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4489A - Fabric product fixing device - Google Patents

Fabric product fix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4489A
KR20010074489A KR1020007011582A KR20007011582A KR20010074489A KR 20010074489 A KR20010074489 A KR 20010074489A KR 1020007011582 A KR1020007011582 A KR 1020007011582A KR 20007011582 A KR20007011582 A KR 20007011582A KR 20010074489 A KR20010074489 A KR 20010074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opening
mounting portion
box body
plat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15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다카가키도시야
Original Assignee
하야시 다이잔
신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야시 다이잔, 신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하야시 다이잔
Publication of KR20010074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4489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6/00Transfer printing apparatus
    • B41F16/02Transfer printing apparatus for textile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1/00Treatment of selected parts of textile materials, e.g. partial dyeing
    • D06B11/0073Treatment of selected parts of textile materials, e.g. partial dyeing of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lo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승화형이나 용융형의 프린트 등을 사용하여 프린트되는 화상이 열전사되는 T셔츠 등의 직물제품을 고정하는 직물제품 고정장치(10)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xtile product fixing device (10) for fixing textile products, such as T-shirts, to which images to be printed are thermally transferred using, for example, a sublimation type or a melt type print.

직물제품 고정장치(10)는 상자 본체 부재(100), 전사대 부재(200), 스토퍼 부재(300)로 되어있다. 스토퍼 부재를 그 개구부(301)에 전사대 부재의 마운팅부(201)를 통하도록 배치한다. T셔츠(400)의 전사부분은 마운팅 위에 주름지지 않도록 펼쳐진 상태로 유지됨과 동시에 부재(100)의 상판부(102)의 개구부(105)로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된다.The textile product fixing device 10 includes a box body member 100, a transfer table member 200, and a stopper member 300. The stopper member is disposed in the opening 301 through the mounting portion 201 of the transfer table member. The transfer portion of the T-shirt 400 is kept unfolded so as not to wrinkle on the mounting and at the same time, the transfer portion of the T-shirt 400 is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opening 105 of the upper plate portion 102 of the member 100.

Description

직물제품 고정장치{FABRIC PRODUCT FIXING DEVICE}Textile product fixing device {FABRIC PRODUCT FIXING DEVICE}

종래에 있어서 예를 들면 승화형이나 용융형의 프린터 등을 사용하여 전사지(轉寫紙)상에 화상을 프린트하고, 이 화상을 T셔츠 등의 직물제품에 열전사(熱轉寫)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이 경우에 화상을 직물제품에 비뚤어지지 않게 전사하기 위하여 당해 직물제품의 전사부분이 전사대(轉寫臺) 위에서 주름지지 않도록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Conventionally, for example, it is proposed to print an image on a transfer paper using a sublimation type or a fusion type printer, and to thermally transfer the image onto a textile product such as a T-shirt. It is becoming.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keep the transfer portion of the textile product unfolded so as not to be wrinkled on the transfer table in order to transfer the image to the textile product without distortion.

전술한 종래의 방법에서 직물제품의 유지를 위하여 예를 들면 직물제품을 스프레이 풀(spray paste) 등을 사용하여 전사대 위에 부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열전사할 때에 직물제품의 스프레이 풀로 부착된 부분이 변색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method, a method of attaching a textile product on a transfer table using a spray paste or the like is known for maintaining the textile product. However, this method has a problem such as discoloration of the portion attached to the spray paste of the textile product during thermal transfer.

이 발명의 목적은 불량상태를 발생시키지 않고 직물제품의 전사부분이 주름지지 않도록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직물제품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xtile article fixing device capable of maintaining an unfolded state so that a transfer portion of a textile article does not wrinkle without generating a defective stat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승화(昇華:dye sublimation)형이나 용융(熔融:thermal wax)형의 프린터 등을 사용하여 프린트되는 화상(畵像)이 열전사(熱轉寫)되는 T셔츠 등의 직물제품(織物製品)을 고정하는 직물제품 고정장치(固定裝置)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for example, T-shirts, etc., in which an image printed using a sublimation die, thermal wax printer or the like is thermally transferr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xtile product holding device for fixing textile products.

도1은 실시형태로서의 직물제품 고정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textile article fixing device as an embodiment.

도2A는 도1의 a-a′단면도이다. 도2B는 도1의 b-b′단면도이다.FIG. 2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도3A는 상자 본체 부재의 평면전개도이다. 도3B는 전사대 부재의 평면전개도이다. 도3C는 스토퍼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3A is a planar development of the box body member. 3B is a planar development view of the transfer table member. 3C is a plan view of the stopper member.

도4는 T셔츠의 고정순서를 설명하는 도(1/7)이다.Fig. 4 is a view (1/7) illustrating the fixing procedure of the T-shirt.

도5는 T셔츠의 고정순서를 설명하는 도(2/7)이다.Fig. 5 is a view (2/7) illustrating the fixing procedure of the T-shirt.

도6은 T셔츠의 고정순서를 설명하는 도(3/7)이다.Fig. 6 is a view (3/7) illustrating the fixing procedure of the T-shirt.

도7은 T셔츠의 고정순서를 설명하는 도(4/7)이다.Fig. 7 is a view (4/7) illustrating the fixing procedure of the T-shirt.

도8은 T셔츠의 고정순서를 설명하는 도(5/7)이다.Fig. 8 is a view (5/7) illustrating the fixing procedure of the T-shirt.

도9는 T셔츠의 고정순서를 설명하는 도(6/7)이다.Fig. 9 is a view (6/7) illustrating the fixing procedure of the T-shirt.

도10은 T셔츠의 고정순서를 설명하는 도(7/7)이다.Fig. 10 is a view (7/7) illustrating the fixing procedure of the T-shirt.

도11은 도1에 나타내는 직물제품 고정장치를 사용하는 프린트 시스템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print system using the textile article holding device shown in Fig. 1;

도12는 프린트 시스템 내의 열전사처리에 관한 부분을 나타내는 도이다.Fig. 12 is a diagram showing a part related to thermal transfer processing in the print system.

도13A∼도13E는 열전사처리의 순서를 설명하는 도이다.13A to 13E illustrate the procedure of the thermal transfer process.

