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3757A - Apparatus for offering customized communication service of the internet telephony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offering customized communication service of the internet telephon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3757A
KR20010073757A KR1020000002595A KR20000002595A KR20010073757A KR 20010073757 A KR20010073757 A KR 20010073757A KR 1020000002595 A KR1020000002595 A KR 1020000002595A KR 20000002595 A KR20000002595 A KR 20000002595A KR 20010073757 A KR20010073757 A KR 20010073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rver
call
messag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25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정태
이윤봉
추광재
손정호
허봉준
Original Assignee
이정태
이윤봉
(주) 위즈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태, 이윤봉, (주) 위즈네트 filed Critical 이정태
Priority to KR1020000002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73757A/en
Publication of KR20010073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3757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24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 H04M7/0057Services where the data services network provides a telephone service in addition or as an alternative, e.g. for backup purposes, to the telephone service provided by the telephone service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customized communication service using an Internet phone is provided to collect and to process a communication information about a customer, and to provide a service adaptive for the customer using an Internet phone. CONSTITUTION: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customized communication service using an Internet phone is composed of a terminal(1) for use in an Internet telephone communication, the first server(2) and the second server(3). The first server(2) receives a user's demand and permits a registered user a telephone connection. The first server(2) also provides various value added service and collects a communication information at each phone connection by the user. The second server(3) receives a primitive information about the user from the first server(2) and processes the primitive information. The second server(3) transmits the resulting information to the first server(2), and monitors the operation of the first server(2) and substitutes for the function of the first server in the case of a malfunction of the first server(2).

Description

인터넷전화를 이용한 맞춤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APPARATUS FOR OFFERING CUSTOMIZED COMMUNICATION SERVICE OF THE INTERNET TELEPHONY}Device for providing personalized communication service using internet phone {APPARATUS FOR OFFERING CUSTOMIZED COMMUNICATION SERVICE OF THE INTERNET TELEPHONY}

본 발명은 인터넷전화(internet telephony)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소 고객의 통신행위에 대한 통신정보를 수집하여 가공하고, 이를 이용하여 고객의 구미에 맞는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전화를 이용한 맞춤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net telephony, and more specifically, to collect and process communication information on a communication activity of a customer in general, by using it, using an internet phone to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that suits the taste of the customer. It relates to a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20여년 전에 알렉산드 그라함 벨이 전화를 발명한 이래, 음성통신은 전화망 (PSTN)을 통하여 이루어져 왔다. 그런데 전화망은 통화 중에 양 가입자간에 회선이 점유되는 회선교환방식(circuit switch network)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회선의 효율적인 이용이 어렵고, 비용이 높으며,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는데 한계가 있었다.Since Alexander Graham Bell invented the telephone more than 120 years ago, voice communications have been made through the telephone network (PSTN). However, since the telephone network uses a circuit switch network in which circuits are occupied between two subscribers during a call, efficient use of circuits is difficult, expensive, and there are limitations in adding various functions.

한편, 컴퓨터의 등장과 함께 컴퓨터간의 통신을 목적으로 패킷교환기술 (packet switch network)이 등장하였으며, 이는 컴퓨터 기술의 발전과 함께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였다. 패킷교환기술을 바탕으로 한 컴퓨터간의 통신망인 인터넷은 지금까지 전자우편(E-mail), 파일전송(File Transfer), 원격접속(Remote Login) 등과 같은 문자중심의 응용에 집중되어 있었으나, 최근들어, 컴퓨터가 멀티미디어정보를 다루는 기기로 발전함에 따라, 음성 및 화상정보를 다루는 멀티미디어통신망으로 변모해 가고 있다.On the other hand, with the advent of computers, a packet switch network has emerged for the purpose of communication between computers, which has made rapid progress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y. The Internet, a computer-to-computer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packet-switching technology, has been focused on text-oriented applications such as e-mail, file transfer, and remote login. As computers develop into devices that handle multimedia information, they are transforming into multimedia communication networks that handle voice and image information.

특히, 1995년 이스라엘의 Vocaltec사가 인터넷전화를 소개한 이래 인터넷을 이용한 전화서비스는 저렴한 통신비용이 장점인 것으로, 특히 국제전화나 장거리전화와 같이 비용 부담이 큰 통화의 경우, 아직은 열악한 품질에도 불구하고,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In particular, since Vocaltec of Israel introduced Internet telephony in 1995, the use of internet telephony service has the advantage of low communication costs, especially for high-cost calls such as international calls and long-distance calls. In other words, the demand is soaring.

인터넷전화는 전화서비스를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의 인터넷전화는 단말기의 형태에 따라, 송,수신측 PC에 마이크 및 스피커를 장착하고 아날로그음성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통화하는 PC대 PC(PC-to-PC) 방식, 한쪽은 인터넷에 접속된 PC를 사용하고 상대방은 기존의 전화망에 접속된 전화기를 사용해 통화하는 것으로 인터넷과 전화망간에 정보를 상호변환하는 게이트웨이(Gateway)장비가 필요한 PC대 전화(PC-to-phone) 방식, 그리고 전화망에 연결된 전화기간의 음성통신을 위하여 인터넷을 통해 양쪽 전화망간을 접속하는 방법으로, 송신측 전화망과 인터넷간에도 게이트웨이가 필요하고 인터넷과 수신측 전화망간에도 게이트웨이가 필요한 전화대 전화(Phone-to-phone) 방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서버의 유무에 따라 서버중계 방식과 직접접속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Internet telephony means providing telephone service through the Internet. Conventional Internet telephony is a PC-to-PC method, which is equipped with a microphone and a speaker on a PC for sending and receiving and converts an analog voice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depending on the type of terminal. Is a PC-to-phone that requires a gateway device that converts information between the Internet and the telephone network by using a PC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using a telephone connected to an existing telephone network. Method, and a method of connecting both telephone networks through the Internet for voice communication between telephones connected to the telephone network. A gateway is required between the calling telephone network and the Internet, and a gateway is required between the Internet and the receiving telephone network. It can be divided into to-phone method and classified into server relay method and direct conn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server.

인터넷을 통해 전화를 하려면 인터넷 뿐만 아니라 PC나 전화기와 같은 단말기, 인터넷과 전화망을 접속하는 게이트웨이, 그리고, 전화번호를 IP주소로 변환하는 게이트키퍼(gatekeeper) 등과 같은 장치가 필요하다.Calling over the Internet requires not only the Internet but also devices such as PCs and telephones, gateways that connect the Internet and the telephone network, and gatekeepers that translate phone numbers into IP addresses.

인터넷에서 상대방과 통신하려면 IP 주소를 알아야 하는데, IP 주소는 32 비트(앞으로 IPv6에서는 128 비트를 사용)로 기억하기 어렵다. 이에, ITU에서는 인터넷전화를 위한 H.323 표준을 제시하고, IP 주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자우편에서 도메인네임서버와 비슷한 역활을 하는 게이트키퍼를 사용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나, 게이트키퍼의 경우에는 고객이 게이트키퍼에게 줄 정보가 정해져 있지 않고, 특히 이 정보는 인터넷전화의 동작방식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To communicate with the other side of the Internet, you need to know the IP address, which is hard to remember as 32 bits (or 128 bits for IPv6 in the future). Therefore, ITU recommends using a gatekeeper, which plays a role similar to a domain name server in e-mail, in order to solve the IP address problem. There is no information to give to the gatekeeper, and in particular, this information has a problem in that it depends on the operation of the Internet phone.

즉, PC대 전화나 전화대 전화 방식의 경우에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PC대 PC 방식의 경우에는 상대방의 도메인네임이나 Web에서 사용하는 URL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전화망의 경우 그 특성으로 인해 전화번호라는 것을 사용해 왔고, 인터넷도 마찬가지로 그 특성으로 인해 URL이나 도메인네임을 사용해 오고 있지만, 이것은 인위적으로 정한 것이기 때문에 기억하기 어렵고 잘못된 기억으로 인해 오동작의 가능성도 높은 단점이 있다.That is, it is preferable to use the other party's telephone number in the case of the PC-to-phone or the telephone-to-phone system, and to use the URL of the other party's domain name or the Web in the case of the PC-to-PC system. However, the telephone network has used a phone number because of its characteristics, and the Internet has used URLs or domain names due to its characteristics, but it is difficult to remember because it is artificially defined,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malfunction due to incorrect memory. There is this.

더구나, 기존의 인터넷전화 기술은 음성통신을 위한 기본적인 기능개발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사용자측면에서 많은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xisting Internet phone technology is limited to the development of basic functions for voice communic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inconvenience in terms of the user.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인터넷전화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맞춤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인터넷전화에서 고객의 통신정보를 수집하여 가공하고, 고객의 구미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전화를 이용한 맞춤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provide a customized communication service that solves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Internet phone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thereof is to collect and process communication information of a customer from an Internet phone, and to provide a service suitable for a customer's taste. To provide a personalized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using an Internet phon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객의 구미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별도의 작용을 요구하지 않고 고객의 자연스러운 통신행위를 통하여 고객의 통신정보를 수집하는 인터넷 전화를 이용한 맞춤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rsonalized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using the Internet phone to collect the communication information of the customer through the natural communication behavior of the customer without requiring a separate action in order to provide a service suitable for the customer's taste.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객의 구미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집된 고객의 통신정보를 고객별, 통화대상자 별, 서비스별로, 통화회수, 평균통화시간, 최근통화시간 등으로 가공하는 맞춤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ustomize the processing of the collected customer communication information by customer, by call target, by service, the number of calls, average call time, recent call time, etc., in order to provide a service that suits customers' tastes. It is to provide a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맞춤통신서비스 제공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custom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맞춤통신서비스 제공장치에서 단말기에 구비되는 사용자인터페이스의 기능블럭도이다.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user interface provided in a terminal in a personalized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도 3a는 로그인/로그아웃버튼의 선택시 사용자인터페이스의 동작순서도이다.3A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user interface when a login / logout button is selected.

도 3b는 전화걸기버튼의 선택시 사용자인터페이스의 동작순서도이다.3B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user interface when a call button is selected.

도 3c는 문자채팅 버튼의 선택시 사용자인터페이스의 동작순서도이다.3C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user interface when a text chat button is selected.

도 3d는 부재중메시지버튼의 선택시 사용자인터페이스의 동작순서도이다.3D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user interface when the missed message button is selected.

도 3e는 검색버튼에 대한 사용자인터페이스의 동작순서도이다.3E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user interface for a search button.

도 3f는 사용자인터페이스에서 상태표시창의 동작 순서도이다.3F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status display window in a user interface.

도 4은 맞춤통신서비스 제공장치에 있어서 제1서버의 기능 블럭도이다.4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first server in a custom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도 5은 제1서버의 전체 동작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first server.

도 6은 맞춤통신서비스 제공장치에 있어서 제2서버의 기능 블록도이다.6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second server in a personalized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도 7은 제2서버에서 CE 모듈의 동작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operations of a CE module in a second server.

도 8는 제2서버에서 관리 모듈의 동작순서도이다.8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the management module in the second server.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전화통화시의 호처리과정을 보이는 설명도이다.9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call processing process during a telephone c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있어서 네이밍콜시의 호처리 과정을 보이는 설명도이다.10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call processing process at the time of naming call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맞춤통신서비스 제공을 위한 각 장치간에 전달되는 메시지 양식이다.11 is a message format transmitted between devices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communication service.

도 12는 제2서버와 제1서버간에 주고 받는 메시지의 종류를 보이는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types of messages exchanged between a second server and a first server.

도 13은 상기 제2서버와 제1서버간에 주고받는 각 메시지의 구조를 보이는 예시도이다.1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each message exchanged between the second server and the first server.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5 : 단말기,1,5: terminal,

2 : 제1서버2: first server

3 : 제2서버3: second server

4 : 인터넷4: internet

100 : 사용자인터페이스100: user interface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인터넷에 연결되는 네트워크인터페이스모듈과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음성처리모듈과 사용자가 맞춤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모듈을 구비하는 단말기;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etwork interface module connected to the Internet, a voice processing module for processing a voice signal, and a user interface module for allowing a user to use a customized communication service. terminal;

인터넷을 통해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인터넷전화 연결시마다 통신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전화연결 및 해당 맞춤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서버;A first server connected to one or more terminals through the Internet, collecting communication information each time a user connects to the Internet telephone, and providing a telephone connection and a corresponding communication service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하나 이상의 제1서버에 연결되어, 그 제1서버로부터 수집된 사용자의 통신정보를 전달받아, 소정 형태로 가공하여 저장해 두었다가, 제1서버의 요청에 따라 가공된 맞춤통신 정보를 제공하는 제2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econd server connected to one or more first servers, receiving the communicati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first server, processing and storing the user's communication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form, and providing the customized communication information processed at the request of the first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더하여 상기 장치는 단말기의 사용자인터페이스모듈에서 전화번호나 도메인네임이 아닌 상대방의 이름만을 사용하여 인터넷 통신요구를 하는 네이밍콜 기능을 구비시키고, 네이밍콜 요구시 제1서버는 통화하기 원하는 이름의 사용자를 검색하여 통화에 필요한 정보를 단말기에 제공하고, 전화걸기가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device includes a naming call function for requesting Internet communication using only the name of the other party, not a phone number or a domain name, in the user interface module of the terminal. Search and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a call to the terminal, and make a call.

또한, 상기 장치는 기 단말기의 사용자인터페이스가 와일드카드 문자를 사용하여 검색을 요구하는 검색기능을 구비하고, 와일드카드 문자를 포함하는 검색요구시 제1서버는 등록된 사용자를 대상으로 검색어와 일치하는 대상을 모두 검색하여, 그 결과를 단말기측으로 제공하고, 사용자는 검색된 결과로부터 통화하기 원하는 상대방을 선택하여 전화걸기가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device has a search function for requesting the user interface of the terminal using a wildcard character, the first server when the search request containing a wildcard character is matched with the search term for registered users All the targets are searched, the results are provided to the terminal, and the user selects a counterpart to make a call from the searched results.

또한, 상기 장치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로그인 요청을 할 때 로그인 요청메시지를 보내온 단말기의 IP주소로 접속될 수 있도록 제1,2서버에서 해당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갱신하고, 사용자가 어떤 단말기에서도 맞춤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device updates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in the first and second servers so that the user can be connected to the IP address of the terminal that sent the login request message when the user requests a login through the terminal, and the user customizes any terminal. Make communication services available.

또한, 상기 장치는 기 단말기의 사용자인터페이스모듈에서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인터넷전화 통화가 성공하지 못한 경우 상대방에게 문자나 음성 형태의 부재중 메시지를 제1서버에 남길 수 있도록 한다. 부재중 메시지 전송요구시 제1서버는 해당 메시지를 저장하고, 해당 메시지를 수신할 사용자가 로그인 하거나 로그인된 사용자가 부재중 메시지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할 때 저장된 메시지를 해당 사용자에게 보내준다. 또한 제1서버는 송신자의 요구에 따라 남겨진 부재중 메시지를 전자우편으로 변환하여 전송해 줄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evice has a function for transmitting a message in the user interface module of the terminal, and if the Internet phone call is unsuccessful to leave the missed message in the form of a text or voice to the first server to the other server. When a request for transmission of an missed message is requested, the first server stores the message and sends the stored message to the corresponding user when a user who receives the message logs in or performs a function of checking a missed message. In addition, the first server may convert the missed message left in response to a request of the sender to e-mail and transmit it.

또한, 상기 장치는 제1,2서버에서 각 사용자별로 해당 사용자가 한번이라도 통화한 적이 있는 사람에 대해서 그 이름, IP주소, 전화번호를 기록한 개인통신명부를 만들어, 해당 사용자의 로그인시마다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evice creates a personal communication list that records the name, IP address, and telephone number for the person that the user has ever made a call 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ervers, and provides it to the user every time the user logs in.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상기 장치는 기 단말기의 사용자인터페이스모듈에서 개인통신명부, 네이밍콜, 와일드카드 문자 검색에 대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데 있어서, 제1서버에서 제공하는 맞춤통신 정보를 이용하여 통화빈도순, 최근통화순, 알파벳순서 등으로 정렬됨을 특징으로 한다. 통화빈도수, 최근통화수 등의 맞춤통신정보는 제1서버에 의해 수집된 사용자통신정보를 바탕으로 제2서버에 의해 가공되어 제공되며, 정렬방식은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선택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vice outputs the results of the personal communication list, naming call, wildcard character search in the user interface module of the terminal to the user, using the personalized communic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first server in order of the frequency of the call, the latest Characterized in the order of currency, alphabetical order and the like. Personalized communication information such as the frequency of calls and the number of recent calls is processed and provided by the second server based on the user communication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first server, and the sorting method may be selected in advance by the user.

