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0908A - 암호화된 그룹 방송 메시지를 통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암호화된 그룹 방송 메시지를 통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0908A
KR20010080908A KR1020017005207A KR20017005207A KR20010080908A KR 20010080908 A KR20010080908 A KR 20010080908A KR 1020017005207 A KR1020017005207 A KR 1020017005207A KR 20017005207 A KR20017005207 A KR 20017005207A KR 20010080908 A KR20010080908 A KR 20010080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message
portable terminal
portable
broadcas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5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라이언 요트 포드
파울 체. 바인만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20010080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090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3Protecting confidentiality, e.g. by encryption
    • H04W12/037Protecting confidentiality, e.g. by encryption of the control plane, e.g. signalling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e. wireless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2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features of supplementary services
    • H04M2203/205Broadca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6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security aspects in 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 H04M2203/609Secre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7/0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 H04M2207/2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hybrid systems
    • H04M2207/206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hybrid systems composed of PSTN and wireless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원격통신 시스템(1)에서 단일 또는 다중 암호화된 방송 메시지를 통신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이 제공되고, 여기서 원격통신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휴대용 단말기(6)와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단말기(2)를 구비한다. 방송 시스템은 고정 단말기의 수신 영역에서 휴대용 단말기(6)에 의한 수신을 위해 정해진 또는 각각의 고정 단말기(2)로부터 제 1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데, 제 1 메시지는 고정 단말기를 위해 선택된 채널을 명시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은 연관된 방송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것이다. 정해진 또는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로 하여금 명시된 방송 메시지 채널을 통해 수신하도록 야기하기 위해 제어 수단이 제공된다. 다음으로 송신기 수단은 정해진 또는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6)가 오디오 방송 메시지와 같은 방송 메시지를 수신, 암호해독 및 재생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명시된 방송 채널을 통해 암호화된 방송 메시지를 고정 단말기(2)로부터 송신한다.

Description

암호화된 그룹 방송 메시지를 통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ENCRYPTED GROUP BROADCAST MESSAGES}
특정 시스템의 성능과 필요조건에 따라, 일부 유형의 오디오 방송 설비를 원격통신 시스템에 제공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래서, 방송되는 메시지는 복수의 시스템 사용자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하나의 기본적인 시스템이 일본 특허 출원서(JP-A-5-48684호)의 영문 요약서에 언급되어 있다. 그 요약서는 음성 레코딩부, 무선(송신)부 및 안테나가 제공된 전화기의 마스터 세트를 구비하는 코드리스 전화기 세트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슬레이브 세트(slave set)에는 안테나, 무선부, 증폭기 및 스피커가 제공된다. 다음으로, 레코딩된 음성 메시지는 마스터 세트로부터 슬레이브 세트로 송신될 수 있다.
그러한 장치에 있어서, 만약 각각의 슬레이브 세트에 간단한 수신기 섹션(무선부)만이 제공된다면, 그 때는 방송의 수신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마스터 세트와의 정상적인 전화 트래픽 교환을 지원하기 위해 상기 수신기 섹션이 필요할 수 있다. 만약 슬레이브 세트가 이미 전화 통화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 다른 문제가 특정 슬레이브 세트로 방송을 송신하기 위해 시도할 때 발생될 수 있다.
원격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단말기에 오디오 방송 설비를 제공하기 위한 다른 접근책은, 기지국이나 일부 다른 유형의 제어 유닛에 대해서, 상기 시스템에 대한 인습적인 방식으로 복수의 각 단말기와의 원격통신 링크, 즉 음성이나 데이터 파일 트래픽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유형의 링크를 설정하는데 있다. 다음으로, 오디오 메시지는 정상적인 전화 통화의 음성 신호가 전달되어지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링크 각각을 통해 상기 오디오 메시지를 동시에 보냄으로써 방송된다. 개별적인 점 대 점 링크(point-to-point link)가 각각의 단말기와 동시에 설정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것은, 설사 가능할지라도, 정해진 시간에 제한된 수의 단말기로 호(call)를 설정하기에 충분한 재원(resource)이 단지 제공될 수 있는 시스템에 과다한 요구(demand)를 부여할 수 있다. 그 문제점은 복수의 개별 단말기로 호를 하나씩 설정함으로써, 또는 단말기의 총 수 중 일부로 호를 연속적으로 설정함으로써 어느 정도까지는 해결될 수 있지만, 이것은 방송이 의도되는(intend for) 단말기 각각(또는 단말기의 총 수 중 일부)으로 상기 방송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지연을 유도할 것이다. 이것은, 특별히 단말기를 사용하는 직원(personnel)의 보호(welfare)가 방송의 적시적인 수신에 다소 의지하는 경우라면, 특정 상황과 응용에서는 용인될 수 없을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로의 무선 링크를 사용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에서, 많은 수의 휴대용 단말기로의 그러한 트래픽 호를 동시에 설정함으로써 (오디오 방송과 같은)방송을 제공하려는 것은 더욱더 어렵다. 이것은, 부분적으로는, 단일 기지국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제한된 수의 채널 및 그러한 원격통신 시스템에 의한 사용을 위해 할당되어지는 무선 스펙트럼의 크기 때문이다. 하나의 그러한 시스템에 대한 예는 DECT 순응 원격통신 시스템이다(DECT는 디지털 최첨단 코드리스 원격통신에 대한 약어임). DECT 시스템은 여러 부분들로 이루어진 표준(ETS 300 175)에 따라 설명된다. 그 표준은 유럽 전기통신 표준 협회(European Telecommunication Standards Institute)에 의해서 공표되어 있고,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써 병합된다.
위에서 언급된 장치 각각에 있어서, 허가 받지않은 개체들이 방송을 수신하고 해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어떠한 보호수단도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은 보안(security)이 쟁점(issue)인 곳에서는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원격통신 시스템을 통해서 암호화된 방송 메시지를 복수의 가입자 단말기에 통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무선 휴대용 단말기로 정보를 방송하는 것을 허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 시스템은 특히 디지털 최첨단 코드리스 원격통신(DECT : 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communication) 표준에 기초하지만 필수적이지는 않다.
도 1은 본 발명을 병합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암호화/암호해독 처리의 개략도.
도 3은 암호화 키를 생성하는데 적합한 시스템의 성분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로 하여금 방송되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암호해독하도록 허용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을 통해 오디오 메시지나 데이터 파일과 같은 암호화된 메시지를 방송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격통신 시스템을 통해 오디오 메시지나 데이터 파일과 같은 암호화된 메시지를 방송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고, 상기 시스템은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로 하여금 방송되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암호해독하도록허용하며, 한편으로는 동시에 시스템 재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상에 따라, 에어 인터페이스(air interface)를 통해 하나 이상의 휴대용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단말기를 구비하는 코드리스(cordless) 원격통신 시스템에는, 방송 메시지를 통신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이 제공되는데, 상기 방송 시스템은,
고정 단말기로부터 제 1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제 1 송신기 수단으로서, 상기 메시지는 방송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서 그 고정된 단말기를 위해 선택된 채널을 명시하고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송신기 수단과,
제 1 메시지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휴대용 단말기에게 선택된 채널을 통해 수신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어 수단과,
방송 메시지를 암호화하기 위한 방송 메시지 암호화 수단과,
적어도 하나의 휴대용 단말기가 수신 및 암호해독을 하기 위한 암호화 형태로, 방송 메시지를 선택된 채널을 통해 고정 단말기로부터 송신하기 위한 제 2 송신기 수단을 구비한다.
방송 메시지는 일반적으로 오디오 또는 데이터 파일 유형의 메시지이다.
제 1 및 제 2 송신기 수단은 고정 단말기에 병합될 수 있다. 실제로, 제 1 및 제 2 송신기 수단은 동일한 개체일 수 있다. 제 1 및 제 2 송신기 수단은 동일한 시스템 성분일 수 있다. 제어 수단은 휴대용 단말기에 위치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송신기 수단과 제어 수단 각각은 시스템 응용장치이거나 그와 유사한 것일 수 있고, 그 용어들(terms)은 반드시 하드웨어에 관련하지는 않는다.
