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5619A - 미생물 수집장치 - Google Patents

미생물 수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5619A
KR20010085619A KR1020010009767A KR20010009767A KR20010085619A KR 20010085619 A KR20010085619 A KR 20010085619A KR 1020010009767 A KR1020010009767 A KR 1020010009767A KR 20010009767 A KR20010009767 A KR 20010009767A KR 20010085619 A KR20010085619 A KR 20010085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ilter
panel
membrane filter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9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라이와가즈오
와쿠신이치
다와라마사미치
니시무라유이치
Original Assignee
시라이와 가즈오
가부시키가이샤 에루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라이와 가즈오, 가부시키가이샤 에루멕스 filed Critical 시라이와 가즈오
Publication of KR20010085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561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01D63/087Single membran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 B01D29/0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suppor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85Funnel filters;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8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20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01D63/081Manufacturing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77Concentrating samples by other techniques involving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 G01N2001/4088Concentrating samples by other techniques involving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작업효율이 우수함과 동시에 필터의 눈막힘을 억제할수 있는 신규의 미생물 수집장치를 저가격으로 제공한다.
필터수용부(24)와 필터수용부의 외측에 약간 높은 레벨에 설치되는 판넬 재치부(25)와 판넬재치부를 둘러싸는 주벽(26)과 필터수용부에 개구하는 배출구(28)를 갖고 일체로 수지성형된 하우징(23)과 검체중의 목적미생물을 포집하기 위한 하우징의 필터수용부에 수용되는 멤브레인필터(30)와, 검체중의 목적 미생물보다 입경이 거친 미생물이나 식물찌꺼기를 포집하는 프리필터로서 기능하는 저면(35)을 갖는 종이제 판넬(33)과 종이제 판넬의 저면 둘레가장자리부(36)을 끼워 붙임시킨 상태에서 하우징의 판넬재치부에 재치되어 또한 주벽내에 끼워 맞춤되어 종이제 판넬을 액밀(液密)하게 장치하는 수지시일링(22)과, 를 구비한 미생물 수집키트이다.

Description

미생물 수집장치{MEMBRANE FILTER SYSTEM}
본 발명은 미생물 수집장치에 관하고, 특히 멤브레인필터상에 미생물을 포착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미생물 수집장치에 관한다.
맥주등의 각종 음료나 수도물 등의 검체에 포함되는 미생물 검사법으로서 근년, 생물학적으로 불활성한 재질(예를들면 PES = 폴리에테르 술폰, PVDF = 폴리비닐리덴 디플로라이드)로 성형된 멤브레인필터에 검체를 통과시켜 그 멤브레인필터 위에 검체중의 미생물을 포집시키는 HGMF법(소수성 격자막 멤브레인필터법)이 널리 보급되어 왔다.
이 HGMF법에 의한 미생물 검사를 행하기 위한 장치로서는 예를들면, 공동으로 글라스제의 판넬과 스토리지 보틀을 멤브레인필터가 세트된 커넥터로 연결한 것이 제공되고 있다. 이 장치에 의하면, 판넬에 수용된 소정량의 검체가 멤브레인필터를 통과할때에 검체중의 미생물이 포집된다. 또, 저부에 멤브레인필터가 세트된 판넬을 복수개 매니폴드에 장치하고, 또한 매니폴드로부터 감압흡인함으로써, 한번에 복수의 멤브레인필터에 미생물을 효율적으로 포집할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도 제공되고 있다.
이들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는 PP나 PE등의 합성수지로 일체 성형된 접시형상의 하우징의 저면에 멤브레인필터를 재치한 필터 유닛이 사용된다. 검체를 통과시킨후, 장치로부터 필터유닛을 떼내고 다시 필터유닛으로부터 멤브레인필터만을 제거하고, 샤레중에서 소정의 배지상에 배양시켜서 미생물 검사를 행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종래 장치를 사용한 경우, 검체중의 미생물의 입자가 크고 거칠면 곧 멤브레인필터가 눈막힘을 일으킨다.
패널의 저부에 미리 멤브레인필터를 세트하여 일체화한 일회용 타입의 것도 제안하고 있지만, 종래의 것은 판넬과 멤브레인필터를 액밀로 끼워 맞춤하기 위하여 모두 수지제이고, 저가격으로 제공할수 없었기 때문에 보급되기에는 이루지 못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있어서,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 작업효율이 우수하고, 필터의 눈막힘을 억제할수 있는 신규의 미생물 수집장치를 저가격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염가한 지제의 판넬을 사용한다. 더욱더, 이 지제의 판넬로서 그 저면이 여과지로 되어 있는 것을 사용함으로서 이를 프리필터로서 기능시켜 검체중의 입경이 거친 물질을 포집함으로써, 멤브레인필터의 눈막힘을 방지한다.
