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6792A - Data-aided frequency estimation method for PSK signaling in frequency-selective fading - Google Patents

Data-aided frequency estimation method for PSK signaling in frequency-selective fa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6792A
KR20010086792A KR1020000010686A KR20000010686A KR20010086792A KR 20010086792 A KR20010086792 A KR 20010086792A KR 1020000010686 A KR1020000010686 A KR 1020000010686A KR 20000010686 A KR20000010686 A KR 20000010686A KR 20010086792 A KR20010086792 A KR 20010086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timator
frequency
channel
following equation
pro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06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361030B1 (en
Inventor
정의림
이용훈
Original Assignee
윤덕용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덕용,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윤덕용
Priority to KR1020000010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1030B1/en
Publication of KR20010086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67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1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1030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04L27/22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4Carrier regulation
    • H04L2027/0044Control loops for carrier regulation
    • H04L2027/0063Elements of loops
    • H04L2027/0065Frequency error de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estimating a carrier frequency offset for a phase shift keying signal in a frequency selective fading channel is provided to improve the estimating performance of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by estimating a carrier frequency offset with the aid of a training signal when there occurs a frequency error between carrier frequencies due to the Doppler or oscillator deflection between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in the radio communication system. CONSTITUTION: A reference frequency estimator is provided(S10), wherein the reference frequency estimator is obtained through the extension of an estimator based on a maximal likelihood under the assumption that a channel impulse response is known. The estimator based on the maximal likelihood is modified to the reference frequency estimator proposed which does not need channel information by means of a training signal(S20).

Description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채널에서 PSK 신호를 위한 데이터 도움 반송파 주파수 오차 추정 방법{Data-aided frequency estimation method for PSK signaling in frequency-selective fading}Data-aided frequency estimation method for PSK signaling in frequency-selective fading}

본 발명은 PSK(Phase Shift Keying) 계열 신호의 동기 복조시 제한된 오실레이터의 정확도나 도플러 영향은 반송파 주파수 오차(carrier frequency offset)를 발생시킬 수 있고 이는 복조기의 심각한 성능 저하를 가져올 수 있는데, 이러한 반송파 주파수 오차를 추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mited oscillator accuracy or the Doppler effect during the synchronous demodulation of a PSK (Phase Shift Keying) series signal may cause a carrier frequency offset, which may cause a significant performance degradation of the demodulator. It relates to a method of estimating error.

종래의 데이터 도움 주파수 추정기는 ML(Maximal likelihood) 이론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데 이들은 모두 백색 잡음 AWGN(Additve White Gaussian Noise)이나 플랫 페이딩 채널을 가정하고 있다.Conventional data-assisted frequency estimators are based on the maximum likelihood (ML) theory, all of which assume white noise AWGN (Additve White Gaussian Noise) or flat fading channels.

상기 종래 기술로는 미국공개특허 US05943606과IEEE Trans. Commun., vol. 43, pp1169-1178IEEE Trans. Commun., vol. 46, pp553-560에 공개되어 있다.As the prior art, US Patent Publication No. US05943606 and IEEE Trans. Commun., Vol. 43, pp 1 169-1178 and IEEE Trans. Commun., Vol. 46, pp553-560 .

상기 미국공개특허 US05943606에 공개된 반송파 주파수 복구 및 반송파 주파수 오차 추정 방식들은 AWGN 채널과 같이 상호 간섭 신호를 유발하지 않는 채널들을 가정하고 제안되어 AWGN 및 플랫 페이딩 채널에서 밖에 쓸 수 없다.The carrier frequency recovery and carrier frequency error estimation schemes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US Patent Publication No. US05943606 have been proposed assuming channels that do not cause mutual interference signals, such as AWGN channels, and can only be used in AWGN and flat fading channels.

상기IEEE Trans. Commun., vol. 43, pp1169-1178에 공개된 기술은 훈련신호가 주어진 통신 시스템에서 AWGN 채널을 위한 반송파 주파수 오차 추정 방식에 관한 것이다. IEEE Trans. Commun., Vol. 43, pp1169-1178, relates to a carrier frequency error estimation scheme for an AWGN channel in a communication system given a training signal.