또한, 상기 장치는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에서 상대방으로부터 인터넷전화가 걸려온 경우 울리는 전화벨 소리를 다양하게 구비하고, 이를 친구, 직장, 가족 등에 따라 다른 전화벨 소리를 울리게 한다. 사용자는 통화 상대자별로 전화벨 소리를 사전에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은 전화가 걸려온경우 상대방의 이름을 확인하여 선택된 전화벨 소리가 울리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device has a variety of ringtones that ring when an Internet call is received from the other party in the user interface module of the terminal, and makes it ring different ringtones according to friends, work, family, and the like. The user can select a ringtone for each call party in advance, and the user interface module provides a function of checking the name of the called party so that the selected ringtone sounds when a call is received.

상술한 바와 같은 맞춤통신시스템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1) 고객의 통신정보가 수집되어야 하고, (2) 수집된 통신정보를 가공해야 하며, (3) 가공된 통신정보를 기반으로 고객의 구미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In order to realize the customized communication system as described above, (1) customer communication information must be collected, (2) collected communication information must be processed, and (3) based on the processed communication information. Provide services.

이에, 본 발명의 통신정보 수집은 고객의 자연스러운 통신행위를 기반으로 필요한 고객의 통신정보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고객의 인터넷 전화통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전화를 건 사람", "전화를 받은 사람", "통신서비스의 종류(전화, 팩스 등)", "통화시작시간", "통화종료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the necessary communication information of the customer based on the natural communication behavior of the customer. For example, "caller", "receiver", "type of communication service (telephone, fax, etc.)", "call start time", "end call time" during the course of the customer's Internet phone call. "Gather information about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맞춤통신서비스 제공장치는 기본적으로 직접접속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전자상거래와 같은 특수 응용분야에서는 서버중계 방식으로 동작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pparatus for providing a customized communication servic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adopts a direct access method, and may operate in a server relay method in a special application field such as an electronic commerce.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맞춤통신서비스 제공장치는 인터넷전화를 위한 IP주소의 변환을 위하여 제1서버를 게이트키퍼로 사용하며, 전화번호, 도메인네임, URL 등과 같이 인위적인 명칭 뿐만 아니라 사람의 이름을 직접 사용할 수 있다. 즉, 평소 대화에 자연스럽게 사용되는 이름을 인터넷 전화에서 상대방을 구분 (identification)하기 위하여 사용함으로써 전화번호나 도메인네임, URL 등을 별도로 기억할 필요가 없다.In addition, the apparatus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communication servic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first server as a gatekeeper for converting an IP address for an Internet phone, and not only an artificial name such as a telephone number, a domain name, a URL, etc. Can be used directly. In other words, by using a name that is naturally used in conversations to distinguish the other party from the Internet phone (phone number, domain name, URL, etc.),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remember.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맞춤통신서비스에서 여러 명의 동명인이 있어 이름으로 상대방을 유일하게 구분할 수 없을 경우에는 개인통신명부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이 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공되는 개인통신명부는 고객을 유일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이름과 함께 추가정보[예: 가입자 아이디(user id)나 나이 등]를 사용하며, 이 때 화면에 출력시 이름과 추가정보를 동시에 제공함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상대방을 지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ersonalized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f there are several people with the same name and cannot distinguish the other party by name, the personal communication list is provided so that the customer can select one of them. The personal communication list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uses additional information (for example, user ID or age) together with the name to distinguish the customer uniquely. By providing it at the same time, the user can designate a specific counterpart.

인터넷전화에서 사용되는 게이트키퍼는 통화를 원하는 상대방의 IP 주소를 알려주기 위하여 호설정(call setup)시마다 개입해야 하는데, 본 발명에 의한 장치에서는 이 경우마다 통화상대자, 통화시간 등의 통화정보를 수집하여 가공한 후 이를 이용하여 고객의 요구에 적합한 맞춤통신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한번이라도 통화를 한 적이 있는 사람의 이름을 수집하면 기존의 전화번호부와 같은 개인통신명부를 만들 수 있고, 고객이 상대방의 이름을 입력하면 즉시 해당자의 IP 주소를 제공해 줄 수도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홍길동" 중에서 "홍길" 처럼 이름중의 일부만 입력하여도 이와 일치하는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 출력 리스트는 통화빈도나, 최근 통화 순서에 따라 정렬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The gatekeeper used in the Internet phone has to intervene at every call setup in order to inform the IP address of the other party who wants to make a call. In this case, the device collects call information such as a call partner and talk time. After processing, it provides customized communication service suitable for customer's needs. In other words, if you collect the name of a person who has made a call once, you can create a personal communication list like the existing phone book, and if the customer enters the other person's name, it can provide the person's IP address immediately. For example, even if only a part of the name, such as "honggil" among the "honggildong" can be entered, a list corresponding to this can be output, and this output list can be provided by sorting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calls or the recent call order.

이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전화는 통화품질은 우수하지만 통화시 통신회선을 독점하기 때문에 비용이 비싸고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하기 어려운 기존의 전화서비스와는 달리 부가서비스(value added service) 면에서 기존 전화서비스 보다 월등한 장점을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ternet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call quality but is expensive because it monopolizes the communication line during the call and is difficult to provide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It can have superior advantages.

그리고, 일반적인 전화통화의 진행과정에서 볼 때, 하나의 호(Call)는 호설정과정(call setup phase), 통화과정(information phase), 그리고 호종료과정(call release phase)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호종료과정은 호를 종료시키고 필요한 통신정보만 수집하면 되므로 맞춤통신서비스 제공과는 직접 관련이 없고, 통화과정도 고객의 통신비밀을 유지해야 하므로 이에 대한 개입은 있을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맞춤통신서비스는 주로 호설정과정에 관련이 있게 된다.And, in the process of general telephone call, one call can be divided into call setup phase, information phase, and call release phase. The termination process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ovision of personalized communication service because it only needs to terminate the call and collect the necessary communication information, and the call process cannot maintain the communication secret of the customer. Therefore, the personalized communic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related to the call setup process.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이러한 전화통화 과정중, 호설정을 보다 쉽도록 하여 다음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easier to set up a call during the telephone call process, so that the following services can be provided.

(1) 네이밍콜(Naming call) 서비스 : 전화번호, 도메인네임, IP 주소, 및 URL 등을 사용하지 않고, 상대방의 이름을 입력하면 통신하고자 하는 상대방을 접속시켜 주는 서비스이다. 이름이 일치하는 사람이 여러 명이면 일치하는 사람의 목록(이 목록에는 사용자 아이디(ID)와 같은 부가정보가 추가되어 이름이 같은 사용자의 구분이 가능함)를 보여주고 이 중에서 한명을 선택하면 상대방에 접속된다. 물론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이름 뿐만 아니라 전화번호, 도메인네임, 그리고 사용자 아이디 등을 병행하여 이용할 수도 있고, 고객의 선호도에 따라 어느 것을 사용할 것인지 선택할 수도 있다.(1) Naming call (Naming call) service: A service that connects a counterpart to communicate by inputting a counterpart's name without using a phone number, domain name, IP address, and URL. If more than one person matches the name, you will see a list of matching people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a user ID is added to this list to distinguish users with the same name). Connected. Of course,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not only a name but also a phone number, a domain name, and a user ID may be used in parallel, or according to a customer's preference, which one may be used.

(2) 와일드 카드 문자 콜(Wild card character Call) 서비스 : 네이밍콜 서비스에서는 이름 전체를 입력하지만 와일드카드 문자 콜서비스는 이름 중에서 일부분만 입력하여 상대방을 접속하는 서비스이다. 즉 "홍길동" 대신에 "홍길"만 입력하여도 해당 고객의 개인통신명부에서 "홍길"이라는 글자가 들어가는 사람의 리스트를 출력하고 이 중에서 한 명을 선택하면 상대방에 접속된다.(2) Wild card character call service: In the naming call service, the entire name is entered, but the wild card character call service is a service which accesses the other party by inputting only a part of the name. That is, even if only "Hong Gil" is entered instead of "Hong Gil Dong", the personal communication list of the customer outputs a list of characters containing "Hong Gil" and selects one of them to connect to the other party.

(3) 로그인전화 서비스: 맞춤통신서비스를 사용하려면 로그인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 과정을 거치면 해당 PC는 로그인한 고객의 인터넷 전화단말기로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전화기처럼 전화기마다 전화번호가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위치에 있는 PC라도 로그인 과정을 수행하면 해당 고객의 단말기가 될 수 있는 서비스이다.(3) Login Phone Service: To use the customized communication service, you must go through the login process. After this process, the PC will operate as the Internet phone terminal of the logged in customer. Therefore, the phone number is not fixed to each phone like a conventional phone, but a service that can be a terminal of a corresponding customer if a PC in any location performs a login process.

(4) 부재중메시지 서비스 : 상대방의 인터넷 전화기가 꺼져 있는 경우에나 전화를 받을 수 없어 직접 인터넷 전화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 문자나 음성 형태의 부재중 메시지를 남길 수 있다. 사용자는 인터넷 전화의 로그인시나 이미 로그인되어 있는 경우에는 부재중 메시지 확인 기능을 통하여 자신에게 도착한 부재중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4) Missed message service: If the internet phone of the other party is turned off or the telephone cannot be answered because it is not possible to receive a call, the missed message in the form of text or voice can be left. The user can check the missed message that has arrived at the user through the missed message check function when the Internet phone is logged in or when the user is already logged in.

(5) 개인통신명부 서비스: 기존의 개인별 전화번호부 같이, 각 고객별로 개인통신명부를 제공하며, 이는 한번이라도 통신한 적이 있는 사람이면 이 개인통신명부에 자동으로 등재된다. 통신할 때는 개인통신명부중 관련된 부분만을 화면에 출력하고 이중에서 한 명을 선택하면 상대방에 접속된다.(5) Personal communication list service: Like the existing personal phone book, a personal communication list is provided for each customer, which is automatically registered in this personal communication list if the person has communicated at least once. When communicating, only relevant parts of the personal communication list ar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one of them is connected to the other party.

(6) 다중벨 기능 서비스 : 인터넷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 상대방에 따라 다른 전화벨 소리가 울리게 할 수 있다. 이는 전화벨 소리만으로 전화를 건 상대방을 알 수 있으며, 필요한 전화나 우선순위가 있는 전화를 구별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6) Multi-bell function service: In case of internet call, different phone ringing sound can be made according to the other party. This allows you to know who is calling you by just ringing the phone and can b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calls that you need or have priority.

(7) 정렬 서비스: 네이밍콜 서비스, 와일드카드 문자 콜 서비스, 검색서비스 등에서 출력되는 목록에 다수의 사람이 포함되는 경우, 나열하는 순서를 통화빈도, 최근 통화 순서, 알파벳 순서 등으로 정렬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정렬 순서는 개인의 통신행위를 바탕으로 시간대, 혹은 지역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다. 즉 오전 10시에 제공되는 정렬 순서와 오후 2시에 정렬 순서는 달라지며,동일한 사용자일지라도 부산에서 제공되는 정렬 순서와 서울에서 제공되는 정렬 순서는 달라질 수 있다.(7) Sorting service: When the list output from naming call service, wildcard call service, search service, etc. includes a large number of people, the order of listing is provided by sorting by frequency, recent call order, alphabetical order, etc. It is a service. This sort order may be applied differently according to time zone or region based on individual communication behavior. That is, the sort order provided at 10 am and the sort order at 2 pm are different, and even the same user may have a different sort order provided in Busan and a sort order provided in Seoul.

(8) 그룹관리 서비스: 개인통신명부를 성씨별이나 회사별과 같이 그룹을 지어 분류하고 관리하는 서비스이다. 그룹의 생성 및 삭제, 그룹간에 고객명단의 이동도 가능하다.(8) Group management service: A service that classifies and manages personal communication list in groups such as last name or company. You can also create and delete groups, and move customer lists between group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맞춤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communication servic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통신서비스 제공장치의 전체 구성 예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실제 사용자가 인터넷전화 통화에 사용하는 단말기(1), 상기 사용자의 요구를 접수하여 등록된 사용자에 대해 전화연결을 허락하고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연결시마다 통신정보를 수집하는 제1서버(2), 그리고 제1서버(2)로 부터 사용자의 원시 통신정보를 받아 가공하고 이 결과를 제1서버(2)에 보내며 제1서버(2)의 동작을 감시하고 제1서버(2)의 고장시에 그 기능을 대신하는 제2서버(3)로 구성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custom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user to use a telephone (1) for an Internet telephone call, a telephone connection to a registered user by receiving a request from the user, and provides various additional services. Receive and process the raw commun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from the first server (2), and the first server (2) to collect the communication information every time of connection and sends the result to the first server (2) and the first server (2) It consists of a second server (3) which monitors the operation of and replaces its function in case of failure of the first server (2).

이때,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단말기(1), 제1서버(2) 및 제2서버(3) 들은 인터넷(4)를 통하여 상호 연결되며, 호접속시간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1서버(2)는 일정 지역마다 설치하며, 하나의 제2서버(3)는 여러 제1서버(2)를 담당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erminal 1, the first server 2 and the second server 3, which are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r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4, and the first server 2 to improve the call connection time. Is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ne second server (3) can be configured to handle several first servers (2).

상기에서, 단말기(1)는 네트워크인터페이스카드와, 사운드카드 및 인터넷전화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PC로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고 압축한 후 패킷으로 만들어 인터넷으로 전송하고, 인터넷을 통해 전송된 음성데이타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시키는 장치이다. 특히, 인터넷전화용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맞춤통신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여러가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기능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 단말기(1)로서 인터넷전화기능을 갖는 별도의 전용 단말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the terminal 1 is a PC equipped with a network interface card, a sound card and an Internet phone program. The terminal 1 receives a user's voice signal, converts it into a digital signal, compresses the packet, and transmits the packet to the Internet. It converts the voice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voice signal and outputs it. In particular, the Internet telephony program includes a user interface function that allows a user to use various functions provided by a personalized communication service. As the terminal 1, a separate dedicated terminal having an internet telephone function can also be used.

그리고, 제1서버(2)는 단말기(1)로부터 사용자의 요구를 접수하고, 제2서버(3)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통신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제1서버(2)는 단말기(1)로부터 사용자이름을 받아 그에 따른 IP 주소를 알려주며, 아울러 통신정보를 수집하여 제2서버(3)에게 보고 하고, 제2서버(3)로부터 받은 고객의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고객이 원하는 맞춤 통신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제1서버(2)는 보다 신속하게 사용자의 요구를 처리하기 위해 자체 데이타베이스를 가지고 있다.Then, the first server 2 receives the user's request from the terminal 1, and provides a customized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user in conjunction with the second server (3). To this end, the first server 2 receives the user name from the terminal 1, informs the IP address accordingly, collects communication information, reports it to the second server 3, and receives the customer from the second server 3. Using the communication information of the customer provides a customized communication service. The first server 2 has its own database to handle user requests more quickly.

그리고, 제2서버(3)는 제1서버(2)로부터 고객의 원시 통신정보를 넘겨 받아 가공하고, 고객의 모든 정보를 저장하며, 제1서버(2)의 요청에 따라 고객에 적합한 통신정보를 제1서버(2)에게 보내는 기능을 담당한다. 아울러 상기 제2서버(3)는 제1서버(2)를 제어하고, 제1서버(2)의 고장시에는 제1서버(2)의 기능을 대신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서버(2)는 맞춤통신서비스를 위하여 등록된 사용자의 통신정보를 저장하기 위하여 자체 데이타베이스를 보유하고 있다.Then, the second server 3 receives and processes the original communication information of the customer from the first server 2, stores all the information of the customer, and at the request of the first server 2 communication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customer It is responsible for the function of sending to the first server (2). In addition, the second server 3 controls the first server 2, and replaces the function of the first server 2 when the first server 2 fails. The second server 2 has its own database for storing communication information of a user registered for a customized communication servic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통신장치에 있어서, 단말기(1)에 구비되는 사용자인터페이스(100)의 기능블럭도이다.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100)는 소프트웨어로구현되어, 맞춤통신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기(1)에 설치되는데, 도 1에 도시된 제1서버(2)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한다.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user interface 100 provided in the terminal 1 in the personalized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terface 100 is implemented in software and installed in a terminal 1 of a user who wants to receive a personalized communication service, and provides a personalized communication service to a user by interworking with the first server 2 shown in FIG. 1. An interface method is provid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인터페이스(100)는 크게 인터넷전화 맞춤통신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한 기능버턴부(110)와, 사용자인터페이스(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설정기능과 여러 가지 유용한 부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메뉴부(120)와, 사용자인터페이스(100)의 동작상태나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창부(14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user interface 100 includes a function button unit 110 for selecting an Internet phone personalized communication service, various setting functions and various useful additional functions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user interface 100. It is composed of a menu unit 120 for providing, and a display window unit 140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or a message of the user interface 100.

