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4037A - 연소기의 폐열 회수 장치 - Google Patents

연소기의 폐열 회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4037A
KR20010084037A KR1020000008786A KR20000008786A KR20010084037A KR 20010084037 A KR20010084037 A KR 20010084037A KR 1020000008786 A KR1020000008786 A KR 1020000008786A KR 20000008786 A KR20000008786 A KR 20000008786A KR 20010084037 A KR20010084037 A KR 20010084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heat
water circulation
combustion gas
heat recover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8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용호
Original Assignee
송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용호 filed Critical 송용호
Priority to KR1020000008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84037A/ko
Publication of KR20010084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4037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1Shape or selection of material for flushing cisterns
    • E03D1/012Details of shape of cisterns, e.g. for connecting to wall, for supporting or connecting flushing-device actu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03Cisterns in combination with wash-basins, urinal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소각노의 연소가스 배출구에 설치하여 연소가스와 함께 배출되는 폐열을 효과적으로 회수하기 위한 것임. 폐열 회수장치는 상단부에 연소 가스 유입구(14)를 갖고 있고 하단에 연소가스 배출구(16)를 갖고 있으며 소각노의 연소가스 배출구와 연통사이에 설치하게 된 원통형 케이스(12)의 저면 주변부에 지지판(22)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단일 관체로 된 물 순환관(24)을 케이스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상하로 반복되게 감아서 설치하고 상하의 물 순환관(24)이 일정한 간격과 경사각도를 유지하도록 지지판(22)에 고정시켜 구성함. 본 발명에 의하면 소각노에서 나오는 폐열을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고 제작이 간단함.

