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8762A - 콘텐츠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8762A
KR20010088762A KR1020010053738A KR20010053738A KR20010088762A KR 20010088762 A KR20010088762 A KR 20010088762A KR 1020010053738 A KR1020010053738 A KR 1020010053738A KR 20010053738 A KR20010053738 A KR 20010053738A KR 20010088762 A KR20010088762 A KR 20010088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advertisement
information
user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3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7526B1 (ko
Inventor
임영희
Original Assignee
임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영희 filed Critical 임영희
Priority to KR1020010053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7526B1/ko
Publication of KR20010088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8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7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7526B1/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광고 산업분야와 콘텐츠 제공 산업분야에 관한 기술로서, 그 요지는 이용자와 광고주의 선호에 따라 선택된 "유료콘텐츠"에 이 콘텐츠 자체의 특성에 가장 잘 부합되도록 광고주에 의하여 제공된 "콘텐츠와 같은 속성의 광고콘텐츠"를 결합하여 이것을 이용자에게 무료 또는 염가로 제공하여 이용자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에서 반복하여 시청토록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광고삽입콘텐츠"(맞춤형 팩키지광고물)의 제작 및 제공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여 콘텐츠제공 사업을 하고 인터넷 광고를 할 경우, 광고주는 이용자가 광고상품에 대한 거부감을 적게 느끼게 하면서도 반복광고를 할 수 있게 되어 종래 기술에서 보다 더 큰 광고 효과를 얻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텐츠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digital contents}
본 발명은 인터넷 광고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인터넷을 통한 콘텐츠 제공산업에 있어서의 인터넷 광고기술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보급이 확대되고 인터넷 상에서 많은 유용한 정보를 무료로 제공 받을 수 있게 된 것은 거의 전적으로 광고주의 광고비 지출에 기인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광고기술도 인터넷의 발전속도 만큼이나 빠르고 다양하게 발전되고 있다. 그러나 광고주의 이러한 비용 부담에도 불구하고 인터넷 광고의 효과는 타 광고 보다 적다고 한다. 현재 상용화 되고 있는 광고 형태로는 경품제공 등의 방법으로 인터넷 이용자의 비 자발적인 클릭을 유도하는 배너광고, 링크광고, 팝업광고 등 인터넷 이용자에게 거부감을 줄 수 있는 무차별 광고의 형태와 이용자의 등록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이를 토대로한 이메일 광고 등 타켓형 광고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광고형태는 근본적으로 광고를 위한 광고 성격이며 광고주의 입장에서의 비자발적인 강제광고 수단으로서 광고대상자를 구매에 까지 연결시키는 비율이 낮고 광고를 통하여 이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 한다는 측면과 이용자가 광고를 시청할 경우 이에 기울이는 주의에 대하여 충분히 보상을 받을 수 있게 하는 소비자 잉여효과 측면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고, 광고 부족 등의 이유로 콘텐츠 쇼핑몰 사업자(이하 "쇼핑몰 사업자"라 칭함)의 경우에도 광고주의 광고문을 자체 심사기준을 통한 사전심사를 거쳐 광고를 게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광고내용의 윤리적 문제 소지가 있을 뿐만 아니라 콘텐츠의 성격에 맞지 않는 광고가 게재되는 경우도 있어 이용자가 해당사이트 및 해당 제품에 대한 거부감을 가져 광고를 무시하거나(광고 배너 미클릭 등) 광고상품 사이트 방문을 회피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특히 콘텐츠 제공 사이트의 경우에도 사이트 운영경비 조달의 필요 때문에 광고를 게재하기도 하는데, 그 광고방식이 상기와 같은 광고방식이다 보니 정당한 사용료를 내고 사이트를 이용하는 유료이용자의 경우에도 본인의 의사에 반하여 광고를 시청하게 되고, 광고가 대부분 그래픽과 동영상으로 제작되다 보니 인터넷 속도가 느리게 되어 이런 사이트의 경우 유료사용을 회피하게 된다. 이 때문에 콘텐츠 제공사업자(이하 "사업자"라 칭함)의 경우에도 이로 인해 유료콘텐츠 이용자의 수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해 저렴하고 양질의 유료콘텐츠를 다양하게 공급하는 것이 어렵다.
콘텐츠제공 사이트이면 콘텐츠를 제공하는데 역점을 두고 광고도 전적으로 이를 위한 수단 즉, 해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이용자의 경제적인 형편이 어떠하든지 광고를 통하여 제한없이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이용하여야 한다. 이 때문에 광고방식도 다른 사업과는 다르게 접근하여야 하는 데도 종래 이분야 광고 기술의 경우 다른 인터넷 사업에서와 같이 상기의 강제적이고 비자발적인 광고 형태가 주로 실시되고 있다. 특히 종래 이 분야의 광고에 있어서 가장 많이 실시되고 있는 방식은 유료사이트의 경우 무료이용자에게는 극히 일반적인 콘텐츠(다른 곳에서도 무료로 제공하고 있는 종류의 콘텐츠)만 무료로하고 핵심적인 콘텐츠는 샘플방식으로만 제공하고 있어 사실상 이용에 제한을 두고 있기 때문에 그 자체도 광고의 성격을 가진 것이다. 또 광고수입을 통하여 콘텐츠를 무료로 제공하는 사이트의 경우 그 질과 양에서 이용자의 요구수준에 이르지 못하고 광고방식에서도 상기에서 지적된 바와 같이 이용자에게 거부감을 주는 방식으로 인해 광고 효과도 적다. 또 광고료 위주의 사이트 운영으로 인하여 홈페이지에 많은 다양한 광고를 게재하기 때문에 콘텐츠 전송속도가 느려진다는 문제가 있다. 때문에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광고주, 콘텐츠제공 사업자, 쇼핑몰 사업자 및 이용자 모두가 만족할 수 있고 콘텐츠 제공 사업분야의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광고기술을 필요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콘텐츠 제공 웹사이트 상에서 실시되고 있는 종래기술의 인터넷 광고에 있어서 제기된 상기 문제점 들, 즉 ①콘텐츠 유료 이용자에게도 광고를 강제로 시청하게 하는 문제, ②정보제공 성격의 광고가 되지 않고 있는 문제, ③콘텐츠 자체의 질적, 양적 수준의 저하로 인한 콘텐츠의 무료 이용에 대한 보상광고임에도 이용자의 광고 거부감 상존 문제, ④이용자의 광고 미시청(또는 광고무시)으로 인한 광고 효과 저하의 문제, ⑤쇼핑몰 사업자의 무심사 광고로 인한 윤리성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이용자로 하여금 거부감을 적게 가지게 하는 정보제공 성격의 광고기술, 이용자가 좋은 콘텐츠를 광고를 통하여 무료 또는 염가로 얻게 되었다는 인식을 분명히 가지게 하여 해당 광고주 또는 광고상품에 대한 호감을 가지게 하는 광고기술, 이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광고로 통하여 무료로 얻었을 경우 그 대가로 광고를 시청하지 않으면 않되게 하는 광고기술, 이용자의 경제적인 형편에 관계없이 제한없이 콘텐츠를 제공 받을 수 있게 하는 기술, 콘텐츠의 불법복사까지도 사업에 도움이 되게 하는 기술을 제시하여 인터넷 광고의 효과를 획기적으로 높여 콘텐츠 제공사업자로 하여금 안정된 광고 수입을 얻을 수 있게 하여 질 좋은 다양한 콘텐츠를 충분히 이용자에게 공급 할 수 있게 함으로써 광고주, 사업자 및 이용자 모두에게 이익이 되고 콘텐츠 제공 산업의 발전에도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는 새로운 광고기술과 사업방법인 맞춤형 광고삽입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발명에서 제공되는 광고삽입콘텐츠의 DB 구축을 위한 파일형태 설명도
도2는 본발명에서 제공되는 광고삽입콘텐츠 파일의 구성도
도3은 본발명 시스템 구성 및 작용도
도4는 본발명 일실시예 시스템 구성 블럭 및 작용도
도4a는 도4의 이용자 정보 DB의 데이터 속성예도
도4b는 도4의 콘텐츠제공실적 DB의 데이터 속성예도
도4c는 도4의 사업자정보 DB의 데이터 속성예도
도4d는 도4의 콘텐츠 DB의 데이터 속성예도
도4e는 도4의 광고주정보 DB의 데이터 속성예도
도4f는 도4의 광고콘텐츠 DB의 데이터 속성예도
도4g는 도4의 광고삽입콘텐츠 DB의 데이터 속성예도
도4h는 도4의 콘텐츠 쇼핑몰 홈페이지예도
본 발명은 광고주 중심의 광고기술이 아닌, 이용자 중심의 광고기술로서 우수한 다양한 콘텐츠를 많은 이용자에게 무료 또는 염가로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광고 즉, 광고수익을 기반으로한 콘텐츠 제공 쇼핑몰 사업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1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 대한 본 발명에서의 해결방법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기술의 문제점 해결방법(발명요지)
유료 이용자에게도 광고노출 무료 또는 염가 이용자에게만 선택된 광고삽입콘텐츠 제공
광고게재로 인해 인터넷 속도저하 홈페이지에는 광고가 노출되지 않고 선택된 콘텐츠의 실행시에만 노출하는 것이 가능함
광고회피(미시청)여지 이용자가 선택한 콘텐츠에 광고를 삽입하여 콘텐츠를 실행할 때 마다 반드시 광고를 시청케 함
광고 내용상의문제 광고주가 광고소재로 이용할 콘텐츠를 정하여 이에 맞는 광고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정보제공 성격의 광고가 종래기술에서 보다 유리하다. 또한 사전심사를 통하여 선정적이거나 이용자가 거부감을 느끼는 광고는 게재하지 않을 수 있다.
불법복사의 문제 콘텐츠에 광고가 삽입된 형태이어서 불법복사 자체도 광고에 도움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더 유리할 수 있음
광고에 대한 거부감 상존 유료 콘텐츠의 무료 또는 염가 이용에 대한 보상광고이고 콘텐츠의 속성에 보다 일치되는 정보제공형 광고기술이기 때문에 거부감 최소화 가능
이하에서 상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요지를 기술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도면과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기술한다. 그러나 각 도면과 실시예에서 제시하는 구현 방법은 당 업자로 하여금 큰 어려움 없이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 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 될 수 있는 바, 이들 또한 청구항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기술 중 종래 공지기술에 의하여 큰 어려움 없이 구현이 가능한 것은 본 명세서에서는 간략히 기술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기능적 구성요소들은, 본 발명의 기술을 시스템으로 구현하는 것으로 설명하는 경우에는 같은 이름(또는 같은 의미)을 가진 ㅇㅇ 수단 이라는 용어로 주로 기술하고, 본 발명의 기술을 방법으로 구현하는 것으로 설명하는 경우에는 같은 이름(또는 같은 의미)을 가진 ㅇㅇ 단계라는 용어로 주로 기술되고, 본 발명의 기술을 프로그램으로 구현하는 것으로 설명하는 경우에는 같은 이름(또는 같은 의미)을 가진 ㅇㅇ 모듈의 형태로 주로 기술한다.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특별한 용어의 정의는 아래와 같다.
"콘텐츠"는 광고가 삽입되지 않은 콘텐츠로서, 다양한 속성을 가진 콘텐츠를 포함하며,
"광고삽입콘텐츠"는 광고주가 본 발명 쇼핑몰 사업자가 제공하는 콘텐츠 중에서 선택한 콘텐츠에 광고주가 제공한, 삽입될 콘텐츠와 같은 파일속성을 가진, 광고 콘텐츠가 삽입된 콘텐츠로서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해 제조되는 콘텐츠를 지칭한다.
이 외에도 본 명세서에서는 여러가지 용어를 사용하나 그 진정한 의미는 명칭에 한정되지 않고 본 명세서에서의 그 기능에 의해 정의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도1과 도2 및 도3은 상기 표1에서 제시된 본 발명의 요지를 실제적으로 구현하는데 필요한 광고삽입콘텐츠 파일의 속성과 시스템 구성 및 각 시스템간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1은 본발명에서 제공되는 광고삽입콘텐츠 DB의 구축을 위한 파일형태 설명도이다.
본도에서는 콘텐츠파일을 문서파일, 동영상파일, 오디오파일의 3가지 형태로 구분하고 이것에 삽입되는 광고콘텐츠파일도 같은 형태의 3가지로 각각 구분하여 제작하도록 되어 있다. 콘텐츠파일과 광고콘텐츠 파일의 db 구축은 '사업자의 콘텐츠 파일 또는 광고주의 광고콘텐츠파일의 제작 -> 콘텐츠 쇼핑몰 시스템의 저장장치에 저장 -> 파일정보를 db로 구축'의 순서로 진행된다. 콘텐츠 파일과 광고콘텐츠 파일은 스트리밍형태의 온라인 실행과 다운로드 후 오프라인 형태의 실행이 모두 가능하도록 제작하는 것이 권장된다.