본 발명에 관한 직물제품 고정장치는 상자 본체 부재(箱子 本體 部材)와 전사대 부재(轉寫臺 部材)와 스토퍼 부재(stopper 部材)로 구성된 것이다. 전사대 부재는 소정 형상의 마운팅부(mounting部)와 이 마운팅부의 끝부분에서 하방(下方)으로 연속되어 형성되는 지지부(支持部)와 이 지지부의 하단에서 수평 바깥쪽 방향으로 연속되어 형성되는 접착부(接着部)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자 본체 부재는, 전사대 부재의 마운팅부와 대략 같은 크기의 제1개구부(第1開口部)를 구비하는 밑판부와 이 밑판부의 끝부분에서 상방(上方)으로 뻗혀있는 측판부(側板部)와 이 측판부의 상단위치에 끝부분이 위치함과 동시에 전사대 부재의 마운팅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상기 소정 형상의 제2개구부를 구비하는 상판부(上板部)와 그 제2개구부의 끝부분에서 하방으로 연속되어 형성되는 스토퍼 유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스토퍼 부재는 평판(平板) 형상의 부재로서 전사대 부재의 마운팅부를 관통시키기 위하여 상기 소정 형상의 제3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다. 전사대 부재는 그 접착부가 상자 본체 부재의 밑판부의 제1개구부 둘레에 접착됨으로써 마운팅부가 상판부측에 위치한 상태로 밑판부에 고정된다.The textile product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box body member, a transfer table member, and a stopper member. The transfer member has a mounting part of a predetermined shape, a support part continuously formed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mounting part, and an adhesive part continuously formed in the horizontal outward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art ( The body is equipped. In addition, the box main body member has a bottom plate portion having a first opening portion of approximately the same size as the mounting portion of the transfer table member, and a side plate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end of the bottom plate portion. And an upper end portion having a second opening portion of the predetermined shape for exposing the mounting portion of the transfer table member while the end portion is positioned at the upper end position of the side plate portion, and continuous downward from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opening portion. And a stopper holding portion formed. In addition, the stopper member is a flat plate-shaped member and includes a third opening of the predetermined shape so as to pass the mounting portion of the transfer table member. The transfer table member is fixed to the bottom plate portion with the mounting portion attach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opening of the bottom plate portion of the box body member, with the mounting portion located on the top plate portion side.

그리고 전사대 부재의 마운팅부에 전사부분이 위치하도록 놓여지는 직물제품은 마운팅부가 제3개구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상자 본체 부재의 스토퍼 유지부에 의하여 그 위치가 유지되는 스토퍼 부재에 의하여 고정된다. 또 직물제품의 전사부분이 상자 본체 부재의 상판부의 제2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됨과 동시에 전사대 부재의 마운팅부의 밑면이 상자 본체 부재의 밑판부의 제1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And the textile product placed so that the transfer portion is located i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transfer table member is fixed by the stopper member which is disposed so that the mounting portion penetrates through the third opening and is held by the stopper holding portion of the box body member. Further, the transfer portion of the textile product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opening of the upper plate portion of the box body membe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transfer table member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opening of the bottom plate portion of the box body member.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사대 부재의 마운팅부에 전사부분이 위치하도록 놓여진 직물제품이 전술한 바와 같이 스토퍼 부재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마운팅부 위의 직물제품의 전사부분이 주름지지 않도록 펼쳐진 상태로 유지된다. 종래의 방법과 같이 스프레이 풀을 사용하여 접착하는 방법이 아니므로 직물제품이 변색되는 등의 염려가 없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xtile product placed so that the transfer portion is located o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transfer table member is fixed by the stopper member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transfer portion of the textile product on the mounting portion is unfolded so as not to wrinkle. Since it is not a method of adhering using a spray paste like the conventional method, there is no fear of discoloration of fabric products.

직물제품의 전사부분이 상자 본체 부재의 상판부의 제2개구부로 외부에 노출됨과 동시에 전사대 부재의 마운팅부의 밑면이 상자 본체 부재의 밑판부의 제1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예를 들면 열전사기(熱轉寫機)를 구성하는 프레스부(press部)를 밑판부의 제1개구부로 통과시켜서 전사대 부재의 마운팅부의 밑면에 접착시키고 그 상태에서 열전사기를 구성하는 발열부(發熱部)와 서로 비뚤어지지 않게 하여 그 마운팅부 위의 직물제품 전사부분에 전사지상의 화상을 올려놓고서 압력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직물제품의 전사부분에 대하여 양호하게 화상을 열전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 transfer portion of the textile product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opening of the upper plate portion of the box body member, and the bottom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transfer table member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opening of the bottom plate portion of the box body member. The press part constituting the machine passes through the first opening of the bottom plate part, and adhere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part of the transfer table member so that it does not deviate from the heat generating part constituting the thermal transfer machine. Thus, it is possible to apply pressure by placing an image on the transfer paper on the transfer portion of the textile product on the mounting portion, thereby enabling thermal transfer of the image to the transfer portion of the textile product satisfactorily.

도1은 실시형태로서의 직물제품 고정장치(10)의 사시도이고, 도2A는 도1의 a-a′단면도이고, 도2B는 도1의 b-b′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는 전사지에 프린트된 화상이 열전사되는 T셔츠(400)를 고정하는 것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xtile article fixing device 10 as an embodiment, FIG. 2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and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In this embodiment, the T-shirt 400 to which the image printed on the transfer paper is thermally transferred is fixed.

직물제품 고정장치(10)는 각각 상자(箱子)로 형성된 상자 본체 부재(100)와 전사대 부재(200)와 스토퍼 부재(300)로 구성되어 있다.The textile product fixing device 10 is composed of a box body member 100, a transfer table member 200, and a stopper member 300 each formed of a box.

전사대 부재(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전사대 부재(200)에는 사각형 형상의 마운팅부(20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마운팅부(201)의 각각의 둘레부분에서 하방으로 지지부(202)가 연속하여 형성되고, 또한 각각의 지지부(202)의 하단에서 수평 바깥쪽 방향으로 접착부(203)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마운팅부(201) 위에는 전사부분(400a)이 위치하도록 T셔츠(400)가 놓여진다.The transfer table member 200 will be described. The transfer member 200 is formed with a rectangular mounting portion 201. And the support part 202 is continuously formed downward from the periphery part of this mounting part 201, and the adhesion part 203 is formed continuously in the horizontal outward direction at the lower end of each support part 202. As shown in FIG. . The T-shirt 400 is placed on the mounting portion 201 so that the transfer portion 400a is positioned.

