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3611A - 심지 상하 운동형 탱크식 등유난로 - Google Patents

심지 상하 운동형 탱크식 등유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3611A
KR20010093611A KR1020000022062A KR20000022062A KR20010093611A KR 20010093611 A KR20010093611 A KR 20010093611A KR 1020000022062 A KR1020000022062 A KR 1020000022062A KR 20000022062 A KR20000022062 A KR 20000022062A KR 20010093611 A KR20010093611 A KR 20010093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rosene
tank
fuel
stove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2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노히사따
Original Assignee
시마다 사토시
독꾜가이하쯔유겐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마다 사토시, 독꾜가이하쯔유겐가이샤 filed Critical 시마다 사토시
Publication of KR20010093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361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5/0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 F24C5/02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with evaporation burners, e.g. dish type
    • F24C5/04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with evaporation burners, e.g. dish type wick type
    • F24C5/06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with evaporation burners, e.g. dish type wick type 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5/0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 F24C5/18Liquid-fuel supply arrangements forming parts of stoves or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과제] 이 발명은 등유난로의 심체(심지)에 공급되는 등유의 량을 기름탱크내의 등유 잔량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하여, 언제나 안정된 연소를 가능케 함으로서 무취·무연의 연소를 실현하고 타르나 피치의 발생과 부착을 방지하며, 또한 CO/CO2치를 개선할 수 있으며, 소화시에 불꽃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 보다 청결한 형식으로 안전도가 높은 탱크식 등유난로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이 발명의 등유난로는 주연료탱크(32)와 그 내측에 설치된 연료흡상탱크(31)를 가지며, 그 연료흡상탱크내의 등유를 심체로 흡상하여, 즉 빨아올려서 연소실내에서 연소시키는 형식의 심지가 상하로 운동하는 형의 탱크식 등유난로로서, 주연료탱크(32)와 연료흡상탱크(31)는 연료흡상탱크벽에 고정 설치되고 상·하로 정렬 배치된 공기취입관(61)과 등유공급관(62)에 의하여 연통되며, 그에 따라 연료흡상위치가 언제나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유난로이다.
또한, 상기 주연료탱크와 연료흡상탱크를 구획하는 연료흡상탱크의 구성은, 상기 공기취입관과 등유공급관이 취부되어있는 하방부분에 대하여 이것 보다 더 큰 확장부(31)A를 그 상측에 갖는다.

Description

심지 상하 운동형 탱크식 등유난로{TANK-TYPE OIL STOVE}
이 발명은 심체(심지)가 상하 운동하는 탱크식 등유난로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심체의 상단에 있는 연소부분에 언제나 일정량의 등유를 공급함으로서, 탱크내의 등유 잔량에 관계없이, 안정된 양호한 연소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탱크식 등유난로이다.
또한, 이 발명의 난로는, 난로 내의 탱크에서 등유의 누출을 방지할 수가 있으며, 난로가 넘어졌을 때에도 그 전도된 난로가 굴러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대형 주연료탱크에서 연료흡상탱크로의 등유의 이동을 방지하며 더구나 등유가 외부로 흘러 퍼지는 것을 막을 수 있어서 안전하고 안정된 연소상태를 확보할 수 있는 탱크식 등유난로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심체의 상하 운동이 가능하고 그 심체에 등유탱크에서 등유를 공급하며, 심체의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심체의 상단부인 연소부에 등유를 빨아올려서 공급하는 형식의 등유난로는 이미 알려져있다. 그러나 종래 형식의 많은 등유난로에서는 난로내의 탱크에 축적된 등유의 잔량에 의하여 연소부분에 공급되는 등유의 량이 변화하기 때문에 연소상태가 변화하여 발열량이 안정되지 아니하고, 또한 심체의 연소단부에 피치나 타르가 부착 침적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불을 끌 경우 즉 소화할 경우 또는 불을 작게 줄일 때에 심지를 내리면, 종래의 것은 주탱크의 등유내에 심지가 하강하여 유면이 출렁거려서 탱크내에 차있던 등유가스가 심지주위에서 급상승하여 화염이 연소실 상면의 금망상부에 약 20cm 이상 타오르는 위험이 있는 것이다.