문서파일은 웹페이지 문서에 텍스트, 그래픽 등의 문서 콘텐츠 파일과 문서 형태의 광고콘텐츠 파일이 콘텐츠 제공단계에서 식별번호를 키(key)로하여 두 개의 파일이 동적으로 결합하여 도2의 ad10과 같이 페이지 단위로 이용자에게 제공하면 이용자는 온라인 상태에서 페이지 단위로 화면검색 또는 프린트를 하는 온라인 제공 방식과 소설, 만화 등 많은 페이지로 된 문서파일이면 ms 워드, 한글 등의 문서작성 s/w나 그래픽문서 작성 s/w로 도2의 ad10과 같이 광고삽입문서로 재편집하여 웹서버를 통하여 다운로드 방식으로 제공할 것을 권장한다. 이를 위해서 문서 콘텐츠 파일은 페이지 단위로 분리하여 광고문서를 삽입 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제작하여야 한다. 이것은 홈페이지를 통하여 사업자와 광고주에게 알리고 콘텐츠 심사단계에서 체크하면 된다. 문서형태로 제공되는 파일에는 악보, 만화 등의 그래픽 파일과 소설, 가사 등의 텍스트 파일이 포함된다.
동영상 파일은 영화 등과 같이 동영상과 오디오가 결합된 형태를 기본으로 한다. 동영상콘텐츠 파일과 오디오콘텐츠 파일은 전송속도의 문제를 고려하여 사전에 광고삽입콘텐츠 제작수단으로 광고주가 지정한 콘텐츠에 광고콘텐츠를 결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광고삽입콘텐츠 파일로 제작후 콘텐츠제공 웹서버에 저장후 저장된 파일정보를 db로 구축하여 웹과 연동시켜 광고시청에 동의하는 이용자에 대해서만 제공한다. 동영상 광고삽입콘텐츠 파일은 다운로드 후 실행용과 스트리밍 실행용으로 각각 미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인터넷 속도 문제와 서버의 속도문제가 해결된다면 콘텐츠제공단계에서 콘텐츠파일과 광고콘텐츠 파일이 도2의ad20과 ad30과 같은 형태로 동적으로 결합하여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 방식으로 제공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의 장점은 특정 콘텐츠에 삽입되는 광고를 수시로 변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특정 광고삽입콘텐츠의 반복실행에 따른 단일광고의 반복시청으로 인한 무료함과 거부감을 줄이면서도 다양하고 많은 광고를 실시할 수 있다는 점이다. 동영상 콘텐츠 파일과 오디오 콘텐츠 파일은 광고콘텐츠 파일의 삽입을 고려하여 적정개수로 분할과 결합이 가능하도록 제작하여야 한다. 상기 3가지 형태의 광고삽입 콘텐츠는 이용자가 실행도중(오프라인 실행 포함)에 광고영역(광고배너 등)을 지시수단(마우스, 키보등 등)으로 지시(마우스 클릭 등)하면 해당 광고주의 홈페이지 또는 광고상품 정보와 링크되도록 광고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도 공지기술의 광고시청 실적 계산 수단을 이용하여 광고실적을 계산하여 광고료 청구시 포함 시킬수 있다. 상기 이외의 사항은 본도를 참고하면 된다.
또한 상기 광고삽입콘텐츠는 이용자가 제공받은 광고삽입콘텐츠를 오프라인 상태에서 일정회수 이상 시청하면 삽입된 광고콘텐츠가 삭제되거나 실행시 스킵되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광고콘텐츠에는 실행회수를 누적하는 카운트 모듈; 카운트 결과에 따라 스킵여부를 판단하여 스킵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모듈이 포함되어야 한다. 상기 카운드 모듈과 제어모듈은 콘텐츠 속성(문서, 동영상, 오디오 등)별 또는 콘텐츠 실행수단별로 제작하되, 콘텐츠실행수단에서 광고삽입콘텐츠를 실행할 때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신호에 따라 삽입된 광고콘텐츠의 스킵 여부가 결정되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는 본발명에서 제공되는 광고삽입콘텐츠 파일의 구성도이다.
광고삽입콘텐츠 파일은 도1에서 구분한 것과 같이 문서, 동영상, 오디오 파일의 3가지로 구분하여 제작될 수 있음을 도시하는 바, ad10은 광고삽입문서콘텐츠 파일의 구성예를, ad20은 광고삽입동영상콘텐츠 파일의 구성예를, ad30은 광고삽입오디오 콘텐츠 파일의 구성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도에 의하면 각 콘텐츠마다 2회의 광고를 시행토록 되어 있으나 당업자가 광고효과를 고려하여 1개로 줄이거나 더 늘릴수 있다.
광고삽입문서 콘텐츠 파일(ad10)은 웹페이지 제작 도구, ms 워드, 한글 등의 문서작성 s/w나 그래픽 문서 작성 s/w를 통하여 콘텐츠와 광고콘텐츠가 결합되도록 제작한다. 광고삽입동영상 콘텐츠 파일(ad20)과 광고삽입오디오 콘텐츠 파일(ad30)은 tv와 라디오에서 드라마 등을 소재로 일반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삽입광고방식과 같으나 본발명에서는 같은 내용이라도 유료이용자에게는 광고를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또 광고주와 이용자의 선호에 따라 선택되는 콘텐츠에 같은 속성의 광고 콘텐츠를 삽입토록 되어 있어 이용자에 따라 다른 콘텐츠와 다른 광고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콘텐츠의 내용을 매개체로 하여 이용자 개개인의 선호와 광고주의 선호 즉 관심사가 가장 적합하게 연결되기 때문에 정보제공 성격의 맞춤형 광고와 1:1의 반복 광고를 실시하는데 있어서 종래의 광고기술보다 더 용이하다. 상기 이외의 사항은 본도를 참고하면 된다.
도3은 본발명 시스템 구성 및 작용도로서 전술한 본 발명의 요지를 구현하기위한 시스템 구성과 실시 방법을 도시하고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 시스템의 특징은 통신망에 연결된 다수의 컴퓨터를 기반으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이용자 컴퓨터(s100);
사업자 컴퓨터(s200);
광고주 컴퓨터(s300);
사업자 컴퓨터에게 등록된 콘텐츠 정보와 이용자의 콘텐츠 이용실적 정보 등을 제공하고 사업자 컴퓨터로부터 사업자 정보와 콘텐츠 및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이하 "콘텐츠 수신 수단"이라 함)(s520), 광고주 컴퓨터에게 등록된 콘텐츠 정보와 콘텐츠 제공실적 정보 등을 제공하여 광고에 적합한 콘텐츠(광고소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광고주 컴퓨터로부터 광고주 정보와 콘텐츠 속성에 맞는 광고콘텐츠 및 광고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이하 "광고콘텐츠 수신 수단"이라 함)(s530), 상기 콘텐츠 수신수단과 광고 콘텐츠 수신수단을 통하여 제1 데이터베이스부에 임시로 저장된 콘텐츠와 광고콘텐츠를 심사하여 제2 데이터베이스부에 등록하는 수단(이하 "콘텐츠/광고 등록수단"이라 함)과 상기 콘텐츠와 광고콘텐츠를 도2와 같은 광고삽입 콘텐츠로 제작하여 제2 데이터 베이스부에 등록하는 수단(이하 "광고삽입 콘텐츠 제작수단"이라 함) 및 콘텐츠 이용료와 광고료를 계산하여 청구하고 사업자에게 수익금을 지급하는 수단(이하 "이용료/광고료 청구수단"이라 함)을 구비한 관리수단(s550); 및
이용자 컴퓨터로부터 이용자 정보를 등록 받고, 등록된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여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이용자로 부터 콘텐츠 선택정보가 수신되면 요청된 콘텐츠를 이용자 컴퓨터에 제공하되, 이용자에 따라 광고가 삽입되지 않은 콘텐츠 또는 광고가 삽입된 광고삽입콘텐츠를 구별하여 제공하고, 제공실적 정보를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부에 등록하는 수단(이하 "콘텐츠 제공 수단"이라 함)(s510)을 구비한 콘텐츠 쇼핑몰 시스템(s5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제공 시스템이다.
상기 이용자 컴퓨터는 오프라인 콘텐츠 재생기기를 포함한 콘텐츠 실행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사업자 컴퓨터는 콘텐츠를 제작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광고주 컴퓨터는 광고콘텐츠를 제작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권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통신망에 연결된 다수의 컴퓨터를 기반으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1) 사업자 컴퓨터(s200)에게 등록된 콘텐츠 정보 등을 제공하고 사업자 컴퓨터로부터 콘텐츠 수신수단(s520)를 통하여 콘텐츠 및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제1 데이터베이스부에 임시로 저장하는 단계;
(2) 광고주 컴퓨터(s300)에게 등록된 콘텐츠 정보 등을 제공하여 광고에 적합한 콘텐츠(광고소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광고주 컴퓨터로부터 광고콘텐츠 수신수단(s530)를 통하여 콘텐츠 속성에 맞는 광고콘텐츠 및 삽입될 콘텐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광고콘텐츠 정보를 수신하여 제1 데이터베이스부에 임시로 저장하는 단계;
(3) 쇼핑몰 관리자(s550)가 상기에 의해 수신된 콘텐츠 또는 광고콘텐츠를 자체적으로 정한 기준에 따라 심사하여 파일명을 부여하고 사업자 또는 광고주가 입력한 파일 색인정보에도 식별번호를 각각 부여 후 그대로 제2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등록)하고 제1 데이터베이부의 해당(등록된) 콘텐츠 파일 및 파일등록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
(4) 상기 쇼핑몰 관리자(s550)가 상기 등록된 광고콘텐츠 파일의 색인정보에 포함된 콘텐츠 식별번호를 검색키로 하여 제2 데이터베이스부에서 삽입될 콘텐츠 파일을 검색하여 광고삽입콘텐츠(도2)를 제작한 후 제2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고, 제1 데이터베이스부에서 해당 광고 콘텐츠 파일 및 광고콘텐츠 색인(등록)정보를 삭제하는 단계;
(5) 이용자가 콘텐츠 쇼핑몰 시스템(s500)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한 후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하면 요청된 콘텐츠를 이용자 컴퓨터에 제공하되, 등록된 이용자 구분 정보에 따라 광고가 삽입되지 않은 콘텐츠 또는 광고가 삽입된 광고삽입콘텐츠를 이용자 컴퓨터에게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콘텐츠제공실적 정보를 제2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본 단계에 처음 접속하는 이용자는 먼저 이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하는 이용자 등록과정을 포함시킨다.
상기 이용자 구분 정보는 유료 이용자와 무료 이용자로 구분되며, 유료 이용자에게는 원칙적으로 광고가 삽입되지 않은 콘텐츠를 무료 이용자에게는 광고삽입콘텐츠가 제공된다.
(6) 쇼핑몰 관리자가 제2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콘텐츠제공실적 정보를 토대로 이용자와 광고주로부터 콘텐츠 이용료와 광고료를 받아 그 중 일부를 사업자에게 수익금으로 지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이다.
도4는 도3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요지를 더 상세하게 설명하고 바람직한 구현을 위한 본 발명 일실시예의 시스템 구성 블럭과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도의 설명시 필요한 경우 도3의 설명이 참조된다. 본도의 구성요소에 표시된 도면부호(식별번호)는 도3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명칭이 달라도 같은 도면부호가 표시되어 있다.
본도에 의하면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은,
이용자 컴퓨터(s100), 사업자 컴퓨터(s200), 광고주 컴퓨터(s300)와 콘텐츠 쇼핑몰 시스템(s500)을 포함한다.
이용자 컴퓨터(s100), 사업자 컴퓨터(s200) 및 광고주 컴퓨터(s300)는 웹부라우저 등을 구비하고 유/무선의 공중망(또는 인터넷 망) 또는 전용선을 통하여 인터넷에 연결된 종래기술에 속한 단말기(클라이언트 단말기) 컴퓨터로서, 단말기의 사용 용도와 상기 쇼핑몰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회원) 등록정보에 따라 구별되는 의미상의 명칭이며, 이에는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각종 무선 통신 단말기 장치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상기 사업자와 광고주도 이용자로 이중 등록할 수 있으나, 상기 쇼핑몰 시스템에 등록된 콘텐츠 중 사업에 관련된 콘텐츠는 열람 및 수정이 허용되어야 하므로 사업자 또는 광고주 권한 외에도 이용자가 상기 쇼핑몰 시스템에서 가지는 권한도 추가로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용자 컴퓨터는, 상기 본발명을 실시하는 다른 콘텐츠 쇼핑몰 사업자가 운영하는 콘텐츠 쇼핑몰 시스템에서 상기 쇼핑몰 시스템(s500)의 DB서버로 부터 콘텐츠 또는 광고삽입콘텐츠를 데이터 링크 또는 데이터 동기화 등의 방식으로 공급받는 경우에는 서버 컴퓨터도 포함됨은 당연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용자 컴퓨터는 오프라인 콘텐츠 재생기기를 포함한 콘텐츠 실행수단(s110)을 구비하고, 상기 사업자 컴퓨터는 콘텐츠를 제작하는 수단(s210)을 구비하고, 상기 광고주 컴퓨터는 광고콘텐츠를 제작하는 수단(s310)을 구비하는 것이 권장된다.
