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6569A - 원자력 발전소의 피동이차응축 계통의 작동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원자력 발전소의 피동이차응축 계통의 작동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6569A
KR20010076569A KR1020000003775A KR20000003775A KR20010076569A KR 20010076569 A KR20010076569 A KR 20010076569A KR 1020000003775 A KR1020000003775 A KR 1020000003775A KR 20000003775 A KR20000003775 A KR 20000003775A KR 20010076569 A KR20010076569 A KR 20010076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team
steam supply
condenser
iso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3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3574B1 (ko
Inventor
이상원
백종훈
김병섭
조성제
Original Assignee
이종훈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훈,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이종훈
Priority to KR1020000003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3574B1/ko
Publication of KR20010076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6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3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35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Control Of Turb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기발생기의 주증기관으로부터 증기공급관을 분기시켜 증기공급관 격리밸브(41, 42)와 증기공급 작동밸브(44)를 거쳐 응축기(60)로 공급하고 그 응축기(60)의 응축수를 응축수 회수관을 통해 응축수 회수관 격리밸브(71, 72) 및 체크밸브(73)를 거쳐 주급수관으로 회수하여 보조급수 작동불능시 자연순환원리에 의해 증기발생기를 냉각시키도록 하는 피동이차응축계통에 있어서, 정상운전시 증기공급관 격리밸브(41, 42)와 증기 회수관 격리밸브(71, 72)를 폐쇄하고, 증기공급관 우회밸브(43)와 작동밸브(44) 및 응축기 비응축성 기체 배수밸브(46)를 개방시켜 응측기(60)를 가압상태로 유지하는 계통대기과정과; 보조급수계통의 보조급수 작동신호를 검지하여 미리 설정된 저유량 이하인 경우, 주증기 공급밸브(MSIV), 주급수밸브(MFIV), 보조급수펌프 터빈증기공급 밸브, 증기발생기 취출계통의 격리밸브, 시료채취계통의 격리밸브와, 상기 피동이차응축계통의 증기공급 우회밸브(43) 및 비응축성가스 배기밸브(46)를 폐쇄하고, 상기 증기공급 격리밸브(41, 42)와 증기회수관 격리밸브(71, 72)를 개방시켜 응축기를 통하는 자연순환유로를 형성하여 계통을 작동시키는 계통작동과정으로 피동이차응축계통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보조급수 작동 불능시 적절한 시기에 피동이차응축계통을 작동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자력 발전소의 피동이차응축 계통의 작동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ing of passive secondary condensing system in nuclear power plant}
본 발명은 가압 경수로형 원자력 발전소에 있어서 이차측의 급수가 모두 상실될 경우 피동이차응축계통이 적절한 시점에서 작동하도록 논리를 구성하고 배관 및 밸브를 설치하여 원자로를 안전한 상태로 감압할 수 있도록 한 원자력 발전소의 피동이차응축계통의 작동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소에서 증기발생계통의 이차측의 주급수가 상실될 경우 보조 급수를 이용하는 냉각을 수행한다. 원자력 발전소에 있어서, 안전설비 중의 하나인 보조급수계통은 어떠한 사고시 증기발생기에 냉각수를 공급하여 원자로 냉각시킴으로서 노심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주요수단을 제공한다.
CE 발전소 형태의 보조급수계통은 독립된 2개의 부속계통으로 전동기 구동펌프와 증기터빈에 의해 직접 구동되는 터빈 구동펌프로 구성된다. 각 부속계통은 해당 증기발생기에 급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되며, 보조 급수계통의 단일 고장과 동시에 발생될 수 있는 주급수 혹은 주증기관 파열사고시 증기발생기에 충분한 급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 되었다.
증기발생기에서 보조급수계통을 통해 공급된 물이 비등되어 발생된 증기는 주증기 대기 방출밸브를 통하여 대기로 방출됨으로서 원자로에서 발생된 열을 제거한다. 복수기가 이용가능한 경우에는 터빈 우회계통에 의하여 복수기로 증기를 방출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하여 냉각재 온도 및 압력이 각각 177℃, 28.8kg/cm2이하로 낮아지면 정지 냉각계통으로 냉각기능을 수행한다.
