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6538A -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부가채널 할당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부가채널 할당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6538A
KR20010086538A KR1020000010466A KR20000010466A KR20010086538A KR 20010086538 A KR20010086538 A KR 20010086538A KR 1020000010466 A KR1020000010466 A KR 1020000010466A KR 20000010466 A KR20000010466 A KR 20000010466A KR 20010086538 A KR20010086538 A KR 20010086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idx
ccc
subnode
addi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0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3050B1 (ko
Inventor
어준선
강송호
이경록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20000010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3050B1/ko
Publication of KR20010086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6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3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30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IS-95B 규격을 이용하는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 하나의 단말기와 여러 TCE와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최소한의 채널카드로 부가채널을 할당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부가채널 할당방법은, 기본호를 수행하는 도중, 고속데이타 서비스의 요구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결과, 고속 데이타 서비스의 요구가 없을 경우에는 가장 최근에 할당된 채널 카드(ccc_idx)의 서브노드(subnode_idx)와 동일한 다음 채널 카드(ccc_idx+1)의 해당 서브노드(SUBNODE_IDX)에 일반채널을 할당한 후, 기본호를 계속적으로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기본호 수행중 고속 데이타 서비스의 요구가 있으면, 일반채널 카드의 CCC_IDX를 구하고, 부가채널 TCE데이타 베이스를 (CCC_IDX, 1)로 초기화한 후, 상기 초기화된 해당 채널카드의 아이들한 TCE 서브노드부터 순차적으로 부가채널을 요구한 부가채널 수 만큼 반복(ccc_idx, subnode_idx+1)하여 할당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부가채널 할당방법{Method for allocating supplemental channel in base sta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부가채널 할당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IS-95B 규격의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 최대한 작은 수의 채널카드에 부가채널(Supplement Channel)이 집중되어 할당되도록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부가채널 할당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중 IS-95B의 규격에서는 고속데이타 서비스를 위하여 부가채널(Supplemental Channel)을 사용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호 유지를위하여 항상 존재하는 근본채널(Fundamental Channel)외에 고속 데이타서비스 운용시 송수신 데이타의 유무에 따라 가변적으로 할당이 가능한 부가채널로 구분하고 있다.
이러한 IS-95B기능인 부가채널 기능을 구현하여 단말기로도 인터넷 서비스 등을 수행할 수 있게 하려면, 한 호(Call)에 여러 개(최대 7개)의 부가적인 채널이 요구되는데, 이러한 것이 부가채널 기능이라 한다. 이러한 기능이 수행되기 위해서는 BS(Base Station)시스템이 최대 8개의 TCE(Traffic Channel Element)가 한개의 TCE처럼 관리되어야 한다. 그런데 만약 TCE가 여러 개의 채널 카드에 분산되어 있으면, 호 처리 성능에 지장이 있게 된다.
상기 TCE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서 하나의 호를 처리하기위한 자원이다. 그리고, 채널 카드란 이러한 각종의 기능을 수행하는 채널 요소(Channel Element)를 4 - 20개 정도 가지고 있는 상위의 장비를 의미한다.
첨부한 도 1에서 나타나 있는 직사각형의 각각을 채널카드라하고, 여기서는 편의상 채널카드에 8개의 채널 요소를 가지고 있는 것을 예로 하였으며, 각 직사각형 즉, 각 채널카드에 구성된 채널 요소들은 각 기능별로 다른 기호로 표기하였다.
종래의 호 관리방법은 한 개의 호당 한개의 TCE만을 사용하는 관리방식으로서, 최대 13K 데이타 서비스에 국한되어 고속, 고용량의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게 되어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하는 바, IS-95B안에는 이러한 고속 데이타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부가적 채널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채널을 부가채널이라 하고, 최대 7개의 부가채널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론상 최대 106K 데이타 서비스를 할당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기존의 일반호는 근본채널(Fundamental Channel)이라 한다.
그러나, 부가채널을 할당시에는 일반적으로 데이타 서비스양에 따라 필요한 TCE갯수의 할당을 요구하게 되는데, 보통 2개 이상의 TCE를 요구하게 된다.
