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7859A - 볏짚을 이용한 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볏짚을 이용한 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7859A
KR20010087859A KR1020000011213A KR20000011213A KR20010087859A KR 20010087859 A KR20010087859 A KR 20010087859A KR 1020000011213 A KR1020000011213 A KR 1020000011213A KR 20000011213 A KR20000011213 A KR 20000011213A KR 20010087859 A KR20010087859 A KR 20010087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rice straw
adsorbent
water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1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진곤
Original Assignee
류진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진곤 filed Critical 류진곤
Priority to KR1020000011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87859A/ko
Priority to KR2020000006410U priority patent/KR200191779Y1/ko
Publication of KR20010087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785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04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clamped between pervious fixed wa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6Cartridg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볏짚과 보릿짚, 밀짚, 황토, 숯을 흡착제로 사용한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상,하측 케이스내에, 상,하측 볏짚매트사이에 충전물을 충전한 흡착제를 넣어 단위 휀스를 형성하되, 상측케이스의 측면에는 다수의 연결구를 설치하고, 양측면에 하측케이스와 결합되어지는 록킹장치를 설치하며, 하측케이스의 주벽내에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내부의 상,하측 볏짚매트 사이에 충전되어지는 충전물은 보릿짚과 밀짚 절단물을 혼합한 혼합물과, 황토 60 중량%와 숯분말 40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1:1로 혼합하여 형성하므로서, 바다나 하천의 물을 정화하고, 휀스로 사용시 수면에 부유되는 각종 이물질을 차단함은 물론 흡착 수거도 되게 하므로 2중의 작업을 배제하고 취급이 용이하며, 흡착력을 갖는 흡착제도 비교적 저가로 구입할 수 있고 흡착력이 우수한 볏짚과 보릿짚, 밀짚, 황토, 숯을 이용함으로써 수거된 흡착제를 재가공하여 연료 또는 퇴비로도 이용될 수 있게한 것이다.

