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6658A - 벤조디아제핀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싸이클린 의존키나아제 저해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벤조디아제핀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싸이클린 의존키나아제 저해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6658A
KR20010086658A KR1020000010322A KR20000010322A KR20010086658A KR 20010086658 A KR20010086658 A KR 20010086658A KR 1020000010322 A KR1020000010322 A KR 1020000010322A KR 20000010322 A KR20000010322 A KR 20000010322A KR 20010086658 A KR20010086658 A KR 20010086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und
dihydropyrazolo
benzodiazepine
benzodiaze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0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현
홍창용
이진호
박태식
최세현
윤숙경
김동명
손호선
전영호
신동규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20000010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86658A/ko
Publication of KR20010086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665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2Retractable needles, i.e. disconnected from and withdrawn into the syringe barrel by the pis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venous or arterial blood, e.g. with syrin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싸이클린 의존 키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벤조디아제핀 구조를 갖는 하기 화학식 1, 2 또는 3의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 화합물 및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암, 염증, 혈관 협착증 및 혈관생성 등 세포증식에 관련된 질병의 억제 및 치료의 효능을 가진다.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상기식에서 R1, R2, R3, R4 및 W는 명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Description

벤조디아제핀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싸이클린 의존 키나아제 저해제 조성물{Benzodiazepine derivatives and cyclin dependent kinase inhibitor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학식 1, 2 또는 3의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싸이클린 의존 키나아제(cyclin dependent kinase, 이하 "CDK" 라 한다) 저해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식에서,
R1은 수소; 저급알킬; 할로젠; 방향족; 질소, 산소 또는 황 원자가 고리에 포함된 방향족; 아미드; 에스터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며,
W는 수소, 할로젠, N, O, S, SO, SO2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며,
R2와 R3는 각각 없거나, 수소; 저급알킬이나 방향족이 치환된 저급알킬; 설폰; 아미노를 나타내거나, W가 N일 때 R2와 R3가 같이 C3-C7시클로알킬을 만들며 이 때 시클로알킬에는 N, O, S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R4는 다음 하기 화학식의 어느 하나를 나타내며,
여기서, R5와 R6는 각각 수소; 저급알킬; 방향족이 치환된 저급알킬; 방향족; N, S가 고리에 포함된 방향족 중의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세포분열 과정의 분자 수준에서의 본격적인 연구는 1980년대 후반 개구리 난자의 분열에 관한 연구, 효모의 여러 세포 성장이나 방사성 돌연변이의 특성분석, 그리고 종양 억제자인 Rb 의 연구를 통하여 활발해지기 시작하였다. 90년 대에 들어 더욱 자세히 밝혀지기 시작한 세포분열 조절의 기작은 작은 세포성장 조절인자가 세포성장 조절기능을 통하여 세포의 성장, 분화, 발생, 노화, 및 고사(apoptosis)을 중심적으로 조절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이미 여러 질병의 병적 현상들을 좀더 정확히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주게 되었다. 그 대표적인 예가 암이다.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변형되는 과정에서 세포성장 조절이 그 기능을 상실할 때가 많이 발견되었다. 암세포들의 분석은 세포성장 조절인자의 활성이 정상과 다른 경우의 예를 많이 보여 주었고 특히 이 중에는 암 병리학에서 가장 문제시 되는 암의 침입(invasion), 전이(metastasis)와 깊은 상관 관계를 보여 주는 경우도 있다. 형질전환 동물을 이용하여 세포성장을 조절하는 요소들의 과량발현 (overexpression) 또는 녹-아웃 (knock-out) 을 유도하면 이들 실험동물에 암이 유발되는 것은 세포주기의 조절해제 (cell cycle deregulation)가 암을 생성하는 직접적인 요인이 됨을 증명하고 있다.
세포성장 과정은 여타 모든 생물학적인 조절과 마찬가지로 정(正) 조절 (positive regulation) 과 부(負) 조절 (negative regulation) 을 받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세포주기 조절의 주 골격은 싸이클린 의존 키나아제 활성에 의해서 그 진행이 결정되며 이 키나아제 활성은 세포가 처한 환경에 따라 정 또는 부 조절을 받게 된다. 많은 암 세포나 발암 기전의 연구결과 이 정 또는 부 조절에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가 많이 발견되었다. 즉 필요이상의 지나친 정 또는 부 조절상실, 그리고 세포성장 조절에서 중요한 면인 적시 조절 (timely regulation) 의 어긋남이 암세포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포유류에서 대표적인 싸이클린 의존 키나아제로는 3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는 세포주기의 중-G1 기에서 활성이 있는 CDK4 (싸이클린 의존 키나아제 4) 이고, 둘째는 중-G1 과 S 기에서 활성이 있는 CDK2, 그리고 G2-M 기에서 활성이 있는 CDC2 (CDK1) 이다. 이중 CDK4 와 CDK2 는 G1-S 세포주기 체크포인트 (check point)에 의해서 그 활성이 조절되며 CDC2 는 G2-M 체크포인트에 의해서 조절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러 암 세포들에서 CDK4 와 CDK2 및, CDC2 (CDK1) 의 조절 기작이 이상성을 보여주고 실지로 형질전환 동물에서의 인위적으로 유도한 이들 효소의 비 이상성이 암을 유발함이 보여 주었다. 이는 여러 싸이클린 의존 키나아제 중 CDK4 와 CDK2 및, CDC2 (CDK1)가 항암제로서 가장 유망한 표적임을 증명한다고 하겠다(Webster,Exp. Opin. Invest. Drugs, 1998, 7(6), 865-887).
