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1179A - 집게장치를 구비한 독립식 귀덮개장치 - Google Patents

집게장치를 구비한 독립식 귀덮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1179A
KR20010091179A KR1020000012584A KR20000012584A KR20010091179A KR 20010091179 A KR20010091179 A KR 20010091179A KR 1020000012584 A KR1020000012584 A KR 1020000012584A KR 20000012584 A KR20000012584 A KR 20000012584A KR 20010091179 A KR20010091179 A KR 20010091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support
ear cap
ears
rea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2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현
Original Assignee
정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현 filed Critical 정승현
Priority to KR1020000012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1179A/ko
Publication of KR20010091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117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ophys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발명은 동절기 외부기온에 노출되어있는 귀를 보호하는 귀덮개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존 일체형 지지대의 특징인 머리와 귀의 조임현상을 없애고 크기를 줄여 휴대를 용이하게 하는 독립식 귀덮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귀덮개 장치는 집게장치와 그 앞뒤에 귀의 모양에 따라 휘어진 한 쌍의 지지대와 걸이장치를 연결해 구성하는 한편, 귀를 완전히 덮는 내. 외피로 지지대 전체를 감싸귀덮개를 귀에 고정시켜 방한과 안정된 부착을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이와같이 앞. 뒤 지지대, 집게 장치 및 걸이장치 로 구성된 전체 지지대와 다중으로 구성된 내. 외피에 의해 귀덮개 장치의 방한효과와 사용과 휴대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집게장치를 구비한 독립식 귀덮개장치{ear cab with pinchers}
본발명은 동절기 외부의 기온으로부터 노출되어있는 인간의 귀를 보호하기 위한 귀덮개 장치(ear cab)에 관한 것이다.
귀덮개 장치는 본래 짐승의 털가죽이나 두터운 천을 이용하여 귀를 감싸는 기구인데 이는 동절기 야외할동에 유용한 방한 용품 중의 하나이다.
귀덮개 장치는 일반적으로 고무줄 또는 프라스틱 재질의 일체형 지지대를 이용하여 머리와 귀를 조여 사용한다. (도9.14b.15b)
그러나 그러한 일체형 지지대를 이용한 기존의 귀덮개 장치(도9)는 머리를 조이고 눌러 외모에 영향을 받는 성인들이나 청소년들이 사용하기가 어려우며 크기가 커 간편하게 휴대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프라스틱을 이용해 귀를 완전히 덮는 기존의 헤드폰형 일폐식 귀덮개 장치(15)는 머리의 움직임으로 인해 잘벗겨질뿐아니라 귓구멍 부분이 막혀있어 주변의 소음이 잘들리지 않음으로 인해 주의력이 부족한 어린이의 경우 자칫 사고에 노출될 위험도 배제할수 없다.
이러한 여러 가지 이유등으로 인해 대개의 사람들이 추위로부터 귀를 보호하기 위하여 귀덮개를 착용하기 보다는 모자, 머플러, 옷 등을 이용해 귀덮개 장치를대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독립식 지지대를 갖는 귀덮개 장치로서 기본적으로 방한기능을 가지고 사용이 편리하며 잘벗겨지지 않고 착용시 머리카락등 외모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갑작스런 탈착으로부터 귀를 보호하고 휴대,보관이 용이한 귀덮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정면도.
제2도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측면도.
제3도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게장치의 사시도.
제4도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지지대와 상부지지대의 연결구조와 그단면의 상세도.
제5도는 제3도에 도시된 집게장치의 내부구조를 보인 분해조립도.
제6도는 제1도에 도시된 지지대의 운동을 보인 정면도.
제7도는 제1도와 제2도의 지지대구조에 외피의 부착으로 완성된 귀덮개장치의 정면도와 측면도.
