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6973A - 매트리스용 인너스프링 조립체 - Google Patents

매트리스용 인너스프링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6973A
KR20010086973A KR1020000011006A KR20000011006A KR20010086973A KR 20010086973 A KR20010086973 A KR 20010086973A KR 1020000011006 A KR1020000011006 A KR 1020000011006A KR 20000011006 A KR20000011006 A KR 20000011006A KR 20010086973 A KR20010086973 A KR 20010086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ings
coil
inner spring
extension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1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2273B1 (ko
Inventor
안판호
Original Assignee
이재구
주식회사 에이스침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구, 주식회사 에이스침대 filed Critical 이재구
Priority to KR10-2000-0011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2273B1/ko
Publication of KR20010086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6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2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22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3/00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 A47C23/04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 A47C23/05Frames therefor; Connecting the springs to the frame ; Interconnection of springs, e.g. in spring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3/00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 A47C23/04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 A47C23/043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using 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3/00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 A47C23/04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 A47C23/05Frames therefor; Connecting the springs to the frame ; Interconnection of springs, e.g. in spring units
    • A47C23/0507Frames therefor; Connecting the springs to the frame ; Interconnection of springs, e.g. in spring units using tensioned spir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3/00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 A47C23/04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 A47C23/05Frames therefor; Connecting the springs to the frame ; Interconnection of springs, e.g. in spring units
    • A47C23/0522Frames therefor; Connecting the springs to the frame ; Interconnection of springs, e.g. in spring units using metal wire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트리스용 인너스프링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수직으로 배향되어 상호 직교하도록 다수의 행 및 열로 배열되는 코일스프링들과, 인접하는 코일스프링들의 상단회선들 및 하단회선들을 각각 상호 결속시키는 헬리컬 코일과, 각 행과 열의 외곽에 위치한 코일스프링들을 감싸 지지하는 테두리와이어로 이루어지고, 각 코일스프링들의 적어도 한쪽 단부에 일정높이의 연장부가 구비됨과 동시에 인접하는 연장부의 말단회선들이 헬리컬 코일 등에 의해 상호 결속되며, 연장부는 코일스프링의 몸체부 높이의 대략 1/2 이내의 높이에서 적어도 2회선을 갖는다. 본 발명은 인너스프링 조립체가 2중의 탄성층을 구비하게 되어 장기사용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약화를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하중 분산효과가 우수하여 부분적인 가라않음 없이 신체를 안정되게 지지해줄 수 있으며, 스프링의 삐걱거림이나 딸깍거림에 의한 소음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매트리스용 인너스프링 조립체{an innerspring assembly for mattress}
본 발명은 인너스프링 조립체(innerspring assembly)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침대용 매트리스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인너스프링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트리스는 인너스프링 조립체의 상면에 복수의 패딩(padding) 층으로 이루어진 매트리스지를 적층시키고, 이들을 원단 등의 외장커버로 피복함으로써 구성된다. 이러한 매트리스는 사용자의 안락감을 위해 적절한 쿠션을 유지하면서도 하중을 적절히 분산시킬 수 있어야 하는데, 이는 전적으로 인너스프링 조립체에 의해 결정된다. 즉, 인너스프링 조립체의 탄성이 지나치게 약하면 신체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없어 사용자에 요통 등을 유발시키게 되고, 반대로 탄성이 지나치게 강하면 매트리스의 생명인 안락감을 떨어뜨리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매트리스에 있어 인너스프링 조립체의 안락성과 견고성은 그 품질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너스프링 조립체는, 통상 수직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서로 평행하도록 다수의 열(column)과 행(row)으로 배열된 코일스프링들의 상·하 종단회선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편기부(offset segment)들을 구비하여, 인접하는 각 행 또는 열의 대향하는 편기부들을 헬리컬 코일(helical coil)로 묶어줌과 함께, 각 행과 열의 최외곽에 위치한 코일스프링들의 상·하 자유종단 외측에 테두리와이어를 위치시켜 헬리컬 코일 또는 클립에 의해 상호 일체적으로 연결함으로써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통상의 인너스프링 조립체는 일정높이를 갖는 단일층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할 경우 반복하중으로 인해 코일스프링의 탄성이 약화되기 쉬우며, 이 경우 신체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없어 매트리스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안락감을 위해 패딩도 일정두께 이상으로 구성하지 않으면 안된다.
