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1332A - 인터넷 직결형 디지털 전화기 - Google Patents

인터넷 직결형 디지털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1332A
KR20010081332A KR1020000006687A KR20000006687A KR20010081332A KR 20010081332 A KR20010081332 A KR 20010081332A KR 1020000006687 A KR1020000006687 A KR 1020000006687A KR 20000006687 A KR20000006687 A KR 20000006687A KR 20010081332 A KR20010081332 A KR 20010081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internet
voice
voice data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6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철호
Original Assignee
곽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철호 filed Critical 곽철호
Priority to KR1020000006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81332A/ko
Publication of KR20010081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133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53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 H04M1/2535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adapted for voice communication over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에 직접 연결하여 상대측과 전화 통화할 수 있는 인터넷 직결형 디지털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터넷에 연결되어 전화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전화기에 있어서, 전화 통화를 하기 위한 송수화기와 숫자나 기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와 상기 송수화기에 입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음성처리부를 갖춘 통상의 전화기부와, 상기 전화기부를 상기 인터넷에 직접 연결하고 송신측과 수신측을 상호 연결하여 통화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경로제어 수단을 통해 상대측과 전화 통화하기 위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음성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송신측의 음성신호를 부호화하여 음성데이터로 변환함과 아울러, 송신측의 음성데이터에 상대측 식별번호와 자신의 식별번호를 부가한 패킷 형태의 음성데이터를 출력하고 전달된 상대측 음성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변환부와, 상기 인터넷에 입출력되는 음성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접속부와, 상기 키패드로부터 입력된 상대측 식별번호에 응답하여 변환된 음성데이터를 인터넷으로 전송하고 전송 받은 상대측 음성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터넷 직결형 디지털 전화기{Digital telephone for directing connection internet}
본 발명은 인터넷 직결형 디지털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넷에 직접 연결하여 상대측과 전화 통화할 수 있는 인터넷 직결형 디지털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내 전화 요금으로 국제 전화 통화와 장거리 전화 통화를 이용하는 인터넷 전화서비스는 세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도 1a와 같은 개인용 컴퓨터-개인용 컴퓨터 유형(PC-to-PC), 도 1b와 같은 개인용 컴퓨터-일반 전화 유형(PC-to-Phone), 도 1c와 같은 일반 전화-일반 전화 유형(Phone-to-Phone)이 있다.
도 1a와 도 1b는 개인용 컴퓨터를 개재하여 인터넷 전화서비스를 수행한다.도1a에서는, 인터넷 전화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개인용 컴퓨터(10)에서 인터넷에 연결된 게이트웨이(20)를 통하여 상대편 인터넷 전화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개인용 컴퓨터(30)에 전화를 하게 된다. 송신측과 수신측에서는 각각 개인용 컴퓨터(10)(30)에 음성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1)(31) 및 음성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12)(32)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도 1b에서는 인터넷 전화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개인용 컴퓨터(40)에서 인터넷에 연결된 게이트웨이(50)와 상대측의 전화망(PSTN)(60)을 통하여 일반 전화기(70)에 전화를 하게 된다. 게이트웨이(50)는 인터넷을 통해 전송 받는 개인용 컴퓨터(40)에 의해 부호화된 음성데이터를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 기능을 가지고 전화망(60)으로 전송하게 된다.