이 전사대 부재(200)는 도3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자의 형지(型紙)를 접음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3A∼도3C에서 파선으로 나타낸 접는 선은 안쪽으로 접는 것을 나타내고,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접는 선은 바깥쪽으로 접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후술하는 도4∼도10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사선부는 절단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도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사대 부재(200)에서는 중앙에 마운팅부(201)가 형성되고, 이 마운팅부(201)의 상하좌우측에 각각 지지부(202) 및 접착부(203)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This transfer table member 200 is formed by folding a box-shape as shown in Fig. 3B. In addition, the folding line shown by the broken line in FIGS. 3A-3C shows folding inward, and the folding line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shows folding outward. The same applies to FIGS. 4 to 10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hatched portion represents the cut portion. As shown in Fig. 3B, in the transfer table member 200, a mounting portion 201 is formed in the center, and support portions 202 and adhesive portions 203 are continuously formed o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unting portion 201, respectively.

다음에 상자 본체 부재(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상자 본체 부재(100)에는 밑판부(101)와 상판부(102), 측판부(103)가 형성되어 있다. 밑판부(101)에는 전술한 전사대 부재(200)의 마운팅부(201)와 대략 같은 크기의 사각형 형상인 개구부(10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104)는 후술하는 열전사기(514)를 구성하는 프레스부(514b)를 통과시키기 위한 것이다.Next, the box body member 100 will be described. The box main body member 100 is provided with a bottom plate portion 101, an upper plate portion 102, and a side plate portion 103. The bottom plate portion 101 is formed with an opening 104 having a rectangular shape substantially the same size as the mounting portion 201 of the transfer member 200 described above. This opening part 104 is for passing the press part 514b which comprises the thermal transfer machine 514 mentioned later.

또한 상판부(102)에는 전술한 전사대 부재(200)의 마운팅부(201) 위에 위치하는 T셔츠(400)의 전사부분(400a)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10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개구부(105)의 각각 둘레부분으로부터 스토퍼 유지부(108)가 하방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 유지부(108)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토퍼 부재(300)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upper plate portion 102 is formed with an opening 105 for exposing the transfer portion 400a of the T-shirt 400 positioned on the mounting portion 201 of the transfer member 200 to the outside. And the stopper holding part 108 is continuously formed downward from the circumference | surroundings part of this opening part 105, respectively. This stopper holding part 108 is for holding the position of the stopper member 300 as mentioned later.

또 밑판부(101) 또는 상판부(102)의 각각의 둘레부분으로부터 측판부(103)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세워져서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밑판부(101)의 둘레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진 측판부(103)(도2A참조)의 상단에서 수평 안쪽방향으로 중첩부(106)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판부(102)의 둘레부분으로부터 하방으로 세워진 측판부(103)(도2B참조)의 하단에서 수평 안쪽방향으로 중첩부(107)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Moreover, the side plate part 103 is supported upwards or downwards from the circumferential part of each of the bottom plate part 101 or the top plate part 102, and is supported. And the overlapping part 106 is formed continuously in the horizontal inward direction at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 part 103 (refer FIG. 2A) standing upward from the peripheral part of the base plate part 101. As shown in FIG. Similarly, an overlapping portion 107 is formed continuously in the horizontal inward direction at the lower end of the side plate portion 103 (see Fig. 2B) which is erected downward from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upper plate portion 102.

이 상자 본체 부재(100)는 도3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자의 형지를 접음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도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자 본체 부재(100)에 있어서는 상판부(102)의 우측에 측판부(103), 밑판부(101), 측판부(103), 중첩부(106)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2개의 측판부(103)의 뒤쪽과 앞쪽에는 각각 보강용 돌출편(111)이 형성되어 있다. 밑판부(101)의 중앙에는 개구부(104)가 형성되어 있다. 보강용 돌출편(111)을 형성함으로써 상자 본체 부재(100)를 조립한 후에 사방 각 모서리에 가해지는 압축력에 대하여 강도가 증가하도록 되어있다.The box body member 100 is formed by folding the mold of the box as shown in Fig. 3A. As shown in FIG. 3A, in the box body member 100, the side plate portion 103, the bottom plate portion 101, the side plate portion 103, and the overlapping portion 106 are continuously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upper plate portion 102. . Reinforcing protrusions 111 are formed on the rear and front sides of the two side plate portions 103, respectively. An opening 104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plate portion 101. By forming the reinforcing protruding pieces 111, the strength is increased with respect to the compressive force applied to each corner after the box body member 100 is assembled.

상판부(102)의 뒤쪽과 앞쪽에는 각각 측판부(103), 중첩부(107)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밑판부(101)의 우측에 형성된 측판부(103)와 중첩부(106)의 경계에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는 2개의 절개부(112)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판부(102)의 좌측에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는 2개의 삽입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상자 본체 부재(100)를 조립할 때에는 전술한 2개의 삽입부(113)가 절개부(112)에 삽입된다.The side plate part 103 and the superimposition part 107 are formed continuously in back and front of the upper plate part 102, respectively. In addition,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ide plate portion 103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bottom plate portion 101 and the overlapping portion 106, two cutouts 112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front-rear direction are formed and the top plate portion 102 On the left side, two insertion portions 113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front-rear direction are formed. When assembling the box body member 100, the two inserting portions 113 described above are inserted into the cutout 112.

또한 상판부(102)의 중앙에는 개구부(10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개구부(105)의 전후좌우측에 각각 스토퍼 유지부(108)가 형성되어 있다. 상자 본체 부재(100)를 조립한 때에 이들 스토퍼 유지부(108)의 선단이 T셔츠(400)를 고정하는 후술하는 스토퍼 부재(300)의 위쪽으로 접하여(도2A, B참조) 스토퍼 부재(300)의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an opening 105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portion 102. And stopper holding part 108 is formed in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sides of this opening part 105, respectively. When assembling the box body member 100, the tip of these stopper holding portions 108 is in contact with the stopper member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fix the T-shirt 400 (see Figs. 2A and B). ) Position can be maintained.