한편, 국제특허출원공개공보 제97-706750호에는 다수의 열과 행으로 배열된 코일스프링들의 상·하 종단회선 근처에서 인접하는 각 행의 코일스프링들을 서로 연결하여, 각 코일스프링들의 결합지점의 외측으로 구속되지 않은 자유종단회선들을 구성함으로써 각각의 코일스프링들 사이에 적절한 이동도(mobility)를 제공하고 있다. 즉, 각 코일스프링의 상·하 종단회선으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제1 또는 제2 턴(turn)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편기부들을 구비하여, 인접하는 각 행의 대향하는 편기부들을 헬리컬 코일으로 묶어줌으로써 인너스프링 조립체의 상·하면에 자유종단회선을 구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각 행과 열의 최외곽에 위치한 코일스프링들은 그 결합부의 외측을 에워싸도록 위치된 테두리와이어와 헬리컬 코일에 의해 상호 일체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인너스프링 조립체에 견고성을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너스프링 조립체는 그 자유종단회선이 하중에 따라 쉽게 이동하는 능력을 보유하여 특히 지지면에 대해 측방향 성분을 갖는 하중과 같이 그에 작용하는 하중이 축선을 벗어나 있는 경우에는 유리하지만, 반대로 독립된 자유종단회선에 의해 인너스프링 조립체의 전체적인 견고성이 약화될 뿐만 아니라 하중을 적절히 분산시키지 못하게 된다. 이로 인해 작은 하중에도 해당부위의 자유종단회선이 쉽게 눌려져 신체를 안정되게 지지하기 곤란하며, 자유종단회선이 헬리컬 코일에 의해 상호 연결된 코일스프링의 몸체부 회선에 대해 잦은 접촉 내지는 파고듦에 의해 인너스프링 조립체의 고질적인 삐걱거림이나 딸깍거림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자유종단회선의 단부가 어디에도 구속되지 않은 완전 자유상태이므로 더욱 심각하다. 뿐만 아니라, 큰 하중이 가해지는 부위나 많이 사용되는 부위가 쉽게 가라않는 불합리한 현상도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인너스프링 조립체들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적어도 2중의 탄성층을 구비하여 장기사용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약화를 최소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견고하면서도 하중 분산효과가 우수하여 하중의 크기에 따른 부분적인 가라않음 없이 신체를 안정되게 지지해줄 수 있는 매트리스용 인너스프링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프링의 삐걱거림이나 딸깍거림에 의한 소음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매트리스용 인너스프링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주어진 규격내에서 패딩의 두께를 줄일 수 있으면서도 필요한 안락감을 유지시킬 수 있는 매트리스용 인너스프링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인너스프링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인너스프링 조립체의 일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Ⅲ을 따라 취한 정면도,
도 4는 도 2의 Ⅳ를 따라 취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인너스프링 조립체의 발췌 평면도,
도 6은 도 5의 Ⅵ-Ⅵ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인너스프링 조립체의 발췌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인너스프링 조립체의 발췌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인너스프링 조립체의 발췌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코일스프링 11: (코일스프링의) 몸체부
12: (코일스프링의) 연장부 13, 14: (몸체부의) 상단 및 하단회선
15, 15′: (연장부의) 말단회선 15a: (말단회선의) 고리부
16, 17: (각 연결회선들의) 편기부 20, 21, 22: 헬리컬 코일
30, 31: 테두리와이어 50, 60: (조립체의) 탄성층