먼저 CDK4의 경우를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CDK4 활성의 비이상적 조절과 암 유발과의 연관은 여러 암 조직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여러 암에서 p16, p15 의 결실이 보고 되었고 특히 싸이클린 D1 의 과량발현은 여러 암에서 나타나는데 특히 유방암이 전이성질을 띠는 것과 잘 연관이 됨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조절이 해제된 CDK4 활성이 암세포의 악성 표현형 (malignant phenotype) 의 요인이 될 가능성을 제시해 주고 있다. P16 녹아웃 마우스가 p53 녹아웃 마우스 만큼이나 암이 잘 발생한다고 보고된 것은 p16 의 CDK4 기능 조절의 상실이 암의 원인이 됨을 증명했다고 볼 수 있다(Liggett et al., J. Clin. Oncology, 1998, 16(3), 1197-1206). Ras 나 src 등을 과량발현 시킨 NIH 3T3 세포에 있어서 하부 (downstream)에서 그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위에 열거된 실험적 증거들은 CDK4 활성의 조절해제가 암을 유도하는 원인이 됨은 분명한 사실임을 입증한다고 여겨지고 한걸음 더 나아가 암세포의 표현형을 유지하게 하는 역할을 하고있을 가능성을 보여 준다고 하겠다. 따라서 CDK4 의 저해제는 항암효과를 보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생각된다.
다음으로 CDK2 의 경우는 일부 유방암에서 싸이클린 E 의 과다발현이 관찰되었고 이는 유방암의 전이와 깊은 연관이 있음이 잘 알려져 있다. 싸이클린 E 의 과다발현이 낮은 저(低) 혈청 조건에서 세포의 고사를 저해하며, 고착 비의존적 성장 (anchorage independent growth)을 유발 하는 것으로 제안 되었다. MMTV 프로모터를 이용한 CDK2 과량발현 형질전환 동물에서 유방 상피세포의 이상증식 (hyperproliferation, neoplasia)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CDK2 활성이 세포변형 과정, 혹은 그것의 유지에 관여됨을 강하게 시사하며, CDK2 의 저해제의 항암제로의 높은 가능성을 증명한다고 할 수 있다.
이밖에도 CDC2 (CDK1), CDK3, CDK5, CDK6, CDK7 등도 세포분열 과정의 각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이 속속 밝혀지고 있으며 같은 싸이클린 의존 키나아제 (CDKs)의 훼밀리로 구분되고 있다. 또, 싸이클린의 경우도 위에서 언급했던 싸이클린 D1 이나 싸이클린 E 이외에 싸이클린 A, B, C, D2, D3, D4, F, 그리고 싸이클린 G 도 같은 훼밀리에 속한다.
이렇게 축적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항암제의 좋은 표적으로 이들 싸이클린 의존 키나아제 (CDKs) 들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저해제를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가 최근에 와서 이루어지기 시작 했다.
지금까지 효과적인 CDKs 저해제로서 개발된 대표적인 화합물로는 하기 화학식 A의 플라보피리돌[Flavopiridol]이 유럽특허 제 0,241,003 (1987) 및 0, 366,061 (1990)호에 개시되어 있다.
[화학식 A]
다음으로 화학식 B의 퓨린 구조를 갖는 CDKs 저해제가 국제특허공개 제 WO 97/20842호에 개시된 바 있다.
[화학식 B]
또한, 화학식 C의 4-아미노피리미딘 구조를 갖는 CDKs 저해제가 최근에 국제특허공개 제 WO 98/33798 호에 개시된 바 있다.
[화학식 C]
본 발명자들은 이들 싸이클린 의존 키나아제(CDK)들의 기능을 저해하는 신규한 화합물을 합성하고 그 저해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상기 화학식 1, 2 또는 3의 화합물이 소기의 목적에 부합되어 이들이 항암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여기서 CDK 란 CDK2, CDK4 및 CDC2 (CDK1), CDK3, CDK5, CDK6, CDK7 등을 포함하며 싸이클린도 싸이클린 D1 와 싸이클린 E 및 싸이클린 A, B, C, D2, D3, D4, F, G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암, 염증, 혈관 협착증 및 혈관생성 등 세포증식에 관련된 질병의 억제 및 치료효과를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포증식에 관련된 질병의 억제 및 치료효과를 갖는 화학식 1, 2 또는 3의 화합물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학식 1, 2 또는 3의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학식 1, 2 또는 3의 구조를 갖는, 신규한 싸이클린 의존 키나아제 (cyclin dependent kinase, 이하 "CDK" 라 한다) 저해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수화물, 용매화물, 이성체,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것은 염증, 혈관 협착증 및 혈관생성 등 세포증식에 관련된 질병의 억제 및 치료제로도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상기식에서,
R1은 수소; 저급알킬; 할로젠; 방향족; 질소, 산소 또는 황 원자가 고리에 포함된 방향족; 아미드; 에스터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며,
W는 수소, 할로젠, N, O, S, SO, SO2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며,
R2와 R3는 각각 없거나, 수소; 저급알킬이나 방향족이 치환된 저급알킬; 설폰; 아미노를 나타내거나, W가 N일 때 R2와 R3가 같이 C3-C7시클로알킬을 만들며 이 때 시클로알킬에는 N, O, S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R4는 다음 하기 화학식의 어느 하나를 나타내며,
여기서, R5와 R6는 각각 수소; 저급알킬; 방향족이 치환된 저급알킬; 방향족; N, S가 고리에 포함된 방향족 중의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우수한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상기 화학식 1, 2 또는 3의 화합물 중에서도 바람직한 화합물은 화학식 1, 2 또는 3에서,
W는 수소; 할로젠; N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며,
R2와 R3는 각각 없거나, 수소; 저급알킬이나 방향족이 치환된 저급알킬, 설폰을 나타내며,
R4는 다음 화학식의 어느 하나를 나타내며,
여기서, R5와 R6는 각각 수소; 저급알킬; 방향족이 치환된 저급알킬; 방향족; N, S가 고리에 포함된 방향족중의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대표적인 예는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다.