다음에 스토퍼 부재(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토퍼 부재(300)는 평판형상의 부재이다. 이 스토퍼 부재(300)에는 전술한 전사대 부재(200)의 마운팅부(201)를 관통시키기 위하여 사각형의 개구부(301)가 형성되어 있다. 이스토퍼 부재(300)는 도3C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자의 형지로 형성되어 있다.Next, the stopper member 300 will be described. The stopper member 300 is a flat member. The stopper member 300 is formed with a rectangular opening 301 so as to penetrate the mounting portion 201 of the transfer member 200 described above. The stopper member 3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box as shown in Fig. 3C.

상자 본체 부재(100), 전사대 부재(200) 및 스토퍼 부재(300)는 각각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사대 부재(200)는 그 마운팅부(201)가 상판부(102)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자 본체 부재(100)의 내부에 접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에 전사대 부재(200)는 그 접착부(203)가 밑판부(101)에 형성된 개구부(104)의 둘레에 접착됨으로써 고정된다. 이럼으로써 전사대 부재(200)의 마운팅부(201)의 밑면이 개구부(104)를 통하여 외부로 통하는 상태로 된다. 또한 접착은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 등을 사용한다.The box body member 100, the transfer table member 200, and the stopper member 300 ar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respectively. The transfer member 200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box body member 100 in a state where the mounting portion 201 is located on the upper plate portion 102 side. In this case, the transfer table member 200 is fixed by adhering the adhesive portion 203 to the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104 formed in the bottom plate portion 101. As a result,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201 of the transfer table member 200 is in a state of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104. In addition, adhesive or double-sided tape is used for adhesion.

전술한 직물제품 고정장치(10)에 있어서 T셔츠(400)는 전사대 부재(200)의 마운팅부(201) 위에 전사부분(400a)이 위치하도록 놓여지고, 스토퍼 부재(300)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 때에 스토퍼 부재(300)는 그 개구부(301)를 마운팅부(201)가 관통하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상자 본체 부재(100)의 스토퍼 유지부(108)의 선단이 윗면에 접함으로써 그 위치가 유지된다.In the textile product fixing device 10 described above, the T-shirt 400 is placed on the mounting portion 201 of the transfer table member 200 so that the transfer portion 400a is positioned and fixed by the stopper member 300. At this time, the stopper member 300 is disposed so that the mounting portion 201 penetrates the opening 301 and the position of the stopper member 30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ox body member 100 so as to be maintained. .

T셔츠(40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스토퍼 부재(300)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T셔츠(400)의 전사부분(400a)은 마운팅부(201) 위에서 주름지지 않도록 펼쳐진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T셔츠(400)의 전사부분(400a) 이외의 부분은 전사대 부재(200) 주위에 상자 본체 부재(100) 등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109)에 수납된다. 또한 T셔츠(40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스토퍼부재(300)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써 T셔츠(400)의 전사부분(400a)이 상자 본체 부재(100)의 상판부(102)에 형성된 개구부(105)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된다.As the T-shirt 400 is fixed by the stopper member 300 as described above, the transfer portion 400a of the T-shirt 400 is maintained in an unfolded state so as not to be wrinkled on the mounting portion 201. In addition, portions other than the transfer portion 400a of the T-shirt 400 are stored in the space 109 formed by the box body member 100 or the like around the transfer table member 200. In addition, the T-shirt 400 is fixed by the stopper member 300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transfer portion 400a of the T-shirt 400 is formed from the opening 105 formed in the upper plate portion 102 of the box body member 100. The exposed state.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직물제품 고정장치(10)에서 T셔츠(400)의 고정순서를 설명한다.Next, the fixing procedure of the T-shirt 400 in the textile product fixing apparatus 10 of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우선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자의 형지(도3B참조)를 접어서 형성된 전사대 부재(200)를 상자 본체 부재(100)를 형성하는 상자의 형지(도3A참조)의 밑판부(101)에 접착시켜 고정한다. 이 경우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전사대 부재(200)의 접착부(203)를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밑판부(101)에 형성된 개구부(104)의 둘레에 접착한다.First, as shown in FIG. 4, the transfer plate member 200 formed by folding the box paper (see FIG. 3B) is adhered to the bottom plate portion 101 of the box paper (see FIG. 3A) forming the box body member 100. Fix it.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adhesive portion 203 of the transfer table member 200 is adher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104 formed in the base plate portion 101 using an adhesive or a double-sided tape.

다음에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T셔츠(400)를 그 전사부분(400a)이 전사대 부재(200)의 마운팅부(201) 위에 위치하도록 놓는다. 그리고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 부재(300)(도3C참조)를 전사대 부재(200)의 마운팅부(201)가 관통하도록 그 개구부(301)에 배치한다. 이럼으로써 T셔츠(400)는 스토퍼 부재(300)로 고정되고, T셔츠(400)의 전사부분(400a)은 마운팅부(201) 위에 주름지지 않도록 펼쳐진 상태로 유지된다.Next, as shown in FIG. 5, the T-shirt 400 is placed so that the transfer portion 400a is positioned on the mounting portion 201 of the transfer table member 200. As shown in FIG. 6, the stopper member 300 (see FIG. 3C) is disposed in the opening 301 so that the mounting portion 201 of the transfer table member 200 can pass therethrough. As a result, the T-shirt 400 is fixed to the stopper member 300, and the transfer portion 400a of the T-shirt 400 is maintained in an unfolded state so as not to be wrinkled on the mounting portion 201.

다음에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밑판부(101)에서 T셔츠(400)의 삐져나와 있는 부분을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접는 등 전사대 부재(200)의 주위로 모은다. 그리고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자 본체 부재(100)의 밑판부(101)와 상판부(102)의 사이 부분을 접음과 동시에 상판부(102)에 형성된 개구부(105)의 둘레에 있는 스토퍼 유지부(108)의 부분을 접는다. 또한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판부(102)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113)의 부분과 측판부(103)에 연속되어 형성되어 있는 보강용 돌출편(111)을 접음과 동시에 밑판부(101)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측판부(103)와 중첩부(106)의 부분을 접는다.Next, as shown in FIG. 7,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T-shirt 400 from the bottom plate portion 101 is collected around the transfer table member 200, such as folding as shown by the arrow. As shown in FIG. 8, the stopper holding portion 108 is formed around the opening 105 formed in the upper plate portion 102 while folding the portion between the bottom plate portion 101 and the upper plate portion 102 of the box body member 100. Fold the part of). 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the reinforcing protruding piece 111 formed continuously in the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113 and the side plate portion 103, which are continuously formed on the upper plate portion 102, is folded and the bottom plate portion ( The part of the side plate part 103 and the overlapping part 106 which are formed continuously in 101 is folded.