h: (코일프스프링의) 몸체부 높이 h′: (코일스프링의) 연장부 높이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직으로 배향되어 상호 직교하도록 다수의 행 및 열로 배열되는 코일스프링들과, 인접하는 코일스프링들의 상단회선들 및 하단회선들을 각각 상호 결속시키는 헬리컬 코일과, 각 행과 열의 외곽에 위치한 코일스프링들을 감싸 지지하는 테두리와이어를 구비하는 매트리스용 인너스프링 조립체에 있어서, 각 코일스프링들의 적어도 한쪽 단부에 일정높이의 연장부가 구비되고, 인접하는 연장부의 말단회선들이 그 행 또는 열을 따라 상호 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연장부가 적어도 2회선을 가지며, 그 높이는 코일스프링의 몸체부 높이의 대략 1/2 이내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코일스프링들의 상·하단회선들과 그 연결부의 말단회선들은 해당위치의 평면상에 각각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평탄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인너스프링 조립체가 2중의 탄성층을 구비하게 되어 장기사용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약화를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견고하고 하중 분산효과가 우수하여 하중에 따른 부분적 내지는 전체적인 가라않음 없이 신체를 매우 안정되게 지지해줄 수 있으며, 스프링의 삐걱거림이나 딸깍거림에 의한 소음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게 되므로 매트리스의 신뢰성과 내구성 및 안락감 향상 등에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리스용 인너스프링 조립체는 수직으로 배향되고, 다수의 행(R) 및 열(C)로 나란하게 배열되어 대략 직사각형 형태의 조립체를 이루는 다수의 코일스프링(10)들과, 코일스프링(10)의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해당위치의 평면상에 위치하는 각 코일스프링(10)들의 인접부분들을 상호 결속함으로써 조립체내에 2중의 탄성층(50)(60)을 형성시키는 헬리컬 코일(20)(21)(22)과, 각각의 행(R)과 열(C)의 외곽에 위치한 코일스프링(10)들을 에워싸도록 결속되어 코일스프링(10)들을 지지하는 2개의 테두리와이어(30)(31)들로 구성된다. 여기서, 행(R) 및 열(C)은 그 언급 시점에 따라 상호 교환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바, 그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각 코일스프링(10)들은 복수의 회선수를 갖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일정한 회선수를 갖는 몸체부(11)와, 이 몸체부(11)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어 2회선을 갖는 연장부(12)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기로 몸체부(11)의 높이(h)는 통상의 인너스프링 조립체의 높이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인너스프링 조립체는 통상의 인너스프링 조립체에 비해 연장부(12)에 해당하는 높이(h′)를 더 가진다. 이러한 연장부(12)는,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몸체부(11)의 하측에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몸체부(11)의 상·하측 모두에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몸체부(11)와 연장부(12)의 회선들은 하중에 대한 코일스프링(10)의 탄성작용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각 그 단부에서 축방향의 중간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되는 지름을 갖는다.
한편, 코일스프링(10) 몸체부(11)의 상단회선(13)과 하단회선(14) 및 그 연장부(12)의 말단회선(15)들은 인접한 코일스프링(10)들을 헬리컬 코일(20)에 의해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회선으로 기능한다. 이들 연결회선들은 서로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되고, 코일스프링(10)의 다른 부분보다는 큰 지름을 갖는다. 몸체부(11)의 상단 및 하단회선(13)(14)들은 각각 조립체의 상·하 지지면을 공통적으로 형성하게 되는 바, 해당위치의 평면상에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대체로 평탄하게 형성된다. 또한, 연장부(12)의 말단회선(15)들은 조립체내에 2중의 탄성층(50)(60)이 형성되도록 헬리컬 코일(22)과 함께 코일스프링(10)들을 구획하는 것이므로, 이들 역시 동일평면상에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대체로 평탄하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기로 이와 같은 코일스프링(10)의 양쪽 단부, 즉 그 몸체부(11)의 하단과 연장부(12)의 상단들은 조립체의 견고성과 딸깍거림에 의한 소음방지 등을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단 및 말단회선(14)(15)에 각각 수회씩 감김으로써 고정된다.
