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2517A - 조개껍질을 담체로 하는 복합 기능성 분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조개껍질을 담체로 하는 복합 기능성 분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2517A
KR20010092517A KR1020000014511A KR20000014511A KR20010092517A KR 20010092517 A KR20010092517 A KR 20010092517A KR 1020000014511 A KR1020000014511 A KR 1020000014511A KR 20000014511 A KR20000014511 A KR 20000014511A KR 20010092517 A KR20010092517 A KR 20010092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shell
present
preparation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4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달
Original Assignee
김인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달 filed Critical 김인달
Priority to KR1020000014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2517A/ko
Publication of KR20010092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251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2Deburring or defla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22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탈취 및 자와선 차단의 복합 기능을 갖는 기능성 분말에 관한 것으로, 20μ 이하의 입도를 갖는 조개껍질 분말에 은, 구리, 티탄 및 이들 금속의 산화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개껍질을 담체로 하는 복합 기능성 분말 및 그 제조방법{Multifunctional powder with shell carrier and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조개껍질을 담체로 하는 복합 기능성 분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균, 자외선 차단, 탈취의 복합 기능을 갖는 조개껍질을 담체로 하는 기능성 분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은 등의 항균성 금속을 항균제로 사용하는 경우, 한국 특허 공보 제 1989-2100 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통상 활성탄이나 제올라이트 등의 담체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담체들은 별도의 제조공정을 거쳐야 하고 비교적 고가여서 경제적으로 이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담체를 포함한 금속들은 항균제 단일 용도로만 이용되었을 뿐, 자외선 차단 등의 기타 용도로 이용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연에서 풍부하고 저렴하게 얻을 수 있는 조개 껍질을 분말로 만들어 항균성 금속의 담체로 이용함으로써 동식물에 무해하며 친환경적인 항균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항균기능 뿐 아니라, 자외선 차단 기능, 탈취기능을 갖는 복합 기능성 분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20μ 이하의 입도를 갖는 조개껍질 분말에 은, 구리, 티탄 및 이들 금속의 산화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분말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조개 껍질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다양한 종류의 조개, 전복, 소라, 굴 껍질 등 패(貝)류 껍질을 이용할 수 있다. 조개 껍질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세척 및 살균하여 20μ 이하의 입도를 갖는 미세 분말로 분말화시켜 사용한다. 이 분말을 은, 구리, 티탄 등의 이온을 용해시킨 용액에 침지시켜 금속을 코팅시키거나 각 금속의 산화물을 코팅시키는 방법으로 본 발명의 복합기능성 분말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은 단독 또는 다른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과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기능성 분말은 항균제, 자외선 차단제 및 탈취제로 사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분말 제조
불순물이 제거되고 세척된 조개껍질 1Kg을 200℃에서 3시간 가열한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한 후 스크리닝하여 100μ 이하의 분말을 500g 분리하였다. 분리한 분말에 에탄올 100을 100㎖ 첨가하여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20μ 이하의 입자만 300g 2차 분리한 후 100℃에서 2시간 건조하였다. Ti 이온 용액에 분말을 첨가하고 24시간동안 상온에서 방치하였다. 침전된 분말을 분리하여 300℃에서 10시간 건조하였다. 건조된 분말을 10000ppm 은 이온용액 1000㎖, 10000ppm Cu 이온용액 100㎖를 혼합하여 상온에서 48시간 방치한 후 침전된 분말을 에탄올로 세척하고 100℃에서 3시간 건조하였다. 이와 같이 처리한 분말 250g을 300℃에서 열처리하여 완제분말을 제조하였다.
완제 분말의 성분은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성분 Ti Ag Cu 조개껍질성분
농도(ppm) 500 1000 400 잔량
실시예 2 항균성 실험
항균성 실험을 위하여 증류수 100㎖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분말 1g을 첨가하고 30분 경과 후 증류수를 분리하여 살모넬라 균주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2에 게시하였다.
표 2
시간(분) 균주 수(×108)
0510152030 76432.51.0
상기 표 2로부터, 살모넬라균 수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식이 현저하게억제 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자외선 차단실험
투명 플라스틱 판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분말을 부착한 것과 부착하지 않은 것을 동일한 자외선 발생장치에 1시간 노출시킨 후 감광용지의 변화정도를 조사함으로써 행하였으며 실험결과 SPF(자외선차단지수)=15로 나타났다.
실시예 4 탈취 실험
부패하여 악취가 나는 증류수 500㎖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분말 1g을 첨가하여 방치한 후 10분 간격으로 냄새를 조사하였으며, 실험 결과 60분 후 시료의 악취가 제거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복합 기능성 분말은 천연 원료를 사용하여 매우 경제적이고 환경적인 측면에서 사용, 폐기시 오염문제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기능성 분말은 타 유기물과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광범위한 물질에 첨가하여도 그 기능이 장기간 유지되는 특성이 있다. 또, 저온 소결이 가능하여 다양한 형태로 고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기능성 분말은 자외선 차단효과와 강력한 살균 및 탈취 효능을 갖는다.
따라서, 동물 사료에 첨가하여 가축의 세균성 질병을 예방할 수 있고, 토양속에 장기간 잔류할 수 있으므로, 식물 뿌리에 서식하는 해로운 균을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농작물의 수확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 외에도 항균성이 요구되는 유아 및 환자용 도구, 가구 등의 항균 도료 첨가제로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기능성 분말은 입자가 미세하고 타 유기물과 화학반응을 일키지 않고 분산성 또한 우수하므로 화장품에 첨가하면 자외선 차단효과와 항균 효능을 동시에 나타내게 된다. 또, 본 발명의 복합 기능성 분말을 저온에서 소결하여 고형화시키면 의료용 생체 재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Claims (3)