위와 같은 첫째와 둘째의 유형은 개인용 컴퓨터를 필수적으로 구비하고 사용자가 컴퓨터를 능숙하게 다루어야 하는데, 주어진 프로그램에 의해 정해진 절차에 따라 전화를 걸기 때문에 컴퓨터를 잘 다루지 못하는 사람에게는 사용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일반 전화기를 사용하는 세번째 유형이 제안되었다. 도 1c에서 송신측의 전화기(80)와 수신측의 전화기(90)는 일반 전화기이다. 전화기(80)에서 다이얼링하여 전화망(PSTN)(80a)에 연결된 게이트웨이(80b)와 접속을 시도하고 접속이 성사되면 게이트웨이(80b)에서 송신측의 음성신호를 음성데이터로 변환하고 인터넷을 통하여 전송받은 상대측 게이트웨이(90b)가 음성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대측 전화망(PSTN)(90a)을 통해 수신측의 전화기(90)로 전송하여 전화 통화를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도 1c와 같은 세번째 유형의 인터넷 전화서비스의 경우 다수의 가입자를 대상으로 구축할 경우 게이트웨이(80b)(90b)에서의 네트워크 관리가 복잡해져 고가의 장비를 갖추어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사용 요금이 다소 비싸지게 되었고 결국 인터넷 전화서비스의 장점을 충실히 달성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신호의 디지털 변환을 통해 송신측과 수신측이 인터넷에 직접 연결되고 고유의 식별번호가 부여된 전화기를 이용하여 상대측과 전화 통화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 직결형 디지털 전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측에 디지털 전화기를 사용하고 상대편에는 기존의 전화망에 연결된 일반 전화기와 전화 통화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 직결형 디지털 전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라 PC-to-PC 유형으로 전화 통화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라 PC-to-Phone 유형으로 전화 통화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1c는 종래기술에 따라 Phone-to-Phone 유형으로 전화 통화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직결형 디지털 전화기의 구성도,
도 2b는 도 2a의 디지털 전화기를 사용하여 전화 통화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전화기의 제어부를 사설교환기에 접속하여 전화 통화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전화기를 인터넷에 접속하여 상대측 일반전화와 전화 통하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전화기의 제어부를 휴대폰에 접속하여 상대측 디지털 전화기와 전화 통화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전화기의 제어부를 휴대폰에 접속하여 상대측 일반 전화기와 전화 통화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전화기부 101 : 송수화기
102 : 음성처리부 103 : 키패드
200 : 제어부 201 : 데이터변환부
202 : 접속부 203 : 마이크로프로세서
250 : 디지털교환기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넷에 연결되어 전화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전화기에 있어서, 전화 통화를 하기 위한 송수화기와 숫자나 기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와 상기 송수화기에 입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음성처리부를 갖춘 통상의 전화기부와, 상기 전화기부를 상기 인터넷에 직접 연결하고 송신측과 수신측을 상호 연결하여 통화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경로제어 수단을 통해 상대측과 전화 통화하기 위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음성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송신측의 음성신호를 부호화하여 음성데이터로 변환함과 아울러, 송신측의 음성데이터에 상대측 식별번호와 자신의 식별번호를 부가한 패킷 형태의 음성데이터를 출력하고 전달된 상대측 음성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변환부와, 상기 인터넷에 입출력되는 음성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접속부와, 상기 키패드로부터 입력된 상대측 식별번호에 응답하여 변환된 음성데이터를 인터넷으로 전송하고 전송 받은 상대측 음성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변환기는 소정의 압축방식으로 음성신호를 압축하고, 압축된 상대측 음성데이터를 신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화기부와 분리되어 사설 교환기와 인터넷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사설 교환기에 연결된 다수의 전화기부와 상대측과의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휴대폰에 내장되거나 또는 별도의 어댑터 카드로 제작되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경로제어 수단은 음성데이터에 부가된 상대측 식별번호와 자신의 식별번호를 해석하여 송신측과 수신측 간의 통화경로를 설정하는 디지털 교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경로제어 수단은 상대측이 기존의 전화망에 연결된 일반 전화기를 사용하는 경우 상호 간에 전화 통화하기 위해 게이트웨이와 전화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직결형 디지털 전화기의 구성도이고, 도 2b는 도 2b는 도 2a의 전화기를 사용하여 전화 통화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송신측과 수신측이 공히 인터넷에 직접 연결되는 디지털 전화기로서 각각 도 2a와 같은 전화기부(100)와 제어부(200)를 갖추고 있다.