헬리컬 코일(20)(21)(22)은 인접하는 코일스프링(10) 몸체부(11)의 상·하단회선(13)(14)과 그 연장부(12)의 말단회선(15)들을 각각 결속함으로써 각 코일스프링(10)들을 일체적으로 연결하여, 조립체내에 2중의 탄성층(50)(60)을 형성시킨다. 이러한 헬리컬 코일(20)(21)(22)은 예컨대, 코일스프링(10)의 행(R)을 따라 배치되어 각 열(C)의 코일스프링(10)들을 동시에 결속시킨다.
테두리와이어(30)(31)는 조립체의 형태를 유지시킴과 함께 코일스프링(10)들을 조립체내에 지지하는 것으로, 코일스프링(10) 몸체부(11)의 하단회선(14)들과 그 연장부(12)의 말단회선(15)들이 각각 이루는 평면상에 사실상 동일하게 배치되며, 행(R)과 열(C)의 외곽에 위치한 코일스프링(10)들의 하단 및 말단회선(14)(15)들과 각각 밴드클립(40)에 의해 결속된다. 그리고, 각 코일스프링(10) 몸체부(11)의 상단회선(13)들은 해당 평면상에 배치되어 인접하는 회선(13)들을 묶어주는 복수의 헬리컬 코일(20)에 의해서만 지지되는 바, 바람직하기로 외곽의 행(R)을 이루는 코일스프링(10)들의 가장자리부는 그들만을 단독으로 상호 연결시키는 헬리컬 코일(20a)에 의해 지지되어 각 상단회선(13)들이 동일평면상에 안정적으로 위치된다. 한편, 밴드클립(40)은, 외곽 코일스프링(10)들의 하단 및 말단회선(14)(15)들의 일부분을 포함하여 테두리와이어(30)에 권취되는 헬리컬 코일(도시하지 않음)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적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리스용 인너스프링 조립체는, 단일의 코일스프링(10)들을 구획하여 형성한 2중의 탄성층(50)(60)을 가지므로 종래의 단일 탄성층 인너스프링 조립체에 비해 하중의 크기에 비례적으로 반응(작은 하중에는 부드럽게 큰 하중에는 강하게)하게 되며, 이에 따라 안락감이 양호함은 물론 신체를 바른 자세로 유지시켜 특히 허리와 척추 보호에 유리하다. 또한, 장기사용에도 탄성이 쉽게 약화되지 않는 우수한 내구성을 가질 뿐 아니라 설령 탄성이 약화된다 하더라도 상부 탄성층(60)이 통상의 인너스프링 조립체에서 연장 형성한 것이므로, 통상의 매트리스가 가지는 탄성을 능히 발휘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부 탄성층(60)이 각 코일스프링(10)들로부터 연장된 후 헬리컬 코일(22)에 의해 상호 일체적으로 결속된 것이므로, 하중을 완벽하게 분산시킬 수 있어 사용시 안정감이 두드러지게 됨은 물론 하중에 따른 부분적인 가라않음 현상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각 코일스프링(10)들의 연장부(12)가 하중에 대해 독립적으로 작용하지 않고 동시에 지탱함음 물론 코일스프링(10)의 양 단부가 해당위치의 회선(14)(15)들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삐걱거림이나 딸깍거림 소음도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더욱이, 이중 탄성층(50)(60)의 하부 탄성층(50)은 통상의 인너스프링 조립체의 높이를 유지한 채 상부 탄성층(60)을 그로부터 연장 형성한 것이므로, 주어진 규격의 매트리스에서 패딩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으면서도 필요한 안락감을 충분히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에서, 각 코일스프링(10)들의 몸체부(11) 상·하단회선(13)(14)들과 그 연장부(12)의 말단회선(15)들에 헬리컬 코일(20)(21)(22)을 권취하기 위한 두 편기부(16)(17)를 외측으로 돌출시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나란하게 형성한 구성이다. 이러한 편기부(16)(17)는 각 코일스프링(10)들을 보다 안정적으로 연결 지지할 수 있도록 그 지름에 근접하는 길이의 직선형태로 구성되고, 인접하는 편기부(16)(17)들이 상호 중첩된 상태로 각 헬리컬 코일(20)(21)(22)에 의해 결속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실시예는 각 코일스프링(10)들을 매우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면서 각 코일스프링(10)들간에 하중에 의한 접촉을 피할 수 있는 충분한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리스용 인너스프링 조립체의 제3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코일스프링(10)들의 연장부(12)말단회선(15′)의 단부에 고리부(15a)를 절곡 형성하여 예를 들어 열(C)의 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다른 연장부(12)의 말단회선(15′)에 걸어줌으로써 동일 열(C)에 위치한 코일스프링(10)들의 연장부(12)들이 상호 결속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의 실시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지면서 연장부(12)의 말단회선(15)들을 상호 결속시키는 헬리컬 코일(22)을 