그 메시지를 비연결형(connectionless) 메시지로 방송함으로써,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로의 개별적인 호를 설정하지 않고, 그로 인해 시스템의 제한치를 초과하지 않고도 실질적으로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로 동시에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한 방송 설비는 휴대용 단말기들이 경비원이나 의료진에 의해 휴대되는 곳에서, 즉 신속하면서도 실질적으로 동시적인 메시지나 경보 신호가 담당 직원에게 방송되는 것이 중요한 곳에서 특별히 유용할 것이다.
바람직하게, 제 1 송신기 수단은 방송이 의도되는 적어도 하나의 휴대용 단말기의 식별을 명시하는 페이징 정보를 생성하여 제 1 메시지에 포함시키기 위해서 페이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이 그 페이징 정보에 또한 응답함으로써, 명시된 휴대용 단말기 식별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만이 선택된 채널을 통해 암호화된 방송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지시받을 것이다. 이는 방송 메시지가 특정 휴대용 단말기에 보내지도록 허용한다.
방송 시스템에는 페이징 수단을 통해 명시하기에 적합한 유형의 휴대용 단말기 식별을 휴대용 단말기에 선택적으로 할당하기 위한 할당 수단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므로, 공통 식별을 다수의 휴대용 단말기에 할당함으로써, 제 1 메시지에 그러한 하나의 공통 식별만을 명시하는 페이징 정보를 포함시킴으로써 모든 그러한 단말기들은 방송을 수신하도록 지시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방송 메시지는 특정 암호화 알고리듬 및 암호화 키를 사용하는 방송 메시지 암호화 수단에 의해 암호화됨으로써, 대응하는 암호해독 알고리듬 및 암호해독 키를 가지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만이 수신된 암호화 방송 메시지를 암호해독할 수 있다.
방송 메시지에는 제 1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식별자가 제공될 수 있다. 그 경우에, 식별자는 적절한 암호해독 알고리듬 및/또는 암호해독 키를 선택하기 위해서 암호화된 방송 메시지를 수신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만약 코드리스 원격통신 시스템이 DECT에 기초한 원격통신 시스템이라면, 그 때 할당 수단은 임시 휴대용 사용자 식별(TPUI : Temporary Portable User Identity)인 휴대용 단말기 식별을 휴대용 단말기에 선택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만약 원격통신 시스템이 DECT 표준, 또는 DECT 표준의 변경된 형태에 기초한다면, 상기 명시된 방송 채널은 그 때 DECT 단신방식 베어러(DECT simplex bearer)를 지원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DECT 물리 채널일 수 있다. 명시된 채널은 비연결형 다운링크 베어러를 지원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출원인들이 인지한 바와 같이, DECT 순응 시스템에 있어서 특별한 장점을 갖는데, 왜냐하면 DECT 표준은, 비록 그러한 비연결형 통신이 일반적으로는 시스템 정보와 다른 제어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만 사용될지라도, 고정 단말기의 무선 고정부로부터 휴대부로 비연결형 통신이 설정되도록 허용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제 2 양상에 따라,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휴대용 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단말기를 구비하는 코드리스 원격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메시지를 통신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는데, 상기 방법은,
고정 단말기로부터 제 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메시지는 방송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서 그 고정 단말기를 위해 선택된 채널을 명시하고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휴대용 단말기에게 선택된 채널을 통해 수신하도록 지시하는 단계와,
방송 메시지를 암호화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휴대용 단말기가 수신 및 암호해독하기 위한 암호화 형태로, 선택된 채널을 통해 방송 메시지를 고정 단말기로부터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치는 여러 방송 메시지가 존재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여러 유형(instance)의 방송 메시지가 설정될 수 있다. 그러한 방송은 여러 정보 스트림이 복수의 무선 휴대용 단말기에 방송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방송 시스템에서 제 1 송신기 수단의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통신 디바이스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방송 메시지 시스템에서 제어 수단의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통신 디바이스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방송 메시지 시스템에서 제 2 송신기 수단의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통신 디바이스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방송 메시지 암호화 수단의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통신 디바이스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방송 메시지의 수신 및 암호해독을 위해 방송 시스템과 연계해서 사용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기술적인 특징을 갖는 통신 디바이스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과 선택적인 특징이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제시되고, 그것에 대한 참조가 이제 이루어져야 하며, 그것의 개시가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서 병합된다.
본 발명은 이제 첨부 도면을 단지 참조하여 예를 통해 설명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특정 통신 시스템은 DECT 순응 셀룰러 통신 시스템(1)에 기초하고, 여기서 고정 단말기는 DECT 무선 고정부(RFP)(3)의 형태로 복수의 무선 종단점을 포함하는 DECT 고정부(FP)(2)의 형태를 취한다. 세 개의 그러한 RFP(3a, 3b, 3c)가 도시되어 있다.
비록 본 발명은 DECT 순응 시스템에 기초하지만, 본 시스템에는 현행 DECT 기본 표준의 범위 밖에 있는 여러 특징들이 제공된다. 그러한 특징들은 적절한 곳에서 강조될 것이지만,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목적으로 하고, 특정한 특징을 논의할 때는 달리 설명되지 않는 한 'DECT 순응' 또는 'DECT'에 대한 참조가 정상적인 DECT 기능을 나타내기 위해 취해져야 한다.
RFP(3)들은 공동으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FP(2)는 비록 선택적이지만, 인터페이스를 통해 공중 교환 전화망(4)과 같은 외부 원격통신 네트워크로 연결가능하다. FP는 RFP(3) 상호간의 상호 운용성(interoperability)을 갖는 전체 시스템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제어 유닛(5)을 또한 구비한다. 제어 유닛(5)에는 사설 자동 구내 교환(PABX : Private Automatic Branch Exchange) 기능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비록 다수의 RFP(3)가 다중 셀 시스템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될 지라도, 하나의 RFP(3)만을 사용하는 단일 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DECT 순응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부(PP)(6)의 형태를 취하는데, 상기 휴대부(PP)(6)는 RFP(3a, 3b, 3c)와의 무선 링크를 설정함으로써 고정부와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이는 당업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음성이나 데이터와 같은 트래픽(traffic)의 교환을 허용한다. 비록 12 개의 PP가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개수만큼의 PP가 사용될 수 있다. RFP와 PP 사이의 무선 링크 통신은 하나 이상의 DECT 물리 채널 상에 설정되는 소위 베어러(채널)에 의해 제공된다. 각각의 채널은 연속적인 시분할 다중 접속(TDMA) 프레임에서 하나의 특정 무선 주파수(RF) 상의 한 특정 슬롯을 통한 송신에 의해 생성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DECT 통신 시스템에는 하나의 RFP(3)나 다수의 RFP(3)가 제공될 수 있다. 명백하게, 만약 시스템이 하나의 RFP(3)만을 구비한다면, 그 때 그 RFP는 PP(6)와 설정되는 모든 연결을 제공하여야 한다. 그러나, 복수의 RFP(3)를 구비하는 시스템에의 경우에는(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경우와 같음), 시스템의 성능 및/또는 통신 가능 구역(coverage area)을 증가시키는 것이 목적이라면, 이용가능한 링크의 품질(quality)에 따라 RFP(3)와 PP(6) 사이에 연결이 설정되고, 그연결은 항상 그렇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PP(6)와 가장 인접한 RFP(3) 사이에 설정되는 링크를 초래한다.
PP(6)가 고정 시스템과의 트래픽 통신에 관여할 수 있기 이전에, 상기 PP(6)는 자신이 FP(2)의 RFP(3)와 동기되는 상황을 획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DECT 시스템에서 가능한데, 그 이유는 각각의 RFP(3)가, 다른 시스템 정보와 함께, RFP(3)와 연결되는 FP(2) 및 상기 특정 RFP(3)의 식별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는 송신을 계속하기 때문이다. 각각의 RFP(3)는 항상 그러한 정보를 항상 송신하고 있기 때문에, PP(6)는 각각의 DECT 시스템 채널을 통해 차례로 수신할 수 있고, 그러한 채널을 통해 활동을 감시할 수 있다.