기존의 방식으로 TCE를 가장 최근의 TCE위치정보를 가지고 채널 할당을 하게 되면, 각 부가채널들이 분산되어 기본적인 채널카드가 많아지게 되어 기지국의 성능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기존의 부가채널 할당방식을 보면, IS-95B 기능은 고용량의 데이타 서비스를 수용하기 위하여 부가채널 기능이 고안되었는데, 일반적인 호가 오면 일반적인 호를 서비스하여야 하고, 고속 데이타 서비스의 요구가 오면, 부가채널을 할당하여야 하는데, 하나의 단말기와 여러 TCE와의 통신이 가능하려면 최소한의 채널 카드로 부가채널을 할당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IS-95B 규격을 이용하는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 하나의 단말기와 여러 TCE와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최소한의 채널카드로 부가채널을 할당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부가채널 할당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부가채널 할당방법의 특징은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부가채널 할당방법에 있어서, 기본호를 수행하는 도중, 고속데이타 서비스의 요구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결과, 고속 데이타 서비스의 요구가 없을 경우에는 가장 최근에 할당된 채널 카드(ccc_idx)의 서브노드(subnode_idx)와 동일한 다음 채널 카드(ccc_idx+1)의 해당 서브노드(SUBNODE_IDX)에 일반채널을 할당한 후, 기본호를 계속적으로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기본호 수행중 고속 데이타 서비스의 요구가 있으면, 일반채널 카드의 CCC_IDX를 구하고, 부가채널 TCE데이타 베이스를 (CCC_IDX, 1)로 초기화한 후, 상기 초기화된 해당 채널카드의 아이들한 TCE 서브노드부터 순차적으로 부가채널을 요구한 부가채널 수 만큼 반복(ccc_idx, subnode_idx+1)하여 할당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 상기 부가채널을 요구한 부가채널 수 만큼 반복(ccc_idx, subnode_idx+1)하여 할당하는 단계에서 상기 요구한 부가채널수가 상기 한 채널카드에 모두 할당되지 못할 경우 다음 채널 카드(ccc_idx+1)의 아이들한 서브노드에 추가적으로 할당함에 있다.
도 1은 채널카드의 할당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a는 최초 할당된 채컬카드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일반채널 하나가 할당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c는 부가채널 7개가 할당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부가채널 할당방법에 대한 동작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부가채널 할당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기술적 원리에 대하여 설명해 보자.
도 1은 채널카드의 할당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a는 최초의 채널카드상태이고, 도 1b는 일반채널 요구가 왔을 때 TCE 할당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c는 부가 TCE의 요구가 7개 왔을 때의 TCE할당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도 1a내지 도 1c에 도시된 TCE할당을 설명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전제조건을 제시한다.
첫 째, 채널 카드는 직사각형을 말하고,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채널카드가 4개이므로 인덱스(Index)를 1-4이라고 한다.
둘 째, 채널 서브노드(Channel Sub-node)는 8개가 있고, 이 채널 서브노드의 인덱스를 1-8이라고 정한다.
세 째, 최대 서브 노드수를 8개라고 하고, 최대 채널 인덱스(MAX_CCC_IDX)를 4라고한다.
네 째, 최근의 TCE 위치 데이타 베이스(Larest TCE Location Database)값을 (1, 5)라고 한다.
다섯 째, 추가적인 부가채널에 대한 근본 TCE 위치 데이타베이스(Fundamental TCE Location Database)값을 (4, 3)이라고 한다.
여섯 째, 소문자 ccc_idx와 subnode_idx는 가장 최근의 TCE위치 데이타 베이스값이고, 대문자 CCC_IDX와 SUBNODE_IDX는 새로 할당될 값이다.
즉, 기존의 자원할당 방식의 순서는 먼저 TCE위치정보를 CCC_IDX와 SUBNODE_IDX 정보를 가지고서, CCC_IDX ⇒ SUBNODE방식을 추리한다. 즉, 먼저 최근에 할당된 TCE의 위치를 위치 데이타 베이스인 (CCC_IDX, SUBNODE_IDX)로 저장하여 다음에 TCE의 요구가 오면, CCC_IDX = ccc_idx + 1을 수행하고, SUBNODE_IDX는 기존의 subnode_idx를 사용한다. 만약 기존의 CCC_IDX가 MAX_CCC_IDX(최대 채널카드수)를 초과하였을 때는 CCC_IDX = 1 ; SUBNODE_IDX = subnode_idx + 1을 하고, SUBNODE_IDX가 MAX_SUBNODE_IDX를 초과했을 때는 CCC_IDX = 1; SUBNODE_IDX = 1로 한다.