Description

볏짚을 이용한 수처리장치{Water-purifying device by way of rice straw}
본 발명은 볏짚과 보릿짚, 밀짚, 황토, 숯을 흡착제로 사용한 수처리장치에관한 것으로 특히, 바다, 강, 양식장 등에 설치하여 강이나 바다물의 정화에 사용하거나, 부유하는 오일이나 각종 부유물등을 흡착 제거 및 부유물이 더 이상 확산하지 않도록 하는 휀스로도 사용되는 것이며, 흡착제는 흡착력과 살균력이 높은 볏짚과 황토, 숯을 사용하고 이를 부양수단인 케이스내에 내입하게하여 흡착제의 교체가 용이하고 저가로 공급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취급이 용이한 볏짚을 이용한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바다등의 각종 부유물에 의한 오염을 제거하기 위하여는 화학약품등을 살포하거나, 부유물을 사람이 직접 걷어 내므로서 물을 정화 시켰다.
특히, 오염의 확산을 차단하고자 할 때는 오일 휀스를 설치하여 바다 등에 오염된 각종 부유물의 확산을 차단하는데만 사용되는 차단용 휀스와, 바다 등에 오염된 폐유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오일 흡착포등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바다나 하천등에 화학약품을 살포하여 물을 정화 시키는 방법은 사람이 배를타고 직접 화학약품을 살포해야 하므로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화학약품에 의해 인체에 해를 입는 경우가 발생하고, 사람이 직접 부유물을 그물등의 도구로 건져내는 방법은 인력과 시간의 낭비가 매우 심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바다나 하천에 부유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차단용 휀스는 플라스틱제 부구를 서로 연결하여 오염된 주변을 차단하여 오염의 확산을방지하는 정도이며 플라스틱 부구는 단단한 재료로 일정크기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부유물에 대한 흡착력이 없어 수면의 유동성에 의해 부유물의 완전 차단이 어려웠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바다나 하천의 물을 정화하고,휀스로 사용시 수면에 부유되는 각종 이물질을 차단함은 물론 흡착 수거도 되게 하므로 2중의 작업을 배제하고 취급이 용이하며, 흡착력을 갖는 흡착제도 비교적 저가로 구입할 수 있고 흡착력이 우수한 볏짚과 보릿짚, 밀짚, 황토, 숯을 이용함으로써 수거된 흡착제를 재가공하여 연료 또는 퇴비로도 이용될 수 있게한 볏짚을 이용한 수처리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측케이스 2 : 하측케이스
3,3' : 상,하측 볏짚매트 4 : 충전물
5,5' : 통공 6 : 연결구
7 : 록킹장치 8 : 공간부
9 : 흡착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2 는 결합상태의 단면도 이다.
다수의 통공(5)(5')이 형성된 상,하측 케이스(1)(2) 내에, 상,하측 볏짚매트(3)(3')사이에 충전물(4)을 충전한 흡착제(9)를 넣어 단위 휀스를 형성하되, 상측케이스(1)의 측면에는 다수의 연결구(6)를 설치하고, 양측면에하측케이스(2)와 결합되어지는 록킹장치(7)를 설치하며, 하측케이스(2)의 주벽내에는 공간부(8)를 형성하고, 내부의 상,하측 볏짚매트(3)(3') 사이에 충전되어지는 충전물은 보릿짚과 밀짚 절단물을 혼합한 혼합물과, 황토 60 중량%와 숯분말 40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1:1로 혼합하여 형성한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수처리장치를 바다나 하천 또는 양식장 등에 설치시에는 우선 도 1 의 도시와 같이 분리되어 있는 상,하측 케이스(1)(2) 내에 흡착제(9)를 내입한 후 도 2의 도시와 같이 상측케이스(1)를 하측케이스(2)와 결합하고, 상측케이스(1)의 양측에 설치된 록킹장치(7)로 상,하측케이스(1)(2)를 결합하여 연결구(6)를 이용해 고정시키므로서 주변의 물을 정화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 정화장치를 휀스로 사용코저 할 경우에는 내부에 흡착제(9)가 내입된 수처리장치를 도 3의 도시와 같이 상측케이스(1)의 외측면에 다수 설치된 연결구(6)를 이용하여 다른 수처리장치와 서로 연결하여 바다나, 하천 또는 양식장등 설치하고저 하는 장소에 설치하는 것인데, 이때, 하측케이스(2)의 주벽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8)에 의해 부력이 증가되어 물위에 수처리장치가 부양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 수처리장치는 물위의 기름이나 오염물질이 물의 유동성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하측케이스(1)(2)에 형성된 통공(5)(5')을 통해 케이스내로 유입되어 흡착제(9)로 흡착되는 것이다.
이때, 흡착제(9)는 상,하측 볏짚매트(3)(3')의 사이에, 보릿짚과 밀짚을 절단한 혼합물과 황토와 숯분말을 혼합한 혼합물을 혼합한 충전물(4)을 충전하여 구성하므로서, 각종 볏짚 조성물에 의해 흡착력을 최대화 하고, 수거후 소각등의 처리가 용이하며, 황토성분에 의한 미생물 분해작용과 숯에 의한 살균 정화 작용이 뛰어난 것이다.
이와 같이 오염물질의 흡착을 모두 마치거나 새로운 흡착제로 교환하고저 할 때에는 연결구(6)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부상되어 있는 케이스를 물위에 부양되어 있는 상태에서 내부의 흡착제(9)만을 꺼내어 교환 하므로서 교환시 오염물질이 휀스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수거한 흡착제(9)는 건조 또는 재처리하여 연료나 퇴비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부력을 같는 케이스내에, 볏짚매트(3)(3')의 사이에, 보릿짚과 밀짚을 절단한 혼합물과 황토와 숯분말을 혼합한 혼합물을 혼합한 충전물(4)을 충전한 흡착제(9)를 내입하여 이로인해 물위의 오염물질을 흡착제거하므로서, 설치 및 교환이 용이하며 흡착력이 뛰어나고, 수거된 흡착제(9)를 재활용 할수 있어 자원절약의 효과를 동시에 누릴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바다등의 오염물질을 정화하고, 휀스로 사용시 수면에 부유되는 각종 이물질을 차단함은 물론 흡착 수거도 되게 하므로 2중의 작업을 배제하고 취급이 용이하며, 흡착력을 갖는 흡착제도 비교적 저가로 구입할 수 있고 흡착력이 우수한 볏짚과 보릿짚, 밀짚, 황토, 숯을 이용함으로써 수거된 흡착제를 재가공하여 연료 또는 퇴비로도 이용될 수 있게한 것이다.