더구나, 불완전 연소에 의한 냄새가 발생하거나 매연이 발생하는 등의 결점이 있으며 그래서 연소심지부의 청소를 빈번히 행할 필요가 있는 것이며, 또한 일산화탄소가스의 발생비율이 많은 등의 결점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또한 등유난로 자체가 넘어진 경우에는 탱크내의 잔존 등유가 비교적 쉽게 누출되며, 더구나 난로가 굴렀을 때에는 그로부터 누출된 등유가 흘러 퍼져서 이에 인화되어 화재를 일으키는 등의 위험이 있다.
이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여 특히, 심체에 공급되는 등유량을 탱크내의 등유 잔량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하여, 언제나 안정된 연소를 가능케 함으로서 무취·무연의 연소를 실현하고, 타르나 피치의 발생과 부착을 방지하며, 또한 CO/CO2의 값을 개선할 수가 있고, 소화시에 불꽃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 보다 깨끗하고 안전도가 높은 형식의 탱크식 등유난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가령 등유난로 자체가 전도되었을 경우에도 등유의 누출이나 흘러퍼짐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심체 상하 운동형 탱크식 등유난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 발명의 등유난로는 주연료탱크와 그 내측에 설치된 연료흡상탱크를 가지며, 연료흡상탱크내의 등유를 심체로 빨아올려서 연소실내에서 연소시키는 형식의 심체 상하 운동형의 탱크식 등유난로로서, 주연료탱크와 연료흡상탱크와는 연료흡상탱크벽에 고정되고 상하로 정렬 배치된 공기취입관과 등유공급관에 의하여 연통되고, 이에 따라 연료흡상위치가 언제나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유난로이다.
또한 상기 등유난로에 있어서, 그 주연료탱크와 연료흡상탱크를 구획하는 연료흡상탱크의 구성은, 상기 공기취입관과 등유공급관이 취부된 하방부분에 대하여 이보다 큰 확장부를 그 상방부분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더구나 상기 주연료탱크의 저면에는 네모난 4각받침대가 고정되어 있다.
그 외에 이 발명의 등유난로에서는, 난로본체의 틀체부 외경이, 상기 네모난 4각받침대의 각 변에 내접하는 칫수이며, 주연료탱크와 연료흡상탱크를 연결하는 공기취입관과 등유공급관은, 상기 네모난 4각받침대의 하나의 모서리로 향하여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등유난로인 것이다.
도1은 이 발명에 관한 등유난로의 일부 단면을 포함한 정면도이다.
도2는 도1에 표시하는 등유난로의 중앙부분에서 하방의 개략평면도이다.
도3은 이 발명의 등유난로의 탱크부의 개략단면도이다.
도4는 도1에 표시한 등유난로에 등유를 충진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5는 도4에서의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6은 도4 상태의 등유난로를 전도시킨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7은 난로전도상태의 제1의 태양설명도이다.
도8은 난로전도상태의 제2의 태양설명도이다.
도9는 난로전도상태의 제3의 태양설명도이다.