그런데, 부가채널 할당방식은 SUBNODE ⇒ CCC_IDX방식을 취한다. 부가채널 할당은 최근에 할당되었던 TCE의 위치 데이타 베이스인 (CCC_IDX, SUBNODE)정보를 사용하지 않는다. 이때, 사용되는 정보는 부가채널의 어머니라고 볼 수 있는 근본채널의 위치정보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 정보를 이용하여 근본 채널 요소가 위치한 CCC_IDX에 있는 아이들(Idle)한 TCE를 찾아 부가채널로 사용하는 것이다.
즉, 근본 TCE가 위치한 CCC_IDX에 근본 채널의 TCE를 위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TCE의 위치데이타베이스인 (CCC_IDXM SUBNODE)의 값을 CCC_IDX = 근본 CCC_IDX의 값(The value of fundamental CCC_IDX) : CCC_IDX : Subnode = 1:을 사용하여 운용하고, 복수개의 근본 TCE를 할당하려면, SUBNODE_IDX = subnode_idx + 1을 반복하면서 할당하고, 만약 요구된 채널이 근본 채널카드에 모두 할당되지 못할 경우는 CCC_IDX = ccc_idx +1의 방식으로 할당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원리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부가채널 할당방법에 대하여 단계적으로 살펴보도록 하자.
먼저, 기본적으로 하나의 TCE를 할당할 시에는 트래픽 채널 할당을 1회 실시한다. 그런데, 만약, 고속데이타 요구가 일어나 복수개(최대 7개)의 TCE를 할당해야 만 한다면, 최대 7번의 트래픽 채널 할당을 실시하여야 한다.
그러면, 이러한 반복적인 메세지의 통신을 1개나 2개로 줄일 수 있는 방법을 보면, 한 메세지에 복수개의 TCE정보를 채널 카드단위로 보내는 것이다.
BCP와 채널 카드 통신방식은 채널카드 단위로 하기 때문에 부가채널 TCE를 하나의 채널 카드에 집중시키면 된다.
여기에서, 일반 트래픽 채널 할당방식과 다른 부가채널 할당 방식이 본 발명이다. 즉, 기존에 사용된 가장 늦은 TCE 위치정보인 (CCC_IDXM SUBNODE_IDX)정보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근본채널 TCE의 ccc_idx, subnode=1)을 이용하여 최대한의 부가채널 TCE를 한 채널카드에 집중시키는 것이다.
도 1a에서는 9개의 TCE가 비지(Busy)한 상태이고, 도 1b는 일반 채널 카드 할당방식에 의한 것으로서, 상기한 전제조건에서의 1 - 5에 의하여 일반채널 TCE 할당은 (CCC_IDX = ccc_idx+1, SUBNODE)IDX =subnode_idx)이기 때문에 위치의 결과값은 (2, 5)이다.
그리고, 부가채널 할당방식에 의한 것이 도 1c인데, 상기 전제조건중 1 - 5에 의하여 부가채널 TCE의 할당은 (CCC_IDX = 일반(근본)채널 TCE의 ccc_idx, SUBNODE_IDX = subnode_idx + 1)의 방식대로 하면, 연속된 부가채널 TCE 위치 데이타 베이스는 (4, 5), (4, 6), (4, 7), (4, 8), (1, 1), (1, 2), (1, 6)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최대 요구갯수인 7개의 일반(근본)채널은 CCC_IDX가 4와 1이 되어서 최대 2개의 시그널만 전송하면, 7개의 근본채널에게 트래픽채널 할당을 주게 되어 기지국의 부하에 도움을 주게 되는 것이다. 즉, 메세지 전송횟수는 기존의 방식대로 한다면 7회가 되어야 하나, 부가채널 할당 방식을 이용한다면 2개의메세지전송만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부가채널 할당방법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단계적으로 살펴보자.
먼저, 기본호를 수행하는 도중(S101) 고속데이타 서비스의 요구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102).