그러한 송신된 정보는,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어질 바와 같이, N-채널 및 Q-채널 정보로 지칭된다. 명확성을 위해서, DECT N-채널과 DECT Q-채널은 논리 채널이지 DECT 물리 채널이 아니라는 것이 언급되어야 한다.
근처에 있는 임의의 RFP(3)에 대한 존재를 검출하는 것이 PP(6)의 임무이기 때문에, PP(6)가 활성화되었을 때, 상기 PP(6)는 RFP(3)에 의해 방송되는 N-채널 및 Q-채널 정보를 각각의 DECT 채널을 통해 수신(listen for)하려 하기 시작한다. 만약 정해진 RFP(3)가 PP와의 트래픽 연결을 지원하는데 관계하지 않는다면, 그 때는 그 정보가 소위 더미 베어러(dummy bearer)를 통해 자연적으로 방송된다. 정해진 RFP(3)가 하나 이상의 PP(6)와의 하나 이상의 트래픽 연결을 지원하는데 관계한다면, RFP(3)는 각각의 트래픽 베어러를 통해 그 정보를 방송한다. 적어도 하나의 트래픽 연결을 지원하는 RFP(3)는, 비록 그 RFP(3)와의 모든 트래팩 연결이 중지되는 경우에 더미를 통한 N-채널 및 Q-채널 정보의 방송이 복구되어야 하지만, 더미 베어러를 드롭(drop)시킬 수 있다. 어쨌든, RFP(3)는 적어도 하나의 DECT 채널을 통해 N 및 Q-채널 정보를 항상 송신하고 있을 것이다. 더미 베어러는 특정 PP(6)에 의한 수신을 위해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우연히 인접부근에 있는 임의의 범위 내의 PP(6)가 항상 RFP(3) 식별과 시스템 정보를 이용가능게 만드는데 그 의도가 있다.
PP(6)가 최초로 스위치 온될 때, 상기 PP(6)는 어떤 활동을 갖는 한 채널을 찾을 때까지 모든 유효 DECT 채널을 통해 스캐닝함으로써 범위 내의 RFP(in-range RFP)(3)의 존재를 수신하려 한다(listen out). 만약 RFP(3)가 실제로 음성 또는 데이터 호를 하나 이상의 다른 PP에 이미 지원하고 있다면, 그 때는 소위 트래픽 베어러가 RFP(3)와 상기 PP 사이에 이미 설정되고, 시스템 정보가 그 베어러에서 찾아질 것이다. 이것은 PP(6)가 RFP(3)와 동기를 이루고 RFP(3)에 대한 호를 설정하거나 그 호를 수신할 준비가 된 상태에 있기 위해서 필요한 시스템 정보를 상기 PP(6)에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만약 RFP(3)가 어떤 음성 또는 데이터 호도 지원하지 않고 있다면, 어떠한 트래픽 베어러도 존재하지 않을 것이고, 따라서 RFP(3) 부근에 있는 PP(6)는, PP가 RFP(3)와 동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유효 DECT 채널들 중 하나를 통해 일정한 시간의 간격을 두고 RFP(3)에 의해 송신되는 소위 더미 베어러에 의존한다.
PP(6)는 근처에 있는 RFP가 그 채널을 통해 실제로 송신하고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여러 DECT 채널 상에 소위 동기 베어러를 설정한다. 만약 실제로 그렇지 않다는 것이 확인된다면, N-채널 및 Q 채널 정보를 전달하고 있는 채널이 발견될 때까지 다른 DECT 채널 상에 동기 베어러가 설정된다. 동기 베어러를 설정하는 것은 DECT 채널 상의 임의의 N-채널 및 Q-채널 정보가 판독되도록 허용한다. 그 정보는 PP(6)가 고정부로의 엑세스 권리를 갖는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상기 PP(6)에 의해 사용되고, 만약 그렇다면, 상기 PP(6)는 호를 설정 및 수신할 준비가 되는 상태에 들어간다.
트래픽 베어러는, 일반적으로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연결 지향성 모드(connection oriented mode)로 동작하는데, 왜냐하면 그것이 세 가지 스테이지, 즉 하나의 소스로부터 하나 이상의 목적지로의 연결을 설정하는 스테이지, 데이터를 전달하는 스테이지, 및 마지막으로 연결을 해제하는 스테이지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대조적으로, 더미 베어러는 비연결형 모드로 동작하는데, 왜냐하면 그것이 하나의 소스로부터 하나 이상의 목적지로의 독립형 데이터 유닛의 데이터 송신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다른 유형의 베어러가 존재하는데 그것은 비연결형 베어러로 지칭된다. 비연결형 베어러는 더미 베어러가 시스템 정보만을 전달할 수 있는 반면에 자신은 다른 유형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더미 베어러와 유사하다. 그러한 다른 베어러의 특징에 따라 다른 정보가 상술된 DECT 표준으로 제공되고, 본 발명의 이해와 관련되지 않는 한 여기서는 재생되지 않을 것이다.
모든 유형의 베어러는 N-채널 및 Q-채널 정보의 형태로 RFP 및 시스템 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에, RFP의 범위에 있으면서 상기 RFP와 동기를 이루는 모든 PP는,그것들의 현재 상태{일예로, 음성 통화 중에 있거나 휴지 상태(idle condition)}에에 상관없이, 그 정보를 수신하고 그 정보에 엑세스한다. 또 다른 유형의 DECT 논리 채널은 RFP로부터 PP로의 페이징 정보를 포함하는 P-채널로 지칭된다. 페이징 정보가 송신될 때, 상기 페이징 정보는 모든 베어러 상에 나타난다. 그러므로, N-채널 및 Q 채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임의의 PP는 임의의 송신된 P-채널 정보를 또한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모든 동기된 PP는 송신되는 임의의 P-채널 정보를 항상 수신(hear)하기 때문에, 특정 PP에게 어떤 채널을 통해 수신할 지를 지시하기 위해 정보가 그 채널을 통해 전달된다.
오디오 메시지나 데이터 파일과 같은 메시지를 특정 PP에 방송하기 위해서, 그 PP는 먼저 방송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방송 채널로서 사용될 특정 DECT 채널을 통해 수신하도록 요청된다. 일단 PP가 그 채널을 통해 수신하고 있으면, 그 메시지는 PP가 수신하도록 그 채널을 통해 송신된다. 복수의 DECT PP가 그 채널을 통해 수신하도록 요청함으로써, 다음으로 그러한 PP 모두는 그 방송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비연결형 다운링크 베어러가 각 RFP에 의해서 방송 채널 상에 설정되는데, 그것은 각 RFP에 대해서 다를 수 있다. RFP의 범위 내에 있는 모든 PP는 이제, 만약 그것들이 비연결형 다운링크 베어러를 전달하기 위해 그 RFP 상의 선택된 채널을 수신(listen to)하려한다면, 방송 메시지를 동시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비연결형 베어러는 더미 베어러와 유사하지만, 그 경우에 상기 비연결형 베어러는,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어질 바와 같이, 방송 메시지 자체에 관한 정보로 채워진 고유의 B-필드를 갖는다. 비록 메시지가 음성 또는 데이터 파일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을 지라도, 다른 유형의 정보가 경보 신호를 나타내는 정보와 같이 방송될 수 있다. 이것은 방송 메시지가 의도되는 각 범위 내의 PP로의 트래픽 베어러를 설정하고 그러한 트래픽 베어러를 통해 메시지를 중계(relay)하는 개념과 대조를 이룬다는 것이 주시된다. DECT RFP 클러스터는 제한된 수의 트래픽 베어러를 단지 지원할 수 있고, 주파수 재사용이 필요하게 되기 이전에 어떻게 해서든지 DECT 시스템에 설정될 수 있는 절대적인 수의 트래픽 베어러가 존재한다. 그러므로, 방송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비연결형 베어러를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PP는 원격통신 시스템을 과도하게 로딩하지 않고도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정해진 PP가 방송 메시지를 실제적으로 수신하고 재생하기 위해서, 어떤 DECT 채널이 방송 메시지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지를 PP에게 알려주는 정보를 포함한 제 1 메시지가 각각의 RFP에 의해서 모든 베어러를 통해 짧은 페이지 메시지로 송신된다. P-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짧은 페이지 메시지는 방송 메시지를 전달할 DECT 채널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짧은 페이지 메시지는, 당업자들에게 알려질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A-필드로 전달된다.
