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3299A - 웨이퍼 마킹 장치 - Google Patents

웨이퍼 마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3299A
KR20010073299A KR1020000001561A KR20000001561A KR20010073299A KR 20010073299 A KR20010073299 A KR 20010073299A KR 1020000001561 A KR1020000001561 A KR 1020000001561A KR 20000001561 A KR20000001561 A KR 20000001561A KR 20010073299 A KR20010073299 A KR 20010073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fer
marking
cassette
la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1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기
장혁준
서석봉
Original Assignee
성규동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규동,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filed Critical 성규동
Priority to KR1020000001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73299A/ko
Publication of KR20010073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329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82Mar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이퍼에서 각 CSP를 절단, 분리하지 않은 채로 레이저를 이용하여 그 배면에 소망하는 정보를 마킹하는 웨이퍼 마킹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으며, 회로 패턴이 완성된 웨이퍼의 배면에 소정의 마킹 정보를 마킹하도록 된 웨이퍼 마킹 장치에 있어서, 다수 개의 웨이퍼를 일정 간격으로 분리 적재하기 위한 카세트; 웨이퍼의 방향 및 위치를 설정된 바와 같이 정렬하기 위한 수단; 웨이퍼의 전면에 마킹된 ID를 판독하기 위한 수단; 기설정된 마킹 정보를 웨이퍼의 배면에 마킹하기 위한 수단; 웨이퍼를 카세트에서 꺼내 상기 정렬수단으로 이송하고, 상기 정렬수단에 의해 정렬된 웨이퍼를 상기 마킹수단으로 이송하기 위한 수단; 각 웨이퍼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 상기 판독수단으로부터 판독된 웨이퍼 ID에 대응되는 웨이퍼 상태 정보를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인출하여 인출된 상태 정보를 근거로 웨이퍼의 배면에 마킹 정보를 마킹하도록 상기 마킹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웨이퍼 마킹 장치{Apparatus For Marking The Wafer}
본 발명은 웨이퍼 마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웨이퍼 상에서 레이저를 이용하여 그 배면에 소망하는 정보를 마킹하는 웨이퍼 마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집적회로는 손톱만큼이나 작은 실리콘 칩에 지나지 않지만 그 안에는 수 만 개에서 수 천만 개 이상의 전자부품들이 가득 들어 있다. 이러한 전자 부품들이 서로 정확하게 연결되어 논리게이트와 기억소자 역할을 하게 된다.
칩 속의 작은 부품들은 하나하나 따로 만들어서 조립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불가능하다. 대신 부품과 그 접속 부분들을 모두 미세하고 복잡한 패턴으로 만들어서 여러 층의 재료 속에 그려 넣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패턴을 사진으로 찍어 축소한 마스크를 마치 사진인화할 때의 필름처럼 사용한다.
공지된 반도체 소자의 제조 공정을 통해 얻어진 반도체 칩들은 칩 절단, 칩 부착, 와이어 본딩, 몰딩 및 포밍 등 일련의 어셈블리 공정을 거쳐 패키지화된다. 이러한 반도체 패키지는 반도체 칩이 전기적 신호 전달 경로를 이루는 리드 프레임의 인너리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반도체 칩 및 인너리드를 포함하는 공간적 영역이 에폭시 수지에 의해 밀봉된 형태를 이루고 있다.
최근, 각종 전기/전자 제품의 크기가 소형화되는 추세에 따라 한정된 크기의 기판에 보다 많은 수의 칩을 실장하여 소형이면서도 고용량을 달성하고자 하는 연구가 전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반도체 패키지의 크기 및 두께가 점차 감소되고있다.
그런데, 최근 관련 반도체 업계는 상기한 반도체 패키지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는 점을 인식하였다. 이에 따라, 별도의 제조 공정을 통해 웨이퍼 레벨에서 칩을 완성하는 칩 크기 패키지(Chip Size Pakage;이하에서는 CSP라 함)를 제안하게 되었다. 나아가 CSP의 제조가 활성화되리라고 예견하고 있다.
상기 CSP는 통상의 반도체 패키지, 즉 반도체 칩을 에폭시 수지로 몰딩하여 구성하는 패키지에 비하여 그 두께 및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패키지의 경박단소화를 달성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반도체 패키지(최근에는 CSP)에 특정기호, 숫자 및 문자를 잉크 또는 레이저 빔을 사용하여 마킹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CSP를 관리 및 사용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마킹을 통하여 그 CSP의 기능은 물론 제조회사, 패키징 및 검사한 회사를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후공정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공정중의 하나이다.
