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1291A -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1291A
KR20010081291A KR1020000006506A KR20000006506A KR20010081291A KR 20010081291 A KR20010081291 A KR 20010081291A KR 1020000006506 A KR1020000006506 A KR 1020000006506A KR 20000006506 A KR20000006506 A KR 20000006506A KR 20010081291 A KR20010081291 A KR 20010081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wastewater treatment
membrane filter
treatment apparatus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6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덕희
Original Assignee
조덕희
주식회사 가경코스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덕희, 주식회사 가경코스모 filed Critical 조덕희
Priority to KR1020000006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81291A/ko
Publication of KR20010081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129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1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skiing
    • A63B69/187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skiing for water-ski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1/00Accessories for skiing or snowboarding
    • A63C11/22Ski-sticks
    • A63C11/227Details;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6/00Marine propulsion by muscle power
    • B63H16/04Oars; Sculls; Paddles; Po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9Ski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6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ies, ribbons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는 그 구조가 단순하게되어 설치공간이 대폭적으로 감축된 구조가 이동케이스내에 설치되어 이동가능하게 제조되므로 간단하고 신속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사용후 결합된 부분을 해제하고 다른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므로서 사용기간이 일시적이고 단기간이기때문에 별도의 오폐수처리장치를 사용할 수 없는 장소에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되어 환경을 보호하고 오폐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고 부피를 최소로하여 설치기간이 대폭적으로 단축되고 이동설치를 가능하게하고 그 구조가 단순하게되어 제조 및 유지관리비용이 최소로 되고 오폐수의 처리공정이 간단하여 전력비,약품비 및 인건비등의 유지관리비용이 저렴하고 처리수를 중수로 재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a wastewater treatment equipment}
본 발명은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시적으로 다량의 사용인력이 상주하는 공사현장이나 군부대의 야외훈련장, 야외수련원,야외취사시설등에 신속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용이하게 분해하여 다른 장소로 이동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저렴한 비용으로 신속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되므로 다대한 설치비용이 소요되어 실질적으로 설치가 불가능하여 오폐수를 무단방류하여 자연환경을 훼손시키는 것이 방지되어 환경훼손이 방지됨은 물론 효율적으로 오폐수를 정화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공사현장이나 군부대의 야외훈련장, 야외수련원,야외취사시설등에는 다수의 인력이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상주하게 되므로 다량의 오폐수가 발생되며 이러한 오폐수를 정화하기위하여는 다대한 비용이 소요되는 정화시설이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하나 이러한 다대한 비용은 정화시설의 설치를 불가능하게하므로 일시적인 집단시설에서 발생되는 다량의 오폐수는 아무런 정화시설이 없이 방류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한 것으로 오폐수정화장치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사용후 결합된 부분을 해제하고 다른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므로서 사용기간이 일시적이고 단기간이기때문에 별도의 오폐수처리장치를 사용할 수 없는 장소에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되어 환경을 보호하고 오폐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폐수처리장치의 부피를 최소로하여 설치기간이 대폭적으로 단축되고 이동설치를 가능하게하고 그 구조가 단순하게되어 제조 및 유지관리비용이 최소로 되는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폐수의 처리공정이 간단하여 전력비,약품비 및 인건비등의 유지관리비용이 저렴하고 처리수를 중수로 재활용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그 특징 및 장점들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A)는,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동가능한 이동케이스(1)와, 상기 이동케이스(1)내에 배치되며 유입되는 오폐수를 저장하며 배수펌프(21) 및 배수관(22)이 설치된 유량조정조(2)와, 상기 이동케이스(1)내에 배치되며 상기 유량조정조(2)의 배수관(22)을 통하여 오폐수가 유입되며 하부에 산기관(31)이 배치되고 상기 산기관(31)상에 배치되며 오폐수를 여과하는 멤브레인필터(Membrane Filter)(32)가 배치된 여과조(3)와, 상기 여과조(3)의 멤브레인필터(32)내의 여과된 정화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펌프(4)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케이스(1)는 본실시예에서는 이동 및 설치가 간편하며 내구성이 양호하고 외부의 충격에 강한 컨테이너박스가 사용되었으나, 함석상자 또는 나무상자와같은 다른 케이스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유량조정조(2)는 오폐수를 배수하는 시설물에서 불규칙적으로 유출되는 폐수를 1일정도 저장가능한 양을 적정용량으로 하였다. 유량조정조(2)의 배수관(22)상에는 오폐수내에 혼입된 입자상을 물질들을 걸러내도록 미세스크린망(2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산기관(31)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배출되도록 송풍기(31a)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산기관(31)은 멤브레인필터(32)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산기관에서 분출되는 기포가 멤브레인필터(32)의 외측에 붙어 있는 불순물들을 분리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멤브레인필터(32)는 여과성이 탁월한 직물이 4측면에 부착되어 오폐수가 내부로 흡입되면서 직물지를 통과하면서 여과되므로 외표면에는 여과물이 부착된다. 상기 멤브레인필터(32)의 내부에는 여과된 정화수는 배출펌프(4)에의해 흡인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A)는 장치를 설치장소까지 운반수단에의해 이송하여 온 후, 오폐수발생시설의 방류관(5)이 유량조정조(2)내에 가설되면 오폐수처리장치(A)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를 설치하고 방류관(5)을 통하여 오폐수가 방류되면 방류된 오폐수는 유량조정조(2)내로 유입되어 일정시간 후 오폐수처리장치를 작동시키면 유량조정조(2)의 배수펌프(21)가 작동되므로 오폐수는 배수관(22)을 통하여 여과조(3)로 유출되는 도중 미세스크린망(23)을 통하여 1차여과된다. 배수관(22)을 통하여 여과조(3)내로 유입된 오폐수는 배출펌프(4)에의해 내부의 압력이 낮아진 여과조(3)내의 멤브레인필터(32)내로 유입되는 도중 직물막을 통과하면서 여과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멤브레인필터(32)를 통과하여 여과되어 배출펌프(4)에의하여 배출되는 정화수는 BOD 및 SS가 5 PPM이하의 안정적인 수질을 유지하게 되므로 대단히 용이하게 오폐수를 처리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오폐수를 설치하고 공사기간이나 훈련기간이 종료되어 다른 장소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지게차로 본 발명의 오폐수처리장치(A)를 들어올려 트럭에 적재하면 다른 장소로 극히 용이하게 이동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A)의 개략단면도로서, 약 500인 이상의 인력이 사용하는 오폐수를 정화하기 위하여 이동케이스(1)의 크기가 대형으로되고 이동케이스(1)내에 배출폄프(4)에서 배출된 정화수를 소독하는 소독조(6)가 설치된 구조로서, 상기 배출펌프(4)에서 배출되는 정화수가 소독조(6)로 유입되어 소독이 완료된 후에 다시 중수로 재사용하기 위한 구조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는 그 구조가 단순하게되어 설치공간이 대폭적으로 감축된 구조가 이동케이스내에 설치되어 이동가능하게 제조되므로 간단하고 신속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 사용후 결합된 부분을 해제하고 다른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므로서 사용기간이 일시적이고 단기간이기때문에 별도의 오폐수처리장치를 사용할 수 없는 장소에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되어 환경을 보호하고 오폐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고 부피를 최소로하여 설치기간이 대폭적으로 단축되고 이동설치를 가능하게하고 그 구조가 단순하게되어 제조 및 유지관리비용이 최소로 되고 오폐수의 처리공정이 간단하여 전력비,약품비 및 인건비등의 유지관리비용이 저렴하고 처리수를 중수로 재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3)