실제로, 만약 더미 베어러가 특정 RFP에 의해 사용 중에 있다면, 다른 DECT 채널 상에 비연결형 다운링크 베어러를 설정하기보다는 오히려, 방송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더미 베어러를 전달하기 위해 사전에 사용되었던 DECT 채널을 요구하기 위해 더미 베어러를 비연결형 다운링크 베어러로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선호(preference)의 한 이유는, 만약 정해진 RFP가 더미 베어러만을 송신하고있다면, 그 RFP와 동기된 임의의 PP는 그 더미 베어러를 구비하는 DECT 채널을 통해 수신할 것이라는 사실에서 비롯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PP에게 다른 DECT 채널을 통해 수신하도록 지시하는 필요성을 회피시킬 것이다.
이제 제 1 방송 메시지가 송신되고 있는 중에 제 2 방송 메시지를 제공하는 예를 들면, 제 2 방송 메시지는 각 RFP로부터의 제 2 비연결형 다운링크 베어러를 설정함으로써 제공된다. 정해진 RFP에 대해서, 제 2 비연결형 다운링크 베어러는 제 1 비연결형 다운링크 베어러와는 다른 DECT 채널 상에 존재할 것이다. 제 2 비연결형 다운링크 베어러의 B-필드는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어질 바와 같이, 제 2 방송 메시지 자체에 관한 정보로 채워진다.
정해진 PP가 실제로 제 2 방송 메시지를 수신하여 재생하기 위해서, 어떤 DECT 채널이 제 2 방송 메시지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지를 PP에게 알려주는 정보를 포함하는 다른 유형의 제 1 메시지가 생성된다. 그러한 다른 유형의 제 1 메시지는 모든 현존하는 베어러를 통해 짧은 페이지 메시지로서 각각의 RFP에 의해 송신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짧은 페이지 메시지는 P-채널을 통해 전달되기 때문에, 상기 짧은 페이지 메시지는 모든 베어러에 제공되어 일반적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A-필드로 전달된다. 이는 결국 모든 PP가 방송의 존재를 자신에게 통보하는 짧은 페이지 메시지를 수신하게 한다. 다음으로, PP는, 제 2 비연결형 베어러를 갖는 DECT 채널을 통해 수신할 수 있음으로써, 제 2 방송 메시지를 재생하기 위해 상기 제 2 방송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제 2 방송 메시지가 제공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다른 유형의 방송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데, 각각의 방송 메시지는 연관된 제 1 메시지를 구비한다. 각각의 방송 메시지는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에서 여러 겹치는 동시적인 방송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및 다른 비연결형 다운링크 베어러는 그 더미 베어러를 그러한 비연결형 다운링크들 중 하나로 변환함으로써 설정될 가능성이 없는데, 왜냐하면 더미는 일반적으로 제 1 비연결형 다운링크 베어러로 변환될 것이기 때문이라는 것이 주시된다.
'동시적인(simultaneous)'을 통해, 하나 보다 많은 수의 방송 메시지가 동시에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나타내진다. 각각의 방송 메시지는 임의의 다른 방송 메시지와 관련이 없고 독립적이기 때문에, 방송 메시지가 서로에 대해 동기되어야 하거나 반드시 동시에 수행되어야 하는 어떠한 필요조건도 존재하지 않는다.
DECT 원격통신 시스템에서 단일 방송 메시지를 제공하는 상술된 메커니즘은 현행의 DECT 표준을 따르는 것이 분명할 것이다. 그러나, 제 2 및 다른 비연결형 다운링크 베어러를 추가함으로써 제 2 및 다른 유형의 동시적인 방송 메시지를 각각 제공하는, 현재 설명되고 있는 메커니즘은 DECT 기본 표준의 현행 버전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필요로 한다. 그 표준에 따라, 셀들의 각 클러스터에 대해서, 단지 한 유형의 비연결형 메시지 제어 다운링크 서비스가 존재할 수 있다. 비연결형 메시지 제어(CMC : Connectionless Message Control)는,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어질 바와 같이, 모든 비연결형 서비스의 정보를 하나 이상의 비연결형 베어러 제어에 분배하고 또한 그것을 제어하는 기능에 관련한다. 비록 각각의 CMC는 최대 두 개의 비연결형 베어러를 허용하지만, 제 2 비연결형 베어러는 채널 호핑(hopping)용으로만 의도되고, 각 베어러 상의 데이터는 정확하게 동일하다. 그러므로, 제 2 및 다른 비연결형 다운링크 베어러를 통해 전달되는 제 2 및 다른 방송 호는 제 2 및 다른 유형의 CMC를 각각 필요로 한다.
제 2 및 다른 유형의 CMC의 존재는 DECT에 기초한 시스템의 정상적인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것은, 비록 변형되지 않은 PP가 방송 호를 수신할 수 없게 될지라도, 원격통신 시스템과 함께 상기 변형되지 않은 PP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든 PP가 방송 메시지를 수신하여야 하는 필요조건은 항상 존재하지 않고, PP들 중 단지 하나의 PP나 또는 PP들의 선택을 통해서 정해진 방송 메시지가 수신되도록 야기하는 것이 가능하다. PP들에는 하나의 식별이나 그룹 식별이 할당될 수 있고, 상기 특정 식별을 가지고 있는 그러한 PP들만이 정해진 방송을 수신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것은 그룹 임시 휴대용 사용자 식별(TPUI : Temporary Portable User Identity)을 하나의 휴대부 또는 휴대부 그룹에 할당함으로써 DECT 시스템에서 달성될 수 있고, 따라서 특정 TPUI를 가지고 있는 그러한 PP들만이 방송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요청된다. 하나 보다 많은 수의 TPUI가 그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음으로써, 각기 다른 PP 그룹이 방송을 수신하기 위해서 생성되어 독립적으로 선택되도록 허용한다. TPUI에 관련된 정보는 P-채널에 또한 제공되어 짧은 페이지 메시지로 전달되며, 다시금 그렇게 모든 PP는 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식별 및 어드레싱의 사용은 당업자에게 알려질 것이고, 다른 정보가 DECT 표준에 포함된다. 설명 부분 전반에 걸쳐, TPUI에 대한 참조는 그 전후문맥(context)이 달리 제한하지않는 한 비연결형 그룹 TPUI에 대한 참조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한 경우가 아닌 예는, 당업자에 의해 또한 이해되어질 바와 같이, 개별적인 TPUI에 대한 참조일 것이다.
짧은 페이지 메시지 내의 MAC 층 정보는 비연결형 베어러의 위치, 즉 시간 슬롯 및 주파수에 의한 위치를 포함한다. 이것은 각각의 RFP에 대해서 다를 수 있다. 짧은 페이지 메시지는 RFP 내의 응용장치로부터 발신(originate)될 수 있다. 특히, 짧은 페이지 메시지는 P-채널에 제공된 정보, 즉 방송 메시지를 수신하여야 하는 PP의 식별을 포함하고, 또한 방송이 송신되는 DECT 채널에 제공된 정보를 포함한다.