다음에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부(113)를 절개부(112)에 삽입한다. 이 경우에 각각의 스토퍼 유지부(108)는 전사대 부재(200)의 지지부(202)를 따라 하방으로 뻗어서 그 선단이 전술한 스토퍼 부재(300)의 윗면에 접하도록 된다. 이럼으로써 스토퍼 부재(300)의 위치가 전술한 바와 같이 T셔츠(400)를 고정한 상태로 안정하게 유지된다. 다음에 상판부(102)의 뒷쪽과 앞쪽으로 연속되어 형성된 측판부(103)와 중첩부(107)의 부분이 접혀지고, 중첩부(107)가 내부로 삽입되어 완료한다(도1참조).Next, as shown in FIG. 10, the insertion part 113 is inserted into the incision part 112.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each stopper holding portion 108 extends downward along the supporting portion 202 of the transfer table member 200 such that its tip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member 300 described above. In this way, the position of the stopper member 300 is stably maintained in the state where the T-shirt 400 is fixed as described above. Next, the part of the side plate part 103 and the overlap part 107 which were formed continuously in the back and front of the upper plate part 102 is folded, and the overlap part 107 is inserted in and is completed (refer FIG. 1).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의 직물제품 고정장치(10)에 고정된 T셔츠(400)의 전사부분(400a)으로 화상을 열전사하는 프린트 시스템(500)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11은 프린트 시스템(500)의 외관을 나타내고 있다. 이 프린트 시스템(500)은 이 케이스(501)의 앞면쪽에 터치 판넬(touch panel)을 부착한 모니터(monitor)(502)와 사용자 등을 촬영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503)와 사진 등이 놓여지고 그 화상을 읽기 위한 화상 읽기포트(image capture port)(504)와 열전사 처리 후에 직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직물제품 고정장치(10) 및 전사지(510)를 배출하는 배출구(505) 등이 배치되어 있다.Here, the printing system 500 which thermally transfers an image to the transfer part 400a of the T-shirt 400 fixed to the textile product fixing apparatus 10 of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briefly. 11 shows the appearance of a print system 500. The printing system 500 includes a monitor 502 having a touch panel attached to the front side of the case 501, a charge coupled device camera 503 for photographing a user, a photograph, and the like. And an image capture port 504 for reading the image, a textile product fixing device 10 for fixing the fabric after thermal transfer treatment, and an outlet 505 for discharging the transfer paper 510. It is arranged.

도12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프린트 시스템(500) 내의 열전사처리에 관한 부분만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프린트 시스템(500) 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T셔츠(400)를 고정하는 직물제품 고정장치(10)를 내장하고 있는 스토커(stocker)(511, 512)와 전사하고자 하는 화상이 프린트된 전사지(510)를 얻기 위하여 승화형이나 용융형 등의 프린터(513)와 직물제품 고정장치(10)에 고정되어 있는 T셔츠(400)의 전사부분(400a)으로 전사지(510)의 화상을 열전사하는 열전사기(514)를 구비하고 있다. 스토커(511, 512)에는 예를 들면 각각 크기가 다른 T셔츠(400)가 고정되는 직물제품 고정장치(10)가 여러개 내장되어 있다. T셔츠(400)의 크기는 사용자가 모니터(502) 표시화상의 지시에 따라 터치 판넬을 조작함으로써 선택 가능하게 된다.FIG. 12 schematically shows only a part related to thermal transfer processing in the print system 500 for the sake of simplicity. In the printing system 500, as described above, stockers 511 and 512 having a fabric fixing device 10 for fixing the T-shirt 400 and a transfer paper 510 on which an image to be transferred are printed are printed. Thermoelectric transfer of the image of the transfer paper 510 to the transfer portion 400a of the T-shirt 400, which is fixed to the printer 513, such as a sublimation or melting type, and the textile product fixing device 10, to obtain A fraud 514 is provided. The stockers 511 and 512 include a plurality of textile product fixing devices 10 to which, for example, T-shirts 400 having different sizes are fixed. The size of the T-shirt 400 can be selected by the user operating the touch panel in accordance with the instruction of the monitor 502 display image.

모니터(502) 표시화상의 지시에 따라 사용자가 터치 판넬을 조작하여 전사하고자 하는 화상이 결정되면 열전사처리로 이동한다. 예를 들면 CCD 카메라(503)로 촬영한 사용자의 화상과 미리 준비되어 있는 필름(배경화상(back image))이 합성됨으로써 전사하고자 하는 화상이 형성된다. 또 예를 들면 화상 읽기포트(504)에 놓여진 사진 등에서 화상을 해독함으로써 전사하고자 하는 화상이 형성된다.When the image to be transferred is determined by the user operating the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indication of the display image of the monitor 502, the process moves to thermal transfer processing. For example, an image to be transferred is formed by combining an image of a user captured by the CCD camera 503 with a film (back image) prepared in advance. For example, an image to be transferred is formed by decoding the image from a photo or the like placed on the image reading port 504.

도13A∼도13E를 사용하여 열전사처리의 순서를 간단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커(511) 또는 스토커(512)에서 T셔츠(400)가 고정된 직물제품 고정장치(10)를 1개만 꺼내어 열전사기(514)로운송한다.13A to 13E, the procedure of the thermal transfer process will be briefly explained. First, as shown in FIG. 13A, only one textile product fixing device 10 to which the T-shirt 400 is fixed is removed from the stocker 511 or stocker 512 and transported to the thermal transfer machine 514. FIG.