상기IEEE Trans. Commun., vol. 46, pp553-560에 공개된 기술은 역시 훈련신호가 주어진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채널을 위한 반송파 주파수 오차 추정 방식에 관한 것으로,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채널에서 시간마다 변하는 채널의 성질을 고려하지 않았다. IEEE Trans. Commun., Vol. The technique disclosed in 46, pp553-560 also relates to a carrier frequency error estimation method for a frequency selective fading channel in a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a training signal is given.

상기 종래의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채널을 위해 제안된 방법은 채널의 상관함수를 필요로하며 시간에 따라 변하는 채널 특성을 고려하지 않아서 성능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The proposed method for the conventional frequency selective fading channel requires a correlation function of the channel, and does not consider the channel characteristics that change with time, resulting in poor performance.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AWGN을 위한 추정기를 확장하여 채널 임펄스 응답이 알려져 있다는 가정하에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채널에서의 새로운 주파수 추정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frequency estimation method in a frequency selective fading channel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channel impulse response is known by extending the estimator for the existing AWGN. hav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PSK(Phase Shift Keying) 계열 신호의 동기 복조시 반송파 주파수 오차 추정에 있어서, 채널 임펄스 응답이 알려져 있다는 가정하에 기반 주파수 추정기가 제안되는 과정과, 상기 기반 주파수 추정기는 백색 타입 훈련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정보가 필요없는 주파수 추정기로변형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 제시된다.As a technical idea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rocess of suggesting a base frequency estimator under the assumption that a channel impulse response is known in the estimation of a carrier frequency error during synchronous demodulation of a PSK (Phase Shift Keying) signal and the base frequency estimato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process of transforming to a frequency estimator that does not require channel information using a white type training signal.

도 1은 바탕대역 시스템 모델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aseband system mode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순서도이다.2 is a flow ch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기반 주파수 추정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ase frequency estimator.

도 4는 도 3에서 m번째 블럭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4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m th block in FIG. 3.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추정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requency estim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훈련신호에 대한 4차 모멘트를 보여주는 도표이다.6 is a diagram showing a fourth order moment for a training signal.

도 7은 모의 실험에 사용되는 모델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del used for simulation.

도 8은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채널에서 τ=T/2에서 주파수 오차 추정 성능을 나타내는 도표이다.8 is a chart showing frequency error estimation performance at τ = T / 2 in a frequency selective fading channel.

도 9는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채널에서 τ=3T/4에서 주파수 오차 추정 성능을 나타내는 도표이다.9 is a chart showing frequency error estimation performance at τ = 3T / 4 in a frequency selective fading channel.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송신신호 2 : Rayleigh페이딩채널1: transmission signal 2: Rayleigh fading channel

3 : 제 1곱셈기 4 : 덧셈기3: first multiplier 4: adder

5 : 제 2곱셈기 6 : 수신필터5: second multiplier 6: reception filter

7 : 캐리어 오프셋 추정기 8 : 스위치7: carrier offset estimator 8: switch

9 : 출력신호 10 : 추정기입력신호9: output signal 10: estimator input signal

11, 12, 13 : 자기상관함수추정치계산부11, 12, 13: autocorrelation function estimation unit

14 : 덧셈기 15 : arg계산부14: adder 15: arg calculation unit

16 : 곱셈기 17 : 추정기출력신호16 multiplier 17 estimator output signal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바탕대역 시스템 모델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aseband system model.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신호(1)와, 이동통신 채널을 모델링 하는 Rayleigh 페이딩 채널(2)과, 반송파 주파수 오차를 곱해주는 곱셈기(3)와, 잡음 η(t)을 더해주는 덧셈기(4)와, 추정된 반송파 주파수 오차를 이용해를 곱해주는 곱셈기(5)와, 상기 곱셈기에 연결되는 리시버 필터(6)와, 상기 리시버 필터를 통과한 신호를 단속하는 스위치(7)와, 상기 스위치를 통과한 신호로부터 궤환되어 연결되는 반송파 주파수 오차 추정기(8)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 transmission signal 1, a Rayleigh fading channel 2 modeling a mobile communication channel, and a carrier frequency error Using a multiplier (3) to multiply, an adder (4) to add noise η (t), and an estimated carrier frequency error A multiplier (5) multiplying by the receiver, a receiver filter (6) connected to the multiplier, a switch (7) for intermitting a signal passing through the receiver filter, and a carrier frequency connected by feedback from the signal passing through the switch Error estimator 8.