Claims (1)

  1. 다수의 통공(5)(5')이 형성된 상,하측 케이스(1)(2) 내에, 상,하측 볏짚매트(3)(3')사이에 충전물(4)을 충전한 흡착제(9)를 넣어 단위 휀스를 형성하되, 상측케이스(1)의 측면에는 다수의 연결구(6)를 설치하고, 양측면에 하측케이스(2)와 결합되어지는 록킹장치(7)를 설치하며, 하측케이스(2)의 주벽내에는 공간부(8)를 형성하고, 내부의 상,하측 볏짚매트(3)(3') 사이에 충전되어지는 충전물은 보릿짚과 밀짚 절단물을 혼합한 혼합물과, 황토 60 중량%와 숯분말 40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1:1로 혼합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볏짚을 이용한 수처리장치.
KR1020000011213A 2000-03-07 2000-03-07 볏짚을 이용한 수처리장치 KR2001008785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213A KR20010087859A (ko) 2000-03-07 2000-03-07 볏짚을 이용한 수처리장치
KR2020000006410U KR200191779Y1 (ko) 2000-03-07 2000-03-08 볏짚을 이용한 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213A KR20010087859A (ko) 2000-03-07 2000-03-07 볏짚을 이용한 수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6410U Division KR200191779Y1 (ko) 2000-03-07 2000-03-08 볏짚을 이용한 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859A true KR20010087859A (ko) 2001-09-26

Family

ID=19652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1213A KR20010087859A (ko) 2000-03-07 2000-03-07 볏짚을 이용한 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8785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45627C (zh) * 2005-06-08 2007-10-31 安徽师范大学 一种阳离子吸附剂的制备方法及应用
KR100951809B1 (ko) * 2009-07-17 2010-04-07 이재현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수질 정화용 투척공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7848U (ko) * 1980-01-14 1981-08-21
KR970011202A (ko) * 1995-08-21 1997-03-27 김외동 해상 부유기름제거용 이중오일핸스 및 매트(oil fence & mat)
KR19980019458U (ko) * 1996-10-04 1998-07-15 박상억 해상용 오일 흡착포
KR19980033541U (ko) * 1996-12-04 1998-09-05 정삼랑 볏짚을 이용한 기름흡착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7848U (ko) * 1980-01-14 1981-08-21
KR970011202A (ko) * 1995-08-21 1997-03-27 김외동 해상 부유기름제거용 이중오일핸스 및 매트(oil fence & mat)
KR19980019458U (ko) * 1996-10-04 1998-07-15 박상억 해상용 오일 흡착포
KR19980033541U (ko) * 1996-12-04 1998-09-05 정삼랑 볏짚을 이용한 기름흡착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45627C (zh) * 2005-06-08 2007-10-31 安徽师范大学 一种阳离子吸附剂的制备方法及应用
KR100951809B1 (ko) * 2009-07-17 2010-04-07 이재현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수질 정화용 투척공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46567A1 (en) Filtering Pump System
US7101115B2 (en) In situ stabilization of persistent hydrophobic organic contaminants in sediments using coal- and wood-derived carbon sorbents
KR200191779Y1 (ko) 볏짚을 이용한 수처리장치
KR20010087859A (ko) 볏짚을 이용한 수처리장치
CN202924793U (zh) 废水净化器
CN218403760U (zh) 一种拦污吸附降低水体污染的应急装置
JP2000218261A (ja) 重金属除去方法
KR100594888B1 (ko) 쓰레기 매립장의 침출수 정화장치
CN104118941B (zh) 一种高效脱氮除磷人工湿地装置
CN203319737U (zh) 一种突发性水污染事故应急处理系统
CN210313711U (zh) 一种用于河道污染底泥原位生态修复的覆盖结构
US6776903B2 (en) System for waste water treatment capable of saving energy and reducing suspended solids
CN212334919U (zh) 一种用于城市污染地下水源的生物修复装置
JP3831769B2 (ja) 汚染土壌の浄化設備及び浄化方法
CN205442858U (zh) 臭氧气浮循环处理装置
KR200191768Y1 (ko) 수질 정화용 대나무 숯 및 황토 벽돌
RU2159743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сильнозагрязненной воды
CN212334922U (zh) 高浓度化学品污水净化再利用装置
CN111729928B (zh) 一种土壤生态修复装置
JP4620323B2 (ja) 水質浄化方法
JP4055076B2 (ja) 汚染土壌浄化装置
JPH10231510A (ja) 河川浄化装置
CN211198937U (zh) 一种自动焦化废水处理系统
CN215517007U (zh) 一种废水处理装置
KR20190009656A (ko) 사람의 머리카락과 동물의 털을 상호 혼합한 흡착제가 구비된 필터 및 기름방지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