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8123A - A network-based guide system for locative information and a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 network-based guide system for locative information and a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8123A
KR20010078123A KR1020010003925A KR20010003925A KR20010078123A KR 20010078123 A KR20010078123 A KR 20010078123A KR 1020010003925 A KR1020010003925 A KR 1020010003925A KR 20010003925 A KR20010003925 A KR 20010003925A KR 20010078123 A KR20010078123 A KR 20010078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ap
building
user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39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대성
Original Assignee
정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대성 filed Critical 정대성
Priority to KR1020010003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78123A/en
Publication of KR20010078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8123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79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 G01C21/3682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output of POI information on a road ma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PURPOSE: A GIS system and a servide method are provided to offer additional information to a user when the user selects a building existing on a map by manufacturing a map by scaling and arraying building data created by a photograph for positioning the building data at the same area as current position based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making a user watch the map on a browser being connected to a network. CONSTITUTION: A data communication network(300) connects to a plurality of client computers(100) to a main computer(200). A client computer(100) outputs position search information being inputted by a user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300) to the main computer(200). The main server computer(200) provide map information to the client computers(100) by responding to position searching information being inputted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300). When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position on a map outputted on a screen of the client computers(100), the main server computer(200) transmits information of the map to the client computer(100) based on the position and outputs the information on a screen, and reads stored additional information using posi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lient computer(100) and screen output information stored in itself and outputs the information on the screen the client computers(100).

Description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정보 안내시스템 및 위치정보 안내방법{A network-based guide system for locative information and a method thereof}A network-based guide system for locative information and a method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정보 안내시스템 및 위치정보 안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 information guidance system and a location information guidance method based on a network.

보다 상세하게는 사진으로 생성된 건물데이터들을 소정의 위치를 중심으로 현재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도록 축적, 배열시켜 지도를 제작하고, 이 제작된 지도를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자신의 브라우저 상에서 볼 수 있도록 하며, 이 지도 상에 존재하는 건물을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 그에 해당하는 부가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위치정보 안내 시스템 및 위치정보 안내방법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building maps are created by accumulating and arranging the building data generated by photographs so that they exist in the same location as the current location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location, and the created map is viewed on a user's own browser connected to the networ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 information guide system and a location information guidance method for providing a user with addit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building existing on the map.

사람이 일정 장소를 찾아 가야 하는 경우 대부분 지도책을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에서 찾아가고자 하는 지점까지의 거리, 그 장소까지 이동하기 위한 교통편, 또는 차량을 이용할 경우 도로 상황 등을 사전에 검토한 후 출발한다.When a person needs to go to a place, most people use an atlas to review the distance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point they want to go to, the transportation to get to that place, or the road conditions when using a vehicle. do.

이때, 상술한 지도책은 도로를 중심으로 나누어진 지역이름이 표시되고, 상술한 지역별로 존재하는 지명 및 건물들이 표시되는데, 상술한 건물들은 고유명칭과 건물의 종류를 알 수 있도록 하는 도식화된 표시수단으로 표시된다.At this time, the above-described atlas is displayed with the name of the area divided by the road, and the names and buildings existing for each of the above-mentioned areas are displayed. It is indicated by means.

즉, '행주산성'이라는 고유명칭을 '∴'와 같은 표시수단과 함께 지리상으로 계산되어 축적된 지도상에 표시함으로써, 지도를 보는 사람이 행주산성이 명승지이라는 점을 알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행주산성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한다.In other words, by displaying the unique name 'Haengju Sanseong' on the map, which is calculated and accumulated geographically along with the display means such as '∴', the viewer can see that Haengju Sanseong is a scenic spot and at the same time Make sure you know the location of the acid.

상술한 지면상의 지도 개념은 컴퓨터 시스템 및 데이터 통신망이 발달하므로써 웹페이지 상으로 제공되는 지도 개념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다.The above-described map concept on the ground has been expanded to the map concept provided on a web page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puter systems and data communication networks.

즉,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임의의 장소 또는 건물을 찾아가기 이전에 지도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고, 접속된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페이지를 통해 찾고자 하는 지명 또는 건물정보 등을 검색어로 입력하면,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지역 또는 건물의 위치를 알려주기 위한 지도정보가 화면상으로 출력된다.That is, users using a computer system connect to a server that provides map information before going to any place or building, and enter a place name or building information to search through a page provided from the connected server as a search word. Map information for informing the location of the area or building the user is looking for is output on the screen.

그러나, 상술한 지도 개념은 단순히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지역 또는 건물등의 위치를 알려주는 지도 개념이외에는 사용자에게 다른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없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map concept could not provide any other information to the user other than a map concept that simply informs the user of the location of the area or the building to be searched for.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이 찾길 원하는 건물 등을 찾기 어려웠으며, 사용자가 특정 건물을 찾아도 해당 건물이 맞는지 확인하기도 어려웠고, 지도 읽기도 쉽지 않아 사용자가 원하는 건물을 찾았다해도 그 건물까지의 교통편이나 가는 방법 등을 알기도 어려웠다.Therefore, it was difficult for the user to find a building that he or she wanted to find, it was difficult for the user to find a specific building, and it was difficult to check whether the building was correct, and it was not easy to read the map. It was hard to know.

또한, 정보 제공자나 건물주, 상점주 등은 네트워크를 통해 표현되는 건물,상점 등에 대해 세밀하고 구체적으로 나타낼 수 있어 사용자에게 보다 쉽게 다가가고 강렬하게 인식되기를 원하였으나 기존에 지도 정보로는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formation providers, building owners, and shop owners can express the details of buildings, stores, etc. that are expressed through the network, so that they want to approach users more easily and be strongly recognized. there was.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사진으로 생성된 건물데이터들을 소정의 위치를 중심으로 현재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도록 축적, 배열시켜 지도를 제작하고, 이 제작된 지도를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브라우저 상에서 볼 수 있도록 하며, 이 지도 상에 존재하는 건물을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 그에 해당하는 부가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위치정보 안내 시스템 및 위치정보 안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uild a map by accumulating and arranging the building data generated by the photo to exist in the sam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urrent posi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o produce the map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cation information guide system and a location information guide method for providing a user with a view on a browser connected to a network and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selection of a building existing on the map.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정보 안내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 is a view for explaining a location information guide system based on a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은 도 1에 적용된 메인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ain server applied to FIG. 1;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building a databas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정보 안내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4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guide system based on the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 는 본 발명이 적용된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지도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5A and 5B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map displayed on a screen of a client compute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6a 내지 도 6c 는 본 발명에 따른 지도정보 생성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흐름도,6A to 6C are detailed flowchart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ap information gen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정보 안내시스템에 대한 다른 실시예 구성도,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a location information guide system based on a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내지 도 8b 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안내시스템이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설명도이다.8A to 8B are detailed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process for providing information by the location information guid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클라이언트 컴퓨터 200 : 메인 서버 컴퓨터100: client computer 200: main server computer

210 : 데이터 베이스부 220 : 데이터 입력부210: database unit 220: data input unit

230 : 통신제어부 240 : 제어부230: communication control unit 240: control unit

300 : 데이터 통신망300: data communication network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사용자가 소정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입력하는 위치검색정보에 따라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지도정보를 제공하는 메인 서버 컴퓨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 컴퓨터는,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화면상에 출력된 지도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소정 지점이 선택된 경우 출력되는 위치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위치정보와 자체에 가지고 있는 화면출력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한 지점에 해당되는 부가 정보를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부가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전송하여 화면상으로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main server computer for providing map information through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location search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of the client computer to determine a predetermined position, wherein The main server computer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utput when a predetermined point is selected by the user on the map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lient computer, and uses the inpu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creen output information of the client computer. The addit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oint is read, and the read additiona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lient computer for display on the scree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데이터 베이스 구축방법은, (1)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읽어들여 건물데이터들을 추출하는 과정과, (2) 상기 추출된 건물데이터들을 소정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그 위치를 설정하고, 설정된 위치에 건물데이터들을 배치하여 하나의 지도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3) 상기 생성된 지도정보에 화면출력정보, 건물데이터의 위치정보, 그 건물에 대한 부가정보를 대응시켜 저장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databas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1)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building data by reading the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camera, and (2) the extracted building data centered on a predetermined position Setting the location and arranging building data at the set location to generate one map information; and (3) adding screen output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building data, and the building to the generated map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is made to correspond to the information stored.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정보 안내방법은, (A) 웹브라우저 실행에 따른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통신접속을 처리하는 과정; (B) 통신접속을 통해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초기 메뉴화면을 출력시켜 화면상에 디스플레이시키는 과정; (C) 초기 메뉴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소정의 위치를 지정하는 정보를 입력하고 검색버튼을 선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D) 검색버튼을 선택한 경우 선택된 위치를 중심으로 생성된 지도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부로부터 읽어들여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전송하여 화면상에 검색어에 해당하는 지도를 디스플레이시키는 과정; (E) 사용자로부터 지도 상에서 소정의 입력수단을 통해 일정 지점을 선택받은 경우,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선택된 지점의 위치정보를 전송받는 과정; (F)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입력되는 위치정보 및 자체에서 가지고 있는 화면출력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베이스부를 검색하는 과정; 및 (G) 위치정보 및 화면출력정보에 대응하여 저장된 부가정보를 읽어들여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전송하여 화면상에 출력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location information guide method based on the present inventors network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the steps of: (A) process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a client computer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a web browser; (B) outputting an initial menu screen to a client computer through a communication connection and displaying the same on a screen; (C) determining whether a user inputs information for designating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selects a search button through an initial menu screen; (D) when the search button is selected, reading the map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selected location from the database unit and transmitting the map information to the client computer to display a map corresponding to the search word on the screen; (E) receiving a location information of a point selected by the input means when a certain point is selected by a user through a predetermined input means on a map; (F) searching for a database unit using loca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client computer and screen outpu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lient computer; And (G) reading the stored addit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screen output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stored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client computer for output on the scree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정보 안내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location information guide system based on the inventors networ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정보 안내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location information guide system based on a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불특정 다수의 클라이언트 컴퓨터(100)와 메인 서버 컴퓨터(200)를 연결시키는 데이터 통신망(300)과, 상술한 데이터 통신망(300)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위치검색정보를 메인 서버 컴퓨터(200)로 출력하는 클라이언트 컴퓨터(100)와, 상술한 데이터 통신망(300)을 통해 입력되는 위치검색정보에 응하여 클라이언트 컴퓨터(100)로 지도정보를 제공하는 메인 서버 컴퓨터(200)로 구성된다.As shown, the main server computer receives the location search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300 connecting the unspecified client computers 100 and the main server computer 200 and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300 described above. Client computer 100 outputting to 200 and the main server computer 200 for providing the map information to the client computer 100 in response to the location search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above-described data communication network (300).