도10은 난로전도상태의 제4의 태양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등유난로본체 20. 틀체부 21. 상틀 22. 하틀 23. 중간링
24. 스테이(STAY) 27. 손잡이 30. 등유탱크부 31. 연료흡상탱크
31A. 확장부 32. 주연료탱크 33. 내동체 34. 탱크윗덮개
36. 4각받침반 40. 연소부 41. 연소실 42. 외염통 43. 내염통
44. 심체외통 45. 심체안내통부 46. 심체안내공간 52. 심체(심지)
52A. 연소단부 53. 심체상하조절수단 54. 심체홀더 60. 등유공급부
61. 공기취입관 62. 등유공급관 L31,L32. 등유레벨
이 발명의 등유난로의 실시 형태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도1 내지 도5에서, 이 발명의 등유난로본체(10)의 개략을 보이고 있다. 등유난로본체(10)의 일부 단면을 포함한 측면도인 도1에는, 그 등유난로본체(10)를 구성하는 틀체부(20), 등유탱크부(30), 연소부(40) 그리고 등유공급부(60)로 이루어지며, 이 등유난로의 전체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도1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틀체부(20)에 속하는 상틀(21), 하틀(22) 그리고 중간링(23)은, 이들과 교차하여 배치되어서 있는 복수의 스테이(24)에 의하여 서로 연결됨과 동시에, 그 틀체부(20)의 최하부인 하틀(22)에 의하여, 후술하는 등유탱크(30)의 상단 외주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연소부(40)를 둘러싸은 상태로 상기 상틀(21)과 중간링(23)의 사이에 벽판(25)이 고정되고 상틀(21)의 상방에는 상면판(26)이 설치됨과 동시에, 그 상틀(21)에는 손잡이(27)가 취부되어 있다.
등유탱크(30)의 구조는 후술하는 등유공급부(60)를 구비한 연료흡상탱크(31)(주연료탱크의 내측에 있으며 이 탱크 하부에서 등유흡상량을 일정하게 하는 등유레벨이 확보된다)와 이 것을 둘러싸도록 설치된 대용량의 등유탱크인 주연료탱크(32)를 가지고 있으며, 그 연료흡상탱크(31)의 보다 더 내측에는 후술하는 심체 안내통부(45)를 그 상부가 겸하는 것의 내통체(33)를 가지고 있으며, 그 결과 이 발명의 탱크는 개략, 상기 내동체(33), 주연료탱크(32), 연료흡상탱크(31) 그리고 탱크뚜껑(34)에 의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주연료탱크(32)와 연료뚜껑(34)과의 결합부위인 외주연부에는, 상술한 틀체부(20)의 하틀(22)이 결합되어 있다.
더욱, 부호(35)로 표시하는, 복수의 탱크다리를 통하여 상기 탱크부(3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네모진 4각받침반(36)상에 고정되어 있다.
연소부(40)의 구조는 종래 공지된 등유난로의 구조와 대략 동일하고, 외염통(42)과 내염통(43)과의 사이에 연소실(41)이 형성되도록, 외염통(42)은 전기탱크뚜껑(34)의 상단 중앙부에 고정된 심체외통(44)의 상방부분과 결합되며, 또한 내염통(43)의 하단은 전기내연통(33)의 상부이고 심체안내통(45)을 형성하는 내통의 상단부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그 심체외통(44)과 심체내통(45)에 의하여 형성되는 써클상의 심체 안내공간(46)내에, 후술하는 등유연소심체(52)가 감삽되어, 상하운동이 조절 가능토록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소실(41)을 형성하는 외염통(42)의 외주부에는, 회동손잡이(50)를 갖는 외통(48)과, 그 상단에 고정되어 연소열을 적외선으로 변환하여, 더욱 연소시킴으로서 불꽃을 안정화시키는 등의 목적을 갖는 금망(49)과 코일(51)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심체(52)의 구조와 이를 상하 운동시키기 위한 심체상하조절수단(53)은 후에 도4에 의하여 상술하겠지만, 원리적으로는, 심체(52)에 고착된 레크판의 회동조절노부에 연결된 피니온기어의 회동에 의하여, 상하 구동하는 형식의 것이다.
부호60으로 표시되는 등유공급부의 구성은, 역시 도3, 도4 등에 의하여 그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상부에 확장부(31)A를 갖는 연료흡상탱크(31)의 하방부위에 결합되어서 그 연료흡상탱크(31)와 주연료탱크(32)를 연통하는 두 개의 가는 관체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들 가는 관체는 등유공급관(62)과 공기취입관(61)으로서, 상하로 적당한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며 연료흡상탱크(31)의 비교적 하부에 고정되어 있다.