이런 보조급수계통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 작동되지 않거나 혹은 작동 중 멈추었을 때가 급수완전상실(Total Loss Of Feedwater, TLOFW)사고이다.
급수완전상실의 경우, 원자로냉각재 계통내 압력이 열제거가 안돼 높아지면 1차계통의 압력이 올라가게 된다. 증가된 압력은 가압기안전밸브(PSV : Pressurizer Safty Valve)의 설정압력 초과시 밸브가 개방되어 과압방지 기능을 수행한다. 이후 압력이 설정압력치 이하로 떨어지면 밸브는 닫히게 되고, 이런식으로 밸브가 계속해서 열리고 닫힘을 반복하다가 어느 순간 운전원이 수동으로 안전감압밸브(SDS)를 열어줌으로서 원자로냉각재 계통내 압력을 수동으로 감압시켜 고압 안전 주입펌프가 기동되어 붕산수를 냉각재 계통에 주입, 원자로냉각재 재고량을 복구시키는 안전주입을 가능하게 만든다. 즉, 안전감압계통 (Safety Depressurization System, SDS)과 안전주입계통 (Safety Injection System, SIS)을이용한 주입방출운전 (Feed and Bleed Operation)을 함으로서 냉각재 온도 및 압력이 각각 177℃, 28.8kg/cm2이하로 낮아지면 정지 냉각계통으로 냉각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기존 CE형 원전(영광 3,4, 울진 3,4)은 급수완전상실사고 경우 주입방출운전(Feed & Bleed)을 통해 노심의 열을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급수완전상실시 안전감압계통 (Safety Depressurization System, SDS)과 안전주입계통 (Safety Injection System, SIS)을 이용한 주입방출운전 (Feed and Bleed Operation)대한 기기들의 작동 불확실성과 운전원에게 심적 부담을 주고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차세대 원자로에서 상기한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하기 위하여, 정상운전 및 사고시 급수펌프를 포함한 주급수 계통이 이용 불능일 경우, 증기 발생기 냉각에 동력을 요구하지 않는 자연순환 원리를 이용하여 증기발생기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 원자력 발전소의 피동이차응축 계통을 제안하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피동이차응축 계통의 작동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원자력 발전소의 이차측의 급수가 모두 상실될 경우 피동이차응축이 적절한 시점에서 작동하도록 논리를 구성하고 배관 및 밸브를 설치하여 원자로를 안전한 상태로 감압시킬 수 있도록 한 피동이차응축계통의 작동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피동이차응축계통의 기능들은 운전원의 조작이나 외부 교류전원 (AC Power)의 공급 없이 완전한 피동작동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즉,피동이차응축계통은 원자로 과도사고시나 소형 냉각재 상실 사고(Small Break LOCA ; SBLOCA)시 보조급수계통 (Auxiliary Feedwater System, AFWS)이 상실되어 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때, 노심에서 발생되는 붕괴열과 원자로 냉각재계통 냉각에 필요한 열을 이차계통을 통해 제거함으로써 안전주입에 의한 주입방출운전 없이 노심 손상을 방지하므로서 외부로의 방사선 누출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피동이차응축계통 운전의 작동원리는 수직관 내부의 막응축현상(film-wise condensation process)에 의존한다. 계통 기동 후, 증기는 차가운 튜브 내벽 표면에서 응축된다. 튜브가 물 속에 잠긴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표면 온도는 포화온도보다 충분히 낮게 유지된다. 응축 과정에서 증기가 제거되어 국부 압력이 감소하며, 응축기가 증기를 함유한 가압 상태의 증기발생기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증기가 증기발생기에서 응축기로 흐른다. 한편 응축수는 중력으로 배수, 증기발생기로 회수되어 연속적이고 안정된 응축과정이 형성되며, 피동이차응축계통 연속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피동이차응축계통의 배치설계와 연계하여, 응축수의 수위는 자연순환을 수행하기에 충분하도록 설계된다.
