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1059A - Insulin pump with blood glucose tester - Google Patents

Insulin pump with blood glucose tes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1059A
KR20010091059A KR1020000009435A KR20000009435A KR20010091059A KR 20010091059 A KR20010091059 A KR 20010091059A KR 1020000009435 A KR1020000009435 A KR 1020000009435A KR 20000009435 A KR20000009435 A KR 20000009435A KR 20010091059 A KR20010091059 A KR 20010091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in
housing
piston
syringe
blood gluc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94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53229B1 (en
Inventor
최수봉
Original Assignee
최수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65010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9105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최수봉 filed Critical 최수봉
Priority to KR1020000009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3229B1/en
Priority to DE10146454.1A priority patent/DE10146454B4/en
Publication of KR20010091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10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3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3229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61M5/1723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4566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with a replaceable reservoir for receiving a piston rod of the pum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61M2005/1581Right-angle needle-typ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20Blood composition characteristics
    • A61M2230/201Glucose concen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PURPOSE: An automatic injector for measuring blood sugar is provided in order that a doctor can measure blood sugar while watching the displaying condition with an extra measurement by displaying the blood sugar level and the injected quantity of an insulin injector in a display portion. CONSTITUTION: The automatic injector for measuring blood sugar includes a pipe(1), a connecting tool(2), a cover(110), a housing(120), a piston(122), a piston pushing instrument(150), an electric power supplying instrument(130), a rotary axis(131), a control button portion(123), a display portion(124), a battery cover(125), a reset button(121) and a bottom cover(140). The injector using the pipe(1) and the connecting tool(2) is connected through the cover(110). The cover(110)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120). The electric power is supplied to the housing(120) through the piston(122), the piston pushing instrument(150) and the electric power supplying instrument(130). The control button portion(123) conveys the order to the control portion and the display portion(124) displays the control condition. The battery cover(125) fixes the battery for supplying the power and the reset button(121) carries out the function of reset.

Description

혈당측정이 가능한 자동주사기{Insulin pump with blood glucose tester}Insulin pump with blood glucose tester

본 발명은 인슐린을 자동으로 주사하는 자동주사기 본연의 기능 및 주입량과 혈당 측정 결과를 동시에 나타내도록 한 자동주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슐린을 장시간 자동으로 주입시키는 자동주사기의 하우징에 혈당측정기를 일체로 형성하고, 혈당측정 결과와 인슐린 주입량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혈당측정부의 측정 결과는 제어부로 제공하여 판단하도록 구성한 혈당측정이 가능한 인슐린 자동주사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injector for automatically injecting insulin and the automatic injection device to simultaneously display the injection amount and blood glucose measurement results, in particular, the blood glucose meter i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of the autoinjector for automatically injecting insulin for a long time. And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display 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result and the insulin injection amount at the same time, and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unit relates to an insulin auto-injector capable of blood glucose measurement configured to provide the control to determine.

20세기 대표적인 문명병인 당뇨병은 세계 인구 약 60억중 1억 이상이 이병으로 고생하고 있으며 한국은 2백만명 정도가 당뇨 환자로 추정하고 있고 내과 환자의 10% 정도가 당뇨 환자이다. 지금까지 당뇨는 완치되는 병이 아니라 조절되는 병으로 인식하고 있다. 조절에 실패하면 각종 합병증으로 생명을 잃게 된다. 이와 같은 당뇨병으로 인한 국내 사망률도 인구 10만명당 11.5명(1990년 통계)으로 늘어나 공포의 병으로 다가왔다.Diabetes, a representative civilization disease of the 20th century, suffers from more than 100 million of the world's population of about 6 billion people. In Korea, about 2 million people are estimated to be diabetic, and about 10% of medical patients are diabetic. Until now, diabetes is recognized as a controlled disease, not a cure. Failure to control will result in loss of life due to various complications. The domestic mortality rate from diabetes has risen to 11.5 per 100,000 population (1990 statistics), bringing fears.

당뇨병은 혈당치가 공복시 140mg/dl이 넘거나 식사시간 2시간후 200mg/dl 이상인 병이다. 이같이 혈당치가 높아지는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현재까지 규명된 이유로는 당을 동화하는 인슐린에 이상이 있다는 것 정도이다. 인슐린의 이상은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의 베타 세포가 인슐린을 충분히 생산해 내지 못해 인슐린이 부족한 상태이거나 췌장의 베타 세포에서는 인슐린을 정상적으로 분비하지만 어떤 이유에서 이 인슐린의 작용이 떨어져서 혈당 동화를 적정한 선까지 해내지 못하는 이른바 인슐린 저항성에 의해 혈당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인슐린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당뇨병을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 인슐린의 분비는 있으나 작용이 충분치 않은 당뇨병을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이라고 하며 최근 그 중간형도 거론되고 있다. 당뇨 환자를 이러한 인슐린 의존, 혹은 비의존형으로 구별하기는 쉽지 않다. 현재 당뇨병 치료 방법으로는 식이요법, 운동요법, 약물요법, 인슐린 주사법으로 대별되며, 췌장 이식도 시도되고 있다.Diabetes mellitus is a disease in which blood glucose levels exceed 140 mg / dl on an empty stomach or 200 mg / dl after 2 hours of meal time. The exact cause of this high blood sugar level is not yet known. Insulin abnormalities are caused by the lack of insulin by the pancreatic beta cells that produce insulin, which is insufficient for insulin, or by the pancreatic beta cells, which secrete insulin normally. So-called insulin resistance does not raise blood sugar. Diabetes, which is absolutely lacking in insulin, is called insulin-dependent diabetes, and diabetes, which is secreted but insufficient in action, is called insulin-independent diabetes. It is not easy to distinguish diabetics from these insulin-dependent or non-dependent forms. Current methods of treating diabetes are divided into diet, exercise, drug therapy, and insulin injection. Pancreas transplantation is also being attempted.

인슐린 주사법은 인슐린 의존형 당뇨 환자에게 사용되는 치료 방법이지만 인슐린 비의존형의 환자에게서도 효과를 볼 수 있다. 인슐린 주사법은 하루에 1-2회 인슐린 주사를 맞는 것이 보편화된 방법이지만 인체 내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의 양은 일정하지 않아 식사시간을 전후로 세 번은 많이 분비되고 그 외 시간에는 적게 분비되기 때문에 인체 내의 인슐린 분비량의 평균치를 주입할 수밖에 없는 이러한 1-2회 주사법으로는 식후에는 인슐린이 모자라 고혈당이 되고 반대로 밤에는 인슐린 양이 많아 저혈당이 된다. 즉, 인슐린 공급이 비정상적으로 되어 몸이 비정상화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인슐린 주사법이 당뇨 합병증의 예방에 도움이 되지 못했던 원인도 이같이 정상인의 인슐린 분비량 변화를 제공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다 개선된 치료 방법으로 제안된 것이 인슐린의 주입 량을 컴퓨터에 의하여 조절함으로써 인체 내의 정상적인 인슐린 분비와 가깝게 만들어주는 이른바 인슐린 펌프(기계적 인공췌장기)와 췌장의 베타 세포 이식 수술 방법이다. 췌장 베타 세포 이식 수술은 당뇨병 환자에게 정상인 췌장의 베타 세포를 이식하여 적절한 인슐린을 분비케 하여 혈당 조절을 하는 것인데 면역학적인 거부 반응 및 췌장 이식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1974년부터 미국에서 연구가 시작되어 1979년 미국 예일 대학의 템베레인(Temberane) 교수에 의하여 실용화되었다.Insulin injection is the treatment used in insulin-dependent diabetics, but it can also be effective in insulin-independent patients. Insulin injection is a common method of receiving insulin injections 1-2 times a day, but the amount of insulin secreted in the human body is not constant, so a large amount is secreted three times before and after meals and less at other times. Injecting an average of 2 to 2 injections with low insulin after meals, high blood sugar on the contrary, the amount of insulin at night is low blood sugar is high. That i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body is abnormal because the insulin supply is abnormal. Therefore, the reason why the conventional insulin injection method did not help prevent the complications of diabetes is because it did not provide a change in insulin secretion of normal people. Therefore, a more improved treatment method is a so-called insulin pump (mechanical artificial pancreas) and pancreatic beta-cell transplantation method that control the amount of insulin injected by computer to make it close to normal insulin secretion in the human body. Pancreatic beta cell transplantation involves diabetic patients transplanting normal beta cells of the pancreas to secrete the appropriate insulin to control blood sugar.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United States in 1974 to overcome the problems of immunological rejection and pancreas transplantation. It was put to practical use by Professor Temberane of Yale University.

