레이를 횡단하고 두 개의 인접 접지 단자를 연결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U형 접지 단자 로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6. 제4항에 있어서, 기판 커넥터 섹션이 접지 단자 로드의 단부들을 수용하기 위해 다수의 접지 연결 단자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접지 연결 단자가 연결 단자 로드의 연결 단부들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결합 구멍을 자체 내에 형성하고 있고, 상기 각각의 결합 구멍이 연결 단부를 접촉시키도록 구성된 접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8.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접지 단자는 접지 단자 로드가 통과하게 되는 결합 구멍을 자체 내에 형성하고 있고, 상기 각각의 결합 구멍이 접지 단자 로드를 접촉시키도록 두 개의 접점을 자체 내에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커넥터.
KR10-2001-0016145A 2000-03-28 2001-03-28 Pc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카드 커넥터 KR1004148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87870 2000-03-28
JP2000087870A JP2001283956A (ja) 2000-03-28 2000-03-28 カード用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731A true KR20010093731A (ko) 2001-10-29
KR100414848B1 KR100414848B1 (ko) 2004-01-13

Family

ID=18603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145A KR100414848B1 (ko) 2000-03-28 2001-03-28 Pc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카드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152493B1 (ko)
JP (1) JP2001283956A (ko)
KR (1) KR100414848B1 (ko)
CN (1) CN1206778C (ko)
DE (1) DE60120037T2 (ko)
TW (1) TW499076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45471B1 (en) * 2007-07-13 2008-11-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carrier
CN110401485B (zh) * 2017-04-06 2021-12-14 青岛海信宽带多媒体技术有限公司 一种光模块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8239A (en) * 1987-04-24 1989-04-04 Maxconn, Inc. Stacked multipin connectors
JP2827767B2 (ja) * 1992-11-20 1998-11-25 富士通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
US5688130A (en) * 1996-04-10 1997-11-18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pc cards
JPH10255881A (ja) * 1997-03-07 1998-09-25 Molex Inc 信号端子とグランド端子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
MY123239A (en) * 1998-12-18 2006-05-31 Molex Inc Card-receiving connector with grounding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20037D1 (de) 2006-07-06
TW499076U (en) 2002-08-11
KR100414848B1 (ko) 2004-01-13
CN1316806A (zh) 2001-10-10
CN1206778C (zh) 2005-06-15
DE60120037T2 (de) 2006-12-21
EP1152493A2 (en) 2001-11-07
EP1152493B1 (en) 2006-05-31
JP2001283956A (ja) 2001-10-12
EP1152493A3 (en) 200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431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liable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760449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ground piece
US722929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grounding path
US6347962B1 (en) Connector assembly with multi-contact ground shields
US5586893A (en) IC card connector shield grounding
US6659808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guiding means
US6238240B1 (en) PC card connector assembly
US6042394A (en) Right-angle connector
US6592407B2 (en) High-speed card edge connector
US20070059959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detective switch
US7229315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hielding shell
US6183273B1 (en) Stacked electrical card connector assembly
US20060128189A1 (en) Card connector assembly
JP2000516385A (ja) 高速モジュラー電気コネクタ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レセプタクル
US20020142675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contacts
US20020137373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grounding terminals
US7670173B2 (en) Modular jack with improved grounding member
US6261107B1 (en) Surface mount connector having improved terminal structure
US6508665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therein
US761826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liable mating frame mating with another connector
US20020132477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rinted substrates therein electrically contacting conductive contacts thereof by solderless
WO2004008585A9 (en)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ground terminals
US20040023531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ecurely retained terminals
US6247969B1 (en) Card-receiving connector with grounding terminal
KR100414848B1 (ko) Pc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카드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