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9837A - 기능성 비누 조성물 - Google Patents

기능성 비누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9837A
KR20010089837A KR1020000015644A KR20000015644A KR20010089837A KR 20010089837 A KR20010089837 A KR 20010089837A KR 1020000015644 A KR1020000015644 A KR 1020000015644A KR 20000015644 A KR20000015644 A KR 20000015644A KR 20010089837 A KR20010089837 A KR 20010089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soap
weight
effect
charco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5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대일
Original Assignee
추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대일 filed Critical 추대일
Priority to KR1020000015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89837A/ko
Publication of KR20010089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983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06Inorganic compounds
    • C11D9/18Water-insoluble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26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26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 C11D9/265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glycerol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44Perfumes; Colouring materials; Brightening agents ; Bleaching agents
    • C11D9/442Perfum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의 비누 베이스 82.5-89.2중량%, 희토류광물 미세분 1-3중량%, 옥분말 2.3-3.2중량%, 황토 1.5-2중량%, 숯 1-3중량%, 정제목초액(목초산) 3.7-4.5중량%, 향료 0.8-1.0중량% 및 글리세린 0.5-0.8중량%로 구성된 기능성 비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비누 조성물{Functional soap composition}
본 발명은 기능성 비누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희토류광물, 옥, 황토, 숯, 정제목초액, 향료 및 글리세린을 비누베이스에 첨가하여 피부미용효과, 세정 및 세안효과, 보습효과, 미백효과 및 살균 및 항균효과를 향상시킨 기능성 비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피부는 피지선에서 생성된 피지가 모공을 통하여 분비되어 피부표면으로부터의 수분증발을 억제하여 피부의 탄력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피부상피세포의 비정상적인 각화에 의하여 모공이 막혀서 피지가 피부표면으로 배출되지 않으면 피지가 모공 내에 뭉쳐있게 되고, 여기에 병원성균이 침투하게 되면 염증이 생기고 피부가 붉어지게 된다. 또한 피부표면에서 피지가 잘 배출되더라도 시간이 흐르면 공기 중의 미생물들이 피부표면에 번식하여 피지를 부패시킴으로써 피부에서 나쁜 냄새가 나게 된다.
따라서 사람의 피부에 부착된 때, 노폐물, 피지성분 등을 제거하여 피부의 청결을 유지하기 위하여 비누를 사용하고 있다.
종래 사용되고 있는 미용비누는 통상적으로 유지와 야자유를 적량 배합하여60-70℃로 가열하여 용해시키는 제1단계; 80-90℃의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비누화반응을 실시하는 제2단계; 상층에 뜬 비누로부터 하층에 가라앉는 비누화반응의 부산물인 물, 미반응 수산화나트륨, 글리세린층 등을 분리제거하는 제3단계; 비누속에 있는 잔류 글리세린과 수산화나트륨 등을 진한 소금물에 통상 1-2회 가하여 제거하여 통상의 비누층을 얻는 제4단계; 이를 진공건조하여 수분함량 13% 내외의 비누를 제조하는 제5단계; 제조된 비누에 산화방지제, 보색제, 향료 등을 배합하여 성형제조하는 제6단계로 구성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통상의 미용비누는 피부에 부착된 때, 노폐물 등을 제거하여 피부의 청결을 유지하는 장점을 가지지만, 과도한 세정작용으로 인하여 통상적으로 피부의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필요하도록 인체에서 분비된 오일, 피지 등의 성분을 과도하게 제거하여 피부의 각질층을 연화시키므로 피부가 손상되어 피부가 건조해지고 거칠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두가지 기능을 가진 비누는 제공되고 있으나, 미백효과, 독성제거, 여드름 등의 피부트러블억제 등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기능을 함께 가지는 비누는 아직 제공되고 있지 못하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보습 및 피부보호효과가 우수하여 피부를 매끄럽게 하고, 피부의 미백효과를 가져서 기미, 주근깨 등의 예방과 완화에 효과가 있으며,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고, 피부트러블을 억제하는 효능을 갖는 기능성 비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상의 비누 베이스 82.5-89.2중량%, 희토류광물 미세분 1-3중량%, 옥분말 2.3-3.2중량%, 황토 1.5-2중량%, 숯 1-3중량%, 정제목초액(목초산) 3.7-4.5중량%, 향료 0.8-1.0중량% 및 글리세린 0.5-0.8중량%로 구성된 기능성 비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비누 베이스로는 통상의 비누 베이스를 사용하며, 비누 베이스는 비누의 총 중량에 대하여 82.5-89.2%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누 베이스의 함량이 89.2중량%를 초과할 경우 첨가성분들의 함량이 감소하여 첨가의 효과가 미약한 문제점이 있고, 82.5중량% 미만인 경우 비누의 세정력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비누 베이스에 첨가성분으로 희토류광물 미세분, 옥분말, 황토, 숯, 정제목초액, 향료 및 글리세린이 첨가된다.