상기 구성에서 송신신호(1)는 송신 심볼 d(j)와 바탕대역 파형 성형 함수 h(t)의 곱의 합이며, n(t)는 잡음 신호를, θ는 초기 임의 위상을, Δf는 반송파 주파수 오차를 나타낸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transmission signal 1 is the sum of the product of the transmission symbol d (j) and the baseband waveform shaping function h (t), n (t) is a noise signal, θ is an initial random phase, and Δf is a carrier wave. Indicates frequency error.

완벽한 타이밍 복구를 가정하면 t=kT에서의 수신필터의 출력은 다음의 수식과 같다.Assuming perfect timing recovery, the output of the receive filter at t = kT is given by

여기서, gk(l)은 시간 k에서의 l시간 전의 임펄스에 의한 응답을 나타내는것으로써 바탕대역에서의 등가적인 채널 임펄스 응답을 나타낸다. gk(l)은 h(t)와 도 1의 Rayleigh 페이딩 채널 블록을 이산 시간 영역에서 모두 나타내고 있고 길이는 L+1이다.Here, g k (l) represents the response by the impulse 1 hour before the time k, and represents the equivalent channel impulse response in the baseband. g k (l) represents both h (t) and the Rayleigh fading channel block in FIG. 1 in the discrete time domain and is L + 1 in length.

η(k)는 분산이인 백색 가우시안 잡음이라 가정한다. 플랫 페이딩의 경우에는 L=0이고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채널에서는 L≥1이다.η (k) is the variance Assume that is a white Gaussian noise. L = 0 for flat fading and L≥1 for frequency selective fading channe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순서도이다.2 is a flow ch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되는 추정기는 다음의 두 단계를 통해 유도된다.As shown in Fig. 2, the estimator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through the following two steps.

먼저 채널 임펄스 응답이 알려져 있다는 가정하에 종래 ML에 기반한 추정기의 직접적인 확장을 통해 얻어지는 기반 주파수 추정기가 제안되는 과정(S10)과,First,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channel impulse response is known, a process (S10) in which a base frequency estimator obtained through direct expansion of a conventional ML-based estimator is proposed,

두번째로 상기 기반 주파수 추정기로부터 백색 타입 훈련신호를 이용해 채널 정보가 필요없는 제안된 주파수 추정기로 변형되는 과정(S20)으로 구성된다.Secondly, a process of transforming the proposed frequency estimator from the base frequency estimator to the proposed frequency estimator which does not require channel information is performed (S20).

이하에서는 상기의 구성을 수학식을 첨부하면서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quation.

훈련신호 {d(k)| k=1,...,K}가 주어졌고 {gk(l)}이 훈련신호 구간동안 고정된 채널, 즉 gk(l)=g(l), k=1,...,K라 가정하면 수신신호는 다음의 수식과 같이 다시 쓸 수 있다.Training signal {d (k) | k = 1, ..., K} and {g k (l)} is fixed during the training signal interval, i.e. g k (l) = g (l), k = 1, ..., K Assuming, the received signal can be rewritten as the following equation.

채널의 임펄스 응답, {g(l)}이 알려져 있다면 기반 추정기는 다음의 수식과 같이 제안된다.If the impulse response of the channel, {g (l)}, is known, then the base estimator is proposed as follows.

여기서, Rl,l(m)은 γl(k)의 자기 상관 함수의 추정치인데 다음의 수식과 같이 정의된다.Here, R l, l (m) is an estimate of the autocorrelation function of γ l (k), which is def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상기 수학식 3의 추정기에서 Rl,l(m)에 포함되어 있는 g(i)g*(l)를 E[g(i)g*(l)]로 바꾼다면 상기 IEEE Trans. Commun., vol. 46, pp553-560 에 제안된 방식과 같은 추정기가 얻어진다. 여기서 상기 수학식 5를 수학식 4에 대입해서 정리하면 다음의 수식과 같이 나타난다.In the estimator of Equation 3, if g (i) g * (l) included in R l, l (m) is changed to E [g (i) g * (l)], the IEEE Trans. Commun., Vol. An estimator is obtained as in 46, pp553-560. In this case, the equation (5) is substituted into the equation (4).