Description

연소기의 폐열 회수 장치{APPARATUS FOR COLLECTING WASTE HEAT OF THE COMBUSTION SYSTEM}
본 발명은 건조실용 공기 가열기나 폐기물 소각노의 연도로 배출되는 폐열을 회수하는 폐열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조실용 공기 가열기를 가동하거나 폐기물 소각노에서 폐기물을 소각할 때는 대량의 열이 연도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대형 폐기물 소각노의 경우에는 폐기물 소각시 나오는 폐열을 이용하여 지역난방등에 이용하고 있으나 중형 또는 소형 소각노나 건조실용 공기 가열기의 경우에는 연도를 통하여 배출되는 열이 그대로 배출되므로 이때 배출되는 열을 회수하여 이용할 필요성이 있다.
종래에는 폐기물 소각노의 주벽에 물 순환관을 설치하여 소각노의 열로 물을 가열하여 열을 회수하였으나, 이러한 열교환장치를 이용한 폐기물 소각노의 경우에는 폐기물 소각노의 연소실에서 나오는 열을 주벽에 설치된 열교환장치를 이용하여 회수하였으므로 연도의 중앙부분을 통하여 배출되는 열은 회수하지 못하였다. 또한 종래의 열교환장치를 구성하는 물 순환관은 주철이나 철판을 용접하여 제조하였으므로 제작과정이 복잡하고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었으며 일정한 기간동안 사용한 후에는 부식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 소각노의 폐열 회수장치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연도의 중앙부로 배출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으면서 사용 수명이 길고 제작이 간단한 폐열 회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각노의 연소가스 배출구에 설치하게 된 원통형 케이스 내에 물 순환관을 가로지르도록 설치하여서 된 본 발명의 폐열회수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폐열 회수장치를 소각노에 연결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폐열 회수장치의 종단면도,
도3은 지지판에 물 순환관을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자바라식 물 순환관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5는 물 순환관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횡단면 단부도,
도6은 물 순환관의 또하나의 다른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횡단면 단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원통형 케이스 14...연소가스 유입구 16...연소가스 배출구 17...연도
18...순환수 수집실 22...지지판 23...결속공 24...물 순환관 26...철사
본 발명은 상단부에 연소가스 유입구를 갖고 있고 하단부에 연소가스 배출구를 갖고 있으며 상단과 하단이 폐쇄된 원통형 케이스 내부에 물 순환관을 케이스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설치하여서 된 폐열회수장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물 순환관은 하나의 자바라식 굴요성 스테인레스스틸 관을 사용하여 상단부터 하단까지 중앙을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8자형이나 타원형으로 감아서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이 물 순환관의 상단은 케이스 상단에 형성된 온수 수집실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관을 감아서 형성한 물 순환관이 일정한 각도와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케이스 내부의 주변에 다수의 지지판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물 순환관을 고정시킨다. 일반적으로 물순환관이 스테인레스스틸 관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용접하여 고정시키면 용접부분에서 부식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지지판에 구멍을 형성하고 철사나 클립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폐열회수장치(10)를 소각노의 연소가스 배출구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로서, 폐열회수장치(10)는 원통형 케이스(12)를 갖고 있으며, 이 원통형 케이스(12)의 상단 측벽에는 연소가스 유입구(14)가 형성되고 하단 측벽에는 배출구(16)가 형성되어 있어서 연소가스가 연소기나 소각노에서 상단의 유입구(14)로 유입되어 하단의 배출구(16)를 통하여 연도(17)로 배출되게 되었다.
도2에 따르면, 케이스(12)는 상단에 순환수 수집실(18)을 갖고 있으며, 하단에는 저면 폐쇄판(20)으로 폐쇄되었다. 원통형 케이스의 저면 주변에는 결속공(23)을 갖는 다수의 지지판(22)이 수직으로 설치되었다. 이 지지판(22)과 케이스 주벽(13)과의 사이에는 물 순환관(24)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이 형성된다. 지지판(22)은 반원형 단면이나 사다리꼴 단면을 갖는 것이 좋으며, 양측 연부에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결속공(23)이 형성되었다. 전술한 지지판(22)은 최소한 4개 이상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개 지지판에 형성된 결속공(23)들은 다른 지지판(22)에 형성된 결속공(23)과 높이를 다르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전술한 지지판(22)들은 저면에 직각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된 지지판 (22a)에서 저면 폐쇄판(20)에 용접고정된다.
물 순환관(24)은 단일관으로 형성되고 지지판(22)의 외측을 돌아서 케이스의 중앙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며, 지지판(22)의 경속공(23)에 철사(26)등으로 결속하여 간격과 경사도를 고정시킨다. 전술한 물 순환관(24)은 동관으로 제작할 수 있으나, 도4에 도시된 굴요성이 있는 자바라형 스테인레스스틸 튜우브로 형성하는 것이 내식성이 우수하고 설치하기 간편하다. 물 순환관(24)은 하단이 케이스(12)의 측벽을 통하여 외부의 순환 펌프(31)를 거쳐 온수 수집조(30)에 연결되고 상단은 순환수 수집실(18)에 연결되었다. 전술한 순환수 수집실(18)은 케이스(12)의 상단에 밀봉되게 용접 고정되었으며, 순환수 배출구(28)를 갖고 있다. 전술한 물 순환관(24)은 동관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5와 6는 전술한 물 순환관(24)의 설치형태를 보여주는 횡단면 단부도로서,도5에 도시된 형태는 물 순환관(24)이 케이스의 중앙에서 교차되는 8자 형태로 배치된 상태를 보여 준다. 도5에 따르면, 물 순환관(24)은 화살표를 따라 케이스의 중앙과 측벽에 배치되는바, 케이스(12)의 길이에 따라 동일한 방법으로 중복 배치된다. 도6은 다른 형태의 물 순환관(24a)의 설치형태를 보여 주는바, 케이스의 중앙에서 교차되는 타원형의 형태로 되었다. 전술한 물 순환관(24),(24a)는 하나의 형태로만 구성할 수도 있고, 두 가지 형태를 상하에 배치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폐열 회수장치는 소각노의 연소가스 배출구에 설치하여 케이스의 하단부로부터 물 순환관(24)을 통하여 물을 공급하면 물이 상향 이동하면서 연소가스와 함께 배출되는 폐열로 물이 가열되므로 가열된 물을 온수 수집조(30)에 수집하여 난방용이나 기타의 열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물 순환관(24)이 단일 튜우브를 감은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설치할 때 물 순환관(24)을 도5 또는 6의 형태로 배치하면서 지지판(22)의 결속공(23)에 철사(26)로 고정시키는 간단한 방법으로 설치되므로 설치작업이 간편하고, 용접하지 않으므로 용접부위에서 나타나는 부식현상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물 순환관(24)을 굴요성이 있는 자바라형 스테인레스스틸 튜우브로 형성하면 설치작업이 더 간편함은 물론이고 내식성이 강하여 사용수명이 길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상단부에 연소 가스 유입구(14)를 갖고 있고 하단에 연소가스 배출구(16)를 갖고 있으며 소각노의 연소가스 배출구와 연도사이에 설치하게 된 원통형 케이스(12)에 폐열 회수용 물 순환관(24)을 설치하여서 된 폐열 회수장치에 있어서, 케이스(12)의 저면 주변부에 결속공(23)을 갖는 지지판(22)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단일 관체로 된 물 순환관(24)을 케이스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상하로 반복되게 감아서 설치하고 상하의 물 순환관(24)이 일정한 간격과 경사각도를 유지하도록 지지판(22)에 고정시켜서 된 소각노의 폐열 회수장치.
  2. 제1항에서, 물 순환관(24)이 굴요성이 있는 스테인레스스틸 튜우브로 형성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서, 물 순환관(24)이 케이스의 중앙에서 8자형으로 교차되는 형태와 타원형의 형태로 교차되는 형태 및 전술한 두 형태의 복합 형태 중의 한 형태로 설치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00008786A 2000-02-23 2000-02-23 연소기의 폐열 회수 장치 KR200100840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8786A KR20010084037A (ko) 2000-02-23 2000-02-23 연소기의 폐열 회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8786A KR20010084037A (ko) 2000-02-23 2000-02-23 연소기의 폐열 회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4037A true KR20010084037A (ko) 2001-09-06