지제의 판넬을 사용한 경우의 큰 문제점은 멤브레인필터와 일체화시켰을때의 끼워맞춤상태를 액밀로 하기 어렵다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실리콘 등의 수지시일수단을 통하여 종이제 판넬의 저면둘레가장자리부를 하우징에 액밀하게 장착함으로써, 액밀끼워맞춤상태를 확보하여 검체의 리크를 완전히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즉, 청구항 1 기재의 본 발명에 의한 미생물 수집장치는 필터수용부와, 그 필터수용부의 외측에 그 필터 수용부보다도 약간 높은 레벨로 설치되는 판넬 재치부와, 그 필터수용부내에 개구하는 배출구를 갖고 일체로 수지성형된 하우징과, 검체중의 목적미생물을 포집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필터수용부에 수용되는 멤브레인필터와, 상기 하우징의 판넬재치부위에 수지시일링 수단을 통하여 그 저면 둘레가장자리부가 액밀하게 장착되는 종이컵상의 판넬로서, 그 저면이 검출중의 목적미생물보다 입경이 거친 미생물이나 식물찌꺼기를 포집하는 프리필터로서 기능하는 바의 종이제 판넬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2는 청구항 1 기재의 미생물 수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수용부내에 오목하게 만들어진 하방수용부에 다공질 재료가 수용되고, 상기 멤브레인필터는 그 다공질 재료상에 재치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은 청구항 2 기재의 미생물 수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방 수납부의 저면에 간격을 두고 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다공질 재료는 그 돌기상에 재치되어 그 하방수납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는 청구항 2 또는 3 기재의 미생물 수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방수용부에 수용되는 다공질 재료가 PP(폴리프로필렌) 또는 여과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적절한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의 외주부에 이중벽 구조를 갖게하여 그 이중벽 사이의 공극부에 연질실리콘수지를 충전하여 두고, 여기에 종이제 판넬의 저면 둘레가장자리부를 삽입하여 일체화한다라는 수단을 채용함으로써, 종이제 판넬의 액밀끼워맞춤상태를 확보하여 검체의 리크를 완전히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모든 구성요소가 일체화된 올 인원(all in one)의 일회용 타입의 유닛으로서 구성되어 γ선 조사등에 의하여 멸균처리된 상태로 시장에 제공된다.
즉, 청구항 5 기재의 본 발명에 의한 미생물 수집장치는 필터수용부와 그 필터수용부 외측에 그 필터수용부보다도 약간 높은 레벨로 설치되는 이중벽구조부와, 그 필터수용부내에 오목하게 설치되는 하방수용부와, 그 하방수용부에 개구하는 배출구를 갖고 일체로 수지성형된 하우징과, 검체중의 목적미생물을 포집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필터수용부에 수용되는 멤브레인필터와, 상기 하우징의 이중벽 구조부 사이의 공극부에 그 저면 둘레가장자리부가 삽입되어 그 공극부에 충전되는 수지시일제에 의하여 액밀하게 고정되는 종이컵 형상의 판넬로서 그 저면이 검체중의 목적 미생물 보다 입경이 거친 미생물이나 식물찌꺼기를 포집하는 프리필터로서 기능하는 바의 종이제 판넬과, 상기 멤브레인필터를 하방에서 지지하기 위한 상기 하우징의 하방수용부에 수용되는 다공질 재료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6은 청구항 5 기재의 미생물 수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필터수용부에 더욱더 멤브레인필터를 상방으로 부터 억압하기위한 대략 링 상의 패킹이떼내기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은 청구항 6 기재의 미생물 수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필터가 상기 패킹의 저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필터수용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8은 청구항 5 내지 7의 어느 한 항 기재의 미생물 수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이중벽 구조부 사이의 공극부에 충전되는 상기 수지시일제가 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별도의 적절한 실시형태에서는 미리 소정형상으로 일체 성형된 수지시일링을 사용하여, 이에 종이제 판넬의 저면 둘레가장자리부를 끼워 붙임시킨 상태에서 하우징에 액밀하게 고정한다라는 수단을 채용함으로써 종이제 판넬의 액밀끼워맞춤상태를 확보하여 검체의 리크를 완전히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수지시일링을 종이제 판넬 및 하우징의 어느것에 대하여도 떼내기 가능하게 할수 있으므로 비교적 고가이고 또한 검체에 직접 접촉하는 일이 없는 수지시일링과 하우징에 대해서는 오토클레이브 멸균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재사용을 가능하게하고, 다른 구성요소를 일회용으로한 미생물 수집장치로서 제공된다.