일반적으로 장시간 주사용 자동 주사기(인슐린 펌프, 인슐린 주사기, 인슐린 자동 주사기 등으로 호칭됨)는 주사 시린지를 수용하는 하우징에 시린지 피스톤을 푸시 하는 푸시 수단이 결합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는 일본 공개 실용 소화 52-3292호와 미국 특허 제 4,417,889호를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일본 공개 소화 52-3293호는 기본 케이스의 외부에 주사기 주입기가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2중 케이스를 필요로 하여 휴대의 불편함이 있다. 이에 2중 케이스가 필요 없는 방식의 주사기가 개발되었는바, 이는 도 2 와같이 오실레이터(A1)의 출력은 타이머(A2)에 제공되고, 타이머(A2)출력과 스위치(A4)출력은 디지털 컴퍼레이터(A3)에 인가된다. 디지털 컴퍼레이터(A3)의 출력은 카운터(A6)와 플립플롭(A9)에 연결된다. 다른 오실레이터(A5)의 출력은 카운터(A6), 앤드 게이트(A10)(A11) 및 카운터(A13)에 제공된다. 디지털 컴퍼레이터(A7) 출력은 플립플롭(A9)을 리셋 시키고, 디지털 컴퍼레이터(A14)출력은 플립플롭(A16)을 리셋 시킨다. 컨트롤 유니트(A17)는 스위치(manual infusion switch)(A12)의 작동에 의하여 카운터(A13)를 작동토록 연결된다. 상기 컨트롤 유니트(A17)의 출력은 카운터(A13)(A16)(A21)에 제공된다. 디지털 컴퍼레이터(A22) 출력은 스텝 모터(A20)를 정지시키도록 스텝 모터 드라이버(A19)에 연결된다. 플립플롭(A16)의 출력은 오어 게이트(A18)의 한 입력단과 출력이 연결되는 앤드 게이트(A11)의 다른 입력단과 연결된다. 상기 스텝 모터 드라이버(A19)는 스텝 모터(A20)를 구동토록 사용된다. 각각의 고정된 개수로된 스위치들(A4, A8, A15, A25)은 5개의 삽입 바(protruding insert bars)를 가지며 대응하는 각각의 디지털 컴퍼레이터(A3, A7, A14, A22)의 기준치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라이트 소오스(A24)와 포토 센서(A23)는 그 센싱 결과를 카운터(A21)에 제공토록 이루어지며, 이는 도 3 와같이 라이트 소오스(A24)와 포토 센서(A23)가 설치된다. 도 3 에서, 여러 구멍(hole)(A26)은 기어 판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기어축(A27)은 상기 기어 판에 끼움 고정된다. 피스톤판(A28)은 기어축(A27)과 상하이동 가능토록 나사 결합한다. 상기 라이트 소오스(A24) 와 포토 센서(A23)는 상기 구멍(A26)의 상하 수직부에 기어 판과 간격을 두고 별도의 고정판에 설치된다. 이모든 구성을 포함하는 구조의 일 예는 도 2 와같이 도시할 수 있으며, 하우징의 상부에는 라이트 소오스(A24)와 포토 센서(A23)가 설치되며, 라이트 소오스(A24)와 포토 센서(A23) 사이의 수평선상에는 기어메카니즘(G)이 설치되며, 기어메카니즘(G)은 모터(M)에 의하여 구동된다. 상기 모터(M)의 구동은 카운터(A21), 디지털 컴퍼레이터(A22), 스위치(A25) 및 모터 드라이버(A19)의 구동에 의하여 제어된다. 상기 기어메카니즘(G)의 기어축(A27)에는 피스톤판(A28)을 너트 형태로 나사 결합하고, 피스톤판(A28)의 작용에 의하여 시린지(I)의 주사액(인슐린)이 주사침(N)으로 주사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시린지가 외기와 도통되는 상태이므로 물이나 습기 등이 스며들기 쉽고, 이에 따라 주사 중에 샤워를 하려면 하우징을 별도의 실링 케이스에 수장시킨 다음 샤워를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In general, a long-term injection auto-injector (called an insulin pump, insulin syringe, insulin auto-injector, etc.) has a structure in which a push means for pushing a syringe piston into a housing for receiving an injection syringe is coupled. This can exemplify JP-A-52-3292 and US Pat. No. 4,417,889. Since the Japanese Laid-Open Fire No. 52-3293 has a structure in which a syringe injector is installed outside the basic case, it requires a double case, which is inconvenient to carry. In this regard, a syringe having a dual case type was developed. The output of the oscillator A1 is provided to the timer A2, and the timer A2 output and the switch A4 output are the digital comparators, as shown in FIG. Is applied to (A3). The output of the digital comparator A3 is connected to the counter A6 and the flip-flop A9. The output of the other oscillator A5 is provided to the counter A6, the AND gate A10 (A11) and the counter A13. The digital comparator A7 output resets flip-flop A9, and the digital comparator A14 output resets flip-flop A16. The control unit A17 is connected to operate the counter A13 by the operation of a manual infusion switch A12. The output of the control unit A17 is provided to the counters A13, A16 and A21. The digital comparator A22 output is connected to the step motor driver A19 to stop the step motor A20. The output of the flip-flop A16 is connected to one input terminal of the OR gate A18 and the other input terminal of the AND gate A11 to which the output is connected. The step motor driver A19 is used to drive the step motor A20. Each fixed number of switches A4, A8, A15 and A25 have five protruding insert bars and provide reference values for the corresponding respective digital comparators A3, A7, A14 and A22. It performs the function. The light source A24 and the photo sensor A23 are configured to provide the sensing result to the counter A21, which is provided with the light source A24 and the photo sensor A23. In Fig. 3, several holes A26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gear plate. The gear shaft A27 is fitted and fixed to the gear plate. The piston plate A28 is screwed with the gear shaft A27 so as to be movable. The light source A24 and the photo sensor A23 are installed on separate fixing plates at intervals from the gear plate at upper and lower vertical portions of the hole A26. An example of the structure including all of these configurations can be shown as shown in FIG. On the horizontal line between the gear mechanism (G) is installed, the gear mechanism (G) is driven by the motor (M). The driving of the motor M is controlled by the driving of the counter A21, the digital comparator A22, the switch A25 and the motor driver A19. The piston shaft A27 of the gear mechanism G is screwed to the piston plate A28 in the form of a nut, and the injection liquid (insulin) of the syringe I is moved to the needle N by the action of the piston plate A28. It is made to be injected. However, such a structure is easily infiltrated with water or moisture because the syringe is in conduction with the outside air. Accordingly, in order to take a shower during injection, it is inconvenient to take a shower after storing the housing in a separate sealing case.

이를 위하여 실링 가능한 방식의 주사기가 본 출원인에 의하여 제안되었는바, 도 4 는 이러한 예를 나타내는 자동 주사기의 정면도로, 하우징(20) 상단은 덮개(10)로, 하단은 바닥 덮개(40)로 실링 결합되게 하고, 덮개(10)에는 도관(1)과 일체로된 연결구(2)를 나사 결합시킨다. 연결구(2)는, 하우징(20) 내부에서 피스톤(22)과 결합되어 주사액을 수용하는, 주사기 시린지(21)와 도통케 한다. 하우징(20) 바닥면에는 동력 제공 수단(30)을 수장시키고, 동력 제공 수단(30)의 회전축(31)에는 회전하여 피스톤(22)을 상승 구동시키는 원판형 푸시 수단(50)이 나사 결합 상태로 결합된다.For this purpose a sealable syringe has been proposed by the applicant, 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autoinjector illustrating this example, the top of the housing 20 with the lid 10, the bottom is sealed with the bottom cover 40 The coupling 10 is screwed to the cover 10, the connector (2) integral with the conduit (1). The connector 2 engages with the syringe syringe 21, which is coupled to the piston 22 inside the housing 20 to receive the injection liqui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20, a power supply means 30 is accommodated, and a disk-shaped push means 50 that rotates and drives the piston 22 upwardly by rotating on the rotation shaft 31 of the power supply means 30 is screwed. To be combined.

도 5 는 도 4 의 평면도로, 하우징(20) 표면 좌측에는 덮개(10)가, 우측에는 바테리 덮개(24)가 설치된다. 덮개(10)에는 도관(1)과 연결된 연결구(2)가 연결된다.FIG. 5 is a plan view of FIG. 4, in which a cover 10 is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surface of the housing 20, and a battery cover 24 is installed on the right side. The cover 10 is connected to a connector 2 connected to the conduit 1.

도 6 은 도 5 의 A-A선 단면 분해도로, 덮개(10)중앙에는 연결구(2)와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홈(11)이 있고, 외주에는 시린지 수장공(23)을 실링 결합시키는 볼트 나사부(12) 및 패킹(13)을 설치한다. 시린지 수장공(23) 하부에는 푸시 수단(50)의 푸시 수단 안내돌기(51)가 끼워지고, 푸시 수단(50)의 상승 하강을 안내하는 푸시 수단 안내홈(25)을 형성하며, 또한 도 4 에 보인 피스톤(22)의 상승을 안내하는 피스톤 안내홈(27)을 형성한다.6 is a cross-sectional exploded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5, in the center of the cover 10, a connector 2 and a screw groove 11 for screwing are connected, and a bolt screw part for sealing and coupling the syringe holder 23 to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12) and packing (13) are installed. A push means guide protrusion 51 of the push means 50 is fitted below the syringe holder 23 to form a push means guide groove 25 for guiding the rising and falling of the push means 50, and FIG. 4. A piston guide groove 27 for guiding the rise of the piston 22 shown in the drawing is formed.

도 7 은 도 6 에 보인 시린지 수장공(23)에 끼워지는 동력 제공 수단(30) 및 그 회전축(31)에 나사 결합된 원판 상의 푸시 수단(50)을 나타낸다. 푸시 수단(50)은 외주연에 도 6 에 보인 푸시 수단 안내홈(25)에 끼움 결합되어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푸시 수단 안내돌기(51)가 있는 하부 원판(54)과, 피스톤(22)을 받치며 피스톤(22)을 안치시키는 요철 수단(52)이 있으며 하부 원판(54)과 일체로된 상부 원판(55)으로 이루어진다. 동력 제공 수단(30)은 모터의 회전력을 감속시켜 회전축(31)에 제공하는 감속 메커니즘(33)을 포함한다. 상부 원판(55)또는 하부 원판(54)에는 지그 끼움홈(도시하지 않음)을 형성하고, 지그 끼움홈에 지그를 끼울 때 푸시 수단 안내돌기(51)가 중심을 향해 들어가는 구조를 이룬다.FIG. 7 shows the power supply means 30 fitted in the syringe holder 23 shown in FIG. 6 and the push means 50 on a disc screwed to the rotary shaft 31 thereof. Push means 50 is fitted to the push means guide groove 25 shown in Figure 6 on the outer periphery, the lower disk 54 with the push means guide protrusion 51 to move vertically, and the piston 22 There is a concave-convex means 52 which supports and rests the piston 22 and consists of an upper disc 55 which is integral with the lower disc 54. The power supply means 30 includes a deceleration mechanism 33 that decelerat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and provides it to the rotation shaft 31. A jig fitting groove (not shown) is formed in the upper disk 55 or the lower disk 54, and the push means guide protrusion 51 enters the center when the jig is fitted in the jig fitting groove.

이를 사용할 때에는 도 7 상태(하우징(20)을 생략한 상태라 가정한다)에서, 도 8 에 보인 시린지(21)에 피스톤(22)을 끼우고, 시린지(21)에는 별도의 일회용 주사 바늘(도시하지 않음)을 끼워 약병 마개에 찌른 다음 피스톤(22)을 잡아 당겨 약병에 있는 주사액(예를 들어 인슐린)을 시린지(21)에 수장시킨다.When using this, in the state of FIG. 7 (assuming that the housing 20 is omitted), the piston 22 is inserted into the syringe 21 shown in FIG. 8, and a separate disposable needle (shown in the syringe 21) is shown. Insert a syringe (eg, insulin) in the vial and pull the piston 22 to store the syringe 21 in the syringe 21.

