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8672A - 안전 플럭 - Google Patents

안전 플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8672A
KR20010078672A KR1020000006096A KR20000006096A KR20010078672A KR 20010078672 A KR20010078672 A KR 20010078672A KR 1020000006096 A KR1020000006096 A KR 1020000006096A KR 20000006096 A KR20000006096 A KR 20000006096A KR 20010078672 A KR20010078672 A KR 20010078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plug
terminal
tube
b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6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헌수
Original Assignee
김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헌수 filed Critical 김헌수
Priority to KR1020000006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78672A/ko
Priority to KR2020000003678U priority patent/KR200189115Y1/ko
Publication of KR20010078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867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5/00Three poles

Landscapes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적으로 절연성을 강화하여 안전성을 높인 플럭을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통상의 동력 코드의 2핀 또는 3핀용 플럭에 있어서, 플럭 단자(1)의 후미와 여기에 연결된 피복 전선(4)의 나선(5)을 포함하여 나선(5)에 인접한 피복 부위까지 절연막(6)을 피복한 후 몰딩(7)하여 내부 절연성을 강화한 안전 플럭이다.

Description

안전 플럭{Safety plug}
본 발명은 내부에서의 누전으로 인하여 쇼트가 발생하여 화재 및 감전 사고의 우려가 있는 플럭의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높인 안전 플럭에 관한 것이다.
플럭이 딸린 통상의 동력(전원) 코드는 피복 전선의 선단부 절연피복을 적정 길이만큼 박피하여 드러나게 되는 나선을 플럭 단자의 후단에 납땜하여 고정하거나 단자의 후미에 형성된 관부에 끼운 다음 관부를 압착하여 고정하거나, 혹은 단자의 후미에 부여된 U형 접속부에 깍지끼움하여 압착한 다음에 수지 수지로 몰딩하여 외부와 절연시킨 것이다.
사용하던 플럭이 소손되는 원인 중의 하나는 피복이 벗겨진 전선의 나선 일부가 여으로 삐져나와서 플럭의 다른 단자측으로 전류가 흐름으로써 나타나는 쇼트 현상 때문이다.
그리고 몰딩 수지 원료를 잘게 분쇄한 후 망을 통과하는 좁쌀만한 크기의 과립상 수지, 즉 수지 콤파운드에는 분쇄과정에서 분쇄날이 마모된 미세한 금속분, 조각난 날조각이 혼재할 가능성이 있다. 이같은 금속물질이 섞인 몰딩재로 제조된 플럭은 통전시 금속성 물질끼리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누전, 감전사고, 쇼트 현상이 촉발하는 수가 있다.
피복 전선과 단자를 연결할 때 특히 주의가 요망되는 것은 피복 전선의 나선중 단 한 가닥이라도 흩어지지 않고 전부 완벽하게 연결되어야 함은 물론 몰딩재에 도전성 물질이 혼재하지 않아야 한다.
그런데 자동화시설로 또는 수작업으로 피복 전선과 단자를 연결하다보면 나선의 일부가 흩어져서 뭉친 것은 제대로 연결이 되지만 흩어진 가닥은 연결되지 못하고 옆으로 삐져나오는 수가 어쩌다 생긴다.
흩어진 나선 가닥을 압착 또는 납땜하기 전에 발견되면 수정연결작업이 가능하지만 압착 또는 납땜한 후에 그런 사실이 발견되면 때가 늦고, 특히 자동화시설에서 동력 코드를 제조할 시에는 피복 전선과 단자와의 접속불량을 발견하기가 곤란하므로 여간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런 문제는 비단 동력 코드에 국한된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흔히 쓰이는 콘텍터와 콘센트도 예외일 수 없다.
그리고 제조원가절감차원에서 재생수지를 몰딩재로 한 불량 플럭과 콘넥터, 콘센트가 출현되고 있는데, 이는 여건 위험천만한 게 아니다. 재생수지중에는 전기가 잘 통하는 금속성 물질이 분말, 입자, 조각 등의 형태로 섞여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런 수지로 단자를 몰딩하면 몰딩내에서 누전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고, 누전은 몰딩 내에서 쇼트가 발생할 가능성을 높인다.
