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4658A - 망관리 시스템에서 통신망 구성요소의 동작상태 모니터링방법 - Google Patents

망관리 시스템에서 통신망 구성요소의 동작상태 모니터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4658A
KR20010084658A KR1020000009853A KR20000009853A KR20010084658A KR 20010084658 A KR20010084658 A KR 20010084658A KR 1020000009853 A KR1020000009853 A KR 1020000009853A KR 20000009853 A KR20000009853 A KR 20000009853A KR 20010084658 A KR20010084658 A KR 20010084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r
network
ping
supervisor
p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9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09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84658A/ko
Publication of KR20010084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465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0Active monitoring, e.g. heartbeat, ping or trace-rou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망관리자, 게이트웨이, 피관리자로 구성되는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망의 망관리 시스템에서 통신망 구성요소의 동작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로 핑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게이트웨이의 핑이 성공하는 경우 상기 피관리자의 이전상태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피관리자의 이전상태가 정상 통신 상태이면 상기 피관리자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폴링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피관리자의 이전상태가 통신 불능 상태이면 상기 피관리자에 대한 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망관리 시스템에서 통신망 구성요소의 동작상태 모니터링 방법{METHOD FOR MONITORING OPERATION STATE OF COMMUNICATION NETWORK STRUCTURE ELEMENTS IN NMS}
본 발명은 비동기전송모드(Asynchronous Transfer Mode : 이하 "ATM"이라 함) 교환망의 네트웍 관리 시스템(Network Management System: NMS)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망 구성요소(Network Element: 이하 "NE"라 함)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망관리 시스템은 연결된 다수의 ATM 교환기의 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으로 장비의 실제적인 상태를 운용자에게 알려주고,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신속히 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ATM 교환기의 관리 시스템을 말한다.
도 1은 이러한 종래 NMS의 시스템 구성도를 보인 것으로, NMS(100) 구성 요소들은 망관리자(Manager)(102)와 피관리자(Agent)(106) 관계에서 상태를 관리한다. 즉, NMS(100)는 다수의 EMS를 EMS는 다수의 NE(108)의 상태를 관리한다. 상기 NMS(100)가 NE(108)의 동작 상태를 검사함에 있어 종래에는 NMS(100)의 망관리자(100)가 NE(108)의 피관리자(106)로 애플리케이션 계층(Application Layer)에서 폴링(Polling)을 수행하여 피관리자(106)의 상태를 검사한다.
도 2는 상기 종래 NMS의 망관리자가 NE의 피관리자로 폴링을 수행하는 처리 흐름을 도시한 것으로, 망관리자(102)는 상기 도 2의 (200)단계에서 피관리자(106)로 폴링을 수행한다. 상기 폴링은 망관리자(102)가 피관리자(102)로 예를 들면,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 TCP(Termination Connection Point) 소켓을 통해 특정 패킷의 메시지를 송신함을 의미한다. 이어 망관리자(102)는 (202)단계로 진행하여 피관리자(106)로부터 상기 폴링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이때 만일 피관리자(106)로부터 폴링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망관리자(102)는 (204)단계로 진행하여 피관리자(106)가 정상 통신 상태임을 판단한다. 이와 달리 (206)단계에서 피관리자(106)로부터 폴링에 대한 응답 메시가 일정시간 이상이 경과하도록 수신되지 않는 경우 망관리자(102)는 (208)단계로 진행하여 피관리자(106)가 통신 불능 상태임을 판단한다.