이 상태에서 피스톤(22)을 푸시 수단(50)에 안치시키고(물론 도 6 및 도 4 의 시린지 수장공(23)내부로, 도 6 에 보인 피스톤 안내홈(27)에는 도 8 에 보인 피스톤 안내돌기(26)가 안내되도록 결합시키고, 도 8 에 보인 푸시수단 안내돌기(51)는 푸시수단 안내홈(25)을 따라 안내되도록 결합시킨다), 덮개(10)를 시린지 수장공(23) 상단과 나사 결합시킨다. 이 상태에서 연결구(2)를 덮개와 나사 결합시키면 연결구(2)는 자연스럽게 시린지 팁(21-1)과 결합된다. 따라서 실링 상태로 시린지(21)내용물이 푸시 수단(50)의 작동에 따라 자동 주사된다. 이때 푸시수단(50)은 푸시 수단 안내돌기(51)가 시린지 수장공(23)의 푸시 수단 안내홈(25)과 결합되므로 정위치로 상승 가능케 하고, 도 8에 보인 피스톤 안내돌기(26)는 도 6 에 보인 피스톤 안내홈(27)을 따라서 피스톤(22)이 정위치로 상승 가능케 한다.In this state, the piston 22 is placed in the push means 50 (of course, into the syringe holder 23 of FIGS. 6 and 4, and the piston guide groove 27 shown in FIG. 6 guides the piston shown in FIG. 8). The protrusions 26 are coupled to guide, and the push means guide protrusions 51 shown in FIG. 8 are coupled to guide along the push means guide grooves 25), and the lid 10 with the upper end of the syringe holder 23. Screw in. In this state, when the connector 2 is screwed with the cover, the connector 2 is naturally engaged with the syringe tip 21-1. Thus, the contents of the syringe 21 in the sealed state are automatically scann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push means 50. At this time, the push means 50, the push means guide protrusion 51 is coupled to the push means guide groove 25 of the syringe holder 23 so that it can be raised to the right position, the piston guide protrusion 26 shown in FIG. Along the piston guide groove 27 shown in Figure 6 allows the piston 22 to rise to the right position.

한편 장시간 주사용 휴대용 자동 주사침 유니트의 예로는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자형의 수평형 주사침 부재(일명, 일자형 나비 주사침)(3)와, 이송관(도관)(1), 및 하우징(20)의 커넥터부(20-5)와 연결되는 연결구(2)로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n example of a portable automatic needle unit for long-term injection is, as shown in Fig. 9, a horizontal needle member (aka, straight butterfly needle) 3 having a “-” shape, a conveying pipe (conduit) 1, and a housing. It consists of the connector 2 connected with the connector part 20-5 of (20).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방식의 주사침은 일자형 나비 주사침 부재(3)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신의 피부 조직에 직접 자입할시 보면서 자입해야 함으로 매우 고통스러운 것이다. 즉, 장시간 주사기의 주사약으로 주로 쓰이는 인슐린은 당뇨병 환자가 직접 주사침을 자입하여 체내로 주사하고 있는데, 일자형 나비 주사침은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몸(피부 조직)에 비스듬히 자입해야 하므로 자입시 직접 자입 되는 것을 눈으로 확인해야 한다. 이 경우 자신의 몸에 주사침을 자입하는 사용자는 매우 고통스러운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일자형 나비 주사침 부재(3)는 피부 조직에 비스듬히 자입되기 때문에 유동이 쉽게 이루어져 피부 조직이 손상되고 혈액이 흘러나오면서 통증이 심하게 발생하는 것이다.However, since the needle of the above-described method is composed of a straight butterfly needle member (3) is very painful to be inserted when the user inserts directly into his skin tissue. In other words, insulin, which is mainly used as a syringe injection for a long time, is injected by a diabetic patient by injecting a needle directly into the body, but a straight butterfly needle needs to be inserted into the body (skin tissue) at an angle so that it is directly inserted when inserting it. Check with your eyes. In this case, the user who injects the needle into his body is very painful. In addition, since the straight butterfly needle member 3 is inserted into the skin tissue at an angle, the flow becomes easy, so that the skin tissue is damaged and the pain is severely generated as the blood flows out.

일자형 나비 주사침 부재(3)를 가지는 주사침 유니트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피부 조직에 비스듬히 자입되기 때문에 세포 조직에 의해 주사침이 쉽게 막히고, 또 인슐린의 주입이 원활하지 못함에 따라 이송관(1)의 직경이 굵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 경우 과다한 인슐린 주입이 이루어질 가능성 있고, 또 고가인 인슐린 낭비가 초래되기도 한다. 예컨대, 인슐린을 공급하기 위해 주사침을 자입하기 전에 이송관(1)과 주사침 부재(3)속에 있는 공기를 완전히 제거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인슐린 자동 주입기의 펌핑으로 인슐린을 송출하여 이송관(1)과 주사침 부재(3)를 통해 하우징(20)밖으로 배출토록 함으로써 공기를 제거하게 되는데, 이때 이송관(1)의 직경이 굵어 많은 양의 인슐린이 버려지게 되는 것이다.Since the needle unit having the straight butterfly needle member 3 is inserted into the skin tissue at an angle as mentioned above, the needle is easily blocked by the cell tissue, and the injection of insulin is not smoothed. The diameter is bound to be thick. In this case, excessive insulin injection may occur, and expensive insulin waste may be caused. For example, the air in the delivery tube 1 and the needle member 3 must be completely removed before inserting the needle to supply insulin. To this end, the insulin is sent out by pumping of the automatic insulin injector to remove the air by discharging it out of the housing 20 through the transfer pipe 1 and the needle member 3, wherein the diameter of the transfer pipe 1 is large Positive insulin is thrown away.

이를 위하여 ㄱ 형태로 구부려 피부에 바로 꽂아 사용할 수 있는 주사침 유니트가 개발되었는바, 이는 도 10 및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침 부재(3)와 이송관(1) 및 연결구(2)로 이루어진다.To this end, a needle unit has been developed that can be bent directly into the skin to be used in a-shape, as shown in FIGS. 10 and 11, consisting of a needle member 3, a transfer pipe 1, and a connector 2.

상기, 주사침 부재(3)는 주사침(3-11)의 형상을“ㄱ” 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주사침(3-11)은 연결리브(3-12)에 삽입 설치되며, 이 연결리브(3-12)에 상기 이송관(1)을 일체로 되게 연결 형성한다. 연결리브(3-12)에 삽입 설치되는 주사침(3-11)은 도 11 에서와 같이 굴곡부(3-13)가 형성되도록 형성하고, 또 주사침(3-11)을 자입할시 푸시할 수 있는 누름편(3-14)을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누름편(3-14)에 전방으로 소독 처리된 부직포를 소재로한 세균 감염 방지 부재(3-14-1)를 고착한다. 상기, 세균 감염 방지 부재(3-14-1)의 재질은 천연 목재 펄프로 사용한다. 상기, 이송관(1)의 직경을 가늘게 형성하고, 그 길이는 보다 길게 형성한다. 상기, 연결구(2)는 이송관(1)의 하측 선단부에 연결 형성하고, 이 연결구(2)에 수나사부(2-15)를 형성하여 암나사부(2-16)를 갖는 보호캡(2-17)과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구(2)는 인슐린 자동 주입기의 하우징(20)의 커넥터부(20-5)와 결합되는데 이 커넥터부(20-5)는 암나사부(20-5a)를 형성하여 결합된다. 도 10 에서미설명부호 3-18은 주사침 보호 캡이다.The needle member 3 forms the shape of the needle 3-11 in the shape of “a”, and the needle 3-11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rib 3-12 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rib 3. -12) to form the transfer pipe (1) integrally connected. The needle 3-11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rib 3-12 is formed such that the bent portion 3-13 is formed as shown in FIG. 11, and can be pushed when the needle 3-11 is inserted. The pressing piece 3-14 is integrally formed. The bacterial infection prevention member 3-14-1 made of the nonwoven fabric which has been sterilized in the forward direction is adhered to the pressing piece 3-14. The material of the bacterial infection prevention member 3-14-1 is used as natural wood pulp. The diameter of the feed pipe 1 is made thin, and the length is formed longer. The connector 2 is formed to connect to the lower end of the transfer pipe 1, forming a male screw portion (2-15) in the connector (2) having a protective cap (2--16) having a female screw portion (2-16) 17). In addition, the connector 2 is coupled to the connector portion 20-5 of the housing 20 of the automatic insulin injector, which connector portion 20-5 is coupled to form a female screw portion 20-5a. In FIG. 10, reference numerals 3-18 denote needle protection caps.