열전사기(514)는 도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대(基臺)를 겸하는 발열부(514a)와 프레스부(514b)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발열부(514a)는 180。∼200。정도의 고온으로 되어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반송되어 오는 직물제품 고정장치(10)는 프레스부(514b)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에 프레스부(514b)가 상자 본체 부재(100)의 밑판부(101)에 형성된 개구부(104)를 통과하여 전사대 부재(200)의 마운팅부(201)의 밑면에 접착한 상태로 된다(도2A, B참조).The thermal transfer machine 514 is configured with a heat generating portion 514a and a press portion 514b serving as a base as shown in Fig. 13B. The heat generating portion 514a is at a high temperature of about 180 ° to 200 °. The textile product fixing device 10 which is conveyed as described above is disposed to contact the press unit 514b. In this case, the press portion 514b passes through the opening 104 formed in the bottom plate portion 101 of the box body member 100 and adhere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201 of the transfer table member 200 ( 2A, B).

다음에 전술한 바와 같이 결정된 전사하고자 하는 화상에 대응한 화상이 프린터(513)에 의하여 전사지(510)상에 프린트된다. 그리고 도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이 프린트된 전사지(510)가 열전사기(514)로 운송되어 프레스부(514b)와 발열부(514a) 사이에 배치된다. 이 경우에 화상은 전사지(510)의 윗면에 있고, 전술한 전사하고자 하는 화상으로서 결정된 화상에 대하여 반전된 화상으로 되어있다. 그리고 이 화상이 직물제품 고정장치(10)의 상자 본체 부재(100)의 상판부(102)에 형성된 개구부(105)를 통하여 노출되어 있는 T셔츠(400)의 전사부분(400a)을 향하도록 배치된다(도2A, B참조).Next,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to be transferred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is printed on the transfer paper 510 by the printer 513. Then, as shown in Fig. 13C, the transfer paper 510 on which the image is printed is transported to the thermal transfer machine 514 and disposed between the press section 514b and the heat generating section 514a. In this case, the image i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paper 510 and is an image inverted with respect to the image determined as the image to be transferred as described above. The image is disposed so as to face the transfer portion 400a of the T-shirt 400 exposed through the opening 105 formed in the upper plate portion 102 of the box body member 100 of the textile product fixing device 10. (See Figures 2A and B).

다음에 도1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스부(514b)가 아래쪽으로 또한 발열부(514a)가 위쪽으로 이동하여 전사지(510)상에 프린트된 화상을 T셔츠(400)의 전사부분(400a)에 올려놓고서 압력이 가하여진다. 이 압력은예를 들면 10초∼20초간 가하여진다. 이 경우에 전사지(510)상의 화상이나 T셔츠(400)의 전사부분(400a)에는 발열부(514a)에서 열이 전도(傳導)되고 있고, 전사지(510)에 프린트된 화상은 T셔츠(400)의 전사부분(400a)으로 열전사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열전사가 된 후에는 도13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사부분(400a)으로 화상이 열전사된 T셔츠(400)를 고정한 직물제품 고정장치(10)와 화상이 프린트되어 있는 전사지(510)가 배출구(505)(도11참조)를 통하여 프린트 시스템(500)의 외부로 배출된다.Next, as shown in FIG. 13D, the press portion 514b moves downward and the heat generating portion 514a moves upward to place an image printed on the transfer paper 510 on the transfer portion 400a of the T-shirt 400. FIG. Pressure is applied. This pressure is applied, for example, for 10 seconds to 20 seconds. In this case, heat is transferred from the heat generating portion 514a to the image on the transfer paper 510 or the transfer portion 400a of the T-shirt 400, and the image printed on the transfer paper 510 is a T-shirt 400. Thermal transfer to the transfer portion (400a). After the thermal transfer in this manner, as shown in FIG. 13E, the textile product fixing device 10 which fixes the T-shirt 400 on which the image is thermally transferred to the transfer portion 400a, and the transfer paper 510 on which the image is printed are transferred.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print system 500 through the discharge port 505 (see FIG. 11).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직물제품 고정장치(10)에서는 전사대 부재(200)의 마운팅부(201)에 전사부분(400a)이 위치하도록 놓여진 T셔츠(400)를 전술한 마운팅부(201)가 중앙으로 관통하는 개구부(301)를 가지는 스토퍼 부재(300)에 의하여 고정시킴으로써 마운팅부(201) 위의 T셔츠(400)의 전사부분(400a)을 주름지지 않도록 펼쳐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방법과 같이 스프레이 풀을 사용하여 접착하지 않으므로 T셔츠(400)가 변색되는 등의 염려가 없다.As described above, in the textile product fix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shirt 400 placed on the mounting portion 201 of the transfer table member 200 so that the transfer portion 400a is positioned is described above. ) Is fixed by the stopper member 300 having the opening 301 penetrating to the center, thereby maintaining the transfer portion 400a of the T-shirt 400 on the mounting portion 201 in an unfolded state. Therefore, there is no fear that the T-shirt 400 is discolored because it is not bonded using a spray paste as in the conventional method.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직물제품 고정장치(10)에서는 T셔츠(400)의 전사부분(400a)은 상자 본체 부재(100)의 상판부(102)에 형성된 개구부(105)를 통하여 외부에 노출됨과 동시에 전사대 부재(200)의 마운팅부(201)의 밑면은 상자 본체 부재(100)의 밑판부(101)에 형성된 개구부(104)를 통하여 외부로 개방된다. 따라서 열전사기(514)를 구성하는 프레스부(514b)를 밑판부(101)의 개구부(104)로 통과시켜서 마운팅부(201)의 밑면에 접착시키고 그 상태에서열전사기(514)를 구성하는 발열부(514a)와 서로 비뚤어지지 않게 하여 그 마운팅부(201) 위의 T셔츠(400)의 전사부분(400a)에 전사지(510)상의 화상을 올려놓고서 압력을 가할 수 있어 T셔츠(400)의 전사부분(400a)에 대하여 양호하게 화상의 열전사를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textile product fixing device 10, the transfer portion 400a of the T-shirt 40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n opening 105 formed in the upper plate portion 102 of the box body member 100.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201 of the transfer table member 200 is opened to the outside through an opening 104 formed in the bottom plate portion 101 of the box body member 100. Therefore, the press portion 514b constituting the thermal transfer machine 514 passes through the opening 104 of the bottom plate portion 101 and adhere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201, and heat generation constituting the thermal transfer machine 514 in that state. The image on the transfer paper 510 can be applied to the transfer portion 400a of the T-shirt 400 on the mounting portion 201 so as not to be skewed with the portion 514a, so as to apply pressure. The thermal transfer of the image can be performed favorably with respect to the transfer portion 400a.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직물제품 고정장치(10)에서는 각 부재(100, 200, 300)를 상자로 형성한 것으로써 사용한 후에는 소각하거나 또는 재사용할 수 있어 환경적으로 우수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textile product fixing device 10, each member 100, 200, 300 is formed into a box, and after use, it can be incinerated or reused, which is environmentally excellent.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T셔츠(400)를 고정하는 직물제품 고정장치(10)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T셔츠(400)를 고정하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프린터 등으로 프린트된 화상을 열전사하는 그 이외의 직물제품을 고정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abric product fixing device 10 for fixing the T-shirt 400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ase where the T-shirt 400 is fixed. The dead thread may be similarly applied to fixing other textile products.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자 본체 부재(100)에 형성된 개구부(104, 105)나 스토퍼 부재(300)에 형성된 개구부(301)가 사각형 형상인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들 개구부의 형상은 사각형 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원형 형상, 삼각형 형상 등 그 이외의 형상으로 하여도 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although the opening part 104 and 105 formed in the box main body member 100 and the opening part 301 formed in the stopper member 300 are shown to have a rectangular shape, the shape of these opening parts is limited to a rectangular shape. Since it is not a circular shape, it may be set as other shapes, such as a triangular shape.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부재(100, 200, 300)를 상자로 형성한 것이지만 상자 이외의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하여도 된다.Moreover, in embodiment mentioned above, although each member 100, 200, 300 was formed in the box, you may form using materials other than a box.