상기에서, 기능버턴부(110)는 맞춤통신시스템이 인터넷전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로, 로그인/로그아웃버튼(111), 전화걸기버튼(112), 전화끊기버튼(113), 문자채팅버튼(114), 부재중메시지버튼(115), 및 검색버튼(116)을 구비하여, 해당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마우스나 단축키를 사용하여 원하는 기능버턴을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인터페이스(100)는 선택된 기능버턴에 대응하는 맞춤통신서비스 기능을 수행한다.In the above, the function button unit 110 is an interface for the custom communication system to perform the Internet phone function, login / logout button 111, dialing button 112, the end button 113, the text chat button 114, an out-of-office message button 115, and a search button 116 are provided to provide a corresponding function.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function button using a mouse or a shortcut key, and the user interface 100 performs a custom communication servic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function button.

메뉴부(120)는 사용자인터페이스(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설정기능과 여러 가지 유용한 부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개인통신명부갱신(121), 최근통화기록보기(122), 시스템설정(123), 파일전송(124), 쪽지보내기(125), 대화방 가기(128), 홈페이지 가기(129), 도움말(130), 버젼정보(131), 아이콘표지(132), 프로그램종료(133)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마찬가지로 마우스나 단축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으며,사용자인터페이스(100)는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menu unit 120 is an interface for providing various setting functions and various useful additional function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user interface 100. The personal communication list update 121, the recent call log view 122, and the system setting ( 123), file transfer 124, message sending (125), chat room (128), homepage (129), help (130), version information (131), icon cover (132), program termination (133), etc. Provides the functionality of The user may similarly select a desired menu using a mouse or a shortcut key, and the user interface 100 perform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nu.

표시창부(140)는 사용자인터페이스(100)의 동작과 관련된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출력해 주는 창으로, 메시지표시창(141), 상태표시창(142), 음량표시창(143), 통화시간표시창(144) 등으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통화상대자의 이름을 입력하고, 통화중에 표시창에 출력되는 여러가지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Display window 140 is a window for outputting a message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interface 100 to the user, the message display window 141, status display window 142, volume display window 143, call time display window 144, etc. It consists of. The user can enter the name of the call partner and check various messages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during the call.

다음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100))의 각 기능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Next, each function of the user interface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사용자인터페이스(100)의 로그인/로그아웃 기능버턴(111)은 사용자가 맞춤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제1서버(2)에 접속하거나 해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로그인과정에서 사용자는 사전에 등록된 아이디(ID)와 패스워드를 사용하여 제1서버(2)로부터 자신이 정당한 맞춤통신서비스의 사용자임을 인증받는다. 로그인되지 않은 사용자인터페이스(100)는 로그인/로그아웃 기능버턴(111)을 제외한 모든 기능버턴 및 메뉴들이 동작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맞춤통신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반드시 제1서버(2)나 제2서버(3)에 로그인해야 한다.The login / logout function button 111 of the user interface 100 is used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the first server 2 to which the user provides a personalized communication service. In the login process, the user is authenticated as a user of a legitimate personalized communication service from the first server 2 by using a previously registered ID and password. The user interface 100 which is not logged in does not operate all function buttons and menus except the login / logout function button 111. Therefore, in order to receive the customized communic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ust log in to the first server 2 or the second server 3.

사용자가 상기 로그인/로그아웃기능버튼(111)을 선택할 때,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100)의 동작은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로그인 상태인지 로그아웃 상태인지를 확인한다(S2). 로그아웃 상태이면 제1서버(2)에 로그인하는 과정을 수행하는데, 이렇게 로그인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제1서버(2)를 선택하고(즉, 서비스 지역 선택), 사용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해야 한다(S3,S4). 사용자의 입력이 완료되면 사용자인터페이스(100)는 사용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가포함된 로그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1서버(2)로 보내고, 그 결과로 받은 제1서버(2)의 응답메시지를 상태표시창에 표시한다(S5,S6). 이때, 제1서버(2)에 대한 로그인이 실패하면 상기 로그인 과정(S3~S6)을 다시 수행하고(S7), 로그인이 성공하면 사용자로 하여금 맞춤통신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사용자인터페이스(100)의 각 기능들을 활성화한다(S8). 또한, 로그아웃되어 있는 동안에 해당 사용자에게 도착한 부재중메시지를 제1서버(2)로부터 가져와서 출력한다(S9).When the user selects the login / logout function button 111, as shown in FIG. 3A, the operation of the user interface 100 confirms whether the user is currently logged in or logged out (S2). If the user is logged out, the first server 2 is logged in. During this login, the user selects the desired first server 2 (ie, selects a service area) and inputs the user's ID and password. (S3, S4) When the user's input is completed, the user interface 100 generates a login message including the user's ID and password, sends the generated login message to the first server 2, and as a result, the response message of the first server 2 received is displayed in the status display window. (S5, S6). At this time, if the login to the first server 2 fails, the log-in process (S3 ~ S6) is performed again (S7), and if the login is successful, the user interface 100 to enable the user to use a custom communication service Activate each function of (S8). In addition, while the user is logged out, the absence message arriving at the user is taken from the first server 2 and outputted (S9).

반대로, 상기 사용자에 의해 로그인/로그아웃 기능버턴(111)이 선택되었을 때(S1) 로그인 상태이면 로그아웃 과정을 수행하는데, 사용자에게 로그아웃을 할 것인지를 확인한 다음(S10), 해당 사용자가 로그아웃한다는 로그아웃 메시지를 제1서버(2)에 보내어 이에 대한 처리결과를 받아 상태표시창에 표시한다(S11,S12). 그리고, 로그인/로그아웃버턴(111)을 제외한 모든 사용자인터페이스(100)의 기능을 중지시킨다(S13).On the contrary, when the login / logout function button 111 is selected by the user (S1), if the user is logged in, a logout process is performed. After confirming whether to log out to the user (S10), the user logs. Sending a logout message to the outgoing to the first server (2) receives the processing result for this and displays on the status display window (S11, S12). Then, all functions of the user interface 100 except for the login / logout button 111 are stopped (S13).

다음 사용자 인터페이스(100)의 전화걸기 기능버턴(112)은 사용자에게 인터넷전화걸기에 필요한 맞춤통신정보를 생성하여 전화번호부 형태의 개인통신명부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개인통신명부에서 선택한 통화 대상자에게 인터넷전화를 걸기위한 것으로, 사용자는 자신의 취양에 맞추어 맞춤통신정보의 처리방법을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인터페이스(100)는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맞는 맞춤통신용 개인통신명부를 제1서버(2)로부터 받아 제공한다.Next, the dialing function button 112 of the user interface 100 generates a personalized communication information necessary for making an Internet phone call to the user, and provides a personal communication list in the form of a phone book, and provides the Internet with a callee selected by the user in the personal communication list. In order to make a call, a user may select a method of processing personalized commun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his or her preference, and the user interface 100 receives a personal communication list for personalized communication that meets the user's requirements from the first server 2. to provide.

즉,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걸기 기능버턴(112)이 선택되면(S14),사용자인터페이스(100)는 제1서버(2)로부터 로그인된 사용자의 맞춤통신정보를 요청하여 받아오고(S15), 이를 사전에 사용자가 선택한 맞춤정보의 처리방법에 따라 별도의 개인통신명부창(도시하지 않음)을 생성하여 제공한다(S16,S17). 이 단계에서 사용자는 개인통신명부 관리, 전화걸기, 그리고 맞춤통신 처리 방법 변경 기능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개인통신명부 관리기능을 선택하면 새 항목의 등록 및 삭제, 사용자 그룹의 생성 및 삭제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S19). 그리고 전화걸기 기능을 선택하면 개인통신명부창이 닫히면서 선택한 통화대상자에게 인터넷전화를 건다(S20). 이때 통화대상자가 인터넷전화를 받으면 상대방이 전화를 받았다는 것을 알리는 효과음과 함께 통화가능 상태가 되며(S21,S22), 인터넷 전화연결에 대해 기록한 전화연결정보를 작성하여 제1서버(2)에게 통보한다(S23). 통화대상자와의 인터넷전화 연결에 실패할 경우, 통화대상자의 상태, 예를 들어, 통화중인지 부재중인지를 판단하여 사용자인터페이스(100)의 상태표시창(142)에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출력하면서 부재중메시지를 남길 수 있도록 별도의 창을 연다(S21,S24,S25). 부재중메시지남기기 창에서 사용자는 통화대상자에게 남기고 싶은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된 메시지는 제1서버(2)로 전송되어 통화대상자가 나중에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1서버(2)에 저장된다(S26).That is, as shown in Figure 3b, when the dialing function button 112 is selected (S14), the user interface 100 receives and receives the customized communication information of the logged-in user from the first server 2 ( S15), and generates and provides a separate personal communication list window (not shown) according to the processing method of the personalized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in advance (S16, S17). In this step, the user can select one of the functions of managing personal communication list, making a call, and changing a personalized communication method. If the personal communication list management function is selected, functions such as registration and deletion of a new item and creation and deletion of a user group can be performed (S19). When the dialing function is selected, the personal communication list window is closed to make an internet call to the selected call target (S20). At this time, when the callee receives an internet call, the caller becomes available with a sound indicating that the other party has received the call (S21, S22), and writes the telephone connection information recorded on the Internet telephone connection and notifies the first server 2. (S23). If the call fails to connect to the Internet phone, the status of the callee, for example, whether the call is busy or not, and outputs the missed message while the user is informed on the status display window 142 of the user interface 100 Open separate windows to leave (S21, S24, S25). In the Leave Missed Message window, the user can enter a message that he / she wants to leave to the callee, and the entered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first server 2 and stored in the first server 2 so that the callee can check the message later. (S26).

그리고, 개인통신명부가 표시된 창에서 맞춤처리 방법 변경 기능을 선택할 경우에,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맞는 맞춤통신정보 처리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맞춤통신정보 처리방법에는 상대방을 지적하는 방법으로 이름, 사용자 아이디, 전화번호 등을 선택할 수 있고 통화대상리스트의 정렬순서는 통화빈도, 최근 통화순서, 그리고 알파벳순서에 따라 정렬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S27).In addition, when the personal communication method change function is selected in the window in which the personal communication list is displayed, the user can select a personalized communi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suited to his or her taste. In the method of processing personalized communication information, the name, user ID, telephone number, etc. can be selected by pointing out the other party, and the sorting order of the call target list can be set to sort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calls, recent call order, and alphabetical order (S27). ).

그리고, 통화가 완료되어, 통화중인 인터넷 전화를 끊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100)의 전화끊기 기능버튼(113)을 선택하는데, 이때, 전화를 끊기 전에 인터넷전화가 연결상태인지를 확인하고, 연결상태이면 통화상대자의 사용자인터페이스(100)에 인터넷전화의 연결해제메시지를 보낸다. 그리고, 인터넷전화가 끊어진 후에는, 인터넷전화 연결해제에 대한 기록을 제1서버(2)에 통보한다.In addition, when the call is completed and the user wants to hang up the internet call, the user selects the call off function button 113 of the user interface 100. At this time, before disconnecting the phone, check whether the internet call is connected. , If the connection state is connected to the user interface 100 of the call partner sends a disconnection message of the Internet phone. Then, after the internet telephone is disconnected, the first server 2 is notified of the record of disconnection of the internet telephone.

여기에서, 전화끊기 기능버턴(113)의 선택 시에 인터넷전화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면,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아이콘으로 작게 표시되도록 설정해도 된다.In this case, when the telephone disconnecting function button 113 is selected, if the Internet telephone is not connected, the user interface may be set to be displayed as a small icon.

다음으로, 사용자인터페이스(100)의 문자채팅기능버튼(114)은 인터넷 전화와 동시에 문자채팅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인터넷전화의 연결 도중에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다.Next, the text chat function button 114 of the user interface 100 is used to provide a text chat function at the same time as the Internet phone, it is a function that can be used only during the connection of the Internet phone.

이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채팅 기능버턴(114)이 선택되면(S33), 인터넷전화가 연결된 상태인지 체크한다(S34). 인터넷전화가 연결된 상태이면 문자채팅을 주고받을 수 있는 문자채팅창을 연다(S35). 그리고 통화상대자에게도 문자채팅창이 수행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보내고, 입력대기상태에 들어간다(S36,S37). 입력대기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문자채팅창에 문장입력, 문자채팅 종료, 그리고 통화상대자가 보낸 문자 메시지를 문자채팅창에 출력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문자채팅 창에서 문장을 입력하면 문자채팅 창에 표시하고(S38,S39), 통화상대자의 문자채팅창에도 표시될 수 있도록 통화상대자에게 전송한다(S40). 사용자가 문자채팅을 종료하면 문자채팅창을 종료하고 통화상대자에게문자채팅 종료를 요청한다(S41,S42). 입력대기상태에서 통화상대자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요청한 사항을 검사한다(S43). 수신한 메시지가 문자채팅 종료를 요청하는 것인 경우 문자채팅창을 닫아 문자채팅 기능을 종료한다(S44,S46). 수신한 메시지가 통화상대자가 보낸 문장인 경우에는 문자채팅창에 표시하고 입력대기 상태로 되돌아간다(S44,S45).This, as shown in Figure 3c, if the text chat function button 114 is selected (S33), it is checked whether the Internet phone is connected (S34). If the Internet phone is connected to open a text chat window that can send and receive text chat (S35). In addition, the call partner sends a message requesting that the text chat window is performed, and enters the input standby state (S36, S37). In the input standby state, it is possible to select a function of inputting a sentence in the text chat window of the user, ending the text chat, and outputting a text message sent by the call partner to the text chat window. When the user enters a sentence in the text chat window (S38, S39) and display in the text chat window of the call partner, it is sent to the call partner (S40). When the user ends the text chat, the user ends the text chat window and requests the call partner to end the text chat (S41, S42). When a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call partner in the input standby state, the requested item is checked (S43). If the received message is a request for ending the text chat, the text chat function is terminated by closing the text chat window (S44, S46). If the received message is a sentence sent by the call partner, it is displayed on the text chat window and returns to the input standby state (S44, S45).

그리고, 사용자인터페이스(100)의 부재중메시지 기능버턴(115)은 사용자가 인터넷전화를 받을 수 없는 동안에 자신에게 남겨진 메시지를 확인하는데 사용된다. 부재중메시지는 도 3b에 도시된 전화걸기 기능버턴(112)의 동작 알고리즘에 있어서, 전화걸기에서 전화연결에 실패한 경우, 상대방에게 문자나 음성형태의 메시지를 남길 수 있는데, 이때 이 부재중메시지는 제1서버(2)로 전송되어 저장된다(S25,S26). 제1서버(2)에 저장된 부재중메시지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로그인/로그아웃 기능버턴(111)의 동작에 의해 해당 사용자의 로그인이 성공한 후, 제1서버(2)에 저장되어 있는 부재중메시지를 가져와서 사용자에게 보여준다(S9). 로그인 후에도 부재중메시지 기능버턴(115)를 사용하여 수시로 부재중 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issed message function button 115 of the user interface 100 is used to check messages left to the user while the user cannot receive an Internet phone call. In the missed message in the operation algorithm of the dialing function button 112 shown in FIG. 3B, when the call fails to make a call, the missed message may leave a message in the form of a text or a voice to the other party.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2 and stored (S25, S26). The missed message stored in the first server 2 is stored in the first server 2 after the user logs in successfully by the operation of the login / logout function button 111 as shown in FIG. 3A. Take the missed message and show it to the user (S9). Even after login, the missed message function button 115 can be used to check the contents of the missed message at any time.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재중메시지 기능버턴(115)이 선택되면(S48), 해당 사용자인터페이스(100)는 제1서버(2)에 해당 고객에 대한 부재중메시지를 보내주도록 요청한다(S49). 이 때, 부재중메시지가 없으면 이를 사용자에게 통보한 후 기능을 종료하고(S57), 부재중메시지가 있으면 제1서버(2)로부터 가져와 부재중메시지 표시창에 내용을 출력한다(S51). 부재중메시지 표시창에서 부재중메시지를보낸 사람과 통화, 메시지의 확인/삭제 및 부재중메시지 표시창 종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S52). 여기서 부재중메시지를 보낸 사람과 통화하기를 원한다면 부재중메시지창으로부터 선택한 사람에게 전화걸기를 수행한다(S53,S54,S20). 그리고 메시지 확인 기능을 선택하면 선택한 메시지의 내용을 별도의 창에 출력하며, 삭제 기능을 선택하면 해당되는 부재중메시지를 목록에서 삭제한다(S55). 반면 부재중메시지창의 종료 기능을 선택하면 부재중메시지 창과 기능이 종료된다(S56).As shown in FIG. 3D, when the missed message function button 115 is selected (S48), the user interface 100 requests the first server 2 to send the missed message for the corresponding customer (S49). . At this time, if there is no missed message, the user is notified of this and the function is terminated (S57). If there is an missed message, the missed message is taken from the first server 2 and outputted to the missed message display window (S51). In the missed message display window, a call with the person who sent the missed message, the confirmation / deletion of the message, and the end of the missed message display window may be performed (S52). Here, if you want to talk to the person who sent the missed message, a call is made to the person selected from the missed message window (S53, S54, S20). If the message checking function is selected, the contents of the selected message are output to a separate window, and if the delete function is selected, the corresponding missed message is deleted from the list (S55). On the other hand, if the end function of the missed message window is selected, the missed message window and the function are terminated (S56).