상기 콘텐츠 실행수단(s110)은 도1의 다양한 콘텐츠를 온라인 및 오프라인 상태에서 실행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웹부라우저, 리얼오디오, 동영상콘텐츠 재생 프로그램(리얼플레이어 등) 등 컴퓨터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mp3 player 등 포터블 콘텐츠 재생기기를 포함한다. 상기 콘텐츠 제작수단(s210)과 상기 광고콘텐츠 제작수단(s310)은 도1에 도시된 디지털 형태의 문서, 동영상, 및 오디오 파일 제작수단으로서, 종래기술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문서편집 프로그램과 멀티미디어 제작도구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콘텐츠 쇼핑몰 시스템은 콘텐츠 쇼핑몰 웹서버(s510), 콘텐츠 수신웹서버(s520), 광고콘텐츠 수신 웹서버(s530), 제1 db서버(s540), 제2 db서버(s560), 관리자 단말기(s550)을 포함하여 지역네트워크 환경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컴퓨터의 기능은 하나의 컴퓨터에 통합할 수 있음은 당업자로서는 당연하다.
콘텐츠 쇼핑몰 웹서버(s510)는 상기 콘텐츠 제공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며,
콘텐츠 쇼핑몰 홈페이지(s511)와 콘텐츠 제공 CGI 모듈(s512)을 구비하고 콘텐츠 제공 CGI 모듈을 통하여 제2 db 서버와 연동되며 관리자 단말기(s550)를 통하여 관리된다. 이용자의 정보를 등록받아 db로 관리하며, 이용자의 콘텐츠 이용실적도 db로 저장 한다. 또한 이용자에게 선택 가능한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여,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선택한 콘텐츠를 이용자 정보db의 이용자 구분에 따라 유료 이용자이면 광고없는 콘텐츠를 제공하고, 무료이용자이면 광고삽입콘텐츠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콘텐츠 수신 웹서버(s520)는 상기 콘텐츠 수신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며,
콘텐츠 수신 홈페이지(s521)와 콘텐츠 수신 CGI 모듈(s522)을 구비하고 콘텐츠 수신 CGI 모듈을 통하여 제1 db서버 및 제2 db 서버와 연동되고 관리자 단말기(s550)를 통하여 관리된다. 사업자 정보를 등록받고 사업자가 제2 db서버에서 관리하는 해당 사업자 정보 데이터와 해당 사업자가 등록한 콘텐츠 정보를 직접열람 및 수정할 수 있게 하고, 다른 사업자가 등록한 콘텐츠 파일과 콘텐츠 등록정보 데이터도 콘텐츠 쇼핑몰 웹서버를 통하지 않고도 직접 검색 및 실행 하게 한다.
광고콘텐츠 수신 웹서버(s530)는 상기 광고콘텐츠 수신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며,
광고 콘텐츠 수신 홈페이지(s531)와 광고콘텐츠 수신 CGI 모듈(s532)을 구비하고 광고콘텐츠 수신 CGI 모듈을 통하여 제1 db서버 및 제2 db 서버와 연동되고 관리자 단말기(s550)를 통하여 관리된다. 광고주 정보를 등록받고 광고주가 제2 db서버에서 관리하는 해당 광고주 정보 데이터와 광고콘텐츠 정보를 직접열람 및 수정할 수 있게 하고, 해당 광고 시청실적 데이터도 열람할 수 있게 하며, 콘텐츠 파일과 콘텐츠 등록정보 및 이용자에게 대한 해당 콘텐츠 제공실적 정보를 콘텐츠 쇼핑몰 웹서버를 통하지 않고도 직접 검색 및 실행할 수 있도록 하여 콘텐츠의 속성에 맞는 광고를 선택 하게 한다.
콘텐츠 제공 CGI 모듈, 콘텐츠 수신 CGI 모듈, 광고 콘텐츠 수신 CGI 모듈은 관련 웹페이지를 통하여 홈페이지 접속자와 db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담당하는 CGI 모듈이다.
제1 db서버(s540)는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부에 대응하는 기능을 하는 바,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에 의하여 관리되는 본 발명의 콘텐츠 DB(s542)와 광고콘텐츠 DB(s544)를 구비하고, 콘텐츠 수신 웹서버와 광고콘텐츠 수신 웹서버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를 제2db 서버로 이송하기 위한 임시 DB를 구축하며 관리자 단말기(s550)에 의하여 제2 db서버에 데이터가 이송되고 관리된다.
제2 db서버(s560)는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부에 대응하는 기능을 하는 바,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에 의하여 관리되는 본 발명의 이용자 정보 DB(s561), 콘텐츠 제공실적 DB(s562), 사업자 정보 DB(s563), 콘텐츠 DB(s564), 광고주 정보 DB(s565), 광고콘텐츠 DB(s566)와 광고삽입콘텐츠 DB(s567)를 구비하고, 콘텐츠 쇼핑몰 웹서버, 콘텐츠 수신 웹서버와 광고콘텐츠 수신 웹서버의 CGI 모듈과 연동되고 관리자 단말기(s550)에 의해 제1 db서버로부터 데이터가 이송되고 관리된다.
제1 db서버의 각 db는 제2 db서버의 같은 명칭의 db와 같은 속성을 가진 db로서 등록데이터의 심사를 위한 임시 저장수단이다.
제1 db서버와 제2 db서버는 하나의 db 서버로 통합하여 운영할 수 있다. 이 경우 같은 이름의 db는 같은 속성을 나타내는 다른 이름의 db로 변경하거나(예: 콘텐츠 db의 경우 제1 db 서버에 저장된 db는 "콘텐츠-1"로, 제2 db서버에 저장된 db는 "콘텐츠-2"등으로 구분) 다른 디렉토리(저장영역)에 저장되어야 한다.
관리자 단말기(s550)는 상기 관리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며,
제1 db 서버에 임시로 저장된 콘텐츠와 광고콘텐츠를 심사하여 제2 db에 등록하는 수단인 상기 콘텐츠/광고 등록 수단(s552), 상기에 의해 등록되는 콘텐츠와 광고콘텐츠를 결합하여 상기 광고삽입콘텐츠로 제작하여 제2 db서버에 등록하는 수단인 상기 광고삽입콘텐츠 제작 수단(s553), 콘텐츠제공실적 db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된 콘텐츠 또는 광고 삽입콘텐츠의 제공실적에 따라 콘텐츠 이용료 또는 광고료를 계산하여 이용자 또는 광고주에게 각각 청구하고 사업자에게 수익금을 지급하는 수단인 상기 이용료/광고료 청구 수단(s551)을 구비하고 콘텐츠 쇼핑몰 시스템(s500)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관리자 단말기(s550)는 콘텐츠 쇼핑몰 시스템(s500)과 같은 지역 네트워크상에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나 외부 전문업체에서 관리하는 경우 인터넷 상에서 구성될 수 도 있다.
이용자 정보 DB(s561)는 콘텐츠 쇼핑몰 웹서버에 접속하는 유료 또는 무료 이용자의 id, 비밀번호 및 신상정보 등의 데이터로 구성되며, 사용자 인증과 콘텐츠제공실적 db의 구축에 이용되고 주로 그것으로부터 참조된다.
콘텐츠 제공실적 DB(s562)는 상기 이용자에 대한 콘텐츠 제공실적 정보 등의 데이터로 구성되며 이용료/광고료 청구수단에서 이용료와 광고비 청구 및 사업자에 대한 수익금 지급액 산출의 기초데이터로 이용된다.
사업자 정보 DB(s563)는 콘텐츠 수신 웹서버로부터 등록된 콘텐츠 제공 사업자의 id, 비밀번호 및 신상정보 등의 데이터로 구성되며 콘텐츠 db 및 광고삽입 콘텐츠 db의 구축에 이용되고 주로 콘텐츠 제공실적 db로부터 참조된다.
콘텐츠 DB(s564)는 콘텐츠 수신 웹서버로부터 등록된 도1의 콘텐츠 파일과 그 파일의 url, 식별번호, 파일형태, 광고료 및 이용료를 포함한 콘텐츠 정보 데이터와 광고삽입을 위한 연동될 광고파일 식별 정보 등으로 구성되며 콘텐츠 제공 웹서버를 통하여 이용자에게 제공된다. 이 db는 유료이용자에 무광고 콘텐츠 제공을 위하여 주로 이용된다. 제1db 서버에 입력 단계에서의 콘텐츠 db의 콘텐츠 정보 식별번호와 파일명에는 시스템에서 자체적으로 부여되는 임시 식별번호와 파일명이 자동적으로 입력되도록 한다.
광고주 정보 DB(s565)는 광고콘텐츠 수신 웹서버로부터 등록된 광고주의 id, 비밀번호 및 신상정보 등의 데이터로 구성되며 광고콘텐츠 db 및 광고삽입콘텐츠db의 구축에 이용되고 주로 콘텐츠 제공실적 db로 부터 참조된다.
광고콘텐츠 DB(s566)는 광고콘텐츠 수신 웹서버로부터 등록된 도1의 광고콘텐츠 파일과 그 파일의 url, 파일형태 및 식별번호를 포함한 광고콘텐츠 정보 데이터와 연동될 콘텐츠파일 식별 정보 등으로 구성되며 광고주가 선택하는 특정 콘텐츠에 삽입하기 위한 것이다. 제1 DB 서버에 입력단계에서의 광고콘텐츠 db의 광고 콘텐츠 정보식별번호와 파일명에는 시스템에서 자체적으로 부여되는 임시 식별번호와 파일명이 자동적으로 입력되도록 한다.
광고콘텐츠 DB에는 이외에도 광고삽입콘텐츠 제작시 이용되는 광고콘텐츠가 일정기간이 지나면 콘텐츠에 삽입이 되지 않거나 다른 광고콘텐츠로 갱신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용되는 광고기간 항목(필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고삽입콘텐츠 DB(s567)는 광고삽입콘텐츠 제작수단에 의하여 구축되며 도2와 같이 광고가 삽입된 콘텐츠 파일과 그 파일의 url, 식별번호, 이용료, 광고료, 사업자id 및 광고주 id 등의 데이터로 구성되며 콘텐츠 제공 웹서버를 통하여 이용자에게 제공된다. 이 db는 무료 또는 염가로 이용자에게 제공되며 제공실적은 콘텐츠 제공실적 db에 저장된다.
또한 본도에 의하면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작용은
(1)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2) 광고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3) 수신된 콘텐츠 또는 광고콘텐츠를 심사하여 등록하는 단계;
(4) 광고삽입콘텐츠를 제작하여 등록하는 단계;
(5) 이용자에게 콘텐츠 또는 광고삽입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및
(6) 콘텐츠이용료 또는 광고료를 청구하고 사업자에게 수익금을 지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 단계는 상기 콘텐츠 수신 수단의 작용으로서,
사업자(콘텐츠 공급자)와 쇼핑몰 사업자가 콘텐츠 공급 계약을 체결하는 단계;
이 단계는 주로 오프라인 상태에서 이루어지며 공급될 콘텐츠의 내용이 사실상 결정된다.
사업자가 콘텐츠 수신 홈페이지에 접속하는 단계;
웹서버에서 로그인부가 있는 초기화면을 사업자 컴퓨터에 제공하는 단계;
사업자가 상기 로그인부를 통하여 로그인 정보(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웹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웹서버가 상기 로그인 정보가 등록된 것인지를 제2 db서버의 사업자 정보 db에서 검색하는 단계;
웹서버가 상기 검색결과를 판단하는 단계;
웹서버가 상기 판단결과 등록되지 않은 사업자이면 도 4c를 참고하여 제작된 사업자 등록 페이지로 사업자 등록정보를 입력 받아 사업자 정보 db에 등록하는 단계;
웹서버에서 콘텐츠 등록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참고로 콘텐츠등록 웹페이지는 도4d를 참고하여 제작하면 된다.
사업자가 상기 웹페이지에서 정한 콘텐츠 등록정보를 입력하고 등록할 콘텐츠 파일을 지정한 후 웹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참고로 본단계에서는 사업자의 등록작업시 참고토록 콘텐츠 쇼핑몰 홈페이지(s511)에서 제공되는 다른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로 부가할 수 있다.
웹서버에서 수신된 콘텐츠 등록정보에 식별번호를 임시로 부여하고, 콘텐츠 파일에도 임시 파일명을 부여한 후 제1 db서버의 사전에 지정된 디렉토리와 콘텐츠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2) 단계는 상기 광고콘텐츠 수신 수단의 작용으로서,
광고주와 쇼핑몰 사업자가 광고계약을 체결하는 단계;
이 단계는 주로 오프라인 상태에서 이루어지며 공급될 광고콘텐츠의 내용이 사실상 결정된다.
광고주가 광고콘텐츠 수신 홈페이지에 접속하는 단계;
웹서버에서 로그인부가 있는 초기화면을 광고주 컴퓨터에 제공하는 단계;
광고주가 상기 로그인부를 통하여 로그인 정보(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웹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웹서버가 상기 로긴정보가 등록된 것인지를 제2 db서버의 광고주 정보 db에서 검색하는 단계;
웹서버가 상기 검색결과를 판단하는 단계;
웹서버가 상기 판단결과 등록되지 않은 광고주이면 도 4e를 참고하여 제작된 광고주 등록 페이지로 광고주 등록정보를 입력 받아 광고주 정보 db에 등록하는 단계;
웹서버에서 광고콘텐츠 등록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참고로 광고콘텐츠 등록 웹페이지는 도4f를 참고하여 제작하면 되나 광고주가 콘텐츠 내용을 사전에 확인하고 광고콘텐츠가 삽입되는 콘텐츠 파일의 콘텐츠 식별 정보를 입력 해야 된다.