송신측은 상대측의 주소 즉 수신측 전화기에 할당된 고유의 식별번호를 입력한 후 음성통화를 수행하게 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전화기부(100)를 구비하며, 송신측과 수신측을 연결하기 위해 인터넷에 설치된 디지털교환기(250)와, 전화기부(100)를 인터넷에 직접 연결하고 상기 디지털교환기(250)를 통해 상대측과 전화 통화하기 위한 제어부(200)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화기부(100)는 사용자가 전화를 걸기 위한 송수화기(101)와 그 송수화기(101)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음성신호로 변환하며 전달받은 상대측 음성신호를 음성으로 변화하는 음성처리부(102)와, 상대측 전화기에 할당된 고유의 식별번호(ID)를 입력하기 위해 숫자, 기호를 입력하는 키패드(103)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데이터변환부(201)와 접속부(202)와 마이크로프로세서(203)를 구비한다. 상기 데이터변환부(201)는 음성처리부(102)에 의해 변환된 음성신호를 음성데이터로 부호화하여 접속부(202)로 출력하며, 접속부(202)로부터 전달받은 상대측 음성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음성신호를 음성처리부(102)로 출력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03)는 키패드(103)를 통해 상대측 전화기에 할당된 식별번호를 입력받고 상대측과 전화 통화하기 위한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접속부(202)는 부호화된 음성데이터를 상대측으로 인터넷으로 전송하고, 상대측으로부터 전송된 부호화된 상대측 음성데이터를 데이터변화부(201)로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변환부(201)는 음성데이터를 압축하여 접속부(202)로 출력하며, 이때,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03)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대측 식별번호와 자신의 식별번호를 음성데이터에 부가하여 패킷 형태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접속부(202)는 패킷 형태의 음성데이터를 인터넷의 디지털교환기(250)로 전송되고, 디지털교환기(250)는 음성데이터에 부가된 상대측 식별번호를 해석하여 상대측 전화기로의 통화경로를 설정해주게 된다. 이에 응답하여 수신측 전화기에서는 입력받은 음성데이터에 부가된 송신측 전화기의 식별번호를 수신측 음성데이터에 부가하여 인터넷을 통해 디지털교환기(250)로 전송하고 디지털교환기(250)는 음성데이터에 부가된 송신측 식별번호에 따라 통화 경로를 설정하여 수신측 음성데이터를 송신측 전화기로 전달한다. 이후, 송신측 전화기에서는 압축된 수신측 음성데이터를 신장시키고 복호화한 후 음성으로 출력하여 전화 통화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디지털교환기(250)는 인터넷에 연결되는 전화기들에 할당된 고유의 식별번호를 테이블로 미리 작성하며, 이 테이블에 기초하여 통화경로를 설정하게 된다. 이러한 디지털교환기(250)는 패킷 단위로 서로 다른 통화경로를 설정하여 상대측 전화기로 전송하게 되므로 기존과 같이 네트워크 관리에 따른 부담이 현격히줄어들게 된다.
사무실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일반 전화기(400)의 회선연결을 관리하는 사설교환기(PBX)(300)를 설치하고 일반 전화기를 사용하여 음성통화하는 경우, 도 3과 같이 그 사설교환기(300)와 인터넷 사이에 하나의 제어부(200)를 마련한다. 그 제어부(200)가 상대측의 전화기와의 음성통화하기 위한 동작으로 제어하게 된다. 이때, 사설교환기(300)에 고유의 식별번호가 부여되고 그 사설교환기(300)에 연결된 일반 전화기별로 일련번호를 부여하여 각 전화기를 구별하게 된다. 사설교환기(300)에 연결된 일반 전화기를 사용하여 통화할 경우 송화자의 음성신호가 사설교환기(300)를 거쳐 제어부(200)에 입력되고 이후 부호화되고 압축된 후 상대측 식별번호와 자신의 식별번호를 부가한 패킷 형태의 데이터가 인터넷으로 전송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인터넷과 기존의 전화망을 혼용하는 방식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전화기부(100)와 제어부(200)를 갖춘 디지털 전화기를 인터넷에 직접 연결하고, 상대편에는 일반 전화기(90)와 연결되는 전화망(90a)과 게이트웨이(90b)로 이루어진 일반 전화계(A)를 연결하여 전화 통화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 전화계(A)의 게이트웨이(90b)는 디지털 전화기의 제어부(200)에 의해 부호화된 음성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일반 전화기(90)로 전송하며 전화망(90a)을 통해 전달되는 상대측의 음성신호를 부호화하여 인터넷을 통해 디지털 전화기의 제어부(2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전화 통화하기 위해 도 5와 같이제어부(200)가 내장된 휴대폰(500)을 사용하여 수신측 디지털 전화기(540)와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즉, 휴대폰(500)이 기지국(510)과 접속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내장된 제어부(200)가 음성데이터로 부호화하고 압축한 후 상대측의 식별번호와 자신의 식별번호를 부가한 패킷 형태의 음성데이터를 인터넷(530)을 통해 전송하고 미도시한 디지털교환기에 의해 수신측 전화기(540)로 전송된다. 