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1143A -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1143A
KR20010091143A KR1020000012518A KR20000012518A KR20010091143A KR 20010091143 A KR20010091143 A KR 20010091143A KR 1020000012518 A KR1020000012518 A KR 1020000012518A KR 20000012518 A KR20000012518 A KR 20000012518A KR 20010091143 A KR20010091143 A KR 20010091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call
data
service option
data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2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2478B1 (ko
Inventor
전효식
서창근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2000-0012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2478B1/ko
Priority to US09/802,978 priority patent/US20010021652A1/en
Publication of KR20010091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1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2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24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2Setup of transport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방식의 이동 단말기간에 신속한 데이터 서비스를 실시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 방법은 발신측 이동 단말기가 특정 서비스 옵션을 사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요구에 따라 교환국이 음성 트래픽 경로를 착신측 이동 단말기로 스위칭하여 호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호를 통해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착신측 이동 단말기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므로써 데이터의 이중 분할 처리를 방지하여 시스템 부하가 줄어들며, 신속한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Method for data service in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단말기간의 데이터 서비스시 시스템 부하를 줄이고 데이터 전송 속도를 증가시키는데 적당하도록 한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전화에 대한 수요가 급격하게 늘어남에 따라 음성 통화와 마찬가지로 데이터 통신에서도 배선이 필요 없이 단말기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무선 통신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무선 데이터 서비스는 전통적인 파일 전송뿐만 아니라 컴퓨터 통신 접속을 통한 정보 검색, 인터넷 접속, 기업 컴퓨터 접속 및 팩스 송/수신등 기존 공중 통신망(PSTN)과 공중 데이터망(PSDN)에서 제공되는 모든 서비스를 무선 구간에서 실현할 수 있는 서비스로서 보도기관의 현장 기사 송고, 이메일 송/수신 및 외근 사원의 업무 보고등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서비스는 기존 음성 통화를 위한 망 하부구조에서 망연동 장치(Inter-Working Function, IWF)를 추가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타 망과의 접속을 위하여 프레임 릴레이(Frame Relay) 및 X.25/PRI 접속 기능을 포함한다. 즉, 공중 통신망(PSTN) 접속/, 인터넷 접속 및 공중 패킷 데이터망(PSPDN) 접속으로 타 망과 연계하여 회선(Circuit) 데이터 서비스와 패킷(Packet)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규격은 EIA/TIA의 권고안인 IS-99, IS-707, IS-657, IS-658등이 적용되어 있으며, 교환국(MSC)과는 별도의 운용/유지보수 기능과 통계기능이 관리되도록 구성하여 독립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서비스의 트래픽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현재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CDMA)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정의된 서비스 옵션(Service option)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회선 데이터 서비스 옵션으로써, 8K 비동기 데이터 서비스 : 0x0004, 8K G3 팩스 데이터 서비스 : 0x0005, 13K 비동기 데이터 서비스 : 0x000C, 13K G3 팩스 데이터 서비스 : 0x000D, 8K 비동기 갱신 데이터 서비스 : 0x1004, 13K G3 팩스 갱신 데이터 서비스 : 0x1005이다.
두 번째로, 패킷 데이터 서비스 옵션으로써, 13K PPP 패킷 데이터 서비스 : 0x000F, 13K CDPD 패킷 데이터 서비스 : 0x0010, 8K PPP 갱신 패킷 데이터 서비스 : 0x1007, 8K CDPD 갱신 패킷 데이터 서비스 : 0x1008, 고속 패킷 데이터 베어러 서비스 : 0x0016 ∼ 0x0019이다.
이와 같이 정의된 서비스 옵션을 사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망연동 장치(109) 및 공중 데이터망 기능 엔티티(PDSN Functional entity)를 경유하여 호를 설정하고, 이 호를 통해 데이터 트래픽 경로(Data traffic path)를 설정하여야 한다.