이상과 같이 구성한 주사기 유니트를 사용하여 인슐린 자동 주입기의 하우징(20)을 통하여 인슐린을 공급받고자 하려면, 먼저, 연결구(2)에 결합된 보호캡(2-17)을 분리하고 커넥터부(20-5)와 나사 결합한다. 이어서, 주사침(3-11)에 삽입된 주사침 보호캡(3-18)을 분리해 낸다. 이후, 누름편(3-14)을 손가락 끝으로 푸시 하면서 사용자의 피부 조직에 자입시킨다. 이때, 주사침(11)은“ㄱ” 형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부 조직에 수직으로 자입시킬수 있어 사용자는 주사침이 자입되는 것을 눈으로 확인할 필요 없이 순간적으로 자입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몸에 주사침을 자입시킬 때 뒤따르는 고통을 안전히 해소할 수 있으며, 도 13 과같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주사침(3-11)이“ㄱ” 형으로 구성되어 수직으로 자입되기 때문에 층으로 이루어진 피부 조직에 의한 주사침(3-11)의 입구가 막힐 염려가 전혀 없다. 그러므로 인슐린의 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인슐린의 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음에 따라 이송관(1)의 직경을 작게 할 수 있고, 또 그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이송관(1)의 직경을 작게 할 수 있음에 따라 이송관(1)과 주사침(3-11) 속의 공기를 제거할 시 인슐린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고, 또 원가 절감을 기할 수 있으며,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음에 따라 도 12 및 도 13 에서와 같이 사용할 시 자입할 수 있는 부위의 폭이 넓어짐으로 사용상 편리함을 기할 수 있다. 누름편(3-14)의 전방으로 멸균 처리된 천연 부직포를 고착 구성함에 따라 주사침(3-11)을 피부 조직에 자입하여 인슐린을 공급할 시 합성수지로 된 누름편(3-14)이 피부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또 세균감염등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주사침(3-11)의 형상을“ㄱ” 형으로 구성함에 따라 피부 조직에 자입하여 사용할 때 수직으로 자입되기 때문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주사침(3-11)의 유동이 일어나지 않아 조직 손상을 방지하고, 또 혈액이 흐르지 않으며 통증을 유발하지 않게 된다.To receive insulin through the housing 20 of the automatic insulin injector using the syringe uni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irst, remove the protective cap (2-17) coupled to the connector (2) and the connector portion 20-5 ) And screw. Next, the needle protective cap 3-18 inserted in the needle 3-11 is removed. Then, the pressing piece (3-14) is inserted into the skin tissue of the user while pushing the fingertips. At this time, since the needle (11) is composed of a "b" type can be inserted into the skin tissue vertically so that the user can be instantaneously inserted without the need to visually confirm that the needle is inserted. Accordingly, the user can safely eliminate the pain that follows when the needle is inserted into his or her body, and can be conveniently used as shown in FIG. 13. There is no fear that the inlet of the needle 3-11 by the layered skin tissue will be blocked because it is inserted. Therefore, the supply of insulin can be facilitated. As the insulin can be smoothly supplied as described above, the diameter of the delivery pipe 1 can be reduced, and the length thereof can be increased. Since the diameter of the delivery pipe 1 can be reduced, the waste of insulin can be minimized and the cost can be reduced when the air in the delivery pipe 1 and the needle 3-11 is removed. As it can be lengthened, the width of the portion that can be inserted when used as shown in Figs. 12 and 13 can be widened for ease of use. As the natural nonwoven fabric sterilized in front of the pressing piece (3-14) is fixed, the pressing piece (3-14) made of synthetic resin is directly applied to the skin when the needle (3-11) is inserted into the skin tissue to supply insulin. We can prevent contact and can prevent bacterial infection. As the shape of the needle 3-11 is “a”, it is vertically inserted when used by injecting into the skin tissue. Thus,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flow of the needle 3-11 does not easily occur, thereby causing tissue damage. Prevents blood flow and does not cause pain.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주사기 유니트는 도 14 와 같이 주사기 보호캡(3-18)이 설치되어 사용하는데, 주사기 보호캡(3-18)은 주사침(3-11)과 같은 직경의 끼움경(3-18-1)과, 주사침(3-1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내경인 삽입경(3-18-2)을 갖는다. 따라서 주사침(3-11)에 주사기 보호캡(3-18)을 끼울 때 끼움경(3-18-1)의 내벽에 주사침(3-11)이 끼워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주사침(3-11)을 손상시키기도 하고, 끼움경의 직경이 작아서 초기 공기를 빼기 위하여 주사액을 흘릴 때 모세관 현상으로 인하여 세균감염 방지부재(3-14-1)에 주사액이 침투하여 주사 시의 환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주기도 한다. 아울러 주사침(3-11)의 수직부와 굴곡부(3-13) 사이에는 급격한 절곡부(3-11-1)가 있어 도 15 와같이 사용 중에 이동이 심할 경우(운동이나 작업을 많이 하거나, 사용 전에 사용자가 고의로 필요에 의하여 수직부 선단 위치를 점선 상태로 옮기는 경우) 절곡부(3-11-1)에 과중한 스트레스가 가하여 절단이 되기도 하여 제품의 신뢰성에 문제가 있게 된다.However, this type of syringe unit is used by installing a syringe protective cap (3-18) as shown in Figure 14, the syringe protective cap (3-18) is a diameter of the same diameter as the needle (3-11) (3-18) -1) and an insertion diameter 3-18-2 which is an inner diameter of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needle 3-11. Therefore, when inserting the syringe protective cap (3-18) to the needle (3-11),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eedle (3-11) is fitted to the inner wall of the insertion diameter (3-18-1), etc. ), The diameter of the fitting diameter is small, and the injection liquid penetrates into the bacterial infection prevention member (3-14-1) due to capillary phenomenon when the injection liquid flows to remove the initial air, causing discomfort to the patient at the time of injection. . In addition, there is a sharp bent portion (3-11-1) between the vertical portion and the bent portion (3-13) of the needle (3-11), if the movement is severe during use as shown in Figure 15 (movement or work a lot, or use If the user intentionally moves the vertical tip position to the dashed state by necessity, excessive stress is applied to the bent portion 3-11-1, resulting in a problem in reliability of the product.

이를 해소코자 사용후 시린지에 주사액을 재충전할 때 회전축을 하우징에서 분리시킨 후 위치를 쉽게 눈으로 보면서 세팅한 다음 정위치에서 회전축과 푸시판이 하우징과 결합 가능토록 하는 휴대용 자동 주사기가 개발되었는바, 도 16 은 이러한 자동 주사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연결구(2)와 연결된 도관(1)을 사용한 주사기는 덮개(110)를 통하여 연결되고, 덮개(110)는 하우징(120)의 상단에 실링 가능토록 결합된다. 상기 덮개(110)에 대응하는 하우징(120)에는 시린지(21)와 피스톤(122), 피스톤 푸시 수단(150) 및 동력 제공 수단(130)을 통하여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축(131)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20)에는 제어 기판(도시하지 않음) 을 지령하는 제어 보턴부(123)와 제어 상태를 표시하는 엘시디 등의 디스플레이부(124)와, 전원을 제공하는 바테리를 고정시키는 바테리 덮개(125)와, 리셋 기능을 수행하는 리셋 버튼(121)을 포함한다.(140)는 바닥 덮개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portable auto-injector was developed in which the rotating shaft was detached from the housing when the syringe was refilled with the syringe, and the position was easily set by looking at the position. 16 shows an example of such an automatic syringe, in which a syringe using a conduit 1 connected to a connector 2 is connected through a cover 110, and the cover 110 is sealed at the top of the housing 120. Combined as much as possible. The housing 120 corresponding to the cover 110 includes a syringe 21, a piston 122, a piston push means 150, and a rotation shaft 131 for providing power through the power providing means 130. The housing 120 includes a control button 123 for commanding a control board (not shown), a display unit 124 such as an LCD for displaying a control state, and a battery cover 125 for fixing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And a reset button 121 for performing a reset function. 140 is a bottom cover.

도 17 은 도 16 의 평면도로, 하우징(120)의 상면에는 바테리 덮개(125)와, 리셋 버튼(121)과, 덮개(110) 및 덮개(110)와 연결되는 연결구(2)를 가지며 연결구(2)는 도관(1)과 연결되는 구성을 가진다.FIG. 17 is a plan view of FIG. 16.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20 includes a battery cover 125, a reset button 121, a cover 110, and a connector 2 connected to the cover 110. 2) has a configuration in connection with the conduit (1).

도 18 은 도 17 의 덮개(110)를 생략한 상태로 피스톤(122) 및 푸시 수단(150)이 안치되는 구조와 동력 전달수단을 보이는 평면도이고, 도 19 는 도 18 의 B-B 선 단면도로, 하우징(120)의 시린지 수장공(126)의 하부 중심에는 동력 제공 수단(130)과 연결되는 로킹 회전구(132)와, 푸시 수단(150)의 상승을 안내하는 푸시 수단 안내홈(25)과, 피스톤(122)의 직선 상하 운동을 안내하는 피스톤 안내홈(27)을 포함한다. 상기 동력 제공수단(130)과 로킹 회전구(132)는 동력 제공수단 하우징(130-1)에 설치되며, 동력 제공수단 하우징(130-1)은 하우징(120)하단과 결합한다.FIG. 18 is a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piston 122 and the push means 150 are placed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with the cover 110 of FIG. 17 omitted, and FIG. 19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 of FIG. In the lower center of the syringe holder 126 of the housing 120, a locking rotator 132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30, and a push means guide groove 25 for guiding the push means 150 to rise. And a piston guide groove 27 for guiding the linear vertical movement of the piston 122. The power providing means 130 and the locking rotator 132 are installed in the power providing means housing 130-1, and the power providing means housing 130-1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120.

도 20 은 하우징(120)의 시린지 수장공(126)에 형성되는 로킹 회전구(132)와 이를 통하여 동력을 제공받는 회전축(131)과의 결합 구조를 보인 확대 부분 사시도로, 하우징(120)은 동력제공수단 하우징(130-1)과 분리 가능토록 결합되며; 동력 제공 수단(130)의 출력단에 결합된 기어(132-3)와, 기어(132-3)와 일체로 형성되며 분리된 회전축(131)의 결합핀(133)과 분리 가능토록 결합하는 십자형 홈(132-1)을 가지는 로킹 회전구(132)와; 하부에서 상기 십자형 홈(132-1)과 결합 및 분리되는 결합핀(133)을 가지며 푸시 수단(150)의 푸시판(154)을 직선 운동시키는 회전축(131)과; 회전축(131)과 나사 결합하며 푸시 수단 안내홈(25)을 따라 푸시판(154)이 상하이동 가능토록 안내하는 피스톤 에지 돌기(122-2)와, 피스톤(122)과 일체로 된 피스톤 에지(122-1)의 푸시판 결합홈(122-3)과 결합하는 푸시판 결합돌기(151-1)와, 피스톤 안내홈(27)을 따라서 안내되는 피스톤 에지 돌기(122-2)를 가지는 피스톤 에지(122-1)를 가지는 피스톤(122)과; 상기 피스톤(122)을 따라서 수용된 주사액을 도 16 에 보인 도관(1)으로 공급하는 시린지(21)로 이루어진다. 상기 로킹 회전구(132)와 결합핀(133)은 결합수단(Coupling means)을 이룬다. 상기 동력 제공수단 하우징(130-1)에는 상부가 개방된 링 상의 안내링 판(130-2)을 이루며, 안내링 판(130-2)에는 로킹 회전구(132)를 이루는 십자형 홈(132-1)을 형성하는 회전축 결합구(132-4)가 결합된다.FIG. 20 is an enlarged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locking rotary hole 132 formed in the syringe holder 126 of the housing 120 and the rotating shaft 131 that is powered through the housing 120. A power supply means housing 130-1 is detachably coupled; A cross groove form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gear 132-3 coupled to the output end of the power providing means 130 and the coupling pin 133 of the rotary shaft 131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gear 132-3. A locking rotor 132 having a 132-1; A rotating shaft (131) having a coupling pin (133)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cross groove (132-1) at a lower portion to linearly move the push plate (154) of the push means (150); A piston edge protrusion 122-2 which is screwed with the rotary shaft 131 and guides the push plate 154 along the push means guide groove 25 so as to be movable; and a piston edge integral with the piston 122 ( A piston edge having a push plate engaging projection 151-1 engaging with the push plate engaging groove 122-3 of 122-1 and a piston edge protrusion 122-2 guided along the piston guide groove 27. A piston 122 having a 122-1; It consists of a syringe 21 for supplying the injection liquid received along the piston 122 to the conduit 1 shown in FIG. The locking rotary ball 132 and the coupling pin 133 forms a coupling means. The power providing means (130-1) forms a guide ring plate (130-2) on a ring with an open top, and the guide ring plate (130-2) is a cross-shaped groove (132-) forming a locking rotary hole (132). Rotating shaft coupler 132-4 forming 1) is coupled.