도2는, 이 발명의 등유탱크(31)와 연소부(40)의 연소용심체(52)의 일부를 도시한 것으로, 등유난로본체(10)하부의 일부 파단면을 포함하는 평면도를 표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등유탱크용 4각받침반(36)의 상면에 탱크다리(35)(도1 참조)로 고정된 주연료탱크(32)의 일측방에는, 주연료탱크(32)와 연료흡상탱크(31)(도1 참조)를 관통하여 설치된 심체상하조절수단(53)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설치위치는 그 조절수단(53)의 위치가 상기 4각받침반(36)의 하나의 모서리에 위치토록, 상기 등유탱크(30)와 4각받침반(36)과의 관계로 고정되어 있다.
도면 중 파단면부로서 표시한 주연료탱크(32)내에는, 상하로 중첩되어 보이는 등유공급관(62)과 공기취입관(61)이 서로 연료흡상탱크(31)의 하방부위에 결합되어, 이에 의하여 주연료탱크(32)와 흡상연료탱크(31)의 내부가 연통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심체외통(44)과 심체안내통부(45)에 의하여 둘러싸인 심체안내 공간(46)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심체(52)가 수납되어 있어서, 그 연소단부(52)A는 연소실(41)(도1 참조)에 이르고 있다.
더욱이 이 실시 예에 있어서는 도2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주연료탱크(32)의 외주가 4각받침반(36)의 외연부에 내접하는 관계인 것을 표시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관계에 의하여 등유난로가 넘어졌을 때, 그 본체가 수평상태로 되는(도6 참조)구조가 소망스럽다.
도3은, 이 발명의 등유난로에 있어서 등유탱크부(30)와, 이에 연속되는 연소심체(52)의 안내 부분과 심체상하조절수단(53)을 상세하게 표시하고 있다.
그 도면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등유탱크(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외주의 대형탱크를 형성하는 주연료탱크(32)와, 그 내부에 보다 소형의 탱크를 형성하는 연료흡상탱크(31)가 그 저부를 같이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연료흡상탱크(31)의 상방부는 하방의 등유저장부에 비하여, 더 큰 부피를 갖도록 확장부(31)A로서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등유탱크부(30)의 상방에는, 내통체(33)의 상방부분으로 구성되는 심체안내통부(45)와 주연료탱크(32)의 뚜껑(43)에 연속되는 심체외통(44)에 의하여 심체안내공간(46)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심체안내공간(46)안에 감삽되어 있는 원통상의 심체(52)의 적당한 위치의 외주부는 심체홀더(54)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또한 심체홀더(54)는 그 일측부에 개략 도시되어 있는 랙판(55)과 이 랙이빨에 서로 물리는 피니온기어(56)를 가지고 있으며, 그 피니온기어(56)의 회동은 구동샤프트(57)를 거쳐 심체조절노부(58)의 회동에 의하여 행하여지는 것이다.
도4와 도5는, 도1에 표시한 이 발명의 등유난로본체에 있어서, 그 탱크부에 공급되어있는 등유의 상태와, 연소상태에 있는 심체 및 등유면의 관계를 표시한다.
도4는 도1에 표시된 내용과 대략 같은 것이지만, 통상의 연소상태에서의 주연료탱크(32)와 연료흡상탱크(31)의 등유레벨을 표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등유레벨과 연소상태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후에 도3 등에 의하여 다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4에서 ×로 표시하는 부분은, 이를 상세하게 확대하여 도5에서 표시하고 있으나, 이 발명에서의 심체(52)의 선단부인 연소단(52)A의 구조이다.
도3과 도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심체외통(44)과 심체안내통부(45)에의하여 형된 심체안내공간(46)안에 수납되어있는 심체(52)는, 특수 가공된 유리섬유를 사용함으로서, 등유의 흡상과 함유력(含有力)을 양호하게 한 것이다. 그리고 그 선단부인 연소단(52)A부분은 하방의 포상(布狀)부분을 푼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양호하다.
이 경우 특수 가공된 유리섬유는, 연료등유를 다쓰고 없는 상태에서 심지를 태워줌으로서 상단부에 부착하는 피치나 타르를 태워서 없앨 수가 있어서 장기간 양호한 연소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는 것이며 면섬유의 심체와 같이 전부 타버리는 일도 없다.