이러한 종래 데이터 서비스 방법을 도 2의 프로토콜 스택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종래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나타낸 프로토콜 스택을 준수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반드시 망연동 장치(IWF)가 필요하다.
즉, 시스템에서는 정의된 데이터 서비스 옵션을 사용하여 호를 요구하는 이동 단말기(102, 103)가 존재하면, 망연동 장치(109)로 이를 알리고 망연동 장치(109)를 경유하는 데이터 트래픽 경로를 설정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임의의 이동 단말기(102, 103)가 정의된 서비스 옵션으로 데이터 호를 요구하여 트래픽(Traffic) 상태가 되면, 해당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은 무선 링크 프로토콜(RLP)을 설정하고, 이어 망연동 장치(109)와 점대점 프로토콜(PPP Protocol)을 설정한다. 이 때에 먼저 기지국에 위치한 SDU와 교환국(108), 교환국(108)과 망연동 장치(109)간에 릴레이 레이어(Relay layer)가 설정된다. 해당 릴레이 레이어 처리 구간은 IS-658에 따른 ISL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절차에 따라. 이동 단말기간, 고정 단말기간, 또는 이동 단말기와 고정 단말기간에 데이터 서비스를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망연동 장치와 연결된 이동 데이터 트래픽 경로가 설정됨으로써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서비스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이동 단말기간의 데이터 서비스시 반드시 망연동 장치가 필요하고 그에 따라 데이터 전송시 이중으로 데이터 분할 처리를 실시하여 시스템 부하가 증가한다.
둘째, 이동 단말기간의 데이터 서비스시 망연동 장치를 경유하여 트래픽 경로가 설정됨으로써 데이터 송/수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이동 단말기간의 데이터 서비스시 시스템 부하를 줄이며 데이터 송/수신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은 발신측 이동 단말기가 특정 서비스 옵션을 사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요구에 따라 교환국이 음성 트래픽 경로를 착신측 이동 단말기로 스위칭하여 호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호를 통해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착신측 이동 단말기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서비스 옵션은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착신측 이동 단말기간에 서로 정의한 서비스 옵션이며, 상기 교환국은 기지국 제어기의 신호 처리 프로세서(BSP), 호 제어 프로세서(CCP) 및 셀렉터/보코더 뱅크 프로세서(SBP)와 연동하여 상기 음성 트래픽 경로를 스위칭한다.
도 1은 종래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서비스의 트래픽 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데이터 서비스를 실시하기 위한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서비스의 트래픽 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보인 통신 시스템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를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0, 401 : 터미널 402, 403 : 이동 단말기
404, 405 : 기지국(BTS) 406 : 기지국 제어기(BSC)
407 : 음성 채널 요소(VCE) 408 : 교환국(MSC)
409 : 스위치 410 : 망연동 장치(IWF)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 단말기간의 데이터 서비스시 시스템 부하를 줄이고 데이터 전송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이동 단말기간에 서로 정의한 특정 서비스 옵션을 사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실시하며, 시스템의 교환국은 특정 서비스 옵션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의 요구시 망연동 장치를 배제하고 음성 트래픽 경로를 데이터 트래픽 경로로 직접 스위칭하여 이동 단말기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서비스시 망연동 장치를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기존에 정의된 프로토콜 스택 중 망관련 프로토콜 스택을 준수할 필요가 없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서비스의 트래픽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에서 터미널(300, 301)은 컴퓨터를 의미하며, 이동 단말기(302, 303)는 이 터미널(300, 301)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각 이동 단말기(302, 303)들은 데이터 서비스를 실시할 때에 사용하기 위한 특정 서비스 옵션을 서로 정의하여 알고 있고 가정한다.
그러면, 임의의 이동 단말기에서 상대방 이동 단말기로 데이터 서비스를 요구하면, 시스템 즉, 교환국(308)은 발신측 이동 단말기로부터 요구된 데이터 호를 망연동 장치(309)를 통해 연결하지 않고 직접 수신측 이동 단말기로 연결한다.