1. 1-벤질-7-브로모-5,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4(2H)-온
2. 7-브로모-5,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4(2H)-온,
3. 7-아미노-1-벤질-5,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4(2H)-온
4. N-(1-벤질-4-옥소-1,4,5,10-테트라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7-일)메탄설폰아미드
5. 7-아미노-3-이소프로필-5,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4(2H)-온,
6. 7-(벤질아미노)-3-이소프로필-5,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4(2H)-온,
7. 1-벤질-7-브로모-3-이소프로필-5,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4(2H)-온
8. 7-브로모-3-이소프로필-5,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4(2H)-온,
9. 3-이소프로필-5,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4(2H)-온,
10. 4-(1-피페리디닐)-2,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
11. 4-(4-몰포리닐)-2,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
12. 4-(4-메틸-1-피페라지닐)-2,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
13. 4-(4-페닐-1-피페라지닐)-2,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
14. 1-벤질-4-[4-(2-피리디닐)-1-피페라지닐]-1,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
15. 4-[4-(2-피리디닐)-1-피페라지닐]-2,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 2 또는 3의 화합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을 함유하는 무독성 산부가염을 형성하는 산, 예를 들면 염산, 황산, 질산, 인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등과 같은 무기산, 타타르산, 포름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카프릭산, 이소부탄산, 옥살산, 말론산, 석신산, 프탈산, 글루콘산, 벤조산, 락트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등과 같은 유기 카본산, 메탄설폰산, 벤젠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또는 나프탈렌설폰산 등과 같은 설폰산 등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 2 및 3의 화합물은 각각 하기 반응식 1과 2에 도시 된 바와 같이 합성할 수 있다.
상기식에서 W, R1, R2, R3, R4는 앞에서 정의 한 바와 같고 이하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학식 1과 2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화학식 4의 화합물을 화학식 5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6의 화합물을 얻고,
화학식 6의 화합물에 디메틸설페이트를 가해 교반시켜 화학식 7의 화합물을 얻고,
화학식 7의 화합물과 벤질히드라진을 반응시켜 화학식 8의 화합물을 얻고,
화학식 8의 화합물에 화학식 9의 화합물을 가해 교반시켜 화학식 10의 화합물을 얻고,
화학식 10의 화합물을 틴클로라이드 존재하에 또는 수소 기체하에(10% 팔라듐-활성 탄소에서) 환류시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얻거나,
추가로 이 화합물에 알루미늄클로라이드 또는 메탄설포닐클로라이드를 가해 환류시켜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얻는다:
상기식에서, R1, R2, R3, 및 W는 상기에 정의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학식 3 화합물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화학식 11의 화합물과 벤질히드라진을 반응시켜 화학식 12의 화합물을 얻고,
화학식 12의 화합물에 화학식 9의 화합물을 가해 교반시켜 화학식 13의 화합물을 얻고,
화학식 13의 화합물을 틴클로라이드 존재하에 환류시켜 화학식 14의 화합물을 얻고,
화학식 14의 화합물을 화학식 15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16의 화합물을 얻고,
이 화합물에 알루미늄클로라이드를 가해 환류시켜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제 1 항에 따른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화학식 9]
H-R4
상기식에서, R1, R2, R3, 및 W는 상기에 정의한 바와 같다.
이러한 화학식 1과 2 및 3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도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제조방법이 하기에 설명하는 것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명세서에서 기재되거나 선행문헌에 게시된 여러 가지 합성방법을 임의로 조합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이러한 조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 업자에게 범용화 된 통상의 기술이다.
다음 실시예에서는 최종화합물을 합성하는 과정을 기술하고 있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신규화합물의 제조방법을 더 자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이나, 단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벤질-7-브로모-5,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4(2H)-온(1)의 합성
1-1) 에틸 5-아미노-1-벤질-1H-피라졸-4-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벤질히드라진 3g (15 mmole)을 에탄올 120ml에 녹인 후, 트리에틸아민 6.4ml와 에틸 (에톡시메틸렌)시아노아세테이트 2.6g을 가하고 5시간동안 환류시키면서 끓였다. 용매를 감압증류로 제거한 다음 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 (2:1)의 혼합용매를 이용한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2.2g을 58%의 수율로 얻었다.
1H NMR (CDCl3, ppm); 1.32 (3H,t, J =7.0 Hz), 4.24 (2H, q, J=7.0 Hz), 4.85 (2H, s), 5.14 (2H, s), 7.16 (2H, m), 7.34 (3H, m), 7.67 (1H, s)
ESI MS(m/e) = 246 [M+H]+
1-2) 에틸 1-벤질-5-(4-브로모-2-니트로아닐리노)-1H-피라졸-4-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상기 실시예 1-1)에서 얻은 화합물 2.2g (9 mmole)을 테트라히드로퓨란에 녹인 후 소듐히드라이드 0.72g (18 mmole)와 1-브로모-4-플루오로-3-니트로벤젠 1.98g (9 mmole)을 0C에서 차례로 가하고 상온에서 10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소량의 물을 0C 에서 가하여 남아있는 소듐히드라이드를 제거한 다음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하였다. 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 (2:1)의 혼합용매를 이용한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3.2g을 80%의 수율로 얻었다.
1H NMR (CDCl3, ppm); 1.11 (3H, t, J=7.0 Hz), 4.12 (2H, q, J=7.0 Hz), 5.22 (2H, s), 6.33 (2H, d, J = 10.0 Hz), 7.15 (2H, m), 7.25 (3H, m), 7.34 (1H, dd), 8.04 (1H, s), 8.34 (1H, d), 9.00 (1H, s)
ESI MS(m/e) = 446 [M+H]+
1-3) 1-벤질-7-브로모-5,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4(2H)-온 의 합성
상기 실시예 1-2)에서 얻은 화합물 3.15g ( 7 mmole)을 130ml의 에탄올에 녹인 후 틴클로라이드 4 g (21 mmole)과 12N 염산용액 29ml을 가하고 환류시키면서 5시간동안 끓였다.
