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8731A - 압력흡수가 제어되는 유압 커패시티 - Google Patents

압력흡수가 제어되는 유압 커패시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8731A
KR20010078731A KR1020007013997A KR20007013997A KR20010078731A KR 20010078731 A KR20010078731 A KR 20010078731A KR 1020007013997 A KR1020007013997 A KR 1020007013997A KR 20007013997 A KR20007013997 A KR 20007013997A KR 20010078731 A KR20010078731 A KR 20010078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body
wall
casing
volume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3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5611B1 (ko
Inventor
빠스꿰티에리
드라쥐장-피에르
푸르카데장
Original Assignee
우쁠랭 쟈끄
보쉬 시스떼메 드 프레이나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쁠랭 쟈끄, 보쉬 시스떼메 드 프레이나쥬 filed Critical 우쁠랭 쟈끄
Publication of KR20010078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8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6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12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 B60T13/1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using accumulators or reservoirs fed by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72Systems in which a driver input signal is used as a control signal for the additional fluid circuit which is normally used for braking
    • B60T8/4081Systems with stroke simulating devices for driver input
    • B60T8/409Systems with stroke simulating devices for driver input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troke simulat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68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the additional fluid circuit comprising means for attenuating pressure puls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4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 F16L55/045Devices damping pulsations or vibrations in fluids specially adapted to prevent or minimise the effects of water hammer
    • F16L55/05Buffers therefor
    • F16L55/052Pneumatic reservoi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ply Devices, Intensifiers, Converters, And Telemotors (AREA)
  • Actuator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를들어 고무로 만들어진 중공보디(2) 및 중공보디(2)의 팽창을 제한하기 위해 중공보디(2)를 둘러싸고 있는 강성 케이싱(3)을 포함하는 유압커패시티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커패시티는 매 순간 유체의 순간체적(V)을 포함하도록 의도되어 있고, 이러한 유체를 유체의 순간체적(V)에 의존하는 순간압력(P)에 적용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벽(21)은 적어도 제 1 및 제 2 각각의 두께(E1,E2)를 가지고 있는 제 1 구역(Z1) 및 제 2 구역(Z2)을 거쳐 케이싱(3)과 동시에 접촉하고 있으며, 그리고 구역은 케이싱(3)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있는 제 3 구역(Z3)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두께(E1,E2)와 다른 제 3 두께(E3)를 가지고 있으며, 그래서 유체의 순간압력(P)이 예정된 관계를 따르도록 조절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압력흡수가 제어되는 유압 커패시티{HYDRAULIC CAPACITY WITH CONTROLLED PRESSURE ABSORPTION}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축선을 따라 연장된 중공보디 및 강성 케이싱을 포함하며, 중공보디는 작동중지 상태로부터 축선에 대해 적어도 반경방향으로 탄성팽창을 견딜 수 있는 재료로 만들어 졌으며, 중공보디는 작동중지시 최소두께와 최대두께 사이의 두께를 가진 벽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벽은 강성 케이싱에 대해 고정적인 오리피스에 의해 경계지어져 있으며, 강성 케이싱은 중공보디의 팽창을 제한하기 위해 중공보디를 둘러싸고 있으며, 그리고 이러한 커패시티는 매 순간마다 최소체적과 최대체적 사이에서 변할 수 있는 유체의 순간체적을 포함하도록 의도되어 있고, 이러한 커패시티는 순간체적에 의존하고 있는 순간압력을 유체의 순간체적에 적용한다.
이러한 형태의 유압 커패시티는 공지되어 있고, 예를들어 특허 WO 98/00320에 개시되고 예시되어 있다.
사실, 이 특허는 상당히 더 넓은 선행기술의 일부을 형성하며, 또한 특히 미국특허 제3,948,288호 또는 미국특허 제5,718,488호를 포함하며, 압력파동 댐퍼를 생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상황을 포함하고 그리고, 유체에 적용 가능한 유압 어큐뮬레이터로 사용될 수 있는 커패시티를 생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유압 어큐뮬레이터는 소정된 관계를 통해 축적된 유체의 체적에 연관된 압력을 포함하며, 그러한 어큐뮬레이터는 예를들어 특허 FR-2,753,949호 및 FR-2,756,797호에 설명한 형태의 제동장치-발동 시뮬레이터와 같이 작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예를들어 제동장치 회로에서 가변압력 어큐뮬레이터로 사용될 수 있는 유압 커패시티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커패시티의 단면도.