특히, 상술한 메인 서버 컴퓨터(200)는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컴퓨터(100)의 화면상에 출력된 지도 상에서 소정의 위치를 선택하는 경우, 그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지도에 대한 정보를 클라이언트 컴퓨터(100)로 전송하여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하는 한편, 클라이언트 컴퓨터(100)에서 제공하는 위치정보 및 자체에 가지고 있는 화면출력정보를 이용하여 저장된 부가 정보를 읽어들여 상술한 클라이언트 컴퓨터(100)의 화면상으로 출력시킨다.In particular, when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location on the map output on the screen of the client computer 100, the main server computer 200 may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map centered on the location of the client computer 100. And additional information stored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lient computer 100 and the screen outpu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lient computer 100 to be output on the screen of the client computer 100 described above. Let's do it.

물론, 메인 서버 컴퓨터(2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를 부분적으로 확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는 메뉴를 클라이언트 컴퓨터(100)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Of course, the main server computer 200 may provide a menu to the client computer 100 to partially enlarge or reduce the location selected by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use it.

상술한 부가정보는 건물의 이름, 각 층별로 분류된 건물 내에 존재하는 사무실이나, 상가의 이름이 일차적으로 제공되며, 일차적으로 제공되는 정보에서 사무실이나, 상가를 선택하는 경우 그에 해당되는 전화번호, 업종, 규모 등 이차적으로제공된다. 상술한 정보이외에도 구현하는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다양한 항목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가정보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건물, 상가, 사무실 등에 대해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건물, 상가, 사무실 등에 대한 광고를 제공할 수도 있다.The above-mentioned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es the name of the building, the name of the office or the mall existing in the building categorized by each floor, and the telephon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of the office or the mall from the information provided primarily. Secondary provisions are provided, including industry and siz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the system administrator may implement various items. The additional information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that can be displayed about a building, a mall, an office, etc.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nd may provide advertisements for the corresponding building, the mall, an office, etc.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상술한 기능을 갖는 메인 서버 컴퓨터(200)의 구성을 첨부 도면 도 2를 참조하여 개략적인 개념을 갖는 블록도로 하여 설명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부(210)와,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로 상술한 데이터 베이스부(210)를 업그레이드시키며, 클라이언트 컴퓨터(10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위치검색정보에 따라 상술한 데이터 베이스부(210)에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운영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이터 입력부(220)와, 상술한 클라이언트 컴퓨터(100)로부터 전송되는 위치검색정보를 입력받으며, 제어부(240)로부터 입력되는 지도정보와 그에 따른 부가정보를 출력하는 통신제어부(230)와, 상술한 통신제어부(230)를 통해 입력되는 위치검색정보를 응하여 지도정보를 제공하고, 통신제어부(230)를 통해 입력되는 위치정보 및 자체에 가지고 있는 화면출력정보를 이용하여 그에 해당되는 부가정보를 상술한 데이터 베이스부(210)로부터 읽어들여 상술한 통신제어부(230)를 통해 클라이언트 컴퓨터(100)로 전송하는 제어부(24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server computer 200 having the above-described function as a block diagram having a schematic concept with reference to Figure 2, the database unit 210 having at least one additional information and the system administrator An operating program for upgrading the above-described database unit 210 with data inputted by the user, and outputting the data stored in the above-described database unit 210 according to the location search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of the client computer 100. A communication controller 230 which receives the data input unit 220 and the location search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lient computer 100 as described above, and outputs map information input from the controller 240 and additional information thereof; The map information is provided in response to the location search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230 described above, and is in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230. The control unit 240 reads the addit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creen output information in the database from the above-described database unit 210 and transmits the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client computer 100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mmunication controller 230. It is composed of

이때, 메인 서버 컴퓨터(200)의 제어부(240)에 의해 분석되는 위치정보 및 화면출력정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위치정보는 사용자가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화면의 소정위치를 선택(클릭)한 경우 그에 대한 X, Y 좌표값을의미하며, 화면출력정보는 제어부(240)가 데이터 베이스부(210)로부터 지도데이터를 읽어들인 경우 상술한 지도데이터의 인덱스정보를 의미한다.In this case,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creen output information analyzed by the control unit 240 of the main server computer 200 will be briefly described.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screen using an input means such as a mouse (click). In this case, X and Y coordinate values thereof mean the screen output information. When the control unit 240 reads the map data from the database unit 210, it means the above-mentioned index information of the map data.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정보 안내시스템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guide system based on the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시스템 관리자는 메인 서버 컴퓨터(200)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이 쉽게 소정 위치를 지정하고, 그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지도정보를 제공해 주고자 하는 경우, 상술한 지도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해 주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해야 한다.First, when a system administrator uses a main server computer 200 to easily designate a predetermined location and provide map information centered on the location, the system manager transmits the above-described map information to the user. You need to build a base.

상술한 데이터 구축방법은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를 이용하여 지하철 입구 등과 같은 위치를 선정하고, 그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건물이 있는 거리를 촬영한다. 이때, 촬영은 각각의 건물이 잘 표현되도록 하여 이루어진다.In the above-described data construction method, as shown in FIG. 3, a location such as a subway entrance is selected by using a camera, and a distance of a building is photographed based on the location. At this time, the photographing is performed so that each building is well represented.

이렇게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는 메인 서버 컴퓨터(200)로 출력되어,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건물데이터만이 추출된다(S310). 추출되는 건물데이터에 있어서 건물, 상점, 사무실 등이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잘 다가설 수 있도록 염두에 두고 이루어진다.The captured image data is output to the main server computer 200, and only building data is extracted by a predetermined application program (S310). In the extracted building data, buildings, shops, offices, etc. are finally made with the user in mind.

이렇게 추출된 건물데이터들은 소정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그 위치를 재설정되고, 설정된 위치에 건물데이터들을 배치하여 하나의 지도정보를 생성(S320)하고, 생성된 지도정보에 화면출력정보, 건물데이터의 위치정보, 그 건물에 대한 부가정보를 대응시켜 저장(S330)시킴으로써, 데이터 베이스 구축과정을 모두 수행하게 된다.The extracted building data is reset based on a predetermined location, and the building data is disposed at the set location to generate one map information (S320), and the generated map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output information and building data. By sto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on the building (S330), all the database construction process is performed.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서버 컴퓨터(200)에 데이터 베이스가 구축된 경우, 사용자는 메인 서버 컴퓨터(200)에 접속하여 지하철역과 같은 소정의 위치검색정보를 입력하면 원하는 지도정보를 제공받아 화면상에 지도를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database is built on the main server computer 200, the user connects to the main server computer 200 and inputs predetermined location search information such as a subway station to receive desired map information on the screen. The map can be displayed.

즉,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컴퓨터(100)의 사용자는 웹브라우저 실행시키고, 상술한 메인 서버 컴퓨터(200)의 도메인 네임(Domain name)을 입력시켜 상술한 메인 서버 컴퓨터(200)와 통신접속을 진행시킨다(S410).That is, as shown in FIG. 4, a user of the client computer 100 executes a web browser, inputs a domain name of the main server computer 200 described above, and executes the main server computer 200 described above. Proceed with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S410).