제8도는 완성된 귀덮개장치를 횡으로 절단하여 그단면을 보인 단면도와 외피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제9도는 일체형 지지대로 구성된 기존의 귀덮개 장치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뒷쪽 지지대
2-상부 걸이대
3-집게장치 본체
4-앞쪽지지대
11-외피
상기한 목적을 달성 하기위하여 본발명은 귀덮개를 귀에고정하기위한 앞,뒤양측 지지대와 귀상부에 걸 수 있는 연결구멍이있는 고무재질의 걸이대, 귀하단부에 위치하여 귀전체를 눌러주는 집게형 손잡이를 구비한 전체지지대와 방한을 위한 외피와 내피 그리고 방풍을 위한 스폰지편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귀덮개 장치의 구성과 결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을 하자면 다음과 같다.
본발명에 따른 귀덮개 장치의 지지대는 제1도와 같이 인간의 귀의 곡선에 따른 것으로 뒷쪽 지지대(1,2)는 귀뒷면 의곡선을따라 귀 상부에 걸쳐 중간부분까지(1,4) 30。곡선으로 휘어지나 중간부분부터 귓볼에이르는 부분(15)은 귀 앞부분을 향하여 45。각도로 휘어져 내려오다가 그중간에서 다시 30。각도로 이중의 곡선을 이룬다. 또한 측면도(도2)를 보면, 뒷쪽지지대의 상부(14,14a)는 부착면을 향하여 중심으로부터 3。의각도로 휘어져 구성되며 하부(15,15a)는 중심으로부터, 정면도로 볼때45。각도로 휘어지는 부분까지(15a)14。로 휘어져 구성된다.이는 귀덮개 장치가 귀에 부착되었을때(도7)머리부분과 귓볼부분의 돌출부위에 적합하게 부착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부착시 귀 뒤쪽에 공간이 남아 틈이벌어져 방한 효과의 감소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귀덮개의 상부(14,14a)에 부착되어있는 걸이장치(2,2a2b)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갑작스런 탈, 부착으로부터 귀 상부를 보호하며 귀덮개장치가 아래로 떨어지지않으며 머리의 움직임이나 충격으로부터 귀덮개의 탈착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걸이대 앞쪽의 귀안쪽으로 휘어진 부분(2a)은 아래로 30。각도로 휘어져 내려오다가(2b) 다시 반대각의 30。각도로휘어진다(2c) 또한 측면도(도2)로 볼 때 뒷쪽 지지대의 각도(14a)와 마찬가지로 3。각도로 휘어져 구성된다.
이는 귀상부에 귀덮개장치가 부착되었을 때 귀뒷쪽방향으로 귀덮개 장치가 밀리지 않게하는 역할을 하게 하기위함이다.
귀덮개 장치의 앞쪽 지지대 (4)는 집게장치(3,7)에 부착되어 귀안쪽면을 눌러 줌으로서 귀덮개 장치를 귀에 부착함에 있어 최종적으로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하게한다. 이를 위하여 앞쪽지지대(4)는 집게장치(3,7)에서 1/2지점까지는 귀덮게 본체와 직각을 이루고 있으며 1/2지점에서 부터는 중심에서 뒤쪽지지대(1,2)방향으로 40。각도로 휘어져 구성된다. 측면도(도2)를보면 앞쪽지지대가 귀안쪽을향하여S형으로휘어져구성되는데 이는 귀의 오목한 구조에 맞추어 눌러 고정시키기 위함이다.
제 4도는 뒷쪽지지대(1)와 걸이장치(1)의 연결구조를 보인다.
뒷쪽지지대(1)는 그 상부에 돌기가있는 길이 1cm 직경1,5mm의 원통형 결합부위(5)를 구성하는데 그 아래는 2mm의 산(5b)을구성하여 지지대와 걸이장치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며 또한 결합후 그 결합을 견고하게 한다.
걸이장치(2)는 반대로 그하부에 길이 1Cm 직경 1.5mm의 원통형 홈을 파서 구성하며 뒷쪽지지대(1)와 마찬가지로 안쪽으로 2mm의 산이 들어갈 수 있는 홈을 구성한다. 본결합으로 뒷쪽지지대의 구성을 완전히 하며 지지대가 상:하로 흔들리지 않게 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제 3도는 집게장치(3)의 결합도이며 그내부의 구조를 보인다.