도2는 도1의 커패시티에 축적된 유체의 압력변화와 이 유체의 체적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다이어그램.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의 유압 커패시티는 다른 관점에서 위의 서론에 주어진 정의를 따르며, 적어도 유체의 제 1 순간체적 동안 중공보디의 벽에서 본질적으로 특징을 가지며, 적어도 이러한 벽의 제 1 구역 및 제 2 구역을 경유하여 케이싱과 동시에 접촉하며, 구역은 오리피스로부터 거리를 두고 있고 제 1 및 제 2 각각의 두께를 가지고 있고 케이싱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있는 제 3 구역에 의해 서로 떨어져 있고 제 1 및 제 2 두께와 다른 제 3 두께를 가지고 있다.
최적의 정밀도를 구비하고 따르기 위한 소정된 관계는 축적된 유체의 압력이 축적된 유체의 체적과 연관되도록 되어있으며, 제 1 및 제 2 두께가 서로와 다른 값이 주어지는 것은 유익할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중공보디는 작동정지시 본질적으로 원통형의 내부면을 갖는다.
상기의 벽은 게다가 중공보디의 하나의 끝부분에서 그것의 최소두께를 얻을수 있고, 이것은 오리피스와 마주보고 있는 끝부분이며, 그리고 이러한 끝부분에서 작동정지시 제 1 직경의 실린더 내에 놓여 있는 외부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중공보디의 끝부분과 대향하는 케이싱이 제 1 직경보다 큰, 제 2 직경의 실린더를 형성하리라 상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국, 벽은 오리피스와 중공보디의 끝부분 사이에서 축선방향으로 놓여 있는 다수의 중간구역에서 이것의 최대두께를 얻을 수 있며, 그리고 구역 내에서 벽은 작동정지시 제 2 직경보다 큰, 제 3 직경의 실린더 내에 놓여 있는 외부면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여기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표시에 의해서 이후에 주어진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나타날 것이다.
본 발명은 유압 커패시티에 관한 것이고, 본질적으로 축선(1)을 따라 연장된 형상의 중공보디(2)와, 그리고 중공보디(2)를 둘러싸고 있는 강성 케이싱(3)을 포함한다.
중공보디의 벽(21)은 입-출구 오리피스(22)와 근접하여 있고, 지지 칼라(collar)(4)의 내부 원주에 형성된 리브(41)의 위에 장착된 그루브(221)를 갖추고 있다.
칼라(4)는 강성 케이싱(3)과 중공보디의 오리피스(22)안으로 열려있는 유압연결부(5)사이에 삽입되어 있고, 이러한 연결부는 나사(6)를 사용하여 강성 케이싱(3)에 고정되어 있으며, 그리고 칼라(4)는 케이싱 및 연결부의 각각의 쇼울더(31,51)에 놓이므로써 축선(1)의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캡(7)은 강성 케이싱(3)의 주변으로부터의 오염으로부터 강성 케이싱(3)을 보호하기 위해 강성 케이싱(3) 위에 꼭맞게 끼워질 수 있다.
중공보디(2)는 예를들어 고무와 같은 탄성중합체 재료로 만들어 져서, 중공보디(2)는 손상없이 반경방향(R)의 탄성팽창을 견딜 수 있으며 그리고 축선(1)의 방향으로도 역시 가능하며, 도1에 도시된 상태인 작동정지 상태로부터, 벽(21)이 강성 케이싱(3)과 완전히 접촉하게 될 때 중공보디(2)의 팽창은 방해를 받게 된다.
중공보디(2)의 벽(21)은 작동정지시 최저두께(Ea)와 최고두께(Ez)사이의 두께를 갖는다.