광고주가 상기 웹페이지에서 정한 광고콘텐츠 등록정보를 입력하고 등록할 광고콘텐츠 파일을 지정한 후 웹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참고로 본 단계에서는 광고주의 등록작업시 참고토록 콘텐츠 쇼핑몰 홈페이지(s511)에서 제공되는 광고콘텐츠가 삽입될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로 부가할 수 있다.
웹서버에서 수신된 광고콘텐츠 등록정보에 식별번호를 임시로 부여하고 광고 콘텐츠 파일에도 임시 파일명을 부여한 후 제1 db서버의 사전에 지정된 디렉토리와 광고콘텐츠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3)단계는 상기 콘텐츠/광고 등록수단의 작용으로서 주로 인트라넷 환경에서 수행되는 데
쇼핑몰 관리자가 (1) 단계와 (2) 단계에서 제1 db서버에 등록된 콘텐츠 파일, 광고콘텐츠 파일 또는 해당 등록정보 데이터를 쇼핑몰 관리자 작업페이지 등을 통하여 검색하여 콘텐츠 실행수단으로 실행하고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를 토대로 콘텐츠 또는 광고콘텐츠가 자체적으로 정한 등록기준에 맞는지의 여부와 광고의 경우 이에 더하여 해당콘텐츠에 이미 다른 광고가 삽입되도록 지정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등록기준은 선정성 등 콘텐츠 내용자체 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입장에서 본 콘텐츠 내용과 광고내용과의 관련성도 포함시켜 광고노출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단결과 등록기준에 맞지 않으면 사업자 또는 광고주에게 통지 후 등록을 보류하거나 파일을 삭제하고 다른 파일을 심사하는 단계;
콘텐츠 파일 또는 광고콘텐츠 파일에 각각 파일명을 부여하고 해당파일 등록정보에도 식별번호를 입력한 후 제2 db 서버의 해당 db에 추가하고 광고콘텐츠가 삽입될 콘텐츠 db의 해당 등록정보 레코드를 검색하여 광고식별 번호 필드에 삽입될 광고콘텐츠의 식별번호를 입력한 후 제1 db서버의 해당 콘텐츠파일과 등록레코드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등록할 콘텐츠 또는 광고 콘텐츠가 더 있으면 상기 (3) 단계는 작업종료시까지 반복 실행하게 된다.
상기 (4) 단계는 상기 광고삽입콘텐츠 제작수단(s553)의 작용으로서,
관리자가 제1 db서버의 광고콘텐츠 db에 등록되어 있는 광고콘텐츠 중 심사를 거친 광고콘텐츠 등록정보 레코드(즉 관리자에 의해 정식 식별번호가 부여된 레코드)를 일정 순서대로 메모리에 읽어오는 단계;
광고콘텐츠 등록정보에 입력된 콘텐츠 식별번호를 검색키로 하여 제2 db서버의 콘텐츠 db에서 해당 콘텐츠 등록정보 레코드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콘텐츠 등록정보 레코드에 링크되는 콘텐츠 파일을 관리자 단말기 컴퓨터(s550)에 복사하여 상기 광고콘텐츠파일과 결합하여 도2의 광고삽입콘텐츠를 제작한 후 제2 db서버에 저장하고 도4f의 광고삽입콘텐츠 db에도 해당 광고삽입콘텐츠 파일의 url 등 등록정보를 추가한 후, 제1db서버의 상기 광고콘텐츠와 광고콘텐츠 등록 레코드를 삭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작업할 광고 콘텐츠가 더 있으면 상기 (4) 단계는 작업종료시까지 반복 실행하게 된다.
상기 (4) 단계는 상기 광고삽입콘텐츠를 미리 제작하여 제2 DB서버에 등록하는 경우에 해당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이용자에게 제공단계에서 광고삽입콘텐츠 파일을 동적으로 제작하게 될 경우에는 제2 DB서버에 저장된 콘텐츠 파일과 광고콘텐츠 파일 및 콘텐츠파일의 색인정보가 이용된다.
상기 (5)단계는 상기 콘텐츠 제공수단의 작용으로서,
이용자가 콘텐츠 쇼핑몰 웹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웹서버에서 로그인부가 있는 초기화면을 이용자 컴퓨터에 제공하는 단계;
이용자가 상기 로그인부를 통하여 로그인 정보(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웹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웹서버가 상기 로그인정보가 등록된 것인지를 제2 db서버의 이용자 정보 db에서 검색하는 단계;
웹서버가 상기 검색결과를 판단하는 단계;
웹서버가 상기 판단결과 등록되지 않은 이용자이면 도 4a를 참고하여 제작된 이용자 등록 페이지로 이용자 등록정보를 입력 받고 이용자 정보 db에 저장하는 단계;
이 단계에는 유료 사용자인 경우는 이용료 지불에 동의하고 무료사용자이거나 이용료 할인자이면 광고시청에 동의하는 등 콘텐츠 제공에 따른 계약사항 약정 과정을 포함한다.
웹서버에서 콘텐츠 쇼핑몰 홈페이지(도 4h)를 제공하는 단계;
이용자가 상기 웹페이지에서 원하는 콘텐츠의 아이콘버튼을 클릭(선택)하는 단계;
웹서버가 홈페이지의 선택된 아이콘 버튼과 연결되는 콘텐츠 파일을 제2 db서버에서 검색하여 이용자컴퓨터에 제공하되, 이용자가 유료 이용자이면 무광고 콘텐츠를 제공하고, 무료 또는 할인 이용자이면 광고삽입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광고삽입콘텐츠의 제공방식은 스트리밍 방식과 다운로드 후 재생 방식이 있는데 rm 등 스트리밍 방식의 파일은 도1에서와 같이 광고삽입콘텐츠 제작수단에 의해 제작하여 서버에 db로 구축한 파일을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콘텐츠 제공 단계에서 콘텐츠파일의 색인정보에 있는 삽입될 광고파일 식별정보에 의해 콘텐츠와광고콘텐츠가 결합 또는 링크되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방식을 포함한다. 제공방식에 관해서 이외의 추가적인 사항은 도1의 설명 부분 등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광고삽입 콘텐츠는 유료 사용자에게도 선택에 따라 무료 또는 염가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당연하다.
웹서버가 콘텐츠 제공실적을 도4b의 콘텐츠제공실적 db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6) 단계는 이용료/광고료 청구수단(s551)의 작용으로서,
이용자에 대한 이용료 청구 모듈, 광고주에 대한 광고료 청구 모듈, 사업자에 대한 콘텐츠 제공 수입금 지급 모듈로 구성되는데 본 기술은 본 발명출원 당시 일반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공지기술를 이용하면 되므로 간략히 설명한다.
이용료 청구는 주로 유료 이용자의 무광고 콘텐츠 이용에 대한 이용료를 청구하는 것으로, 결제방법과 계약에 따라 월단위로 일정액을 청구하는 방법, 콘텐츠 제공당시 전자화폐나 카드 등으로 선불토록 하는 방법, 월 단위등 일정기간 콘텐츠 이용실적을 합산하여 청구하는 방법 등에 의해 수행된다.
광고료 청구는 이용자에게 광고삽입콘텐츠 제공에 대한 광고료를 청구하는 것으로 상기 이용자들의 일정기간 동안의 광고삽입콘텐츠 이용실적을 합산하여 추후에 광고주에게 청구하게 된다.
이용료 및 광고료는 도4b의 콘텐츠제공실적 DB(s562)를 기본 데이터로 하여 계산하게 되는데 이용료 청구시는 해당 레코드를 이용자별 -> 콘텐츠별로 정렬하고, 광고료 청구시는 해당 레코드를 광고주별 -> 광고콘텐츠별로 정렬하여 계산하면 된다.
사업자의 콘텐츠 제공에 대한 수입금 지급도 상기 콘텐츠제공실적 db(s562)를 기본 데이터로 하여 해당 레코드를 사업자별 -> 콘텐츠별로 정렬하여 콘텐츠 이용료를 계산한 후 콘텐츠 사업자와 계약한 비율에 따라서 지급액을 계산하여 지급하면 된다.
상기 광고료 청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용자가 광고삽입콘텐츠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실행한 실적도 포함될 수 있는 바, 이의 실시 방법의 한 예로는,
(1) 이용자가 상기 쇼핑몰 시스템에 회원등록을 하면 카운트 프로그램이 이용자 단말기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되는 단계;
상기 카운트 프로그램은 이용자별 광고 실행실적 정보가 저장되는 DB가 포함되고, 1회만 설치하면된다.
(2) 콘텐츠 실행수단 또는 제어장치(CPU)에서 다운로드된 광고삽입콘텐츠를 호출하면 상기 카운트 프로그램도 자동적으로 작동되어 상기 광고삽입콘텐츠의 실행회수를 감지하여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단계;
이를 위해서 상기 카운트 프로그램를 설치하면서 운영체제(OS)의 레지스트리 파일에 상기 광고삽입콘텐츠 파일과 상기 카운트 프로그램이 연동되도록 하는 정보가 자동으로 등록되도록 하는 것이 권장된다. 따라서 상기 광고삽입 콘텐츠 파일이름의 확장자는 상기 레지스트리에 등록되는 고유한 것으로 할 것을 권장한다. 상기 실행회수 감지 방법은 제어장치(CUP)가 광고삽입콘텐츠 파일의 처음이나 특정영역을 독출하는 회수를 감시하는 등의 방법일 수 있다.
(3) 이용자컴퓨터가 상기 쇼핑몰 시스템(s500)에 로그인하면 상기 쇼핑몰시스템은 상기 이용자 컴퓨터 저장수단의 광고실행실적 정보 DB에 저장된 정보를 독출하여 서버의 이용자별 광고실행 실적누적 DB에 추가하고, 상기 이용자 컴퓨터 저장수단의 광고 실행실적 정보는 초기 값( 0 등)으로 변경하는 단계;
(4) 상기 쇼핑몰 시스템에서 상기 누적된 개인별 광고 실행실적을 토대로 광고주별 광고료를 계산하여 광고주에게 광고료를 청구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고 실행실적 계산은 이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기술에 의해서도 수행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이용자가 상기 광고삽입콘텐츠에 삽입된 광고콘텐츠를 통하여 해당 광고주 쇼핑몰에 접속하여 구매 등 전자상거래를 수행한 경우에 쇼핑몰 시스템에서는 광고주와의 계약에 따라 이에 대한 중개 수수료를 받을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광고주 컴퓨터가 상거래를 중개한 쇼핑몰 시스템(중개자)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의 예로는 상기 광고콘텐츠에 링크되는 광고주 쇼핑몰의 URL에 상기 콘텐츠 쇼핑몰 시스템(s500)의 식별정보도 포함시키고, 이용자가 상기 광고콘텐츠를 통하여 상기 광고주 컴퓨터에 접속하면, 상기 광고주 컴퓨터에서는 URL에 포함된 쇼핑몰 시스템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거래를 중개한 특정 쇼핑몰 시스템을 인식토록하는 방법일 수 있다. 중개자 인식은 이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기술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쇼핑몰 시스템에서는 상기 방법을 통하여 광고주로 부터 수입된 광고료 또는 중개료 중 일부를 이용자에게 광고실적 또는 전자상거래 수행 실적에 따라 보너스로 제공할 수 도 있다.
도4a부터 도4g까지의 도면은 도4에 도시되고 전술한 각 db의 구축예를 도시하는 데이터 구조 및 속성예도이다. 이것은 당업자로 하여금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db구축시 참고토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면외의 추가적인 사항은 전술한 도4의 해당db 부분 등에서 설명되었다. 또한 상기 각 DB는 하나에 통합하여 구축할 수도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기능별로 구축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하였다.
콘텐츠 db와 광고콘텐츠 db의 파일 url 정보에 연결되는 콘텐츠 파일과 광고콘텐츠 파일은 해당 db 서버, 해당 웹서버, 또는 별도의 파일서버의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각 db마다 인덱스 파일 등 필요한 파일은 별도로 구비하여야 한다.
도 4h는 도4의 콘텐츠 쇼핑몰 홈페이지(s511) 예도로서 이용자가 본발명 실시 시스템에 접속시 주로 초기화면으로 이용자 컴퓨터의 웹부라우저에 제공되는 웹페이지로서 콘텐츠제공 CGI 모듈에 의하여 제2 db서버와 연동된다.