피동이차측응축 계통은 보조급수계통의 전 기능을 수용하여 인허가상의 관점에서 보조급수계통을 완전 대체하는 안전등급 피동이차응축계통보다는 보조급수계통을 보완하는 비안전등급으로 계열당 피동이차응축계통 탱크 한 대, 응축기 한 대, 기타 밸브 및 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계통이 대기하는 동안 증기공급관 격리밸브를 닫고 소형 우회밸브를 개방한다. 즉, 계통 대기 상태에서 증기공급관 격리밸브를 열므로 PSCS 기동시에 스팀헤머를 방지하지 위해 약 3/4 인치 크기의 증기공급관 우회관이 추가된다. 또한 PSCS 탱크 내부에 응축수가 잠긴 부분에서 예상되는 파단에 의해 발생하는 부하가 현저하게 감소될 것이다. 따라서 증기공급관 격리밸브 유출부의 배관 파단으로 인한 인허가 문제를 감소시킬 것이다. 또한 증기공급관에는 자동 배수 기능이 갖추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피동이차응축계통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피동이차응축계통의 작동장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피동이차응축계통의 계통대기상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피동이차응축계통의 계통작동상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원자로 20 : 증기발생기
21 : 주증기관 22 : 주증기 격리밸브
23 : 주급수관 24 : 주급수 격리밸브
25 : 보조급수 터빈 증기 공급밸브
26 : 취출계통의 격납건물 격리밸브
27 : 시료채취계통의 격납건물 격리밸브
30 : 격납건물 외벽 40 : 증기공급관
41, 42 : 격리밸브 43 : 우회밸브
44 : 작동밸브 45 : 배기밸브
46 : 비응축수배기밸브 50 : 피동이차응축계통(PSCS) 탱크
60 : 응축기(열교환기) 70 : 응축수 회수관
71, 72 : 회수관 격리밸브 73 : 체크 밸브
80 : 비응축수 회수밸브 101 : 보조급수제어계통
110 : 피동이차응축제어계통 111 : 보조급수작동신호검출부
112 : 지연시간제어부 113 : 계통 대기/작동상태 제어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피동이차응축계통의 구성도이다.
원자로(10)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발생기(20)로부터 격납건물 외벽(30)을 통과하여 터빈측으로 증기를 보내는 주증기관(21)로부터 분기시켜 피동이차응축계통 작동시에 응축기측으로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공급관(40)과, 그 증기공급관(40)을 통해 공급받은 증기를 응축시키는 응축기(60)와, 그 응축기(60)를 냉각수 내에 침적시켜 응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피동이차응축 탱크(50)와, 응축기(60)로부터 응축된 물을 회수하여 주급수관(23)을 통해 증기발생기로 보내주는 역할을 하는 응축수 회수관(70)으로 구성된다.
격납건물 외벽(30)과 주증기 격리밸브(22) 사이 부분의 주증기관(21)의 한 라인에서 분기시킨 증기공급관(40)을 통하여 응축기(60)로 증기를 공급받는데, 계통 운전동 증기공급관 파단시 피동이차계통과의 격리를 위한 증기공급관작동밸브(44)와 증기공급관 격리밸브 유출부의 파단으로 인한 증기발생기 재고량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중 설계된 증기공급관 격리밸브(41)(42)가 설치되며, 그 증기공급관 격리밸브(41)(42)와 병렬로 연결되어 피동이차응축계통의 대기상태에서 응축기를 예열 및 가압하기 위한 증기공급관 우회밸브(43)가 설치있다.
또한 증기공급관 격리밸브(41)(42)와 증기공급관 작동밸브(44) 사이의 증기공급관(40)에서 배수관을 분기시켜 열손실에 의해서 증기공급관(40)에 형성되는 응축수를 제거하기 위하여 루프 밀봉을 갖춘 배수밸브(45)와, 응축기(60)의 상단에서 두 개의 응축모듈로 분배되는 증기 분배기로부터 주증기관(21)으로 비응축성기체를 방출하기 위한 배기관이 있으며 이 배기관에 비응축성기체 배기밸브(46)가 포함되어 대기상태에서 열려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60)의 비응축성 기체를 배기시켜 피동이차응축탱크(50)로 회수시키기 위한 4개의 비응축기채 회수밸브(80)가 설치된다.