여기서, Hl(m)은 다음의 수식과 같다.Where H l (m) is equal to the following equation.

따라서, 수학식 3의 추정기는 다음의 식과 같이 다시 쓸 수 있다.Therefore, the estimator of Equation 3 can be rewritten as in the following equation.

도 3은 기반 추정기라 불리는 주파수 추정기의 블럭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frequency estimator called a base estimator.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신호 r(k)(10)와, 상기 수신신호에 대한 자기 상관 함수의 추정치 계산부(11, 12, 13)와, 상기 추정치 계산부의 결과를 더하는 덧셈기(12)와, 상기 덧셈기의 결과에 연결되는 arg계산부(14)와, 상기 계산의 결과에을 곱하는 곱셈기(15)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an adder 12 that adds a received signal r (k) 10, an estimate calculation unit 11, 12, 13 of an autocorrelation function for the received signal, and the result of the estimate calculation unit 12. ), An arg calculator 14 connected to the result of the adder, and the result of the calculation. It consists of a multiplier 15 to multiply by.

도 4은을 구하는 도 3에서 m번째 블럭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4 is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th block in FIG.

제안될 추정기는 상기 기반 추정기로부터 유도된다. 기반 추정기가 추정할 수 있는 주파수 범위는 |ΔfT|≤0.5/N과 같다.The estimator to be proposed is derived from the base estimator. The frequency range that the base estimator can estimate is equal to | ΔfT | ≤0.5 / N.

여기서, 제안된 기반 추정기를 실제 시스템에 적용할 때 문제점은여기서, 제안된 기반 추정기를 실제 시스템에 적용할 때 문제점은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채널에서는 채널 매개 변수 |g(l)|들이 알려져 있지 않을 뿐더러 이 값들을 추정해내기 위해서는 반송파 주파수 오차가 보정되어야만 하므로 실제 시스템에 이 주파수 추정기를 적용하는 데는 무리가 있다는 점이다.Here, the problem of applying the proposed base estimator to the real system is that the problem of applying the proposed base estimator to the real system is that the channel parameters | g (l) | are not known in the frequency selective fading channel. The carrier frequency error must be corrected to estimate the value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apply this frequency estimator to the actual system.

따라서, 다음에는 상기 기반 추정기의 변형을 통해 실용적인 주파수 추정기를 제안한다.Therefore, we propose a practical frequency estimator through the modification of the base estimator.

상기 수학식 3를 상기 수학식 7에 대입하면 다음의 수식과 같이 근사화된다.Substituting Equation 3 into Equation 7 approximates the following Equation.

더 나아가 다음의 식과 같은 가정을 한다.Furthermore, we make the following assumptions.

여기서, 0≤i≤L, 0≤l≤L, 0≤m≤L 그리고 1≤m≤N이다.Where 0 ≦ i ≦ L, 0 ≦ l ≦ L, 0 ≦ m ≦ L and 1 ≦ m ≦ N.

상기 가정은 d(k)가 상관 관계가 없는, 평균이 0이고 분산이 1인 랜덤 신호들로 모델링이 된다면 다음 식과 같은 관계로부터 정당화 될 수 있다.This assumption can be justified from the following equation if modeled as random signals with an average of 0 and a variance of 1, where d (k) is not correlated.

일반적으로, 상기 수학식 10은 d(k)가 임펄스와 같은 4차 모멘트를 갖는 평균이 0인 백색 잡음의 출력이라면 만족한다. 이러한 d(k)를 백색 타입 신호라 부른다. 이러한 훈련신호에 대해서는 상기 수학식 8의 Hl(m)이 다음의 식과 같이 나타난다.In general, Equation 10 is satisfied if d (k) is an output of white noise having an average of zero having a fourth order moment such as an impulse. This d (k) is called a white type signal. For this training signal, H l (m) of Equation 8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상기 수학식 12에 의하면이고 상기 수학식 9는 다음의 식과 같이 변형된다.According to Equation 12 Equation 9 is modified as follows.