방송 메시지는 시스템 내의 어디에서든지 발신될 수 있는데, 일예로 PSTN이나 다른 PP로부터 발신될 수 있다. PP로부터 발신되는 경우에, 메시지는 정상적인 트래픽 베어러를 통해 PP로부터 범위 내의 RFP로 송신되고, 그런 후에 그 메시지는 상술된 메커니즘을 통해 다른 PP들로 방송된다. 방송 메시지의 발신자(originator)는 적절한 TPUI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방송이 의도되는 그룹을 명시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발신자는 PP의 키패드를 통해 정보를 기입함으로써 의도된 수신측을 나타내는 사용자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각각의 RFP는, 현재 사용 중에 있는 각각의 비연결 다운링크 베어러의 품질이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채널 품질이 열악한 경우에 다른 DECT 채널로 변경하기 위해서 비연결형 베어러 호핑(hopping)이 사용될 수 있다. 짧은 페이지 메시지는 RFP와 동기된 PP에게 비연결형 베어러를 가지고 있는 새로운 채널을 알려주기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비연결형 베어러가 다른 채널로 이동될 때, 새로운 페이지가 범위 내의 PP 모두에 그러한 사실을 알려주기 위해서 정기적으로 보내진다. 또한,정해진 방송 메시지를 위해, 그것의 관련된 비연결형 다운링크 베어러는 각각의 RFP에 대한 동일한 DECT 채널 상에 반드시 있지 않을 것이고, 따라서 방송 호 TPUI 정보 및 비연결형 다운링크 베어러의 위치를 명시하는 짧은 페이지 메시지가 방송 메시지의 전체적인 지속기간 동안에 각각의 RFP에 의해 규칙적으로 보내질 것이다. 이것은 PP로 하여금 다른 DECT 채널을 통해 정해진 방송 메시지를 위한 비연결형 다운링크를 당연히 송신하고 있는 다른 RFP에 의해서 제공되는 셀로 로밍(roam)하고, 그 채널을 통해 수신함으로써 필요시 그 방송 메시지를 또한 수신하도록 허용할 것이다. 그것은 또한 방송 동안에만 활성되는 PP로 하여금 그 방송을 수신하기 시작하도록 허용한다. 비연결형 베어러 핸드오버(handover)는 또한, 비록 그것이 DECT 표준을 어길 수 있을 지라도,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수의 TPUI가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각각의 TPUI는 할당된 우선순위 값을 갖는다. 우선순위 값이 사용되는 경우에, PP는 방송과 연관된 우선순위 값에 따라 방송 호를 수신하거나 거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정해진 PP는 그것에 할당된 다수의 식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만약 정해진 PP가 하나 보다 많은 수의 방송 메시지를 동시에 수신하도록 지시된다면, 사용자에게 다른 방송으로 전환하도록 경고를 주는 신호가 휴대부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일예로 오디오 톤(audio tone)이나 디스플레이 메시지를 통해 경보를 받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만약 방송 메시지가 데이터로 이루어져 있다면, 휴대부상의 응용은 자동적으로 방송 호들 중 다른 하나의 방송 호로 전환할 수 있다. 각각의 방송 메시지는 우선순위 값이 할당될 수 있음으로써, PP로 하여금 메시지의 그 우선순위 값에 따라 그 PP의 사용자에게 경보를 주도록 허용한다. 또한, PP는 가장 높은 우선순위 값을 갖는 방송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자동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비상 상황을 나타내기 위한 우선순위 값이 예비될 수 있고, 그 경우에 그러한 할당된 우선순위 값을 갖는 임의의 방송이, 휴대부가 방송 또는 정상적인 연결에 기초한 호를 이미 지원하고 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휴대부에 의해 수신되어 재생될 것이다.
정해진 PP는 하나 보다 많은 수의 방송 메시지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이것은 오디오 방송으로 하여금 일예로 재생되도록 허용할 것이고, 한편으로 다른 오디오 방송은 저장될 수 있다. 수신된 방송의 다른 조합은 오디오 및 데이터 방송과 오디오 및 비디오 방송을 포함한다.
만약 PP가 정상적인 연결에 기초한 통화에 이미 사용되고 있다면, 그 단말기로의 방송의 발생은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그 방송으로 전환하거나 또는 그것을 무시하도록 허용하는 그 방송의 사용자에게 경보를 주는 신호가 휴대부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일예로 오디오 톤이나 디스플레이된 메시지를 통해 경보를 받을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그 방송을 수락하기로 선택하였다면, 정상적인 연결에 기초한 통화가 대기 상태에 놓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휴대부는 자동적으로 그 방송을 재생하도록 전환할 수 있고, 어쩌면 정상적인 통화를 대기 상태로 또한 놓는다. 자동 전환은 방송이 관련된 우선순위 값을 명시하고있는 경우에만 발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PP에는, 정상적인 연결에 기초한 통화 동안에 사용되는 것 보다 더 큰 볼륨으로 오디오 방송 호를 재생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한 목적을 위해, 스피커가 자동적으로 활성될 수 있는 휴대부에 제공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방송은 경보 신호를 나타낼 수 있다. 그 방송은 PP 상에 제공된 경보 기능을 활성시키는 PP의 사용자에 의해서 개시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그룹 TPUI를 포함하고 있는 모든 RFP에 방송 메시지를 보내고, 그 방송 메시지는 RFP에 의해서 송신될 것이다.
방송 그룹 식별(특정 예에서 그룹 TPUI임)은 PP가 가입한 바로 직후에 PP에 할당될 수 있거나, 또는 개별적인 TPUI가 할당될 때 위치 등록시에 그 PP에 할당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식별은 언제라도 할당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언제라도 PP를 다른 그룹에 재배치하는 것이 허용되기 때문이다. PP는 여러 그룹의 일원일 수 있다.
이제 DECT에 기초한 원격통신 시스템에서 단일 및 다중 방송 호를 제공하기 위한 메커니즘이 설명었음으로, 암호화와 관련된 동작이 이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방송 메시지가 고정 단말기로부터 송신되기 이전에, 그 방송 메시지는 방송 메시지 암호화 수단(11)에 의해 암호화된다. 암호화 수단은 암호화 알고리듬(12)과 암호화 키(13)를 사용한다. 암호화되지 않은 메시지{소위 플레인텍스트(plaintext) 메시지}(30)는 암호화 수단(11)에 입력되고, 방송 암호화 수단(11)은 암호화되지 않은 메시지(30)를 암호화된 방송 메시지(40){소위 사이퍼텍스트(ciphertext) 메시지}로 변환하기 위해서 상기 암호화되지 않은 메시지(30)에 대해 동작한다.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고정 단말기(3)로부터 휴대 단말기(6)로 방송되는 것은 바로 그 암호화된 메시지(40)이다. 그 방송 메시지는 암호화되기 때문에, 메시지의 임의의 비허가된 인터셉션(interception)은 그 메시지의 컨텐트가 쉽게 해독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다.
만약 방송 메시지가 수신된 후에 이어서 암호해독된다면, 메시지의 최초 컨텐트가 복구되어 재생될 수 있다. 따라서, 방송 메시지가 의도되는 그러한 휴대 단말기에는 방송 메시지 암호해독 수단(21)이 제공된다. 암호해독 수단(21)이 수신된 암호화 메시지(40)를 최초 암호화되지 않은 메시지(30)로 변환하기 위해서, 암호해독 수단(21)은 특정 암호해독 알고리듬(22) 및 특정 암호화 키(23)를 필요로 한다. 특정 암호해독 알고리듬(22) 및 특정 암호해독 키(23)는 방송 메시지를 처음으로 암호화하는데 사용되었던 암호화 알고리듬(12) 및 암호해독 키(13)와 연관된다. 정확한 암호해독 알고리듬(22)과 정확한 암호해독 키(23)만이 방송 메시지 암호해독 수단(21)으로 하여금 메시지를 정확하게 암호해독하도록 허용할 것이다. 적절한 형태의 알고리듬과 많은 수의 가능한 암호화 키를 제공함으로써, 그 메시지를 위한 정확한 암호해독 알고리듬과 암호해독 키를 구비하지 않고는 암호화된 메시지에 대한 성공적인 암호해독 동작을 수행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그 메커니즘을 통해, 메시지는 그것이 의도된 수신측에 의해서만 쉽게 이해될 것이라는 인지와 함께 방송될 수 있다.
상술된 암호화 시스템이 효과적으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해서, 방송 메시지의 의도된 수신측(휴대용 단말기)에 정확한 암호해독 알고리듬 및 암호해독 키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가 적소(in place)에 존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 다수의 가능한 방법이 존재하는데, 그 중 일부가 이제 첫 번째로 일반적인 용어들에 있어서 논의될 것이고, 두 번째로는 DECT-순응 원격통신 시스템에 기초한 원격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논의될 것이다.