이렇게 형성된 커패시티는 각각의 순간에, 체적이 최저체적(Va)과 최대체적(Vz)(도2)사이에서 변할 수 있는 유체의 순간체적(V)을 포함하도록 의도되고, 탄성벽(21)은 이것을 가능하게 만들어 주며, 본 발명에 따라 유체의 순간체적(V)은 도2에 도시된 다이어그램과 같은 소정된 관계에 따라 순간체적(V)에 의존하고 있는 순간압력(P)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벽(21)은 적어도 이 벽의 제 1 및 제 2 구역(Z1,Z2)를 경유하여 케이싱(3)과 동시에 접촉하고, 그리고 도1에서 도시하고 있는 적어도 주어진유체의 순간체적 동안, 이 순간에 이러한 체적이 Va와 같고 중공보디가 작동정지 상태에 있는 경우이다.
오리피스(22)로부터 거리를 두고 있는 이러한 제1 및 제2 구역(Z1,Z2)은 각각 제 1 및 제 2 각각의 두께(E1,E2)를 가지며, 제 3 구역(Z3)에 의해 서로 떨어져 있고, 이러한 제 3 구역은 케이싱(3)으로부터 자체 거리를 두고 있고 제 1 및 제 2 두께(E1,E2)와 다른 제 3 두께(E3)를 가지고 있다.
사실, 연속적인 실험과 보간법에 의해, 또는 보다 쉽게 종래의 컴퓨터 모의시험에 의해 벽(21)의 형태를 만드는 것은 유익할 것이며, 이와같은 방법으로 앞서 설명한 상태를 충족시키는 Z1, Z2 그리고 Z3와 같은 구역은, 본 발명의 커패시티가 도2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순간압력(P)을 순간체적(V)에 연결하게 되어있는 미리 설정된 관계에 가능한 한 근접하게 따르도록 하기 위해, 유체의 순간체적의 다수의 다른 값으로 나타나야 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른 값들은 또한 제 1 및 제 2 구역(Z1,Z2)의 각각의 두께(E1,E2) 때문이며, 커패시티의 흡수를 변화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다수의 매개변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이고, 순간압력(P)이 순간체적(V)에 연결되도록 의도된 방법에 의해 예정된 관계를 채택하기 위해서 이다.
도1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중공보디(2)는 작동정지시 본질적으로 원통형인 내부면(23)을 가지고 있으며, 벽(21)은 중공보디(2)의 하나의 끝부분(24)에서 벽의 최소두께(Ea)에 도달하며, 하나의 끝부분은 오리피스(22)와 대향하는 끝부분이고, 그리고 이러한 끝부분(24)에서 작동정지시 제 1 직경(D1)의 실린더 내부에 놓여 있는 외부면(25)을 가지고 있다.
중공보디(2)의 끝부분(24)과 면하고 있는 케이싱(3)은, 그러므로 제 1 직경(D1)보다 작은, 제 2 직경(D2)의 실린더를 형성한다.
결국, 벽(21)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오리피스(22)와 중공보디(2)의 끝부분(24)사이에서 축선 방향으로 위치해 있는 다수의 중간구역(26)에서 최대두께(Ez)에 도달하며, 그리고 이러한 구역에서 벽(21)은 작동정지시 제 2 직경(D2)보다 작은, 제 3 직경(D3)의 실린더 내부에 놓여있는 외부면을 갖는다.
모든 경우에, 개구부(32)는 중공보디(2)와 이러한 케이싱(3)사이에서 갇혀있는 공기가 새어나오게 하기 위해 강성 케이싱(3)내에 만들어 질 수 있다.
도시된 커패시티의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유체의 일정체적이 중공보디(2)내에 분사될 때, 후자의 팽창은, 우선적으로 강성 케이싱(3)과 접촉하지 않고 가장 얇은 상태의 벽(21)의 그러한 구역에서 발생한다.
더욱이, 팽창에 대하여 중공보디에 의해 제공되는 저항은, 순간체적(V)의 주어진 증가에 따라 순간압력(P)이 증가하는 것으로 표현되어, 이러한 중공보디가 팽창을 경험하는 구역의 표면적의 감소함수이다.