이렇게 통신접속이 이루어진 메인 서버 컴퓨터(200)의 제어부(240)는 통신제어부(230)를 통해 클라이언트 컴퓨터(100)로 초기 메뉴화면을 출력시켜 화면상에 디스플레이시킨다(S420).The control unit 240 of the main server computer 200 has a communication connection outputs the initial menu screen to the client computer 100 via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30 to display on the screen (S420).

이때, 초기 메뉴화면에는 사용자가 소정의 위치를 선택하거나, 입력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하는 다양한 메뉴 및 광고를 가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itial menu screen may have various menus and advertisements including a menu for selecting or inputting a predetermined position by the user.

상술한 초기 메뉴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소정의 위치를 지정하는 위치검색정보를 입력한 후 사용자가 검색버튼을 선택(S430)한 경우, 제어부(240)는 선택된 위치를 중심으로 생성된 지도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부(210)로부터 읽어들여 통신제어부(230)를 통해 상술한 클라이언트 컴퓨터(100)로 전송하고, 클라이언트 컴퓨터(100)는 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시킨다(S440).If the user selects a search button after inputting location search information for designating a predetermined location through the initial menu screen as described above (S430), the controller 240 stores the map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selected location. Read from the base unit 210 and transmits to the above-described client computer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30, the client computer 100 displays it on the screen (S440).

즉, 사용자가 위치검색정보로 교대역을 입력하면,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40)는 데이터 베이스부(210)로부터 교대역 출구를 기준 위치로가지고 있는 지도정보를 읽어들여 통신제어부(230)를 통해 클라이언트 컴퓨터(100)로 출력시켜 화면상에 지도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user inputs the alternate band as the location search information, as shown in FIG. 5, the controller 240 reads the map information having the alternate band exit from the database unit 210 as a reference position, and controls the communication controller ( 230 to output to the client computer 100 so that the map is displayed on the screen.

이때, 지도상에 표시되는 모든 이미지 데이터는 실제 건물 동일한 상태로 출력된다.At this time, all image data displayed on the map is output in the same state as the actual building.

한편, 사용자가 첨부 도면 도 5와 같은 지도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시킨 화면상에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수단을 통해 일정 지점을 선택한 경우, 입력수단에 의해 선택된 지점의 위치정보는 통신제어부(230)를 통해 제어부(240)로 전송된다(S450).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selects a certain point through the input means such as a mouse on the screen to display the map as shown in Figure 5 on the scre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int selected by the input means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30 I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40 (S450).

그리고, 제어부(240)는 입력된 위치정보 및 자체에서 가지고 있는 화면출력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베이스부(210)를 검색한다(S460).In addition, the controller 240 searches for the database unit 210 by using the input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screen output information of the controller 240 (S460).

검색 결과, 상술한 위치정보 및 화면출력정보에 대응하여 저장된 부가정보를 읽어들여 통신제어부(230)를 통해 클라이언트 컴퓨터(100)로 전송하여 화면상에 출력시킨다(S470).As a result of the search, the stored addit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screen output information is read and transmitted to the client computer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230 and output on the screen (S470).

즉, 사용자가 첨부 도면 도 5a 및 도 5b 에 도시된 지도상에서 소정의 건물을 선택하는 경우 그 건물이 사무실 위주의 건물인지, 또는 상가건물인지에 대한 상세 정보뿐만 아니라, 사무실 건물인 경우 입주하고 있는 사무실에 대한 상호명에서부터 그 사무실이 어떠한 일을 하고 있는 사무실인지의 여부를 알 수 있는 정보까지 제공할 수 있다.That is, when a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building on the map shown in FIGS. 5A and 5B, the user is occupied if the office building is not only detailed information on whether the building is an office-oriented building or a commercial building. From the business name to the office, you can provide information that tells you what the office is doing.

또한, 상가건물(특히 백화점)일 경우, 그 상가건물에 있는 매장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각 매장에서 제공하고 있는 물건들의 종류, 가격 등과 같은 상품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그 거리를 돌아다니면서 관찰하지 않더라도 쉽게 그 지역에 대해 알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mall building (especially a department store), the user can provide information on the types of stores in the mall, as well as product information such as the type and price of the goods provided by each store. You can easily learn about the area without having to walk around and observe it.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부가정보에 URL도 포함시켜, 지도상에 포함된 건물 중 하나의 건물이 선택되고, 그 건물 중에서 홈페이지를 운영하는 소정 사무소나, 또는 매장을 선택된 경우 클라이언트 컴퓨터(100)로 해당 홈페이지가 바로 연결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좀더 많은 정보를 조회해 볼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URL in the above-described additional information, the client computer 100 when one of the buildings included on the map is selected, and a predetermined office or store operating the homepage is selected from the buildings. This can be implemented so that the user can inquire more information by directly connecting to the corresponding homepage.

도 5a 및 도 5b 에 도시된 지도에 대해 다시 한 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again to the map shown in Figures 5a and 5b as follows.

우선, 사용자는 구비된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력수단을 이용하거나 터치스크린 등을 직접 터치하여 자신이 원하는 지역을 선택하거나 지도내의 특정 건물을 선택하게 된다.First, a user selects a desired area or selects a specific building in a map by using an input means such as a mouse or a keyboard or directly touching a touch screen.

일단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지역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특정 지역에 대한 지도이미지를 제공하며 배율은 조절 가능하다. 사용자는 그 상태에서 지도를 움직일 수 있으며, 특정한 건물, 상가 또는 사무실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이는 지도상에 사진으로 상기한 건물, 상가 또는 사무실 등이 표현되어 제공되기 때문이다. 이때, 제공자는 건물주, 상가주 또는 사무실주 등 지도를 통해 자신의 건물, 점포 등을 공개하기를 희망하는 이용자로부터의 요청과 사용자의 편리를 위해 각 건물의 명칭, 간판 등을 지도에서 잘 표현되도록 한다.Once the area is displayed at the request of the user, the map image for the specific area is provided and the magnification is adjustable. The user can move the map in that state and select a specific building, mall, or office. This is because the above-described buildings, stores or offices are represented on the map. In this case, the provider should make a request from the user who wishes to disclose his / her building, store, etc. through a map such as a landlord, a mall owner, or an office owner, and the name of each building and a signboard for the user's convenience. do.

사용자가 특정한 건물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해당 건물에 대한 자세한 부가정보를 제공하며, 건물주 또는 건물에 입주한 점포주 등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게 해당 건물 또는 점포에 대해 광고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광고는 지도정보를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불편을 느끼도록 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제공된다.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building, detailed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building is provided, and an advertisement for the building or the stor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at the request of the landlord or the store owner who resides in the building. At this time, the advertisement is provid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make the user feel uncomfortable using the map information.

이는 사용자가 특정한 상가, 사무실 등을 선택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며, 제공되는 지도는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더하여 각종 부가정보가 제공된다.The same applies to the case where the user selects a specific mall, office, or the like, and the provided map basically allows the user to conveniently obtain information, and in addition, various additional information is provided.

물론, 정보 제공자의 설정에 따라 지도에 배너광고의 설치가 가능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상기한 것처럼 이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가능하다.Of course, it is possible to install a banner advertisement on the map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information provider, it can provide an advertisement to the user.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is is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not impairing the user's convenience.

또한, 도 5a 및 도 5b 에 도시된 지도외곽에 표시된 것처럼 사용자가 특정 건물 등을 찾기 쉽도록 하고, 사용자가 요청하는 지점을 컴퓨터가 인식하기 쉽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이유로 가로, 세로로 구획하여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도 5a 및 도 5b 에서는 가로측 즉 동서방향으로는 숫자로 표시하고, 세로측 즉 남북방향으로는 영문으로 표시하고 있다.In addition, as shown on the outside of the map shown in Figures 5a and 5b, the user can easily find a specific building, and the information is divid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for various reasons such that the computer can easily recognize the point requested by the user. Indicates. In FIG. 5A and FIG. 5B, numbers are displayed on the horizontal side, that is, east-west direction, and are displayed in English on the vertical side, that is, north-south direction.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사용자에게 건물 등의 사진이 포함된 지도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지도이미지에 있어서 각 건물을 나타내는 간판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요청에 따라 실제하지는 않지만 해당 건물 등을 나타내는 광고를 간판과 같은 방식으로 나타내도록 삽입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provides a user with a map image including a picture of a building or the like. Therefore, in the map image provided to the user, a sign indicating each building may also be displayed. In addition, upon request, an advertisement representing a building, etc., which is not actual, may be inserted to be displayed in the same manner as a signboard.

도 6a 내지 도 6c 는 본 발명에 따른 지도정보 생성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흐름도이다.6A to 6C are detailed flowchart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ap information generat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정보 안내시스템 및 위치정보 안내방법에 있어서 지도로 나타낼 건물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지도정보로 나타내는 과정이 들어간다. 이에 대해 도 6a 내지 도 6c 를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In the location information guidance system and location information guidance method based on the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of generating building data to be represented by a map and displaying it as map information is included.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A to 6C.