한 방법은 제작 동안에 특정 암호해독 알고리듬과 특정 암호해독 키를 휴대용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방법은, 일반적으로 고정되지만 사용자나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필요시 변경될 수 있는 특정 암호해독 알고리듬과 특정 암호해독 키를 휴대용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이다. 그 경우에, 키와 알고리듬은 프로그래밍 유닛이나 그에 상당하는 것과 함께 설정되는 물리적인 링크를 통해 휴대 단말기로 전달된다. 그 유닛은 크레들(cradle)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링크는 물리적인 링크이지 에어를 통해 설정되는 링크가 아니라는 것이 중요하다. 두 경우에, 특정 암호해독 알고리듬과 특정 암호해독 키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필요한 정보를 고정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그 고정 단말기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수신되어 암호해독될 수 있는 암호화된 방송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한 시스템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1) 암호해독 처리는 사용자가 임의의 조치를 취할 필요가 없도록 하기 위해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에 대해 명확하다; 2) 암호해독 알고리듬 및 키는 휴대용 단말기 내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엑세스가능하지 않다; 3) 동일한 식별자를 취하는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들이 선택되도록 허용하는내장형 알고리듬 및 키에 관한 식별자가 휴대용 단말기에 제공될 수 있고, 단말기 각각은 동일한 암호해독 알고리듬 및 암호해독 키를 구비하기 때문에, 동일한 암호화 방송 메시지를 암호해독할 수 있는 그룹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시스템의 연장은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에서 자동적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개입을 통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는 복수의 암호해독 알고리듬 및 암호해독 키 쌍을 휴대용 단말기에 제공할 것이다. 그 시스템의 단점은, 휴대용 단말기가 인증되지 않은 사람에 의해 획득되는 경우에, 비융통적인(inflexible) 시스템을 초래하고 보안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암호해독 키와 암호해독 알고리듬이 재-프로그래밍될 수 없다는 것이다. DECT에 기초한 원격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그러한 알고리듬과 키는 전기적인 연결(일예로 직렬 링크)을 통해 그룹 TPUI와 SCK/DCK를 PP에 전송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정보가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되지 않기 때문에 시스템의 보안에 기여한다.
또 다른 방법은, 고정 단말기에서는 개별적인 암호화 키를 사용하고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대응하는 개별적인 암호해독 키를 사용하도록 하나 이상의 표준 암호해독 알고리듬만을 휴대용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인데, 여기서 개별적인 키는 변경될 수 있다. 방송 메시지는 방송이 의도되는 정해진 또는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암호해독 알고리듬 및 키를 고려하여 암호화된다. 그 키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거나,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그 시스템은, 새로운 키나 또는 새로운 키, 즉 정확한 암호해독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보안 채널을 통해)사용자에게알려줌으로써 간단히 필요시에 그 키가 변경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일부 경우에, 필요한 키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와 장비의 일련 번호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 자체에 연관된 정보의 조합으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는, 사용자로 하여금 방송이 발생할 때마다 정보를 입력할 필요 없이도 방송 메시지를 편리하게 수신하도록 허용하는 지속기간 동안에 저장될 수 있다.
DECT에 기초한 원격통신 시스템에서, 수신된 암호화 방송 메시지는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어질 바와 같은 스태틱 사이퍼 키(SCK : Static Cipher Key)의 형태로 암호해독 키와 함께 키 스트림 생성기를 사용하여 암호해독될 수 있다. SCK 자체는 DECT 휴대부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거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로부터 생성될 수 있기 때문에, 감소된 양의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도록 허용한다. SCK는 휴대용 단말기의 IPUI(국제 휴대용 사용자 식별 : International Portable User Identity)이나 IPEI(국제 휴대용 장비 식별 : International Portable Equipment Identity)과 같은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의 조합으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이것은 보다 적은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도록 허용하는 한편, 동시에 암호화된 방송의 보안을 증가시키는 장점을 제공하는데, 그 이유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의 인지만이 필요한 SCK의 생성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나중 시스템의 단점은,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가 각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른 SCK의 생성을 유도하는 다른 IPEI 및 IPUI를 가질 것이기 때문에, 암호화된 그룹 방송이 이루어질 수 없다는 것이다.
또 다른 방법은 하나 이상의 선택가능한 암호해독 알고리듬을 각각의 휴대용단말기에 제공하고 내적으로 암호해독 키를 생성하는 것이다. 그 경우에, 휴대용 단말기가 수신되는 방송을 암호해독하기에 적합한 암호해독 키를 생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찬가지로, 방송 암호화 메시지가 정해진 또는 각각의 적절한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암호해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고정 단말기가 암호화 키 및 알고리듬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정 휴대용 단말기가 고정 단말기의 명령에 따라 특정 암호해독 키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강력하고 보안적인 방송 메시지 시스템이 가능하다. 또한, 만약 휴대용 단말기가 보안을 상당히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비-보안 채널을 통해 고정 단말기에 의해서 그렇게 명령을 받을 수 있다면, 그 시스템은 사용하기에 또한 편리하다.
이것은 휴대부의 인증을 위한 처리의 연장으로써 DECT에 기초한 원격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DECT 고정 단말기(고정부, FP)는 임의의 휴대부가 그것이 요구한 휴대부인 것을 입증하기 위해서 DECT 휴대용 단말기(휴대부, PP)를 인증할 수 있다. 인증은, FP가 PP에게 계산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제공하도록 요청하는 암호 요청-응답 메커니즘의 사용을 포함한다. FP는 또한 동일한 계산을 수행하고, 만약 PP에 의해 생성된 결과가 FP에 의해 생성된 (예상된)결과와 일치한다면, FP는 그 PP가 원하는 PP인 것으로 수락한다. PP에 의해 생성된 결과는 인증 처리(A11 및 A12)에 의해서 생성되는 'RES1'로서 표기된다. 그 처리로의 입력은 인증 키인 'K', 인증 세션(session) 키를 설정하는데 사용되는 값인 'RS', 및 무작위 값인 'RAND F'이다. 값(RS 및 RAND F)은 FP에 의해서 생성(issue)되어 에러 인터페이스를 통해 PP에 방송된다. FP에는 인증 처리(A11 및 A12)가 또한 제공된다. FP는 그것이 인증하려고 시도하는 원하는 PP에 대한 K의 값이 무엇인지를 알고, 또한 RS 및 RAND F를 알기 때문에, FP는 RES1의 예상된 값을 국부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PP는 값(RES1)을 계산하여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것을 FP에 역으로 송신하며, 만약 그 값이 국부적으로 계산된 값에 일치한다면, 그것은 그 PP가 원하는 PP임을 나타낸다. 그 처리는 PP로 하여금 에어를 통해 값을 노출시키지 않으면서 정확한 K 값의 인지를 나타내도록 허용한다.
인증 처리(A11 및 A12)의 다른 결과는 소위 유도 사이퍼 키(DCK : Derived Cipher Key)이다. 각각의 인증 발생시에 따라 새로운 DCK가 생성된다. 인증은 통화의 맨 처음에 발생하지만 통화 동안에는 언제라도 실시될 수 있다. DECT PP가 암호화된 방송 호를 수신할 때, 상기 암호화된 방송 호는 상술된 바와 같은 SCK보다는 오히려 정확한 DCK와 함께 키 스트림 생성기를 사용하여 암호해독될 수 있다.
각각의 PP가 동일한 K, RS 및 RAND F 값에 따라 동일한 인증 처리(A11 및 A12)를 수행하는 것을 보장함으로써 다수의 PP에는 동일한 DCK가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명확해질 것이다. 만약 다수의 각 PP에 동일한 DCK가 제공된다면, 그것은 그룹 방송이 그 PP들에 의해서 수신되어 암호해독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방송의 보안을 유지하기 위해서, K가 인증 키 스트림 처리(B1)를 통해 인증 코드(AC)로부터 생성된다. 인증 코드는 PP의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된다.