그런데 종래 NMS에서 망관리자가 피관리자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상기 애플리케이션 폴링 방법은 망관리자 입장에서 피관리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는 있으나, 구체적인 장애원인 및 장애 구간을 판단할 수는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NMS에서 망관리자가 피관리자의 상태 뿐만아니라 구체적인 장애원인 및 장애 구간을 명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망관리자와 피관리자간 폴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망관리자, 게이트웨이, 피관리자로 구성되는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망의 망관리 시스템에서 통신망 구성요소의 동작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로 핑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게이트웨이의 핑이 성공하는 경우 상기 피관리자의 이전상태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피관리자의 이전상태가 정상 통신 상태이면 상기 피관리자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폴링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피관리자의 이전상태가 통신 불능 상태이면 상기 피관리자에 대한 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망관리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종래 망관리 시스템에서 통신망 구성요소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처리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망관리 시스템에서 통신망 구성요소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처리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구체적인 처리 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NMS(100)에서 망관리자(102)가 피관리자(106)의 상태 뿐만아니라 구체적인 장애원인 및 장애 구간을 명확히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망관리자(102)와 피관리자(106)간 폴링 수행 처리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상기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망관리자(102)는 피관리자(106)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해 상기 도 3의 (300)단계에서 게이트웨이(Gateway)(104)로 핑(Ping)을 수행한다. 이는 피관리자(106)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폴링을 수행하기 전에 게이트웨이 핑을 수행하여 망관리자(102)와 게이트웨이(104)간 통신 장애 여부를 판단하기 위함이다. 상기에서 애플리케이션 폴링이라 함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망관리자(102)가 피관리자(106)의 소프트웨어(이하 "S/W"라 함)적인 장애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 망관리자(102)는 애플리케이션 폴링을 위한 패킷을 예를 들면 특정 MIB 또는 메시지 포맷으로 정하여 피관리자(106)로 전송하고 피관리자(106)로부터의 응답 메시지 수신 여부를 검사하여 피관리자(106)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핑은 네트웍 계층(Network Layer)에서 피관리자(106)와 게이트웨이(104)의 하드웨어(이하 "H/W"라 함)적인 장애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타임아웃(Timeout)과 데이터그램(datagram) 전송 주기를 설정한 ICMP(Internet Control and Message Protocol) 프로토콜의 ECHO_REQUEST datagram(기본 64 바이트)를 전송하며, 특정 호스트로부터 ICMP ECHO_REQUEST를 수신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다시 흐름도에 따른 동작 설명을 계속하면, 이어 망관리자(102)는 상기 (300)단계에서 (302)단계로 진행하여 게이트웨이(104)로부터 핑에 대한 응답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이때 만일 게이트웨이(104)로부터 핑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망관리자(102)는 (330)단계로 진행하여 게이트웨이(104)가 현재 불능상태임을 판단한다. 즉, 망관리자(102)와 게이트웨이(104)간 통신 경로 장애로 장애 원인을 판단하게 되고 피관리자(106)의 이전상태에 따라 다음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달리 게이트웨이(104)로부터 핑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망관리자(102)는 망관리자(102)와 게이트웨이(104)간에 통신 장애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302)단계에서 (304)단계로 진행하여 피관리자(106)의 이전 상태가 정상 통신 상태였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에서 게이트웨이(104) 핑이후에 피관리자(106)의 이전 상태를 검사하는 것은 피관리자(106)에 대한 폴링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즉, 통상의 NMS(100)에서는 피관리자(106)의 상태가 통신 불능 상태 또는 정상 통신 상태로 급격히 변화하기 않고 현재 상태를 유지할 확률이 높다. 따라서 이전에 애플리케이션 폴링에 응답해서 정상 통신 상태인 피관리자(106)는 현재에도 정상 통신 상태일 확률이 높고, 이전에 피관리자(106)에 대한 폴링에 응답하지 않아서 통신 불능 상태인 피관리자(106)는 현재에도 통신 불능 상태일 확률이 높다. 상기와 같은 점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피관리자(106)의 이전상태에 따라 피관리자(106)에 대한 폴링 및 핑의 수행 순서를 달리한다. 즉, 이전에 통신 불능 상태였던 피관리자(106)에 대해 애플리케이션 폴링을 먼저 수행하고 핑을 나중에 수행하는 경우에 비해, 처음부터 피관리자(106)에 대한 핑을 먼저 수행하는 경우 최종 판단은 피관리자(106)의 H/W적인 통신 불능 상태 판단으로 동일하나 애플리케이션 폴링 기간만큼 폴링 소요시간이 적어 효율이 증가하는 것이다.