도 21 은 분리된 회전축(131)과, 이와 결합하는 푸시 수단(150)과, 피스톤(122) 및 시린지(21)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2 는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 회전축(131)은 나사봉으로 이루어지고, 회전축(131)의 하단에는 상기 십자형홈(132-1)에 결합되는 결합핀(133)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단에는 회전축(131)과 나사 결합하는 캡형(cap type) 헤드(131-1)가 결합된다. 상기 회전축(131)에는 푸시 수단(150)이 상하이동 가능토록 나사 결합된다. 푸시 수단(150)은 상기 회전축(131)과 너트 형태로 나사 결합하는 푸시판(154)과, 푸시판(154)에 수평으로 돌설하여 상기 도 10에 보인 푸시 수단 안내홈(25)과 결합하는 푸시판 안내돌기(151)와, 푸시판 결합홈(122-3)과 결합하는 푸시판 결합돌기(151-1)와, 피스톤(122)과 끼움 결합하는 삽입 돌기(155)와, 삽입 돌기(155)에 형성된 링 상의 스냅 링홈(156)을 포함한다. 상기 스냅링홈(156)에 대응하는 피스톤(122)에는 스냅 링륜(122-4)이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122)은 시린지(21)의 내용물을 피스톤 작용으로 배출토록 하는 피스톤(122)과 결합되고, 피스톤(122)의 하단에는 피스톤 에지(122-1)가 형성되며, 피스톤 에지(122-1)에는 피스톤 에지 돌기(122-2)가 돌설 된다. 피스톤 에지(122-1)에는 또한 푸시판 결합돌기(151-1)와 결합되는 푸시판 결합홈(122-3)을 형성한다.FIG. 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eparated rotating shaft 131, the push means 150 coupled thereto, the piston 122, and the syringe 21, and FIG. 2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ed state. 131 is made of a screw rod, the lower end of the rotary shaft 131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upling pin 133 is coupled to the cross-shaped groove (132-1), the upper end of the cap screw for screwing the rotary shaft 131 (cap type) The head 131-1 is coupled. Push means 150 is screwed to the rotating shaft 131 to be movable. Push means 150 is a push plate 154 for screwing in the form of a nut and the rotating shaft 131, and a horizontal protrusion on the push plate 154 to engage with the push means guide groove 25 shown in FIG. Push plate guide protrusion 151, push plate coupling protrusion (151-1) coupled with the push plate coupling groove (122-3), the insertion protrusion (155) for fitting the piston 122, the insertion projection ( And a snap ring groove 156 on the ring formed in 155. A piston ring 122-4 is formed in the piston 122 corresponding to the snap ring groove 156. The piston 122 is coupled to the piston 122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of the syringe 21 by a piston action, the piston edge 122-1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piston 122, the piston edge 122- Piston edge protrusion 122-2 is protruded in 1). The piston edge 122-1 also forms a push plate engaging groove 122-3 engaged with the push plate engaging protrusion 151-1.

도 23 은 리셋 버튼(121)의 설치 상태의 일 예를 보인 단면도로, 하우징(120)에 리셋 버튼(121)이 결합되며, 리셋 버튼(121)과 하우징(120)의 적어도 1개소에는 실링용 패킹(121-1)이 설치된다.2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reset button 121, the reset button 121 is coupled to the housing 120, at least one of the reset button 121 and the housing 120 for sealing The packing 121-1 is installed.

도 24 는 이러한 주사기의 제어 회로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로, 제어용 지시를 하는 제어보턴부(123)와, 제어보턴부(123)의 조작을 인식하는 마이컴 기능의 제어부(170)와, 인식된 데이터를 출력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24)와,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165)과,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 출력에 의하여 모터(168)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167)와, 모터 구동부(167)에 의하여 회전력이 제어되는 모터(168)와, 모터(168)의 회전력을 감지하는 포토 커플러(169)를 예시할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의 바람직한 일 예로는 동일 기능의 제 1 및 제 2 제어부(171,172)로 구성하여 적어도 하나가 이상이 생겨도 기능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함이 좋다. 상기 제어부(171,172)에 도시한 단자(P1-P5 및 P1`-P2`)는 데이터 및/또는 버스라인과 연결되는 포트이다. 상기 모터(68)는 스테핑 모터, 서보 모터 등을 예시할 수 있다.2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trol circuit of the syringe, the control button unit 123 for controlling the control, the control unit 170 of the microcomputer function for recogniz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button unit 123, and the recognized A display unit 124 for outputting and displaying data, a ROM 165 for storing various data and programs, a motor driver 167 for driving the motor 168 by the control output of the controller 170, A motor 168 whose rotational force is controlled by the motor driver 167 and a photo coupler 169 sens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168 may be illustrated. As a preferable example of the control unit 170,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units 171 and 172 having the same function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function can be continued even if at least one occurs. Terminals P1-P5 and P1 ′ -P2 ′ shown in the controllers 171 and 172 are ports connected to data and / or bus lines. The motor 68 may exemplify a stepping motor, a servo motor, or the like.

이와 같이 구성한 주사기는 우선 회전축(131) 상부를 내부가 나사를 이룬 삽입돌기(155) 및 푸시판(154)과 나사 결합 한 다음, 하부를 결합핀(133)으로 끼운 다. 그리고 회전축(131)의 상단을 헤드(131-1)로 나사 결합시킨다. 이어 일체로 결합된 회전축(131)과 푸시 수단(150)의 삽입 돌기(155)를 피스톤(122)의 푸시판 결합홈(122-3)에 끼우되, 푸시판 결합돌기(151-1)가 푸시판 결합홈(122-3)에 결합되도록 끼움 결합시킨다. 이 경우 푸시판 결합홈(122-3)은 작은 피치 간격을 한 기어 형태로 다수 형성하고 이에 결합하는 결합돌기(151-1)는 수 개 간헐적으로 형성하면 조립이 용이하다. 이러한 편리를 얻기 위하여 푸시판 안내돌기(151)를 없애면 기준 위치가 없어지므로 조립이 용이하다. 물론 안내돌기(122-2)가 있으면 정 위치에 작동하는 이점은 있다. 그리고 별도의 주사 약병에 주사침을 끼운 다음 피스톤(122)과 회전축(131)을 함께 사용하여 주사액을 시린지(21)에 채운다. 채우기 전 상태의 피스톤(122)이 도 22 의 2점 쇄선 상태라면, 채운 상태는 도 22 의 실선 상태로 나타낼 수 있다. 이렇게 채울 경우 회전축(131)의 길이가 설정 길이(로킹 회전구(132)의 십자형 홈(132-1)에 결합 가능한 길이)를 이루도록 하우징(120)에 표시한 표지판(도시하지 않음)에 대고 확인하거나, 별도의 길이 확인 지그를 사용하면 편리하게 정확한 용량과 초기의 회전축(131)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20 과 같이 확대 도시한 결합핀(133)을 화살표와 같이 하강시켜 로킹 회전구(132)의 십자형홈(132-1)에 결합시키면, 동력 제공 수단(130)을 통한 회전력을 기어(132-3)에서 전달받아 회전하는 로킹 회전구(132)가 회전할 때 결합핀(133)과 일체로 된 회전축(131)이 회전한다. 이 경우 회전력은 나사 결합된 푸시판(154)에도 전달되지만 푸시판(154)은 푸시판 안내돌기(151)가 있어 푸시 수단 안내홈(27)을 따라서 지지되므로 푸시판(154)은 회전축(131)과 함께 회전하지 않고 상하 이동력을 제공받는다.The syringe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first screwed into the insertion protrusion 155 and the push plate 154,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shaft 131 is screwed inside, and then the lower portion is fitted with a coupling pin 133. And the upper end of the rotating shaft 131 is screwed to the head (131-1). Subsequently, the rotation shaft 131 and the insertion protrusion 155 of the push means 150 are integrally coupled to the push plate coupling groove 122-3 of the piston 122, and the push plate coupling protrusion 151-1 is provided. Fit to be coupled to the push plate coupling groove (122-3). In this case, the push plate coupling groove 122-3 is formed in a plurality of small pitch intervals in the form of a gear,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151-1 for coupling thereto are easily assembled when formed intermittently. In order to obtain such convenience, if the push plate guide protrusion 151 is removed, the reference position is lost, so assembly is easy. Of course, if there is a guide protrusion (122-2) has the advantage of operating in the correct position. Then, the needle is inserted into a separate injection vial, and the syringe 122 is filled with the syringe 21 using the piston 122 and the rotating shaft 131 together. If the piston 122 in the pre-fill state is a dashed-dotted state in FIG. 22, the filled state may be represented by the solid line state in FIG. 22. In this case, check the sign (not shown) marked on the housing 120 so that the length of the rotating shaft 131 forms a set length (the length that can be coupled to the cross groove 132-1 of the locking rotator 132). Or, if you use a separate length check jig can conveniently adjust the exact capacity and the initial rotation axis 131 position. In such a state, when the coupling pin 133 enlarged as shown in FIG. 20 is lowered as shown by an arrow to be coupled to the cross groove 132-1 of the locking rotator 132, rotational force through the power providing means 130 is obtained. The rotating shaft 131 integrated with the coupling pin 133 rotates when the locking rotary ball 132 rotated by the gear 132-3 rotates. In this case, the rotational force is also transmitted to the screw-coupled push plate 154, but the push plate 154 has a push plate guide protrusion 151 to be supported along the push means guide groove 27, so that the push plate 154 has the rotation shaft 131. ) Is provided with up and down movement force without rotation.