희토류광물 미세분에는 게르마늄(Ge), 셀레늄(Se), 칼슘(Ca), 마그네슘(Mg), 칼륨(K), 나트륨(Na) 및 규소(Si) 등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성분들을 포함하는 희토류광물 미세분은 유해첨가물과 체내에 축적된 중금속을 분해시켜 무독화시키고 체내의 노폐물을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산성체질을 약알칼리성 체질로 바꾸어 주고, 세포를 활성화시켜 혈행을 좋게 하고 혈액을 정화시켜 피부노화를 더디게 하며, 살균 및 항균작용을 한다.
이러한 희토류광물 미세분은 비누의 총중량에 대하여 1-3%를 첨가하는 것이바람직하다.
희토류광물 미세분의 첨가량이 3중량%를 초과할 경우 상승효과가 미약하여 경제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비누 베이스의 양이 감소되어 세정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중량% 미만인 경우 첨가효과가 미약한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옥분말의 재료인 옥으로는 연옥을 사용하며, 연옥에는 칼슘, 산화마그네슘 및 나트륨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옥은 체내의 산소를 고르게 증가시키고, SOD(super oxide dismutase) 생성을 촉진하여 형성시켜 체내 활성산소, 즉 노폐물을 배출시키며 수은, 납, 카드뮴 등의 중금속을 배출시킨다. 또한 체내의 모든 수분을 약알칼리성화하고 혈액순환,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며, 혈액순환활성으로 인하여 피부의 온도가 상승함으로써 피부의 노화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부 표면의 죽은 세포를 지탱하고 있는 접착제 역할을 하는 성분을 녹여줌으로써 재생되는 피부를 좀 더 강하고 두텁게 하여 잔주름을 펴주는 작용을 하며, 보습효과를 증대시키고 자외선을 차단하는 작용을 한다.
뿐만 아니라 건성, 지성, 민감성, 알레르기성 등 어떠한 체질의 피부에도 부작용이 없으며, 특히 가려움증, 건성피부, 여드름에 효과가 있다. 이러한 옥분말은 비누의 총중량에 대하여 2.3-3.2%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옥분말의 첨가량이 3.2중량%를 초과할 경우 상승효과가 미약하여 경제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비누 베이스의 양이 감소되어 세정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2.3중량% 미만인 경우 첨가효과가 미약한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황토에는 게르마늄, 셀레늄,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 및 규소와 같은 희토류와, 카탈라제, 디페놀옥시다제, 사카라제, 프로테아제 등의 효소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황토의 주작용은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것이며, 방출된 원적외선은 세포의 생리작용을 활발하게 하고,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유해물질을 방출, 해독하는 광전효과가 있으며,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주고, 여드름, 화장독 등 피부모공 속 배출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황토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기능 외에도, 분해력 및 정화력이 우수하여 피부에 축적된 독성분을 해독하고, 노화현상의 원인이 되는 성분인 과산화지질을 강하게 흡수하여 그 독성을 중화, 희석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황토는 흡착력이 우수하여 불쾌한 냄새의 요인인 양이온을 음이온화시켜 냄새를 제거해주며, 흙을 통과한 복사열은 인체의 피부 깊숙이 스며드는 전달력이 강해 체내 온열효과로 혈액순환의 활성화를 도와주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황토는 비누의 총중량에 대하여 1.5-2%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황토의 첨가량이 2중량%를 초과할 경우 상승효과가 미약하여 경제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르 비누 베이스의 양이 감소되어 세정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5중량% 미만인 경우 첨가효과가 미약한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숯에는 미량성분으로 규소, 철, 알루미늄, 티타늄, 망간, 석회, 마그네슘, 칼슘, 나트륨, 인, 탄소, 유황 등의 천연미네랄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숯은 다공질구조로 되어 있어 흡착력이 강하므로 중금속이나 유해물질을 제거해 주며, 알레르기, 아토피성 피부염 등에 효과가 있다. 또한 제습 및 습도조절기능이 있어 곰팡이 등 부패균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냄새의 근원을 제거한다. 또한 원적외선을 발산하여 원적외선에 의한 온열작용을 통해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세포기능을 활성화시키며, 음이온을 발산하여 인체의 산화를 방지한다. 또한 천연미네랄성분은 노화방지 등 정상적인 생명활동에 도움을 주며, 목욕이나 세안시 미네랄이 용해되어 피부를 매끄럽게 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숯은 비누의 총중량에 대하여 1-3%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숯의 첨가량이 3중량%를 초과할 경우 상승효과가 미약하여 경제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비누 베이스의 양이 감소되어 세정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중량% 미만인 경우 첨가효과가 미약한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목초액(목초산)은 숯을 구울 때 나오는 연기를 냉각시켜 추출한 나무의 액기스로서, 목초액의 주성분은 옥신(auxin)류, 지베렐린(gibberelline)류, 사이토기닌(cytokinin)류, 엡시스산(abscisic acid), 에틸렌(ethylene) 등의 유기산이며, 미네랄 외의 금속원소들과 게르마늄 등의 희토류가 함유되어 있다. 또한 알란토인(alantoin), 무정형탄소, 비타민 B2, 초산 및 알콜성분도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목초액은 pH 3 정도의 강산성을 가진 산으로서 유해한 미생물을 강력하게 살균시켜 주는 강력한 살균 및 항균작용, 항산화작용이 강하여 아토피성 피부병 등에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의 활성화에도 영향이 있다. 이러한 목초액은 강산성이지만 유기산이므로 일반적인 무기산과는 달리 토양이나 물 속에서 1시간 이내에약알칼리성으로 변하므로 강산에 의한 부작용은 제거될 수 있다.