본 발명에 의하면 전사대 부재의 마운팅부에 전사부분이 위치하도록 놓여진 직물제품이 그 마운팅부와 같은 형상의 개구부를 가지는 스토퍼 부재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으로써 마운팅부 위의 직물제품의 전사부분을 주름지지 않도록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종래의 방법과 같이 스프레이 풀을 사용하여 접착하지 않으므로 직물제품이 변색되는 등의 염려가 없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xtile product placed so that the transfer portion is positioned i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transfer member is fixed by a stopper member having an opening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mounting portion so that the transfer portion of the textile product on the mounting portion is not wrinkled. It can maintain the unfolded state and does not adhere using a spray paste as in the conventional method, so there is no fear of discoloration of the fabric product.

또한 직물제품의 전사부분은 상자 본체 부재의 상판부의 제2개구부로 외부에 노출됨과 동시에 전사대 부재의 마운팅부의 밑면은 상자 본체 부재의 밑판부의 제1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접하는 것으로써 예를 들면 밑판부의 제1개구부를 통과시켜서 열전사기를 구성하는 프레스부를 전사대 부재의 마운팅부의 밑면에 접착시키고, 그 상태에서 열전사기를 구성하는 발열부와 서로 비뚤어지지 않게 하여 그 마운팅부 위의 직물제품의 전사부분에 전사지상의 화면을 올려놓고서 압력을 가할 수 있어 직물제품의 전사부분에 대하여 양호하게 화상을 열전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fer portion of the textile product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opening portion of the upper plate portion of the box body member, while the bottom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transfer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opening portion of the bottom plate portion of the box body member. The press part, which constitutes the thermal transfer machine by passing through the first opening, is bond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part of the transfer table member, and in such a state that the press part is not inclined with the heat generating part constituting the thermal transfer machine, so as to be transferred to the transfer part of the textile product on the mounting part. Pressure can be applied by placing the screen on the transfer sheet so that the image can be thermally transferred to the transfer portion of the textile product.

또한 각 부재를 상자로 형성함으로써 사용한 후에는 소각하거나 또는 재사용할 수 있고 환경적으로 우수하다.In addition, by forming each member into a box, it can be incinerated or reused after use and is environmentally superio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직물제품 고정장치는 예를 들면 프린트 시스템에 있어서 승화형이나 용융형의 프린터 등을 사용하여 프린트되는 화상을 T셔츠 등의 직물제품에 열전사할 때에 이 T셔츠 등의 직물제품을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textile product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T-shirt or the like when thermally transferring an image to be printed on a textile product such as a T-shirt in a printing system using a sublimation type or a melt type printer or the like. It is suitable for use in fixing textile products.

Claims (3)

상자 본체 부재(箱子 本體 部材)와 전사대 부재(轉寫臺 部材)와 스토퍼 부재(stopper 部材)로 구성되고,It consists of a box body member, a transfer table member, and a stopper member, 상기 전사대 부재는 소정 형상의 마운팅부(mounting 部)와 이 마운팅부의 끝부분에서 하방(下方)으로 연속되어 형성되는 지지부(支持部)와, 이 지지부의 하단에서 수평 바깥쪽 방향으로 연속되어 형성되는 접착부(接着部)를 구비하고,The transfer member is formed with a mounting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 support portion continuously formed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mounting portion, and continuously formed in the horizontal outward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It is provided with an adhesion part, 상기 상자 본체 부재는, 상기 전사대 부재의 마운팅부와 대략 같은 크기의 제1개구부(第1開口部)를 구비하는 밑판부와, 이 밑판부의 끝부분에서 상방(上方)으로 뻗어있는 측판부(側板部)와, 이 측판부의 상단위치에 끝부분이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전사대 부재의 마운팅부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소정 형상의 제2개구부를 구비하는 상판부(上板部)와, 상기 제2개구부의 끝부분에서 하방으로 연속되어 형성되는 스토퍼 유지부를 구비하고,The box body member includes a bottom plate portion having a first opening having a size substantially the same as a mounting portion of the transfer member, and a side plate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an end of the bottom plate portion. And an upper plate portion having a second opening portion of the predetermined shape to expose the mounting portion of the transfer table member to the outside while the tip portion is located at the upper end position of the side plate portion, and the second opening portion. And a stopper holding part which is formed continuously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상기 스토퍼 부재는 평판(平板) 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전사대 부재의 마운팅부를 관통시키기 위하여 상기 소정 형상의 제3개구부를 구비하고,The stopper member is a flat plate-shaped member and includes a third opening of the predetermined shape so as to pass through a mounting portion of the transfer table member. 상기 전사대 부재는 그 접착부가 상기 밑판부의 제1개구부 둘레에 접착됨으로써 상기 마운팅부가 상기 상판부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밑판부에 고정되고,The transfer plate member is fixed to the bottom plate portion with the mounting portion bond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opening of the bottom plate portion with the mounting portion located on the top plate side. 상기 전사대 부재의 상기 마운팅부 위에 전사부분이 위치하도록 놓여지는 직물제품(織物製品)은 상기 마운팅부가 상기 제3개구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또 상기 상자 본체 부재의 스토퍼 유지부에 의하여 그 위치가 유지되는 상기 스토퍼 부재에 의하여 고정되고,The textile product placed so that the transfer portion is positioned o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transfer table member is disposed such that the mounting portion penetrates through the third opening and is held in position by a stopper holding portion of the box body member. Fixed by the stopper member, 상기 직물제품의 전사부분이 상기 상자 본체 부재의 상판부의 제2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됨과 동시에 상기 전사대 부재의 상기 마운팅부의 밑면이 상기 상자 본체 부재의 밑판부의 제1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The transfer portion of the textile product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opening of the upper plate portion of the box body member and at the same time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transfer member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opening of the bottom plate portion of the box body member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제품 고정장치(固定裝置).A textile product hol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소정 형상은 사각형인The predetermined shape is a rectangle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제품 고정장치.Textile product hol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자 본체 부재와 상기 전사대 부재와 상기 스토퍼 부재는 각각 상자로 형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제품 고정장치.And the box body member, the transfer table member and the stopper member are each formed of a box.
KR1020007011582A 1999-02-19 2000-01-26 Fabric product fixing device KR20010074489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041882 1999-02-19
JP11041882A JP3009890B1 (en) 1999-02-19 1999-02-19 Cloth product fixing device
PCT/JP2000/000385 WO2000049216A1 (en) 1999-02-19 2000-01-26 Fabric product fix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4489A true KR20010074489A (en) 2001-08-04