또한, 응축수회수관에는 계통 대기중 오작동이나 계통 운전 중에 MSSV/MSADV(25)가 열림으로 인하여 피동이차응축계통 유동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응축수 회수관(70)에 체크 밸브(73)를 설치하였으며 특히 격리밸브의 수를 줄이기 위하여 격리기능을 함께 제공하는 스톱체크밸브를 채택하여 설치되었다. 또한 피동이차응축계통의 작동시 자동으로 열려 계통을 작동시키며, 체크밸브의 파단시 피동이차계통과의 격리를 위한 다중 설계된 응축수회수관 격리밸브(71)(72)가 설치된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25는 주증기관(21)으로부터 분기되어 주증기계통의 보조급수 터빈 증기 공급밸브(AFW pump turbine stem supply vavle)이고, 26는 증기발생기 취출 계통(S/G blowdown system)과 격납건물의 격리밸브이며, 27은 시료채취계통(process sampling system)과 격납건물의 격리밸브이다. 이는 피동이차응축계통은 아니지만 피동이차응축계통의 작동을 제어할때에 함께 제어해야 한다.
상기한 피동이차응축계통은, 증기공급관(40) 및 응축수 회수관(70)의 각 격리밸브, 증기공급 작동밸브, 우회밸브, 증기공급관(40) 배수관 배수밸브, 비응축성기체 배기 밸브들은 Class 1E DC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는 원자력발전소의 메인전원이나 보조전원이 상실되어도 밧데리(DC전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정상전원에 의해 충전상태를 유지하는 밧데리 전원을 비상전원으로 구비하여 각 직류구동밸브들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피동이차응축계통은, 정상운전시에는 상기 피동이차응축계통은 계통대기상태로 운전되며, 사고발생시 피동이차응축계통을 작동시키는 계통작동상태로 운전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피동이차응축계통의 작동제어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피동이차응축계통의 작동은 보조급수 제어계통(101)의 작동신호에 의해 동작되며, 그 보조급수 제어계통(101)로부터 보조급수 계통 작동신호를 검출부(111)에서 보조급수 계통작동신호를 검출하고, 피동이차응축계통 작동제어부(113)가 보조급수 작동신호 검출후 비상 디젤발전기의 기동시간을 지연시간 체크제어부(112)를 통해 시간지연을 한후 피동이차응축계통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피동이차응축 작동제어부(113)는 계통대기상태 제어부(113a)와 계통작동상태 제어부(113b)로 구분하여 피동이차응축계통을 제어하는데, 피동이차응축계통의 각밸브 및 응축기(102)와, 주증기관 격리밸브 등을 포함하는 피동이차응축계통 관련밸브들(103)을 계통대기상태와 계통 작동상태에 따라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안전등급계통으로 원자로에 전용의 증기공급노즐을 가지는 SBWR의 격리응축기계통은 계통 대기상태에서 증기공급 작동밸브(44)가 개방되어 있다.
계통대기상태에서 증기공급 작동밸브(44)를 개방하는 설계의 경우, 작동밸브(44) 후단이 고에너지배관이 되므로, 비안전등급 피동이차측응축계통의 경우 작동밸브 후단 배관파손 가능성으로 인해 인허가상의 주요 현안이 될 가능성이 있고, 증기공급배관상의 응축수가 주증기 배관에 유입됨에 따른 주증기배관 및 터빈의 손상 가능성이 문제가 된다.
한편 계통대기상태에서 증기공급 작동밸브(44)를 격리하는 설계의 경우, 위의 문제점은 해결이 가능하나, 계통 기동을 위해 증기공급 작동밸브(44)를 개방할 때 임계 유동등 큰 열수력 하중 및 이에따른 지지 설계가 문제가 된다. 또한 계통대기상태에서 작동밸브(44) 전후단의 과도한 차압으로 인하여 밸브 누설 문제가 예상된다. 또한 증기공급 작동밸브(44)를 충분히 긴 시간동안 서서히 개방한 후, 응축수회수 격리밸브(71, 72)를 서서히 개방하여야 하므로 계통 기동시간이 연장되는 단점이 있다.