여기서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면서, 등유의 연소상태와 등유레벨과의 관계를 설명한다.
특히 도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에서 등유탱크부의 외각은 주연료탱크(32)와 내통체(33)에 의하여 구성되고 그 내부는 연료흡상탱크(31)와 그 상방의 확장부(31)A에 의하여 구획된 상태로 즉 칸막이 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양 탱크(31),(32)을 2개의 파이프인 공기취입관(61)과 등유공급관(62)에 의하여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통상의 연료흡상탱크(31)의 등유레벨L31은 공기취입관(61)의 연료흡상탱크(31)내의 개구부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주연료탱크(32)내의 등유레벨L32은 그 시점에서 탱크 내에 공급된 등유의 량 또는 등유의 나머지 량에 의하여 결정된다.
도5에 표시되는 심체(52)의 선단부인 연소단(52)A에서 연소되면,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연료흡상탱크(31)의 등유가 심체(52)에 전달 흡상되어 연소는 계속된다.
이렇게되면, 그 연료흡상탱크(31)의 등유레벨L31은 점차로 저하하여, 그 면이 도3에 표시된 바와 같이 공기취입관(61)의 개구부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되면 공기취입관(61)의 상기 개구부는 연료흡상탱크(31)의 상방 공간부와 연통되어, 연료흡상탱크(31) 상방의 공기가 공기취입관(61)을 경유하여 주연료탱크(32)안으로 유입되어 그 선단부에서 기포가 되어서 그 주연료탱크(32)의 상방에 이동하여, 그 증가한 상부 공간의 부피만큼의 주연료탱크(32)내의 등유가 등유공급관(62)을 경유하여 연료흡상탱크(31)에 보충되는 것이다.
이렇게되면 전술한 연료흡상탱크(31)의 등유레벨L31은 다시 상승하여서 공기취입관(61)의 개구부를 폐쇄하게되며, 이에 의하여 공기의 유입이 저지되어서 등유의 이동이 정지된다.
따라서 이 발명의 등유탱크에서는, 상기 현상을 반복함으로서 연료흡상탱크(31)의 등유레벨L31이 언제나 일정하게, 즉 공기취입관(61)의 연료흡상탱크내의 개구부의 상·하 범위 내로 유지되어, 결과적으로 심체(52)의 하부가 담구어져있는 연료흡상탱크(31)의 등유면과 상단의 연소단(52)A와의 수직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서 주연료탱크(32)의 등유레벨L32에 관계없이 일정한 최적 연소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6은 이 발명의 등유난로본체(10)가 전도되었을 때의 한 태양을 표시하고있다. 즉 이 등유난로본체(10)의 등유탱크부(30)는 도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연료탱크(32)의 저부에서 탱크다리(35)를 통하여 4각받침반(36)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2에서와 같이 등유탱크부(30)의 상부인 하틀(22)과 같이 상틀(21)의 외주면이 4각받침반(36)의 4변에 내접함과 동시에 그 4각받침반(36)의 각 모서리부의 하나에 대향해서 심체상하조절수단(53)이 취부되며, 또한 주연료탱크(32)내에서 연료흡상탱크(31)에 고정된 한 쌍의 세관(細管)인 공기취입관(61)과 등유급유관(62)은 전술한 심체상하조절수단(53)의 취부방향과 약90도 편향된 다른 하나의 모서리부에 대향하여 취부되어 있다.
따라서 도6에서 일부 생략하여 도시된 심체상하조절수단(53)과 공기취입관(61) 그리고 등유공급관(62)은 서로 약90도로 벌어진 방향에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난로가 넘어졌을 때 도1 또는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은 레벨에 있던 연료흡상탱크(31)의 등유는 그 연료흡상탱크(31)의 상방부분이 확장되어있기 때문에 도6이 표시하는 상태로 그 모든 것이 그 연료흡상탱크(31)의 상방확장부분(31)A내에 수용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잘못하여 등유난로본체(10)가 넘어졌다해도, 연료흡상탱크(31)의 하방에 일정한 레벨로 축적되었던 연소중의 등유는 완전히 그 연료흡상탱크내에서의 누출을 방치 할 수 있는 것이다.