1N NaOH로 중화 시키고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한 후 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 (3:2)의 혼합용매를 이용한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0.27g을 10%의 수율로 얻었다
1H NMR (CDCl3, ppm); 4.99 (2H, s), 6.33 (1H, s), 6.71 (2H, m), 6.89 (2H, d), 7.06 (3H, m), 7.42 (1H, s), 7.71 (1H, s)
ESI MS(m/e) = 370 [M+H]+
실시예 2. 7-브로모-5,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4(2H)-온(2)의 합성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화합물 0.27g (0.7 mmole)을 톨루엔 30ml에 녹인 후, 알루미늄클로라이드 0.49g (0.367mmol)을 가하고 환류시키면서 2시간동안 끓였다. 0C에서 2 수산화나트륨을 가하여 염기화 시킨 후, 생성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용출하였다.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한 후, 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 (1:1)의 혼합용매를 이용한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0.03 g을 15 %의 수율로 얻었다.
1H NMR (CD3OD, ppm); 6.75 (1H, d), 7.03 (2H, m), 7.82 (1H, s)
ESI MS(m/e) = 279 [M+H]+
실시예 3. 7-아미노-1-벤질-5,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4(2H)-온(3)의 합성
3-1) 에틸 1-벤질-5-(2,4-디니트로아닐리노)-1H-피라졸-4-카복실레이트의 합성
상기 실시예 1-1)에서 얻은 화합물 1g (4 mmole)을 테트라히드로퓨란에 녹인 후 소듐히드라이드 0.41g (10 mmole)와 2,4-디니트로플루오로벤젠 0.56ml (4.4 mmole)을 0C에서 차례로 가하고 상온에서 10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소량의 물을 0C 에서 가하여 남아있는 소듐히드라이드를 제거한 다음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하였다. 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 (2:1)의 혼합용매를 이용한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0.76g을 45%의 수율로 얻었다.
1H NMR (CDCl3, ppm); 1.12 (3H, t), 4.10 (2H, q), 5.27 (2H, s), 6.46 (1H, d), 7.13 (2H, m), 7.23 (3H, m), 8.04 (2H, m), 9.08 (1H, d). 9.45 (1H, s)
ESI MS(m/e) = 412 [M+H]+
3-2) 7-아미노-1-벤질-5,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4(2H)-온의 합성
상기 실시예 3-1)에서 얻은 화합물 0.76g (1.8 mmole)을 메탄올에 녹인 후, 10%의 팔라디움을 포함한 활성 탄소를 소량 가하고 수소기체 하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셀라이트를 이용한 감압여과로 고체를 제거한 뒤, 용매를 감압증류로 제거하여 디아미노 화합물을 0.64 g (99%)얻었다. 이 화합물을 더 이상의 정제 없이 40ml의 디메틸설폭사이드에 녹인 후, 소디움하이드라이드 0.3g (7.2 mmole)을 가하고 1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용액을 얼음물에 넣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여 용매를 감압증류로 제거하여 0.22g 을 40%의 수율로 얻었다.
1H NMR (CDCl3, ppm); 5.13 (2H, s), 6.04 (1H, d), 6.15 (1H, m), 6.24 (1H, d), 7.08 (2H, d), 7.23 (3H, m), 7.60 (1H, s)
ESI MS(m/e) = 306[M+H]+
실시예 4. N-(1-벤질-4-옥소-1,4,5,10-테트라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7-일)메탄설폰아미드(4)의 합성
상기 실시예 3에서 얻어진 화합물 0.1g (0.33mmole)을 테트라히드로퓨란에 녹인 후, 트리에틸아민 0.114ml (8.2 mmole)와 메탄설포닐클로라이드 0.028ml (0.36 mmole)를 가하고 상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증류로 제거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여 표제화합물 0.02g 을 16 %의 수율로 얻었다.
1H NMR (CD3OD, ppm); 2.92 (3H, s), 5.29 (2H, s), 6.74 (2H, d), 6.82 (2H, m), 7.15 (2H, m), 7.27 (1H, t), 7.33 (2H, m), 7.66 (1H, s)
ESI MS(m/e) = 384[M+H]+
실시예 5. 7-아미노-3-이소프로필-5,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4(2H)-온(5)의 합성
5-1) 에틸 2-시아노-4-메틸-3-옥소펜테노에이트의 합성
에틸시아노아세테이트 5ml (42 mmole) 을 300ml의 테트라히드로퓨란에 녹인 후, 소디움하이드라이드 3g (8.4 mmole)를 가하였다. 상기 용액에 이소부티로일클로라이드 4.8ml (4.6 mmole)을 0C에서 서서히 적가하였다. 상온에서 1시간동안 교반한 다음 1N 염산 용액을 100ml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하였다. 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19:1)의 혼합용매를 이용한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7.8g을 99%의 수율로 얻었다.
1H NMR (CDCl3, ppm); 1.09 (3H, s), 1.10 (3H, s), 1.33 (3H, t), 3.77 (1H, m), 3.91 (1H, m), 4.23 (2H, q),
5-2) 에틸 (Z)-2-시아노-3-메톡시-4-메틸-2-펜테노에이트의 합성
상기 실시예 5-1)에서 얻은 화합물 3g (16.4 mmole)을 1,4-디옥산 20ml와 물 4ml의 혼합용액에 녹인 후, 탄산 수소나트륨 11g (131 mmole)과 디메틸설페이트 10ml (115 mmole)을 가하였다. 80-90C에서 1시간동안 교반한 다음 물 60ml을 가하고 t-부틸 메틸에테르 50ml로 2번 용출하였다. 용매를 감압증류로 제거하여 표제화합물 1.3 g을 40 %의 수율로 얻었다.
1H NMR (CDCl3, ppm); 1.09 (3H, s), 1.10 (3H, s), 1.33 (3H, t), 3.92 (1H, m), 4.23 (2H, q), 4.30 (3H, s)
5-3) 에틸 5-아미노-1-벤질-3-이소프로필-1H-피라졸-4-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상기 실시예 5-2)에서 얻은 화합물 1.3g (6.6 mmole)을 에탄올에 녹인 후, 트리에틸아민 2.76 ml (19.8 mmole)와 벤질히드라진 디염산 염 1.5g (7.9 mmole)을 가하고 18시간 동안 환류시키면서 끓였다. 용매를 감압증류로 제거한 다음 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 (4:1)의 혼합용매를 이용한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0.2 g을 11%의 수율로 얻었다.