배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리스용 인너스프링 조립체의 제4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코일스프링(10)들의 연장부(12) 말단회선(15′)의 단부가 예를 들어 열(C)의 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다른 연장부(12)의 말단회선(15′) 일부에 수회 감김으로써 동일 열(C)에 위치한 코일스프링(10)들의 연장부(12)들이 상호 결속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의 실시예 역시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지면서 연장부(12)의 말단회선(15)들을 상호 결속시키는 헬리컬 코일(22)을 배제할 수 있으며, 제3실시예에 비해 코일스프링(10)의 연장부(12)들을 보다 안정적으로 결속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9에는 본 발명에 의한 매트리스용 인너스프링 조립체의 제5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테두리와이어(30)(31)가 코일스프링(10)의 몸체부(11)의 상단 및 하단회선(13)(14)들이 각각 이루는 평면상에 배치되어 각 행(R)과 열(C)의 외곽에 위치한 회선(13)(14)들과 밴드클립(40)으로 고정된 구성이다. 이 경우 각 행(R)과 열(C)의 외곽에 위치한 연장부(12)의 말단회선(15)들 가장자리부는 헬리컬 코일(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연결 지지되거나, 또는 외곽 행(C)에 위치한 연장부(12)의 말단회선(15)들이 헬리컬 코일(22a)에 의해 상호 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시예는 코일스프링(10)의 연장부(12)들이 이루는 상부 탄성층(60)에 약간의 유동이 보장되어, 특히 하중이 측방향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너스프링 조립체가 2중의 탄성층을 구비하므로 장기사용에 따른 코일스프링의 약화를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하중 분산효과가 우수하여 하중에 따른 부분적 내지는 전체적인 가라않음 현상없이 신체를 안정감 있게 지지해줄 수 있다. 또한, 각 코일스프링들이 헬리컬 코일에 의해 사방으로 연결 지지됨과 함께 그 선단부가 종단회선들에 고정되어 있어 스프링의 삐걱거림이나 딸깍거림에 의한 소음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매트리스의 신뢰성과 내구성 및 안락감 등을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수직으로 배향되어 상호 직교하도록 다수의 행 및 열로 배열되는 코일스프링들과, 인접하는 상기 코일스프링들의 상단회선들 및 하단회선들을 각각 상호 결속시키는 헬리컬 코일과, 각 행과 열의 외곽에 위치한 상기 코일스프링들을 감싸 지지하는 테두리와이어를 구비하는 매트리스용 인너스프링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각 코일스프링들의 적어도 한쪽 단부에 일정높이의 연장부가 구비되고, 인접하는 상기 연장부의 말단회선들이 그 행 또는 열을 따라 상호 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용 인너스프링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가 적어도 2회선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용 인너스프링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높이가 코일스프링의 몸체부 높이의 대략 1/2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용 인너스프링 조립체.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헬리컬 코일에 의해 결속되는 각 코일스프링의 상·하단회선들과 그 연장부의 말단회선들은, 해당위치의 평면상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평탄하게 형성되며, 서로는 대략 동일한 지름을 가지고 다른 부분보다는 큰 지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용 인너스프링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들의 인접하는 연장부 말단회선들이 헬리컬 코일에 의해 상호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용 인너스프링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들의 상·하단회선과 그 연장부의 말단회선은 상기 헬리컬 코일이 결속되는 한 쌍의 편기부를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나란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용 인너스프링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들의 연장부의 말단회선들 단부에 고리부가 절곡 형성되어 각 고리부를 인접하는 다른 말단회선에 걸어줌으로써 코일스프링들의 연장부가 상호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용 인너스프링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들의 연장부의 말단회선들은 그 단부가 인접하는 다른 말단회선의 일부에 감김으로써 상호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용 인너스프링 조립체.