도 6a 는 건물데이터 생성 과정에 대한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6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a building data generation process.

건물데이터 생성은, 건물에 대해 이루어진 촬영을 바탕으로 하며, 촬영된 사진 중에서 지도에 포함될 사진을 선별하고(s601), 선별된 사진을 스캔하며(s602), 스캔하여 데이터화된 사진에 대해 수정을 하거나 사진을 바탕으로 새로이 만들어낸다(s603). 이렇게 하여 얻어진 건물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s604).Building data generation is based on the photographing made on the building, and selects the photographs to be included in the map from the photographed photographs (s601), scans the selected photographs (s602), and corrects the scanned and photographed data. Newly created based on the photo (s603). The building data thus obtained is stored in the database (s604).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건물사진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점은 건물의 크기와 촬영거리에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4*5원판카메라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사항이다.The biggest problem with building photography is the size and distance of the building. To solve this problem, it is common to use a 4 * 5 disc camera.

4*5원판카메라를 통해 건물의 외곡을 수정할 수 있고 높은 해상도의 사진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4*5원판카메라의 경우에는 이동과 장비의 보관 및 고정이 힘들고 많은 시간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필름이 쉬트필름(sheet film)으로 되어 있어 많은 비용과 다량의 촬영시에는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The 4 * 5 disc camera allows you to modify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and get high resolution photos. However, the 4 * 5 disc camera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move and store and fix the equipment, and consumes a lot of time. In addition, the film is a sheet film (sheet film) has a lot of problems when shooting a lot of cost and a large amount.

건물의 외곡을 수정하기 위해 스윙이나 틸트를 할 수 있는 4*5원판카메라를 사용하여 발생하는 경제적 이익보다는 경제적 손실이 더욱 크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카메라는 135m와 120m 카메라를 사용한다.To overcome this problem, the camera uses 135m and 120m cameras because the economic loss is greater than the economic benefits of using a 4 * 5 disc camera that can swing or tilt to correct the building's curvature.

4*5원판카메라의 이동과 보관, 고정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동과 소지 및 보관이 편한 135m와 120m 카메라를 통해 보다 확장된 작업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필름의 사용면에서도 쉬트필름(sheet film)이 아닌 롤 필름(roll film)을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면에서 많은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moving, storing and fixing the 4 * 5 disc camera, the extended working area can be secured through 135m and 120m cameras that are easy to move, carry and stor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use a roll film rather than a sheet film in terms of use of the film, and thus a lot of cost savings can be obtained.

필림은 코닥 100sw와 코닥 100vs와 푸쉬용 필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모두 슬라이드 필림들로 높은 해상도를 가지고 있는 필름들이다. 코닥 100sw 같은 경우는 필름이 지니고 있는 따뜻한 톤이 있기 때문에 겨울철이나 오전에 촬영하면 좋은 결과를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때때로 촬영시에는 눈으로 볼 때와는 다른색이 촬영되기도 한다. 이는 빛의 파장을 표준비교측정 수치인 캘빈스케일로 나타내는 색온도 때문이다. 주광용 필름의 색온도는 5500°k에 맞추어져 있으며 만일 주광용 필름 사용시 그늘부분이나 천공광이 있는 곳에서는 색온도가 높기 때문에 푸른색 계열이 많이 나타나며 촛불이나 백열등에서 주광용 필름을 사용하면 붉은색 계열이 많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는 색온도가 맞지 않기 때문이다.Films can use Kodak 100sw, Kodak 100vs and Push Films. These are all films with high resolution as slide films. The Kodak 100sw, for example, has the warm tones of the film, so shooting in the winter or in the morning is good. This situation sometimes results in a color different from what you see with your eyes. This is due to the color temperature in which the wavelength of light is expressed in Kelvin scale. The color temperature of the daylight film is set to 5500 ° k. If the daylight film is used, the color temperature is high because of the high color temperature in the shade or perforated light. This will appear a lot because the color temperature is not correct.

대체적으로 붉은색은 따뜻한 색으로, 푸른색은 차가운 색이라는 느낌을 가지고 있지만, 색온도는 일반적인 느낌과 다르게 색온도가 높으면 푸른계열로, 낮으면 붉은 계열로 나타난다. 건물사진에 있어서는 따뜻한 느낌의 톤을 재현해 내야 하므로 이러한 사항은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In general, red has a warm color and blue has a cold color, but unlike the general feeling, the color temperature is high in blue and low in red. In the picture of the building it is necessary to reproduce the warm tone to be aware of this.

하루중 색온도의 변화를 보면 대체적으로 낮 12시경의 색온도는 5000°k이며 따라서 주광용 필름의 색온도는 5500°k에 맞추어져 있다.In general, the color temperature changes at around 12 o'clock in the day and the color temperature of daylight film is set to 5500 ° k.

하지만 5000°k은 이상적인 색온도로 계절이나 기후조건, 장소등에 따라 변화가 많을 수 있다. 또한 사진에 나타나는 색은 하루중 어느때에 찍었는가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해가 뜨기전인 이른 새벽은 색온도가 높기 때문에 푸른색이 나타나지만, 해가 뜨자마자 빛은 파란색조가 공기에 의해 여과되기 때문에 더욱 붉거나오렌지 색조를 띠게된다. 점차 태양이 하늘 높이 올라갈수도록 점차 정확한 색이 나타나며 정오무렵에는 거의 정확한 색이 나타난다.However, 5000 ° k is the ideal color temperature,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season, climatic conditions, and places. Also, the color that appears in the picture can change depending on what time of day it was taken. Early dawn, before sunrise, appears blue because of its high color temperature, but as soon as the sun rises, the light becomes more reddish or orange because the blue tone is filtered by the air. Gradually, the correct color appears gradually so that the sun rises higher in the sky, and by noon, the color is almost accurate.

코닥 100vs는 일반적인 상황하에서 사용되고 푸쉬용 슬라이드 필름은 날씨가 좋지않은 경우에 사용한다. 렌즈는 135m카메라를 이용하므로 작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줌 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Kodak 100vs is used under normal conditions and push slide films are used in bad weather. Since the lens uses a 135m camera, it is recommended to use a zoom lens to increase the work efficiency.

사용되는 줌 렌즈는 28 - 105mm의 줌렌즈가 가장 효과적이다. 대부분의 건물 사진의 역광하에서 촬영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역광하에서의 촬영은 1 1/2 stop이나 2stop정도를 오버(over)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하이라이트 부분이 완전히 오버되는 경우가 많이 있기 때문에 ISO 감도 조절시 1/2stop을 가감시키고 1/2stop을 노출보정을 해주며 측광방식을 스포트 방식을 취해 하이라이트 부분을 최대한 살리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The zoom lens used is the most effective zoom lens of 28-105mm. Shooting is done in the back light of most building photographs. In general, shooting under backlighting uses a method of over 1 1/2 stops or 2 stops. 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highlight part is often completely overwritten, 1/2 stop is added or decreased when adjusting the ISO sensitivity. You can use 2stop exposure compensation and spot metering to maximize the highlights.

또한 CPL 필터를 이용하여 건물의 반사광을 차단하므로써 건물의 윤곽을 보다 정확히 촬영할 수 있게 하였다.In addition, by using the CPL filter to block the reflected light of the building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capture the outline of the building.

위에서 서술한 사진촬영 방식에 의하여 촬영된 사진들을 선별한 후에 스캐너를 통하여 컴퓨터 상의 데이터로 만든다(s601, s602). 스캐너는 일반 평면 스캐너를 사용하여도 되나 색상과 이미지 크기를 고려하여 드럼스캐너를 이용하여 해상도 300dpi 이상으로 한다.The pictures taken by the above-described picture taking method are sorted into data on a computer through a scanner (s601 and s602). A scanner can be used as a general flat scanner, but the resolution should be 300 dpi or higher using a drum scanner in consideration of color and image size.

이와 같이 만들어진 건물 데이터는 수정이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불러들여진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은 여러가지 프로그램(포토샵, 페인트샵, 페인터 등)들이 있으나 포토샵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그 이유는 여러가지 필터와 레이어작업을 하기 쉽기 때문이다.The building data thus created is imported into a program that can be modified. There are many programs (Photoshop, Paintshop, Painter, etc.), but Photoshop is the most used program. This is because it is easy to work with various filters and layers.

다음으로 불러들인 건물 데이터는 필요한 건물의 외관을 가장 잘 살릴수 있도록 수정하며, 또한 수정 불가능한 건물들은 새로운 건물을 생성해야 한다(s603).Next, the imported building data is modified to best reflect the appearance of the required building, and non-modifiable buildings must create new buildings (s603).

(1) 수정 가능한 건물의 수정(1) modification of a modifiable building

최초 받아온 데이터에서 건물을 선택한다. 주로 나무, 전신주, 주위 건물 등 건물의 외관을 가리는 부분을 수정한다. 또한 건물에 붙어 있는 간판 및 현수막을 제거한다. 이렇게 수정된 건물들은 지도에 앉히기 위해서 다시 한번 수정한다. 건물의 외관을 가장 잘 살릴 수 있는 각도를 선택하여 건물을 수정한다.Select a building from the initial data received. Mainly modify the parts that cover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such as trees, telephone poles and surrounding buildings. It also removes signs and banners from the building. These modified buildings are modified once again to be placed on the map. Modify the building by choosing the angle that best reflects the appearance of the building.