유체의 순간체적(V)의 낮은 값에 대하여, 바꿔 말하면 이러한 체적의 값이 작동정지시 중공보디에 포함된 최소체적(Va)보다 약간 큰 값에 대하여, 이러한 체적에서 어떠한 증가도 그 결과 중공보디(2)의 끝부분(24)의 반경방향 및 축방향의 팽창을 야기하며, 두께는 최소상태에 있고, 중공보디의 팽창에 의해 제공된 저항은비교적 작다.
이러한 상태 하에서, 낮은 값에서 순간체적(V)의 어떠한 증가는 순간압력(P)의 약간의 증가와 관련되어 있다.
상기의 순간압력(P)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강성 케이싱(3)과 접촉하는 끝부분(24)의 표면적은 증가하고, 이것은 여전히 팽창되는 단면(24)은 감소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순간체적(v)의 일정한 증가에 대해 순간압력(P)의 증가를 야기한다.
이러한 상황은 도2에서 압력(P)이 체적(V)의 함수로 표현된 그래프가 위를 향해서 오목한 부분을 가진다는 사실에 의해 검증될 수 있다.
체적(V)이 값(Vy)에 도달할 때, 중공보디의 끝부분(24)은 강성 케이싱(3)에 대해서 완전히 가압되며, 중공보디가 끝부분(24)의 상부부분이외의 부분에서 어떠한 더 팽창을 경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후자는 끝부분(24)의 두께를 넘는 두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압력(P)은 체적의 동일한 증가를 위해 Vy 아래의 체적에서 보다 빨리 변화하며, 이러한 변화는 위에서 설명한 원리에 따른 E2,E3,Ez와 같은 두께의 구역의 분포에 의존하고 있다.

Claims (6)

  1. 유압 커패시티는 축선(1)과 강성 케이싱(3)을 따라 연장된 중공보디(2)를 포함하고 있고, 중공보디(2)는 작동정지 상태에서 축선(1)에 대해서 적어도 반경방향(R)으로의 탄성팽창을 견디어 낼 수 있는 재료로 만들어 졌고, 작동정지시 최소두께(Ea)와 최대두께(Ez)사이의 두께를 가지는 벽(21)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벽(21)은 강성 케이싱(3)에 대해서 고정적인 오리피스(22)가 구비되어 있으며, 강성 케이싱(3)은 중공보디(2)의 팽창을 제한하기 위해 중공보디(2)를 둘러싸고 있고, 그리고
    매 순간마다 최소체적(Va)과 최대체적(Vz)사이에서 변할 수 있는 유체의 순간체적(V)을 포함하도록 의도되어 졌고, 유체의 순간체적(V)을 순간체적(V)에 의존하고 있는 순간압력(P)에 적용하는 커패시티에 있어서, 적어도 유체의 제1의 순간체적(V)동안 벽(21)은 적어도 이러한 벽의 제 1 구역(Z1) 및 제 2 구역(Z2)을 경유하여 케이싱(3)과 동시에 접촉하고, 이들 구역은 오리피스(22)로부터 거리를 두고 있고, 제 1 및 제 2 각각의 두께(E1,E2)를 가지고 있고, 그리고 케이싱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있는 제 3 구역(Z3)에 의해 각각 분리되어서, 제 1 및 제 2 두께(E1,E2)와 다른 제 3 두께(E3)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커패시티.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두께(E1,E2)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커패시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중공보디(2)는 본질적으로 작동정지시에 원통형의 내부면(23)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커패시티.
  4. 제 3 항에 있어서, 벽(21)은 오리피스(22)와 대향하는 끝부분인 중공보디(2)의 하나의 끝부분(24)에서 최소두께(Ea)에 도달하고, 이러한 끝부분(24)은 작동정지시 제 1 직경(D1)의 실린더 내에 놓여 있는 외부면(25)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커패시티.
  5. 제 4 항에 있어서, 케이싱(3)은 중공보디(2)의 끝부분(24)과 대향하여, 제 1 직경(D1)보다 큰, 제 2 직경(D2)의 실린더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커패시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벽(21)은 오리피스(22)와 중공보디(2)의 끝부분(24) 사이에서 축선방향으로 놓여 있는 다수의 중간구역(26)에서 최대두께에 도달하고, 이 구역 내에서 작동정지시 제 2 직경(D2)보다 큰, 제 3 직경(D3)의 실린더 내에 놓여 있는 외부면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커패시티.