즉, 청구항 9 기재의 본 발명에 의한 미생물 수집장치는 필터수용부와 그 필터수용부의 외측에 그 필터수용부보다도 약간 높은 레벨에 설치되는 판넬재치부와, 그 판넬재치부를 둘러싸는 주벽과, 그 필터수용부에 개구하는 배출구를 갖고 일체로 수지성형된 하우징과, 검체중의 목적 미생물을 포집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필터수용부에 수용되는 멤브레인필터와, 검체중의 목적 미생물 보다 입경이 거칠은미생물이나 식물찌꺼기를 포집하는 프리필터로서 기능하는 저면을 갖는 종이제 판넬과, 그 종이제 판넬의 저면 둘레가장자리부를 끼워 붙임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판넬재치부위에 재치하고 또한 상기 주벽내에 끼워 맞춤되어 그 종이제 판넬을 액밀하게 장치하는 수지시일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0은 청구항 9 기재의 미생물 수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지시일링은 상기 종이제 판넬 및 상기 하우징의 어느것에 대해서도 떼내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1은 청구항 9 또는 10 기재의 미생물 수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지시일링의 저면이 상기 하우징의 판넬재치부로부터 필터수용부의 상방에 걸리도록 내방연장되어 있고, 이 내방연장부에서 필터수용부에 수용된 멤브레인필터의 외주부를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2는 청구항 9 내지 11의 어느 한 항 기재의 미생물 수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지시일링의 외주가장자리가 이중벽 구조부로 되어있고, 그 이중벽 구조부 사이의 공극부에 상기 종이제 판넬의 저면둘레가장자리부가 끼워 붙임되고 그 이중벽 구조부의 외벽면이 상기 하우징의 주벽내면에 밀접한 상태로 장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3은 청구항 9 내지 12의 어느 한 항 기재의 미생물 수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지시일링이 실시콘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4는, 청구항 9 내지 13의 어느 한 항 기재의 미생물 수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주벽상단에 내방으로 돌출하는 돌기가 설치되고, 이 돌기로상기 수지시일링의 상단을 억압하여 떠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5는 청구항 9 내지 14의 어느 한 항 기재의 미생물 수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주벽 상단의 일부가 외방으로 돌출하여 돌출편을 형성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6은, 청구항 9 내지 15의 어느 한 항 기재의 미생물 수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필터를 여과지위에 포개어 맞춘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필터수용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7은 청구항 16 기재의 미생물 수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수용부내에 오목하게 설치된 오목부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방사상 돌기가 설치되고, 그 방사상 돌기위에 상기 멤브레인필터가 상기 여과지위에 포개어 맞춤된 상태로 재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태양에 의한 미생물 수집키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편측 단면도,
도 2는 도 1중 A-A단면도,
도 3은 도 1의 미생물 수집키트에 있어서 하우징의 이중벽 구조부 사이의 공극부에 끼워 맞춤하여 사용할수 있는 수지시일링의 형상예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4는 도 3중 B-B 확대 단면도,
도 5는 수지시일링을 사용한 본 발명의 실시태양에 의한 미생물 수집키트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편측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미생물 수집키트에 있어서 사용되는 수지시일링의 상면도,
도 7은 도 6중 C-C확대단면도,
도 8은 하우징형상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하우징 2: 하우징의 필터수용부
3: 멤브레인필터 4:패킹
5: 하우징의 하방수용부 6:다공질 재료
7: 하우징의 배출구 8: 방사상 리브(돌조)
9: 하우징의 이중벽 구조부 9a:이중벽 구조부의 내벽
9b:이중벽 구조부의 외벽 10: 이중벽 구조부의 공극부
11: 수지시일제 12:종이제 판넬
13:종이제 판넬의 둘레측면 14:프리필터로서 기능하는 종이제 판넬의 저면
15: 종이제 판넬의 둘레가장자리부 16: 수지시일링
17: 수지시일링의 오목홈 18: 수지시일링의 연설부
19: 수지시일링의 내주측의 돌기 20: 수지시일링의 외주측의 돌기
21: 수지시일링의 삽입홈 22: 수지시일링
23: 하우징 24: 하우징의 필터수용부
25:하우징의 판넬재치부 26:하우징의 주벽
27:하우징의 필터 수용부내 오목부
28: 하우징의 배출구 29:방사상 리브
30:멤브레인필터 31: 여과지
32: 돌조 33:종이제 판넬
34: 종이제 판넬의 둘레측면 35: 종이제 판넬의 저면
36: 종이제 판넬의 둘레가장자리부 37:수지시일링의 저면부
38: 수지시일링의 내주벽 39:수지시일링의 외주벽
40: 수지시일링의 삽입홈 41: 수지시일링 저면부의 돌기
42: 수지시일링 삽입홈의 후퇴오목부
43:하우징주벽 상단의 내방돌기
44; 하우징 주벽상단의 외방연장 돌출편
45: 방사상 리브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주로 PP, 아크릴수지, HDPE 등에 의한 수지 일체 성형품인 하우징(1)에 종이제 판넬(12)을 떼어내기 불능으 로 고정한 올인원(all-in-one) 구조의 한번쓰고 그대로 버리는 타입의 미생물 수집 키트이다.
하우징(1)은 그 중앙의 필터수용부(2)에 PES나 PVDF등의 생물학적으로 불활성한 재질로 형성된 멤브레인필터(3)를 수용하고, 그 둘레 가장자리부를 상방으로부터 대략 링형상의 수지(본 실시예에서는 HIPS = 폴리스티렌)제의 패킹(4)으로 억압하여 떠오르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하우징(1)의 필터수용부(2)의 하방에는 약간 소직경의 하방수용부(5)가 설치되고, 이 속에 수용한 다공질재료(6)에 의하여 멤브레인필터(3)를 하방에서 지지하고 있다. 다공질재료(6)는 멤브레인필터(3)를 지지함과 동시에 진공펌프등의 감압흡인원(도시안됨)과 접속되는 배출구(7)로부터의 감압흡인력을 멤브레인필터(3)에 대하여 작용시키는 역할을 완수하는 것이고, 다공질수지, 다공질유리 기타의 다공질재료를 사용할수 있지만, 염가로 입수할 수 있는 점에서 PP 또는 여과지가 특히 적절하다.
더욱이, 상기 감압흡인을 보다 원활히 행하기 위하여, 다공질재료(6)는 하방수용부(2)의 저면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돌조상에 재치되어 있다.
도시실시예에서는 배출구(7) 부분을 제외하고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세폭(細幅)의 리브(8)가 중심각 60도의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의 외주부는 내벽(9a)과 외벽(9b)에 의한 이중벽 구조부(9)로 되어 있고, 그 사이의 공극부(10)에는 실리콘 등의 연질 또는 액상의 수지시일제(11)가 충전되어 있다.