(2) 수정 불가능한 건물의 생성(2) creation of non-modifiable buildings

먼저 건물의 형태를 숙지한 후 건물의 외관을 형성하고 있는 블럭, 대리석, 나무 등과 비슷하거나 같은 이미지를 이용하여 건물의 외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난 뒤 건물의 창과 출입문을 만든다. 건물의 외관이 완성되면 앞면과 옆면을 구분한다. 될수록 앞면은 빛을 받은 것처럼 밝게 표현하고 옆면은 약간은 어둡게 표현한다.First, familiarize yourself with the shape of the building, and then form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by using similar or identical images such as blocks, marble, and wood. Then make the windows and doors of the building. When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is complete, the front and side are distinguished. As soon as possible, the front side is expressed as bright as the light and the side is slightly darkened.

한편, 수정이 완료된 건물의 외관선을 path를 이용하여 따고 난뒤 다른 이름으로 저장한다(S604). 저장을 할 때는 두가지 방법-pds 방식과 eps방식-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after picking the exterior line of the modified building using the path and save it with a different name (S604). There are two ways to save files: pds and eps.

pds 방식으로 저장하는 이유는 레이어(layer)와 패스(path)를 살릴 수 있도록 하여 나중에 다시 수정할 경우를 대비하기 위함이고, eps방식으로 저장하는 이유는 레이어를 합치고, 패스(path)만을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용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저장한 건물 데이터를 다른 폴더에 저장함으로써 수정전의 데이터와 수정후의 데이터를 구분한다.The reason for saving by pds method is to save the layer and path so that it can be modified later. The reason for saving by eps method is to combine layers and save only path. This is because the capacity can be reduced. By storing the saved building data in another folder, the data before revision is distinguished from the data after revision.

도 6b 는 지도 만들기 과정에 대한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6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low of a map making process.

지도 만들기는, 지도 밑판이 만들어진 후(s611), 수정된 건물을 불러와(s612), 크기와 외곡 등에 대한 건물 재수정을 하여 삽입하고(s613), 지명 및 악세사리를 삽입한 후(s614), 건물 간판을 삽입한다(s615).After the map base plate is made (s611), the modified building is called up (s612), and the building is re-edited for the size and the outwards (s613), and the place name and accessories are inserted (s614). Insert a sign (s615).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지도 만들기가 이루어지는데,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map is made through the above process,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처음으로 지도 밑판 즉, 배경을 만들어 주는데, 이는 지도를 만들기 위하여 도로, 구역등을 만들어 주는 과정(s611)이다. 지도를 만들 범위와 방향을 결정하여 실제 정밀 지도상에서 배경이 되는 부분을 만든다. 정밀 지도를 배경으로 만들때는 먼저 지도를 스캔을 받아 포토샵으로 불러들여 구역을 패스(path)로 설정하여 저장한다.For the first time, a map base plate, that is, a background is created, which is a process of creating roads, zones, etc. to make a map (s611). Determine the range and direction to create the map to create the background part of the actual precision map. When you create a precision map as a background, you first scan the map, load it into Photoshop, and save the area as a path.

지도의 크기는 미리 결정하여 새로운 도큐먼트를 제작한다. 제작시 해상도는 높을 수록 출력물의 결과는 좋아지나 작업상의 150dpi로 설정한다. 새로 만들어진 도큐먼트에 저장하여 두었던 패스(path)를 불러와 지도의 크기에 맞도록 크기를 조정한다.The size of the map is determined in advance to create a new document. In production, the higher the resolution, the better the output, but set to 150dpi for work. Import the path you saved in the newly created document and resize it to fit the size of the map.

이렇게 조정된 패스(path)는 건물이 들어갈 자리를 표시하게 되며 그 구역을 밝은색으로 채워준다. 그리고 패스(path)가 지정해준 구역밖은 도로가 될 자리이므로 아스팔트와 비슷한 색으로 채워준다. 도로를 표시할 때 중앙선과 차선표시 및 횡단보도, 육교, 버스정류장, 지하도 및 지하철 입구 현위치 등을 표시하여 준다.This adjusted path marks where the building will go and fills the area with bright colors. The path will be a road outside the area designated by the path, so fill it with a color similar to asphalt. When marking roads, the center line, lane markings, pedestrian crossings, overpasses, bus stops, underpasses and the current location of subway entrances are indicated.

다음으로, 배경에 건물을 삽입하기로, 이는 수정된 건물을 지도상에서 재배치하는 과정(s612, s613)이다. 위에서 만들어진 배경을 불러들여 건물이 들어갈 위치 및 실제의 건물크기, 주변환경에 의하여 건물의 크기와 방향을 결정한다. 건물 배치시 중요한 것은 지도를 육안으로 보았을 때 너무 빽빽한 느낌을 주는것과 너무 비어있는 느낌이 안들도록 적당한 배치를 하는 것이다.Next, the building is inserted in the background, which is a process of relocating the modified building on the map (s612 and s613). The size of the building is determined by the location of the building, the actual building size,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important thing when arranging a building is to make it look too dense when the map is visible to the naked eye and to make sure it is not too empty.

건물의 크기는 주변에 있는 건물들의 크기와 실제의 크기 그리고 설정된 구역안에 몇개의 건물들이 들어가느냐에 따라 달라진다.The size of the building depends on the size of the surrounding buildings, their actual size, and how many buildings are in the area.

주변의 건물들이 클 경우 그 크기에 비슷한 비율로 만들어 주고 실제의 크기에 따라서 건물의 크기도 변한다. 또한 한 구역에 들어가는 건물의 수가 많아지면 건물의 크기는 줄어들게 된다.If the surrounding buildings are large, make them in a similar proportion to their size, and the size of the building changes according to the actual size. Also, the larger the number of buildings in a district, the smaller the size of the buildings.

건물의 크기를 조정한 뒤 배치시킬 때에는 지도의 위쪽부터 배치한다. 배치중에 겹치는 부분이 발생할 시 아래쪽 건물이 위쪽 건물에 가려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위쪽부터 배치한다.When resizing and placing a building, place it from the top of the map. If there is an overlap in the layout, place it from the top to prevent the lower building from being hidden by the upper building.

또한 옆으로 겹쳐지는 부분이 있을 경우 방향에 따라서 순서를 정하면 된다. 예를 들어 건물이 왼쪽을 향하고 있으면 오른쪽부터 배치하고 오른쪽을 향하고 있으면 왼쪽부터 배치한다. 물론 레이어로 작업을 하기 때문에 어느쪽부터 배치시키는 것은 상관이 없지만 작업이 반복되므로 일의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In addition, if there is a part overlapping side by side, the order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For example, if the building faces left, place it from the right. If it's facing right, place it from the left. Of course, since we are working with layers, it doesn't matter which way to place them from, but the work is repeated, which reduces work efficiency.

겹치는 부분은 가능한 없도록 하며 겹쳐지는 부분이 있으면 건물의 외관이 보이도록 노력한다. 주택가나 아파트 단지를 표현할 때는 실제의 형태를 고려해서 배치하나 좁은 구역에 너무 많은수의 건물들이 들어가야 하므로 그럴때는 일부분만을 사용한다.Try to avoid overlapping parts as much as possible. If there are overlapping parts, try to make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visible. When representing a residential area or apartment complex, the layou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the actual form, but since a large number of buildings need to be placed in a small area, only a part of it is used.

다시말하면 그 수량을 조정해서 너무 빽빽한 느낌을 없앤다. 특히 주택단지는 정해진 2~3개의 주택 또는 빌라형태의 건물들을 선별해 복사를 하여 넣어주면 된다.In other words, adjust the quantity to eliminate the feeling of being too dense. In particular, housing complexes can be selected by copying two or three houses or villa-type buildings.

위의 건물 배치시 건물들이 공중에 떠 있는 듯한 것을 막기 위해서는 이레이져를 사용하여 밑부분을 지워준다. 이때, 브러쉬 모양은 하드니스(Hardness)를 최대한 적게 준 것을 사용하여 딱딱한 느낌보다는 부드럽게 보이도록 한다. 이렇게 하므로서 건물 밑부분이 지면과 붙어있고 다른 부분들은 떨어져 있는 것처럼 보인다.In order to prevent the buildings from floating in the air, use the eraser to erase the bottom of the building. At this time, the brush shape is used to give the hardness (Hardness) as much as possible to look soft rather than hard feeling. In doing so, the bottom of the building is attached to the ground and the other parts appear to be separated.

다른 방식으로는 건물 아래부분쪽만 보도블럭 모양으로 채우면 된다. 건물의 배치가 완료되면 가로수나 조형물 등으로 조금더 사실적인 지도를 만든다.Alternatively, the bottom of the building can be filled with a sidewalk block. When the layout of the building is complete, make the map more realistic with street trees and sculptures.