Family

ID=12620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1582A KR20010074489A (en) 1999-02-19 2000-01-26 Fabric product fixing device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106727A1 (en)
JP (1) JP3009890B1 (en)
KR (1) KR20010074489A (en)
CN (1) CN1294644A (en)
AU (1) AU2318900A (en)
CA (1) CA2329202A1 (en)
TW (1) TW476707B (en)
WO (1) WO2000049216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892B1 (en) * 2006-01-03 2007-02-26 (주)이룸에이치앤드티 Fixing device for printed mat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54079A (en) * 2010-10-20 2012-05-16 吴江中服工艺印花有限公司 Cloth edge tightening device
CN102350862A (en) * 2011-08-30 2012-02-15 吴春荣 Shell fabric fixing method and shell fabric fixing device in flower type transfer
JP2015040368A (en) * 2013-08-23 2015-03-02 雅彦 柳下 Sewn product for transfer
JP6115657B2 (en) * 2016-01-21 2017-04-19 原 知穂 Transfer method for thermal transfer printed products
CN108288431B (en) * 2018-02-23 2019-12-10 广东溢达纺织有限公司 Hot stamping labe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11084277B1 (en) * 2018-07-03 2021-08-10 Randall W. Cook Apparel straightener for heat transfer printing
CN111204121A (en) * 2019-12-19 2020-05-29 南京匠杺印创科技有限公司 Ready-made clothe printing device that stability is good
CN112248669A (en) * 2020-10-20 2021-01-22 东莞市骋诺智能科技有限公司 Control system for printing clothes patterns
US11872803B2 (en) * 2020-10-20 2024-01-16 Margaret Beaty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aligning, stacking, and applying craft vinyl
CN112258748A (en) * 2020-10-20 2021-01-22 东莞市骋诺智能科技有限公司 Full-automatic machine of selling is printed to clothing pattern
CN112258728A (en) * 2020-10-20 2021-01-22 东莞市骋诺智能科技有限公司 Full-automatic vending method for printing clothes pattern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1187A (en) * 1986-07-15 1988-01-28 Toppan Moore Co Ltd Production of transfer sheet
JPS63125358A (en) * 1986-11-14 1988-05-28 Toshiba Corp Image forming apparatus
JP3030810B2 (en) * 1997-11-26 2000-04-10 株式会社ジャパン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 Printing equipment for clothing and fabrics
JPH11315468A (en) * 1998-04-27 1999-11-16 Tokyo Horaisha:Kk Hot pressing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892B1 (en) * 2006-01-03 2007-02-26 (주)이룸에이치앤드티 Fixing device for printed mat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318900A (en) 2000-09-04
EP1106727A1 (en) 2001-06-13
JP3009890B1 (en) 2000-02-14
WO2000049216A1 (en) 2000-08-24
JP2000238234A (en) 2000-09-05
CN1294644A (en) 2001-05-09
TW476707B (en) 2002-02-21
CA2329202A1 (en) 2000-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74489A (en) Fabric product fixing device
US8234780B2 (en) Substrate carrier system
JPH06161053A (en) Separation of packing body
JP3533417B2 (en) Screen plate automatic changer
JP2007042828A (en) Screen printing device
JPH0316778A (en) Printing method
JPH04105984A (en) Multiple screen printing method
JP6546964B2 (en) Portable printer
JP3030810B2 (en) Printing equipment for clothing and fabrics
JP2000335509A (en) Method for sealing micro plate, and automatic sealing device for micro plate
JP2980734B2 (en) Hot stamper
CN211641370U (en) Card making integrated machine
JP2004177685A (en) Photograph processing system
JP3104154B2 (en) Display method on the display member
JP2005000316A (en) Molded body with photographic picture
KR100727963B1 (en) Photograph printing system and photograph printing method
JP2004014914A (en) Substrate patching device, substrate patching method and card manufacturing device
JPH1056605A (en) Portable camera with print function
JPH1034869A (en) Thermal plate-making apparatus
JPH11115400A (en) Ornament with heat transfer sheet, composite photograph sealing printing system, and ornament assembling jig
JPH11254891A (en) Accessory manufacturing device
JP2001013658A (en) Optical printer
JPS60125833A (en) Flat floor type microfilm camera device
JPS5941855A (en) Method for attaching lid member in semiconductor device
JPH0254259A (en) Photograph-containing card and formation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