종이제 판넬(12)은 상면이 개구한 종이컵 형상의 것이고, 둘레측면(13)이 저면(14)를 넘어서 다시 하방으로 연장하여 돌출된 둘레가장자리부(15)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 둘레가장자리부(15)를 하우징(1)의 이중벽 구조부(9) 사이의 공극부(10)에 삽입하고, 실리콘 등의 수지시일제(11)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종이제 판넬(12)의 저면(14)은 검체중의 목적미생물(세균) 보다도 입경이 거칠은 미생물을 미리 미세하게하는 프리필터로서의 기능을 갖는 여과지로 구성되어 있고, 예를들면 약 100㎛ 메시의 여과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미생물 수집키트를 제작하는데는 PP나 아크릴등의 수지에 의하여 하우징(1)을 필터수용부(2), 하방수용부(5), 이중벽 구조부(9) 및 배출구(7)를 갖는 소정형상으로 일체 성형한후, 그 하방수용부(5)에 PP나 여과지등의 다공질재료(6)를 수용하고, 그위에 필터수용부(2)에 멤브레인필터(3) 및 패킹(4)을 수용하고, 한편, 이중벽 구조부(9) 사이의 공극부(10)에 실리콘 등의 수지시일제(11)를 주입하여 반경화상태로 한후에 종이제 판넬(12)의 지면둘레가장자리부(15)를 동공극부(10)에 삽입하여 수지시일제(11)로 고정한다.
멤브레인필터(3)는 미리 그 둘레가장자리부를 패킹(4)의 저부에 접착제등으로 고정하여 두고, 이것을 핀셋 등을 사용하여 다공질 재료(6) 위에 재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하여 제작된 미생물 수집키트는 하나씩 수지필름으로 밀봉포장한후, 단볼 등의 케이스에 복수개(예를들면 300개) 수용한 상태에서 γ선(예를들면 15KGY) 조사등에 의하여 멸균처리를 실시하여 시장에 제공한다.
이와같은 미생물 수집키트의 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배출구(7)에 진공펌프등의 감압흡인원(도시안됨)을 접촉한 상태에서 미생물 검사의 대상으로하는 용액을 소정의 유속으로 종이제 판넬(12)내에 넣는다.
용액내에 포함하는 목적미생물(세균) 보다도 큰 입경의 미생물(미진코)나 식물 찌꺼기는 약 100㎛메시인 판넬저면(14)을 통과할수 없으므로 이로써 포집되고,멤브레인필터(3)에 눈막힘을 생기게하지 않는다.
판넬저면(14)를 통과한 용액은 뒤이어 멤브레인필터(3)를 통과하지만, 이때 목적미생물인 1 내지 4μm의 세균이 멤브레인필터(3)에 포착된다. 멤브레인필터 (3)를 통과한 용액은 다공질 재료(6) 및 배출구(7)를 통하여 소정의 탱크(도시안됨)에 수용되고, 혹은 그대로 계외로 배출한다.
종이제 판넬(12)에 도입된 용액의 일부는 하우징(1)의 이중벽구조부(9)의 내벽(9a)을 넘어서 공극부(10)에 유입하는 일이 있지만, 이 공극부(10)에 충전되고 이미 경화하고 있는 수지시일제(11)가 하우징(1)에 대한 종이제 판넬(12)의 끼워 맞춤을 액밀하게 유지하고 있기때문에 외부에 리크하는 일은 없다.
이와같이하여 소정량의 용액을 멤브레인필터(3)에 통과시킨후, 패킹(4)을 핀셋등으로 들어올려 이것과 접착되어있는 멤브레인필터(3)를 하우징(1)으로부터 떼어내어 샤레(도시안됨)에 수용하여 소정의 배지에서 배양한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1)의 이중벽구조부(9) 사이의 공극부(10)에 종이제 판넬(12)의 저면 둘레가장자리부(15)를 삽입한후, 공극부(10)에 실리콘 등의 수지시일제(11)를 충전하여 그 경화에 의하여 종이제 판넬(12)을 고정하고 있지만, 수지시일제(11)를 충전하는 것에 대신하여 실리콘등의 수지재료를 사용하여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같은 형상으로 미리 성형된 수지시일링(16)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 수지시일링(16)은 이중벽구조부(9) 사이의 공극부(10)에 밀실(密實)하게 끼워맞춤된 형상을 갖고 있고 더욱더, 그 외주가장자리에는 하향의 오목홈(17)을통하여 하방으로 연장하는 연설부(18)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홈(17)에 이중벽 구조부(9)의 외벽(9b)을 삽입끼워맞춤함으로써 수지시일링(16)이 공극부(10)에 끼워맞춤되도록 되어 있다. 하단부의 내외주에는 돌기(19 및 20)가 형성되어있고, 각각이 이중벽구조부(9)의 내벽(9a) 및 외벽(9b)에 압접됨으로써, 수지시일링(16)의 끼워맞춤상태를 액밀로 유지하고 있다.
수지시일링(16)의 본체부는 상방으로 개구하는 삽입홈(21)을 구비하고, 이 삽입홈(21)에 종이제 판넬(12)의 저면 둘레가장자리부(15)가 밀실하게 삽입끼워맞춤되도록 되어 있다.