이런 소품들을 이용시에는 너무 복잡하거나 난잡한 느낌이 들지 않도록 배치해야 한다. 만일 꼭 있어야 하는 것이면 그 수량으로 조정하여야 한다. 이과정까지 끝나면 각 지역망과 도로명등을 기입하여 준다.When using these props should be arranged so that they do not feel too complicated or cluttered. If it is necessary, it should be adjusted to that quantity. After this process, fill in each local network and road name.

마지막으로, 간판 배치이다. 이는 상기 과정에서 만들어진 지도에 각 건물에 간판을 넣어주는 과정(s615)이다. 간판의 크기는 원래 지정되어 있는 크기로 하되 약간의 오차는 허용한다.Finally, signage layout. This is a process of putting a signboard in each building on the map created in the process (s615). The size of the signboard shall be the size originally specified, but some errors are allowed.

간판을 만들때 주로 사용되는 프로그램은 어도브사의 일러스트레이터(illustrator)를 이용한다. 일러스트레이터(illustrator)는 벡터 방식을 이용하므로 작은 이미지라도 깨지지 않으므로 간판을 만드는데 적합하다.The main program used to create signboards uses Adobe's Illustrator. Illustrator uses vector method, so even small images are not broken, so it is suitable for making signboards.

지도에 간판을 배치시킬 때는 건물의 안쪽으로 넣고 만약 넣을 수 없는 상태이면 밖으로 배치한다. 밖으로 배치시 다른 건물을 가리는 것을 피해야 한다.When placing a sign on the map, place it inside the building and out if it cannot be placed. When placed outside, avoid covering other buildings.

이모든 과정으로 만들어진 지도는 EPS방식으로 저장을 한다. 지도 전체가 하나의 독립적인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서이며 색상과 용량을 고려하여서 EPS 방식을 택한다.All of these maps are saved in EPS. The entire map is intended to create an independent image, taking into account the color and capacity of the EPS method.

도 6c 는 광고판 만들기 과정에 대한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6c is a diagram showing the flow of the billboard making process.

광고판 만들기는, 일단 틀을 만들고(s621), 그 후에 지도, 광고 및 타이틀바 등을 앉히게 된다(s622).Creating a billboard, once created a frame (s621), and then seats the map, advertising and title bar (s622).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최초 작업하고자하는 사이즈와 해상도를 지정하여 도큐먼트를 생성한다(s621).A document is created by designating a size and a resolution to be initially worked on (s621).

사이즈는 실제 출력 사이즈보다 약 3cm의 여유를 두고 설정한다. 이 3cm는 프레임을 주기 위한 것으로 실제 보이는 부분은 아니다.Set the size with about 3cm margin than the actual output size. This 3cm is intended to give a frame, not what it actually looks like.

해상도는 높을수록 출력물의 결과는 좋아지나 작업상 150dpi로 설정한다.The higher the resolution, the better the output, but set to 150dpi for work.

새롭게 생성된 도큐먼트에 박스형 광고와 지도 그리고 타이틀바를 배치할 자리를 가이드(Guide)를 이용하여 표시를 해준다.Guides are used to mark the place to place boxed ads, maps, and title bars on newly created documents.

배치할 영역에 테두리를 만들어 들어가는 광고를 독립적인 광고로 보이도록 한다.Create a border around the area where you want to place the ad so that it appears as an independent ad.

도큐먼트에 각각의 광고와 지도 그리고 타이틀바를 불러와 배치를 한다(s622) .Each advertisement, map, and title bar are called and placed in the document (s622).

배치가 완료되면 PDS 확장자로 저장을 한다. 용량은 크지만 출력시 약간의 수정을 위해서 레이어(Layer)를 남겨두기 위한 것이다.When the deployment is complete, save it with a PDS extension. It's large, but it's meant to leave a layer for some modification on output.

상기한 도 6a 내지 도 6c 의 설명은 특정 사진기, 필름,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 등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에 따라 보다 나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초석이 된다. 따라서, 상기한 구체적인 명칭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여타의 사진기, 필름,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이 사용될 수 있다.6A through 6C describe specific cameras, films, image editing programs, and the like as examples, which are the cornerstones of providing better information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specific name, and other cameras, films, and image editing programs capable of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user may be use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정보 안내시스템에 대한 다른 실시예 구성도이다.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a location information guide system based on a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정보 안내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과 약간의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이 차이점은 도 1과 도 2를 통해 구체적으로 제시한 위치정보 안내시스템의 메인 서버를, 도 7 에서는 인터넷으로 연결된 웹서버, 파일서버, 데이터베이스(DB) 서버로 구분하여 표현하기 때문이다.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location information guide system based on a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slight difference from FIG. This difference is because the main server of the location information guide system presented in detail through FIGS. 1 and 2 is represented by being divided into a web server, a file server, and a database (DB) server connected to the Internet.

이 또한, 사용자가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웹서버로 접속하여 위치정보 안내를 받게 된다.In addition, the user is connected to a web server via the Internet using a client to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웹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접속을 받아 파일서버, 데이터베이스(DB) 서버와의 데이터 교환을 통해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처리하여, 지도를 제공하고, 광고, 안내 등의 부가정보도 제공하게 된다.The web server receives a client's connection, processes a request from the client through data exchange with a file server and a database server, provides a map, and provides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advertisement and guidance.

도 8a 내지 도 8b 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정보 안내시스템이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설명도이다.8A to 8B are detailed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process for providing information by the location information guid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에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지역 검색에 대해 설명한다.8A illustrates a local search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사용자는 자신이 이용하는 클라이언트를 통해 위치정보 안내시스템의 웹서버가 제공한 지역 검색 메뉴를 확인하고, 검색하고자 하는 지역명을 입력한다.The user checks the local search menu provided by the web server of the location information guide system through his client, and inputs the name of the region to search.

입력된 지역명은 조회 요청과 함께 웹서버에 전달된다.The entered local name is sent to the web server with the inquiry request.

웹서버에서는 데이터베이스(DB) 서버의 지역정보 테이블(Table)을 검색하여, 지역 이미지명을 클라이언트로 출력한다.The web server searches the local information table of the database server and outputs the local image name to the client.

클라이언트를 통해 검색된 지역 이미지명을 확인한 사용자는 특정한 지역을 선택하여 요청하게 되고, 웹서버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지역 이미지 조회 요청에 따라 파일 서버에서 해당 지역 이미지를 찾아 클라이언트로 전달한다.After checking the local image name searched through the client, the user selects a specific region and requests it. The web server searches for the region image in the file server and delivers the image to the client according to the region image search request input from the user.

클라이언트는 이를 모니터 등을 통해 출력하고, 사용자는 검색된 지역을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The client outputs it through a monitor and the like, and the user checks the searched area.

도 8b 에서는 사용자의 전화 검색에 대해 설명한다.In FIG. 8B, the user's telephone search will be described.

사용자는 자신이 이용하는 클라이언트를 통해 위치정보 안내시스템의 웹서버가 제공한 전화 검색 메뉴를 확인하고, 검색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한다.The user checks the telephone search menu provided by the web server of the location information guide system through his client and inputs the telephone number to search.

입력된 전화번호는 조회 요청과 함께 웹서버에 전달된다.The phone number entered is sent to the web server with the inquiry request.

웹서버에서는 데이터베이스(DB) 서버의 전화정보 테이블(Table)을 검색하여, 지역 이미지명을 클라이언트로 출력한다.The web server searches the telephone information table of the database server and outputs the local image name to the client.

클라이언트를 통해 검색된 지역 이미지명을 확인한 사용자는 특정한 지역을 선택하여 요청하게 되고, 웹서버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지역 이미지 조회 요청에 따라 파일 서버에서 해당 지역 이미지를 찾아 클라이언트로 전달한다.After checking the local image name searched through the client, the user selects a specific region and requests it. The web server searches for the region image in the file server and delivers the image to the client according to the region image search request input from the user.

클라이언트는 이를 모니터 등을 통해 출력하고, 사용자는 검색된 지역을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The client outputs it through a monitor and the like, and the user checks the searched area.

도 8c 에서는 사용자의 상호 검색에 대해 설명한다.In FIG. 8C, mutual search of a user will be described.

사용자는 자신이 이용하는 클라이언트를 통해 위치정보 안내시스템의 웹서버가 제공한 상호 검색 메뉴를 확인하고, 검색하고자 하는 상호명을 입력한다.The user checks the mutual search menu provided by the web server of the location information guide system through his client, and inputs a business name to search.

입력된 상호명은 조회 요청과 함께 웹서버에 전달된다.The entered business name is sent to the web server with the inquiry request.

웹서버에서는 데이터베이스(DB) 서버의 상호정보 테이블(Table)을 검색하여, 검색된 지역 이미지명을 클라이언트로 출력한다.The web server searches the mutual information table of the database server and outputs the searched local image name to the client.