이때, 교환국은 기지국 제어기(306, 307)의 서브 시스템, 예를 들면 신호 처리 프로세서(BTS signaling processor, BSP), 호 제어 프로세서(call control processor, CCP) 및 셀렉터/보코더 뱅크 프로세서(SBP)들과 연동하여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착신측 이동 단말기간에 데이터 트래픽 경로를 설정한다. 여기서교환국(308)은 일반 음성 트래픽 경로를 데이터 트래픽 경로로써 사용하도록 호를 설정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 1 이동 단말기(402)에서 특정 서비스 옵션을 사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요구하면, 제 1 기지국(404) 및 교환국(408)과 제 1 이동 단말기(402)간에는 무선 링크 프로토콜(RLP)이 설정된다. 이때, 제 1 기지국 제어기(406)의 음성 채널 요소(VCE)와 제 1 이동 단말기(402) 간에 무선 링크 프로토콜(RLP)이 설정된다.
그러면, 교환국(408)은 음성 트래픽 경로를 착신측 단말기인 제 2 이동 단말기(403)로 스위칭하고, 그와 함께 제 2 이동 단말기(403)로 페이징을 발생하여 데이터 호가 요구되고 있음을 알린다.
이 후, 제 2 이동 단말기(403)에서 특정 서비스 옵션으로 응답하면 제 1 이동 단말기(402)와 제 2 이동 단말기(403)간에 상기 스위칭된 음성 트래픽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기간에 새롭게 정의된 특정 서비스 옵션에 대하여 기지국에서는 데이터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고, 교환국에서는 이동 단말기간의 트래픽 경로를 망연동 장치로 전송하지 않고 일반 음성 트래픽 경로를 스위칭시키는 방법으로 처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 방법에서는 망연동 장치(410)가 수행하는 기능은 없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제 1 이동 단말기가 특정 서비스 옵션을 사용하여 제2 이동 단말기로 데이터 호를 요구한다(S500). 이 때, 특정 서비스 옵션은 제 1 이동 단말기와 제 2 이동 단말기간에 사전에 이미 정의한 서비스 옵션이다.
그러면, 교환국은 상기 제 1 이동 단말기로부터 요구된 호가 특정 서비스 옵션인가를 체크하고(S501), 체크 결과에 따라 요구된 호가 특정 서비스 옵션일 경우에는 데이터 서비스를 요구하는 호일지라도 망연동 장치(IWF)로 호 설정을 전달하지 않고 일반 음성 호와 동일하게 처리한다(S502).
이 후, 제 1 이동 단말기가 트래픽 상태가 되면 기지국의 SDU 즉, 음성 채널 요소(VCE)는 제 1 이동 단말기와 무선 링크 프로토콜(RLP)을 설정한다(S503).
교환국은 제 2 이동 단말기로 페이징을 요구하고(S504), 상기 제 1 이동 단말기가 페이징에 응답할 때 교환국은 제 2 이동 단말기가 특정 서비스 옵션으로 응답하면 데이터 서비스를 요구하는 호일지라도 망연동 장치로 호 설정을 전달하지 않고 일반 음성 호와 동일하게 처리한다(S505).
그리고, 상기 제 2 이동 단말기가 트래픽 상태가 되면, 기지국의 SDU 즉, 음성 채널 요소(VCE)는 상기 제 2 이동 단말기와 무선 링크 프로토콜(RLP)을 설정하고(S506), 교환국은 제 2 이동 단말기가 응답할 때에 제 1 이동 단말기로 데이터 트래픽 경로를 스위칭하여 데이터 호를 설정한다(S507).