상술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수지시일링(16)은 그 맞붙임 상태에 있어서 하우징(1)에 대하여 액밀하게 끼워맞춤됨과 동시에 종이제 판넬(12)을 액밀하게 끼워맞춤하지만, 이들 양방에 대하여 착탈가능하다.
따라서 하우징(1) 및 수지시일링(16)은 오토클레이브 멸균하여 재사용 가능하고, 토털코스트 저감에 기여한다.
도 5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것과는 약간 다른 형상의 수지시일링(22)을 사용한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의한 재사용 가능 타입의 미생물 수집키트가, 도 1과 동일한 정면 편측 단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23)은 주로 PP, 아크릴수지, HDPE등에 의한 수지 일체 성형품이고, 필터수용부(24)와 필터수용부(24)의 외측에 그것보다 약간 높은 레벨로 설치되는 판넬재치부(25)와, 판넬재치부(25)를 둘러싸는 주벽(26)과 필터수용부(24)에 개구하는 배출구(28)를 갖고 있다.
필터수용부(24)에는 PES나 PVDF등의 생물학적으로 불활성한 재질로 형성된 멤브레인필터(30)가 두께 1mm정도의 여과지(31) 위에 포개어 맞춘상태로 수용되고 이들의 둘레가장자리부를 상방에서 수지시일링(22)으로 억압하여 떠오르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필터수용부(24)내에는 동심상으로 약간 소경의 오목부(27)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27)에는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복수의 리브(32)가 설치되고, 여과지(31)와 멤브레인필터(30)를 하방에서 지지하고 있다.
이 리브(32)는 상술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방사상 리브(8) (도 2)와 거의 동일한 기능을 완수하는 것이지만, 이 실시형태에서는 다공질 재료로서 얇은 여과지(31)을 사용하고, 이것을 직접 리브(32)상에 재치하고 있다. 따라서 진공펌프등의 감압흡인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의 감압흡인력을 여과지(31)/ 멤브레인필터(30)에 대하여 충분히 작용시키면서 이들이 배출구(28)내에 흡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출구(28)상에도 걸치도록하여 오목부(27)의 직경에 걸치는 방사상리브(29)를 복수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8 참조). 도 8에서는 중심각 45도의 등간격으로 방사상 리브(29)가 설치되어 있지만 보다 작은 간격으로 보다 다수의 리브를 설치하는것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또, 아울러 도 8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배출구(28) 상에 걸치는 방사상리브(29)에 더하여 배출구(28)의 외측에도 방사상리브(45)를 설치할수가 있다. 이들 방사상리브(29,45)의 상면은 여과지(31)/멤브레인필터(30)를 재치하기 때문에 필터수용부(24)와 동일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리브(29,45)의 개수나 간격은 임의이고, 도 8은 그 일예를 나타내는데 지나지않는다.
판넬재치부(25)위이고 주벽(26)내에는 종이제 판넬(33)이 액밀상태로 끼워 맞춤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23) 및 종이제 판넬(33)의 어느것에 대해서도 떼내기가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지시일링(22)을 사용하여 판넬의 액밀 끼워맞춤을 간편하게 행하도록 하고 있고, 그 형상의 상세한 점이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더욱이, 이 실시형태에서 사용되고 있는 종이제 판넬(33)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종이제 판넬(12)과 대략 동일한 종이컵 형상의 것이고, 둘레측면(34)이 저면(35)을 넘어서 다시 하방으로 연장하여 돌출한 둘레가장자리부(36)을 갖고 있다. 또, 종이제 판넬(33)의 저면(35)은 검체중의 목적미생물(세균) 보다도 입경이 거칠은 미생물을 미리 포착하는 프리필터로서의 기능을 갖는 여과지로 구성되어 있고, 예를들면 약 100㎛ 메시의 여과지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되는 수지시일링(22)은 실리콘수지에 의한 일체 성형품으로서, 하우징(23)의 판넬재치부(25)상에 재치되는 저면부(37)와, 저면부(37)로부터 대략 직립하는 내주벽(38)과 외주벽(39)과, 이들 내외주벽사이에 형성되는 상향의 삽입홈(40)을 갖고 있다. 저면부(37)를 판넬재치부(25)위에 재치하였을때 외주벽(39)은 하우징 주벽(26)의 내면에 밀접한다. 삽입홈(40)은 종이제 판넬(33)의 저면둘레 가장자리부(36)와 대응한 직경치수를 갖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수지시일링(22)은 그 삽입홈(40)에 종이제 판넬(33)의 저면둘레가장자리부(36)을 삽입끼워맞춤시킨 상태에서 저면부(37)를 판넬재치부(25) 상에 재치하고 또한 외주벽(39)을 하우징 주벽(26)에 밀접시켜서 끼워맞춤시킬 수가 있다.
이 실시형태의 미생물 수집키트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아크릴등의 수지에 의하여 하우징(23)을 상기 소정형상으로 일체 성형한후, 그 오목부(27)에 설치한 리브(32)(리브(29) 및 리브 (45))의 위에 여과지(31)만을 얹어놓거나 또는 여과지 (31)도 얹어놓지 않는 상태로 하여 둔다.