상기 콘텐츠 쇼핑몰 홈페이지는 이용자에 대한 콘텐츠 제공 뿐만 아니라 사업자로 부터의 콘텐츠 수신 및 광고주로 부터의 광고콘텐츠 수신을 위한 링크수단(아이콘)을 구비하여 본 발명실시를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행단계에서는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콘텐츠 수신과 광고콘텐츠 수신은 콘텐츠 제공기능과 완전히 분리하여 별도의 홈페이지를 통하여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도의 아이디와 비밀번호 입력텍스트 상자는 접속자가 등록된 이용자인지의 여부와 등록된 경우는 유료이용자인지, 무료이용자인지를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본도의 "회원가입" 버튼은 회원등록 수단과 링크되는 아이콘으로서, 회원등록 수단을 통하여 등록된 회원정보에 따라 전술한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를 상기 본발명 쇼핑몰 시스템에서 이용자, 사업자 및 광고주로 구별하며, 사업자와 광고주는 본 발명 쇼핑몰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콘텐츠와 광고삽입콘텐츠 및 관련되는 정보를 열람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용자가 가지는 사용 권한은 기본적으로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화", "외국어학습" 등 왼쪽 프레임에 나열된 항목은 콘텐츠 db제공 메뉴로서, 이용자의 선택 결과에 따라 오른쪽 프레임에 선택된 db의 콘텐츠제공 상세메뉴 웹페이지가 출력된다. 오른쪽 프레임창에 나열된 영화제목 칼럼의 각 데이터는 콘텐츠명이고 다운로드 칼럼의 아이콘은 콘텐츠 다운로드 버튼이다. 온라인 실행 칼럼의 아이콘은 해당 콘텐츠의 온라인 실행 버튼이다. 이것은 RealPlayer 등을 통한 스트리밍 방식의 콘텐츠 실행 파일과 링크된다. 또한 각 아이콘 버튼은 이용자구분 정보에 따라 무광고 콘텐츠db 또는 광고삽입 콘텐츠db와 연동된다. 대본칼럼의 아이콘은 선택된 영화제목의 대본문서 파일로서 선택시는 이용자 구분 정보에 따라 무광고 문서콘텐츠db 또는 도2의 ad10과 같은 형태로 문서콘텐츠에 광고콘텐츠가 삽입된 광고삽입문서콘텐츠가 온라인 방식 또는 다운로드 방식으로 제공된다. "콘텐츠제공" 아이콘(버튼)과 "광고제공" 아이콘(버튼)은 사업자 또는 광고주가 콘텐츠 쇼핑몰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검색후 바로 콘텐츠 수신 웹서버 또는 광고콘텐츠 수신 웹서버에 접속하여 콘텐츠 또는 광고콘텐츠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링크 수단이다. "다운회수" 칼럼의 숫자는 해당 콘텐츠에 대한 이용자의 이용실적인 바, 광고주가 광고소재 선택시 참고할 수 있다. 본 도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도의 웹페이지에는 광고삽입콘텐츠의 선택을 위한 아이콘(선택수단)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것은 유료 이용자라도 무료 또는 염가로 광고삽입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쇼핑몰 관리자(s550)가 사업자 및 광고주로 부터 콘텐츠와 광고콘텐츠 및 광고콘텐츠가 삽입될 콘텐츠 정보를 오프라인을 통하여 수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업자 컴퓨터 및 광고주 컴퓨터는 전술한 본 발명 시스템의 구성요소 또는 전술한 본 발명 방법의 작용과정에서 제외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콘텐츠 쇼핑몰 시스템(s500)은 직접 콘텐츠를 제작 및 등록 할 수도 있고, 광고주와의 계약에 따라 특정콘텐츠에 삽입될 광고콘텐츠를 광고주를 대신하여 직접 제작하여 등록할 수 있음도 당연하다.
상기 콘텐츠 실행수단은, 상기 콘텐츠 파일을 입력 데이터로 하여 실행되는응용프로그램으로서 웹부라우저, 리얼플레이어(RealPlayer), 윈도우미디어플레이어 (Windows Meadia Player) 등 온라인/오프라인 상에서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제작수단과 상기 광고콘텐츠 제작수단은, 해당 파일 제작도구용 응용프로그램으로서 MS 워드 등의 문서작성 프로그램, 플래쉬(Flash) 등의 웹문서 작성 프로그램, 오쏘웨어(Authorware) 등의 멀티미디어 파일 작성 프로그램과 포토삽(PhotoShop) 등의 그래픽문서 작성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본 발명 광고삽입콘텐츠의 이용자는 B2C 방식의 광고삽입콘텐츠의 최종 소비자 뿐만 아니라 B2B 방식의 다른 콘텐츠 쇼핑몰 사업자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쇼핑몰 사업자에 대한 광고삽입콘텐츠의 공급은 해당 사업자 홈페이지에서 본 발명 DB서버로의 데이터 링크 허가 또는 본 발명 쇼핑몰 시스템에서 상기 다른 쇼핑몰 시스템으로 상기 광고삽입콘텐츠를 동기화 방식을 통하여 주기적으로 공급하는 방법 등를 포함한다.
상기 광고주는 광고주가 지정한 광고대행업체를 포함하고 상기 사업자에는 개인도 포함하는 것은 당연하다.
또 상기 광고주와 쇼핑몰 사업자간의 계약에 따라 광고주가 특정 콘텐츠에 대한 광고예약도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경우 도4d 콘텐츠 DB의 광고식별번호 필드(항목)에는 광고 예약된 것이라는 미리지정된 구분코드가 입력되도록 해야한다. 이것이 필요한 이유는 광고주가 특정 콘텐츠를 광고소재로 지정할려고 해도 미리 제작된 광고콘텐츠가 없을 경우를 고려 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할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웹페이지와 웹/DB 연동을 지원하는 CGI 모듈 및 상기 모듈과 연동되는 데이터베이스 등의 데이터 저장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웹/DB 연동 모듈은 본 명세서에서는 xml, html 등의 하이퍼텍스트 언어(markup language)와 jsp, asp, php, peal 등의 스크립터 언어를 통하여 구현하는 것으로 설명 하였으나, 실제 본 발명기술의 실시단계에서는 서버 및 이용자 컴퓨터의 운영환경과 프로그램 기술의 진보 등에 따라 여러 가지 프로그램 언어로 구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이용자 컴퓨터가 무선단말기인 경우에도 본 발명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도록 상기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정보(콘텐츠)는 필요시 중계서버(미도시)를 통하여 무선통신환경을 지원하는 포맷으로 변환하는 기능도 포함하는 것이 당연하다.
상기 각 프로그램 모듈은 해당 컴퓨터의 저장장치(미도시)에 저장되며, 해당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CPU,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호출되고 실행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해당 프로그램의 코드블럭에 의해 DB서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각 구성 컴퓨터 장치를 제어함으로서 본 발명을 실행하게 된다.
상기 저장장치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자기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형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기술이 종래기술과 비교할 때 해당 산업 분야의 발전에 기여 하는 바는 아래와 같다.
현재 대부분의 인터넷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제공사업의 경우 광고를 통한 무료제공 형태로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사업의 관건은 광고 수입의 과다와 콘텐츠의 질과 양에 달려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광고수익과 콘텐츠의 질과 양이라는 두 개의 과제는 이용자의 수와 이용빈도라는 이용자 변수로서 연결되어 있다. 또 이용자 수는 콘텐츠의 질과 양에 따라 결정되고, 콘텐츠의 질과 양은 투자비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투자비는 수익구조에 따라 결정되고 수익구조는 이용자의 이용료 수입 또는 광고수입 구조 자체를 의미한다.
사업형태에 있어서도 이용자의 콘텐츠 이용료 수입을 기반으로 운영하는 사업의 경우 콘텐츠 자체의 가치(즉, 유료를 통하지 않고는 구할 수 없을 정도로 가치가 있고 희소성이 있는 것)와 그것을 필요로 하는 이용자 수의 문제 뿐만 아니라 불법복제 방지 가능성의 문제로 귀착되는데 인터넷 분야에서는 어느 한가지라도 쉽게 해결될 수 없는 것이다. 이 때문에 아직까지는 순수하게 이용료를 기반으로 한 사이트의 경우 사업성이 적기 때문에 대부분의 콘텐츠 제공 인터넷 사업의 경우 광고수입에 많이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 광고의 효과가 일반 공중파 방송이나 신문에 비하여 크게 떨어진다고 인식되고 있어 광고수입도 안정적이지 못하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우수하고 다양한 콘텐츠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해, 인터넷의 꽃이요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콘텐츠제공 산업이 기대 보다 발전 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콘텐츠 제공 산업분야에서의 수익구조 개선을 위하여 새로운 광고기술을 고안한 것으로 그 요지는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공하는 즉, 이용자의 선호에 따라 선택된 "유료콘텐츠"에 이 콘텐츠 자체의 특성에 가장 잘 부합되는 "콘텐츠와 같은 속성의 광고콘텐츠"(사업자가 콘텐츠 자체를 광고의 배경으로 할 정도로 콘텐츠에 잘 부합되는 정보제공형 광고 콘텐츠)를 결합하여 광고와 콘텐츠가 하나로 결합된 즉, 광고내용 자체가 콘텐츠 내용이 될 수 있게 한 후, 이것을 이용자가 온라인/오프라인 상에서 무료 또는 염가로 반복하여 시청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광고삽입콘텐츠"(맞춤형 팩키지광고)의 제작 및 제공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여 콘텐츠제공 사업을 하고 인터넷 광고를 할 경우, 광고주는 이용자가 광고상품에 대한 거부감을 적게 느끼게 하면서도 반복광고를 할 수 있게 되어 경우에 따라서는 방송 및 신문보다도 더 큰 광고 효과를 얻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콘텐츠 제공 사업자의 경우 본 발명의 광고기술을 통하여 안정된 수입원을 확보할 수 있어 이용자에게 우수한 콘텐츠를 풍부하게 무료 또는 염가로 제공할 수 있어 많은 이용자를 확보할 수 있고,
이용자의 경우 원하지 않는 광고는 시청하지 않으면서도 종전의 유료 콘텐츠 제공 사이트에서만 얻을 수 있는 콘텐츠를 무료 또는 염가로 훨씬 다양하게 충분히 제공받을 수 있고, 쇼핑몰 사업자의 경우도 종전의 기술과 같이 제한된 광고가 아니라 훨씬 많은 무제한의 광고를 실시하면서도 맞춤형 1:1 반복광고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이용자가 상기에서 제공받은 콘텐츠는 이용료를 대신하여 광고가 삽입된 콘텐츠이기 때문에 불법복사 유통을 시킨다고 해도 해당 콘텐츠를 재생할 때 마다 광고를 노출시키기 때문에 광고 효과를 창출한다. 이 때문에 불법복사 유통을 통한 광고까지도 광고료 책정시 고려할 수 있다. 그러므로 광고노출의 계산시 광고삽입 콘텐츠의 다운로드나 온라인 실행 횟수 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상태의 실행횟수 까지도 계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기술은 다른 모든 콘텐츠 제공 산업분야에 응용될 수 있기 때문에 콘텐츠 제공산업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Claims (124)

  1. 통신망에 연결된 다수의 컴퓨터를 기반으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에게 선택 가능한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고 단말기로 부터 콘텐츠 선택정보가 수신되면 요청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수단을 구비한 콘텐츠 쇼핑몰 시스템; 을 포함하되,
    상기 콘텐츠는 광고가 삽입되지 않은 콘텐츠 또는 광고가 삽입된 광고삽입 콘텐츠 중 하나이며,
    상기 광고삽입 콘텐츠는 상기 제공된 선택 가능한 콘텐츠 정보 중에서 광고주가 선택한 콘텐츠에 광고주가 제공한 광고 콘텐츠가 삽입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이용자 컴퓨터;
    하나 이상의 사업자 컴퓨터; 및
    하나 이상의 광고주 컴퓨터;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몰 시스템은,
    상기 사업자 컴퓨터로 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광고주 컴퓨터로 부터 광고콘텐츠를 수신하는 수단; 을 더 구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수단은,
    상기 쇼핑몰 시스템에 접속하는 이용자가 등록된 이용자인지 확인하고, 등록된 이용자가 아니면 이용자 정보를 등록 받아 저장수단에 저장하고, 이용자에 대한 콘텐츠 또는 광고콘텐츠 제공실적 정보를 이용자별로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몰 시스템은,
    상기 저장된 콘텐츠 또는 광고콘텐츠를 심사후 등록하고, 광고삽입콘텐츠를제작하고, 콘텐츠 이용료와 광고료를 계산하여 청구하는 관리수단; 을 더 구비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수신수단은, 사업자 컴퓨터로부터 사업자 정보와 콘텐츠파일과 콘텐츠파일 색인정보를 수신하여 제1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수단이고,
    상기 광고콘텐츠 수신수단은, 광고주 컴퓨터에게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여 광고소재에 적합한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광고주 컴퓨터로부터 광고주 정보와 광고콘텐츠파일과 광고콘텐츠 색인정보 및 광고가 삽입될 콘텐츠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제1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수단; 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수단은,
    상기 제1 저장수단에 저장된 콘텐츠 또는 광고콘텐츠를, 심사를 거쳐 식별정보 등을 부여 후 제2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수단;
    상기 광고콘텐츠와 콘텐츠를 결합한 광고삽입콘텐츠를 제작하여 식별정보를 부여 후 제2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수단; 및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된 콘텐츠 또는 광고삽입 콘텐츠 제공실적에 따라 콘텐츠 이용료 또는 광고 시청료를 계산하여 이용자 또는 광고주에게 각각 청구하고, 사업자에게 수익금을 지급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수신수단은,
    저장된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정보는,
    해당 콘텐츠파일, 해당 콘텐츠파일의 등록정보 또는 이용자의 해당 콘텐츠파일의 이용실적 중 하나 이상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콘텐츠 수신수단에서 광고주 컴퓨터에게 제공되는 콘텐츠 정보에는,
    이용자의 해당콘텐츠 이용실적 정보;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11. 제 2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에게 콘텐츠 또는 광고삽입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이용자가 유료 이용자이면 콘텐츠를 제공하고,
    이용자가 무료 이용자이면 광고삽입콘텐츠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12. 제 5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몰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로 구성되고,
    상기 콘텐츠수신 수단, 상기 광고콘텐츠 수신수단 및 상기 콘텐츠 제공수단은, 하나 이상의 웹 서버 컴퓨터에 의하여 그 기능이 수행되고,
    상기 관리수단은, 관리자 단말기 컴퓨터에 의하여 그 기능이 수행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13.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광고콘텐츠 및 광고삽입콘텐츠는,
    각각의 파일과 파일의 URL를 포함한 파일의 속성을 지시하는 각각의 색인정보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14.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광고콘텐츠 및 광고삽입콘텐츠는, 문서파일, 동영상파일 또는 오디오 파일이고,
    상기 광고콘텐츠는, 특정 콘텐츠에 삽입을 지시하는 정보가 광고콘텐츠의 색인정보 또는 이에 링크되도록 정해진 특정 콘텐츠의 색인정보에 포함되어 있으며, 해당 특정 콘텐츠와 같은 속성의 파일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15. 제 2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컴퓨터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에서 실행되는 콘텐츠 실행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사업자 컴퓨터는 콘텐츠 제작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광고주 컴퓨터는, 광고콘텐츠 제작수단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실행수단은, 상기 콘텐츠 파일을 입력 데이터로 하여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제작수단과 광고 콘텐츠 제작수단은, 상기 콘텐츠 파일 제작을 위한 콘텐츠 제작도구용 응용프로그램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실행수단은, 웹부라우저, 리얼플레이어(RealPlayer), 윈도우미디어플레이어(Windows Meadia Player) 등 온라인/오프라인 상에서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제작수단과 상기 광고콘텐츠 제작수단은, MS 워드 등의 문서작성 프로그램, 플래쉬(Flash) 등의 웹문서 작성 프로그램, 오쏘웨어(Authorware) 등의 멀티미디어 파일 작성 프로그램과 포토삽(PhotoShop) 등의 그래픽문서 작성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18.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삽입콘텐츠의 제작방법은,
    오디오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에서는, 콘텐츠의 앞, 중간, 뒤 중 1 이상의 영역에 같은 광고콘텐츠를 삽입하거나 각 영역마다 다른 광고콘텐츠를 삽입하고,