이어, 제 1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정된 데이터 트래픽 경로를 통해 제 2 이동 단말기로 점대점 프로토콜(PPP)을 설정하고(S508), 이 점대점 프로토콜(PPP)의 설정이 완료되면 제 1 이동 단말기와 제 2 이동 단말기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한다(S509).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은 이동 단말기간에 서로 정의한 특정 서비스 옵션을 사용하여 데이터 호를 요구하고 교환국이 음성 트래픽 경로를 망연동 장치를 거치지 않고 직접 착신측 이동 단말기로 스위칭하여 데이터 트래픽 경로로 설정하므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이동 단말기간의 데이터 서비스시 망연동 장치가 필요하지 않음으로써 데이터의 이중 분할 처리를 방지하여 시스템 부하가 줄어든다.
둘째, 이동 단말기간의 데이터 서비스시 망연동 장치를 거치지 않고 직접 데이터를 송/수신하므로써 신속한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셋째, 이동 단말기간의 데이터 서비스시 망연동 장치로 트래픽 경로가 설정되지 않음으로써 시스템 자원의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특히 타 망에 접속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요구하는 이동 단말기에게 할당할 수 있는 시스템 자원이 증가한다.
넷째, 망연동 장치없이도 지원가능한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Claims (5)

  1. 발신측 이동 단말기가 특정 서비스 옵션을 사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요구에 따라 교환국이 음성 트래픽 경로를 착신측 이동 단말기로 스위칭하여 호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호를 통해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착신측 이동 단말기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단계에서,
    상기 특정 서비스 옵션은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착신측 이동 단말기간에 서로 정의한 서비스 옵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국은 기지국 제어기의 신호 처리 프로세서(BSP), 호 제어 프로세서(CCP) 및 셀렉터/보코더 뱅크 프로세서(SBP)와 연동하여 상기 음성 트래픽 경로를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
  4. 발신측 이동 단말기가 특정 서비스 옵션을 사용하여 데이터 호를 요구하는 단계와,
    교환국이 상기 요구된 호가 특정 서비스 옵션인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요구된 호가 특정 서비스 옵션일 경우 상기 발신측 단말기와 기지국간에 무선 링크 프로토콜(RLP)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교환국이 착신측 이동 단말기로 페이징을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측 이동 단말기가 페이징에 응답할 때 상기 착신측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간에 무선 링크 프로토콜(RLP)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교환국이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착신측 이동 단말기간에 데이터 트래픽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데이터 트래픽 경로를 통해 상기 발신측 이동 단말기와 착신측 이동 단말기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단계에서,
    상기 발신측 단말기와 착신측 단말기간에는 점대점 프로토콜(PPP)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
KR10-2000-0012518A 2000-03-13 2000-03-13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 KR100382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518A KR100382478B1 (ko) 2000-03-13 2000-03-13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
US09/802,978 US20010021652A1 (en) 2000-03-13 2001-03-12 Data service communicaito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data service ther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518A KR100382478B1 (ko) 2000-03-13 2000-03-13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143A true KR20010091143A (ko) 2001-10-23
KR100382478B1 KR100382478B1 (ko) 2003-05-01

Family

ID=19654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2518A KR100382478B1 (ko) 2000-03-13 2000-03-13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10021652A1 (ko)
KR (1) KR10038247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283B1 (ko) * 2000-03-15 2003-07-23 닛폰 덴키(주) 무선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정보 검색 시스템
WO2004073209A1 (en) * 2003-02-11 2004-08-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nchronization method for terminal-to-terminal direct communication in time division duplex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505896B1 (ko) * 2002-11-15 2005-08-0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단말기간의 신뢰성있는 데이터교환 방법
KR100653014B1 (ko) * 2003-10-28 2006-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이동국들 간 패킷 데이터 호설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77204A2 (en) * 2003-02-27 2004-09-10 Thomson Licensing S.A. Wlan tight coupling solution
CN103906267B (zh) * 2012-12-27 2017-05-17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分组域在线状态的控制方法、装置及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5323B1 (ko) * 1995-11-30 1998-11-16 양승택 디지털 이동통신망의 음성부호화기를 이용한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 방법