한편, 종이제 판넬(33)의 저면 둘레가장자리부(36)를 수지시일링(22)의 삽입홈(40)에 삽입하여 종이제 판넬(33)을 수지시일링(22)에 임시 장치하고, 이 상태대로 수지시일링(22)을 상기 하우징(23)의 판넬재치부(25)위에 재치 끼워 맞춤한다. 이때의 상태는 도 5로부터 멤브레인필터(30)만이 제거되고, 또는 멤브레인필터(30)와 여과지 (31)의 양쪽이 제거된 것이다.
이 어셈블리를 오토클레이브로 멸균처리한후, 수지시일링(22)과 종이제 판넬(33)을 일단 하우징(23)으로부터 떼내고, 이로써 노출된 여과지(31)위에 멤브레인필터(30)를 (멤브레인필터(30)과 함께 여과지(31)도 존재하지 않을때는 리브(32) 위에 여과지(31) 및 멤브레인필터(30)를) 핀셋 등을 사용하여 재치한다. 그리고 일단 떼낸 수지시일링(22)을 그위에 종이제 판넬(33)이 장치된 상태대로 하우징(23)의 판넬재치부(25)위에 재치 끼워 맞춤함으로써 도 5의 미생물 수집키트가 얻어진다. 멤브레인필터(30)는 미리 멸균처리되어 자루에 밀봉수용되어 있다.
수지시일링(22)의 저면부(37)는 하우징(23)의 판넬재치부(25)로부터 필터수용부(24)의 상방에 걸리도록 내방으로 연장되어 있기때문에 필터수용부(24)에 수용된 멤브레인필터(30)의 외주부를 눌러서 떠오름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 작용을 높이기 위하여, 저면부(37)의 내방단에 하향의 돌기(41)를 설치하여도 좋다(도 7 참조).
또, 종이제 판넬(33)의 저면둘레가장자리부(36)의 삽입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삽입홈(40)의 깊은 저부에 후퇴 오목부(42)를 설치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7 참조).
또, 하우징 주벽(26)의 상단 내주측에는 돌기(43)가 설치되어 있고(도 5 참조), 판넬재치부(25)에 재치한 수지시일링(22)의 외주벽(39)의 상단에 걸어맞춤함으로써 수지시일링(22)의 빠짐방지로서 작용한다. 돌기(43)는 전 둘레에 걸쳐서 형성하여도 좋지만, 수지시일링(22)을 장치하는 경우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적당한 등간격(예를들면 120도 간격)으로 몇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주벽(26)의 상단의 일부를 외방으로 연장시켜 돌출편(44)을 형성하여도 좋다(도 8 참조). 이 돌출편(44)을 손으로 쥐는 것으로 수지시일링(22)의 떼내기를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상기의 키트에 있어서는 오토클레이브 멸균가능한 수지재료로 성형된 하우징(23)과 수지시일링(22)이 서로 착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때문에 일단 사용한 후일지라도 오토클레이브 멸균함으로써 재사용이 가능하고, 몇번이고 반복하여 행해지는 미생물 검사에 필요한 토털코스트를 저감시킬수가 있다.
이상으로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발명은 이들 도시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 각 청구항에 규정되는 발명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도 5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멤브레인필터(30)를 여과지(31)위에 포개어 방사상리브(32)위에 재치하였지만, 여과지(31)를 사용하지 않고 멤브레인필터(30)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도 본발명의 범위내이다. 다만, 멤브레인필터(30)는 일반적으로 고가이므로 될수있는대로 얇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코스트면에서 유리하고, 비교적 염가로 입수 가능한 여과지(31)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여과지(31)에 액체배지를 담그어서 사용하는 것과 같은 용법에도 적용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발명에 의하면, 지제의 판넬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미생물 수집장치를 한번쓰고 그대로 버리는 용도에 충분히 적합한 염가로 할수 있음과 동시에, 그 경우에 문제로되는 검체의 리크를 완전히 방지할수 있기때문에 한번 쓰고 그대로 버리는 타입의 미생물 수집장치로서 극히 실용성이 우수한 것이다.
본발명의 미생물 수집장치는 용액중의 미생물 검사에 제공할수 있을뿐아니라 모든 유체에 대하여 적용이 가능하고, 예를들면 공기중의 세균수를 검사하여 클린도를 측정하는 경우에도 유효하게 사용할수가 있다.

Claims (17)

  1. 필터수용부와, 그 필터수용부의 외측에 그 필터 수용부보다도 약간 높은 레벨로 설치되는 판넬 재치부와, 그 필터수용부내에 개구하는 배출구를 갖고 일체로 수지성형된 하우징과, 검체중의 목적미생물을 포집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필터수용부에 수용되는 멤브레인필터와, 상기 하우징의 판넬재치부위에 수지시일링 수단을 통하여 그 저면 둘레가장자리부가 액밀하게 장착되는 종이컵상의 판넬로서, 그 저면이 검출중의 목적미생물보다 입경이 거친 미생물이나 식물찌꺼기를 포집하는 프리필터로서 기능하는 바의 종이제 판넬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수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수용부내에 오목하게 만들어진 하방수용부에 다공질 재료가 수용되고, 상기 멤브레인필터는 그 다공질 재료상에 재치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수집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방 수납부의 저면에 간격을 두고 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다공질 재료는 그 돌기상에 재치되어 그 하방수납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수집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방수용부에 수용되는 다공질 재료가 PP(폴리프로필렌) 또는 여과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수집장치.