위의 두 방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증기공급 작동밸브(44)의 전단에증기공급 격리밸브(41, 42)를 두고 계통대기상태에서 폐쇄상태로 두며, 3/4 인치의 증기 공급밸브 우회밸브(43)를 추가하여, 계통대기상태에서 증기공급 격리밸브(41, 42)를 격리(폐쇄)하고, 증기공급밸브 우회밸브(43)를 개방하는 방안을 채택하였다. 이 방안은 격리밸브 후단의 배관파손 가능성으로 인한 인허가 문제를 감소시킬 것이며, 또 다른 한편 계통대기상태시 응축기가 가압상태로 유지되므로 계통기동시의 문제점도 피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안도 증기공급 배관상의 응축수가 문제가 되므로 증기공급 격리밸브(41, 42)의 후단에 배수설비를 갖추어 주증기관으로의 응축수 유입 및 계통 기동시의 물충격(water slug)을 방지하도록 한다.
<계통대기상태>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피동이차응축계통의 계통대기상태 제어흐름도이다.
증기공급관 격리밸브(41, 42)와 응축수 회수관 격리밸브(71, 72)가 폐쇄되고, 증기공급 작동밸브(44)와 증기공급 우회밸브(43)가 개방된다.
이에따라 증기공급 우회밸브(43) 및 증기공급 작동밸브(44)가 개방되어 응축기(60)의 튜브 측면을 가압시킨다. 계통 대기상태시 응축기(60) 상부의 증기분배장치(Steam Distributor)에 축적되는 비응축성 가스를 배기시키기 위해 주증기 격리밸브 후단과 연결되도록 배관을 구성하고 본 배관에 퍼지 밸브인 응축기 비응축성 기체배기밸브(46)를 설치하여 개방상태로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증기공급관 격리밸브(41, 42)의 후단에 설치된 증기공급관 비응축기체 배기밸브(45)를 일정한 시간마다 소정시간씩 주기적으로 개방/폐쇄를 제어하여 증기공급관내의 비응축성 기체를 배기시킨다.
이후, 보조급수 작동신호의 검출여부에 의해 계통작동상태로의 전환을 제어하게 된다.
<계통작동상태>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피동이차응축계통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피동이차응축계통은 보조급수계통이 이용불가능한 설계기준 초과 사건의 경우에 작동되도록 설계되는데, 이러한 작동시점에서 증기발생기 2차측 용수의 양이 피동이차응축계통의 성능수행에 충분하여야 한다.
계통작동방법은 자동작동을 원칙으로 하고 수동작동도 가능하도록 설계한다.
자동작동 방법으로 보조급수계통 작동수위 하부에 피동이차응축계통 작동수위를 두는 방법이 가능하나, 이방안의 경우 증기발생기 수위계측 오차가 큰 사건 유형 및 증기 발생기 수위가 급격히 감소하는 사건 유형에서 보조급수 작동신호와 피동이차응축계통 작동신호가 동시에 발생할 가능성이 안전해석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피하기 위하여, 보조급수 작동신호 후 비상디젤발전기 기동시간에 대한 시간지연을 두어 보조급수 두 계열이 모두 저유량인 경우 피동이차응축계통 두 계열이 모두 작동하는 방안이 채택되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급수계통의 작동신호를 검출하게 되면, 비상디젤발전기의 기동시간을 위한 소정시간을 대기하고, 보조급수계통이 미리정해둔 저유량인지를 판단한다. 보조급수 계통이 저유량으로 판별되면, 피동이차응축 계통과 연관된 주변 배관의 밸브들을 폐쇄한다. 즉, 주증기 격리밸브(MSIV, MSIVs)(22), 주급수 격리밸브(24), 주증기 계통의 보조급수펌프 터빈증기 공급밸브(25), 증기발생기 취출계통의 격납건물 격리밸브(26), 증기발생기 시료채취계통의 격납건물 격리밸브(27)을 폐쇄한다.
이어서, 피동이차응축계통의 증기공급관 격리밸브(41, 42), 작동밸브(44), 응축수 회수관 격리밸브(71, 72)를 개방하고, 증기공급 우회밸브(43), 응축기 비응축성 기체 배기밸브(46), 증기공급관 비응축성 기체 배기밸브(45)를 폐쇄하여 주증기관(21)과 응축기(60) 및 주급수관(23)으로 통하는 폐회로를 형성하여 자연순환유로를 확보한다.