또한 활성산소(유해산소)를 제거 또는 조절하는 기능을 가진 SOD 생성을 촉진하여 기미, 주근깨 등의 형성을 방지하고, 목초가 가지는 음이온의 성질에 기인하 다른 물질의 능력을 배가하는 헬퍼력이 우수하다.
이러한 정제목초액은 비누의 총중량에 대하여 3.7-4.5%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제목초액의 첨가량이 4.5중량%를 초과할 경우 상승효과가 미약하여 경제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비누 베이스의 양이 감소되어 세정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3.7중량% 미만인 경우 첨가효과가 미약한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향료는 원하는 향의 향료를 선택하여 비누의 총중량에 대하여 0.8-1.0%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글리세린은 비누의 총중량에 대하여 0.5-0.8%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들을 이용하여 비누를 만드는 방법은 종래의 일반적인 비누 제조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방법에서는 비누 베이스와 함께 끓는 물에 교반하면서 투입하여 균질화시킨 후, 일정한 점도 이상이 될 때까지 가열하고 자연건조하여 겔상태로 만든다. 겔상태가 되면 특정 형상으로 성형하고 건조기 내에서 건조하여 고형의 비누를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비누 조성물은 첨가된 성분들의 작용에 의하여 피부모공속의 노폐물을 깨끗하게 제거하여 모공을 수축시켜주며, 피부를 매끄럽게 하고 보습효과가 우수하며, 피부에 탄력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혈액순환이 활성화되어 피부의 온도를 상승시켜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화장독 제거효과가 우수하여 화장이 잘 받는다.
또한 자외선차단기능이 우수하여 미백효과가 있으므로 잡티, 기미, 주근깨 등의 예방과 완화에 효과가 있다.
또한 살균 및 항균효과가 우수하여 가려움증, 여드름에 효과가 있고, 알레르기성 피부에도 도움을 준다.

Claims (1)

  1. 통상의 비누 베이스 82.5-89.2중량%, 희토류광물 미세분 1-3중량%, 옥분말 2.3-3.2중량%, 황토 1.5-2중량%, 숯 1-3중량%, 정제목초액(목초산) 3.7-4.5중량%, 향료 0.8-1.0중량% 및 글리세린 0.5-0.8중량%로 구성된 기능성 비누 조성물.
KR1020000015644A 2000-03-27 2000-03-27 기능성 비누 조성물 KR200100898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644A KR20010089837A (ko) 2000-03-27 2000-03-27 기능성 비누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644A KR20010089837A (ko) 2000-03-27 2000-03-27 기능성 비누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9837A true KR20010089837A (ko) 2001-10-11

Family

ID=19659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5644A KR20010089837A (ko) 2000-03-27 2000-03-27 기능성 비누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89837A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8620A (ko) * 2002-03-16 2002-05-23 장명수 목초분말과 게르마늄, 삼백초를 혼합하는 조성물의제조방법.