  5. 필터수용부와 그 필터수용부 외측에 그 필터수용부보다도 약간 높은 레벨로 설치되는 이중벽구조부와, 그 필터수용부내에 오목하게 설치되는 하방수용부와, 그 하방수용부에 개구하는 배출구를 갖고 일체로 수지성형된 하우징과, 검체중의 목적미생물을 포집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필터수용부에 수용되는 멤브레인필터와, 상기 하우징의 이중벽 구조부 사이의 공극부에 그 저면 둘레가장자리부가 삽입되어 그 공극부에 충전되는 수지시일제에 의하여 액밀하게 고정되는 종이컵 형상의 판넬로서 그 저면이 검체중의 목적 미생물 보다 입경이 거친 미생물이나 식물찌꺼기를 포집하는 프리필터로서 기능하는 바의 종이제 판넬과, 상기 멤브레인필터를 하방에서 지지하기 위한 상기 하우징의 하방수용부에 수용되는 다공질 재료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수집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필터수용부에 더욱더 멤브레인필터를 상방으로 부터 억압하기위한 대략 링 상의 패킹이 떼내기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수집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필터가 상기 패킹의 저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필터수용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수집장치.
  8. 제 5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이중벽 구조부 사이의 공극부에 충전되는 상기 수지시일제가 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수집장치.
  9. 필터수용부와 그 필터수용부의 외측에 그 필터수용부보다도 약간 높은 레벨에 설치되는 판넬재치부와, 그 판넬재치부를 둘러싸는 주벽과, 그 필터수용부에 개구하는 배출구를 갖고 일체로 수지성형된 하우징과, 검체중의 목적 미생물을 포집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필터수용부에 수용되는 멤브레인필터와, 검체중의 목적 미생물 보다 입경이 거칠은 미생물이나 식물찌꺼기를 포집하는 프리필터로서 기능 하는 저면을 갖는 종이제 판넬과, 그 종이제 판넬의 저면 둘레가장자리부를 끼워 붙임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판넬재치부위에 재치하고 또한 상기 주벽내에 끼워 맞춤되어 그 종이제 판넬을 액밀하게 장치하는 수지시일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수집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시일링은 상기 종이제 판넬 및 상기 하우징의 어느것에 대해서도 떼내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수집장치.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시일링의 저면이 상기 하우징의 판넬재치부로부터 필터수용부의 상방에 걸리도록 내방연장되어 있고, 이 내방연장부에서 필터수용부에 수용된 멤브레인필터의 외주부를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수집장치.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시일링의 외주가장자리가 이중벽 구조부로 되어있고, 그 이중벽 구조부 사이의 공극부에 상기 종이제 판넬의 저면둘레가장자리부가 끼워 붙임되고 그 이중벽 구조부의 외벽면이 상기 하우징의 주벽내면에 밀접한 상태로 장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수집장치.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시일링이 실시콘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수집장치.
  14. 제 9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주벽상단에 내방으로 돌출하는 돌기가 설치되고, 이 돌기로 상기 수지시일링의 상단을 억압하여 떠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수집장치.
  15. 제 9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주벽상단의 일부가 외방으로 돌출하여 돌출편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수집장치.
  16. 제 9 항 내지 제 1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필터가 여과지위에 포개어 맞춘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필터수용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수집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수용부내에 오목하게 설치된 오목부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방사상 돌기가 설치되고, 그 방사상 돌기위에 상기 멤브레인필터가 상기 여과지위에 포개어 맞춤된 상태로 재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수집장치.
KR1020010009767A 2000-02-25 2001-02-26 미생물 수집장치 KR200100856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48552 2000-02-25
JP2000048552 2000-02-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5619A true KR20010085619A (ko) 2001-09-07

Family

ID=18570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9767A KR20010085619A (ko) 2000-02-25 2001-02-26 미생물 수집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443314B2 (ko)
EP (1) EP1127607A1 (ko)
KR (1) KR20010085619A (ko)
CA (1) CA23379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73431B1 (en) 1998-11-13 2012-05-08 Flir Systems, Inc. Mail screening to detect mail contaminated with biological harmful substances
US6458278B1 (en) * 1999-02-22 2002-10-01 Nalge Nunc International Corporation Filtering unit having separately attachable filter cassette, filter cassette, and method of filtering
FI108348B (fi) * 2000-09-12 2002-01-15 Kari Aalto Laitteisto veden puhdistamiseen
US7546925B1 (en) * 2000-12-04 2009-06-16 Roush Life Sciences, Llc Disposable vacuum filtration apparatus capable of detecting microorganisms and particulates in liquid samples
US6913152B2 (en) * 2000-12-04 2005-07-05 Peter Zuk, Jr. Disposable vacuum filtration apparatus capable of detecting microorganisms and particulates in liquid samples
US7011755B2 (en) * 2001-05-31 2006-03-14 Zuk Jr Peter Disposable vacuum filtration funnel with integral prefilter
US7661538B1 (en) 2001-05-31 2010-02-16 Roush Life Science, LLC Disposable vacuum filtration funnel with integral prefilter
JP2009506886A (ja) * 2005-09-02 2009-02-19 ピーター ジュニア ズク, 真空濾過のためのシステム、装置および方法
WO2009023314A2 (en) 2007-05-09 2009-02-19 Icx Technologies Mail parcel screening using multiple detection technologies
US8158009B2 (en) * 2007-05-23 2012-04-17 Roush Life Scienc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foam control in a vacuum filtration system