계통이 작동되어 응축기(60) 내부의 기존의 응축수가 증기발생기로 회수되고, 증기와 물의 경계면이 응축기(60) 밑부분의 응축수 회수밸브군에 형성되어 정상적인 작동이 시작된다. 필요시 응축수 회수관 격리밸브(71, 72)의 개폐를 수동조작하여 냉각율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피동이차응축계통의 계통대기상태에서 증기공급 우회밸브와 증기공급 작동밸브를 개방시켜 응축기를 가압상태로 유지하고, 아울러 응축기 비응축성 기체 배기밸브를 개방시켜 응축기의비응축성 기체를 배기시키며, 또 증기공급관의 비응축성기체 배기밸브를 주기적으로 개방/폐쇄시켜 증기공급관의 비응축성 기체를 배기시키므로, 보조급수 작동불능시 적절한 시기에 피동이차응축계통을 작동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증기발생기의 주증기관으로부터 증기공급관을 분기시켜 증기공급관 격리밸브(41, 42)와 증기공급 작동밸브(44)를 거쳐 응축기(60)로 공급하고 그 응축기(60)의 응축수를 응축수 회수관을 통해 응축수 회수관 격리밸브(71, 72) 및 체크밸브(73)를 거쳐 주급수관으로 회수하여 보조급수 작동불능시 자연순환원리에 의해 증기발생기를 냉각시키도록 하는 피동이차응축계통에 있어서,
    정상운전시 증기공급관 격리밸브(41, 42)와 증기회수관 격리밸브(71, 72)를 폐쇄하고, 증기공급관 우회밸브(43)와 작동밸브(44) 및 응축기 비응축성 기체 배수밸브(46)를 개방시켜 응측기(60)를 가압상태로 유지하는 계통대기과정과;
    보조급수계통의 보조급수 작동신호를 검지하여 미리 설정된 저유량이하인 경우, 주증기 공급밸브(MSIV), 주급수밸브(MFIV), 보조급수펌프 터빈증기공급 밸브, 증기발생기 취출계통의 격리밸브, 시료채취계통의 격리밸브와, 상기 피동이차응축계통의 증기공급 우회밸브(43) 및 비응축성가스 배기밸브(46)를 폐쇄하고, 상기 증기공급 격리밸브(41, 42)와 증기회수관 격리밸브(71, 72)를 개방시켜 응축기를 통하는 자연순환유로를 형성하여 계통을 작동시키는 계통작동과정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동이차응축계통의 작동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통대기과정은,
    상기 증기공급 격리밸브(41, 42)와 상기 작동밸브(44) 사이에서 분기시킨 배기관에 증기공급관 비응축성 기체 배기밸브(45)를 설치하여 계통대기과정중에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개방/폐쇄를 반복하여 증기공급관의 비응축성 기체를 배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동이차응축계통의 작동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통작동과정은,
    상기 보조급수계통의 작동시작신호를 검출하고, 그 작동시작신호검출시 비상디젤발전기의 기동시간을 감안한 소정시간대기하고, 그 소정시간 대기후 보조급수계통의 수위가 피동이차응축계통의 작동을 위해 설정한 저유량인지를 체크하여 저유량으로 판별되면 피동이차응축계통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동이차응축계통의 작동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잇어서, 상기 계통작동과정은,
    상기 응축수 회수관 격리밸브를 수동제어에 의해 개폐시켜 냉각율을 조절하는 냉각율 조절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동이차응축계통의 작동제어방법.