그리고, 사용자인터페이스(100)의 검색 기능버턴(116)은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어를 사용하여 통화할 대상자를 쉽게 찾도록 하는 것으로, 이때 검색은 제1서버(2)의 데이타베이스에 등록된 모든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수행된다. 사용자는 시스템설정 메뉴(123)를 이용하여 검색 기능에 대한 맞춤처리 요구사항을 미리 설정해 놓을 수 있는데, 이 시스템 설정 메뉴(123)는 사용자의 개인정보, 단말기 시스템의 환경, 그리고 맞춤정보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설정 값 등을 지정하는 것으로, 이 시스템 설정 메뉴(123)가 선택되면 여러 설정항목들이 나타난 별도의 시스템 설정창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각각의 설정항목을 선택하거나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이 설정된 사항에 따라 사용자인터페이스(100)는 제1서버에서 보내온 검색된 결과를 정렬한다.In addition, the search function button 116 of the user interface 100 allows a user to easily find a target person to call using a desired search word. In this case, the search may be performed on all users registered in the database of the first server 2. Is performed as a target. The user may set a custom processing requirement for the search function in advance using the system setting menu 123. The system setting menu 123 may be used for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the environment of the terminal system, and the personalized information service. By specifying a user setting value, if the system setting menu 123 is selected, a separate system setting window showing various setting items is displayed, and the user can select each setting item or change the setting value. According to the set matters, the user interface 100 sorts the search results sent from the first server.

상기 검색은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 기능버턴(116)이 선택되면(S58), 사용자가 검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검색창이 만들어 진다(S59). 검색창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통화상대자의 이름이나 아이디 등과 같은 검색어를 입력하고 검색을 지시한다(S60). 그러면 단말기(1)의 사용자인터페이스(100)로부터검색어가 포함된 검색요청메시지가 제1서버(2)에 보내지고, 이에 제1서버(2)는 모든 사용자를 검색하여 그 결과 해당 단말기(1)로 송신한다(S61). 단말기(1)는 제1서버(2)가 보내 온 검색 결과값을 사용자가 시스템설정메뉴(123)를 통해 미리 설정해 놓은 맞춤처리 요구사항에 따라 정렬하여 검색결과창에 표시한다(S62). 검색결과창에서 사용자는 검색된 사람에 대한 통화, 통화상태체크/개인통신명부 등록과 종료 기능 등을 선택할 수 있다. 검색된 결과에서 통화대상자를 지정하여 통화 기능을 선택하면 검색결과창을 종료하고 전화걸기를 수행한다(S63,S64,S20). 그리고 통화상태체크 기능을 선택하면, 선택된 사람의 단말기(1)에게 메세지를 보내서 통화가능 여부를 체크하고 그 결과를 보여준다(S65). 한편 개인통신명부 등록 기능을 선택하면 제1서버(2)에 기록되어 있는 해당 사용자의 개인통신명부의 목록에 등록한다(S65). 그리고 종료 기능을 선택하면 검색결과창과 기능이 종료된다(S66).As shown in FIG. 3E, when the search function button 116 is selected (S58), a search window is created to allow a user to search (S59). In the search box, the user inputs a search word such as a name or ID of a desired call partner and instructs the search (S60). Then, a search request message including a search word is sent from the user interface 100 of the terminal 1 to the first server 2, whereby the first server 2 searches for all users and as a result, the terminal 1. (S61). The terminal 1 sorts the search result values sent from the first server 2 according to the custom processing requirements previously set by the user through the system setting menu 123 and displays them in the search result window (S62). In the search result window, the user can select a call for the searched person, call status check / personal communication register and end function. If the call function is selected by selecting the call target from the search results, the search result window is terminated and the call is made (S63, S64, S20). When the call state check function is selected, a message is sent to the terminal 1 of the selected person to check whether the call is possible and the result is displayed (S65). On the other hand, if the personal communication list registration function is selected, it is registered in the list of the personal communication list of the corresponding user recorded in the first server 2 (S65). If the end function is selected, the search result window and the function are terminated (S66).

상기 개인통신명부는 제1서버(2)가 사용자별로 미리 지정해 놓은 맞춤처리요구사항에 따라서 생성하여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서, 사용자인터페이스(100)의 개인통신명부갱신메뉴(121)를 통해서 사용자는 상기 개인통신명부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개인통신명부 갱신 메뉴(121)를 선택하면, 단말기(1)가 제1서버(2)에 요청하여 해당 사용자의 개인통신명부를 가져오며, 사용자가 단말기(1)를 조작하여 수정된 개인통신명부는 다시 제1서버(2)로 보내져 보관된다.The personal communication list is generated and retained according to a custom processing requirement previously specified by the first server 2 for each user. The personal communication list is updated through the personal communication list update menu 121 of the user interface 100. You can change the communication list. That is, when the user selects the personal communication list updating menu 121, the terminal 1 requests the first server 2 to bring the personal communication list of the user, and the user manipulates the terminal 1 to modify it. The personal communication list is sent back to the first server 2 for storage.

그리고, 사용자인터페이스(100)의 최근통화기록보기 메뉴(122)는 사용자가 로그인 한 후 최근에 통화한 10개의 통화내역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이 정보는 단말기(1)내에 보관되며, 로그아웃되면 자동으로 삭제되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최근통화기록보기 메뉴(122)를 선택하면 최근통화기록의 내용이 별도의 보기창에 출력되고, 이 창에서 통화기록 중에서 하나를 지정한 다음 통화기능을 선택하면, 최근통화기록 보기창이 종료되면서 선택한 통화기록에서 통화했던 통화대상자에게 전화걸기가 바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최근통화기록 보기창을 닫기위한 종료기능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recent call log view menu 122 of the user interface 100 shows the recent call history after the user logs in, and this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terminal 1 and is automatically logged out. To be deleted. That is, when the user selects the view recent call log menu 122, the contents of the recent call log are output in a separate view window. If one of the call logs is designated in this window and then the call function is selected, the view window of the recent call log is displayed. When the call is terminated, the called party can be immediately called from the selected call log. In addition, a closing function for closing the recent call log view window is provided.

또한, 사용자인터페이스(100)에서 파일전송 메뉴(124)는 인터넷전화를 연결하지 않고 상대방을 지정하여 파일을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에서 제공하는 파일전송은 사용자의 개인통신명부에 등록된 사람을 대상으로 제공되며, 그 동작은, 파일전송 메뉴(124)가 선택되면, 별도의 파일전송창이 표시되고, 여기에서, 사용자는 파일을 수신할 상대방과 전송할 파일을 지정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선택한 수신 상대방의 IP 주소를 제1서버(2)로부터 받은 다음, 해당 IP 주소로 선택된 파일을 전송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user interface 100, the file transfer menu 124 functions to transfer a file by designating a counterpart without connecting an internet phone. The file transfer provided here is provided to a person registered in the personal communication list of the user, and the operation is that, if the file transfer menu 124 is selected, a separate file transfer window is displayed, where the user can select a file You must specify a file to be sent with the other party. At this time, after receiving the IP address of the selected receiving counterpart from the first server 2, the selected file is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IP address.

또한, 상기 단말기(1)에 구비되는 사용자인터페이스(100)에서는 쪽지보내기 메뉴(125)도 포함되는데, 이 쪽지보내기 메뉴(125)는 인터넷전화를 연결하지 않고 간단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으로, 개인통신명부에 등재된 사용자를 대상으로 제공된다. 그 작용은 상기 파일전송과 마찬가지로, 쪽지보내기 메뉴(125)가 선택되면 쪽지보내기창이 표시되고, 여기에서, 사용자가 쪽지를 받을 수신자와 쪽지 내용을 작성하면, 단말기(1)측에서 제1서버(2)에 문의하여 수신자의 IP 주소를 가져와, 그 IP주소로 해당 수신자에게 쪽지를 전송한다.In addition, the user interface 100 provided in the terminal 1 includes a message sending menu 125. The message sending menu 125 transmits a simple message without connecting an Internet phone. It is intended for users listed in. As with the above-mentioned file transfer, when the message sending menu 125 is selected, a message sending window is displayed. Here, when a user writes a message to be received by the receiver and the message contents, the first server ( 2) inquire and get the recipient's IP address and send a message to the recipient.

또한, 상기 단말기(1)에 구비되는 사용자인터페이스(100)에서는 시스템설정메뉴(123)을 포함하는데, 사용자인터페이스(100)를 통하여 제공받는 맞춤통신서비스와 관련 기본 설정을 하는 곳으로, 네이밍콜, 검색 및 개인통신명부의 출력시 정렬방식을 지정할 수 있으며, 인터넷 전화를 걸어오는 경우 전화벨 소리가 전화건 상대방에 따라 다르게 울릴 수 있도록 지정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In addition, the user interface 100 provided in the terminal 1 includes a system setting menu 123, which is a place where basic settings related to the personalized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100, naming call, You can specify the sorting method for searching and printing the personal communication list, and it also includes a function to specify that the ringing tone sound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alling party when making an Internet call.

그외, 부가적인 서비스로, 대화방 가기와 홈페이지 가기 메뉴(128,129)를 제공하는데, 대화방 가기(128)는 웹 채팅을 제공하는 웹 페이지로 가게 해주며, 홈페이지 가기(129)는 맞춤정보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필요한 사용자 등록과 단말기 프로그램을 얻을 수 있는 웹 페이지로 가게 해준다. 즉, 대화방가기나 홈페이지가기 메뉴(128, 129)가 선택되면, 단말기(1)내에 지정되어 있는 대화방의 웹 페이지나 홈페이지의 URL 주소를 가져와, 웹 브라우저의 URL 주소를 변경하게 된다.In addition, as an additional service, a chat room go and a homepage go menu (128,129) are provided. The chat room go (128) takes you to a web page that provides web chat, and the homepage go (129) is provided with a personalized information service. This will take you to a web page where you can obtain the necessary user registration and terminal program. That is, when the chat room or homepage menus 128 and 129 are selected, the URL address of the web page or home page of the chat room specified in the terminal 1 is taken to change the URL address of the web browser.

또한, 도움말과 버젼정보 메뉴(130,131)를 부가하여, 사용자에게 사용자인터페이스(100)의 사용법과 프로그램의 버젼에 대하여 알려주도록 한다. 이 작용은 간단하게, 해당 메뉴선택시 도움말과 버젼정보의 내용을 담은 파일을 찾아 사용자의 단말기 화면에 출력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아이콘 표시 메뉴(132)를 부가하여, 사용자인터페이스(100) 창을 아이콘화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단말기(1) 시스템이 사용자인터페이스(100)를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부하를 최소화시키는 것이다.In addition, help and version information menus 130 and 131 are added to inform the user about the usage of the user interface 100 and the version of the program. This operation simply consists of finding a file containing the contents of help and version information when selecting the corresponding menu, and outputting the file to the user's terminal screen. By adding an icon display menu 132, the user interface 100 icon is displayed. Make it happen. That is, the terminal 1 system minimizes the load required to drive the user interface 100.

또한, 프로그램 종료 메뉴(133)는 사용자인터페이스(100)를 단말기(1)에서 삭제하는 것으로, 단말기(1)가 제1서버(2)로 부터 로그아웃 상태에서만 실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gram termination menu 133 deletes the user interface 100 from the terminal 1, and may be executed only when the terminal 1 is logged out of the first server 2.

다음은, 표시창부(140)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the display window 140 will be described.

상기 표시창부(140)에서 메시지창(141)은 제1서버(2)로부터 보내온 메시지를 출력하는 곳이며, 음량표시창(143)은 인터넷 전화가 진행되는 동안 송신자와 수신자의 음성출력레벨을 보여주는 곳이다. 그리고 통화시간 표시창(144)은 인터넷 전화가 연결된 시간을측정하여 보여주는 곳이다.In the display window 140, the message window 141 is a place for outputting the message sent from the first server 2, the volume display window 143 is a place showing the voice output level of the sender and the receiver during the Internet call to be. And the call time display window 144 is a place measuring and showing the time that the Internet phone is connected.

한편, 상태표시창(142)은 사용자의 명령에 대해 수행결과를 보여주는 곳으로, 사용자가 수신자의 이름으로 전화하는 네이밍콜(Naming Call)을 위한 통화상대자의 이름입력창으로도 사용된다. 상기 상태표시창(142)은 도 3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인터페이스(100)가 실행되어 나타나면, 대기상태로 있다가(S123), 단말기(1)가 출력할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S124), 표시창 출력모듈를 통하여 메시지를 출력하고(S125,S126), 사용자가 상태표시창에서 통화대상자의 이름을 바로 입력하면, 이는 네이밍콜 처리로 인식하여, 네이밍콜 기능을 수행한다(S127,S128). 이때 단말기(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이름을 키로 하여 제1서버(2)에 정보검색을 요청한다(S129). 검색결과, 사용자가 입력한 이름에 맞는 항목을 찾을 수 없으면 네이밍콜은 종료되고(S131), 검색결과가 한명이면 그 사람을 통화대상자로 하여 바로 도 2b의 전화걸기(S20~S26)가 수행된다. 반면 검색결과가 두명 이상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사람을 골라 통화를 할 수 있도록 검색창을 띄워 결과를 보여준다(S132, S133, S134), 여기에서, 사용자가 한 사람을 선택하여 전화걸기를 수행할때,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화걸기과정이 수행된다(S20~S26).On the other hand, the status display window 142 is a place showing the performance results for the user's command, it is also used as the name input window of the call partner for the naming call (User Call) to call the name of the receiver. As shown in FIG. 3F, when the user interface 100 is executed, the status display window 142 remains in a standby state (S123), and when the terminal 1 receives a message to be output (S124). In operation S125 and S126, the message is output through the display window output module (S125 and S126), and when the user directly inputs the name of the callee in the status display window, it is recognized as a naming call process and performs a naming call function (S127 and S128). At this time, the terminal 1 requests information search from the first server 2 using the name input from the user as a key (S129). As a result of the search, if the user cannot find an item matching the name, the naming call is terminated (S131). If the search result is one, the call of FIG. 2B is immediately performed using the person as the call target (S20 to S26). .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more than one search result, the user opens a search box so that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person to make a call (S132, S133, S134), where the user can select one person and make a call. At this time, the dialing process as shown in Figure 2b is performed (S20 ~ S26).

이상, 사용자측의 단말기(1)에서의 동작 및 사용자인터페이스(100)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이제, 지역별로 구비되는 제1서버(2)에 대하여 설명한다.In the above, the operation in the terminal 1 on the user side and the function of the user interface 100 have been described. Now, the first server 2 provided for each region will be described.

도 4는 상기 단말기(1)의 사용자를 확인한 후, 해당 사용자에 대한 통신정보를 수집하여 제2서버(3)에게 보내고 제2서버(3)가 보내온 가공된 통신정보를 이용하여 맞춤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서버(2)의 기능블럭도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서버(2)는 로그인 모듈(S202)과, 개인정보 및 환경설정 모듈(S203), 통화 모듈(S207), 로그아웃 모듈(S206), 제2서버요청처리 모듈(201), 및 부가서비스 모듈(S204)로 구성된다.4, after confirming the user of the terminal 1, collects the communication information for the user and sends it to the second server (3) using the processed communication information sent by the second server (3) A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first server 2 to be provided, as shown in FIG. 4, the first server 2 includes a login module S202, a personal information and environment setting module S203, and a call module S207. , A logout module S206, a second server request processing module 201, and an additional service module S204.

상기에서, 로그인 모듈(S202)은 사용자의 로그인요청이 들어오면 처리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맞춤통신서비스를 받고자 할 때, 즉, 사용자가 로그인을 요청하면, 등록된 사용자인지를 인증하고, 인증된 사용자에 한해 제2서버(3)의 요청처리모듈(S20)을 통하여 그 사용자의 가공된 통신정보를 제2서버(3)에게 요청하여 가져오도록 동작한다.In the above, the login module S202 is processed when a login request of the user comes in. When the user wants to receive a personalized communication service, that is, the user requests a login, the login module S202 authenticates whether the user is a registered user and authenticates the authenticated user. Only through the request processing module (S20) of the second server (3) operates to request and obtain the processed commun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second server (3).

그리고, 개인정보 및 환경설정 모듈(S203)은 로그인한 사용자에 대하여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사용할 제1서버의 목록과 제2서버 정보를 제공하고, 아울러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1)의 IP 정보를 로그인시마다 갱신하고, 로그아웃되어 있는 사용자에게 통화요구가 있을 경우, 부재중메시지를 처리해 주며, 사용자의 개인통신명부를 제공한다.The personal information and environment setting module S203 provides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logged-in user, and provides a list of the first server and the second server information to be used by the user, and a terminal used by the user ( The IP information of 1) is updated every time the login is performed, and when the logged out user requests a call, the missed message is processed and the user's personal communication list is provided.