이때 만일 상기 (304)단계에서 피관리자(106)의 이전 상태가 정상 통신 상태가 아닌 경우 망관리자(102)는 (314)단계로 진행하며, 이와 달리 피관리자(106)의 이전 상태가 정상 통신 상태인 경우 망관리자(102)는 (306)단계로 진행하여 피관리자(106)로 애플리케이션 폴링을 수행한다. 이어 망관리자(102)는 (308)단계로 진행하여 피관리자(106)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 폴링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이때 만일 피관리자(106)로부터 상기 폴링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망관리자(102)는 이에 응답하여 상기 (308)단계에서 (324)단계로 진행해서 피관리자(106)가 통신 경로 및 H/W, S/W 모두 정상 통신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달리 상기 (308)단계에서 피관리자(106)로부터 상기 폴링에 대한 응답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망관리자(102)는 망관리자(102)-게이트웨이(104)-피관리자(106)간의 통신 경로상 H/W적인 장애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망관리자(102)-게이트웨이(104)-피관리자(106)간 핑을 수행하게 된다.
즉, 망관리자(102)는 (310)단계로 진행하여 게이트웨이(104)로 다시 핑을 수행한다. 그리고 (312)단계에서 게이트웨이(104)로부터 상기 핑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이때 만일 게이트웨이(104)로부터 상기 핑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망관리자(102)는 상기 (330)단계로 진행하여 다시 게이트웨이(104)가 통신 불능 상태임을 판단한다. 이와 달리 상기 (312)단계에서 게이트웨이(104)로부터 상기 핑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망관리자(102)는 (314)단계로 진행하여 계속해서 피관리자(106)로 핑을 수행한다. 이어 망관리자(102)는 (316)단계로 진행하여 피관리자(106)로부터 상기 핑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이때 만일 피관리자(106)로부터 상기 핑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망관리자(102)는 (328)단계로 진행하여 피관리자(106)가 H/W적인 장치 장애로 인한 통신 불능 상태임을 판단한다.
이와 달리 상기 (316)단계에서 피관리자(106)로부터 상기 핑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망관리자(102)는 (318)단계로 다시 피관리자(106)로 애플리케이션 폴링을 수행한다. 이어 망관리자(102)는 (320)단계로 진행해서 피관리자(106)로부터 상기 폴링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이때 만일 피관리자(106)로부터 상기 폴링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망관리자(102)는 상기 (324)단계로 진행해서 피관리자(106)가 정상 통신 상태임을 판단한다. 이와 달리 상기 (320)단계에서 피관리자(106)로부터 상기 폴링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일정시간 이상이 경과하도록 수신되지 않는 경우 망관리자(102)는 (322)단계에서 (326)단계로 진행하여 피관리자(106)가 S/W적인 장애로 인한 통신 불능 상태임을 판단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처리 흐름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망관리자와 피관리자간의 폴링 뿐만아니라 게이트웨이 및 피관리자로 핑도 함께 수행함으로써 망관리자 입장에서 피관리자의 장애 발생시 구체적인 장애 구간 및 장애 원인을 명확히 알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망관리 시스템에서 망관리자가 피관리자를 폴링함에 있어, 애플리케이션 폴링과 함께 핑을 이용하여 망관리자-게이트웨이-피관리자 간 통신 경로 중 장애 구간을 판단할 수 있으며, 또한 피관리자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의 이상 여부를 알 수 있어 망관리자가 피관리자와의 통신상태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피관리자의 이전상태에 따라 폴링 작업의 순서를 다르게 함으로써 폴링 소요시간을 단축하여 망관리자의 피관리자 폴링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망관리자, 게이트웨이, 피관리자로 구성되는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망의 망관리 시스템에서 통신망 구성요소의 동작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로 핑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게이트웨이의 핑이 성공하는 경우 상기 피관리자의 이전상태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피관리자의 이전상태가 정상 통신 상태이면 상기 피관리자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폴링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피관리자의 이전상태가 통신 불능 상태이면 상기 피관리자에 대한 핑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망관리 시스템에서 통신망 구성요소의 동작상태 동작상태 모니터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 핑이 실패하는 경우 