필요한 암호해독 알고리듬 및 암호해독 키 쌍을 휴대용 단말기에 제공하기 위해서 어떠한 방법이 선택되든지,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는 복수의 그러한 쌍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그 알고리듬 및/또는 키가 휴대용 단말기에서 인증을 통해 자동적으로 선택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 또는 입력되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정확한 쌍이 특별히 다중 방송, 즉 엑세스를 위한 각기 다른 특권을 필요로 하는 방송이 제공되는 곳에서 특정 방송 메시지에 적용되는 필요조건이 있을 수 있다. 이를 허용하기 위해서, 각각의 방송 메시지는 정확한 쌍이 선택되어 그 방송 메시지에 적용되도록 허용하는 식별을 전달한다. 일예로, 기본 레벨에서, 휴대용 단말기는 인입 방송 메시지가 식별 번호(1)를 전달한다는 것을 디스플레이에서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는 그 정보를 인지하고 그러한 식별 번호를 전달하는 메시지에 대한 정확한 암호해독 키를 입력할 것이다. 그러한 식별 번호를 전달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허가받지 않은 사용자에게는 정확한 암호해독 키가 제공되지 않을 것이다. 사용자 개입이 바람직하지 않은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 내의 응용 장치는 메시지 식별 번호를 인지하여 자동적으로 정확한 암호해독 키를 적용할 것이다. 그러한 식별 번호를 전달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허가받지 않은 휴대용 단말기에는 정확한 암호해독 키가 제공되지 않을 것이다. 적절한 암호해독 알고리듬을 나타내거나 선택하기 위해서 식별 번호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DECT에 기초한 암호화 방송 시스템에서, 그러한 방송 메시지 식별자는 그룹 TPUI 정보와 함께 제 1 메시지에서 전달될 수 있다. 이를 구현하는 한 방법은 <<휴대용 식별> 정보 요소의 사용에 의한 방법이다. 그 요소는 일반적으로 페이징 동안에 DECT 휴대용 식별을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그 요소의 옥텟(3)이 휴대용 식별을 위한 식별 유형 코딩을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식별이 임시 휴대용 사용자 식별(TPUI)인 것을 옥텟(3)이 나타낼 때, 실제 TPUI 값은 옥텟(5, 6 및 7)에서 획득된다. 그러나, 옥텟(5)의 비트(8, 7, 6 및 5)는 항상 0으로 설정된다. 그러므로, 그 비트들은 방송 메시지의 식별을 나타내기 위해서 그러한 구현에 사용되고, 4 비트가 이용가능하기 때문에, 최대 16 개의 다른 방송 메시지가 식별될 수 있지만, 이것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방송 메시지 식별을 제공하기 위한 그러한 비트의 사용은 DECT 기본 표준의 교지(teaching)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한 식별 정보는, PP가 한 셀로부터 다른 셀로 로밍(roam)할 때 각기 다른 그룹 TPUI를 PP에 할당할 수 있는, DECT에 기초한 원격통신 시스템과 같은, 그러한 시스템에서 특히 유리할 수 있다. 방송 식별의 사용을 통해, PP는 다른 셀로 로밍할 수 있고, 다른 TPUI가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방송 메시지를 계속해서 수신하여 암호해독할 수 있다. 이는, PP가 어떤 방송 메시지를 수신하고 있고 따라서 어떤 암호해독 키 및 알고리듬을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그 방송 식별이 상기 PP에 의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휴대용 단말기에 암호해독 키 및 알고리듬을 제공하는 다른 방법들이 비록 낮은 보안 기준을 제공할 수 있지만 사용될 수 있다. 일예로, 암호해독 키가 그룹 TPUI 자체, 그룹 TPUI의 함수, 제 1 메시지 내에서 방송되는 키, 또는 사용자 인증 키에 기초한 키일 수 있다. 그러한 기술의 일부는 단말기 그룹보다는 오히려 개별적인 휴대용 단말기로의 방송 및 그 반대의 방송에 더욱 적합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들에 의해 인지될 것이다. DCK는 그룹 TPUI와 연관될 수 있다. 실제로, PP는 많은 그룹 TPUI들과 연관된 수 개의 DCK를 보유할 수 있다. 한 특정 예에서, 만약제 1 그룹 호가 PP에 의해서 수신되고 있는 중인 동안에 제 2 그룹 호가 설정되고 있는 중이라면, 상기 PP는 짧은 페이지 메시지를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그 호를 알리며, 그 사용자는 제 2 호를 수신(listen to)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수신(listen)하기로 결정한다면, 그룹 호와 연관된 DCK가 암호화 알고리듬에 로딩되고, MAC가 제 2 비연결형 베어러의 정확한 슬롯과 주파수를 수신(listen to)하도록 설정된다. 다음으로 수신된 B-필드 데이터가 암호해독된다.
방송 메시지가 암호화되어 있다는 사실을 휴대용 단말기에 알려주기 위해서, 비연결형 방송 메시지는 그 메시지를 암호화되어 있는 것으로서 나타내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만약 방송 시스템이 DECT 원격통신 시스템에 기초한다면, 이것은 베어러 자체를 통해 MAC 제어 암호 시작 요청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 응용은 동시-계류중인 '방송 설비(Broadcast Facility)'라는 명칭의 UK 특허 출원(제 GB9920325호)과 '다중 방송 설비(Multiple Broadcast Facility)'라는 명칭의 UK 특허 출원(제 GB9920324호)에 관련된다.
본 발명이 변경을 수반하는 DECT 순응 원격통신 시스템을 참조하여 어느 정도 상세하게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하나 또는 여러 유형의 암호화된 비연결형 메시징을 설정할 수 있는 다른 원격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주지된다. 그 경우에, 휴대용 단말기는 DECT TPUI 어드레싱과는 다른 어드레싱 형태를 사용하여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지시받는다. 즉, 호의 목표 청취측은 그룹 식별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그룹 식별은 각각의 휴대용 단말기에 대해서 프로그램가능할 수 있다. 암호화 메커니즘의 상세 사항(detail)은 DECT에 기초한 시스템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것과 다를 수도 있을 것이다.
본 개시를 읽음으로써, 다른 변경이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한 변경은 시스템 및 디바이스의 설계, 제작 및 사용에 있어 이미 알려져 있는 다른 특징등을 포함할 수 있고, 본 명세서에서 이미 설명된 특징들을 대신하거나 또는 그에 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원격통신 시스템을 통해서 암호화된 방송 메시지를 복수의 가입자 단말기에 통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특히 복수의 무선 휴대용 단말기로 정보를 방송하는 것을 허용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이용된다.

Claims (15)

  1. 에어 인터페이스(air interface)를 통해 하나 이상의 휴대용 단말기(6)와의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단말기(2)를 구비하는 코드리스(cordless) 원격통신 시스템(1)에서 방송 메시지(broadcast message)를 통신하기 위한 방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고정 단말기(2)로부터 제 1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제 1 송신기 수단으로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방송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서 상기 고정 단말기를 위해 선택된 채널을 명시하고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송신기 수단과,
    상기 제 1 메시지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게 상기 선택된 채널을 통해 수신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제어 수단과,
    방송 메시지를 암호화하기 위한 방송 메시지 암호화 수단(11)과,
    적어도 하나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6)가 수신 및 암호해독하기 위한 암호화 형태로, 방송 메시지를 상기 선택된 채널을 통해 상기 고정 단말기(2)로부터 송신기하기 위한 제 2 송신기 수단을
    포함하는, 방송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기 수단은 상기 방송이 의도되는(intended for) 적어도 하나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6)의 식별을 명시하는 페이징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메시지에 포함시키기 위해 페이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페이징 정보에 또한 응답함으로써, 상기 명시된 휴대용 단말기 식별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6)만이 상기 선택된 채널을 통해 상기 암호화된 방송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지시받게 되는, 방송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징 수단을 통해 명시하기에 적절한 유형의 휴대용 단말기 식별을 휴대용 단말기(6)에 선택적으로 할당하기 위한 할당 수단을 더 포함하는, 방송 시스템.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각 휴대용 단말기에 제공되고, 암호해독 알고리듬(22) 및 암호해독 키(23)를 사용하는 메시지 암호해독 수단(21)을 더 포함하는, 방송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암호해독 알고리듬 및/또는 암호해독 키를 상기 암호해독 수단(21)에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방송 시스템.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방송 메시지는 특정 암호화 알고리듬(12) 및 암호화 키(13)를 사용하는 상기 방송 메시지 암호 수단(11)에 의해 암호화됨으로써, 대응하는 암호해독 알고리듬(22) 및 암호해독 키(23)를 구비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만이 상기 수신된 암호화 방송 메시지를 암호해독할 수 있는, 방송 시스템.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메시지는 상기 제 1 송신기 수단에 의해서 상기 제 1 메시지에 포함되는 메시지 식별자를 갖는, 방송 시스템.