1H NMR (CDCl3, ppm); 1.28(3H, s), 1.29 (3H, s), 1.33 (3H, t), 3.39 (1H, m), 4.26(2H, q), 4.86 (2H,br), 5.11 (2H, s), 7.14 (2H, d), 7.28 (1H, d), 7.33(2H, m)
ESI MS(m/e) = 288 [M+H]+
5-4) 7-아미노-3-이소프로필-5,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4(2H)-온의 합성
상기 실시예 5-3)에서 얻은 화합물을 실시예 1-2), 1-3), 실시예 2와 동일한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화합물 0.005 g을 50 %의 수율로 얻었다. 단 실시예 1-2)의 반응에서 1-브로모-4-플루오로-3-니트로벤젠 대신 2,4-디니트로-1-플루오로벤젠을 사용하였다.
1H NMR (CD3OD, ppm); 1.25 (6H, m), 3.61 (1H, m), 4.23 (2H, s), 6.23 (1H, d), 6.32 (1H, m), 6.65 (1H,d)
API MS(m/e) = 258 [M+H]+
실시예 6. 7-(벤질아미노)-3-이소프로필-5,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4(2H)- 온(6)의 합성
6-1) 에틸 1-벤질-5-[4-(벤질아미노)-2-니트로아닐리노]-3-이소프로필-1H-피라졸-4-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상기 실시예 1-2) 와 동일한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화합물 0.14 g을 49 %의 수율로 얻었다. 단 실시예 1-2)의 반응에서 1-브로모-4-플루오로-3-니트로벤젠 대신 N-벤질-4 플루오로-3-니트로아닐린을 사용하였다.
1H NMR (CDCl3, ppm); 1.08 (3H, t), 1.32 (3H, s), 1.33 (3H, s), 3.54 (1H, m), 4.09 (2H, q), 4.30 (2H, s), 5.10 (2H, s), 6.38 (1H, d), 6.70 (1H, dd), 7.07 (1H, m), 7.22 (3H, m), 7.35 (5H, m), 8.75 (1H, s).
6-2) 에틸 5-[2-아미노-4-(벤질아미노)아닐리노]-1-벤질-3-이소프로필-1H-피라졸-4-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
상기 실시예 6-1)에서 얻은 화합물 0.13g (0.25 mmole)을 상기 실시예 1-3)과 동일한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화합물 0.09g을 74%의 수율로 얻었다.
1H NMR (CDCl3, ppm); 1.34 (9H, m), 3.44 (1H, m), 4.29 (4H, m), 4.84 (2H, s), 5.91 (2H, m), 6.68 (3H, m), 7.14 (3H, m), 7.38 (5H, m)
6-3)1-벤질-7-(벤질아미노)-3-이소프로필-5,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 벤조디아제핀-4(1H)-온의 합성
상기 실시예 6-2)에서 얻은 화합물 0.09g (0.19 mmole)을 상기 실시예 40ml의 디메틸설폭사이드에 녹인 후, 소디움하이드라이드 0.4g (9.5 mmole)을 가하고 0.5 시간동안 70C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용액을 얼음물에 넣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용매를 감압증류로 제거한 후, 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 (1:1)의 혼합용매를 이용한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0.036 g을 44 %의 수율로 얻었다.
1H NMR (CDCl3, ppm); 0.93 (3H, s), 0.95 (3H, s), 3.24 (1H, m), 4.34 (2H, s), 4.94 (2H, s), 5.87 (1H, d), 5.93 (1H, dd), 6.11 (1H, d), 6.83 (2H, d), 7.03 (8H, m)
ESI MS(m/e) = 438 [M+H]+
6-4) 7-(벤질아미노)-3-이소프로필-5,10-디히드로피라졸로 [3,4-b][1,5]벤조디아제핀-4(2H)-온의 합성
상기 실시예 6-3)에서 얻은 화합물 0.036g (0.082 mmole)을 톨루엔 15ml에 녹인 후, 알루미늄클로라이드를 가하고 환류시키면서 2시간동안 끓였다. 반응 용액에 수산화나트륨을 가하여 염기화 시킨 후, 생성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용출하였다. 감압증류로 용매를 제거한 후, 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 (1:2)의 혼합용매를 이용한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0.01 g을 35 %의 수율로 얻었다.
1H NMR (CD3OD, ppm); 1.24 (3H, s), 1.25 (3H, s), 3.61 (1H, m), 6.23(1H, d), 6.32 (1H, m), 6.64 (1H, d), 7.19 (1H, t), 7.28 (2H, t), 7.33(2H, d)
ESI MS(m/e) = 348 [M+H]+
실시예 7. 1-벤질-7-브로모-3-이소프로필-5,10-디히드로피라졸로 [3,4-b] [1,5] 벤조디아제핀-4(2H)-온(7)의 합성
상기 실시예 5-3)에서 얻은 화합물을 실시예 1-2), 1-3)과 동일한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화합물 0.07 g을 78 %의 수율로 얻었다.
1H NMR (CDCl3, ppm); 1.29 (3H, s), 1.31 (3H, s), 3.57 (1H, m), 5.23 (2H, s), 5.56 (1H, s), 5.96 (1H, d), 6.87 (1H, dd), 7.03 (1H, d), 7.22(2H, d), 7.38 (4H, m), 8.32 (1H, s)
ESI MS(m/e) = 411 [M+H]+
실시예 8. 7-브로모-3-이소프로필-5,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4(2H)-온(8)의 합성
상기 실시예 7에서 얻은 화합물을 실시예 2와 동일한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화합물 0.003 g을 12 %의 수율로 얻었다.
1H NMR (CDCl3+CD3OD, ppm); 1.13 (6H, m), 3.51 (1H, m), 6.54 (1H, d), 6.85 (1H, d), 6.89 (1H, m)
ESI MS(m/e) = 321[M+H]+
실시예 9. 3-이소프로필-5,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4(2H)-온(9)의 합성
상기 실시예 5-3)에서 얻은 화합물을 실시예 1-2), 1-3), 실시예 2와 동일한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화합물 0.003 g을 9 %의 수율로 얻었다. 단 실시예 1-2)의 반응에서 1-브로모-4-플루오로-3-니트로벤젠 대신 2-니트로-1-플루오로벤젠을 사용하였다.