그리고, 통화 모듈(S207)에서는 사용자가 상대방의 이름을 입력하여 전화걸기를 요청하면, 제1서버(2)에서는 해당 이름에 맞는 대상자의 목록을 단말기(1)측으로 제공하고, 송수신 단말기간(1,5)에 전화가 연결되면 통화시작시간을 기록하며, 통화가 종료될 때도 통화종료시간을 기록하여 사용자의 통화시간을 측정하고맞춤통신서비스에 필요한 원시 통화 정보를 수집한다.In addition, in the call module S207, when a user requests a call by inputting a name of the other party, the first server 2 provides the terminal 1 with a list of the target person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name, and transmits and receives between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terminals (1). 5) records the call start time when the call is connected, and records the call end time even when the call is terminated to measure the user's call time and collect the raw call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personalized communication service.

그리고, 로그아웃 모듈(S206)은 사용자가 서비스를 종료할 때 수행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서비스종료를 요청하면, 해당 사용자의 원시 통화 정보를 제2서버(3)에게 송신한다.The logout module S206 is performed when the user terminates the service. When the user requests the service termination, the logout module S206 transmits the original call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user to the second server 3.

그리고, 제2서버요청처리 모듈(S201)은 제2서버(3)가 제1서버(2)를 제어하는 명령을 보내오면 이를 수행하거나, 제2서버(3)로부터 가공된 맞춤통신정보를 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대기(Idle) 상태(S206)는 로그인한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부가서비스 모듈(S204)은 사용자로부터 검색, 부재중메시지, 알람콜, 호전달(call forwarding), 수신거부와 같은 통화 이외의 부가적인 서비스 요청이 들어 왔을 때 이를 처리해 주는 모듈이다.Then, the second server request processing module S201 performs this when the second server 3 sends a command to control the first server 2 or receives the customized communication information processed from the second server 3. Perform the functions provided to the user. The idle state S206 indicates a state of waiting for a service request of a logged-in user. The additional service module (S204) is a module that processes additional service requests other than calls such as search, missed message, alarm call, call forwarding, and rejection from the user.

그리고, 상기 제1서버(2)는 다음의 표 1과 같은 구조의 데이타베이스를 구비하고 있다.The first server 2 has a database having the structure shown in Table 1 below.

제1서버의 데이타베이스구조Database structure of the first server 테이블명Table name 용도Usage membermember 사용자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테이블Table that stores user personal information logmember1logmember1 사용자의 통화시간를 저장하는 테이블Table to store user's talk time pntablepntable 사용자의 개인통신명부를 저장하는 테이블Table that stores personal communication list of user user_customizeuser_customize 사용자의 가공된 통신정보를 저장하는 테이블Table to store user's processed communication information miscallmiscall 부재중메시지를 저장하는 테이블Table to store missed messages pngrouppngroup 개인통신명부의 그룹정보를 저장하는 테이블Table that stores group information of personal communication list pushpush 광고메시지를 저장하는 테이블Table to store advertising message lpnlistlpnlist 등록된 제1서버의 목록 테이블List table of registered first server gpnlistgpnlist 제2서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테이블Table for providing second server information

상기 표와 같이, 제1서버(2)의 데이타베이스는 사용자의 로그인시 등록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의 정보와, 로그인된 사용자에게 제공할 정보 및 맞춤통신서비스를 위한 여러가지 정보, 즉, 사용자의 개인정보, 통화시간, 개인통신명부, 통신정보, 부재중메시지 등을 저장하는 다수의 테이블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above table, the database of the first server 2 includes information of the user for checking whether the user is registered at the time of login,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logged-in user, and various information for personalized communication services, that is, the user's information.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tables that store personal information, call time, personal communication list, communication information, missed messages, and the like.

상기 제1서버(2)의 데이타베이스를 구성하는 여러 테이블 중 몇 개의 테이블에 대한 구조를 예를 들면 다음의 표 1a ~ 표 1f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tructure of some of the several tables constituting the database of the first server 2 can be configured as shown in Tables 1a to 1f below.

member 테이블의 구조member table structure 필드이름Field name 용도Usage m_namem_name 개인 사용자 이름Personal username m_idm_id 식별자(Identifer)Identifer m_passwdm_passwd 암호(password)Password m_pntelm_pntel 전화번호Phone number m_ipaddressm_ipaddress 개인 사용자의 IP 주소IP address of individual user m_serialm_serial serial numberserial number m_pnflagm_pnflag 개인통신명부 변경 여부Change of Personal Communication List

logmember1 테이블의 구조structure of the logmember1 table 필드이름Field name 용도Usage l_seriall_serial 전화건 사람의 serial numberCaller's serial number l_dseriall_dserial 전화받은 사람의 serial numberCaller's serial number l_timeflagl_timeflag 통화시작 유무(통화시작이면 1, 통화끝이면 2)Call start status (1 if call starts, 2 if call ends) l_start_timel_start_time 통화시작 시간Call start time l_finish_timel_finish_time 통화종료 시간Call end time l_durationl_duration 사용시간(시간단위)Hours of use l_usedsecondl_usedsecond 사용시간(초단위)Usage time (second unit) l_servicetypel_servicetype 통신종류(phone:1, fax:2, mail:3)Communication type (phone: 1, fax: 2, mail: 3)

pntable 테이블의 구조structure of a pntable table 필드이름Field name 용도Usage p_serialp_serial 개인사용자의 serial numberSerial number of individual user p_rnamep_rname 개인통신명부에 등록된 상대방 이름Name of other party registered in personal communication list p_telp_tel 개인통신명부에 등록된 상대방 전화번호Other's phone number registered in personal communication list p_rIDp_rID 개인통신명부에 등록된 상대방 IDID of other party registered in personal communication list p_groupidp_groupid 개인통신명부에 등록된 상대방 그룹 IDOther group ID registered in personal communication list p_rserialp_rserial 개인통신명부에 등록된 상대방 serial numberThe other party's serial number registered in the personal communication list p_rssnp_rssn 개인통신명부에 등록된 상대방 주민등록번호Other's social security number registered in personal communication list

user_customize 테이블의 구조Structure of the user_customize Table 필드이름Field name 용도Usage u_serialu_serial 사용자 serial numberUser serial number u_dserialu_dserial 상대방 serial numberCounterpart serial number u_frequencyu_frequency 통계기간동안 통화 횟수Number of calls during the statistics period u_recentu_recent 최근 통화 날짜와 시간Last call date and time u_i2pserviceu_i2pservice 전화 사용 횟수Phone usage u_faxserviceu_faxservice 팩스 사용 횟수Fax Use Count i_i2mailservicei_i2mailservice 메일 사용 횟수Mail usage count

miscall 테이블의 구조structure of miscall table 필드이름Field name 용도Usage m_serialm_serial 부재중메시지를 보낸 사람의 serial numberSerial number of the sender of the missed message m_dserialm_dserial 부재중메시지를 받을 사람의 serial numberSerial number of the person who will receive the missed message m_datem_date 메시지를 보낸 시간Time the message was sent m_mesagem_mesage 부재중메시지의 내용Out of Office Message m_flagm_flag 메시지를 읽었는지 여부(읽었으면 0, 아니면 1)Whether the message was read (0 if read, 1 otherwise)

pngroup 테이블의 구조Structure of the pngroup table 필드이름Field name 용도Usage pn_serialpn_serial 그룹에 속한 사용자 serial numberUser serial number belonging to the group pn_group_namepn_group_name 그룹이름Group name pn_group_idpn_group_id 그룹IDGroup ID

그 외, 표 1에 나타난 테이블중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광고메시지를 저장하는 테이블은 간단하게 광고를 구분할 수 있는 광고번호와 광고내용으로 이루어지고, lpnlist 테이블과, gpnlist테이블은 각각 제1서버나 제2서버의 이름과 해당 IP 주소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among the tables shown in Table 1, a table for storing advertisement messages provided to a user is composed of an advertisement number and advertisement contents for easily distinguishing advertisements, and the lpnlist table and the gpnlist table are respectively the first server and the second. It consists of the name of the server and its IP address.

상기 표 1a에 도시된 테이블은 사용자 개인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이름, 식별자(Identifer), 암호(password), 전화번호, 개인 사용자의 IP 주소, serial number, 개인통신명부의 변경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필드가 구비된다. 그리고, 표 1b의 테이블은 사용자의 통화시간을 기록하기 위한 것으로, 전화를 건 사람의 serial number, 전화를 받은 사람의 serial number, 통화시작 유무를 나타내는 필드, 통화시작 시간, 통화종료 시간, 시간단위로 표시된 사용시간, 초단위로 표시된 사용시간, 및 통신의 종류를 나타내는 필드가 있고, 상기 표 1c은 개인사용자의 개인통신명부를 저장하기 위한 테이블로, 개인사용자의 serial number, 개인통신명부에 등록된 상대방의 이름, 개인통신명부에 등록된 상대방의 전화번호, 개인통신명부에 등록된 상대방의 아이디, 개인통신명부에 등록된 상대방의 그룹 아이디, 개인통신명부에 등록된 상대방의 serial number, 개인통신명부에 등록된 상대방의 주민등록번호를 저장하는 필드가 있고, 상기 표 1d는 사용자에게 맞춤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가공된 통신정보를 가지고 있는 테이블로, 사용자의 serial number, 상대방의 serial number, 통계기간동안 통화 횟수, 최근 통화 날짜와 시간, 전화 사용 횟수, 팩스 사용 횟수, 메일 사용 횟수를 나타내는 필드가 있고, 상기 표 1e는 부재중메시지를 저장하는 테이블로, 부재중메시지를 보낸 사람의 serial number, 부재중메시지를 받을 사람의 serial number, 메시지를 보낸 시간, 부재중메시지의 내용, 메시지를 읽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필드가 필요하고, 상기 표 1f는 사용자의 개인통신명부에서 통신대상자를 그룹으로 관리할 때 각 그룹에 대한 정보들을 가지고 있는 테이블로, 그룹에 속한 사용자의 serial number, 그룹에 속한 사용자의 그룹이름, 그룹에 속한 사용자의 그룹아이디를 저장하는 필드가 있다.The table shown in Table 1a is for managing user personal information. The user's name, identifier, password, phone number, individual user's IP address, serial number, and personal communication list are changed. A field for displaying is provided. In addition, the table of Table 1b is for recording the call time of the user, the serial number of the caller, the serial number of the caller, the field indicating whether or not to start the call, call start time, call end time, time unit There are fields indicating the usage time, the usage time expressed in seconds, and the type of communication. Table 1c is a table for storing a personal communication list of an individual user, and is registered in the serial number of the individual user and the personal communication list. The other party's name, the telephone number of the other party registered in the personal communication list, the ID of the other party registered in the personal communication list, the group ID of the other party registered in the personal communication list, the serial number of the other party registered in the personal communication list, personal communication There is a field for storing the social security number of the counterpart registered in the roster, and Table 1d shows a processed container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user. This table contains new information. There are fields indicating the user's serial number, the partner's serial number, the number of calls during the statistics period, the date and time of the last call, the number of phone calls, the number of faxes, and the number of mails. Is a table for storing missed messages, and requires a field indicating the serial number of the sender of the missed message, the serial number of the recipient of the missed message, the time at which the message was sent, the contents of the missed message, and whether the message was read. Table 1f is a table that contains information about each group when managing the recipients as a group in the user's personal communication list. The serial number of the user belonging to the group, the group name of the user belonging to the group, and the group of users belonging to the group There is a field to store the ID.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1서버(2)의 동작을 도 5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first server 2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5.

제1서버(2)의 프로그램은 초기화 과정을 거치면(S225), 사용자(1)나 제2서버(3)의 명령을 대기하는 Listen 상태(S200)에 들어간다(S226). 상기 Listen 상태(S200)에서 제2서버(3)의 명령이 들어오면 제2서버(3)의 요청처리모듈(S201)에 의해 해당 명령을 수행한 후(S227) 다시 Listen 상태(S200)에 돌아오고, 사용자의 요청은 로그인 과정부터 시작한다(S228).When the program of the first server 2 undergoes an initialization process (S225), the program enters a listen state (S200) waiting for a command of the user 1 or the second server 3 (S226). When the command of the second server 3 is received in the listen state (S200), after performing the corresponding command by the request processing module S201 of the second server 3 (S227), the control returns to the listen state (S200) again. Then, the user's request starts from the login process (S228).

즉, Listen상태(S200)에 있다가 사용자의 로그인요청이 들어오면, 로그인모듈(S202)은 해당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인증된 사용자이면 그 사용자의 가공된 통신정보를 제2서버(3)에게 요청하여 받고, 제2서버(3)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로그인과정을 수행한다(S228, S229). 인증된 사용자의 로그인이 완료되면 개인정보 및 환경설정모듈(S203)은 사용자에게 제1서버의 목록과 제2서버의 정보를 제공해 준다(S230,S231). 아울러, 사용자가 로그인한 단말기의 IP 주소를 갱신하고(S232), 로그아웃되었던 동안에 남겨진 부재중메시지가 있는지 상기 표 1e와 같은 부재중메시지 저장테이블을 체크하여, 있으면 로그인된 사용자에게 부재중메시지를 제공한다(S233). 그 후, 제1서버(2)의 개인정보 및 환경설정모듈(S203)은 상기 표 1c 테이블에 저장된 해당 사용자의 개인통신명부를 사용자(1)에게 전송하고(S234), 사용자의 명령을 대기하는 IDLE 상태(S205)에 들어간다(S235).That is, when the user receives a login request while in the listening state (S200), the login module (S202) determines whether the corresponding user is an authenticated user, and if the authenticated user is a second server, the processed commun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3) requests and receives, and performs a login process for processing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cond server (3) and provide it to the user (S228, S229). When the login of the authenticated user is completed,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environment setting module S203 provides the user with the list of the first server and the information of the second server (S230, S231). In addition, the user updates the IP address of the terminal to which the user logs in (S232), and checks the absence message storage table shown in Table 1e to see if there are any missed messages left while logged out. S233). Thereafter,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environment setting module S203 of the first server 2 transmits the personal communication list of the corresponding user stored in the table 1c to the user 1 (S234), and waits for the user's command. The IDLE state S205 is entered (S235).

한편 제1서버(2)가 대기상태(S235)에서 받은 수 있는 명령에는 네이밍콜 처리요청, 단순통화요청, 부가서비스요청, 그리고 로그아웃 요청이 있다. 네이밍콜 처리와 단순통화요청은 통화모듈(S207)에 의해 처리된다. 네이밍콜 요청시 통화모듈(S207)은 앞서 사용자인터페이스모듈(100)의 기능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태표시창(142)에 입력된 이름에 해당하는 통화 상대자의 목록을 검색하여(S237), 사용자에게 전송한 후(S238), 사용자가 출력된 상대방의 목록 중에서 한 사람을 선택하면 단순통화요청시와 마찬가지로 전화를 연결하고(S239), 통화시작시간과 통화종료시간을 기록한다(S240, S241). 전화연결이 종료된 후에는 사용자의 통화시간을 계산하여 사용자의 통화기록저장테이블에 기록한 후 다시 대기 상태로 되돌아간다(S235).On the other hand, the command that the first server 2 can receive in the standby state (S235) includes a naming call processing request, a simple call request, an additional service request, and a logout request. The naming call process and the simple call request are processed by the call module S207. Upon request for a naming call, the call module S207 retrieves a list of call parties corresponding to the name entered in the status display window 142 as described in the function of the user interface module 100 (S237),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After (S238), when the user selects one person from the list of the output counterpart, the call is connected as in the simple call request (S239), and the call start time and call end time are recorded (S240, S241). After the telephone connection is terminated, the user's call time is calculated and recorded in the user's call log storage table, and the state is returned to the standby state again (S235).

그리고, 대기상태(S235)에서 부가서비스 요청이 있으면 부가서비스모듈(S204)에 의해 부가서비스수행 과정을 실행하는데(S236), 이는 검색, 부재중메시지, 알람콜, 호전달, 수신거부와 같은 통화 이외의 부가적인 서비스를 처리하는 것이다.And, if there is an additional service request in the standby state (S235) and performs the additional service performing process by the additional service module (S204) (S236), which is other than a call such as a search, missed message, alarm call, call forwarding, rejection To handle additional services.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서비스를 더 이상 원하지 않아 로그아웃을 요청하였을때에는 로그아웃모듈(206)에 의해 해당 사용자에 대한 로그아웃 과정을 수행하고(242), 그동안 수집된 원시통신정보를 제2서버(3)에게 송신하여 해당 사용자의 통신정보를 가공하도록 요청한다(S243).Lastly, when the user requests a logout because the user no longer wants the service, the logout module 206 performs a logout process for the user (242), and the raw communication information collected during the second server (3). Request to process the commun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S243).