KR1020007013997A 1998-06-26 1999-06-08 압력흡수가 제어되는 유압 커패시티 KR1005856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8/08101 1998-06-26
FR9808101A FR2780369B1 (fr) 1998-06-26 1998-06-26 Capacite hydraulique a absorption controlee en pres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8731A true KR20010078731A (ko) 2001-08-21
KR100585611B1 KR100585611B1 (ko) 2006-06-07

Family

ID=9527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3997A KR100585611B1 (ko) 1998-06-26 1999-06-08 압력흡수가 제어되는 유압 커패시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164336A (ko)
EP (1) EP1089903B1 (ko)
JP (1) JP4597372B2 (ko)
KR (1) KR100585611B1 (ko)
DE (1) DE69903033T2 (ko)
ES (1) ES2182525T3 (ko)
FR (1) FR2780369B1 (ko)
WO (1) WO20000003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1608A (en) 1996-03-07 1999-08-24 Kelsey-Hayes Company Electronic brake management system with manual fail safe
DE19856697C2 (de) * 1998-12-09 2001-02-22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Schwingungsdämpfer zur Dämpfung von Flüssigkeits-Schwingungen in einem hydraulischen System
FR2829452B1 (fr) * 2001-09-10 2005-01-28 Bosch Gmbh Robert Installation de freinage hydraulique avec simulateur, et simulateur pour une telle installation
FR2829982B1 (fr) * 2001-09-26 2004-01-23 Bosch Gmbh Robert Dispositif de freinage a securite accrue et systeme de freinag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US7040350B2 (en) * 2002-04-23 2006-05-09 Young Winston B Perforated pulsation dampener and dampening system
US6860569B1 (en) 2002-05-23 2005-03-01 Kelsey-Hayes Company Electro-hydraulic brake system with four wheel push through
US6651698B1 (en) * 2002-05-31 2003-11-25 Wilkes & Mclean Ltd. Suppressor for manifold fluid line
US7493916B2 (en) * 2005-12-12 2009-02-24 Bosch Rexroth Corporation Pressure vessel with accumulator isolation device
EP2470403B1 (en) * 2009-08-24 2017-05-10 Kelsey-Hayes Company Slip control system with attenuator
MX2012004066A (es) * 2009-10-05 2012-06-08 Bosch Gmbh Robert Sistema de almacenamiento de energia que incluye un ensamble de acumulador expansible y deposito.
DE102012221029A1 (de) * 2012-11-19 2014-05-22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Hydraulischer Simulator
DE102014224829A1 (de) * 2014-12-04 2016-06-09 Robert Bosch Gmbh Druckänderungsdämpfer für eine schlupfgeregelte, hydraulische Fahrzeugbremsanlage und Fahrzeugbremsanlage mit einem solchen Druckänderungsdämpfer
DE102014226005A1 (de) * 2014-12-16 2016-06-16 Robert Bosch Gmbh Druckänderungsdämpfer für eine bremskraftgeregelte hydraulische Fahrzeugbremsanlage und bremskraftgeregelte hydraulische Fahrzeugbremsanlage mit einem solchen Druckänderungsdämpfer
KR101698881B1 (ko) * 2015-09-02 2017-01-23 주식회사 만도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의 맥동 저감 장치
KR102508991B1 (ko) * 2016-01-29 2023-03-10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브레이크 시스템
DE102016201737A1 (de) * 2016-02-04 2017-08-10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Simulatoreinrichtung für eine Bremsanlage und Bremsanlage
FR3060533A1 (fr) * 2016-12-19 2018-06-22 Safran Aircraft Engines Accumulateur sur une ligne de carburant d'aeronef
US10926747B2 (en) * 2018-03-14 2021-02-23 Mando Corporation Pulsation damping device of hydraulic brake system
BR112020025837A2 (pt) * 2018-06-25 2021-03-23 Performance Pulsation Control, Inc luva de retenção para cartucho de alta pré-carga