1H NMR (CDCl3+ CD3OD, ppm); 1.13 (6H, m), 3.51 (1H, m), 6.67 (2H, m), 6.75 (1H, m), 6.82 (1H, m) ESI MS(m/e) = 243[M+H]+
실시예 10. 4-(1-피페리디닐)-2,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10)의 합성
10-1) 5-아미노-1-벤질-1H-피라졸-4-카보니트릴의 합성
상기 실시예 1-1)에서 에틸 (에톡시메틸렌)시아노아세테이트 대신 에톡시메틸렌말론니트릴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을 75%의 수율로 얻었다.
1H NMR (DMSO-d6, ppm); 5.15 (2H, s), 6.71 (2H, s), 7.15 (2H, d), 7.27(1H, m), 7.33 (2H,m), 7.58 (1H, s)
ESI MS(m/e) = 199[M+H]+
10-2) 1-벤질-5-(2-니트로아닐리노)1H-피라졸-4-카보니트릴의 합성
상기 실시예 1-2)에서 1-브로모-4-플루오로-3-니트로벤젠 대신 2-플루오로니트로벤젠을 사용하고, 실시예 1-1)에서 얻은 화합물 대신 상기 실시예 10-1)에서 얻은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2)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표제화합물을 80%의 수율로 얻었다.
1H NMR (DMSO-d6, ppm); 5.30 (2H, s), 6.59 (1H, d), 6.99 (1H, t), 6.14 (2H, d), 7.23 (3H, m), 7.48 (1H, t), 8.12 (1H, d), 8.17 ( 1H, s)
ESI MS(m/e) = 320[M+H]+
10-3) 1-벤질-1,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4-아민의 합성
상기 실시예 1-3)에서 실시예 1-2)에서 얻은 화합물 대신 실시예 10-2)에서 얻은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실시한 다음, 물과 에틸아세테이트 (6:1)로 처리하여 고체를 석출 시킴으로써 표제화합물을 82%의 수율로 얻었다.
1H NMR (DMSO-d6, ppm); 5.39 (2H, s), 6.97 (1H, d), 7.02 (1H, t), 7.09 (2H, m), 7.24 (2H,d), 7.30 (1H, t), 7.36 (2H, t)
APCI MS(m/e) = 290[M+H]+
10-4) 1-벤질-4-(1-피페리디닐)-1,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의 합성
피페라진 3ml을 톨루엔 8ml와 디메틸설폭사이드 8ml의 혼합액에 가하고 질소를 1시간동안 불어 주었다. 이 용액에 상기 실시예 10-3)에서 얻은 화합물 0.1g을 가하고 18시간동안 환류시키면서 끓였다. 용매를 감암증류로 제거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고 물로 3번 씻어 주었다. 용매를 감압증류로 제거한 후, 메탄올과 디클로로메탄 (5:95)의 혼합용매를 이용한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0.03g을 34%의 수율로 얻었다
1H NMR (CDCl3, ppm); 1.67 (6H, s), 3.57 (4H, s), 5.28 (2H, s), 6.08 (1H, br), 6.70 (1H, t), 6.88 (1H, t), 7.01 (1H,d), 7.23 (1H, d), 7.29 (1H, s), 7.35 (3H, m)
10-5) 4-(1-피페리디닐)-2,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의 합성
실시예 10-4)에서 얻은 화합물 0.03g을 톨루엔에 녹인 후, 알루미늄클로라이드를 가하고 3시간 동안 환류시키면서 끓였다. 0C에서 2N수산화나트륨으로 염기화 시킨 후,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하였다. 물로 3번 씻어 준 후, 용매를 감압증류로 제거하고 메탄올과 디클로로메탄 (7:93)의 혼합용매를 이용한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0.007g을 31%의 수율로 얻었다.
1H NMR (CDCl3, ppm); 1.46 (6H, s), 3.30 (4H, s), 6.51 (1H, m), 6.67 (2H, m), 6.74 (1H, m), 7.19 (1H, s)
APCI MS(m/e) = 268[M+H]+
실시예 11. 4-(4-몰포리닐)-2,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11)의 합성
실시예 10-4에서 피페라진 대신 몰포린을 사용한 것을 제외 하고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37 %의 수율로 얻었다.
1H NMR (CD3OD, ppm); 3.52 (4H, m), 3.77 (4H, m), 6.76 (1H, m), 6.89 (3H, m), 7.52 (1H, s)
ESI MS(m/e) = 270[M+H]+
실시예 12. 4-(4-메틸-1-피페라지닐)-2,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12)의 합성
실시예 10-4에서 피페라진 대신 4-메틸-1-피페라진을 사용한 것을 제외 하고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41%의 수율로 얻었다.
1H NMR (CD3OD, ppm); 2.43 (3H, s), 2.71 (4H, br s), 3.76 (4H, br s), 6.90 (1H, d), 6.98 (1H, m), 7.06 (2H, m), 7.86 (1H, s)
ACPI MS(m/e) = 283[M+H]+
실시예 13. 4-(4-페닐-1-피페라지닐)-2,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13)의 합성
실시예 10-4에서 피페라진 대신 4-페닐-피페라진을 사용한 것을 제외 하고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52%의 수율로 얻었다.
1H NMR (DMSO-d6, ppm); 3.23 (4H, br s), 3.57 (4H, br s), 6.80 (6H, m), 6.97 (2H, d), 7.24 (2H, m), 7.42 (1H, br s), 7.70 (1H, br s)
ESI MS(m/e) = 345[M+H]+
실시예 14. 1-벤질-4-[4-(2-피리디닐)-1-피페라지닐]-1,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14)의 합성
실시예 10-4에서 피페라진 대신 4-(2-피리디닐)피페라진을 사용한 것을 제외 하고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63 %의 수율로 얻었다.