ATE548095T1 (de) * 2007-07-26 2012-03-15 Roush Life Sciences Ll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bstützung einer vakuumfiltrationsvorrichtung
WO2009014768A1 (en) * 2007-07-26 2009-01-29 Nypr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rate storage handling
US8978897B2 (en) * 2008-08-14 2015-03-17 Chemrus Inc. Disposable polymer-structured filtering kit
USD795437S1 (en) 2008-08-14 2017-08-22 Chemrus Inc. Disposable polymer-structured filter
US8243274B2 (en) 2009-03-09 2012-08-14 Flir Systems, Inc. Portable diesel particulate monitor
USD782681S1 (en) 2009-08-12 2017-03-28 Chemrus Inc. Disposable polymer-structured filter
US8808552B2 (en) * 2010-12-16 2014-08-19 Zenpure (Hangzhou) Co., Ltd. Stackable filter cup apparatus and method
EP2724139B1 (en) 2011-06-27 2023-06-21 EMD Millipor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a liquid sample
WO2013166337A1 (en) 2012-05-02 2013-11-07 Charles River Laboratories, Inc. Method of detecting viable cells in a cell sample
USD704383S1 (en) * 2013-02-07 2014-05-06 Anna M. Edlin Pet travel cup with internal spiral member and rimmed edge
CN103239917B (zh) * 2013-03-25 2015-11-18 绍兴鹭铧色谱分离设备有限公司 一次性使用的一体化高分子真空过滤漏斗
WO2015066721A1 (en) * 2013-11-04 2015-05-07 Charles River Laboratories, Inc. Filtration system and use thereof
KR102201629B1 (ko) * 2014-06-26 2021-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니어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N105169948A (zh) * 2015-07-20 2015-12-23 哈尔滨工业大学 一种适于厚尺寸膜片的超滤杯
CN107384756B (zh) * 2017-08-01 2023-09-15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烟用香精香料污染微生物的收集装置及方法
IT201700089514A1 (it) * 2017-08-03 2019-02-03 Univ Degli Studi Di Sassari Celle di permeazione
WO2019193046A1 (en) 2018-04-05 2019-10-10 Merck Patent Gmbh Filtration head for a filter system and funnel for use in conjunction with a filtration head
CN112251336B (zh) * 2020-10-27 2021-05-04 商城北纳创联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酵母菌生产制备工艺
US11814667B2 (en) 2021-12-22 2023-11-14 Cytiva Us Llc Filtration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1010A (en) 1980-03-10 1981-11-17 Spectrum Medical Industries, Inc. Vacuum filter
US4614585A (en) 1981-03-02 1986-09-30 Sybron Corporation Frangible bonded disposable filtration unit with recoverable filter
US4767602A (en) * 1984-03-23 1988-08-30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pparatus for redepositing particulate matter
US4829005A (en) * 1984-06-15 1989-05-09 Friedman Michael P Sedimentation filtration microorganism growth culture system
US4689147A (en) * 1985-09-27 1987-08-25 Nalge Company Plastic filter assembly
US4702834A (en) * 1986-06-17 1987-10-27 Nalge Company Plastic filter units having a weld cellulose filter
US5308483A (en) * 1992-08-27 1994-05-03 Gelman Sciences Inc. Microporous filtration funnel assembly
US5603900A (en) * 1995-05-19 1997-02-18 Millipore Investment Holdings Limited Vacuum filter device
US5695639A (en) 1996-01-30 1997-12-09 Micron Separations, Inc. Vacuum filter funnel
DE69833185T2 (de) * 1997-01-29 2006-08-10 Pall Corp. Filtrationsanordnung
US5849249A (en) * 1997-03-17 1998-12-15 Whatman Inc. Solid phase extraction apparatus for enhanced recovery and preci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43314B2 (en) 2002-09-03
US20010052491A1 (en) 2001-12-20
CA2337987A1 (en) 2001-08-25
EP1127607A1 (en) 2001-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85619A (ko) 미생물 수집장치
CA2278630C (en) Filtration assembly
EP1919622B1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vacuum filtration
US5308483A (en) Microporous filtration funnel assembly
US6913152B2 (en) Disposable vacuum filtration apparatus capable of detecting microorganisms and particulates in liquid samples
EP1826263A1 (en) Microbiological test device, test and incubation systems including it, and method using it
US20100000933A1 (en) Disposable Vacuum Filtration Apparatus Capable of Detecting Microorganisms and Particulates in Liquid Samples
EP0224110A2 (en) Bottle top filter
JP2009506886A5 (ko)
CN111065446B (zh) 用于微生物测试的过滤组件和方法
US8434636B2 (en) Culturing container with filter vents
EP2476903A1 (en) Peristaltic pumps and filtration assembly systems for use therewith
US20040063169A1 (en) Filtration assembly
CN111032198A (zh) 用于微生物测试的过滤组件和方法
US20100028933A1 (en) Nutrient medium unit and method for holding a filter from a filtration device
US8951788B2 (en) Filtration unit and method for the microbiological analysis of liquid samples
EP1383861B1 (en) Filtration assembly
JP2001309776A (ja) 微生物収集装置
WO2011028704A2 (en) Filtration device with removable membrane
JP2021504115A (ja) 真空膜濾過用の濾過基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