KR1020000003775A 2000-01-26 2000-01-26 원자력 발전소의 피동이차응축 계통의 작동제어방법 KR100363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3775A KR100363574B1 (ko) 2000-01-26 2000-01-26 원자력 발전소의 피동이차응축 계통의 작동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3775A KR100363574B1 (ko) 2000-01-26 2000-01-26 원자력 발전소의 피동이차응축 계통의 작동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569A true KR20010076569A (ko) 2001-08-16
KR100363574B1 KR100363574B1 (ko) 2002-12-05

Family

ID=19641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3775A KR100363574B1 (ko) 2000-01-26 2000-01-26 원자력 발전소의 피동이차응축 계통의 작동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357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50158A (zh) * 2012-12-11 2013-04-17 中国核电工程有限公司 自动停运辅助给水泵的控制方法
KR101278906B1 (ko) * 2011-08-30 2013-06-2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응축수 혼합 저장탱크를 갖는 열충격 방지장치
WO2014058090A1 (ko) * 2012-10-12 2014-04-1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 피동보조급수계통의 충수 장치
CN109767852A (zh) * 2019-02-22 2019-05-17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反应堆紧急停堆的二回路安全系统及其工作方法
CN114440206A (zh) * 2022-02-10 2022-05-06 华能山东石岛湾核电有限公司 一种高温气冷堆蒸汽发生器反向承压防护系统
KR20220095914A (ko) * 2020-12-30 2022-07-0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증기발생기의 냉각재 계통 및 원자력 발전소의 중대 사고 시 증기발생기에 냉각재를 공급하는 방법
CN109767852B (zh) * 2019-02-22 2024-06-04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反应堆紧急停堆的二回路安全系统及其工作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001B1 (ko) * 2013-06-11 2015-01-05 한국원자력연구원 피동잔열제거계통의 배기설비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906B1 (ko) * 2011-08-30 2013-06-2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응축수 혼합 저장탱크를 갖는 열충격 방지장치
WO2014058090A1 (ko) * 2012-10-12 2014-04-1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 피동보조급수계통의 충수 장치
CN103050158A (zh) * 2012-12-11 2013-04-17 中国核电工程有限公司 自动停运辅助给水泵的控制方法
CN109767852A (zh) * 2019-02-22 2019-05-17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反应堆紧急停堆的二回路安全系统及其工作方法
CN109767852B (zh) * 2019-02-22 2024-06-04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反应堆紧急停堆的二回路安全系统及其工作方法
KR20220095914A (ko) * 2020-12-30 2022-07-0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증기발생기의 냉각재 계통 및 원자력 발전소의 중대 사고 시 증기발생기에 냉각재를 공급하는 방법
CN114440206A (zh) * 2022-02-10 2022-05-06 华能山东石岛湾核电有限公司 一种高温气冷堆蒸汽发生器反向承压防护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3574B1 (ko) 200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6571A (en) Containment heat removal system
US10529457B2 (en) Defense in depth safety paradigm for nuclear reactor
EP2839479B1 (en) System for decay heat removal in a nuclear reactor system comprising an auxiliary condenser and corresponding method
KR20140009835A (ko) 원자로의 피동안전계통
US11404178B2 (en) Reactor containment vessel vent system
KR20010076565A (ko) 원자력 발전소의 피동이차응축시스템
KR100363574B1 (ko) 원자력 발전소의 피동이차응축 계통의 작동제어방법
US5596613A (en) Pressure suppression containment system for boiling water reactor
US202002348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atmospheric release of radioactive materials caused by severe accident
KR101224024B1 (ko) 피동보조 급수계통 및 재장전 수조탱크를 이용한 경수로의 피동 격납용기 냉각계통
RU2706739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остановом водо-водяного ядерного реактора
JPH0498198A (ja) 原子力プラントの炉心冷却設備
CN108447570B (zh) 船用反应堆及其二次侧非能动余热排出系统
KR20060020756A (ko) 다양한 비상냉각설비를 갖춘 일체형 가압 경수로 및 그운전방법
CN111681794A (zh) 一种压水堆核电厂全范围sgtr事故处理方法及系统
CN111247602B (zh) 用于把核电厂紧急情况之后转入安全状态的方法和系统
KR102348091B1 (ko) 증기 발생기 사고 대처 시스템
JPH04109197A (ja) 加圧水型原子炉の炉心崩壊熱除去装置
JPH03246492A (ja) 非常用復水器系
CN213574264U (zh) 汽轮机发电系统
JP2011185741A (ja) 非常用炉心冷却系
Ebersole et al. An integrated safe shutdown heat removal system for light water reactors
JP6335660B2 (ja) タービン建屋の浸水防止装置
JP2016194419A (ja) 原子炉の安全システム
CN116759118A (zh) 一种非能动堆芯及安全壳综合冷却系统及冷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