본 발명은 몰딩재에 함유된 도전성 불순물로 인한 몰딩 내에서의 쇼트 현상, 나선의 일부가 삐져나온 것에서 비롯되는 쇼트 현상으로 인한 피해를 철저하게 예방할 수 있는 안전 플럭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플럭 단자의 후미와 피복이 벗겨진 피복전선측 나선과의 접속부를, 몰딩하기 전에 단자간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단자판을 사출 성형할 때 또는 2차 사출 성형을 통하여 수지로 피복하여 몰딩에 매립되는 를럭 단자의 후단부와 나선을 몰딩재로부터 완전히 절연시켜 몰딩 내에서 쇼트가 일어나지 않도록 안전성을 높인 플럭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플럭 단자의 후미와 피복이 벗겨진 피복전선측 나선과의 접속부에 절연튜브를 씌워 몰딩함으로서 몰딩재에 섞인 금속물질, 나선을 끼워 물리는 과정에서 일부 삐져나온 나선끼리 또는 나선과 다른 플럭 단자가 상호 접촉하므로서 발생가능성이 높은 몰딩내 쇼트 현상을 배제하여 안전성을 높인 플럭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220V용 플럭의 부분 절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110V용 플럭의 부분 절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3핀형 플럭에서 몰딩을 제외한 부분 절개 정면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220V용 플럭에서 몰딩을 제외한 부분절개 정면도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110V용 플럭에서 몰딩을 제외한 부분절개 정면도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3핀형 플럭에서 몰딩을 제외한 부분절개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플럭 단자 2 : 관부
3 : 단자판 4 : 피복 전선
5 : 나선 6 : 절연막
6' : 절연튜브 7 : 몰딩
8 : 절곡부 9 : 어스선 단자
도 1에서, 후단에 관부(2)가 주어진 2개의 둥근 플럭 단자(1)가 단자판(3)을 관통하도록 사출되고 각 플럭 단자(1)의 후미에 주어진 관부(2)에는 피복 전선(4)에서 소정의 길이로 피복을 벗김에 따라 노출된 나선(5)을 끼운 다음 관부(2)를 압착하여 고정시킨 220V용 플럭(a)의 경우 각 플럭 단자(1)의 관부(2)와 피복 전선(4)의 나선(5)을 완전히 감싸고 남을 정도로 절연막(6)을 피복하여 나선(5)과 관부(2)가 몰딩(7)에 접촉할 가능성을 완전히 차단한다.
상기 절연막(6)은 관부(2)에 피복 전선(6)의 나선(5)을 삽입하여 압착한 플럭 단자(1)를 단자판(3)의 사출 성형시 동시에 성형할 수도 있고 또는 1차로 단자판(3)을 사출 성형하여 플럭 단자(1)의 간격을 고정화한 후 2차 사출 성형과정에서 단자판(3)과 친화성을 가진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할 수도 있다.
도 2에서, 110V용 플럭(b)의 플럭 단자(1)는 평탄한 띠판제여서 관부(2)를 형성하기 곤란하므로 플럭 단자(1)의 후단에다 납땜하거나 U형 절곡부(8)를 형성하여 피복 전선(4)의 나선(5)을 깍지끼움하고 그대로 압착하여 연결한 경우로서, 절연막(6)은 단자판(3)을 사출 성형할 때 동시에 또는 2차 사출 성형과정을 통하여 형성한다.
도 3은 전자레인지용 동력 코드처럼 플럭 단자(1) 사이에서 이들과 3각 방향의 한 꼭지점을 차지하도록 어스선 단자(9)를 배치시켜 몰딩(7)한 3핀형 플럭(c)을 예시한 것인데, 절연막(6)을 적용하는 요령은 위에 밝힌 바와 같고, 어스선 단자(9) 까지 절연막(6)으로 완벽하게 절연시킬 수 있음은 두 말할 나위도 없다.
도 4 내지 도 6은 절연막(6)을 절연튜브(6')로 대체한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절연튜브(6')는 피복 전선(4)의 나선(5)쪽에서 미리 끼운 다음에 나선(50을 단자판(3)에 고정된 플럭 단자(1)의 관부(2)에 삽입하여 압착한다. 이 절연튜브(6')는 외부에서 열을 가하면 수축되는 열수축성 재질로 하는 것이 몰딩할 때 안전감이 있고 절연효과도 우수하다. 이런 성질을 가진 재질로서는 열수축성 소경 합성수지관, 열수축성 고무관 등이 있다.
상기 절연튜브(6')는 피복 전선(4)에서 단자(1)와의 안전한 연결에 필요한 길이만큼 박피하여 드러나는 나선(5) 보다도 길게 한다. 플럭의 경우 나선(5)은 관부(2) 깊이의 대략 2배 정도로 박피하여 노출시키는 것이 관행이므로 절연튜브(6')는 나선(5) 보다도 더 길어야 몰딩 내에서의 절연상태가 완벽해진다.
상기 절연튜브(6')는 피복 전선(4)의 접속단쪽으로 끼워서 박피할 부분 이후 위치로 밀쳐 놓은 다음에 박피된 나선(5)을 관부(2)에 끼우고 압착한 후 절연튜브(6')를 앞쪽, 즉 관부(2)쪽으로 내밀어서 관부(2)와 나선(5)을 완전히 가리게 한다. 그러면 절연튜브(6')의 선단은 단자판(3)의 이면에 닿고 절연튜브(6')의 후단은 나선(5)의 후단 경계를 지나 피복 전선(4)의 피막 선단부까지 완전히 덮는다.
이때, 나선(5)의 일부 가닥이 삐져 니와 있다면 앞쪽으로 이동하는 절연튜브(6')에 밀려 들어가 숨으므로 절연상 안전하다.
절연튜브(6')가 자체의 탄성으로 피복과 나선(5) 및 관부(2)를 충분히 압박하여 이후 몰딩(7)에 매입시키는 과정에서 그 상태로 온전하게 유지되는 것이면 그대로 몰딩하고, 그렇지 않다면 열수축성 재질로 절연튜브(6')를 만들어 씌운 다음 헤어 드라이어와 같은 가열기구로 열을 쬐어 수축시킴으로써 압박시킨 후 몰딩(7)한다.
110V용 플럭(b)의 플럭 단자(1)처럼 절곡부(8)를 압착했을 때 그 앞쪽으로 나선(5)의 선단이 노출되는 경우에는 그 부위를 스폿용접 등의 방법으로 밀착 고정하면 전기적 접촉저항이 작아지므로 통전시 저항으로 인한 열이 적고 전도율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비단 플럭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콘넥터, 콘센트 등에도 그대로 전용하여 동등한 실시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안전 플럭은 플럭 단자의 후미에 접속되는 부위의 피복을 벗긴 피복 전선의 나선과 플럭 단자와의 접속부에 입힌 절연막에 의하여 피복 전선의 나선과 플럭 단자가 도전성 물질이 함유된 몰딩이 물리적 전기적으로 완전 차단되므로 몰딩을 매개체로 하여 다른 플럭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될 가능성이 전무하므로 몰딩 내에서의 누전으로 인한 쇼트 현상이 일절 일어나지 않고, 따라서 안전도가 매우 높다.