집게장치(3)의 내부의 구성장치와 결합은 제 5도에 나타나있는바와같이 뒷쪽지지대(1,2)에 연결되어 있는 집게장치 손잡이(3)는 그내부에 반대편 집게손잡이(4)와 완충장치(9)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며 그 좌측상부에는 두 개의 집게손잡이(3,4)를 결합,고정 할 수 있는 리벳(10)을 넣을 수 있는 직경1mm의 구멍을 뚫어 리벳(10)을 넣어 리벳(10)의 좌우양면을 눌러 고정 시킨다. 이때완충장치는 귀에대하여 무리한압박을 가하지않는 정도의 탄력을 가지도록한다.
이러한 집게장치(3)와 앞, 뒤 지지대(1,4)의 결합과 완충장치(9)의 작동으로 귀덮개 장치의 탈부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귀덮개 장치를 귀에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집게장치(3)에 의한 안쪽지지대(4)의 운동과 그범위는 제 6도와 같다.
제 7도는 본 귀덮개장치에 외피와 내피(12). 스폰지편으로 구성된 외피를씌워(11,12) 완성시킨 모습이며 바람직한 착용예(11a,11b)를 보인다.
제 1도와 같이 지지대를 구성한후 귀의 보온을 위하여 지지대(도1)의외경을따라 외피(11,12)를 씌우는데 외피의 재질이 통풍이 순조로운 섬유재질일 경우 외피와 내피 사이에 방풍을 위한 스폰지편(13)을 끼워 넣어구성한다.(도8) 이러한 외피(11,12) 외피의 구성으로 인하여 귀자체는 내피(12)로 감싸며 스폰지편(13)과 외피(12)로 보온의 효과를 기대할수 있다.
외피의크기는 지지대(도1)의 크기와 비례하지아니하는데 이는 지지대(도1)가 고정되는 귀와 머리의경계선보다 귀자체의 크기가 더욱 크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지대(도1)와 귀자체의 크기차이 때문에 외피는 지지대(도1)보다 윗쪽으로 대략10:8의 비율의 크기로 구성되며(도7)(도8) 지지대의 측면 (도2)으로 보아서도 외피(11,12)의 모양이 단순히 반원 형태가 아니라 상부에서 만곡되어 내려오다가 중심에서 윗쪽으로1/5지점에서 최고의 높이를 이루어 아래의 집게장치(도3)까지 안으로 대략40。의 경사로 급격히 휘어져 내려와 완성된다.(도7,11b)
또한 외피(11,12)는 지지대(도1)에 접착하지 아니하는데 이는 고무재질의 상부걸이대(2)의 원활한 움직임과 접착으로 인한 외피(11,12)의 경화현상으로 인한 집게장치(도3)와 그에 부착된 앞쪽지지대(4)의 불완전한 동작을 배제하기 위함이다.
또한 여기서 대략이라 함은 인간의 귀가 그구조는 크게다르지않으나 그크기와 모양에서는 여러 가지 치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귀의 여러 가지 차이에도 지지대(도1)의 근본적인 구조와 모양과 연결구조는 모든 크기에 똑같이 적용된다.
외피의 구조는 제 8도의 단면으로도 설명 될수 있다.
본발명은 귀덮개 장치의 일체형 지지대를 없애고 독립식을 구성하여 머리와 귀를 조이는 불편함을 배제하였으며 크기를 작게 구성함으로서 휴대와 보관을 용이하게 하고 착용시 용모에 구애받지 않아 어떠한 경우에도 착용이가능하게한다.