도 6은 제2서버(3)의 기능 블록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서버(3)는 제1서버나 단말기(301)에서 보내온 메시지를 받아서 제어 정보와 데이터를 해당 모듈로 전송하고, 해당 모듈에서 만들어진 메시지를 제1서버나 단말기(301)로 전송하는 메시지처리 모듈(302)과, 맞춤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원시통화정보를 가공하여 통계적 맞춤데이타(SCD:Statistical Customized Data)를 생성한 후 이를 제1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CE(Customizing Engine) 모듈(303)과, 제1서버(2)를 통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광고 메시지도 함께 처리하는 관리 모듈(304)과, 관리자로부터 들어오는 명령과 정보를 관리 모듈(304)에게 전달하고 관리모듈(304)에서 수행된 결과를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관리자 인터페이스 모듈(305)과, 일정 시간마다 모든 제1서버(2)의 상태를 검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1서버 모니터 모듈(306)과, 제1서버(2)의 고장시에 제1서버(2)의 기능을 대신하는 서비스처리모듈(307)로 구성된다.FIG. 6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second server 3, and as shown, the second server 3 receives a message sent from the first server or the terminal 301 and transmits control information and data to the corresponding module. In addition, the message processing module 302 for transmitting the message generated by the module to the first server or the terminal 301 and statistical customized data by processing the raw call information of the user in order to provide a customized communication service. ) And a CE (Customizing Engine) module 303 that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first server, and a management module 304 that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first server 2 and processes an advertisement message together. And an administrator interface module 305 for transmitting a command an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dministrator to the management module 304 and informing the administrator of a result performed in the management module 304, and all the first every time. Of server (2) The first server monitor module 306 performs a function of checking a state, and the service processing module 307 replaces the function of the first server 2 when the first server 2 fails.

그리고, 상기 제2서버(3)도 각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통신정보와 각 제1서버(2)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타베이스를 구비하는데, 이 데이타베이스는 다음의 표 2와 같이 구성된다.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서버(3)의 데이타베이스는 수신거부자의 등록정보를 저장하는 테이블(user_deny)이 더 추가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1서버의 데이타베이스와 거의 동일하다.The second server 3 also has a database for storing person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formation of each user and information of each first server 2, which is configured as shown in Table 2 below. As shown in Table 2, the database of the second server 3 is almost identical to the database of the first server except that a table (user_deny) for storing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rejection recipient is further added.

제2서버의 데이타베이스 전체 구조Database overall structure of the second server 테이블 이름Table name 용도Usage membermember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테이블Table that stores personal information logmember1logmember1 사용자 통화 시간을 저장하는 테이블Table to store user talk time pntablepntable 사용자의 개인 통신명부를 저장하는 테이블Table that stores user's personal communication list user_customizeuser_customize 사용자의 가공된 통신정보를 저장하는 테이블Table to store user's processed communication information miscallmiscall 부재중메시지를 저장하는 테이블Table to store missed messages pngrouppngroup 개인통신명부의 그룹정보를 저장하는 테이블Table that stores group information of personal communication list pushtablepushtable 광고메시지를 저장하는 테이블Table to store advertising message lpnlistlpnlist 등록된 제1서버의 목록 테이블List table of registered first server user_denyuser_deny 수신 거부한 사용자의 등록 정보를 저장하는 테이블Table that stores the properties of the unsubscribed user

그리고, 각 테이블에 저장되는 내용은 제1서버의 데이타베이스와는 약간 차이가 있는데, 즉, 제2서버(3)의 member 테이블에는 제1서버에서와는 달리, 등록된 사용자의 모든 개인 정보, 즉, 사용자의 이름, 사용자의 아이디, 사용자 암호 뿐만 아니라,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serial number, 및 IP 주소 필드가 저장되고, user_customize 테이블에는 사용자의 원시 통화정보를 가공하여 만든 SCD(Statistical Customized Data) 정보가 기록되는데, 이 속에는 일정기간 동안의 통화 횟수, 최근 통화 날짜와 시간, 전화 이용 횟수, Fax 이용 횟수, 및 메일 이용 횟수가 저장되고, lpnlist 테이블은 관리하고 있는 제1서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며, 이 속에는 제1서버의 번호, 제1서버의 이름, 제1서버의 IP 주소, 제1서버의 상태 필드가 포함된다. 그리고, 제1서버에는 포함되지 않은 user_deny 테이블이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통화거부자를 지정할 경우 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곳으로, 이 속에는 사용자의 serial number와 수신을 거부한 사용자의 serial number가 저장된다. 그외, 테이블의 구조는 제1서버와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The contents stored in each table are slightly different from the database of the first server. That is, in the member table of the second server 3, unlike the first server, all personal information of registered users, namely, In addition to the user's name, user ID, and user password, the social security number, telephone number, serial number, and IP address fields are stored. In the user_customize table, SCD (Statistical Customized Data) information created by processing the user's raw call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is, the number of calls, the date and time of the last call, the number of phone calls, the number of faxes, and the number of mails us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re stored, and the lpnlist table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first server being managed. Included are the number of the first server, the name of the first server, the IP address of the first server, and the status fields of the first server. In addition, there is a user_deny table which is not included in the first server. When a user designates a call rejector, information about this is stored. In this, the serial number of the user and the serial number of the user who refused reception are stored. 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of the table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server, a separate description is omitted.

다음으로, 상기 제2서버를 구성하는 각 모듈의 기능을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the functions of each module constituting the second serv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에서, 메시지처리모듈(302)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모듈(303~307)과 단말기나 제1서버(301)에서 발생된 메시지를 처리하여 해당 모듈에 전송하는 기능을 담당한다.As described above, the message processing module 302 is responsible for processing a message generated by each of the modules 303 to 307 and the terminal or the first server 301 and transmitting the message to the corresponding module.

그리고, CE모듈(303)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기상태에서(S301), 메시지처리 모듈(302)로부터 특정사용자에 대한 SCD 생성 요청을 받으면, 자체 데이타베이스(DB)에서 해당 사용자의 정보를 추출한다(S302). 그리고, 추출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통신정보를 추출한다(S303). 이렇게 추출된 통신정보를 가공하여, 통화 빈도, 최근 통화 시간 등의 맞춤통신정보를 포함하는 SCD를 생성한다(S304). 그리고, 생성된 SCD를 자체 데이타베이스(DB)의 user_customize 테이블에 저장(S305)하고, 다시 초기화(S306)한 후 메시지 대기 상태(S301)로 들어간다.Then, the CE module 303 receives the SCD generation request for the specific user from the message processing module 302 in the standby state (S301), as shown in Figure 7, the user's database (DB) of the user Information is extracted (S302). Then, using the extracted user information, the user's communication information is extracted (S303). The extracted communication information is processed to generate an SCD including personalized communication information such as call frequency and recent call time (S304). The generated SCD is stored in the user_customize table of the database DB (S305), initialized again (S306), and enters the message waiting state (S301).

그리고, 관리 모듈(304)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기상태에서(S307), 관리자 인터페이스모듈(305)로부터 명령이 들어오면 그 명령에 따라 수행할 모듈을 결정한다(S308).As shown in FIG. 8, the management module 304 determines a module to be executed according to the command when a command is input from the manager interface module 305 in the standby state (S307).

그리고, 제1서버 강제 종료 모듈(S309)은 관리자가 선택한 해당 제1서버(2)를 강제로 종료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관리자인터페이스모듈(305)로부터 특정 제1서버(2)의 강제 종료 명령을 받으면, 해당 제1서버(2)의 IP주소를 추출하고, 상기 IP주소로 강제 종료 메시지를 전송하여 실행중인 제1서버 프로그램을 강제로 종료시킨다. 그리고, 제1서버 추가/삭제 모듈(S310)은 관리자가 제1서버 정보를 추가 또는 삭제할 경우 사용되는 것으로, 관리자인터페이스 모듈(305)로부터 특정 제1서버(2)의 추가 또는 삭제 명령을 받으면, 해당 제1서버 정보를 추가하거나삭제하는 명령을 수행하고, 나머지 모든 제1서버(2)에게 변경된 제1서버(2)의 목록을 전송한다. 또한, 제2서버 정보전송 모듈(S311)은 제2서버(3)가 이동하여 IP가 수정될 경우 관리자가 수정된 IP 정보를 모든 제1서버(2)에게 통보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제2서버 정보 전송 명령을 받으면 데이타베이스에서 제1서버(2)의 목록을 뽑아서 모든 제1서버(2)로 변경된 제2서버(3)의 IP 주소를 전송한다.In addition, the first server forced termination module S309 performs a function of forcibly terminating the corresponding first server 2 selected by the administrator, and forcibly terminates the specific first server 2 from the administrator interface module 305. Upon receiving the command, the IP address of the first server 2 is extracted, and a forced termination message is sent to the IP address, thereby forcibly terminating the running first server program. The first server add / delete module S310 is used when an administrator adds or deletes first server information. When the first server add / delete module S310 receives an instruction to add or delete a specific first server 2 from the administrator interface module 305, A command for adding or deleting the corresponding first server information is performed, and the list of the changed first server 2 is transmitted to all remaining first server 2. In addition, the second server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S311 has a function of notifying all the first servers 2 of the modified IP information when the second server 3 moves and the IP is modified. When the server information transmission command is received, the list of the first servers 2 is extracted from the database, and the IP addresses of the second servers 3 which are changed are transmitted to all the first servers 2.

마지막으로, 광고 메시지 처리 모듈(S312)은 관리자가 광고 메시지의 추가, 삭제, 그리고 수정할 경우에 사용하는 것으로, 광고메시지 처리 명령을 받으면 이 메시지 속에서 처리될 광고메시지 내용을 추출하여, 메시지의 추가, 수정 또는 삭제를 수행한다. 그리고 데이타베이스에 변경한 광고메시지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각 제1서버(2)에 전송한다(S330).Lastly, the advertisement message processing module S312 is used when an administrator adds, deletes, or modifies an advertisement message. When the advertisement message processing instruction is received, the advertisement message processing module S312 extracts the contents of the advertisement message to be processed, and adds the message. , Modify or delete. Then, the changed advertisement message information is stored in a database and transmitted to each first server 2 (S330).

상기와 같이, 제2서버 관리모듈(304)은 명령에 따라 적절한 기능을 수행하고 나면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메시지 처리 모듈(302)을 통하여 처리된 결과에 대한 메시지를 전송하고(S313), 다시 초기화(S314)되어 명령 대기 상태(S307)로 들어간다.As described above, after performing the proper function according to the command, the second server management module 304 transmits a message on the result processed through the message processing module 302 as shown in FIG. 8 (S313). Then, it is initialized again (S314) and enters the command wait state (S307).

그리고, 제2서버(3)의 제1서버 모니터 모듈(306)은 내부적으로 타이머를 동작시켜, 매 시간간격마다 모든 제1서버(2)에 모니터 메시지를 전송하고, 각 제1서버에서 보내오는 응답메시지를 체크하여, 이 응답메시지를 보내오지 않은 제1서버에 대해,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관리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담당한다. 마지막으로, 제2서버(3)의 서비스처리모듈(307)은 특정 제1서버(2)에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 해당 제1서버(2)를 대신하여 제1서버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The first server monitor module 306 of the second server 3 internally operates a timer, transmits a monitor message to all the first servers 2 at every time interval, and sends each of the first servers. It checks the response message, and is responsible for informing the administrator of the first server that has not sent the response message, determining that a failure has occurred. Finally, the service processing module 307 of the second server 3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first server in place of the first server 2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specific first server 2. .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맞춤통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of each device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communic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이제, 본 발명에 의한 맞춤통신장치에서의 호처리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Now, a call processing process in the personalized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9는 본 발명의 맞춤통신장치에서 맞춤통신서비스를 받기위한 호처리 과정을 보여주고 있는데, 제2서버(3)는 실제 호처리와는 관계가 없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호처리는 통화요구자의 단말기(1)와 제1서버(2)와 통화상대자의 단말기(5)간에 이루어진다.Figure 9 shows a call processing process for receiving a custom communication service in a custom commun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erver 3 is not related to the actual call processing, as shown in the call processing of the call requester It is made between the terminal 1 and the first server 2 and the terminal 5 of the call partner.

상기 도 9에서, 통화요구자의 단말기(1)는 통화허가를 요구하는 ARQ 메시지를 제1서버(2)에 보내고(S242), 이를 수신한 제1서버(2)는 등록된 사용자일 경우, 해당 단말기(1)에 ACF 메시지로 응답하여 통화를 허가한다(S243). 통화가 허가되면, 해당 단말기(1)로부터 통화하고자 하는 단말기(5)측으로 통화하려는 사용자의 상태를 요구하는 CALL_LIVE_REQ 메시지를 보낸다(S244). 이를 수신한 통화상대자측 단말기(5)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로그인되어 통화가 가능할 경우, 수신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CALL_LIVE_REP 응답메시지를 통화요구측 단말기(1)에 보낸다. 상대측 단말기(5)가 수신 가능함이 확인되면, 송신측 단말기(1)에서 CALL_REQUEST 메시지를 보내어 통화를 요청한다(S246). 그리고, 통화요청을 받은 상대측 단말기(5)에서 통화요청을 받아들이면 CALL_RECEIVE 응답메시지가 송신측 단말기(1)로 보내지면서, 통화를 위한 채널이 열린다(S248,S249).In FIG. 9, the call requester terminal 1 sends an ARQ message requesting a call permission to the first server 2 (S242), and when the received first server 2 is a registered user, In response to the ACF message to the terminal 1, the call is permitted (S243). If the call is permitted, the terminal 1 sends a CALL_LIVE_REQ message requesting the state of the user who wants to talk to the terminal 5 to be talked (S244). Upon receiving this, the call partner terminal 5 sends a CALL_LIVE_REP response message to the call requesting terminal 1 indicating that the reception is possible when the call is logged in by the user. If it is confirmed that the other terminal 5 can receive, the transmitting terminal 1 sends a CALL_REQUEST message to request the call (S246). When the other terminal 5 receiving the call request receives the call request, a CALL_RECEIVE response message is sent to the transmitting terminal 1, and channels for the call are opened (S248 and S249).

그리고 제1서버(2)에 START_LOG 메시지를 보내서 통화시작을 알리고(S250), 제1서버(2)에서는 이에 따라 통화시작시간을 기록한다.Then, a START_LOG message is sent to the first server 2 to notify the start of the call (S250), and the first server 2 records the call start time accordingly.

그리고, 송신측 단말기(1) 또는 수신측 단말기(5)중 어느쪽에서든지 통화종료를 원할 경우, 통화종료를 위한 DISCONNECT 메시지가 상대측에 전달되고(S252), 이에 양측에 통화가 종료되면 제1서버(2)로 양 단말기(1,5)로부터 통화가 끝났음을 알리는 END_LOG 메시지가 도달된다. 이에 제1서버(2)는 통화시간을 기록한다.In addition, when either of the sending terminal 1 or the receiving terminal 5 wants to terminate the call, a DISCONNECT message for ending the call is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S252), and when the call is terminated on both sides, the first server At (2), an END_LOG message is received from both terminals 1, 5 indicating that the call is over. The first server 2 records the talk time.