도7 내지 도10으로서, 이 발명의 등유난로본체(10)의 전도방지기능과, 전도시에 주연료탱크(32)에서 연료흡상탱크(31)로의 등유이동방지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들 도면은 동일 장치의 전도방향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도면에서의 부재의 명칭 등은 완전히 동일하며, 요부의 명칭 이외는 생략되어 있다.
또한 이들 도면에 있어서 변(36)A∼변(36)D 부호는, 도2의 탱크다리(35)와 공기취입관(61) 그리고 등유공급관(62)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임시로 부여한 4각받침반(36)의 각 변의 위치를 표시한 부호이며, 다시 말하면 도7 내지 도10은 도2의 형상을 단순히 회전시킨 것이라고 보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도면은 도2에 표시한 상태의 등유난로본체(10)를 도7에서 변(36)D 방향으로, 그리고 도8에서 변(36)C 방향으로, 또한 도9에서 변(36)B 방향으로 그리고 또한 도10에서 변(36)A 방향으로 각각 넘어진 상태에서 특히 주연료탱크(32)의등유레벨L32과 그때 그때의 공기취입관(61) 및 등유공급관(62)의 위치관계를 표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의 각 상태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도7과 도8에서는 그 주연료탱크(32)의 등유의 량에 의하여 등유레벨L32의 상·하위치가 다소 변화하지만, 어느 경우에도 본체의 종방향에 정렬하여 고정되어있는 공기취입관(61)과 등유공급관(62)의 각 단부는, 그들 모두가 등유레벨L32의 상위에 위치하던가 아니면 유량이 많아서 등유레벨L32가 상승한 상태에서는 그 각 단부의 쌍방 모두가 등유레벨L32의 하방에 있던가, 그 중 하나의 상태로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주연료탱크(32)의 등유가 등유공급관(62)을 통하여 연료흡상탱크(31)에 유입 이동할 수는 없다.
도9와 도10에 대해서 보아도 이들의 방향으로 전도한 경우에는 거의 확실하게 상기 공기취입관(61)과 등유공급관(62)의 선단부는, 주연료탱크(32)에 남아있는 등유의 레벨L32의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도, 상기 공기취입관(61)과 등유공급관(62)의 선단부가 동시에 등유면 아래에 위치함으로 유연료탱크(32)의 등유가 등유공급관(62)을 통하여 연료흡상탱크(31)에 유입될 수가 없다.
또한, 이 발명의 등유난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탱크부(31)가 4각의 받침반(36)에 고정되어 있음으로, 설령 도7 내지 도 10의 어느 방향으로 넘어졌다 하여도 등유난로본체(10)가 굴러가지는 아니하며, 주연료탱크(32)와 연료흡상탱크(31)의 외부 누출이나 흘러 퍼질 염려가 없는 것이다.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등유난로로서, 주연료탱크의 등유량에 관계없이 연료흡상탱크의 등유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는 것이어서, 언제나 완전 연소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연소효율이 양호하고, 극히 청결하며 신선한 등유난로를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불을 끌 때 또는 심지를 아래로 내릴 때에도, 심지가 연료흡상탱크내에 하강할 뿐 탱크 내에서 등유가 출렁거리지 아니하여, 불꽃이 위로 솟을 염려도 전연 없어서 안전하다.
또한 등유난로가 넘어졌을 때에도 주연료탱크와 연료흡상태크간에 등유의 이동이 저지되며, 더구나 연료흡상탱크에서 심체에 공급되어있는 등유도, 연료흡상탱크 상방의 확장부에서 모두 수용되어 전연 외부로 누출될 염려가 없다. 그리고, 난로가 넘어져도 심체부는 마루바닥에 대하여 적어도 수평으로 유지되어 심지에 스며있는 등유가 흘러 떨어지지 아니한다.