1H NMR (CDCl3ppm); 3.64 (4H, m), 3.72 (4H, m), 4.85 (1H, br s), 5.26 (2H, s), 5.98 (1H, d), 6.66 (2H, m), 6.73 (1H, m), 6.92 ( 1H, t), 7.00 (1H, d), 7.23 (2H, d), 7.33 (1H, s), 7.37 (3H, m), 7.50 (1H, m), 8,21 (1H, m)
ESI MS(m/e) =436[M+H]+
실시예 15. 4-[4-(2-피리디닐)-1-피페라지닐]-2,10-디히드로피라졸로 [3,4-b][1,5]벤조디아제핀(15)의 합성
실시예 14에서 얻은 화합물을 실시예 10-5와 동일하게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62 %의 수율로 얻었다.
1H NMR (CDCl3+ CD3OD, ppm); 3.46 (4H, m), 3.52 (4H, m), 6.56 (3H, m), 6.76 (2H, m), 6.85 (1H, d), 7.24 (1H, m), 7.39 (1H, m), 7.98 (H, d)
ESI MS(m/e) = 346[M+H]+
실험예 1. CDK2 와 CDK4 의 억제활성
CDK2 단백질 억제효과의 분석실험은 Kitagawa 방법 (Kitagawa, M. et al.; Oncogene, 9: 2549, 1994) 을 따랐으며, CDK4 의 경우는 Carlson 방법을 따랐다(Carlson, B. A. et al.; Cancer Research 56: 2473, 1996). CDK2는 CDK2 유전자를 발현하는 baculovirus와 cyclin A유전자를 발현하는 baculovirus를 동시에 감염시킨 곤충세포 추출액 또는 이로부터 정제된 활성효소를 썼다. CDK4 효소도 역시 CDK4 유전자를 발현하는 baculovirus 와 cyclin D1 유전자를 발현하는 baculovirus를 동시에 감염시킨 곤충세포로부터 얻었다. CDK2의 기질은 histon H1이나 Rb 단백질을 사용하였고, CDK4의 기질은 Rb 단백질을 썼다. 농도별로 희석한 화합물을 넣고 적당량의 CDK2/cyclinA 또는 CDK4/cyclinD1와 기질 단백질, 그리고 [gamma-32P labeled] ATP를 넣고 반응한 후 기질을 분리하여 기질에 포함된 방사성활성을 측정하였다.
이상 설명한 방법에 따라 CDK2 와 CDK4 에 대해 측정된 본 발명에 따른 저해제의 각 효소활성 저해능력을 IC50값으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 에 나타난 바와 같다.
상기 표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CDK2와 CDK4에 대한 억제 활성이 있어서, 싸이클린 의존 키나아제 활성 저해제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조성물은 결국, 세포증식에 관련된 질병인 암, 염증, 혈관 협착증 및 혈관 생성 등의 억제 및 치료 효능이 있다.

Claims (6)

  1. 다음 하기 화학식 1, 2 또는 3으로 표현되는 화합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 수화물, 용매화물.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상기식에서,
    R1은 수소; 저급알킬; 할로젠; 방향족; 질소, 산소 또는 황 원자가 고리에 포함된 방향족; 아미드; 에스터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며,
    W는 수소, 할로젠, N, O, S, SO, SO2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며,
    R2와 R3는 각각 없거나, 수소; 저급알킬이나 방향족이 치환된 저급알킬; 설폰; 아미노를 나타내거나, W가 N일 때 R2와 R3가 같이 C3-C7시클로알킬을 만들며 이 때 시클로알킬에는 N, O, S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R4는 다음 하기 화학식의 어느 하나를 나타내며,
    여기서, R5와 R6는 각각 수소; 저급알킬; 방향족이 치환된 저급알킬; 방향족; N, S가 고리에 포함된 방향족 중의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2. 제 1항에 있어서,
    R1은 수소; 저급알킬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며,
    W는 수소, N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며,
    R2와 R3는 각각 없거나, 수소; 저급알킬이나 방향족이 치환된 저급알킬; 설폰을 나타내며,
    R4는 다음 화학식의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화합물:
    (여기서, R5와 R6는 각각 수소; 저급알킬; 방향족이 치환된 저급알킬; 방향족; N, S가 고리에 포함된 방향족중의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3. 제 2항에 있어서,
    1. 1-벤질-7-브로모-5,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4(2H)-온
    2. 7-브로모-5,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4(2H)-온,
    3. 7-아미노-1-벤질-5,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4(2H)-온
    4. N-(1-벤질-4-옥소-1,4,5,10-테트라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7-일)메탄설폰아미드
    5. 7-아미노-3-이소프로필-5,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4(2H)-온,
    6. 7-(벤질아미노)-3-이소프로필-5,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4(2H)-온,
    7. 1-벤질-7-브로모-3-이소프로필-5,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4(2H)-온
    8. 7-브로모-3-이소프로필-5,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4(2H)-온,
    9. 3-이소프로필-5,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4(2H)-온,
    10. 4-(1-피페리디닐)-2,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
    11. 4-(4-몰포리닐)-2,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
    12. 4-(4-메틸-1-피페라지닐)-2,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
    13. 4-(4-페닐-1-피페라지닐)-2,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
    14. 1-벤질-4-[4-(2-피리디닐)-1-피페라지닐]-1,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
    15. 4-[4-(2-피리디닐)-1-피페라지닐]-2,10-디히드로피라졸로[3,4-b][1,5]벤조디아제핀으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4. 제 1 항에 따른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싸이클린 의존 키나아제 저해제 조성물.