그런데, 전술한 CSP의 종래의 마킹 공정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각 CSP에 마킹하기 위해서는 먼저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절단 분리하여 정상적으로 완료된 양품(Good Die)의 칩을 선별하여 트레이에 정열시킨다. 이렇게 정렬된 트레이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그 배면에 잉크 또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제품명, 회사명 등 소망하는 정보를 마킹한다. 따라서, 낱개로 분리된 다수의 CSP를 적재하는 트레이가 구현되어 있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마킹시 각 CSP를 트레이에 적재하여야 하는 공정이 늘어나는 문제점이있었다.
나아가서는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웨이퍼에서 각 CSP를 절단, 분리하지 않은 채로 레이저를 이용하여 그 배면에 소망하는 정보를 마킹하는 웨이퍼 마킹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웨이퍼 마킹장치는 회로 패턴이 완성된 웨이퍼의 배면에 소정의 마킹 정보를 마킹하도록 된 웨이퍼 마킹 장치에 있어서, 다수 개의 웨이퍼를 일정 간격으로 분리 적재하기 위한 카세트; 웨이퍼의 방향 및 위치를 설정된 바와 같이 정렬하기 위한 수단; 웨이퍼의 전면에 마킹된 ID를 판독하기 위한 수단; 기설정된 마킹 정보를 웨이퍼의 배면에 마킹하기 위한 수단; 웨이퍼를 카세트에서 꺼내 상기 정렬수단으로 이송하고, 상기 정렬수단에 의해 정렬된 웨이퍼를 상기 마킹수단으로 이송하기 위한 수단; 각 웨이퍼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 상기 판독수단으로부터 판독된 웨이퍼 ID에 대응되는 웨이퍼 상태 정보를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인출하여 인출된 상태 정보를 근거로 웨이퍼의 배면에 마킹 정보를 마킹하도록 상기 마킹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렬수단은 웨이퍼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 상기 안착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웨이퍼를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비전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비전 카메라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구동 모터를 구동하여 웨이퍼를 지정된 위치로 정렬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카세트가 지정된 위치에 놓인 이후 카세트의 웨이퍼 적재 상태를 검지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검지된 웨이퍼 적재 상태 정보를 근거로 정상적으로 적재된 웨이퍼만을 꺼내도록 상기 이송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킹수단은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어 온 웨이퍼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 소정 파장을 갖는 레이저를 발진하는 발진기; 상기 발진기에서 발진된 레이저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어 있는 웨이퍼 배면의 소망하는 위치에 도달되도록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부는 3개의 지지대가 일정 간격 떨어져서 전체적으로 정삼각향 모양으로 배열되어 각 지지대의 상부가 웨이퍼의 원주면으로부터 중심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면접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각의 지지대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상부에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지지 날개를 구비하여 웨이퍼를 지지할 때 각 지지대의 같은 길이의 지지 날개만으로 지지하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이저의 매질은 ND:YAG 레이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 조절기는 발진된 레이저를 소망하는 칩 배면의 특정 위치로 도달시키기 위한 X축 및 Y축 거울; 상기 X축 및 Y축 거울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스캐너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웨이퍼 상태 정보를 근거로 굳-다이만 마킹하도록 상기 마킹수단을 제어하여도 좋을 것이다.
본 발명의 웨이퍼 마킹 장치는 상기 카세트가 지정된 위치에 놓여 있는 지를 감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상기 카세트가 지정된 위치에 놓여 있음이 감지된 이후 웨이퍼 마킹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마킹수단에 의해 웨이퍼 마킹이 완료되면 상기 이송수단을 구동하여 해당 웨이퍼를 카세트의 원래의 자리로 이송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웨이퍼 마킹 장치는 웨이퍼 마킹 장치의 동작 상태를 소정의 램프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웨이퍼 마킹 장치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각 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웨이퍼 마킹장치의 전기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의 얼라이너의 구체적인 구성도.
도 3은 도 1에서의 웨이퍼 정렬기의 구체적인 구성도.