게이트웨이가 하드웨어 적인 통신 불능 상태임을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망관리 시스템에서 통신망 구성요소의 동작상태 모니터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관리자에 대한 폴링이 성공하는 경우 상기 피관리자가 정상 통신 상태임을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망관리 시스템에서 통신망 구성요소의 동작상태 모니터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관리자에 대한 폴링이 실패하는 경우 상기 피관리자에 대한 핑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피관리자에 대한 핑이 성공하는 경우 다시 상기 피관리자에 대한 폴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망관리 시스템에서 통신망 구성요소의 동작상태 모니터링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관리자에 대한 핑이 실패하는 경우 상기 피관리자가 하드웨어적인 통신 불능 상태임을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망관리 시스템에서 통신망 구성요소의 동작상태 모니터링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관리자에 대한 폴링이 성공하는 경우 상기 피관리자가 정상 통신 상태임을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망관리 시스템에서 통신망 구성요소의 동작상태 모니터링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관리자에 대한 폴링이 실패하는 경우 상기 피관리자가 소프트웨어적인 통신 불능 상태임을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망관리 시스템에서 통신망 구성요소의 동작상태 모니터링 방법.
KR1020000009853A 2000-02-28 2000-02-28 망관리 시스템에서 통신망 구성요소의 동작상태 모니터링방법 KR200100846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9853A KR20010084658A (ko) 2000-02-28 2000-02-28 망관리 시스템에서 통신망 구성요소의 동작상태 모니터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9853A KR20010084658A (ko) 2000-02-28 2000-02-28 망관리 시스템에서 통신망 구성요소의 동작상태 모니터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4658A true KR20010084658A (ko) 2001-09-06

Family

ID=19650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9853A KR20010084658A (ko) 2000-02-28 2000-02-28 망관리 시스템에서 통신망 구성요소의 동작상태 모니터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846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417B1 (ko) * 2002-11-22 2004-09-30 주식회사 케이티 다중 쓰레드 구조의 네트워크 호스트 상태 관리 방법 및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417B1 (ko) * 2002-11-22 2004-09-30 주식회사 케이티 다중 쓰레드 구조의 네트워크 호스트 상태 관리 방법 및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8302B1 (en) Network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causal events on a network
US7869376B2 (en) Communicating an operational state of a transport service
CN100553213C (zh) 一种wlan异常快速恢复的方法及设备
JPH06164616A (ja) 物理リンク・エラーの管理方法および装置
JP2006501717A (ja) 電気通信ネットワーク・エレメントの監視
US201701268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Ethernet Premise Devices
US6938086B1 (en) Auto-detection of duplex mismatch on an ethernet
Cisco MIBs Supported by Cisco Software Releases
Cisco MIBs Supported by Cisco Software Releases
Cisco MIBs Supported by Cisco Software Releases
Cisco MIBs Supported by Cisco Software Releases
Cisco MIBs Supported by Cisco Software Releases
Cisco MIBs Supported by Cisco Software Releases
Cisco MIBs Supported by Cisco Software Releases
Cisco MIB User Quick Reference
JP3509847B2 (ja) Nms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の信頼性向上方法及びnmsシステム
Cisco Cisco Mainframe Channel Connection Commands
KR20010084658A (ko) 망관리 시스템에서 통신망 구성요소의 동작상태 모니터링방법
Cisco CiscoMgmt Variables
Cisco Network Management
Cisco nce
Cisco CiscoMgmt Variables
Cisco CiscoMgmt Variables
Cisco CiscoMgmt Variables
Cisco CiscoMgmt Variab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