클라이언트를 통해 검색된 지역 이미지명을 확인한 사용자는 특정한 지역을 선택하여 요청하게 되고, 웹서버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지역 이미지 조회 요청에 따라 파일 서버에서 해당 지역 이미지를 찾아 클라이언트로 전달한다.After checking the local image name searched through the client, the user selects a specific region and requests it. The web server searches for the region image in the file server and delivers the image to the client according to the region image search request input from the user.

클라이언트는 이를 모니터 등을 통해 출력하고, 사용자는 검색된 지역을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The client outputs it through a monitor and the like, and the user checks the searched area.

도 8d 에서는 사용자의 건물 검색에 대해 설명한다.In FIG. 8D, the user's building search will be described.

사용자는 자신이 이용하는 클라이언트를 통해 위치정보 안내시스템의 웹서버가 제공한 건물 검색 메뉴를 확인하고, 검색하고자 하는 건물명을 입력한다.The user checks the building search menu provided by the web server of the location information guide system through his client and inputs the building name to search.

입력된 건물명은 조회 요청과 함께 웹서버에 전달된다.The entered building name is sent to the web server along with the inquiry request.

웹서버에서는 데이터베이스(DB) 서버의 건물정보 테이블(Table)을 검색하여, 검색된 건물정보를 클라이언트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한다.The web server searches the building information table of the database server and outputs the searched building information to the user through the client.

클라이언트를 통해 건물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가 건물관련이미지 조회를 요청하면 웹서버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건물관련이미지 조회 요청에 따라 파일 서버에서 해당 건물관련이미지를 찾아 클라이언트로 전달한다.When the user who checks the building information through the client requests building related image inquiry, the web server finds the relevant building related image from the file server and delivers it to the client according to the building related image inquiry request input from the user.

클라이언트는 이를 모니터 등을 통해 출력하고, 사용자는 검색된 건물을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The client outputs it through a monitor and the like, and the user checks the found building.

도 8e 에서는 사용자의 광고문안 조회에 대해 설명한다.In FIG. 8E, a user's advertisement text inquiry is described.

사용자는 자신이 이용하는 클라이언트를 통해 위치정보 안내시스템의 웹서버가 제공한 광고 메뉴를 확인하거나 지도이미지의 광고를 선택한다. 조회하고자 하는 광고에 대해 사용자는 광고명을 입력하거나 간단하게 표현된 광고 배너를 클릭하는 것이다.The user checks the advertisement menu provided by the web server of the location information guidance system or selects the advertisement of the map image through the client used by the user. For the advertisement to be queried, the user enters an advertisement name or simply clicks on the displayed advertisement banner.

이렇게 선택된 광고는 광고명이 조회 요청 정보와 함께 웹서버에 전달되며, 웹서버에서는 데이터베이스(DB) 서버의 광고정보 테이블(Table)을 검색하여, 검색된 광고정보를 클라이언트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한다.The selected advertisement is delivered to the web server together with the inquiry request information, and the web server retrieves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table of the database server and outputs the retrieved advertisement information to the user through the client.

클라이언트를 통해 광고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가 광고관련이미지 조회를 요청하면 웹서버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광고관련이미지 조회 요청에 따라 파일 서버에서 해당 광고관련이미지를 찾아 클라이언트로 전달한다.When the user who checks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through the client requests the advertisement related image inquiry, the web server finds the advertisement related image in the file server and delivers the advertisement related image to the client according to the advertisement related image inquiry request input from the user.

클라이언트는 이를 모니터 등을 통해 출력하고, 사용자는 검색된 광고관련이미지를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The client outputs it through a monitor or the like, and the user checks the searched advertisement-related image.

사용자가 클라이언트를 통해 해당 광고 또는 광고관련이미지에서 제시된 관련홈페이지로의 이동을 요청하면, 이는 클라이언트가 자체적으로 인터넷을 통해 해당하는 관련 홈페이지로 이동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클라이언트가 웹서버로 사용자의 관련홈페이지로의 이동 요청을 전달하여 웹서버가 해당하는 관련홈페이지로의 이동을 중재하게 된다.When the user requests to go to the relevant homepage presented in the advertisement or advertisement-related image through the client, the client can go to the relevant homepage through the internet and provide the information to the user, or the client can access the web server. The web server arbitrates the move to the relevant home page by forwarding the move request to the related home page.

도 8f 에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지역지도 프린트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In FIG. 8F, a process of printing a local map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will be described.

사용자는 상기한 여러 과정을 통해 검색된 지역을 모니터 등을 통해 확인하게 되는데, 사용자는 자신의 필요에 따라 검색된 지역의 프린트를 요청하게 된다.The user checks the searched area through a monitor or the like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and the user requests a print of the searched area according to his / her needs.

사용자로부터 검색된 지역의 프린트를 요청받은 클라이언트는 이를 웹서버로 전달하고, 웹서버는 파일 서버에서 프린트용이미지를 조회하여, 검색된 지역 이미지명을 바탕으로 클라이언트를 통해 사용자에게 프린트용 지역 지도를 출력한다.The client, who is requested to print the searched area from the user, sends it to the web server, and the web server retrieves the print image from the file server and outputs the print area map to the user through the client based on the searched area image name. .

프린트용 지역 지도를 확인한 사용자는 해당 지역 지도에 대한 프린트를 요청하고, 이에 따라 프린터에서는 사용자에게 요청한 지역 지도를 출력하게 된다.After checking the printable area map, the user requests to print the corresponding area map, and accordingly, the printer outputs the requested area map to the user.

도 8a 내지 도 8f 를 통해서는 구체적인 사용자의 위치정보 확인 및 프린트 과정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하나의 예로써 전화번호 검색, 건물명 검색, 지역명 검색 및 상호명 검색 외에도 이와 유사한 다른 방식으로의 검색도 가능하다.8A through 8F illustrate a specific user's location information checking and printing process. This is an example of a phone number search, a building name search, a local name search, and a business name search.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정보 안내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소정의 장소를 찾아가지 않고도 그 위치에 현재 존재하는 건물 및 거리의 상황을 직접가서 보는 것과 동일한 조건으로 웹페이지 상에서 조회할 수 있으며, 상술한 거리에 위치하는 건물 또는 그 밖에 여러 가지에 대한 부가정보 또한 조회할 수 있어 직접 방문하기 이전에 많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는 효과가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guide system based on the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directly look at the situation of the buildings and streets currently existing at the location on the web page without visiting a predetermined place. Inquiries can be inquired, and additional information on the buildings or the like located on the streets can be inquired, so that a lot of information can be collected before the visit.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in,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And can be changed.