KR20020067479A (ko) * 2002-08-01 2002-08-22 황규옥 농산 부산물을 이용한 기능성 비누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30005926A (ko) * 2001-07-10 2003-01-23 오희숙 기능성 비누 조성물
KR20030068822A (ko) * 2002-02-18 2003-08-25 이연화 목초수액시트용 분말혼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0072875A (ko) * 2002-03-07 2003-09-19 남성숙 옥분말을 함유하는 목초액 시트용 조성물
KR20030074522A (ko) * 2003-07-30 2003-09-19 유종훈 면역수
KR20030078578A (ko) * 2002-03-29 2003-10-08 최미지 활성탄 분말과 정제 목초액을 이용한 비누
KR20040001088A (ko) * 2002-06-26 2004-01-07 오원춘 수비활성탄 분말 함유 비누
KR100432939B1 (ko) * 2002-01-16 2004-05-27 주식회사 옥타곤 황토를 함유한 기능성 항균비누 조성물
KR100465450B1 (ko) * 2002-06-27 2005-01-13 주해영 천연 향기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0887776B1 (ko) * 2007-10-05 2009-03-09 박득자 비누
KR20160062431A (ko) 2014-11-25 2016-06-02 주식회사 지엘머티리얼즈 귀금속 나노 입자가 미세하게 분산된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한 비누
CN109234081A (zh) * 2018-09-25 2019-01-18 沈阳品自然科技有限公司 一种补充矿物质的酵素皂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5926A (ko) * 2001-07-10 2003-01-23 오희숙 기능성 비누 조성물
KR100432939B1 (ko) * 2002-01-16 2004-05-27 주식회사 옥타곤 황토를 함유한 기능성 항균비누 조성물
KR20030068822A (ko) * 2002-02-18 2003-08-25 이연화 목초수액시트용 분말혼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0072875A (ko) * 2002-03-07 2003-09-19 남성숙 옥분말을 함유하는 목초액 시트용 조성물
KR20020038620A (ko) * 2002-03-16 2002-05-23 장명수 목초분말과 게르마늄, 삼백초를 혼합하는 조성물의제조방법.
KR20030078578A (ko) * 2002-03-29 2003-10-08 최미지 활성탄 분말과 정제 목초액을 이용한 비누
KR20040001088A (ko) * 2002-06-26 2004-01-07 오원춘 수비활성탄 분말 함유 비누
KR100465450B1 (ko) * 2002-06-27 2005-01-13 주해영 천연 향기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67479A (ko) * 2002-08-01 2002-08-22 황규옥 농산 부산물을 이용한 기능성 비누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30074522A (ko) * 2003-07-30 2003-09-19 유종훈 면역수
KR100887776B1 (ko) * 2007-10-05 2009-03-09 박득자 비누
KR20160062431A (ko) 2014-11-25 2016-06-02 주식회사 지엘머티리얼즈 귀금속 나노 입자가 미세하게 분산된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한 비누
CN109234081A (zh) * 2018-09-25 2019-01-18 沈阳品自然科技有限公司 一种补充矿物质的酵素皂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89837A (ko) 기능성 비누 조성물
CN101194885B (zh) 竹炭面膜
KR101184480B1 (ko) 피톤치드가 발산되는 항균생리대
KR20090060206A (ko) 해양심층수 및 해양콜라겐을 함유하는 비누 조성물
KR20170040524A (ko) 대나무 원단에 피부자극이 없는 조성물을 함유하는 물티슈제조 방법
KR20130028196A (ko) 복합 기능 항균 세정 물티슈
KR20160011247A (ko) 양구방산백토 추출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를을 이용한 천연 유아용 물비누 제조방법과 그 조성물
KR20180029345A (ko) 화산석 추출물의 미네랄 복합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탈취제 조성물
KR20030005926A (ko) 기능성 비누 조성물
KR101134153B1 (ko) 황토와 기능성분의 혼합 숙성물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황토비누
KR20040041472A (ko) 기능성 비누 조성물
KR20040067044A (ko) 기능성 미용비누 조성물
CN101085370A (zh) 一种新型抗菌除臭粉
CN1218090C (zh) 一种浸制湿纸巾的药液及制备方法和用途
KR20020043073A (ko) 생강 성분이 함유된 화장비누
KR100816675B1 (ko) 황토 비누 제조방법
KR100724071B1 (ko) 천연 광물로 구성된 겔상의 미용품 및 그 제조방법
KR102575807B1 (ko) 시금치, 녹차, 굴패각 및 송진을 이용한 친환경 세제의 제조방법과 그 조성물
KR20030006895A (ko) 솔림욕 이미용제(황솔팩)와 입욕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526683B1 (ko) 오존산화유가 함유된 기능성 비누
CN107828562A (zh) 硅藻美容皂
KR100507901B1 (ko) 아미노산 게르마늄 화장비누의 제조방법
KR20110123298A (ko) 기능성 신발
KR20220067243A (ko) 유아용 기능성 비누 조성물 제조방법
KR20030078578A (ko) 활성탄 분말과 정제 목초액을 이용한 비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