  9. 제 1 항, 제 5 항,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와이어가, 코일스프링들의 하단회선과 그 연장부의 말단회선들에 밴드클립으로 각각 결속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용 인너스프링 조립체.
  10. 제 1 항, 제 5 항,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와이어가, 코일스프링들의 상단회선과 하단회선에 밴드클립으로 각각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용 인너스프링 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들의 각 행과 열의 외곽에 위치한 상기 연장부의 말단회선들이 헬리컬 코일에 의해 상호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용 인너스프링 조립체.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의 몸체부와 연장부의 회선들은 각각 그 축방향의 중간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되는 지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트리스용 인너스프링 조립체.
KR10-2000-0011006A 2000-03-06 2000-03-06 매트리스용 인너스프링 조립체 KR100372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006A KR100372273B1 (ko) 2000-03-06 2000-03-06 매트리스용 인너스프링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006A KR100372273B1 (ko) 2000-03-06 2000-03-06 매트리스용 인너스프링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6973A true KR20010086973A (ko) 2001-09-15
KR100372273B1 KR100372273B1 (ko) 2003-02-17

Family

ID=19652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1006A KR100372273B1 (ko) 2000-03-06 2000-03-06 매트리스용 인너스프링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22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229B1 (ko) 2015-08-20 2017-03-21 원인희 상단 매트리스 및 그 제조 방법
KR101718230B1 (ko) 2015-08-20 2017-03-21 원인희 하단 매트리스 지지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2273B1 (ko) 2003-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94720B1 (en) Innerspring construction with springs having free terminal convolutions
KR930010037B1 (ko) 매트리스 내부 스프링 유니트용 스프링 코일 및 스프링 조립체와 그 스프링의 코일의 제조방법
JP2014506490A (ja) 逆コイルヘッド型コイルおよびインナースプリング
US7044454B2 (en) Mattress inner spring assembly
KR100372273B1 (ko) 매트리스용 인너스프링 조립체
US11445830B2 (en) Matress
US4475724A (en) Wire spring assembly for sofa sleeper mattresses
US6338174B1 (en) Spring mattress
RU2215458C2 (ru) Пружинный матрац
USRE25951E (en) Multiple coil spring assembly
US5699999A (en) Aligned mattress spring core
EP1079715B1 (en) Spring mattress
KR101304645B1 (ko) 매트리스
US3079615A (en) Multiple coil spring assembly
US2968052A (en) Interlocked spring assembly for padded box springs
US5561877A (en) Double structure spring mattress
JP2001340158A (ja) スプリング構体
GB2403900A (en) Pocket spring units with open ends
JPS5853218B2 (ja) スプリング
ZA200502949B (en) Mattress inner sprin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