DE102018219605A1 (de) * 2018-07-07 2020-01-09 Robert Bosch Gmbh Bremssystemdämpfvorrichtung
DE102019208406A1 (de) * 2019-06-08 2020-12-10 Robert Bosch Gmbh Bremssystemdämpfvorrichtung
US11866023B2 (en) 2021-04-19 2024-01-09 Bwi (Shanghai) Co., Ltd. Noise mitigating hydraulic control unit assembly for a vehicle brak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50107A (en) * 1932-07-30 1934-03-06 Welford P Guinn Pressure alleviator
NL266496A (ko) * 1960-06-29
JPS5843498Y2 (ja) * 1979-04-03 1983-10-0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ト−シヨンバ−を利用した蓄圧装置
US4687188A (en) * 1986-02-04 1987-08-18 Cooper Tire & Rubber Company Mount for controlling or isolating vibration
JPH0752401Y2 (ja) * 1990-01-29 1995-11-29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ブラダ型アキュムレータ
JPH07237534A (ja) * 1994-02-28 1995-09-12 Toyota Motor Corp 車両用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US5771936A (en) * 1994-07-25 1998-06-30 Nok Corporation Accumulator,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DE19544221A1 (de) * 1995-11-28 1997-06-05 Bosch Gmbh Robert Dämpfer, insbesondere zur Dämpfung von Druckschwankungen in Bremsflüssigkeit hydraulischer Fahrzeugbremsanlagen
US5682923A (en) * 1996-09-30 1997-11-04 Caterpillar Inc. Accumulator having an internal elastomeric member
US6076557A (en) * 1998-06-12 2000-06-20 Senior Engineering Investments Ag Thin wall, high pressure, volume compens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03033T2 (de) 2003-04-30
JP2002519233A (ja) 2002-07-02
WO2000000373A1 (fr) 2000-01-06
JP4597372B2 (ja) 2010-12-15
US6164336A (en) 2000-12-26
FR2780369B1 (fr) 2000-08-18
ES2182525T3 (es) 2003-03-01
KR100585611B1 (ko) 2006-06-07
EP1089903A1 (fr) 2001-04-11
DE69903033D1 (de) 2002-10-24
EP1089903B1 (fr) 2002-09-18
FR2780369A1 (fr) 1999-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78731A (ko) 압력흡수가 제어되는 유압 커패시티
US4503951A (en) Hydraulic damper having variable damping device
RU2309316C2 (ru) Прокладочное кольцо
CA1043229A (en) Pressure accumulator
JP3859715B2 (ja) 自動車のスリップ制御された液圧式のブレーキシステム内において液体振動を減衰するための振動減衰装置
US6364298B1 (en) Rubber bearing with radial travel limitation and damping agent channel
US4844485A (en) Lip seal assembly for a rotatable shaft
KR101940615B1 (ko) 유체로 채워진 피스톤 실린더 유닛
KR940002890B1 (ko) 자동차 축받이용의 수력학적 감쇠작용(水力學的 減衰作用)을 갖는 스리브상 고무탄성체
CA2485354A1 (en) A resilient seal
US5516083A (en) Sleeve rubber spring for mounts in a motor vehicle
US5725221A (en) Two piece seal
US4591033A (en) Shock absorber with fluid amplified flow at central portion of piston head
US20080095478A1 (en) Hydro-bush bearing with acoustic decoupling
EP0410074B1 (en) Radial load reducing device, and sliding bearing and screw compressor using the device
US20080145141A1 (en) Joint and/or Bearing Arrangement
US5496018A (en) Fluid damped bushing with encapsulated window metal
KR960014638B1 (ko) 베어링 장치
KR100313618B1 (ko) 로드의 밀봉 장치
US6481331B1 (en) Working cylinder actuated by hydraulic fluid
US4392655A (en) High-pressure seal with controlled deflection under pressure
US5496075A (en) Rotative joint applicable in pneumatic air pressure control assembly
EP0442628B1 (en) Armature insert
US6273430B1 (en) Oil seal
US5305991A (en) Hydraulically damped sleeve bea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