    문서파일에서는, 문서의 상단, 하단 중 1 이상의 영역에 같은 광고콘텐츠를 삽입하거나 각 저장영역마다 다른 광고콘텐츠를 삽입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19. 제 2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삽입 콘텐츠는,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전에 쇼핑몰 관리자에 의해 미리제작된 것, 또는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에서 이용자가 선택한 콘텐츠에 삽입되도록 미리 정해진 광고콘텐츠를 미리 정해진 방법에 따라 동적으로 결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삽입되는 광고콘텐츠는,
    일정기간 동안 고정된 것 또는 미리 정해진 방법에 따라 상기 동적 결합시마다 변동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21. 제 2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와 광고삽입 콘텐츠는,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운로드 방식 또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22. 제 5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와 광고삽입 콘텐츠의 심사는,
    상기 쇼핑몰 시스템에서 정하는 기준에 의하되, 상기 기준은 콘텐츠 또는 광고콘텐츠의 내용에 대한 윤리성과 이용자의 거부감 등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23.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몰 시스템은,
    콘텐츠 정보와 광고삽입콘텐츠 정보를 동시에 제공하여,
    무료 이용자도 선택에 따라 콘텐츠를 제공 받을 수 있고,
    유료 이용자도 선택에 따라 광고삽입콘텐츠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24. 제 5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료는,
    콘텐츠 제공에 대해서는 이용료가 청구되고,
    광고삽입콘텐츠 제공에 대해서는 무료 또는 이용료가 일부 할인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25. 제 5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료는,
    년, 월 등 일정기간 단위의 정액제 방식 또는 콘텐츠 이용실적에 따라 계산되는 방식에 따라 결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26. 제 5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료는,
    이용자별 광고삽입콘텐츠 제공 정보를 토대로 계산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료 계산은,
    이용자가 상기 제공받은 광고삽입콘텐츠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태에서 실행한 회수 정보를 더 반영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28. 제 2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삽입콘텐츠는,
    이용자가 제공받은 광고삽입콘텐츠를 오프라인 상태에서 일정회수 이상 실행하면 삽입된 광고콘텐츠가 삭제되거나 실행시 스킵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29. 제 2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삽입콘텐츠는,
    이용자가 제공받은 광고삽입콘텐츠를 실행시 광고실행 영역을 지시수단으로 지정하면 해당 광고주의 홈페이지 또는 특정상품 정보가 이용자의 컴퓨터에 출력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30. 제 4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은,
    데이터 저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 모듈은 다수의 데이터 속성으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속성은,
    이용자 정보, 사업자 정보, 광고주 정보, 콘텐츠 제공실적 정보, 콘텐츠 정보, 광고콘텐츠 정보, 광고삽입 콘텐츠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제공 시스템.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정보는, 콘텐츠 쇼핑몰 시스템에 접속하는 유료 또는 무료 이용자의 id, 비밀번호 및 신상정보를 포함한 관련되는 복수의 정보로 구성되고,
    상기 사업자 정보는, 등록된 콘텐츠 제공 사업자의 id, 비밀번호 및 신상정보를 포함한 관련되는 복수의 정보로 구성되고,
    상기 광고주 정보는, 등록된 광고주의 id, 비밀번호 및 신상정보를 포함한 관련되는 복수의 정보로 구성되고,
    상기 콘텐츠 제공실적 정보는, 상기 이용자에 대한 콘텐츠 및 광고삽입 콘텐츠 제공실적 정보를 포함한 관련되는 복수의 정보로 구성되며, 이용료와 광고비의 청구 및 사업자에 대한 수익금 지급액 산출의 기초데이터로 이용되고,
    상기 콘텐츠 정보는, 등록된 콘텐츠 파일과 그 파일의 url, 식별번호, 파일형태, 광고료 및 이용료를 포함한 콘텐츠 정보 데이터와 광고삽입을 위한 연동될 광고파일 식별 정보를 포함한 관련되는 복수의 정보로 구성되고,
    상기 광고콘텐츠 정보는, 등록된 광고콘텐츠 파일과 그 파일의 url, 파일형태 및 식별번호를 포함한 광고콘텐츠 정보 데이터와 연동될 콘텐츠파일 식별 정보를 포함한 관련되는 복수의 정보로 구성되고,
    상기 광고삽입콘텐츠 정보는, 광고가 삽입된 콘텐츠 파일과 그 파일의 url, 식별번호, 이용료, 광고료, 사업자id 및 광고주 id 등의 데이터를 포함한 관련되는 복수의 정보로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33. 제 2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는,
    다른 쇼핑몰 사업자를 포함하며,
    상기 다른 쇼핑몰 사업자에 대한 광고삽입콘텐츠의 공급은, 해당 사업자 홈페이지에서 상기 본 발명 시스템 DB서버로의 데이터 링크 허가 또는 상기 본 발명 시스템에서 상기 다른 쇼핑몰 사업자 시스템으로 상기 광고삽입콘텐츠를 동기화 방식을 통하여 주기적으로 공급하는 방법 등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34. 제 2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주는, 광고주가 지정한 광고대행업체를 포함하고,
    상기 사업자는, 개인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35. 제 2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는,
    상기 쇼핑몰 시스템에 회원으로 등록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로서 광고주와 사업자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시스템.
  36. 통신망에 연결된 다수의 컴퓨터를 기반으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접속하는 단말기에게 선택 가능한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고 단말기로 부터 콘텐츠 선택정보가 수신되면 요청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콘텐츠는 광고가 삽입되지 않은 콘텐츠 또는 광고가 삽입된 광고삽입 콘텐츠 중 하나이며,
    상기 광고삽입 콘텐츠는 상기 제공된 선택 가능한 콘텐츠 정보 중에서 광고주가 선택한 콘텐츠에 광고주가 제공한 광고 콘텐츠가 삽입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제공 방법.
  37.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이용자 컴퓨터;
    하나 이상의 사업자 컴퓨터; 및
    하나 이상의 광고주 컴퓨터;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사업자 컴퓨터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주 컴퓨터로부터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제공 방법.
  39.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제공 단계는,
    접속하는 컴퓨터 이용자가 등록된 이용자인지 확인하고, 등록된 이용자가 아니면 이용자 정보를 등록 받아 저장수단에 저장하고, 이용자에 대한 콘텐츠 또는 광고콘텐츠 제공실적 정보를 이용자별로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제공 방법.
  40.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저장된 콘텐츠 또는 광고콘텐츠를 심사후 등록하고, 광고삽입콘텐츠를 제작하고, 콘텐츠 이용료와 광고료를 계산하여 청구하는 관리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41.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수신단계는, 사업자 컴퓨터로부터 사업자 정보와 콘텐츠파일과 콘텐츠파일 색인정보를 수신하여 제1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단계이고,
    상기 광고콘텐츠 수신 단계는, 광고주 컴퓨터에게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여 광고소재에 적합한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광고주 컴퓨터로부터 광고주 정보와 광고콘텐츠파일과 광고콘텐츠 색인정보 및 광고가 삽입될 콘텐츠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제1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단계; 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42.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단계는,
    상기 제1 저장수단에 저장된 콘텐츠 또는 광고콘텐츠를, 심사를 거쳐 식별정보 등을 부여 후 제2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광고콘텐츠와 콘텐츠를 결합한 광고삽입콘텐츠를 제작하여 식별정보를 부여 후 제2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된 콘텐츠 또는 광고삽입 콘텐츠 제공실적에 따라 콘텐츠 이용료 또는 광고 시청료를 계산하여 이용자 또는 광고주에게 각각 청구하고, 사업자에게 수익금을 지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43.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수신단계는,
    저장된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44.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정보는,
    해당 콘텐츠파일, 해당 콘텐츠파일의 등록정보 또는 이용자의 해당 콘텐츠파일의 이용실적 중 하나 이상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45.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콘텐츠 수신단계에서 광고주 컴퓨터에게 제공되는 콘텐츠 정보에는,
    이용자의 해당콘텐츠 이용실적 정보;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46. 제 37항 내지 제 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에게 콘텐츠 또는 광고삽입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이용자가 유료 이용자이면 콘텐츠를 제공하고,
    이용자가 무료 이용자이면 광고삽입콘텐츠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47. 제 36항 내지 제 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광고콘텐츠 및 광고삽입콘텐츠는,
    각각의 파일과 파일의 URL를 포함한 파일의 속성을 지시하는 각각의 색인정보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48. 제 36항 내지 제 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광고콘텐츠 및 광고삽입콘텐츠는, 문서파일, 동영상파일 또는 오디오 파일이고,
    상기 광고콘텐츠는, 특정 콘텐츠에 삽입을 지시하는 정보가 광고콘텐츠의 색인정보 또는 이에 링크되도록 정해진 특정 콘텐츠의 색인정보에 포함되어 있으며, 해당 특정 콘텐츠와 같은 속성의 파일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49. 제 37항 내지 제 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컴퓨터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에서 실행되는 콘텐츠 실행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사업자 컴퓨터는 콘텐츠 제작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광고주 컴퓨터는, 광고콘텐츠 제작수단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50. 제 49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실행수단은, 상기 콘텐츠 파일을 입력 데이터로 하여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제작수단과 광고 콘텐츠 제작수단은, 상기 콘텐츠 파일 제작을 위한 콘텐츠 제작도구용 응용프로그램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51. 제 49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실행수단은, 웹부라우저, 리얼플레이어(RealPlayer), 윈도우미디어플레이어(Windows Meadia Player) 등 온라인/오프라인 상에서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제작수단과 상기 광고콘텐츠 제작수단은, MS 워드 등의 문서작성 프로그램, 플래쉬(Flash) 등의 웹문서 작성 프로그램, 오쏘웨어(Authorware) 등의 멀티미디어 파일 작성 프로그램과 포토삽(PhotoShop) 등의 그래픽문서 작성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52. 제 36항 내지 제 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삽입콘텐츠의 제작방법은,
    오디오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에서는, 콘텐츠의 앞, 중간, 뒤 중 1 이상의 영역에 같은 광고콘텐츠를 삽입하거나 각 영역마다 다른 광고콘텐츠를 삽입하고,
    문서파일에서는, 문서의 상단, 하단 중 1 이상의 영역에 같은 광고콘텐츠를 삽입하거나 각 저장영역마다 다른 광고콘텐츠를 삽입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53. 제 37항 내지 제 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삽입 콘텐츠는,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전에 쇼핑몰 관리자에 의해 미리제작된 것, 또는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에서 이용자가 선택한 콘텐츠에 삽입되도록 미리 정해진 광고콘텐츠를 미리 정해진 방법에 따라 동적으로 결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54. 제 53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삽입되는 광고콘텐츠는,
    일정기간 동안 고정된 것 또는 미리 정해진 방법에 따라 상기 동적 결합시마다 변동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55. 제 37항 내지 제 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와 광고삽입 콘텐츠는,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운로드 방식 또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56. 제 40항 내지 제 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와 광고삽입 콘텐츠의 심사는,
    상기 쇼핑몰 시스템에서 정하는 기준에 의하되, 상기 기준은 콘텐츠 또는 광고콘텐츠의 내용에 대한 윤리성과 이용자의 거부감 등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57. 제 36항 내지 제 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방법은,
    콘텐츠 정보와 광고삽입콘텐츠 정보를 동시에 제공하여,
    무료 이용자도 선택에 따라 콘텐츠를 제공 받을 수 있고,
    유료 이용자도 선택에 따라 광고삽입콘텐츠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58. 제 40항 내지 제 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료는,
    콘텐츠 제공에 대해서는 이용료가 청구되고,
    광고삽입콘텐츠 제공에 대해서는 무료 또는 이용료가 일부 할인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59. 제 40항 내지 제 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료는,
    년, 월 등 일정기간 단위의 정액제 방식 또는 콘텐츠 이용실적에 따라 계산되는 방식에 따라 결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60. 제 40항 내지 제 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료는,
    이용자별 광고삽입콘텐츠 제공 정보를 토대로 계산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61. 제 60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료 계산은,
    이용자가 상기 제공받은 광고삽입콘텐츠를 오프라인 상태에서 실행한 회수 정보를 더 반영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62. 제 37항 내지 제 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삽입콘텐츠는,
    이용자가 제공받은 광고삽입콘텐츠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태에서 일정회수 이상 실행하면 삽입된 광고콘텐츠가 삭제되거나 실행시 스킵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63. 제 37항 내지 제 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삽입콘텐츠는,
    이용자가 제공받은 광고삽입콘텐츠를 실행시 광고실행 영역을 지시수단으로 지정하면 해당 광고주의 홈페이지 또는 특정상품 정보가 이용자의 컴퓨터에 출력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64. 제 39항 내지 제 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은,
    데이터 저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 모듈은 다수의 데이터 속성으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65. 제 6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속성은,
    이용자 정보, 사업자 정보, 광고주 정보, 콘텐츠 제공실적 정보, 콘텐츠 정보, 광고콘텐츠 정보, 광고삽입 콘텐츠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제공 방법.