도 5은 상기 수학식 13에 따른 제안된 주파수 추정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roposed frequency estimator according to Equation (13).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안된 추정기에서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채널을 거친 수신신호 r(k)에는 상호 간섭 신호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 신호로 부터 반송파 주파수 오차를 추정하기 위해 먼저 상호 간섭 신호에 해당하는 각 가지에서 데이터 변조를 제거하고 차등 디코딩을 통해 반송파 주파수를 추정한다. 각 가지는 H_{0}(m)의 절대값으로 가중되는데 이 값은 훈련신호가 백색 타입이면 채널의 진폭 응답에 해당한다.As shown in FIG. 5, since the received signal r (k) through the frequency selective fading channel is present in the proposed estimator, there is a mutual interference signal. Data modulation is removed from each branch and the carrier frequency is estimated by differential decoding. Each branch is weighted with the absolute value of H_ {0} (m), which corresponds to the amplitude response of the channel if the training signal is white.

도 5에 보이고 있는 이 추정기는 어떤 채널 정보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백색 타입의 훈련신호가 제공된다면 실제 시스템에서 제안된 추정기가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This estimator, shown in Figure 5, does not need any channel information. Therefore, if a white type training signal is provided, the proposed estimator may be useful in a real system.

하지만, 이러한 백색 타입의 훈련신호가 사용되어야만 하는 점이 제안된 추정기를 사용하는 데 가장 큰 문제라 할 수 있다.However, this white type training signal should be used is the biggest problem in using the proposed estimator.

일반적으로 이러한 훈련신호는 가능한 전체 훈련신호 패턴을 검색한 다음 가장 백색 타입과 비슷한 신호패턴으로 결정해야 한다.In general, these training signals should be searched for the full possible training signal pattern and then determined to be the signal pattern most similar to the whitest type.

GSM 및 IS-136과 같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주어진 훈련신호는 백색 타입에 가깝다.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such as GSM and IS-136, a given training signal is close to the white type.

상기 시스템들에 대한 훈련신호는 표 1에 나타나있다.Training signals for these systems are shown in Table 1.

도 6은 각각의 훈련신호에 대한 수학식 11에서 정의된 4차 모멘트를 보여주고 있다. 4차 모멘트들이 거의 임펄스에 가깝기 때문에 이 신호들은 백색 타입이라 볼 수 있으며 따라서 GSM이나 IS-136 시스템에서는 제안된 주파수 추정기가 응용될 수 있다.6 shows the fourth order moments defined in Equation 11 for each training signal. Since the fourth moments are nearly impulse, these signals are white, so the proposed frequency estimator can be applied to GSM or IS-136 systems.

GSM에서 정하고 있는 변조방식인 GMSK(Gaussian minimum shift keying)는 선형 변조 방식, 즉 적절한 기본 파형 성형함수를 거친 OQPSK(offset quadrature phase-shift keying)로 볼 수 있다.Gaussian minimum shift keying (GMSK), which is a modulation scheme defined by GSM, can be regarded as a linear modulation scheme, that is, offset quadrature phase-shift keying (OQPSK) through an appropriate basic waveform shaping function.

GSMGSM 0,0,1,0,0,1,0,1,1,1,0,0,0,0,1,0,0,0,1,0,0,1,0,1,1,10,0,1,0,0,1,0,1,1,1,0,0,0,0,1,0,0,0,1,0,0,1,0,1,1, One IS-136IS-136