Family

ID=19649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8786A KR20010084037A (ko) 2000-02-23 2000-02-23 연소기의 폐열 회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8403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39189B1 (en) Gas water heater/boiler and burner therefor
CN105793653B (zh) 用于供暖锅炉的换热器
KR101031101B1 (ko) 분할형 열교환기
KR101388344B1 (ko) 콘덴싱 열교환기 및 이를 포함한 보일러
KR100656517B1 (ko) 폐열 회수기
KR20100054383A (ko) 콘덴싱 가스보일러용 잠열 열교환기
KR20010084037A (ko) 연소기의 폐열 회수 장치
KR200284927Y1 (ko) 고효율 폐열회수장치
KR100856877B1 (ko) 폐열 회수시스템
JP3934139B2 (ja) 火炉壁構造
JP2011058671A (ja) 結露回収装置を備えた熱交換器
RU2495328C1 (ru) Теплообме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тепловых агрегатов с трубчатыми элементами
KR20010089038A (ko) 노통 수관식 온수보일러
KR20210039191A (ko) 보일러 폐열 회수장치
KR100581589B1 (ko) 콘덴싱 보일러의 잠열 열교환기
KR200302780Y1 (ko) 폐수 열회수기
RU2184321C1 (ru) Водогрейный котел
CN216080391U (zh) 一种全预混冷凝壁挂炉燃烧换热系统
RU2131562C1 (ru) Подогреватель проточной воды газовой колонки
RU121348U1 (ru) Теплообме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тепловых агрегатов с трубчатыми элементами
RU2267696C2 (ru) Жаротрубно-дымогарный котел
KR200350563Y1 (ko) 다수의 나선관으로 구성된 온수 보일러
CN205717893U (zh) 一种大型集中供热锅炉
KR101020772B1 (ko) 분할형 열교환기
KR200342485Y1 (ko) 폐기열회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