Claims (2)

  1. 통상의 동력 코드의 2핀 또는 3핀용 플럭에 있어서, 플럭 단자(1)의 후미와 여기에 연결된 피복 전선(4)의 나선(5)을 포함하여 나선(5)에 인접한 피복 부위까지 절연막(6)을 피복 절연시킨 것을 몰딩(7)하여 내부 절연성을 강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플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6)이 절연튜브(6')인 안전 플럭.
KR1020000006096A 2000-02-09 2000-02-09 안전 플럭 KR2001007867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6096A KR20010078672A (ko) 2000-02-09 2000-02-09 안전 플럭
KR2020000003678U KR200189115Y1 (ko) 2000-02-09 2000-02-11 안전 플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6096A KR20010078672A (ko) 2000-02-09 2000-02-09 안전 플럭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3678U Division KR200189115Y1 (ko) 2000-02-09 2000-02-11 안전 플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8672A true KR20010078672A (ko) 2001-08-21

Family

ID=19645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6096A KR20010078672A (ko) 2000-02-09 2000-02-09 안전 플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78672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4959A (ja) * 1996-04-05 1997-10-21 Sony Corp 電源プラグ
JPH09306581A (ja) * 1996-05-20 1997-11-28 Hitachi Cable Ltd 二重絶縁電源プラグ
KR19990022973U (ko) * 1997-12-02 1999-07-05 이흥열 플러그 단자
JP2000012142A (ja) * 1998-06-25 2000-0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源コード付き接続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4959A (ja) * 1996-04-05 1997-10-21 Sony Corp 電源プラグ
JPH09306581A (ja) * 1996-05-20 1997-11-28 Hitachi Cable Ltd 二重絶縁電源プラグ
KR19990022973U (ko) * 1997-12-02 1999-07-05 이흥열 플러그 단자
JP2000012142A (ja) * 1998-06-25 2000-0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源コード付き接続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4498B2 (en) Insulation-displacement connector
JP3808104B2 (ja)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US3670293A (en) Shielded wire connectors
US3093434A (en) Molded plug
US5191710A (en) Method of forming an electrode unit
CN102870279A (zh) 用于产生电接口的方法和接口
US4199214A (en) Fused electrical connector
EP0536849B1 (en) Contact device for a cable with one or more inner conductors
US5004432A (en) Electrical connector
EP0289583A4 (en) ELECTRICAL CONNECTORS AND METHODS.
US4718865A (en) Insulated electrical plug
US2845516A (en) Electric cable connector with soldered joints
US3594713A (en) Electrical connector
EP0448554B1 (en) Cable connecting module
KR100296483B1 (ko) 전기기기플러그용플러그브리지
US3156762A (en) Connector for insulated wires
US3673313A (en) Electrical junction for high-current conductors and connector and method suitable for making same
KR200189115Y1 (ko) 안전 플럭
US3015877A (en) Method for making an angle plug with looped conductor
US1918071A (en) Cord terminal
KR20010078672A (ko) 안전 플럭
WO1994006173A1 (en) Connector for coaxially shielded cables
US3510824A (en) Wiring chain of indefinite length
US1645539A (en) Insulated-conductor terminal
US6172303B1 (en) Electrical terminal with integral PTC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