휴대폰(500)에 내장되는 제어부(200)는 기존의 무선 통화를 위한 기존의 전화 회로에 별도로 부가된 형태이며, 이러한 기존의 전화 회로에 대한 구체적 설명이 없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 구성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상기 제어부(200)는 휴대폰(500)에 내장하지 않고 어댑터 카드로 제작하여 필요시 착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어댑터 카드는 휴대폰의 주변장치로서 접속포트를 통해 연결되는 기판으로 제작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로서, 무선통신망과 기존의 전화망을 혼용하는 방식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200)가 내장된 휴대폰(500)은 무선 통신망에 연결되고, 상대편에는 일반 전화기(90)와 연결되는 전화망(90a)과 게이트웨이(90b)로 이루어진 일반 전화계(A)를 연결하여 전화 통화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 전화계(A)의 게이트웨이(90b)는 휴대폰(500)의 제어부(200)에 의해 부호화된 음성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일반 전화기(90)로 전송하며 전화망(90a)을 통해 전달되는 상대측의 음성신호를 부호화하여 인터넷을 통해 디지털 전화기의 제어부(2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인터넷에 직접 연결되는 송신측과 수신측의 전화기를 이용하여 음성통화를 수행하도록, 송신측과 수신측의 전화기에 고유의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전화 통화시 부여된 식별번호를 송신측의 음성데이터에 부가하여 패킷 형태의 음성데이터를 전송하고, 인터넷의 디지털 교환기에 의해 설정되는 통화경로에 따라 상대측으로 전송한다. 또, 본 발명은 송신측은 인터넷에 직접 연결되는 디지털 전화기를 사용하고 수신측은 기존의 전화망에 연결되는 일반 전화기를 이용하여 상호간에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인터넷과 기존의 전화망을 혼용하는 방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인용 컴퓨터를 구비함에 따른 제한을 해소함과 아울러 송신측과 수신측 모두 일반전화기를 이용한 인터넷 전화서비스에서 불가피하게 초래되는 네트워크 관리의 어려움 등을 해소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전화기는 송신측과 수신측 모두에 단독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사설교환기에 부가적으로 설치하여 사무실의 일반 전화기를 대상으로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는 휴대폰에 내장 하거나 별도의 어댑터 카드로 제작하여 착탈할 수 있는 등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인터넷에 연결되어 전화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전화기에 있어서,
    전화 통화를 하기 위한 송수화기와 숫자나 기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와 상기 송수화기에 입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음성처리부를 갖춘 통상의 전화기부와, 상기 전화기부를 상기 인터넷에 직접 연결하고 송신측과 수신측을 상호 연결하여 통화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경로제어 수단을 통해 상대측과 전화 통화하기 위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음성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송신측의 음성신호를 부호화하여 음성데이터로 변환함과 아울러, 송신측의 음성데이터에 상대측 식별번호와 자신의 식별번호를 부가한 패킷 형태의 음성데이터를 출력하고 전달된 상대측 음성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변환부와, 상기 인터넷에 입출력되는 음성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접속부와, 상기 키패드로부터 입력된 상대측 식별번호에 응답하여 변환된 음성데이터를 인터넷으로 전송하고 전송 받은 상대측 음성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직결형 디지털 전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변환부는 소정의 압축방식으로 음성신호를 압축하고, 압축된 상대측 음성데이터를 신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직결형 디지털 전화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화기부와 분리되어 사설 교환기와 인터넷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사설 교환기에 연결된 다수의 전화기부와 상대측과의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직결형 디지털 전화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휴대폰에 내장되거나 또는 별도의 어댑터 카드로 제작되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직결형 디지털 전화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제어 수단은 음성데이터에 부가된 상대측 식별번호와 자신의 식별번호를 해석하여 송신측과 수신측 간의 통화경로를 설정하는 디지털 교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직결형 디지털 전화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제어 수단은 상대측이 기존의 전화망에 연결된 일반 전화기를 사용하는 경우 상호 간에 전화 통화하기 위한 게이트웨이와 전화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직결형 디지털 전화기.