  8.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이 부가된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해독 수단(21)은 암호해독 알고리듬 및/또는 암호해독 키를 선택하기 위해서 상기 메시지 식별자에 응답하는, 방송 시스템.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리스 원격통신 시스템(1)은 DECT에 기초한 원격통신 시스템이고, 상기 방송 메시지 채널은 비연결형인, 방송 시스템.
  10. 제 2항 또는 제 3항이 부가된 제 9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6)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 식별은 임시 휴대용 사용자 식별(TPUI : Temporary Portable User Identity)을 사용하여, 각각, 명시 또는 할당되는, 방송 시스템.
  11. 제 7항 또는 제 8항이 부가된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휴대용 식별>> 정보 요소에서 전송되고, 식별 유형 코딩이 임시 휴대용 사용자 식별(TPUI)인 것을 옥텟(3)이 나타낼 때 옥텟(5)의 비트(8, 7, 6 및 5)에 위치되는 값인, 방송시스템.
  12. 제 3항이 부가된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해독 키(23)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식별로부터 유도되는, 방송 시스템.
  13.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 이상의 휴대용 단말기(6)와의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단말기(2)를 구비하는 코드리스 원격통신 시스템(1)에서 방송 메시지를 통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고정 단말기(2)로부터 제 1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방송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서 상기 고정 단말기를 위해 선택된 채널을 명시하고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송신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6)에게 상기 선택된 채널을 통해 수신하도록 지시하는 단계와,
    방송 메시지를 암호화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6)가 수신 및 암호해독하기 위한 암호화 형태로, 방송 메시지를 상기 선택된 채널을 통해 상기 고정 단말기(2)로부터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메시지를 통신하기 위한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명시된 휴대용 단말기 식별을 갖는 휴대용단말기(6)만이 상기 선택된 채널을 통해 상기 암호화된 방송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지시하기 위해서, 상기 방송이 의도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6)의 식별을 명시하는 페이징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메시지를 통신하기 위한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 식별을 휴대용 단말기(6)에 선택적으로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메시지를 통신하기 위한 방법
KR1020017005207A 1999-08-28 2000-08-07 암호화된 그룹 방송 메시지를 통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809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920323.4 1999-08-28
GBGB9920323.4A GB9920323D0 (en) 1999-08-28 1999-08-28 Encrypted broadcast facility
PCT/EP2000/007692 WO2001017288A1 (en) 1999-08-28 2000-08-07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encrypted group broadcast messag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0908A true KR20010080908A (ko) 2001-08-25

Family

ID=10859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5207A KR20010080908A (ko) 1999-08-28 2000-08-07 암호화된 그룹 방송 메시지를 통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131964A1 (ko)
JP (1) JP2003508984A (ko)
KR (1) KR20010080908A (ko)
CN (1) CN1168331C (ko)
GB (1) GB9920323D0 (ko)
TW (1) TW541844B (ko)
WO (1) WO20010172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2244A2 (ko) * 2011-07-20 2013-01-24 (주)누비콤 송신기, 수신기, 데이터 전송 방법, 데이터 수신 방법 및 데이터 송수신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8620B2 (en) 2000-12-05 2004-05-18 Siemens Information & Communication Mobile, Llc. Cordless phone system capable of supporting a broadcast over broadcast mode
BR0210611A (pt) * 2001-06-22 2004-08-10 Paperless Interactive Newspape Transmissão multimìdia, serviços de transmissão para telefone celular e outros usuários e cartão sim modificado e dispositvos afins para permitir tal recepção de transmissão
FI20011342A0 (fi) 2001-06-25 2001-06-25 Nokia Corp Menetelmä ja laite tiedon hankkimiseksi
WO2003036857A1 (en) 2001-10-24 2003-05-01 Nokia Corporation Ciphering as a part of the multicast cencept
FI113136B (fi) * 2001-12-21 2004-02-27 Radiolinja Ab Päätelaitejoukon tavoitettavuuden selvittäminen
GB2384139B (en) * 2002-01-15 2004-08-18 Motorola In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unit and method of communication
KR100958519B1 (ko) 2002-08-14 2010-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신 및 전송 방법
US7742444B2 (en) 2005-03-15 2010-06-22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 other sector information combining for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832458B2 (en) 2005-03-22 2014-09-09 Seagate Technology Llc Data transcription in a data storage device
KR100672332B1 (ko) 2005-06-10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콘텐츠 다운로드 방법 및 시스템
US9055552B2 (en) 2005-06-16 2015-06-09 Qualcomm Incorporated Quick paging channel with reduced probability of missed page
US8750908B2 (en) 2005-06-16 2014-06-10 Qualcomm Incorporated Quick paging channel with reduced probability of missed page
KR101270275B1 (ko) 2005-08-17 2013-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시스템에서의 통지 메시지 제공 방법 및 장치
JP4814332B2 (ja) 2005-10-27 2011-11-16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補足的割当て及び非補足的割当てを処理する方法及び装置
US20090207790A1 (en) * 2005-10-27 2009-08-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tuneawaystatus in an open stat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WI383341B (zh) * 2009-03-16 2013-01-21 Chiou Haun Lee Multilayer Diffusion and Decryption Methods
CN113079492B (zh) * 2021-03-22 2022-04-05 广东湾区智能终端工业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信息共享的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1974B1 (en) * 1996-09-06 2001-03-13 Nokia Mobile Phones Limited Mobile station and network having hierarchical index for cell broadcast service
GB2327567A (en) * 1997-07-17 1999-01-27 Orange Personal Comm Serv Ltd Controlling Access to SMSCB Ser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2244A2 (ko) * 2011-07-20 2013-01-24 (주)누비콤 송신기, 수신기, 데이터 전송 방법, 데이터 수신 방법 및 데이터 송수신 방법
WO2013012244A3 (ko) * 2011-07-20 2013-04-04 (주)누비콤 송신기, 수신기, 데이터 전송 방법, 데이터 수신 방법 및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1289810B1 (ko) * 2011-07-20 2013-07-26 (주)누비콤 송신기, 수신기, 데이터 전송 방법, 데이터 수신 방법 및 데이터 송수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920323D0 (en) 1999-11-03
TW541844B (en) 2003-07-11
EP1131964A1 (en) 2001-09-12
JP2003508984A (ja) 2003-03-04
CN1168331C (zh) 2004-09-22
CN1327690A (zh) 2001-12-19
WO2001017288A1 (en) 200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82954B2 (ja) 暗号化された無線送信のための動的暗号化キー選択
EP087810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private communication system in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KR20010080908A (ko) 암호화된 그룹 방송 메시지를 통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8108002B2 (en) Communication apparatuses equipped with more than one subscriber identity card and capable of providing reliable communication quality
US200300780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mercial broadcasting service in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5185797A (en) Encrypted trunked control channel system
EP1638355B1 (en) 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call group management therefor
KR100691393B1 (ko) 다중 브로드캐스팅 시스템 및 방법
GB2324682A (en) Connection of a mobile wireless terminal to a host computer
CZ399997A3 (cs) Radiokumunikační přístroj typu zabezpečené komunikace a rozšiřovací jednotka jako součást tohoto přístroje
JP4774047B2 (ja) 通信復号方法および装置
CN102137393A (zh) 一种端到端的加密方法及装置
JPH10136439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体端末及び基地局及び移動体交換局及び移動体通信制御方法
WO2000024139A1 (en) Encryption support in a hybrid gsm/cdma network
KR20000048747A (ko) 무선 통신 장치내에 전송되는 호출을 이중 모드 단말기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
KR100743050B1 (ko) 브로드캐스팅 시스템 및 방법
ES2243615T3 (es) Sistema de comunicacion, unidad de comunicacion y metodo para cambiar de modo dinamico una clave de cifrado.
EP1641175B1 (en) Receiver and method of receiving an encrypted communication
KR20090013426A (ko) 이동통신에서의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