  5. 화학식 4의 화합물을 화학식 5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6의 화합물을 얻고,
    화학식 6의 화합물에 디메틸설페이트를 가해 교반시켜 화학식 7의 화합물을 얻고,
    화학식 7의 화합물과 벤질히드라진을 반응시켜 화학식 8의 화합물을 얻고,
    화학식 8의 화합물에 화학식 9의 화합물을 가해 교반시켜 화학식 10의 화합물을 얻고,
    화학식 10의 화합물을 틴클로라이드 존재하에 또는 수소 기체하에(10% 팔라듐-활성 탄소에서) 환류시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얻거나,
    추가로 이 화합물에 알루미늄클로라이드 또는 메탄설포닐클로라이드를 가해환류시켜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제 1 항에 따른 화학식 1 또는 2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화학식 4]
    [화학식 5]
    [화학식 6]
    [화학식 7]
    [화학식 8]
    [화학식 9]
    [화학식 10]
    상기식에서, R1, R2, R3, 및 W는 제 1 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6. 화학식 11의 화합물과 벤질히드라진을 반응시켜 화학식 12의 화합물을 얻고,
    화학식 12의 화합물에 화학식 9의 화합물을 가해 교반시켜 화학식 13의 화합물을 얻고,
    화학식 13의 화합물을 틴클로라이드 존재하에 환류시켜 화학식 14의 화합물을 얻고,
    화학식 14의 화합물을 화학식 15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화학식 16의 화합물을 얻고,
    이 화합물에 알루미늄클로라이드를 가해 환류시켜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제 1 항에 따른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화학식 11]
    [화학식 12]
    [화학식 9]
    [화학식 13]
    [화학식 14]
    [화학식 15]
    H-R4
    [화학식 16]
    상기식에서, R1, R2, R3, 및 W는 제 1 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KR1020000010322A 2000-03-02 2000-03-02 벤조디아제핀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싸이클린 의존키나아제 저해제 조성물 KR200100866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0322A KR20010086658A (ko) 2000-03-02 2000-03-02 벤조디아제핀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싸이클린 의존키나아제 저해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0322A KR20010086658A (ko) 2000-03-02 2000-03-02 벤조디아제핀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싸이클린 의존키나아제 저해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6658A true KR20010086658A (ko) 2001-09-15

Family

ID=19651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0322A KR20010086658A (ko) 2000-03-02 2000-03-02 벤조디아제핀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싸이클린 의존키나아제 저해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8665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9878A (ko) * 1998-02-13 1999-09-06 성재갑 아미노나프토퀴논 구조를 갖는 사이클린-의존 키나아제 저해제화합물
KR19990069879A (ko) * 1998-02-13 1999-09-06 성재갑 나프토퀴논 구조를 갖는 사이클린-의존 키나아제 저해제 화합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9878A (ko) * 1998-02-13 1999-09-06 성재갑 아미노나프토퀴논 구조를 갖는 사이클린-의존 키나아제 저해제화합물
KR19990069879A (ko) * 1998-02-13 1999-09-06 성재갑 나프토퀴논 구조를 갖는 사이클린-의존 키나아제 저해제 화합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harmacol Ther. 1999 May-Jun;82(2-3):285-92. NSC 664704(7,12-dihydro-indolo[3,2-d][1]benzazepin-6(5H)-on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41805B1 (en) Thiazolo-, oxazalo and imidazolo-quinazoline compounds capable of inhibiting protein kinases
JP6966423B2 (ja) 縮合環ピリミジンアミノ誘導体、その製造方法、中間体、薬学的組成物及び応用
RU2662713C2 (ru) Пиридопиримидин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и применение указанных соединений
JPWO2009084695A1 (ja) 2−アミノキナゾリン誘導体
WO2010090764A1 (en) Pyrrolopyrimidinyl axl kinase inhibitors
KR20080107466A (ko) 대사 장애 치료용 8-헤테로아릴퓨린 mnk2 억제제
WO2004113303A1 (en) INDAZOLE/PYRZOLO[4,3-c]PYRIDIN DERIVATIVES AS JNK INHIBITORS, COMPOSITION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WELL AS INTERMEDIATE THEREOF
WO2010097798A1 (en) 6-phenyl-2-[((piperidin-4-ylmethyl)-piperazin-1yl) or piperazin 1-ylmethyl)-piperidin-1-yl)]-imidazo[2,1-b][1,3,4]thiadiazole derivatives and their use
Hu et al. Design, synthesis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novel thieno [3, 2-d] pyrimidine and quinazoline derivatives as potent antitumor agents
Liu et al. Design and synthesis of alkyl substituted pyridino [2, 3-D] pyrimidine compounds as PI3Kα/mTOR dual inhibitors with improved pharmacokinetic properties and potent in vivo antitumor activity
AU2011310078B2 (en) Chromene derivatives
Zuo et al. Identification of a potent and selective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δ inhibitor for the treatment of non-Hodgkin's lymphoma
Liang et al. Discovering potent inhibitors against c-Met kinase: molecular design, organic synthesis and bioassay
CN115703758B (zh) 一类用作激酶抑制剂的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EP3040337B1 (en) 2, 6-di-nitrogen-containing substituted purine derivative, and preparation method,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use thereof
Tu et al. Discovery of novel quinazoline derivatives bearing semicarbazone moiety as potent EGFR kinase inhibitors
KR20010086658A (ko) 벤조디아제핀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싸이클린 의존키나아제 저해제 조성물
KR100368515B1 (ko) 싸이클린 의존 키나아제 저해제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392468B1 (ko)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의 저해제로서 유용한3-히드록시크로멘-4-온 유도체
Chai et al. 2‐Aminoxazole and 2‐Aminothiazole Dasatinib Derivatives as Potent Inhibitors of Chronic Myeloid Leukemia K562 Cells
Tian et al. Design, synthesis,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2-arylamino-4-(piperidin-4-yloxy) pyrimidines as potent EGFRT790M/L858R inhibitors to treat non-small cell lung cancer
JP2020514260A (ja) がんの治療における使用のためのオキサゾール誘導体
KR20000055080A (ko) 싸이클린 의존 키나아제 저해제 및 그의 제조 방법
Zhang et al. Discovery of benzylidene derivatives as potent Syk inhibitors: synthesis, SAR analysis, and biological evaluation
KR20010086657A (ko) 아미노인다졸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싸이클린 의존키나아제 저해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