  1. 20μ 이하의 입도를 갖는 조개껍질 분말에 은, 구리, 티탄 및 이들 금속의 산화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분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은 항균, 자외선 차단 및 탈취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분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은 저온소결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성 분말.
KR1020000014511A 2000-03-22 2000-03-22 조개껍질을 담체로 하는 복합 기능성 분말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925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4511A KR20010092517A (ko) 2000-03-22 2000-03-22 조개껍질을 담체로 하는 복합 기능성 분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4511A KR20010092517A (ko) 2000-03-22 2000-03-22 조개껍질을 담체로 하는 복합 기능성 분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2517A true KR20010092517A (ko) 2001-10-26

Family

ID=19657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4511A KR20010092517A (ko) 2000-03-22 2000-03-22 조개껍질을 담체로 하는 복합 기능성 분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25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034B1 (ko) * 2001-10-10 2004-11-1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칼슘 복합물을 이용한 알칼리수 담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034B1 (ko) * 2001-10-10 2004-11-1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칼슘 복합물을 이용한 알칼리수 담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ssain et al. Biogenesis of ZnO nanoparticles using Pandanus odorifer leaf extract: anticancer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Thangamani et al. Green synthesis of gold nanoparticles using Simarouba glauca leaf extract and their biological activity of micro-organism
Verma et al. Applications of Silver nanoparticles in diverse sectors
Ajayi et al. Green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silver nanoparticles from alkalinized Cymbopogon citratus Stapf
CN101389221B (zh) 银/水、银凝胶和银基组合物及用于制造和使用该组合物的方法
CN100493696C (zh) 掺杂纳米氧化锌及其制备方法和光催化降解有机物和抗菌的应用
Soliman et al. Multifunctional properties of silver and gold nanoparticles synthesis by Fusarium pseudonygamai
Su et al. Preparation of cotton fabric using sodium alginate-coated nanoparticles to protect against nosocomial pathogens
Lotfollahzadeh et al. Bio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ilver nanoparticles for the removal of amoxicillin from aqueous solutions using Oenothera biennis water extract
EP1210386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ntimikrobiellen kunststoffkörpern mit verbessertem langzeitverhalten
Perveen et al. Green synthesis of iron (Fe) nanoparticles using Plumeria obtusa extract as a reducing and stabilizing agent: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biocompatibility studies
Saha et al. Green biosynthesis of silver nanoparticle using garlic, allium sativum with reference to its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the pathogenic strain of bacillus sp. and pseudomonas sp. infecting Goldfish, Carassius auratus
Dhatwalia et al. R ubus ellipticus fruits extract-mediated cuprous oxide nanoparticles: in vitro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toxicity study
Sankarganesh et al. Synthesis of Murraya koenigii mediated silver nanoparticles and their in vitro and in vivo biological potential
Khanra et al. Bactericidal and Cytotoxic Properties of Silver Nanoparticle Synthesized from Root Extract of Asparagus Racemosus.
Vo et al. Antibacterial shoe insole-coated CuO-ZnO nanocomposite synthesized by the sol-gel technique
KR940000032B1 (ko) 살균성 바이오세라믹 조성물
JP2773286B2 (ja) 抗菌剤
Obeagu Phytochemical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of Garcinia kola (Bitter Kola) seed extract
Joshi et al. Characterisations,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Biological synthesis of silver (Ag) nanoparticles using the leaf extract of Urtica dioica
KR20010092517A (ko) 조개껍질을 담체로 하는 복합 기능성 분말 및 그 제조방법
Suresh et al. Phytochemical screening, characterization and antimicrobial, anticancer activity of biosynthesized zinc oxide nanoparticles using Cyathea nilgiriensis Holttum plant extract
Nawaz et al. Anticancer activity of silver nanoparticle by using Cassia auriculata extract
Habeeb et al. Green synthesis of metronidazole or clindamycin-loaded hexagonal zinc oxide nanoparticles from Ziziphus extracts and its antibacterial activity
CN1357495A (zh) 纳米银镀层陶瓷膜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