제안된 추정기와 기존의 추정기들은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첫번째로 기본적으로 AWGN 채널을 가정하고 고안된 추정기는 채널에 의해서 생기는 상호 간섭 신호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고 이 때문에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채널에서 그 성능이 나쁠 수 있다. 다음으로 ML기반의 추정기는 상호 간섭 신호를 고려해서 제안한 구조이긴 하지만 시간에 따라 변하는 채널을 고려하지 않고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채널 매개 변수로 E[g(i)g*(l)]의 고정된 값을 사용함으로 인해 실제 채널에 의한 g(i)g*(l) 값과 E[g(i)g*(l)]의 값이 다르면 주파수 추정 성능이 많이 나빠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컴퓨터 모의 실험을 통해 설명한다.The proposed estimator and the existing estimator have the following differences. Firstly, the estimator designed assuming basically AWGN channel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mutual interference signal generated by the channel at all, and therefore the performance may be poor in the frequency selective fading channel. Next, the ML-based estimator is a proposed structure that takes into account mutual interference signals, but does not consider a channel that changes with time, but fixes E [g (i) g * (l)] as a channel parameter 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se values, the frequency estimation performance may deteriorate significantly if the values of g (i) g * (l) and E [g (i) g * (l)] by the actual channel are different. This will be explained through the following computer simulation.

도 7은 모의 실험에 사용된 시스템 모델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ystem model used in the simulation.

주파수 선택적 Rayleigh 페이딩 채널에서 제안된 추정기와 상기에서 제안된 추정기들을 컴퓨터 모의 실험을 통해 비교한다.The proposed estimator is compared with the proposed estimator in the frequency selective Rayleigh fading channel through computer simulation.

본 모의실험에서의 시스템 모델로는 상기 도 5와 같은 구조가 사용되었다.As the system model in this simulation, the structure shown in FIG. 5 was used.

송신신호로 IS-136 훈련신호(K=14)가 이용되었고 채널은 두개의 레이를 갖는 Rayleigh 페이딩 채널이 고려되었다. 이 채널은 다음의 식과 같이 모델링된다.The IS-136 training signal (K = 14) was used as the transmission signal and the Rayleigh fading channel with two rays was considered. This channel is modeled as

여기서, α0(t)와 α1(t)는 서로 독립이고 평균이 0인 복소수 가우시안 랜덤 과정이다. τ는 두 레이 사이의 시 지연을 나타낸다.Here, α 0 (t) and α 1 (t) are complex Gaussian random processes that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and have an average of zero. τ represents the time delay between the two rays.

여기서 두 레이의 파워는 다음의 식과 같이 같다고 가정하였다.It is assumed here that the powers of the two ray are the same as in the following equation.

상기 수학식 14에서 매개 변수 τ는 T/2와 3T/4 두 값이 사용되었고 L=2로 고정했다. 반송파 주파수는 900MHz라 가정하였고 이동체의 속도는 100km/h라 하였다. 표준화된 반송파 주파수 오차 ΔfT는 0에서 0.5까지 변화시켰다.In Equation 14, two parameters, T / 2 and 3T / 4, were used and were fixed at L = 2. The carrier frequency is assumed to be 900MHz and the speed of the moving object is 100km / h. The normalized carrier frequency error ΔfT varied from 0 to 0.5.

또한, 상기 IEEE Trans. Commun., vol. 46, pp553-560에 제안된 추정기를 디자인하는데 있어 지수 채널 상관 함수를 다음의 식과 같이 가정하였다.In addition, the IEEE Trans. Commun., Vol. In designing the estimator proposed in 46, pp553-560, the exponential channel correlation function is assumed as follows.

도 8과 도 9는 모의 실험 결과를 보여주는 도표로, 반송파 주파수 오차에 따른 RMS(Root Mean Square) 주파수 추정에러, 즉를 나타낸다.8 and 9 are diagrams showing simulation results, and root mean square (RMS) frequency estimation error according to a carrier frequency error, that is, Indicates.

모든 추정기에 대해 N 값을 증가 시키면 주파수 추정 범위는 줄어들지만 더 정밀한 추정값을 보인다. 모든 경우에 제안된 추정기는 종래의 방식들보다 좋은 성능을 보였다.Increasing the N value for all estimators reduces the frequency estimation range, but yields a more precise estimate. In all cases the proposed estimator outperformed the conventional methods.