Claims (14)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사용자가 소정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입력하는 위치검색정보에 따라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지도정보를 제공하는 메인 서버 컴퓨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A system comprising a main server computer for providing map information through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location search information input by a user of a client computer to identify a predetermined location. 상기 메인 서버 컴퓨터는,The main server computer,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화면상에 출력된 지도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소정 지점이 선택된 경우 그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지도에 대한 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전송하여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하는 한편, 클라이언트 컴퓨터(100)로부터 출력되는 위치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위치정보와 자체에 가지고 있는 화면출력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한 지점에 해당되는 부가 정보를 읽어들이고, 읽어들인 부가정보를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전송하여 화면상으로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정보 안내시스템.When a predetermined point is selected by the user on the map output on the screen of the client computer, information about the map centered on the location is transmitted to the client computer to be output on the screen, and from the client computer 100 Input the output location information, read the addit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int selected by the user by using the inpu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creen output information it has, and transmits the read additional information to the client computer on the screen Location information guide system based on the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컴퓨터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rver computer,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가정보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부;A database unit having at least one additional information;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로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를 업그레이드시키며,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위치검색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운영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이터 입력부;A data input unit which upgrades the database unit with data input by a system administrator and provides an operating program for outputting data stored in the database unit according to location search information input from a user of a client computer;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 전송되는 위치검색정보를 입력받으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지도데이터와 그에 따른 부가정보를 출력하는 통신제어부; 및A communication control unit which receives the location search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lient computer, and outputs map data input from outside and corresponding additional information; And 상기 통신제어부를 통해 입력되는 위치검색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화면상의 위치정보 및 화면출력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가 알고자 하는 건물의 부가정보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로부터 읽어들여 상기 통신제어부를 통해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전송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정보 안내시스템.Extract location information and screen output information on the screen selected by the user by using the position search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and read addition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that the user wants to know from the database unit to obtain a client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Position information guide system based on the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o a comput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is 건물의 이름 및 각 층별로 분류된 건물 내에 존재하는 사무실이나, 상가의 이름에 대한 정보이며, 상기 정보에서 소정의 사무실이나, 상가를 선택하는 경우 그에 해당되는 전화번호, 업종, 규모에 대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정보 안내시스템.Information on the name of a building and the name of an office or a shopping mall in each building categorized by each floor, and information on a corresponding phone number, business type, and size when a predetermined office or shopping mall is selected from th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guidance system based on the network.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 컴퓨터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ain server computer, 상기 클라이언트의 컴퓨터의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지도상의 건물에 간판과 같이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정보 안내시스템.And a network-based location information guide system comprising information provided as a signboard in a building on a map output through a screen of the client comput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 컴퓨터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ain server computer, 상기 클라이언트의 컴퓨터의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지도에 정보 제공 및 식별이 용이하도록 가로/세로 블럭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정보 안내시스템.And a horizontal / vertical block to display information on a map output through a screen of a computer of the client so as to easily provide and identify informa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서버 컴퓨터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ain server computer,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화면에서 상기 지도를 표시하지 않은 여백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배너광고와 같은 형태로 광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정보 안내시스템.And a network-based location information guide system, wherein the advertisement is provided to the user in the form of a banner advertisement through a blank space where the map is not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lient computer. (1)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읽어들여 건물데이터들을 추출하는 과정;(1) extracting the building data by reading the photographed image data; (2) 상기 추출된 건물데이터들을 소정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그 위치를 설정하고, 설정된 위치에 건물데이터들을 배치하여 하나의 지도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및(2) setting the extracted building data based on a predetermined location and generating one map information by arranging the building data at the set location; And (3) 상기 생성된 지도정보에 화면출력정보, 건물데이터의 위치정보, 그 건물에 대한 부가정보를 대응시켜 저장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베이스 구축방법.And (3) mapping the generated map information to screen output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uilding data, and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building.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건물의 이름 및 각 층별로 분류된 건물 내에 존재하는 사무실이나, 상가의 이름에 대한 정보이며, 상기 정보에서 소정의 사무실이나, 상가를 선택하는 경우그에 해당되는 전화번호, 업종, 규모에 대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베이스 구축방법.Information about the name of a building and the name of an office or a shopping mall in each building classified by each floor, and information on a telephone number, business type, and siz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office or shopping mall in the above information. Characteristic database construction method.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정보는,The method of claim 7 or 8, wherein the map information, 지도상의 건물에 있어 상기 건물을 나타내는 간판과 같은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베이스 구축방법.A database building method compris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a signboard representing the building in a building on a map. (A) 웹브라우저 실행에 따른 클라이언트 컴퓨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통신접속을 처리하는 과정;(A) process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a client computer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web browser; (B) 통신접속을 통해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초기 메뉴화면을 출력시켜 화면상에 디스플레이시키는 과정;(B) outputting an initial menu screen to a client computer through a communication connection and displaying the same on a screen; (C) 초기 메뉴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소정의 위치를 지정하는 정보를 입력하고 검색버튼을 선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과정;(C) determining whether a user inputs information for designating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selects a search button through an initial menu screen; (D) 검색버튼을 선택한 경우 선택된 위치를 중심으로 생성된 지도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부로부터 읽어들여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전송하여 화면상에 검색어에 해당하는 지도를 디스플레이시키는 과정;(D) when the search button is selected, reading the map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selected location from the database unit and transmitting the map information to the client computer to display a map corresponding to the search word on the screen; (E) 사용자로부터 지도 상에서 소정의 입력수단을 통해 일정 지점을 선택받은 경우,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선택된 지점의 위치정보를 전송받는 과정;(E) receiving a location information of a point selected by the input means when a certain point is selected by a user through a predetermined input means on a map; (F)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입력되는 위치정보 및 자체에서 가지고 있는 화면출력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베이스부를 검색하는 과정; 및(F) searching for a database unit using loca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client computer and screen outpu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lient computer; And (G) 위치정보 및 화면출력정보에 대응하여 저장된 부가정보를 읽어들여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전송하여 화면상에 출력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정보 안내방법.(G) A method for guiding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a network, comprising: reading out additional information stored in correspondence with location information and screen output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stored additional information to a client comput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는,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additional information, 건물의 이름 및 각 층별로 분류된 건물 내에 존재하는 사무실이나, 상가의 이름에 대한 정보이며, 상기 정보에서 소정의 사무실이나, 상가를 선택하는 경우 그에 해당되는 전화번호, 업종, 규모에 대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정보 안내방법.Information on the name of a building and the name of an office or a shopping mall in each building categorized by each floor, and information on a corresponding phone number, business type, and size when a predetermined office or shopping mall is selected from the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guidance method based on the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정보는,The method of claim 10 or 11, wherein the map information, 지도상의 건물에 있어 상기 건물을 나타내는 간판과 같은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정보 안내방법.A location information guide method based on a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a signboard representing the building in a building on a map.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정보는,The method of claim 10 or 11, wherein the map information, 정보 제공 및 식별이 용이하도록 가로/세로 블럭을 표시하여 나타낸 지도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정보 안내방법.Location information guidance method based on the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map information displayed by displaying the horizontal / vertical block for easy information provision and identification.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or 11, (H)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화면에서 상기 지도를 표시하지 않은 여백을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배너광고와 같은 형태로 광고를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정보 안내시스템.(H) a network-based location information guide system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an advertisement to the user in the form of a banner advertisement through the blank space that does not display the map on the screen of the client computer.
KR1020010003925A 2000-01-27 2001-01-27 A network-based guide system for locative information and a method thereof KR2001007812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3925A KR20010078123A (en) 2000-01-27 2001-01-27 A network-based guide system for locative information and a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3962 2000-01-27
KR20000003962 2000-01-27
KR1020010003925A KR20010078123A (en) 2000-01-27 2001-01-27 A network-based guide system for locative information and a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8123A true KR20010078123A (en) 2001-08-20

Family

ID=26636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3925A KR20010078123A (en) 2000-01-27 2001-01-27 A network-based guide system for locative information and a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78123A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94071A1 (en) * 2002-05-06 2003-11-13 Seung-Chul Lee Map information system using identification cod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ystem
KR100506618B1 (en) * 2004-09-17 2005-08-08 이승철 A method for searching map information by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and viewing a moving state of map image
KR100739495B1 (en) * 2006-01-16 2007-07-13 엔에이치엔(주)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state service and record media therefor
WO2008067018A1 (en) * 2006-11-28 2008-06-05 Yahoo! Inc. Aggregation syndication platform
WO2009015012A2 (en) * 2007-07-24 2009-01-29 Yahoo! Inc. Map-based interfaces for storing and locating information about geographical areas
WO2009116781A2 (en) * 2008-03-20 2009-09-24 Kim Dal Soo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vertisements in on-screen photographs of the ground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94071A1 (en) * 2002-05-06 2003-11-13 Seung-Chul Lee Map information system using identification cod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ystem
KR100560735B1 (en) * 2002-05-06 2006-03-14 이승철 A method for searching a map information with identification code
KR100506618B1 (en) * 2004-09-17 2005-08-08 이승철 A method for searching map information by using an identification code and viewing a moving state of map image
KR100739495B1 (en) * 2006-01-16 2007-07-13 엔에이치엔(주)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state service and record media therefor
WO2008067018A1 (en) * 2006-11-28 2008-06-05 Yahoo! Inc. Aggregation syndication platform
WO2009015012A2 (en) * 2007-07-24 2009-01-29 Yahoo! Inc. Map-based interfaces for storing and locating information about geographical areas
WO2009015012A3 (en) * 2007-07-24 2009-03-12 Yahoo Inc Map-based interfaces for storing and locating information about geographical areas
WO2009116781A2 (en) * 2008-03-20 2009-09-24 Kim Dal Soo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vertisements in on-screen photographs of the ground
WO2009116781A3 (en) * 2008-03-20 2010-01-14 Kim Dal Soo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vertisements in on-screen photographs of the grou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5404B2 (e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route-related information
CN101014831B (en) A digital mapping system
US200402209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based real estate service
US7342722B2 (en) Method of producing maps and other objects configured for presentation of spatially-related layers of data
US20070210937A1 (en) Dynamic rendering of map information
US20080095448A1 (en) Search System and Search Method
CN100499742C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03398719A (en) Digital mapping system
US201301322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icing
KR20010068092A (en) Updating method for star sticker automatic selling machine and the star sticker automatic selling machine
KR20010078123A (en) A network-based guide system for locative information and a method thereof
KR101001101B1 (en) Spatial information search system and method
KR102308193B1 (en) Outdoor advertisement measuring equipment using OCR and operating system linked with it
CN101551812A (en) Distributed method for generating digital blocks
KR102230352B1 (en) Outdoor advertisement measuring device using AR and GPS
KR20030015765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anorama-typed images on the internet
JP2001338046A (en) Printing system and printing managing device
JP6720893B2 (en) Image forming device
KR20010078122A (en) A guide paper output apparatus for locative information having a information and a method thereof
Krase et al. Visual sociology of the vernacular urban landscape: An interview with Jerome Krase
KR102528808B1 (en) Outdoor advertisement measuring device employing multi lens
KR102639240B1 (en) Outdoor advertisement measuring device employing multi image
KR20140132028A (en) Objec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and information access system using smart phone
KR20060023684A (en) A advertising service system and the method using internet
JP2002183764A (en) Maintenance method of three-dimensional city database and server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