  1. 이동가능한 이동케이스와, 상기 이동케이스내에 배치되며 유입되는 오폐수를 저장하며 배수펌프 및 배수관이 설치된 유량조정조와, 상기 이동케이스내에 배치되며 상기 유량조정조의 배수관을 통하여 오폐수가 유입되며 하부에 산기관이 배치되고 상기 산기관상에 배치되며 오폐수를 여과하는 멤브레인필터가 배치된 여과조와, 상기 여과조의 멤브레인필터내의 여과된 정화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케이스는 컨테이너박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케이스내에는 상기 배출펌프와 연결된 소독조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
KR1020000006506A 2000-02-11 2000-02-11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 KR200100812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6506A KR20010081291A (ko) 2000-02-11 2000-02-11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6506A KR20010081291A (ko) 2000-02-11 2000-02-11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1291A true KR20010081291A (ko) 2001-08-29

Family

ID=19645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6506A KR20010081291A (ko) 2000-02-11 2000-02-11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8129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6748A (ja) * 1996-02-01 1997-08-12 Nitto Denko Corp 汚水処理方法
KR19980065120A (ko) * 1998-06-27 1998-10-07 이상민 무소음 중공사막 오수처리장치
JPH11253942A (ja) * 1998-03-12 1999-09-21 Kubota Corp 移動式浸漬型膜分離汚水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6748A (ja) * 1996-02-01 1997-08-12 Nitto Denko Corp 汚水処理方法
JPH11253942A (ja) * 1998-03-12 1999-09-21 Kubota Corp 移動式浸漬型膜分離汚水処理装置
KR19980065120A (ko) * 1998-06-27 1998-10-07 이상민 무소음 중공사막 오수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92032B2 (en) Septic tank effluent filtering method
US5711887A (en) Water purification system
KR100976262B1 (ko) 바이오 세라믹 담체를 이용한 호소 또는 하천의 생태복원 및 비점오염 방지를 위한 지중정화장치 및 시스템
KR101615356B1 (ko) 비점오염물질 처리 시스템
KR20110071481A (ko) 오폐수 처리장치
KR20010081291A (ko) 이동식 오폐수처리장치
CN208732724U (zh) 污水深度处理设备
KR20120009030A (ko) 비점오염수 정화장치
CN209989133U (zh) 一种组合式曝气生物滤池
CN207002459U (zh) 污水沉淀消毒设备
CN110482797A (zh) 一种污水处理装置
RU181886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100453705B1 (ko) 침전 여과조를 이용한 오수처리장치 및 방법
KR200162239Y1 (ko) 이동식 정수장치
CN213112859U (zh) 一种水质智能净化装置
KR100432125B1 (ko) 연못 등의 저장수 정화장치
KR200199577Y1 (ko) 연못 등의 저장수 정화장치
CN215756899U (zh) 一种pcb板生产用高效氨氮废水处理装置
CN219239468U (zh) 一种水处理系统
JP2001096286A (ja) 排水処理装置
CN216614340U (zh) 一种城市生活污水用mbr处理设备
KR200182581Y1 (ko) 오수처리장치
JP2525124Y2 (ja) 汚水浄化槽
KR200208122Y1 (ko) 숯을 이용한 오,폐수 정화장치
WO1999067173A2 (en) Filtering plant for waste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