상기 IEEE Trans. Commun., vol. 43, pp1169-1178 에서 제안된 추정기는 제일 성능이 나쁜데 이는 이 추정기가 AWGN 채널에서 제안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IEEE Trans. Commun., vol. 46, pp553-560에 제안된 추정기 역시 시간에 따라 변하는 채널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제안된 방식보다 큰 RMS 에러 값을 나타낸다.IEEE Trans. Commun., Vol. The estimator proposed in 43, pp1169-1178 is the worst performing because it is proposed in the AWGN channel. See also IEEE Trans. Commun., Vol. The estimator proposed in 46, pp553-560 also shows a larger RMS error value than the proposed method because it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nel that change over time.

상기 기술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채널 환경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에 도플러 혹은 오실레이터의 편차로 인해 반송파 주파수 사이에 주파수 오차가 생겼을 때 훈련신호의 도움을 받아 이 반송파 주파수 오차를 추정함으로써 추정 성능을 높여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GSM이나 IS-136등의 이동통신 시스템에 응용된다면 현재 정확도 0.3-5ppm이내로 되어있는 오실레이터 제약조건을 더 완화시키면서 보다 정확하게 반송파 주파수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training signal when a frequency error occurs between carrier frequencies due to a deviation of a Doppler or oscillator between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a frequency selective fading channel environment. By estimating the carrier frequency erro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stimation performance and to more accurately compensate the carrier frequency error while mitigating the oscillator constraint that is within accuracy of 0.3-5ppm if it is applied to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GSM or IS-136. Can be.

Claims (8)

PSK(Phase Shift Keying) 계열 신호의 동기 복조시 반송파 주파수 오차 추정에 있어서,In Estimating Carrier Frequency Error During Synchronous Demodulation of Phase Shift Keying (PSK) Series Signal, 채널 임펄스 응답이 알려져 있다는 가정하에 기반 주파수 추정기가 제안되는 과정과,The process of suggesting a base frequency estimator on the assumption that the channel impulse response is known, 상기 기반 주파수 추정기로부터 백색 타입 훈련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정보가 필요없는 제안 주파수 추정기로 변형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채널에서 PSK 신호를 위한 데이터 도움 반송파 주파수 오차 추정 방법.And a step of transforming the proposed frequency estimator from the base frequency estimator into a proposed frequency estimator which does not need channel information using the white type training sign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반 주파수 추정기는 다음의 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채널에서 PSK 신호를 위한 데이터 도움 반송파 주파수 오차 추정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ase frequency estimator is a following equation. 여기서, g(l) : 채널의 임펄스 응답Where g (l) is the impulse response of the channel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Hl(m)은 다음의 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선택적 페이딩 채널에서 PSK 신호를 위한 데이터 도움 반송파 주파수 오차 추정 방법.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H 1 (m) is the following equation. 4. 여기서, d(k) : 훈련신호Where d (k): training signal r(k) : 수신신호r (k): Received signal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r(k)는 다음의 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채널에서 PSK 신호를 위한 데이터 도움 반송파 주파수 오차 추정 방법.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r (k) is the following equation. 여기서, η(k) : 잡음Where η (k): noise Δf : 반송파 주파수 오차Δf: carrier frequency error θ : 초기 임의 위상θ: initial random phas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안 주파수 추정기는 다음의 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채널에서 PSK 신호를 위한 데이터 도움 반송파 주파수 오차 추정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oposed frequency estimator is a following equation.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Hl(m)은 다음의 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채널에서 PSK 신호를 위한 데이터 도움 반송파 주파수 오차 추정 방법.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H l (m) is the following equation. 여기서, g(l) : 채널의 임펄스 응답Where g (l) is the impulse response of the channel Δf : 반송파 주파수 오차Δf: carrier frequency erro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Hl(m)은 다음의 수식 23에서 다음의 수식 22를 가정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채널에서 PSK 신호를 위한 데이터 도움 반송파 주파수 오차 추정 방법.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H l (m) is made by assuming the following equation 22 in the following equation 23. 여기서, 0≤i≤L, 0≤l≤L, 0≤m≤L, 1≤m≤LWhere 0≤i≤L, 0≤l≤L, 0≤m≤L, 1≤m≤L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수학식 21은 d(k)가 상관 관계가 없는 평균이 0이고 분산이 1인 랜덤 신호들로 모델링이 된다면 다음의 식으로부터 정당화 될 수 있고,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Equation 21 may be justified from the following equation if d (k) is modeled as random signals having an uncorrelated average of 0 and a variance of 1. d(k)가 임펄스와 같은 4차 모멘트를 갖는 평균이 0인 백색 잡음의 출력인 경우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채널에서 PSK 신호를 위한 데이터 도움 반송파 주파수 오차 추정 방법.A method for estimating data-assisted carrier frequency error for a PSK signal in a frequency selective fading channel, characterized in that d (k) satisfies if the output is a white noise with an average of zero having a fourth order moment such as an impulse.
KR1020000010686A 2000-03-03 2000-03-03 Data-aided frequency estimation method for PSK signaling in frequency-selective fading KR1003610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0686A KR100361030B1 (en) 2000-03-03 2000-03-03 Data-aided frequency estimation method for PSK signaling in frequency-selective fa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0686A KR100361030B1 (en) 2000-03-03 2000-03-03 Data-aided frequency estimation method for PSK signaling in frequency-selective fad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6792A true KR20010086792A (en) 2001-09-15
KR100361030B1 KR100361030B1 (en) 2002-11-18