도 10은 네이밍콜의 경우에 대한 호처리과정을 보인 것으로서, 송신측 단말기(1)에서 사용자가 상태표시창(142)에 전화할 사람의 이름을 입력하는 네이밍콜을 지시한 경우, 송신측 단말기(1)에서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이름이 들어간 NRQ 메시지를 제1서버(2)에 보낸다(S260). 이에, 제1서버(2)는 개인통신명부에 있는 사용자에 대해 통화상대자에 대한 개인정보가 들어간 메시지(N_DATA)와 통화상대자의 이름으로 검색된 사용자 수(NCF)를 단말기(1)에 보내 응답한다(S261,S262). 이로서, 통화상대자의 IP 주소가 송신측 단말기(1)에 제공된다. 이를 수신한 단말기(1)는 통화상대자의 IP주소로 CALL_LIVE_REQ 메시지를 보내 통화하려는 상대방(5)의 상태를 알아본다(S244). 이때 상대방 사용자의 단말기(5)에서 CALL_LIVE_REQ를 수신하면, CALL_LIVE_REP 메시지로 응답하여(S245) 수신이 가능함을 알린다. 상대방 단말기(1)에서 CALL_LIVE_REP로 응답하지 않으면, 통화가 불가능한 상태인 것이다. 상대방(5)이 수신 가능한 것이 확인되면 송신측 단말기(1)에서는 CALL_REQUEST 메시지를 보내어(S246) 통화를 요청한다. 통화요청을 받은 상대방 단말기(5)에서 통화요청을 받아들여 CALL_RECEIVE 메시지로 응답하면(S247) 송신측단말기(1)와 수신측 단말기(5)간에 통화를 위한 채널을 연다(S248,S249). 그리고 송신측 단말기(1)에서는 채널을 생성함과 동시에 제1서버(2)에 START_LOG 메시지를보내어(S250), 통화시작을 알리고 통화시작시간을 기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통화 종료시에는 단말기(1,5)간에 DISCONNECT 메시지를 교환하여 통화종료를 요구하고(S252), 통화가 종료되면 송수신측 단말기(1,5)에서 제1서버(2)에 END_LOG 메시지를 보내어 통화가 끝났음을 알린다(S253). 이때 제1서버(2)는 통화시간을 기록한다.FIG. 10 illustrates a call processing process for a naming call. When a user instructs a naming call for inputting a name of a person to be called on the status display window 142 in the transmitting terminal 1, the calling terminal ( In step 1), the NRQ message containing the name of the party to be called is sent to the first server 2 (S260). Accordingly, the first server 2 responds to the user 1 in the personal communication list by sending a message N_DATA containing personal information about the call partner and the user number NCF retrieved by the call partner's name to the terminal 1. (S261, S262). Thus, the IP address of the call partner is provided to the transmitting terminal 1. Upon receiving this, the terminal 1 sends a CALL_LIVE_REQ message to the IP address of the call partner to find out the state of the other party 5 to call (S244). At this time, if the terminal 5 of the counterpart user receives the CALL_LIVE_REQ, it informs that the reception is possible in response to the CALL_LIVE_REP message (S245). If the counterpart terminal 1 does not answer with CALL_LIVE_REP, the call is in an impossible stat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other party 5 can be received, the transmitting terminal 1 sends a CALL_REQUEST message (S246) to request a call. When the counterpart terminal 5, which has received the call request, receives the call request and responds with a CALL_RECEIVE message (S247), a channel for the call is opened between the transmitting terminal 1 and the receiving terminal 5 (S248, S249). In addition, the transmitting terminal 1 generates a channel and simultaneously sends a START_LOG message to the first server 2 (S250) to notify the start of the call and record the call start time. In addition, at the end of the call, the terminal ends the exchange of DISCONNECT messages between the terminals 1 and 5 to request termination of the call (S252), and when the call is terminated,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terminal 1 and 5 sends an END_LOG message to the first server 2. Inform that the call is over (S253). At this time, the first server 2 records the talk time.

이와 같이, 상기 단말기(1,5)간, 그리고 단말기(1,5)와 제1서버(2)간에 주고 받는 메시지의 양식(format)은 도 11과 같다.As such, the format of the message exchanged between the terminals 1 and 5 and between the terminals 1 and 5 and the first server 2 is shown in FIG. 11.

여기에서, kind 필드는 1 byte로 메시지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으로 각 메시지마다 고유의 값을 설정하여 사용한다. serialnum 필드는 17 byte로 신호를 보내는 사용자의 serial number값이 들어간다. 그리고 passwd 필드는 10 byte로 신호를 보내는 사용자의 암호가 들어가고, IP 필드는 16 byte로 신호가 송출되는 단말기의 IP 주소값이 들어간다. 그리고 telnum 필드는 128 byte로 신호를 송출하는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들어가고, Alias 필드는 256 byte로 사용자의 이름이 들어가고, option 필드는 256 byte로 기타 사항, 예를 들어, 개인정보나 요청된 엔트리갯수를 여기에 넣는다. 끝부분의 version 필드는 5 byte로 단말기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의 버전과 종류를 나타내고, ID 필드는 31 byte로 사용자의 아이디가 들어간다.In this case, the kind field indicates the type of message in 1 byte and sets a unique value for each message. The serialnum field contains the serial number of the user who signals in 17 bytes. The passwd field contains the password of the user who sends the signal in 10 bytes, and the IP field contains the IP address of the terminal that sends the signal in 16 bytes. The telnum field contains the phone number of the terminal that sends the signal in 128 bytes, the Alias field contains the user's name in 256 bytes, and the option field in 256 bytes. For example, personal information or the number of entries requested. Put it here. The version field at the end is 5 bytes to indicate the version and type of the program used in the terminal. The ID field is 31 bytes to contain the user's ID.

이 메시지 양식의 각 필드 순서나 그 크기는고정되어 있지 않고, 단지, 상기 내용들을 나타내는 필드가 존재하면 된다.The order and size of each field in this message format are not fixed, but only a field representing the above contents exists.

따라서, 상대방이 통화가능한지를 알아보는 메시지인 CALL_LIVE_REQ메시지를 예를 들어 살펴보면, 상기 도 11의 양식에서, kind 필드에 60, serialnum 필드에사용자의 serial number, passwd 필드에 "6", IP 필드에는 사용자의 IP 주소, telnum 필드는 사용자의 전화번호, Alias 필드에 사용자의 이름, option 필드에는 상대방의 개인정보들이 들어가고, version 필드에 버전정보 그리고 ID 필드에는 신호를 송출하는 사용자의 아이디가 들어간다.Thus, for example, the CALL_LIVE_REQ message, which is a message for checking whether the other party can call, in the form of FIG. 11, 60 in the kind field, serial number of the user in the serialnum field, "6" in the passwd field, and the user in the IP field. The IP address, telnum field contains the user's phone number, the Alias field contains the user's name, the option field contains the other party's personal information, the version field contains the version information, and the ID field contains the user's ID.

또한, 통화상태를 확인하는 CALL_LIVE_REQ 메시지에 대해 통화 가능함을 알리는 응답메시지인 CALL_LIVE_REP 메시지는 상기 kind 필드에 60, serialnum 필드에 사용자의 serial number, passwd 필드에는 "7", IP 필드에는 사용자의 IP 주소, telnum 필드에는 사용자의 전화번호, Alias 필드에는 사용자의 이름, option 필드에는 상대방의 IP 주소, version 필드에는 버전정보, 그리고 ID 필드에는 사용자의 아이디가 들어가는 것으로, 상기에서, option 필드의 IP 주소는 호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다.In addition, the CALL_LIVE_REP message indicating that the call is available for the CALL_LIVE_REQ message for checking the call status is 60 in the kind field, the serial number of the user in the serialnum field, "7" in the passwd field, the IP address of the user in the IP field, The telnum field contains the user's phone number, the Alias field contains the user's name, the option field contains the other party's IP address, the version field contains the version information, and the ID field contains the user's ID. It is used to check.

그리고, 통화요구메시지(CALL_REQUEST)는 kind 필드에 메시지 종류값 60이 들어가고, 나머지 필드에는 통화를 요구하는 사용자에 대한 정보들이 들어간다. 즉, serialnum 필드에는 사용자의 serial number, passwd 필드에는 "2", IP 필드에는 사용자의 IP 주소, telnum 필드는 사용자의 전화번호, Alias 필드에는 사용자의 이름, version 필드에는 버전정보, 그리고 ID 필드에는 사용자의 아이디 등이 들어간다. 그리고, 응답메시지(CALL_RECEIVE)는 상대방의 호 요청을 받아들인다는 의미의 메시지이고, 이 메시지의 kind 필드에는 메시지 종류값 60, serialnum 필드에는 사용자의 serial number, passwd 필드에는 "5", IP 필드에는 사용자의 IP 주소, telnum 필드는 사용자의 전화번호, Alias 필드에는 사용자의 이름, version 필드에는 버전정보, 그리고 ID 필드에는 사용자의 아이디가 들어간다.The call request message (CALL_REQUEST) has a message type value of 60 in the kind field, and information on a user requesting a call is contained in the remaining fields. This means that the user's serial number in the serialnum field, "2" in the passwd field, the user's IP address in the IP field, the user's phone number in the telnum field, the user's name in the Alias field, version information in the version field, and version information in the ID field. User ID and so on. In addition, the response message (CALL_RECEIVE) is a message meaning that the other party's call request is accepted. The message type value is 60 in the kind field of the message, the serial number of the user in the serialnum field, "5" in the passwd field, and the IP field. The user's IP address, the telnum field contains the user's phone number, the Alias field contains the user's name, the version field contains version information, and the ID field contains the user's ID.

그리고, 통화종료시 메시지인 DISCONNECT 메시지는 kind 필드에는 60, serialnum 필드에는 사용자의 serial number, passwd 필드에는 "3", IP 필드에는 사용자의 IP 주소, telnum 필드는 사용자의 전화번호, Alias 필드에는 사용자의 이름, version 필드에는 단말기의 종류와 버전정보 그리고 ID 필드에는 사용자의 아이디가 들어간다.The DISCONNECT message, which is the message at the end of the call, is 60 in the kind field, serial number of the user in the serialnum field, "3" in the passwd field, IP address of the user in the IP field, telephone number of the user in the telnum field, and telephone number of the user in the Alias field. The name and version fields contain the type and version of the terminal, and the ID field contains the user's ID.

또, ARQ 메시지는 사용자가 제1서버(2)에게 통화를 위한 인증을 요청할 때 사용되며, 이때 제1서버(2)는 상대방의 IP 주소로 응답하는데, 이때, passwd 필드에 사용자의 암호가 들어가며, 다른 필드는 상기 메시지와 같다.In addition, the ARQ message is used when a user requests authentication for a call from the first server 2, where the first server 2 responds with the other party's IP address, where the user's password is entered in the passwd field. , Other fields are same as the above message.

상기 ARQ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인 ACF 메시지는 사용자가 제1서버(2)에 등록되어 있으면 통화를 허용하는 메시지로서, 제1서버(2)에서 단말기(1)로 보내지는 것이므로, 상대방의 IP 주소를 IP필드에 넣어 응답한다. 덧붙여 telnum필드와 Alias 필드에 각각 상대방의 전화번호와 사용자이름을 넣어보낸다. 만약 사용자가 등록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를 거절하는 응답메시지인 경우, kind 필드의 값이 ARQ와는 달라진다.The ACF message, which is a response message to the ARQ message, is a message allowing the call when the user is registered in the first server 2, and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server 2 to the terminal 1, so that the other party's IP address Reply in the IP field. In addition, the phone number and user name of the other party are sent in the telnum field and the Alias field, respectively. If the user is not registered, and the response message rejects it, the value of the kind field is different from the ARQ.

START_LOG 메시지는 통화를 시작할 때 제1서버(2)에 통화시작시간을 통지하는 메시지로서, option 필드의 값이 통화를 한 상대방의 serial number가 된다. 반대로, 통화가 끝났을때 제1서버에 통화종료시간을 보내 기록하게 하는 메시지인 END_LOG 메시지는 option 필드에 통화를 한 상대방의 serial number와 통화한 시간이 들어가는 것이 다르다.The START_LOG message is a message for notifying the first server 2 of the call start time when the call is started, and the value of the option field is the serial number of the caller. On the contrary, the END_LOG message, which sends a call termination time to the first server when the call is completed, records the time of the call with the serial number of the called party.

그 외, 맞춤통신시스템에서 부가서비스를 위한 여러가지 메시지도 도 11의 양식에 따라 보내게 되는데, 예를 들어, 제1서버(2)에게 개인통신명부에 등재된 사용자의 목록을 요청하는 메시지에는 각 필드에 도11에서 설명한 대로 각각의 값이 들어가며, 제1서버(2)가 해당 사용자의 개인통신명부 정보를 전송하는 메시지는 kind 필드에 해당 메시지 값과, option 필드에 개인통신명부에 등록된 사용자의 정보들, 즉 아이디, 이름,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serial number, 그룹 ID, 통화빈도수, 최근 통화순서를 넣어서 보내면 된다.In addition, various messages for additional services in the customized communication system are also sent according to the form of FIG. 11. For example, each message requesting the first server 2 to list the users listed in the personal communication list is included in the message. Each value is entered in the field as described in FIG. 11, and the message for which the first server 2 transmits the personal communication list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user is a message registered in the kind field and a user registered in the personal communication list in the option field. Information, name, phone number, social security number, serial number, group ID, frequency of calls, and recent call order.

더하여, 네이밍콜을 요청하는 NRQ 메시지의 경우 kind 필드에는 157, serialnum 필드에는 사용자의 serial number, passwd 필드에는 사용자의 암호, IP 필드에는 사용자의 IP 주소, telnum 필드에는 사용자의 전화번호, alias 필드에는 사용자의 이름, version 필드에는 버전정보, 그리고 ID 필드에는 사용자의 아이디가 들어가면서, option 필드에는 이름의 종류(예: 이름, 아이디, 전화번호 등)와 목록의 정렬 방법이 들어간다. 여기서 이름종류의 선택은 0이면 이름이고, 1이면 아이디이며, 2면 전화번호를 사용함을 의미하고, 목록 정렬방법은 0이면 통화빈도수, 1이면 최근통화순, 2면 알파벳순으로 목록을 정렬함을 의미한다.In addition, for NRQ messages requesting naming calls, 157 in the kind field, the user's serial number in the serialnum field, the user's password in the passwd field, the user's IP address in the IP field, the user's phone number in the telnum field, and the alias field The user's name, the version field contains version information, and the ID field contains the user's ID, while the option field contains the type of name (eg, name, ID, phone number, etc.) and how the list is sorted. Here, the selection of name type is 0 for name, 1 for ID and 2 for phone number, and the list sorting method is 0 for call frequency, 1 for most recent call and 2 for alphabetical order. it means.

상기 NRQ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인 N_DATA 메시지는 요청한 이름에 대한 상대방의 정보를 전송하는 메시지이다. kind 필드는 159를 넣고 option 필드는 상대방에 대한 이름, 아이디, 주민등록번호, IP 주소, 그리고 전화번호와 목록 정렬방법을 넣어 보내고, NCF 메시지에는 엔트리(개인통신명부에서 한 사람에 대한 정보를 하나의 엔트리로 정의)를 담은 N_DATA 메시지의 갯수를 option 필드에 넣어보낸다.The N_DATA message, which is a response message to the NRQ message, transmits information of the other party about the requested name. The kind field contains 159, and the option field contains the name, ID, social security number, IP address, phone number, and how to sort the list for the other party.In the NCF message, an entry (information about one person in the personal communication directory) is entered. The number of N_DATA messages containing) is sent in the option field.

도 12는 제2서버(3)와 제1서버(2)간에 교환되는 메시지의 종류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제2서버(3)의 CE 모듈(303)에서는 REFINE_DRQ, REFINE_DATA, REFINE_DCF, 그리고 REFINE_REQ 메시지를 사용한다. 한편 제2서버(3)의 관리모듈(304)에서는 제1서버(2) 강제 종료를 위한 LPN_DOWN과 광고 메시지 처리를 위한 PUSH_MESG와 PUSH_ACK, 제2서버 정보 전송을 위한 SEND_IP와 SEND_IP_ACK, 그리고 제1서버(2)의 추가 및 삭제를 위한 LPN_DATA, LPN_CF와 LPN_ACK 메시지가 사용된다. 또 제2서버(3)의 제1서버 모니터 모듈(306)에서는 LPN_LIVE와 LPN_LIVE_ACK 메시지를 사용한다.FIG. 12 shows the types of messages exchanged between the second server 3 and the first server 2. The CE module 303 of the second server 3 uses REFINE_DRQ, REFINE_DATA, REFINE_DCF, and REFINE_REQ messages. do. Meanwhile, in the management module 304 of the second server 3, the LPN_DOWN for forced termination of the first server 2, the PUSH_MESG and PUSH_ACK for processing the advertisement message, the SEND_IP and SEND_IP_ACK for the second server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the first server LPN_DATA, LPN_CF and LPN_ACK messages are used for addition and deletion of (2). The first server monitor module 306 of the second server 3 uses LPN_LIVE and LPN_LIVE_ACK messages.

도 13은 제2서버(3)가 제1서버(2)간에 교환되는 메시지들의 양식(format)과 각 메시지를 위한 특정필드값의 예가 도시된 것이다.FIG. 13 shows an example of a format of messages in which the second server 3 is exchanged between the first server 2 and specific field values for each message.

여기서 LPN_DOWN 메시지는 관리자가 제1서버(2)를 강제로 종료시키기 위한 메시지로, 제2서버(3)가 해당 제1서버(2)에게 전송하고, 메시지를 받는 제1서버(2)는 강제로 종료된다. 한편 PUSH_MESG 메시지는 제2서버 관리 모듈(304)의 광고메시지 처리 모듈(S312)에서 사용한다. 즉, 광고 메시지를 추가, 수정, 삭제할 경우 변경된 메시지 정보를 모든 제1서버(2)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해당 광고메시지의 내용은 PUSH_MESG 메시지의 옵션 필드에 저장되어 전송되고, 제1서버(2)가 이 메시지를 받았으면 PUSH_ACK로 응답한다.In this case, the LPN_DOWN message is a message for the administrator to forcibly terminate the first server 2. The second server 3 transmits the message to the first server 2, and the first server 2 receiving the message is forced. Ends with The PUSH_MESG message is used in the advertisement message processing module S312 of the second server management module 304. That is, when the advertisement message is added, modified or deleted, it is used to transmit the changed message information to all the first servers 2. The content of the advertisement message is stored in the option field of the PUSH_MESG message and transmitted. If the first server 2 receives this message, it responds with a PUSH_ACK.