한편 푸시 수단(150)과 회전축(131)의 길이를 미리 초기 위치를 이루도록 나사 결합한 상태에서 결합핀(133)을 도 20 에 보인 십자형홈(132-1)과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회전축(131)이 도 12 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축(131)은 자전하고 이에 따라 푸시수단 안내홈(25)에 지지되는 푸시판(154)은 상승하고, 푸시판(154)과 결합된 피스톤(122)은 시린지(21)에 보유한 주사액을 연결구(2)를 통하여 주사침 유니트로 장시간 주사하는 것이다. 이는 도 16 에 보인 도관(1)을 통하여 주사액을 공급하고, 이는 주사침 유니트의 주사침(인체에 꽂힌 상태라 함)을 통하여 인체에 주사액을 제공한다. 이렇게 주사액을 장시간 제공하면 피스톤(122)이 상승하여 초기 2점 쇄선 위치로 상승하고, 사용자는 주사침 유니트를 신체에서 분리시키고, 주사기 사용을 멈추도록 한다. 즉, 사용 후에는 도관과 연결된 주사침을 신체에서 분리시키고, 콘넥터(2)를 역시 덮개(110)와 분리시키고, 나사 결합된 덮개(110)를 푼 다음 시린지(21)와 함께 도 20 의 과정과 역순으로 결합핀(133)을 십자형 홈(132-1)에서 분리시킨 다음 시린지 수장공(126)에서 시린지(21)와 피스톤(122), 푸시 수단(150) 및 회전축(131)을 일체로 분리시킨다. 이를 재사용 시에는 주사액을 피스톤 작용으로 주입한 다음에 상기와 같이 회전축(131)을 원위치 시키도록 손으로 회전시켜 회전축(131)이 도 22와 같이 피스톤(122)내에 들어가도록(실선 상태) 조정한다. 조정은 일정한 기준 위치를 하우징(120)의 임의 곳에 표시하거나, 별도의 기준 위치 표시용 기준대를 구비함이 좋다. 이 경우 회전축(131) 상단에는 헤드(131-1)가 캡 형태로 나사 결합되어 있어 푸시판(154)과 회전축(131)이 일단 나사 결합하면, 헤드(131-1)에 의하여 회전축(131)이 푸시판(154)과 분리되지 않도록 기능 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상기에서 일정 위치(길이)로 조정한 회전축(131)을 결합핀(133)이 로킹 회전구(132)의 십자형홈(132-1)에 삽입되도록 결합시킨다. 이러한 결합의 용이를 위하여, 상기에서는 회전축(131)과 푸시 수단(150)의 결합 위치를 미리 조정하는 것이다. 이렇게 분리된 회전축(131)을 사용하는 것은 자동 주사기의 특성상 일단 주사액이 공급된 상태에서는 푸시 수단(150)이 회전축(131)의 회전에 따라서 상승하지만 주사액을 공급할 경우에는 다시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야 하나 장시간 주사액을 공급하는 특성상 회전축의 회전수가 극히 저속이어서 복귀 시간이 약 5-10분 정도 소요되는 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회전축(131)을 분리식으로 분리 가능토록 하면 초기 상태를 수작업으로 손쉽게 조정할 뿐만 아니라, 회전축(131)을 일 방향으로만 회전토록 하여 제어 기능을 단순화시킨다. 특히 덮개(110), 바테리 덮개(125), 리셋 버튼(121) 및 바닥 덮개(140)를 모두 실링 가능토록 구성하여 시린지(21) 내부의 주사액을 신체로 공급하고, 이에 따라 하우징(120) 내부의 진공화에 의한 피스톤(122) 작용의 과부하를 예방토록 하우징(120)에 결합된 리셋 버튼(121)을 수분 차단과 공기 배출의 특성을 가지는 공지의 반투과성 소재(SEMIPERMEABLE)로 만든다면, 외부 공기의 유입은 가능하고 수분 침투는 막아서 하우징(120)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실링 가능케 하고 외부 공기의 유입은 가능토록 하여 하우징(120) 내부가 진공이 되는 것을 막아 준다. 이는 하우징(120) 전체를 공지의 반투과성 소재로 만들면 제조 원가가 상승하나, 극히 일부분을 반투과성 소재로 만들어 이 부분에 대한 비용을 극소화 시켜 반투과성 기능을 유지함과 아울러 설치의 유리함 및 원가 절감에 기여토록 한다. 이 경우 바람직하기는 리셋 버튼(121)과 하우징(120)의 적어도 1개소에 패킹(121-1)을 설치하면 실링 특성을 유지하는데 좋다.Meanwhile, the coupling pin 133 is coupled to the cross groove 132-1 shown in FIG. 20 in a state where the length of the push means 150 and the rotation shaft 131 are screwed to form an initial position in advance. In this state, when the rotary shaft 131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FIG. 12, the rotary shaft 131 rotates and thus the push plate 154 supported by the push means guide groove 25 is raised, and the push plate ( The piston 122 coupled to the 154 is to inject the injection liquid held in the syringe 21 into the needle unit through the connector 2 for a long time. This supplies the injection liquid through the conduit 1 shown in FIG. 16, which provides the injection liquid to the human body through the needle (called the human body) of the needle unit. When the injection solution is provided for a long time, the piston 122 rises to the initial two-dot chain position, and the user detaches the needle unit from the body and stops using the syringe. That is, after use, the needle connected to the conduit is detached from the body, the connector 2 is also separated from the cover 110, the screwed cover 110 is loosened, and then the syringe 21 and the procedure of FIG. In the reverse order, the coupling pin 133 is separated from the cross groove 132-1, and then the syringe 21, the piston 122, the push means 150, and the rotating shaft 131 are integrally separated from the syringe holder 126. Let's do it. In the case of reuse, the injection liquid is injected by the action of a piston, and then rotated by hand to return the rotary shaft 131 to the original position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rotary shaft 131 enters the piston 122 as shown in FIG. 22 (solid state). . The adjustment may be indicated by a predetermined reference position anywhere on the housing 120, or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reference position for displaying the reference position. In this case, the head 131-1 is screwed to the top of the rotating shaft 131 in the form of a cap, and once the push plate 154 and the rotating shaft 131 are screwed together, the rotating shaft 131 is formed by the head 131-1. Function to be separated from the push plate 154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Coupling pin 133 is adjust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length) in the above coupling so that the coupling pin 133 is inserted into the cross-shaped groove (132-1) of the locking rotator 132. In order to facilitate the coupling,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rotation shaft 131 and the push means 150 is adjusted in advance. The use of the separate rotating shaft 131 is a push means 150 is rais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131 once the injection liquid is suppli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uto-injector, but should be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again when supplying the injection liquid. Due to the nature of supplying the injection solution for a long tim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ting shaft is extremely low, so that the rotational shaft 131 can be detachably detached in order to eliminate the return time, which is about 5-10 minutes. The rotary shaft 131 is rotated in only one direction to simplify the control function. In particular, the cover 110, the battery cover 125, the reset button 121 and the bottom cover 140 are all configured to seal, so that the injection liquid in the syringe 21 is supplied to the body, and thus the inside of the housing 120 If the reset button 121 coupled to the housing 120 is made of a known semi-permeable material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blocking water and releasing air, to prevent the overload of the piston 122 action due to the vacuum of the external air, The inflow is possible and the moisture infiltration is prevented to allow the ingress of moisture into the housing 120 and allow the inflow of external air to prevent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20 from becoming a vacuum. This increases manufacturing costs when the entire housing 120 is made of a known semi-permeable material, but makes a part of the semi-permeable material to minimize the cost for this part, thereby maintaining the semi-permeable function and contributing to the advantage of installation and cost reduction. . In this case, the packing 121-1 is preferably provided at at least one of the reset button 121 and the housing 120 to maintain the sealing characteristics.

그러나 이러한 자동주사기는 자동 주사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당뇨병 환자는 이와는 별도로 혈당치를 측정하여야하는 번거러움이 있고, 의사는 이를 별도의 혈당측정기를 통하여 시간별로 기록하고 이를 기초로 인슐린 주입 량의 정도를 조절하여야하는 불편함이 있고, 사용하는 혈당 측정기기 마다 시간의 오차가 있어 정확한 시간의 측정 대비가 어려운 실정이다.However, such an autoinjector performs an inherent function of performing an automatic syringe function, and a diabetic patient has a hassle to measure blood glucose levels separately, and a doctor records it over time through a separate blood glucose meter and based on this. It is inconvenient to adjust the degree of insulin injection amount, there is an error of time for each glucose measuring device used,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contrast the measurement of time.

본 발명은 이를 해소코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슐린을 자동으로 주사하는 자동주사기 본연의 기능 및 주입량과 혈당 측정 결과를 동시에 나타내도록 한 자동주사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is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injector which displays the intrinsic function of an autoinjector which automatically injects insulin, and simultaneously shows an injection amount and a blood glucose measurement result.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인슐린을 장시간 자동으로 주입시키는 자동주사기의 하우징에 혈당측정기를 일체로 형성하고, 혈당측정 결과와 인슐린 주입량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혈당측정부의 측정 결과는 제어부로 제공하여 판단하도록 구성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for integrally forming a blood glucose meter in the housing of the autoinjector for automatically injecting insulin for a long time, and to display 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result and the insulin injection amount at the same time,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unit Provided by the configuration.

도 1 은 종래의 휴대용 자동 주사기의 제어 구성도,1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portable automatic syringe,

도 2 는 도 1 의 포토 센서의 설치 예를 나타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example of the photo sensor of FIG. 1;

도 3 은 도 1 의 구성을 결합 사용한 상태의 종래의 주사기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syringe in a state in which the configuration of FIG. 1 is used in combination;

도 4 는 종래의 휴대용 자동 주사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도,4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onventional portable auto-injector,

도 5 는 도 4 의 평면도,5 is a plan view of FIG. 4;

도 6 은 도 2 의 A-A선 단면 분해도,6 is an exploded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7 은 종래의 동력 제공 수단의 일 예를 나타낸 정면도,7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power supply means;

도 8 은 종래의 푸시 수단의 일 예를 나타낸 사용 상태 분해도,8 is an exploded view of a use state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push means,

도 9 는 종래의 주사침 유니트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needle unit,

도 10 은 종래의 주사침 유니트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onventional needle unit;

도 11 은 도 10 의 주사침 유니트의 일 예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1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needle unit of FIG. 10;

도 12 는 도 10 의 주사침 유니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12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needle unit of FIG. 10;

도 13 은 도 10 의 주사침 유니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needle unit of FIG.

도 14 는 도 10 의 주사침 유니트의 요부 확대 단면도,1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of the needle unit of FIG. 10;

도 15 는 도 14 의 사용상의 단점을 나타내는 설명도,15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disadvantage in use of FIG. 14;

도 16 은 다른 주사침 유니트의 개략 구성도,16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other needle unit;

도 17 은 도 16 의 평면 상태를 보인 평면도,17 is a plan view showing a planar state of FIG.

도 18 은 도 16 의 평면 상태로 덮개를 벗긴 상태를 보인 평면도,18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is removed in the plane state of FIG.

도 19 는 도 18 의 B-B선 단면 상태를 보인 단면도,FI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VIII of FIG.

도 20 은 도 16 의 요부 확대 일부 절결 분해 사시도,20 is an enlarged partially cutawa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FIG. 16;

도 21 은 도 16 의 요부 분해 사시도,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FIG. 16;

도 22 는 도 16 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결합 상태 단면도,FIG. 2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of FIG. 16; FIG.

도 23 은 도 16 에 보인 리셋 버튼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FIG. 2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set button shown in FIG.