Claims (5)

  1. 일체형 귀덮개를 분리하여 각각의 귀에 착용할수 있는 방법
  2. 귀의 모양에 따라 휘어지게 형성되어 귀덮개장치의 틀을 구성하는 앞. 뒤 지지대(1,4)와 상부의 걸이장치 (2) 및 귀덮개 장치를 고정 시키기위한 하부의 집게장치(3,7)로 구성되는 전체지지대(도1)에 보온을 위한 외피(11.12.13)를 씌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덮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뒤쪽지지대(4)에 고무재질의 걸이장치 (2)를 연결 구성하여 귀덮개 장치의 고정을 지원하며 탈.착으로부터 귀의 상부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덮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집게장치 (3,7)를 구성하여 귀덮개장치를 귀에 부착,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덮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집게장치(3,7)와 그와 유사한 방법을 이용한 모든 귀덮개 장치
KR1020000012584A 2000-03-13 2000-03-13 집게장치를 구비한 독립식 귀덮개장치 KR200100911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584A KR20010091179A (ko) 2000-03-13 2000-03-13 집게장치를 구비한 독립식 귀덮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584A KR20010091179A (ko) 2000-03-13 2000-03-13 집게장치를 구비한 독립식 귀덮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179A true KR20010091179A (ko) 2001-10-23

Family

ID=19654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2584A KR20010091179A (ko) 2000-03-13 2000-03-13 집게장치를 구비한 독립식 귀덮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117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4324A (ko) * 2002-11-21 2004-05-28 박병혁 방한용 귀마개
KR20200114602A (ko) * 2019-03-29 2020-10-07 김시진 방한용 귀마개
KR20210117674A (ko) 2020-03-20 2021-09-29 김용진 귀 걸이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2273Y1 (ko) * 1980-12-30 1981-12-16 김종균 귀보온 덮개
JPS6190816U (ko) * 1984-11-17 1986-06-12
KR870003328Y1 (ko) * 1985-08-24 1987-10-15 삼성전자 주식회사 히이터부가 회전하는 전기 스토오브
KR960006532A (ko) * 1994-07-30 1996-02-23 배순훈 Osd(on screen display)신호발생장치
KR19990004807U (ko) * 1997-07-09 1999-02-05 김태민 방한용 귀마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2273Y1 (ko) * 1980-12-30 1981-12-16 김종균 귀보온 덮개
JPS6190816U (ko) * 1984-11-17 1986-06-12
KR870003328Y1 (ko) * 1985-08-24 1987-10-15 삼성전자 주식회사 히이터부가 회전하는 전기 스토오브
KR960006532A (ko) * 1994-07-30 1996-02-23 배순훈 Osd(on screen display)신호발생장치
KR19990004807U (ko) * 1997-07-09 1999-02-05 김태민 방한용 귀마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4324A (ko) * 2002-11-21 2004-05-28 박병혁 방한용 귀마개
KR20200114602A (ko) * 2019-03-29 2020-10-07 김시진 방한용 귀마개
KR20210117674A (ko) 2020-03-20 2021-09-29 김용진 귀 걸이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45627C (en) Earmuff device
US20110119804A1 (en) Earmuff assembly
US5778455A (en) Ear cover
US4935965A (en) Ear muff
USD497467S1 (en) Headband
KR20010091179A (ko) 집게장치를 구비한 독립식 귀덮개장치
KR102276972B1 (ko) 방한용 귀마개
KR200314976Y1 (ko) 귀마개
US6070265A (en) Nose warmer
KR200441419Y1 (ko) 다용도 귀마개
KR200423975Y1 (ko) 방한용 귀마개
CN214858226U (zh) 一种不易脱落的分体式耳护
KR200365287Y1 (ko) 방한용 귀마개
KR200281390Y1 (ko) 귀마개
KR200265785Y1 (ko) 보온용 귀마개
JP3246791U (ja) 帽子用付属部材の取付構造
KR200216102Y1 (ko) 귀 보호구
KR100918271B1 (ko) 좌우 분리형 패션 귀마개
KR200194379Y1 (ko) 바람에 의한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모자
KR200373654Y1 (ko) 착용식 양산용 방충망
KR200207765Y1 (ko) 기능성 방한용 마스크
KR200458056Y1 (ko) 이어머프 장치
KR200249686Y1 (ko) 귀마개
US5978968A (en) Attachment for headgear to ventilate while clamping wearer's head
US10016305B2 (en) Clip-on earmuff and k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