KR1020000006687A 2000-02-12 2000-02-12 인터넷 직결형 디지털 전화기 KR200100813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6687A KR20010081332A (ko) 2000-02-12 2000-02-12 인터넷 직결형 디지털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6687A KR20010081332A (ko) 2000-02-12 2000-02-12 인터넷 직결형 디지털 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1332A true KR20010081332A (ko) 2001-08-29

Family

ID=19646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6687A KR20010081332A (ko) 2000-02-12 2000-02-12 인터넷 직결형 디지털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81332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4782A (ko) * 1996-12-07 1998-09-05 김광호 근거리 통신망 전용전화기 및 그 운용방법
KR19990053796A (ko) * 1997-12-24 1999-07-15 윤종용 인터넷 전화 접속 장치
JPH11220549A (ja) * 1998-01-30 1999-08-10 Fuji Xerox Co Ltd 網切替装置および電話装置
JPH11225218A (ja) * 1998-02-05 1999-08-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ターネット電話装置及び広域データ通信網を利用した通信システム及びターミナルアダプタ
KR19990083883A (ko) * 1999-08-25 1999-12-06 가현정 전화기를 사용한 개인 인터넷폰 통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4782A (ko) * 1996-12-07 1998-09-05 김광호 근거리 통신망 전용전화기 및 그 운용방법
KR19990053796A (ko) * 1997-12-24 1999-07-15 윤종용 인터넷 전화 접속 장치
JPH11220549A (ja) * 1998-01-30 1999-08-10 Fuji Xerox Co Ltd 網切替装置および電話装置
JPH11225218A (ja) * 1998-02-05 1999-08-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ターネット電話装置及び広域データ通信網を利用した通信システム及びターミナルアダプタ
KR19990083883A (ko) * 1999-08-25 1999-12-06 가현정 전화기를 사용한 개인 인터넷폰 통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73108C2 (ru)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и способ работы терминала,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в двух режимах связи
US6381472B1 (en) TDD/TTY-digital access
RU2003102504A (ru)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и способ работы терминала,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в двух режимах связи
KR20040054061A (ko) 이동전화를 위한 인터넷 폰 시스템 및 인터넷 폰 서비스방법
JP4198558B2 (ja) デュアルipフォン及びデュアルipフォンを用いた通話方法
JP2001257797A (ja) 通話装置アダプタ
KR20020016645A (ko) 피에스티엔과 브오아이피 정합회로를 내장한 인터넷폰게이트웨이 시스템
US6658020B1 (en) Voice data exchange system
KR20010081332A (ko) 인터넷 직결형 디지털 전화기
WO1998059469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wing ordinary telephones to connect to a data network
JPH02192254A (ja) 音声品質選択機能付電話機
KR100299566B1 (ko) 공중전화망 가입자용 이동전화 착신/발신 대행 방법 및 그 장치
KR100353713B1 (ko) 음성 및 데이터를 통합하여 처리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
KR19980065539A (ko) 유선전화망을 통해 통화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 및 그 통화수행 방법
KR100350224B1 (ko) 근거리 통신망과 전화 장치를 결합한 통신 시스템
KR20010075862A (ko) 인터넷 전화장치
KR100576022B1 (ko) 사설 교환기에서 이동성을 갖는 복합단말 장치
KR20020068438A (ko) 웹폰시스템에 있어서 인터넷 호와 전화망 호 간의 외부 호포워딩방법
KR20020066677A (ko) Voip호 착신시 교환기의 dtmf신호 수신할당방법
KR20020083274A (ko) 유무선 복합 인터넷 접속 장치
KR20010057834A (ko) 화상 전화기능을 가지는 무선 가입자 망 시스템의 가입자정합장치
JP2002252655A (ja) 電話網からip網への接続システムおよびこの接続システムを用いる電話網からip網への接続サービス方法
GB2415320A (en)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session either over PSTN or the Internet dependent upon certain criteria.
KR20000015153A (ko) 디지털 키폰 전화기의 기능을 가지는 개인용 컴퓨터및 그 제어 방법
KR20060057075A (ko) 인터넷 키폰 시스템에서 디에스에스를 이용한 다자 회의통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