또한, LPN_LIVE 메시지는 제1서버 모니터 모듈(306)에서 제1서버(2)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 사용하는 메시지이다. 이 메시지를 받은 제1서버(2)는LPN_LIVE_ACK 메시지로 응답하고 만약 제2서버(3)가 일정 시간동안 제1서버(2)로 부터 LPN_LIVE_ACK 메시지를 받지 못하면 제2서버(3)는 해당 제1서버(2)에 고장이 났음을 관리자에게 알린다. 한편 SEND_IP 메시지는 제2서버 관리 모듈(304)의 제2서버 정보전송 모듈(S311)에서 사용하는 메시지로, 메시지의 옵션 필드에 제2서버(3)의 현재 IP 주소 값을 넣어 모든 제1서버(2)에게 전송한다. 이때 제1서버(2)가 SEND_IP_ACK 메시지로 응답하면 제2서버(3)의 IP 주소가 제대로 전달된 것이다.In addition, the LPN_LIVE message is a message used by the first server monitor module 306 to check the state of the first server 2. Receiving this message, the first server 2 responds with an LPN_LIVE_ACK message, and if the second server 3 does not receive the LPN_LIVE_ACK message from the first server 2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second server 3 responds to the first. Informs the administrator that the server 2 has failed. Meanwhile, the SEND_IP message is used by the second server information transmission module S311 of the second server management module 304. The first server includes all current servers by putting the current IP address value of the second server 3 in the option field of the message. Send to (2). At this time, when the first server 2 responds with the SEND_IP_ACK message, the IP address of the second server 3 is properly delivered.

그리고, LPN_DATA 메시지는 제2서버 관리 모듈(304)의 제1서버 추가/삭제 모듈(S310)에서 사용하는 메시지이다. 관리자로부터 특정 제1서버(2)의 추가 또는 삭제 요청이 있는 경우, 변경된 제1서버(2)의 목록을 각 제1서버(2)로 보내기 위해 사용된다. LPN_DATA 메시지의 옵션 필드에 제1서버(2) 이름과 IP 주소 정보가 저장되어 전송된다. LPN_CF 메시지는 전송된 LPN_DATA의 개수를 옵션 필드에 넣어 보낸다. 한편 LPN_DATA 메시지를 받고 LPN_CF 메시지를 통해 개수에 이상이 없으면 제1서버(2)는 LPN_ACK 메시지를 제2서버(3)로 전송한다.The LPN_DATA message is a message used by the first server add / delete module S310 of the second server management module 304. When there is a request for addition or deletion of a specific first server 2 from an administrator, it is used to send the changed list of the first server 2 to each first server 2. The first server 2 name and IP address information are stored in the option field of the LPN_DATA message and transmitted. The LPN_CF message sends the number of LPN_DATA transmitted in the option field. On the other hand, if the LPN_DATA message is received and there is no problem in the number through the LPN_CF message, the first server 2 transmits the LPN_ACK message to the second server (3).

REFINE_DRQ 메시지는 제1서버(2)가 제2서버(3)에게로 SCD를 요구할 때 사용되는 메시지이다. 이 메시지의 옵션 필드에는 해당 사용자의 serial number가 들어간다. 그리고 제2서버(2)는 이 메시지를 받으면 CE모듈(303)에 의해 데이타베이스의 user_customize 테이블에서 해당 사용자의 SCD를 추출하고, 추출된 SCD는 REFINE_DATA 메시지의 옵션 필드에 넣어져 제1서버(2)로 전송된다. 그리고 전송된 REFINE_DATA의 개수는 REFINE_DCF 메시지의 옵션 필드에 저장되어 전송된다.REFINE_REQ 메시지는 제1서버(2)가 제2서버(3)에게 SCD를 갱신하도록 요청할 때 사용되는 메시지이다. 이 메시지의 옵션 필드에는 갱신을 요구하는 사용자의 serial number가 기록된다. 제2서버는 이 메시지를 받으면 데이타베이스의 logmember1 테이블에서 통신정보를 추출하고 이것을 가공하여 SCD를 만든 후 데이타베이스의 user_customize 테이블에 저장한다.The REFINE_DRQ message is used when the first server 2 requests the SCD to the second server 3. The option field of this message contains the serial number of the user. Upon receiving this message, the second server 2 extracts the SCD of the user from the user_customize table of the database by the CE module 303, and the extracted SCD is put in an option field of the REFINE_DATA message and the first server 2 Is sent). The number of transmitted REFINE_DATA is stored in the option field of the REFINE_DCF message and transmitted. The REFINE_REQ message is a message used when the first server 2 requests the second server 3 to update the SCD. The option field of this message contains the serial number of the user requesting the update. When the second server receives this message, it extracts the communication information from the logmember1 table of the database, processes it, creates an SCD, and stores it in the user_customize table of the database.

상술한 바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전화을 이용한 맞춤통신장치는 전화번호나 IP 주소 또는 도메인네임을 기억해야 할 필요없이, 간단하게 통화하고자 하는 사람의 이름으로 전화를 연결할 수 있으며, 단순히 전화서비스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부가서비스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ersonalized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Internet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ply connect the phone to the name of the person who wants to call, without having to remember the phone number or IP address or domain name, simply call service In addition, it can provide various additional services.

또한, 사람의 통신행위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구미에 맞춰 다양한 통신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ased on the communication behavior of the person, by providing a variety of communication services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that can facilitate the user's convenience.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맞춤통신장치는 로그인만 하면 어느 PC나 내 전화기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전화번호나 IP 주소, 도메인네임을 기억할 필요가 없이, 이름으로 상대를 호출할 수 있으며, 또한, 서버에서 각 사용자의 개인통신명부를 통화빈도나 최근 통화순서, 혹은 알파벳 순서로 정렬하여 각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이 맞춤통신장치에서는 부가기능을 용이하게 추가할 수 있기 때문에 부재중에 메시지를 남기는 서비스, 통화를 요구하는 상대방에 따라 전화벨소리를 달리하는 서비스, 특정인의 통화를 거부하는 서비스, 특정시간대에 특정인의 통화를 거부하는 서비스, 부재중메시지를 남기는 서비스 등 기존의 전화에서 제공하기 어려운 다양한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Specifically, the personalized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ny PC within the phone just by logging in, without having to remember a phone number, an IP address, or a domain name, and can call a partner by name. Provides each user's personal communication list in order of call frequency, recent call order, or alphabetical order to each user, and this custom communication device can easily add additional functions to leave a message in the absence of service or call. It can provide various services that are difficult to provide in existing phones, such as services that make different phone ringtones, services that refuse to call a specific person, services that refuse to call a specific person at certain times, or leave a missed message. It has an excellent effect.

따라서 본 발명은 인터넷전화를 이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전화를 걸 수 있있을 뿐만 아니라 고객의 구미에 맞는 통신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통신서비스의 차원을 한 단계 높이는 효과를 가져다 준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make a low-cost phone call using an internet phone, but also provides a communication service suitable for customers' tastes, thereby bringing an effect of raising the level of communication service to the next level.

Claims (13)

인터넷에 연결되는 네트워크인터페이스모듈과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음성처리모듈과 사용자가 맞춤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모듈을 구비하는 단말기;A terminal having a network interface module connected to the Internet, a voice processing module for processing a voice signal, and a user interface module for providing a user with a customized communication service; 인터넷을 통해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연결시마다 통신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전화연결에 필요한 정보 및 해당 맞춤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서버;A first server connected to one or more terminals through the Internet, collecting communication information every time a user connects, and provid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a telephone connection and a corresponding personalized communication service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하나 이상의 제1서버에 연결되어, 그 제1서버로부터 수집된 사용자의 통신정보를 전달받아, 소정 형태로 가공하여 저장해두었다가, 제1서버의 요청시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제2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전화를 이용한 맞춤 통신 서비스 제공 장치.It is connected to one or more first servers, receiving the commun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collected from the first server, and processed and stored in a predetermined for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as a second server for providing the information when requested by the first server Device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communication service using an internet ph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인터페이스모듈에서 상대방의 이름으로 통신요구를 하는 네이밍콜 기능을 구비하고,The mobile terminal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naming call function in which a user interface module of the terminal makes a communication request in the name of the other party. 네이밍콜 요구시 제1서버는 동일한 이름의 사용자를 검색하여 그 사용자와 통화할 수 있는 정보를 단말기에 제공하여, 이름으로 전화걸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전화를 이용한 맞춤통신서비스 제공 장치.Upon request of a naming call, the first server searches for a user of the same name and provides the terminal with information that allows the user to make a call with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make a call by name.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인터페이스모듈은 와일드카드 문자를사용하여 통신요구를 하는 와일드카드문자콜기능을 구비하고,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interface module of the terminal has a wild card character call function for making a communication request using a wild card character, 와일드카드 문자콜의 요구시 제1서버는 등록된 사용자를 대상으로 입력된 검색어와 일치하는 대상들을 모두 검색하고, 그 결과를 단말기측으로 제공하여 전화걸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통신서비스 제공 장치.When requesting a wildcard character call, the first server searches for all the targets that match the search term entered against the registered user, and provides the result to the terminal to make a personalized communication servic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통신서비스 제공장치는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ustom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apparatus 사용자가 임의 단말기를 통해 로그인 요청을 할 때 제1,2서버에서 로그인 요청메시지를 보내온 단말기의 IP주소로 해당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갱신하여, 사용자가 어떤 단말기에서도 맞춤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로그인전화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전화를 이용한 맞춤통신서비스 제공 장치.When a user requests a login through a random terminal,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is updated with the IP address of the terminal that sent the login request message from the first and second servers, so that the user can use a customized communication service on any terminal. Apparatus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communication service using an Internet telephone,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a telephone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통신서비스 제공장치는 사용자인터페이스 모듈에서 상대방에게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상대방에게 문자나 음성 형태의 부재중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며,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apparatus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communication service include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message to a counterpart in a user interface module, and transmits an absence message in a text or voice form to the counterpart. 부재중 메시지를 수신한 제1서버는 부재중 메시지를 보관하고, 부재중 메시지를 수신할 사용자가 로그인하거나 로그인 후에도 요청이 있을 시에는 이를 전송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전화를 이용한 맞춤통신서비스 제공장치.Receiving the missed message, the first server stores the missed message, and when the user to receive the missed message, the device provides a personalized communication service using the Internet 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transmits when there is a request even after log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통신서비스 제공장치는 제1,2서버에서 각 사용자별로 해당 사용자가 한번이라도 통화한 적이 있는 사람에 대한 이름, IP주소, 전화번호를 차례로 기록하는 개인통신명부를 만들어, 해당 사용자의 로그인시마다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전화를 이용한 맞춤통신서비스 제공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apparatus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communication service creates a personal communication list for recording a name, an IP address, and a phone number of a person who the user has once called at each user in the first and second servers. Apparatus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communication service using an Internet telephon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o the user every time the user logs 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구비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모듈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ser interface module provided in the terminal 다양한 전화벨 소리를 보유하고, 인터넷 전화를 요청해 오는 상대방에 따라 전화벨 소리를 지정해줄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여, 전화벨 소리로 전화를 걸어온 상대방을 구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전화를 이용한 맞춤통신서비스 제공 장치.It has a variety of ringtones, and has the ability to specify the ringtone according to the person requesting the Internet call, personalized communication using the Internet phon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the other party who has called by the ringtone Service provision device.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버의 처리 결과가 다수 일 때, 개인통신명부를 출력하는데 있어서 제1서버에서 제공하는 맞춤통신정보를 이용하여 정렬하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when the processing result of the first server is plural, the personal communication list is sorted by using the personalized communic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first server. 제1서버는 정렬에 필요한 맞춤통신정보를 제2서버로부터 입력받아 사용자인터페이스 모듈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전화를 이용한 맞춤통신서비스 제공 장치.The first server receives the personalized communication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alignment from the second server receives the personal interfac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using an Internet phone, characterized in that for providing to the user interface module. 제6항에서 있어서, 상기 개인통신명부는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ersonal communication list 명단을 그 특성에 따라 그룹으로 분류하고, 이 그룹내에 사용자들을 삽입, 삭제 및 그룹간의 이동이 가능하며, 명부 상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전화걸기, 메시지전송 및 파일전송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전화을 이용한 맞춤통신서비스 장치.The list is classified into group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nd users can be inserted, deleted, and moved between groups, and provide functions of Internet dialing, message transmission, and file transmission to users on the list. Personalized communication service device using an internet ph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server 로그인된 사용자가 수행하는 통신행위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제2서버로 송신하고, 제2서버로부터 로그인된 사용자에 대한 맞춤통신정보를 제공받아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으로부터 요구되는 모든 통신서비스를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한 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전화을 이용한 맞춤통신서비스 제공 장치.Collects and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communication actions performed by the logged-in user to the second server, receives customized commun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logged-in user from the second server, and receives all the communication services required from the user interface module of the user. Apparatus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communication service using an Internet telephon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by the user in advance se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버는 맞춤통신서비스 및 인터넷 전화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능, 사용자의 통화정보를 수집하고 제2서버에게 보내주는 기능, 제2서버로부터 받은 맞춤통신정보를 관리하는 기능, 부재중 메시지를 처리하는 기능, 개인통신명부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기능, 광고메시지를 처리하는 기능, 등록된 제1서버들의 목록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능, 로그인시 사용자 인증 및 허락하는 기능, 로그아웃시 해당 사용자의 통신정보를 처리하는 기능, 사용자들에 대한 IP 주소를 갱신하고 관리하는 기능, 부가서비스를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전화을 이용한 맞춤통신서비스 제공장치.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irst server stores and manages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for providing personalized communication service and Internet phone service, collects the user's call information, and sends it to the second server. The ability to manage personalized commun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rver, to process missed messages, to create and manage personal communication lists, to process advertising messages, to store and manage a list of registered first servers, to log in User authentication and permission at the time of use, processing of commun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user upon logout, updating and managing IP addresses for users, and processing additional services. Custom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제1항에서 있어서, 제2서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server 제1서버가 수집한 각 사용자별 통신행위 정보를 저장하고, 제1서버의 요청시 저장한 사용자별 통신행위 정보를 가공하여 맞춤통신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전화을 이용한 맞춤통신서비스 제공 장치.Apparatus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communication service using an Internet telephone, characterized by storing the communication activity information for each user collected by the first server and processing the communication activity information for each user stored at the request of the first server to provide customized communication information. . 제12항에서 있어서, 상기 제2서버는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econd server 맞춤통신서비스 및 인터넷 전화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1서버가 수집한 사용자별 통신행위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능, 제1서버의 요구에따라 사용자별 통신행위를 맞춤통신정보로 가공하여 보내주는 기능, 제1서버의 상태를 모니터하고 관리하는 기능과 제1서버의 모든 기능을 포함하여 제1서버의 고장시 사용자에게 맞춤통신서비스 및 인터넷 전화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통신서비스 제공장치.A function of storing and managing user-specific communication activity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first server to provide a personalized communication service and Internet phone service, and processing and sending user-specific communication behavior into personalized commun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first server. And a function of directly monitoring and managing the status of the first server and providing a personalized communication service and an internet phone service to the user in case of failure of the first server, including all functions of the first server. Communication service providing device.
KR1020000002595A 2000-01-20 2000-01-20 Apparatus for offering customized communication service of the internet telephony KR2001007375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595A KR20010073757A (en) 2000-01-20 2000-01-20 Apparatus for offering customized communication service of the internet telephon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595A KR20010073757A (en) 2000-01-20 2000-01-20 Apparatus for offering customized communication service of the internet telephon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757A true KR20010073757A (en) 2001-08-03

Family

ID=19639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2595A KR20010073757A (en) 2000-01-20 2000-01-20 Apparatus for offering customized communication service of the internet telephon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7375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455A (en) * 2019-11-28 2021-06-07 주식회사 시티웍스 Collector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6455A (en) * 2019-11-28 2021-06-07 주식회사 시티웍스 Collector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1811B2 (en) Notifications of incoming messages
EP1316175B1 (en) Method and system for activation of a local terminal
US9692891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blocking unwanted communications
KR101295497B1 (en) Caller-Callee Association of a Plurality of Network Devices
US7912036B2 (en) Provision of telephony caller ID service via common instant communications clients
US7620036B2 (en) IP telephone system and calling method
CN1910883B (en) Instant messaging using telephone sets
US200500714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an electronic mail message with an indication of the presence of the sender
US20030152207A1 (en) Telecommunications and cellular telephone homepage call screening control center
KR100721837B1 (en) Ip communication method, ip terminal apparatus, enum server and ip communication system
CN10166935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ent-based synchronization of information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JP5802116B2 (en) Call system with data sharing function
KR20010073757A (en) Apparatus for offering customized communication service of the internet telephony
KR100378472B1 (en) Method for connecting internet telephone using serial number of hottelephone
KR20060012736A (en) Massage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s, the method for message verification in the same and the method providing service
WO2002037812A2 (en) Communications availability
MX2008000206A (en) Caller-callee association of a plurality of networked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