  66. 제 65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정보는, 콘텐츠 쇼핑몰 시스템에 접속하는 유료 또는 무료 이용자의 id, 비밀번호 및 신상정보를 포함한 관련되는 복수의 정보로 구성되고,
    상기 사업자 정보는, 등록된 콘텐츠 제공 사업자의 id, 비밀번호 및 신상정보를 포함한 관련되는 복수의 정보로 구성되고,
    상기 광고주 정보는, 등록된 광고주의 id, 비밀번호 및 신상정보를 포함한 관련되는 복수의 정보로 구성되고,
    상기 콘텐츠 제공실적 정보는, 상기 이용자에 대한 콘텐츠 및 광고삽입 콘텐츠 제공실적 정보를 포함한 관련되는 복수의 정보로 구성되며, 이용료와 광고비의 청구 및 사업자에 대한 수익금 지급액 산출의 기초데이터로 이용되고,
    상기 콘텐츠 정보는, 등록된 콘텐츠 파일과 그 파일의 url, 식별번호, 파일형태, 광고료 및 이용료를 포함한 콘텐츠 정보 데이터와 광고삽입을 위한 연동될 광고파일 식별 정보를 포함한 관련되는 복수의 정보로 구성되고,
    상기 광고콘텐츠 정보는, 등록된 광고콘텐츠 파일과 그 파일의 url, 파일형태 및 식별번호를 포함한 광고콘텐츠 정보 데이터와 연동될 콘텐츠파일 식별 정보를 포함한 관련되는 복수의 정보로 구성되고,
    상기 광고삽입콘텐츠 정보는, 광고가 삽입된 콘텐츠 파일과 그 파일의 url, 식별번호, 이용료, 광고료, 사업자id 및 광고주 id 등의 데이터를 포함한 관련되는 복수의 정보로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67. 제 37 내지 제 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는,
    다른 쇼핑몰 사업자를 포함하며,
    상기 다른 쇼핑몰 사업자에 대한 광고삽입콘텐츠의 공급은, 해당 사업자 홈페이지에서 상기 본 발명 시스템 DB서버로의 데이터 링크 허가 또는 상기 본 발명 시스템에서 상기 다른 쇼핑몰 사업자 시스템으로 상기 광고삽입콘텐츠를 동기화 방식을 통하여 주기적으로 공급하는 방법 등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68. 제 37항 내지 제 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주는, 광고주가 지정한 광고대행업체를 포함하고,
    상기 사업자는, 개인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69. 제 37항 내지 제 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는,
    상기 쇼핑몰 시스템에 회원으로 등록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로서 광고주와 사업자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70. 제 36항 내지 제 6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방법 중 콘텐츠수신 단계, 광고콘텐츠 수신 단계 및 콘텐츠 제공 단계는, 하나 이상의 웹 서버 컴퓨터에 의하여 실행되고,
    관리 단계는, 관리자 단말기 컴퓨터에 의하여 실행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71. 컴퓨터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통신망에 연결된 다수의 컴퓨터를 기반으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언어로 코딩한 프로그램으로서,
    접속하는 단말기에게 선택 가능한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고 단말기로 부터 콘텐츠 선택정보가 수신되면 요청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콘텐츠는 광고가 삽입되지 않은 콘텐츠 또는 광고가 삽입된 광고삽입 콘텐츠 중 하나이며,
    상기 광고삽입 콘텐츠는 상기 제공된 선택 가능한 콘텐츠 정보 중에서 광고주가 선택한 콘텐츠에 광고주가 제공한 광고 콘텐츠가 삽입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72. 제 7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이용자 컴퓨터;
    하나 이상의 사업자 컴퓨터; 및
    하나 이상의 광고주 컴퓨터;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73. 제 7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사업자 컴퓨터로 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모듈; 및
    상기 광고주 컴퓨터로 부터 광고콘텐츠를 수신하는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74. 제 73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모듈은,
    접속하는 이용자가 등록된 이용자인지 확인하고, 등록된 이용자가 아니면 이용자 정보를 등록 받아 저장수단에 저장하고, 이용자에 대한 콘텐츠 또는 광고콘텐츠 제공실적 정보를 이용자별로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모듈; 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75. 제 7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저장된 콘텐츠 또는 광고콘텐츠를 심사후 등록하고, 광고삽입콘텐츠를 제작하고, 콘텐츠 이용료와 광고료를 계산하여 청구하는 관리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76. 제 7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수신모듈은, 사업자 컴퓨터로부터 사업자 정보와 콘텐츠파일과 콘텐츠파일 색인정보를 수신하여 제1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모듈이고,
    상기 광고콘텐츠 수신모듈은, 광고주 컴퓨터에게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여 광고소재에 적합한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광고주 컴퓨터로부터 광고주 정보와 광고콘텐츠파일과 광고콘텐츠 색인정보 및 광고가 삽입될 콘텐츠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제1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모듈; 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77. 제 7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모듈은,
    상기 제1 저장수단에 저장된 콘텐츠 또는 광고콘텐츠를, 심사를 거쳐 식별정보 등을 부여 후 제2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모듈;
    상기 광고콘텐츠와 콘텐츠를 결합한 광고삽입콘텐츠를 제작하여 식별정보를 부여 후 제2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모듈; 및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된 콘텐츠 또는 광고삽입 콘텐츠 제공실적에 따라 콘텐츠 이용료 또는 광고 시청료를 계산하여 이용자 또는 광고주에게 각각 청구하고, 사업자에게 수익금을 지급하는 모듈; 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78. 제 76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수신 모듈은,
    저장된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 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79. 제 78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정보는,
    해당 콘텐츠파일, 해당 콘텐츠파일의 등록정보 또는 이용자의 해당 콘텐츠파일의 이용실적 중 하나 이상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80. 제 76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콘텐츠 수신모듈에서 광고주 컴퓨터에게 제공되는 콘텐츠 정보에는,
    이용자의 해당콘텐츠 이용실적 정보;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81. 컴퓨터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프로그램은, 통신망에 연결된 다수의 컴퓨터를 기반으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언어로 코딩한 프로그램이며, 상기 콘텐츠 제공 방법은,
    접속하는 단말기에게 선택 가능한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고 단말기로 부터 콘텐츠 선택정보가 수신되면 요청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콘텐츠는 광고가 삽입되지 않은 콘텐츠 또는 광고가 삽입된 광고삽입 콘텐츠 중 하나이며,
    상기 광고삽입 콘텐츠는 상기 제공된 선택 가능한 콘텐츠 정보 중에서 광고주가 선택한 콘텐츠에 광고주가 제공한 광고 콘텐츠가 삽입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
  82. 제 8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이용자 컴퓨터;
    하나 이상의 사업자 컴퓨터; 및
    하나 이상의 광고주 컴퓨터;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
  83. 제 8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사업자 컴퓨터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광고주 컴퓨터로부터 광고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
  84. 제 83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제공 단계는,
    접속하는 컴퓨터 이용자가 등록된 이용자인지 확인하고, 등록된 이용자가 아니면 이용자 정보를 등록 받아 저장수단에 저장하고, 이용자에 대한 콘텐츠 또는 광고콘텐츠 제공실적 정보를 이용자별로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
  85. 제 8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저장된 콘텐츠 또는 광고콘텐츠를 심사후 등록하고, 광고삽입콘텐츠를 제작하고, 콘텐츠 이용료와 광고료를 계산하여 청구하는 관리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
  86. 제 8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수신 단계는, 사업자 컴퓨터로부터 사업자 정보와 콘텐츠파일과 콘텐츠파일 색인정보를 수신하여 제1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단계이고,
    상기 광고콘텐츠 수신 단계는, 광고주 컴퓨터에게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여 광고소재에 적합한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광고주 컴퓨터로부터 광고주 정보와 광고콘텐츠파일과 광고콘텐츠 색인정보 및 광고가 삽입될 콘텐츠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제1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단계; 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
  87. 제 8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단계는,
    상기 제1 저장수단에 저장된 콘텐츠 또는 광고콘텐츠를, 심사를 거쳐 식별정보 등을 부여 후 제2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광고콘텐츠와 콘텐츠를 결합한 광고삽입콘텐츠를 제작하여 식별정보를 부여 후 제2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된 콘텐츠 또는 광고삽입 콘텐츠 제공실적에 따라 콘텐츠 이용료 또는 광고 시청료를 계산하여 이용자 또는 광고주에게 각각 청구하고, 사업자에게 수익금을 지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
  88. 제 86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수신단계는,
    저장된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
  89. 제 88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정보는,
    해당 콘텐츠파일, 해당 콘텐츠파일의 등록정보 또는 이용자의 해당 콘텐츠파일의 이용실적 중 하나 이상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
  90. 제 86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콘텐츠 수신단계에서 광고주 컴퓨터에게 제공되는 콘텐츠 정보에는,
    이용자의 해당콘텐츠 이용실적 정보;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
  91. 제 72항 내지 제 80항, 제 82항 내지 제 9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에게 콘텐츠 또는 광고삽입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이용자가 유료 이용자이면 콘텐츠를 제공하고,
    이용자가 무료 이용자이면 광고삽입콘텐츠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
  92. 제 71항 내지 제 9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광고콘텐츠 및 광고삽입콘텐츠는,
    각각의 파일과 파일의 URL를 포함한 파일의 속성을 지시하는 각각의 색인정보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
  93. 제 71항 내지 제 9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광고콘텐츠 및 광고삽입콘텐츠는, 문서파일, 동영상파일 또는 오디오 파일이고,
    상기 광고콘텐츠는, 특정 콘텐츠에 삽입을 지시하는 정보가 광고콘텐츠의 색인정보 또는 이에 링크되도록 정해진 특정 콘텐츠의 색인정보에 포함되어 있으며, 해당 특정 콘텐츠와 같은 속성의 파일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
  94. 제 72항 내지 제 80항, 제 82항 내지 제 9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컴퓨터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에서 실행되는 콘텐츠 실행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사업자 컴퓨터는 콘텐츠 제작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광고주 컴퓨터는, 광고콘텐츠 제작수단을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
  95. 제 9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실행수단은, 상기 콘텐츠 파일을 입력 데이터로 하여 실행되는응용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제작수단과 광고 콘텐츠 제작수단은, 상기 콘텐츠 파일 제작을 위한 콘텐츠 제작도구용 응용프로그램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
  96. 제 9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실행수단은, 웹부라우저, 리얼플레이어(RealPlayer), 윈도우미디어플레이어(Windows Meadia Player) 등 온라인/오프라인 상에서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콘텐츠 제작수단과 상기 광고콘텐츠 제작수단은, MS 워드 등의 문서작성 프로그램, 플래쉬(Flash) 등의 웹문서 작성 프로그램, 오쏘웨어(Authorware) 등의 멀티미디어 파일 작성 프로그램과 포토삽(PhotoShop) 등의 그래픽문서 작성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
  97. 제 71항 내지 제 9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삽입콘텐츠의 제작방법은,
    오디오 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에서는, 콘텐츠의 앞, 중간, 뒤 중 1 이상의영역에 같은 광고콘텐츠를 삽입하거나 각 영역마다 다른 광고콘텐츠를 삽입하고,
    문서파일에서는, 문서의 상단, 하단 중 1 이상의 영역에 같은 광고콘텐츠를 삽입하거나 각 저장영역마다 다른 광고콘텐츠를 삽입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
  98. 제 72항 내지 제 80항, 제 82항 내지 제 9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삽입 콘텐츠는,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전에 쇼핑몰 관리자에 의해 미리제작된 것, 또는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에서 이용자가 선택한 콘텐츠에 삽입되도록 미리 정해진 광고콘텐츠를 미리 정해진 방법에 따라 동적으로 결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
  99. 제 98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삽입되는 광고콘텐츠는,
    일정기간 동안 고정된 것 또는 미리 정해진 방법에 따라 상기 동적 결합시마다 변동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
  100. 제 72항 내지 제 80항, 제 82항 내지 제 9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와 광고삽입 콘텐츠는,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운로드 방식 또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
  101. 제 75항 내지 제 80항, 제 85항 내지 제 9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와 광고삽입 콘텐츠의 심사는,
    상기 쇼핑몰 시스템에서 정하는 기준에 의하되, 상기 기준은 콘텐츠 또는 광고콘텐츠의 내용에 대한 윤리성과 이용자의 거부감 등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
  102. 제 71항 내지 제 9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방법은,
    콘텐츠 정보와 광고삽입콘텐츠 정보를 동시에 제공하여,
    무료 이용자도 선택에 따라 콘텐츠를 제공 받을 수 있고,
    유료 이용자도 선택에 따라 광고삽입콘텐츠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
  103. 제 75항 내지 제 80항, 제 85항 내지 제 9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료는,