더구나 이 발명에서는 난로가 굴러가지 아니함으로 넘어졌을 때 등유의 누출이나 흘러 퍼지는 일이 전연 없으며 지극히 안전하고 청결한 탱크식 등유난로를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주연료탱크와 그 내측에 설치된 연료흡상탱크를 가지며, 연료흡상탱크내의 등유를 심체에 의하여 흡상하여 연소실내에서 연소시키는 형식의 심지 상하 운동형 탱크식 등유난로로서, 주연료탱크와 연료흡상탱크는, 연료흡상탱크벽에 고정되고 상하로 정렬배치된 공기취입관과 등유공급관에 의하여 서로 연통되며, 이에 의하여 연료흡상위치가 언제나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음을 특징으로하는 등유난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주연료탱크와 연료흡상탱크를 구획하는 연료흡상탱크의 구성은 공기유입취입관과 등유공급관이 취부된 하방부분에 대하여 이보다 큰 확장부를 그 상방부분에 가짐을 특징으로하는 등유난로.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주연료탱크의 저면에는 4각받침반이 고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하는 등유난로.
  4. 청구항 3에 있어서, 난로본체의 틀체부 외경이 4각받침반의 각 변에 내접하는 칫수관계임을 특징으로하는 등유난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주연료탱크와 연료흡상탱크를 연결하는 공기취입관 및 등유공급관은, 4각받침반의 하나의 모서리에 향하여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하는등유난로.
KR1020000022062A 2000-03-29 2000-04-25 심지 상하 운동형 탱크식 등유난로 KR200100936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90332A JP2001272040A (ja) 2000-03-29 2000-03-29 芯上下動型タンク式灯油ストーブ
JP2000-90332 2000-03-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611A true KR20010093611A (ko) 2001-10-29

Family

ID=18605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2062A KR20010093611A (ko) 2000-03-29 2000-04-25 심지 상하 운동형 탱크식 등유난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1272040A (ko)
KR (1) KR20010093611A (ko)
CN (1) CN1315629A (ko)
HK (1) HK10395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593A (ko) * 2002-08-22 2004-02-27 주식회사 파세코 석유난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27926B2 (ja) * 2013-03-27 2016-11-16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液体タンク収納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た液体供給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593A (ko) * 2002-08-22 2004-02-27 주식회사 파세코 석유난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39515A1 (zh) 2002-04-26
CN1315629A (zh) 2001-10-03
JP2001272040A (ja) 200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93611A (ko) 심지 상하 운동형 탱크식 등유난로
CN215723181U (zh) 火种灯
JPS58130904A (ja) 液体燃料燃焼装置
CN220981045U (zh) 一种陶瓷工艺品
CN109028034B (zh) 适用于锅炉及柴火灶的无烟燃烧器
CN209246063U (zh) 一种适用于锅炉及柴火灶的无烟燃烧器
CN221076462U (zh) 一种悬挂式酒精壁炉
CN217978928U (zh) 一种新型简易燃烧炉
ES2356577T3 (es) Aparato de calentamiento de iniciación fácil en cualquier intento sin necesidad de fluido inflamable y soplado.
RU218437U1 (ru) Автономная отопительная печь на жидком топливе
WO1997013098A1 (en) Candle support
CN108302527A (zh) 分体式安全酒精灯
CN220567101U (zh) 一种陶瓷灯具
CN219454025U (zh) 一种酒精壁炉
JP2008257869A (ja) オイル収納容器、フロート体、及び、これらを備えたオイルフロートセット
CN2513027Y (zh) 醇基燃料燃烧器
US1630386A (en) Oil stove
JPH029212Y2 (ko)
US653893A (en) Oil-burner.
JPS6334361B2 (ko)
CN2289967Y (zh) 节能液体燃料汽化炉
KR200480589Y1 (ko) 폐열회수형 버너
JPH0120494Y2 (ko)
RU26110U1 (ru) Нагревательный аппарат
JPS64392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