US6219547B1 (en) * 1996-10-31 2001-04-17 Nortel Network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outing in a cellular digital packet data network
KR100281083B1 (ko) * 1998-01-23 2001-02-01 서평원 이동데이터단말기간무선데이터통신방법
US6230024B1 (en) * 1998-05-12 2001-05-08 Nortel Networks Limited Voice to digital fax transmission
FR2781110B1 (fr) * 1998-07-13 2000-08-11 Alsthom Cge Alcatel Procede et dispositif de transmission de donnees sur un canal de paroles
US6487406B1 (en) * 1999-06-16 2002-11-26 Telcordia Technologies, Inc. PCS-to-mobile IP internetworking
US6549776B1 (en) * 1999-07-30 2003-04-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ushing data in a direct digital call environment
ATE468726T1 (de) * 2000-03-21 2010-06-15 Airbiquity Inc Sprachfrequenzband-modem zur datenübertragung über digitale drahtlose netzwerk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283B1 (ko) * 2000-03-15 2003-07-23 닛폰 덴키(주) 무선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정보 검색 시스템
KR100505896B1 (ko) * 2002-11-15 2005-08-01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단말기간의 신뢰성있는 데이터교환 방법
WO2004073209A1 (en) * 2003-02-11 2004-08-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nchronization method for terminal-to-terminal direct communication in time division duplex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466989B2 (en) 2003-02-11 2008-1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nchronization method for terminal-to-terminal direct communication in time division duplex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946899B1 (ko) * 2003-02-11 2010-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시분할 이중 모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 대 단말직접 통신을 위한 동기화 방법
KR100653014B1 (ko) * 2003-10-28 2006-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이동국들 간 패킷 데이터 호설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10021652A1 (en) 2001-09-13
KR100382478B1 (ko) 2003-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52188A (en)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from a home location register to an external node
RU2265965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проса реализаций протокола двухточечной связи у сети услуг пакетной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RU2304845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установления вызовов пакетных данных типа "мобильная станция к мобильной станции" между мобильными станциями в различных беспроводных сетях
KR20020028607A (ko) 무선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방법
US200601111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MS message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WLAN and system using the same
KR20020071296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문메시지 착신전환 방법
JP2009060643A (ja) パケット・データ・チャネルによる短メッセージ送信
JP2006525699A6 (ja) 相互に異なる無線網における移動局間のパケットデータ呼を設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3198726A (ja) 公衆無線通信網及び私設有無線通信網サービス装置とその方法
KR100382478B1 (ko)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
KR100683377B1 (ko) 2세대와 3세대 이동 통신망 사이의 번호이동성 서비스에따른 음성 착신호 처리 방법, 그 장치 및 시스템
KR100201419B1 (ko) 셀 방송 시스템 및 셀 방송 서비스 방법
US7392049B2 (en) Wireless network and method for providing enhanced packet data services between mobile stations
KR20050080884A (ko) 이종 이동통신 시스템 사이의 핸드 오버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304937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종 교환국과 접속하는 무선 엑세스 네트워크의 운영 방법
JP3419666B2 (ja) 移動端末を用いるデータ通信方式
KR20050106639A (ko)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서비스 전환을 위한 이동통신시스템 및 방법
KR100673251B1 (ko) 2g srm을 이용한 1x 서비스 전환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19815A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호 설정 방법
JP4233788B2 (ja) コール設定方法
KR100429564B1 (ko) 사설 무선 교환시스템에서 무선 호 처리 방법
KR100248611B1 (ko) 개인통신시스템에서 비동기데이터에 대한 착신방법
KR20000008027A (ko) 인터넷/패킷망 접속을 위한 시스템 네트웍
KR20040028294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웃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호 셋업방법
KR20030077776A (ko) 단말기간의 실시간 메시지 교환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