Family

ID=19651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0686A KR100361030B1 (en) 2000-03-03 2000-03-03 Data-aided frequency estimation method for PSK signaling in frequency-selective fa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103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148B1 (en) * 2002-05-31 2005-03-21 한국과학기술원 Carrier frequency estimation method for transmissions with antenna diversit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4063B2 (en) * 1993-07-23 2002-10-15 日本無線株式会社 Frequency offset estima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US5640431A (en) * 1995-03-10 1997-06-1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ffset frequency estimation for a coherent receiver
DE19605704A1 (en) * 1996-02-16 1997-08-21 Bosch Gmbh Robert Frequency error detector
US5943606A (en) * 1996-09-30 1999-08-24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ation of frequency offsets in communication systems
US6005889A (en) * 1997-07-17 1999-12-21 Nokia Pseudo-random noise detector for signals having a carrier frequency offs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148B1 (en) * 2002-05-31 2005-03-21 한국과학기술원 Carrier frequency estimation method for transmissions with antenna divers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1030B1 (en) 200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81823B (en) Method for correcting sampling frequency offset of a data packet in a communications system
EP0715440B1 (en) Synchronous detector and synchronizing method for digital communication receiver
CN101124800B (en) Coarse timing estimation system and methodology for wireless symbols
US20050276354A1 (en) IQ imbalance compensation
CN108881089B (en) Pilot frequency detection method of SOQPSK modulation signal in remote measuring system
CN107483380A (en) A kind of OQPSK signal high-frequency offset carrier synchronous method based on multistage architecture
JPH10503067A (en) Generalized direct update Viterbi equalizer
US6947504B1 (en) Frequency synchronizer
JP3190318B2 (en) Frequency error estimating apparatus and frequency error estimating method
CN1913396B (en) Single/multiple carrier compatible digital broadcast system communication method
EP0838111B1 (en) Carrier recovery for digitally phase modulated signals, using a known sequence
CN111131098A (en) Doppler factor estimation method based on autocorrelation output peak interpolation of underwater sound OFDM signal
CN109756435B (en) Method for estimating frequency offset of signal
CN113037671A (en) Low-complexity efficient SOQPSK symbol timing and phase joint synchronization algorithm
CN101043503B (en) Method for fine synchronizing OFDM symbol and apparatus thereof
Okamoto et al. Rayleigh fading compensation for 16QAM using FFT
KR20040022456A (en) Frequency discriminator
CN105262706A (en) Method and device for estimation and compensation of frequency offset
KR20050086724A (en) Method and corresponding arrangement for dc offset compensation using channel estimation
KR20010086792A (en) Data-aided frequency estimation method for PSK signaling in frequency-selective fading
Wu et al. Symbol timing recovery for GMSK modulation based on squaring algorithm
JPH05152894A (en) Adaptive equalizer
JP5761748B2 (en) Symbol synchronization acquisition system and method
Shen et al. Blind symbol rate estimation based on BPF bank
CN1714549B (en) Method and corresponding arrangement for DC offset compensation using channel esti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