    콘텐츠 제공에 대해서는 이용료가 청구되고,
    광고삽입콘텐츠 제공에 대해서는 무료 또는 이용료가 일부 할인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
  104. 제 75항 내지 제 80항, 제 85항 내지 제 9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료는,
    년, 월 등 일정기간 단위의 정액제 방식 또는 콘텐츠 이용실적에 따라 계산되는 방식에 따라 결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
  105. 제 75항 내지 제 80항, 제 85항 내지 제 9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료는,
    이용자별 광고삽입콘텐츠 제공 정보를 토대로 계산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
  106. 제 105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료 계산은,
    이용자가 상기 제공받은 광고삽입콘텐츠를 오프라인 상태에서 실행한 회수 정보를 더 반영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
  107. 제 72항 내지 제 80항, 제 82항 내지 제 9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삽입콘텐츠는,
    이용자가 제공받은 광고삽입콘텐츠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태에서 일정회수 이상 실행하면 삽입된 광고콘텐츠가 삭제되거나 실행시 스킵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
  108. 제 72항 내지 제 80항, 제 82항 내지 제 9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삽입콘텐츠는,
    이용자가 제공받은 광고삽입콘텐츠를 실행시 광고실행 영역을 지시수단으로 지정하면 해당 광고주의 홈페이지 또는 특정상품 정보가 이용자의 컴퓨터에 출력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
  109. 제 74항 내지 제 80항, 제 84항 내지 제 9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은,
    데이터 저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 모듈은 다수의 데이터 속성으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
  110. 제 10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속성은,
    이용자 정보, 사업자 정보, 광고주 정보, 콘텐츠 제공실적 정보, 콘텐츠 정보, 광고콘텐츠 정보, 광고삽입 콘텐츠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
  111. 제 1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정보는, 콘텐츠 쇼핑몰 시스템에 접속하는 유료 또는 무료 이용자의 id, 비밀번호 및 신상정보를 포함한 관련되는 복수의 정보로 구성되고,
    상기 사업자 정보는, 등록된 콘텐츠 제공 사업자의 id, 비밀번호 및 신상정보를 포함한 관련되는 복수의 정보로 구성되고,
    상기 광고주 정보는, 등록된 광고주의 id, 비밀번호 및 신상정보를 포함한 관련되는 복수의 정보로 구성되고,
    상기 콘텐츠 제공실적 정보는, 상기 이용자에 대한 콘텐츠 및 광고삽입 콘텐츠 제공실적 정보를 포함한 관련되는 복수의 정보로 구성되며, 이용료와 광고비의 청구 및 사업자에 대한 수익금 지급액 산출의 기초데이터로 이용되고,
    상기 콘텐츠 정보는, 등록된 콘텐츠 파일과 그 파일의 url, 식별번호, 파일형태, 광고료 및 이용료를 포함한 콘텐츠 정보 데이터와 광고삽입을 위한 연동될 광고파일 식별 정보를 포함한 관련되는 복수의 정보로 구성되고,
    상기 광고콘텐츠 정보는, 등록된 광고콘텐츠 파일과 그 파일의 url, 파일형태 및 식별번호를 포함한 광고콘텐츠 정보 데이터와 연동될 콘텐츠파일 식별 정보를 포함한 관련되는 복수의 정보로 구성되고,
    상기 광고삽입콘텐츠 정보는, 광고가 삽입된 콘텐츠 파일과 그 파일의 url, 식별번호, 이용료, 광고료, 사업자id 및 광고주 id 등의 데이터를 포함한 관련되는 복수의 정보로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12. 제 72항 내지 제 80항, 제 82 내지 제 9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는,
    다른 쇼핑몰 사업자를 포함하며,
    상기 다른 쇼핑몰 사업자에 대한 광고삽입콘텐츠의 공급은, 해당 사업자 홈페이지에서 상기 본 발명 시스템 DB서버로의 데이터 링크 허가 또는 상기 본 발명 시스템에서 상기 다른 쇼핑몰 사업자 시스템으로 상기 광고삽입콘텐츠를 동기화 방식을 통하여 주기적으로 공급하는 방법 등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
  113. 제 72항 내지 제 80항, 제 82항 내지 제 9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주는, 광고주가 지정한 광고대행업체를 포함하고,
    상기 사업자는, 개인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
  114. 제 72항 내지 제 80항, 제 82항 내지 제 9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는,
    상기 쇼핑몰 시스템에 회원으로 등록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로서 광고주와 사업자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
  115. 제 71항 내지 제 9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에 의하여 실행되며,
    상기 프로그램의 기능 중 콘텐츠수신 모듈, 광고콘텐츠 수신 모듈 및 콘텐츠 제공 모듈은, 하나 이상의 웹 서버 컴퓨터에 의하여 실행되고,
    관리 모듈은, 관리자 단말기 컴퓨터에 의하여 실행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
  116.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정보는,
    광고삽입콘텐츠 제작시 이용되는 광고콘텐츠가 일정기간이 지나면 콘텐츠에 삽입이 되지 않거나 다른 광고콘텐츠로 갱신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용되는 광고기간 항목(필드)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117. 제 6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정보는,
    광고삽입콘텐츠 제작시 이용되는 광고콘텐츠가 일정기간이 지나면 콘텐츠에 삽입이 되지 않거나 다른 광고콘텐츠로 갱신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용되는 광고기간 항목(필드)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18. 제 110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정보는,
    광고삽입콘텐츠 제작시 이용되는 광고콘텐츠가 일정기간이 지나면 콘텐츠에 삽입이 되지 않거나 다른 광고콘텐츠로 갱신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용되는 광고기간 항목(필드)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프로그램제품.
  119. 제 2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몰 시스템은,
    이용자가 상기 광고삽입콘텐츠에 삽입된 광고콘텐츠를 통하여 해당 광고주 쇼핑몰에 접속하여 전자상거래를 수행한 경우에 광고주와의 계약에 따라 중개 수수료를 광고주로부터 받는 수단; 을 더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120. 제 119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몰 시스템은,
    광고주로부터 수입된 광고료 또는 중개 수수료 중 일부를 이용자에게 광고실적 또는 전자상거래 수행 실적에 따라 보너스로 제공하는 수단; 을 더 구비하는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121. 제 37항 내지 제 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방법은,
    이용자가 상기 광고삽입콘텐츠에 삽입된 광고콘텐츠를 통하여 해당 광고주 쇼핑몰에 접속하여 전자상거래를 수행한 경우에 광고주와의 계약에 따라 중개 수수료를 광고주로부터 받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22. 제 12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방법은,
    광고주로부터 수입된 광고료 또는 중개 수수료 중 일부를 이용자에게 광고실적 또는 전자상거래 수행 실적에 따라 보너스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23. 제 72항 내지 제 80항, 제 82항 내지 제 9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이용자가 상기 광고삽입콘텐츠에 삽입된 광고콘텐츠를 통하여 해당 광고주 쇼핑몰에 접속하여 전자상거래를 수행한 경우에 광고주와의 계약에 따라 중개 수수료를 광고주로부터 받는 기능; 을 더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24. 제 12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광고주로부터 수입된 광고료 또는 중개 수수료 중 일부를 이용자에게 광고실적 또는 전자상거래 수행 실적에 따라 보너스로 제공하는 기능; 을 더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010053738A 2000-09-02 2001-09-01 콘텐츠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807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738A KR100807526B1 (ko) 2000-09-02 2001-09-01 콘텐츠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779 2000-09-02
KR20000051779 2000-09-02
KR1020010053738A KR100807526B1 (ko) 2000-09-02 2001-09-01 콘텐츠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8762A true KR20010088762A (ko) 2001-09-28
KR100807526B1 KR100807526B1 (ko) 2008-02-26

Family

ID=26638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3738A KR100807526B1 (ko) 2000-09-02 2001-09-01 콘텐츠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752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143B1 (ko) * 2006-10-19 2008-08-26 전종한 동영상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통한 광고방법
WO2008117939A1 (en) * 2007-03-23 2008-10-02 Chung Hee Ryu Ucc offer server capable of utilizing ucc by advertising media and method thereof
WO2009028752A1 (en) * 2007-08-30 2009-03-05 Mobilians Co., Ltd. Advertiser's site auto linking system and method for using user-created contents inserted with advertiser's peculiar information
KR101009566B1 (ko) * 2005-07-06 2011-01-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광고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8515336B2 (en) 2006-01-06 2013-08-20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of selective collection and selective presentation of content
US8635526B2 (en) 2006-05-25 2014-01-21 Qualcomm Incorporated Target advertisement in a broadcast system
KR101385105B1 (ko) * 2010-11-29 2014-04-14 주식회사 케이티 N-스크린을 통한 콘텐츠-광고 통합 배포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9467239B1 (en) 2004-06-16 2016-10-11 Steven M. Colby Content customization in communication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853A (ko) * 1999-11-08 2000-02-07 박래춘 Mp3 음악 파일을 이용한 인터넷 新광고기법
KR20000024643A (ko) * 2000-02-25 2000-05-06 최창언 광고삽입 음악파일 전송을 통한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의광고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67239B1 (en) 2004-06-16 2016-10-11 Steven M. Colby Content customization in communication systems
KR101009566B1 (ko) * 2005-07-06 2011-01-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광고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8515336B2 (en) 2006-01-06 2013-08-20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of selective collection and selective presentation of content
US8635526B2 (en) 2006-05-25 2014-01-21 Qualcomm Incorporated Target advertisement in a broadcast system
KR100854143B1 (ko) * 2006-10-19 2008-08-26 전종한 동영상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통한 광고방법
WO2008117939A1 (en) * 2007-03-23 2008-10-02 Chung Hee Ryu Ucc offer server capable of utilizing ucc by advertising media and method thereof
WO2009028752A1 (en) * 2007-08-30 2009-03-05 Mobilians Co., Ltd. Advertiser's site auto linking system and method for using user-created contents inserted with advertiser's peculiar information
KR101385105B1 (ko) * 2010-11-29 2014-04-14 주식회사 케이티 N-스크린을 통한 콘텐츠-광고 통합 배포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7526B1 (ko) 2008-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77858A1 (en) Arranging dynamic bookmarks based on service provider inputs
US7013290B2 (en) Personalized interactive digital catalog profiling
US8271878B2 (en) Behavior-based selection of items to present on affiliate sites
US9092792B2 (en) Customizing an application
US7941348B2 (en) Method and system for scheduling transaction listings at a network-based transaction facility
KR100962691B1 (ko)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광고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080071929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ection of information and web page generation
US20050256766A1 (en) Method and system for targeted internet search engine
US20090171755A1 (en) Behavior-based generation of site-to-site referrals
US200901717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Electronic Commerce
US20090171968A1 (en) Widget-assisted content personalization based on user behaviors tracked across multiple web sites
JP4417357B2 (ja) アフィリエイトシステムにおいて広告主のrssフィードを随時取得してバナー広告にして配信する方法と装置
KR20090092341A (ko) 디지털 매체 개체들의 링크 개선
KR101692923B1 (ko) 웹툰 광고 중개 장치 및 방법
WO2008035044A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ection of information and web page generation
JP2008083803A (ja) 広告配信装置
TW200901069A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method, computer program and system
US20080270903A1 (en) System, method and software for an on-line media player
KR100807526B1 (ko) 콘텐츠제공 시스템 및 방법
GB244428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on of information and web page generation
WO2001098977A1 (fr) Systeme de signets
JP2018537774A (ja) スマート端末を用いる数字列基盤のリアルタイム情報流通システム及び情報流通方法
KR20030020695A (ko) 콘텐츠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4513159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KR101070604B1 (ko) 유무선 네트워크 상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내용 맞춤형 광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