도 24 는 도 16 에 보인 인슐린 펌프의 제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블럭도,2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ntrol configuration of the insulin pump shown in FIG. 16;

도 25 는 본 발명의 일 예를 나타낸 인슐린 펌프의 사시도,2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sulin pump showing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6은 본 발명의 혈당측정 수단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2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blood sugar measur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7 은 본 발명의 블록 구성도,27 is a block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8 은 본 발명의 제어판의 일 예를 나타낸 구성 예시도,28 is a configuration example showing an example of a control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9 는 본 발명에 의해 혈당 및 인슐린 레벨이 동시에 디스플레이 되는 예를 도시한 그래프이다.29 is a graph showing an example in which blood glucose and insulin levels are displayed simultaneously by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도관 2;연결구 2-15;수나사부1; conduit 2; connector 2-15; male threaded portion

2-16;암나사부 2-17;보호캡 3;주사침 부재2-16; Female thread 2-17; Protective cap 3; Needle member

3-11;주사침 3-11-1;절곡부 3-12;연결리브3-11; needle 3-11-1; bend 3-12; connecting rib

3-13;굴곡부 3-14;누름편 3-14-1;세균감염 방지부재3-13; Bend 3-14; Push piece 3-14-1; Bacterial infection prevention member

3-18;보호캡 3-18-1;끼움경 3-18-2;삽입경3-18; protective cap 3-18-1; fitting diameter 3-18-2; insertion diameter

10;덮개 11;나사홈 12;볼트나사부10; cover 11; screw groove 12; bolt thread

13;패킹 20;하우징 20-5;커넥터부13; packing 20; housing 20-5; connector

21;시린지 22;피스톤 23;시린지 수장공21; syringe 22; piston 23; syringe repairer

24;바테리 덮개 25;푸시 수단 안내홈 26;피스톤 안내돌기24; battery cover 25; push means guide groove 26; piston guide protrusion

27;피스톤 안내홈 30;동력 제공 수단 31;회전축27; piston guide groove 30; power supply means 31; rotating shaft

32;모터 33;감속 메커니즘 40;바닥 덮개32; motor 33; deceleration mechanism 40; bottom cover

50;푸시 수단 51;푸시 수단 안내돌기 52;요철 수단50; push means 51; push means guide protrusion 52; uneven means

54;하부 원판 55;상부 원판 110;덮개54; lower disc 55; upper disc 110; cover

120;하우징 121;리셋 버튼 122;피스톤120; housing 121; reset button 122; piston

122-1;피스톤 에지 122-2피스톤 에지돌기 122-3;푸시판 결합홈122-1; piston edge 122-2 piston edge protrusion 122-3; push plate coupling groove

123;제어 버튼부 124;디스플레이부 125;바테리 덮개123; control button unit 124; display unit 125; battery cover

126;시린지 수장공 130;동력 제공 수단 131;회전축126; syringe repair 130; power supply means 131; rotating shaft

131-1;헤드 132;로킹 회전구 132-1;십자형홈131-1; head 132; locking rotator 132-1; cross recess

133;결합핀 140;바닥 덮개 150;푸시 수단133; coupling pin 140; bottom cover 150; push means

151;푸시판 안내돌기 151-1;푸시판 결합돌기 154;푸시판151; push plate guide protrusion 151-1; push plate coupling protrusion 154; push plate

155;삽입 돌기 156;스냅링홈 163;디스플레이부155; insertion protrusion 156; snap ring groove 163; display unit

165;롬 167;모터구동부 168;모터165; Rom 167; Motor drive 168; Motor

169;포토커플러 170;제어부 171;제 1 제어부169; photocoupler 170; controller 171; first controller

172;제 2 제어부 200;혈당측정부 210;제어판172; second control unit 200; blood glucose measurement unit 210; control panel

211;측정램프 221;측정램프공 222;삽입공211; measuring lamp 221; measuring lamp hole 222; insertion hole

223;측정하우징 224;고정돌기 230;측정프로브223; measuring housing 224; fixing protrusion 230; measuring probe

즉, 본 발명은 장시간 주사가 가능한 자동주사기에서, 주사기 하우징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한 혈당측정용 혈당측정부와, 혈당측정부 및 자동주사기의 출력을 동시에 제어하는 제어부와, 주사기의 상태와 측정 혈당을 동시에 출력시키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혈당측정이 가능한 인슐린 자동주사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lood glucose measurement unit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syringe housing, a control unit for simultaneously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unit and the autoinjector, and the state and measurement of the syringe in the autoinjector capable of long-term injec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sulin injector capable of measuring blood glucose,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simultaneously outputting blood sugar.

상기 혈당측정부는 측정램프를 통한 측정치를 제어부가 인식하도록 변환시키는 제어판과, 측정램프가 측정램프공을 통해 노출되도록 안치되며 측정프로브를 끼움 결합시키는 삽입공을 가지는 측정하우징및, 상기 측정프로브의 끼움 결합 상태를 고정시키도록 측정하우징에 탄발 설치한 고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unit has a control housing for converting the measurement value through the measurement lamp so that the control unit recognizes, a measurement housing having a measurement hole is placed so that the measurement lamp is exposed through the measurement lamp hole and fitting the measurement probe, and the fitting of the measurement prob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fixing protrusion which is installed in the measuring housing to be fixed so as to fix the coupling state.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5 는 본 발명의 사시도로, 연결구(2)와 연결된 도관(1)을 사용한 주사기는 덮개(110)를 통하여 연결되고, 덮개(110)는 하우징(120)의 상단에 실링 가능토록 결합되고, 상기 덮개(110)에 대응하는 하우징(120)에는 시린지(21)와 피스톤(122), 피스톤 푸시 수단(150) 및 동력 제공 수단(130)을 통하여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축(131)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20)에는 제어부로 지령을 전달하는 제어 보턴부(123)와 제어 상태를 표시하는 엘시디 등의 디스플레이부(124)와, 전원을 제공하는 바테리를 고정시키는 바테리 덮개(125)와, 리셋 기능을 수행하는 리셋 버튼(121) 및 바닥 덮개(140)를 포함하는 인슐린 자동주사기에서,2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ringe using the conduit 1 connected to the connector 2 is connected through the cover 110, the cover 110 is coupled to seal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120, The housing 120 corresponding to the cover 110 includes a syringe 21, a piston 122, a piston push means 150, and a rotation shaft 131 for providing power through the power providing means 130. The housing 120 includes a control button 123 for transmitting a command to the control unit, a display unit 124 such as an LCD for displaying a control state, a battery cover 125 for fixing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and a reset. In the insulin syringe containing a reset button 121 and the bottom cover 140 to perform a function,

하우징(120)의 적어도 일측면에 측정하우징(223)을 포함하는 혈당측정부(200)을 설치한다. 상기 측정하우징(223)에는 이하에 기술하는 측정프로브(230)를 삽입하는 삽입공(222)을 가진다.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unit 200 including the measurement housing 223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housing 120. The measurement housing 223 has an insertion hole 222 into which the measurement probe 230 described below is inserted.

도 26 은 본 발명을 이루는 혈당측정부(200)를 나타낸 분해 단면도로, 혈당측정부(200)는 측정램프(211)를 제어하고 측정램프(211)를 통한 측정치를 제어부(170)가 인식하도록 변환시키는 제어판(210)과, 측정램프(211)가 측정램프공(221)을 통해 노출되도록 안치되며 측정프로브(230)를 끼움 결합시키는 삽입공(222)을 가지는 측정하우징(223)및, 상기 측정프로브(230)의 끼움 결합 상태를 고정시키도록 측정하우징(223)에 탄발 설치한 고정돌기(22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측정프로브(230)는 고정돌기(224)에 끼움결합하는 끼움공(231)과, 측정프로브(230)를 삽입공(230)에 끼움 결합시 측정램프(21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한 광투과공(233) 및 상기 광투과공(233)을 덮는 측정판(235)을 포함하여 구성한다.FIG. 26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uni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unit 200 controls the measurement lamp 211 and allows the controller 170 to recognize the measurement value through the measurement lamp 211. Measuring housing 223 having a control panel 210 for converting, the measuring lamp 211 is placed so as to be exposed through the measuring lamp hole 221 and the insertion hole 222 to fit the measuring probe 230, and th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xing projection 224 that is installed in the measuring housing 223 in order to fix the fitting state of the measurement probe 230. The measuring probe 230 is formed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easuring lamp 211 when fitting the fitting hole 231 and the measuring probe 230 to the insertion hole 230, the fitting fitting to the fixing protrusion 224 It comprises a light transmission hole 233 and a measuring plate 235 covering the light transmission hole 233.

도 27 은 제어용 지시를 하는 제어보턴부(123)와, 제어보턴부(123)의 조작을 인식하는 마이컴 기능의 제어부(170)와, 인식된 데이터를 출력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24)와,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165)과, 상기 제어부(170)의 제어 출력에 의하여 모터(168)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167)와, 모터 구동부(167)에 의하여 회전력이 제어되는 모터(168)와, 모터(168)의 회전력을 감지하는 포토 커플러(169)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170)에는 또한 혈당측정부(200)가 연결되어 혈당 측정을 가능케 한다. 상기 제어부(170)의 바람직한 일 예로는 동일 기능의 제 1 및 제 2 제어부(171,172)로 구성하여 적어도 하나가 이상이 생겨도 기능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함이 좋다. 상기 제어부(171,172)에 도시한 단자(P1-P6 및 P1`-P2`)는 데이터 및/또는 버스라인과 연결되는 포트이다. 상기 모터(68)는 스테핑 모터, 서보 모터 등을 예시할 수 있다.27 shows a control button 123 for instructing control, a control unit 170 of a microcomputer function for recognizing operation of the control button 123, a display unit 124 for outputting and displaying the recognized data; A ROM 165 storing various data and programs, a motor driver 167 driving the motor 168 by the control output of the controller 170, and a motor whose rotational force is controlled by the motor driver 167. 168 and a photo coupler 169 sens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168. The control unit 170 is also connected to the blood sugar measurement unit 200 to enable blood sugar measurement. As a preferable example of the control unit 170,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units 171 and 172 having the same function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function can be continued even if at least one occurs. The terminals P1-P6 and P1 ′ -P2 ′ shown in the controllers 171 and 172 are ports connected to data and / or bus lines. The motor 68 may exemplify a stepping motor, a servo motor, or the like.

도 28 은 본 발명을 이루는 제어판(21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로, 제어부(170)의 지령 및 측정램프(211)의 측정치를 수신하는 기능의 제어판(210) 구성을 나타낸다. 제어판(210)은 제어부(170)의 일 단자(P6)를 통한 출력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212)와,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212)의 변환 출력을 기초로 램프(211) 발광램프(211-1)를 구동시키는 램프 구동부(213)와, 발광램프(211-1)를 통한 발광을 측정판(235)을 통하여 반사된 광을 수신하는 수광램프(211-2)로 이루어진 측정램프(211)와, 측정램프(211)의 수과램프(211-2)를 통한 수신광을 수신하는 램프신호 수신부(214)와, 램프신호 수신부(214)의 수신 신호를 증폭시키는 램프신호 수신부(214)와, 램프신호 수신부(214)의 수신 출력을 디지털 변환 시켜 제어부(170)의 단자(P6)로 제공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215)로 이루어진다.2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ntrol panel 21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configuration of a control panel 210 having a function of receiving a command of the controller 170 and a measurement value of the measurement lamp 211. The control panel 210 emits a lamp 211 based on a digital-to-analog converter 212 for converting an output signal through one terminal P6 of the control unit 170 into an analog signal, and a conversion output of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212. Measurement comprising a lamp driver 213 for driving the lamp 211-1 and a light receiving lamp 211-2 for receiving light reflected through the measurement plate 235 for emitting light through the light emitting lamp 211-1. A lamp signal receiving unit 214 for receiving the light received through the lamp 211, the light lamp 211-2 of the measuring lamp 211, and a lamp signal receiving unit for amplifying the received signal of the lamp signal receiving unit 214 ( 214 and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215 that digitally converts the reception output of the ramp signal receiver 214 and provides it to the terminal P6 of the controller 170.