판단결과, 고속 데이타 서비스의 요구가 없을 경우에는 가장 최근의 TCE 데이타 베이스(ccc_idx, subnode_idx)를 이용하여 즉, 가장 최근에 할당된 채널 카드에 +1한 다음 채널 카드(ccc_idx+1)의 해당 서브노드 즉, 상기 가장 최근에 할당된 채널 카드(ccc_idx)의 해당 서브노드와 동일한 서브노드위치에 일반채널을 할당한 후, 기본호를 계속적으로 수행한다(S103). 즉, 기본호를 수행중에 고속 데이타 서비스의 요구가 없으면, (ccc_idx+1, SUBNODE_IDX)에 일반채널을 할당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S102단계에서, 기본호 수행중 고속 데이타 서비스의 요구가 있으면, 일반채널 카드의 CCC_IDX를 구하고, 부가채널 TCE데이타 베이스를 (CCC_IDX, 1)로 초기화한 후, 아이들한 TCE를 찾아 순차적으로 부가채널을 설정된 부가채널수만큼 할당하게 되는 것이다. 즉, 처음의 부가채널이 아이들한 TCE에 할당되었으면, 다음의 부가채널은 (ccc_idx, subnode_idx+1)로 반복하여 순차적으로 할당하게 되는 것이다(S104).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부가채널 할당방법에서 트래픽 채널 할당시 한번의 시그널 통신으로 한 채널카드에 부가채널 TCE를 집중하여 할당함으로써, 데이타 전달의 1회방식으로 하여 기지국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부가채널 할당방법에 있어서,
    기본호를 수행하는 도중, 고속데이타 서비스의 요구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결과, 고속 데이타 서비스의 요구가 없을 경우에는 가장 최근에 할당된 채널 카드(ccc_idx)의 서브노드(subnode_idx)와 동일한 다음 채널 카드(ccc_idx+1)의 해당 서브노드(SUBNODE_IDX)에 일반채널을 할당한 후, 기본호를 계속적으로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기본호 수행중 고속 데이타 서비스의 요구가 있으면, 일반채널 카드의 CCC_IDX를 구하고, 부가채널 TCE데이타 베이스를 (CCC_IDX, 1)로 초기화한 후, 상기 초기화된 해당 채널카드의 아이들한 TCE 서브노드부터 순차적으로 부가채널을 요구한 부가채널 수 만큼 반복(ccc_idx, subnode_idx+1)하여 할당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부가채널 할당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채널을 요구한 부가채널 수 만큼 반복(ccc_idx, subnode_idx+1)하여 할당하는 단계에서 상기 요구한 부가채널수가 상기 한 채널카드에 모두 할당되지 못할 경우 다음 채널 카드(ccc_idx+1)의 아이들한 서브노드에 추가적으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부가채널 할당방법.
KR1020000010466A 2000-03-02 2000-03-02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부가채널 할당방법 KR100333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0466A KR100333050B1 (ko) 2000-03-02 2000-03-02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부가채널 할당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0466A KR100333050B1 (ko) 2000-03-02 2000-03-02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부가채널 할당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6538A true KR20010086538A (ko) 2001-09-13
KR100333050B1 KR100333050B1 (ko) 2002-04-22

Family

ID=19651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0466A KR100333050B1 (ko) 2000-03-02 2000-03-02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부가채널 할당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305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3050B1 (ko) 2002-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152813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タイムスロット割り当て方法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タイムスロット割り当て装置
KR930022756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다이내믹 채널 할당의 분할 방법
JP2002505065A (ja) 混合多重スロットサービスのためのチャネル割り当て
CN1897491A (zh) 在多个收信机之间共享唯一标识符的装置和方法
EP1763183A2 (en) Method of transmitting packet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US6708037B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2000005773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이한 길이의 채널 코드들을동적으로 배정하는 방법
US20220295493A1 (en) Resource ind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ervice node and storage medium
EP1261158B1 (en) Walsh code allocation/de-allocation system
KR2005004393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코드 채널 할당
KR20080014420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자원 할당 방법
KR100333050B1 (ko)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부가채널 할당방법
US6339589B1 (en) Frequency utilization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KR10078606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53666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에프에이 변경을 통한 호 설정 방법
JP2965276B2 (ja) 移動通信多元チャネル割付制御方法
KR100532308B1 (ko) 코드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데이터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왈쉬 코드 할당 방법
KR10059036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왈시코드 채널 관리 및 할당 방법
JP3057189B2 (ja) 無線チャネル割り当て方式
EP1187371A1 (en) Code space sharing among multiple modes of operation
KR20050033326A (ko) 기지국에서의 에프에이 운용 방법
JPH11243578A (ja) 無線リソース管理方法
KR20030052826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제어국의 트래픽 핸들링 처리 블럭할당 방법
KR20010028707A (ko)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및 해제 방법
JP2591877B2 (ja) チャネル割当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