도 29 는 본 발명에 의하여 도시되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예를 나타낸 그래프의 일 예를 나타낸다.29 shows an example of a graph showing an example of the display unit shown by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일반적인 인슐린의 주입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혈당 측정 위주로 설명한다. 혈당 측정을 위하여는 도 25 와 같이 자동주사기를 사용하고 사용하는 주입량은 도 29 와 같이 출력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아울러 혈당 측정은 도 25 에 보인 혈당 측정부(200)를 사용하여 쉽게 혈당을 측정 가능토록 한다. 혈당측정부(200)의 혈당 측정은 도 26 내지 도 28 과 같은 제어부(170)와의 연결 구성으로 기능한다. 즉, 도 28 에서 단자(P6)를 통하여 측정을 위한 설정 신호를 출력하면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212)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변환된 신호는 발광을 위한 램프(211-1)를 구동시키도록 램프 구동부(213)에서 증폭 되고, 램프(211-1)의 발광은 측정판(235)에서 발광되어 램프(211-2)로 수신된다. 수신된 수신 신호는 램프신호 수신부(214)에서 증폭된 후,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215)에서 디지털 값으로 변환되어 단자(P6)를 통하여 제어부(170)로 인가된다. 제어부(170)에서는 이를 인식하고 인식한 시간과 인식 값을 디스플레이부(124)로 출력시켜, 도 29 와 같이 해당하는 시간에서의 혈당치를 그래프로 출력토록 한다. 이 경우 혈당치는 각각 해당하는 시간마다의 측정치를 기록한 것으로 기록값은 제어부(170)에서 인식한 측정치를 측정시간 마다 기준점이 변하는 그래프 형태로 출력토록 한다. 이 경우 그래프 형태는 다양하게 가변 시키거나 달리 디자인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omitted mainly for the description of the infusion function of insulin, and will be described mainly on blood sugar measurement. In order to measure blood glucose, an autoinjector is used as shown in FIG. 25 and the injection amount used may indicate an output state as shown in FIG. 29. In addition, 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can be easily measured using the blood sugar measurement unit 200 shown in FIG. The blood sugar measurement of the blood sugar measuring unit 200 functions as a connection configuration with the control unit 170 as shown in FIGS. 26 to 28. That is, in FIG. 28, when the setting signal for measurement is output through the terminal P6,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212 is converted into an analog signal, and the converted signal is driven to drive the lamp 211-1 for light emission. Amplified by the driving unit 213, the light emission of the lamp 211-1 is emitted from the measuring plate 235 is received by the lamp 211-2. The received signal is amplified by the ramp signal receiver 214 and then converted into a digital value by the analog-digital converter 215 and applied to the controller 170 through the terminal P6. The controller 170 recognizes this and outputs the recognized time and recognition value to the display unit 124, and outputs the blood glucose value at the corresponding time as a graph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blood glucose values are recorded for each corresponding time, and the recorded values are output such that the measured values recognized by the controller 170 are changed in the form of a graph in which the reference point changes for each measurement time. In this case, the graph shape can be varied or designed differently.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various permuta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who hav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인슐린 주입 량과 이에 대응하는 신체내의 혈당치를 하나의 인슐린 자동주입기 내에서 측정하여, 혈당치와 인슐린주입기의 주입량을 동시에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시키므로, 의사는 인슐린 주입에 따른 양과 혈당을 일일이 대입하여 별도로 측정할 필요없이 디스플레이 상태를 보면서 편리하게 측정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amount of insulin injected and the corresponding blood glucose level in the insulin autoinjector, and simultaneously displays the blood sugar level and the amount of the insulin injector displayed on the display. It can be measured conveniently while viewing the display status without having to measure it separately.

Claims (3)

장시간 주사가 가능한 자동주사기에서, 주사기 하우징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한 혈당측정용 혈당측정부(200)와, 혈당측정부(200) 및 자동주사기의 출력을 동시에 제어하는 제어부(170)와, 주사기의 주입량 상태와 측정 혈당치를 동시에 출력시키는 디스플레이부(124)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측정이 가능한 인슐린 자동주사기.In the auto-injector that can be injected for a long time, the blood sugar measurement unit 200 is formed integrally on one side of the syringe housing, the control unit 170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unit 200 and the auto-injector, and the syringe The insulin injection syringe capable of measuring blood glucos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state of the injection amount and the measured blood glucose at the same ti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혈당측정부(200)는 측정램프(211)를 제어하고 측정램프(211)를 통한 측정치를 제어부(170)가 인식하도록 변환시키는 제어판(210)과, 측정램프(211)가 측정램프공(221)을 통해 노출되도록 안치되며 측정프로브(230)를 끼움 결합시키는 삽입공(222)을 가지는 측정하우징(223)및, 상기 측정프로브(230)의 끼움 결합 상태를 고정시키도록 측정하우징(223)에 탄발 설치한 고정돌기(224)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측정이 가능한 인슐린 자동주사기.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lood sugar measuring unit 200 controls the measurement lamp 211 and converts the measurement value through the measurement lamp 211 so that the control unit 170 recognizes, and the measurement lamp 211 ) Is placed so as to be exposed through the measuring lamp hole 221 and the measuring housing 223 having an insertion hole 222 fitting the measuring probe 230, and fixing the fitting coupling state of the measuring probe 230 Insulin auto-injector capable of measuring blood glucos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ed projection 224 installed in the measuring housing 2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혈당측정부(200)는 인슐린 자동주사기 하우징(120)의 측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측정이 가능한 인슐린 자동주사기.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unit 200 is an insulin auto-injector capable of measuring blood glucos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insulin auto-injector housing (120).
KR1020000009435A 2000-02-25 2000-02-25 Insulin pump with blood glucose tester KR1003532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9435A KR100353229B1 (en) 2000-02-25 2000-02-25 Insulin pump with blood glucose tester
DE10146454.1A DE10146454B4 (en) 2000-02-25 2001-09-20 Insulin syring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9435A KR100353229B1 (en) 2000-02-25 2000-02-25 Insulin pump with blood glucose tes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059A true KR20010091059A (en) 2001-10-23
KR100353229B1 KR100353229B1 (en) 2002-09-18

Family

ID=19650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9435A KR100353229B1 (en) 2000-02-25 2000-02-25 Insulin pump with blood glucose test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53229B1 (en)
DE (1) DE10146454B4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508A (en) * 2002-04-16 2002-05-03 주식회사 코스모지놈 An adhesive infusion pump contoled by wireless remote control
WO2006095991A1 (en) * 2005-03-07 2006-09-14 Kyu-Dong Choi Portable mechanical insulin injection device
WO2018194281A1 (en) * 2017-04-21 2018-10-25 최규동 Syringe needle unit to which blood glucose sensor is attached, and simultane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syringe device compri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79978B (en) * 2001-09-21 2005-03-23 Soo Bong Choi Portable automatic insulin syringe device with blood sugar measuring function
US20100255366A1 (en) * 2009-03-31 2010-10-07 Animas Corporation Insulin Cartridge Cap
CN104066675A (en) * 2011-11-17 2014-09-24 赛诺菲-安万特德国有限公司 Apparatus, diabetic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sweetening food
KR102421966B1 (en) 2019-12-27 2022-07-19 지피헬스 주식회사 Portable auto injection apparatus with short length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5175A (en) 1976-05-07 1977-10-25 Miles Laboratories, Inc. Blood glucose control apparatus
DE3545260A1 (en) 1985-12-20 1987-06-25 Juergen Schrezenmeir DEVICE FOR THE CONTINUOUS OR DISCONTINUOUS ADMINISTRATION OF INSULIN IN HUMAN BODIES
DE68904066T2 (en) 1988-07-21 1993-07-15 Applic Tech Photoniques ARTIFICIAL SALIVARY Glands.
US5125747A (en) 1990-10-12 1992-06-30 Tytronics, Inc. Optical analytical instrument and method having improved calibration
DE29918149U1 (en) 1999-10-15 1999-12-30 Volmer Wolfgang Insulin delivery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508A (en) * 2002-04-16 2002-05-03 주식회사 코스모지놈 An adhesive infusion pump contoled by wireless remote control
WO2006095991A1 (en) * 2005-03-07 2006-09-14 Kyu-Dong Choi Portable mechanical insulin injection device
GB2438995A (en) * 2005-03-07 2007-12-12 Kyu-Dong Choi Portable mechanical insulin injection device
WO2018194281A1 (en) * 2017-04-21 2018-10-25 최규동 Syringe needle unit to which blood glucose sensor is attached, and simultane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syringe device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3229B1 (en) 2002-09-18
DE10146454B4 (en) 2018-03-01
DE10146454A1 (en) 200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5195B2 (en) Portable automatic insulin syringe device with blood sugar measuring function
CN1202872C (en) Portable automatic insulin injector with blood sugar detection function
US7544185B2 (en) Needle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needles
US5971963A (en) Portable automatic syringe device and injection needle unit thereof
US4475901A (en) Apparatus for improving blood sugar control in diabetics
US7935105B2 (en) Data storage for an infusion pump system
KR100301657B1 (en) Control method of insulin syringe with pseudo mode
KR101217147B1 (en) Pen type portable insulin injection device
WO1985002256A1 (en) Volumetric pump with replaceable reservoir assembly
EP0398394A2 (en) Reservoir assembly for removable engagement with a motor drive
WO2013153042A1 (en) Subcutaneous needle insertion mechanism
EP1166808A2 (en) Portable automatic syringe device and injection needle unit thereof
KR100353229B1 (en) Insulin pump with blood glucose tester
CN109789267B (en) Liquid medicine administr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quid medicine administration device
KR102134627B1 (en) Portable insulin injector and alarm method of abnormal operation in the same
JP3958543B2 (en) Insulin automatic syringe capable of measuring blood glucose level
JP3170485B2 (en) Portable automatic syringe and needle unit
KR100755528B1 (en) Insulin pump with intelligent sensor
KR100423112B1 (en) Needle unit used in insulin pump
KR100344029B1 (en) Insulin pump with internal sealing packing
KR100355489B1 (en) Insulin pump with a stopper in needle connecter
GB2379978A (en) Insulin delivery syringe
KR100378068B1 (en) Needle for insulin pump
KR20020032508A (en) An adhesive infusion pump contoled by wireless remote control
KR100355476B1 (en) Teflon needle with auxilary needle used in insulin pu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331

Effective date: 2006082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60120

Effective date: 2006082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61102

Effective date: 20070530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60930

Effective date: 20070711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929

Effective date: 20070711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802

Effective date: 20071129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1203

Effective date: 20080130

EXTG Extinguish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70913

Effective date: 2008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