도 4는 도 1에서의 마킹 레이저의 구체적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카세트 12 : 이송 로봇
14 : 얼라이너 16 : 전송 콘트롤러
18 : ID 판독부
22 : 웨이퍼 정렬기 24 : 마킹 레이저
26 : 레이저 콘트롤러 28 : 마킹 콘트롤러
30 : 메인 콘트롤러 32 : 조작 패널부
40 : 호스트 컴퓨터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웨이퍼 마킹 장치의 전기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의 얼라이너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의 웨이퍼 정렬기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며, 도 4는 도 1에서의 마킹 레이저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웨이퍼 마킹 장치는 다수 개의 웨이퍼를 적재할 수 있도록 된 카세트(10), 카세트(10)에 적재되어 있는 웨이퍼 중에서 원하는 웨이퍼를 이송하는 이송 로봇(12), 이송 로봇(12)에 의해 이송되어 온 웨이퍼를 원하는 방향과 위치로 포지션을 잡아 주는 얼라이너(Aligner)(14), 이송 로봇(12) 및 얼라이너(14)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이송 컨트롤러(16), 웨이퍼의 전면에 마킹된 웨이퍼의 고유한 ID(Identification)를 독취하는 ID 독취부(18), 웨이퍼를 마킹하기 전에 최종적으로 정열하기 위한 웨이퍼 정열기(22), 웨이퍼의 배면에 소정의 정보를 마킹하기 위한 마킹 레이저(24), 마킹 레이저(24)의 마킹 동작을 제어하는 레이저 콘트롤러(26), 웨이퍼 정열기(22) 및 레이저 콘트롤러(26)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킹 콘트롤러(28), 웨이퍼 마킹시 전송 콘트롤러(16), ID 독취부(18), 마킹 콘트롤러(28)를 제어하는 메인 콘트롤러(30), 사용자의 요구 조건을 입력하거나 마킹 동작의 수행시 발생하는 일련의 과정을 표시하기 위한 조작 패널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메인 콘트롤러(30)는 호스트 컴퓨터(40)로부터 입력되는 웨이퍼의 상태 정보를 근거로 전반적인 마킹 동작을 제어한다.
카세트(10)는 다수 개의 웨이퍼를 일정한 간격으로 분리 적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사용자에 의하여 카세트(10)에 웨이퍼가 적재된 이후 카세트(10)가 적소에 놓이게 되면 이를 감지하는 카세트 스위치 센서(미도시)에 의해 감지된다. 이 감지된 신호는 전송 콘트롤러(16)를 통해 메인 콘트롤러(30)로 전달된다. 메인 콘트롤러(30)는 상기 카세트 스위치 센서에 의해 카세트(10)가 감지될 때에만 마킹 동작을 수행 제어하게 된다.
이송 로봇(12)은 시스템이 구동되면 카세트(10)에 적재되어 있는 웨이퍼의상태를 감지한다. 즉, 이송 로봇(12)은 전송 콘트롤러(16)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면의 적소에 부착된 광센서(미도시)를 통해 카세트(10)에 적재된 웨이퍼의 적재 상태를 검지하게 된다. 상기 광센서는 카세트(10)에 적재된 웨이퍼가 적재되어 있는 지 또는 어느 공간부가 웨이퍼가 적재되지 않은 빈 상태인 지 등을 센싱하여 전송 콘트롤러(16)로 전송하게 된다. 전송 콘트롤러(16)는 이송 로봇(12)의 광센서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를 메인 콘트롤러(30)로 전송하게 된다. 이 웨이퍼 적재 상태 데이터를 전송받은 메인 콘트롤러(30)는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한 후 이 데이터를 근거로 전송 콘트롤러(16)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전송 콘트롤러(16)는 메인 콘트롤러(3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제어신호를 근거로 이송 로봇(12)을 제어하여 카세트(12)에 적재되어 있는 웨이퍼 중에서 어느 하나의 웨이퍼를 꺼내 얼라이너(14)로 이송시키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송 로봇(12)은 웨이퍼를 진공 흡착하여 고정 이송하게 된다.
얼라이너(14)는 이송되어 오는 웨이퍼를 안착시켜 흡착 고정하기 위한 안착부(143), 전송 콘트롤러(16)의 제어신호를 근거로 안착부를 회전시키거나 전후좌우로 이동시키는 구동 모터(145), 웨이퍼 상면의 상방에 형성되어 웨이퍼 상면에 마킹된 웨이퍼 ID를 스캐닝하여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 콘트롤러(16)로 전송하고, 또한 구동 모터(145)가 구동되면 안착부(143)가 회전 운동함에 따라 웨이퍼의 원주면이 형성하는 궤적을 스캐닝하여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한 후 전송 콘트롤러(16)로 전송하는 비전 카메라(141), 구동 모터의 이동 정도를 센싱하기 위한 인터럽트 센서(미도시)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메인 콘트롤러(30)는 웨이퍼가 얼라이너(14)에 안착되면 사용자가 지정하는 적정의 위치에 플랫(Flat) 또는 노치(Notch)가 정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송 콘트롤러(16)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전송 콘트롤러(16)는 메인 콘트롤러(30)의 제어신호를 근거로 구동 모터(145)를 구동 제어하여 안착부(143)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웨이퍼의 위치를 정렬하게 된다.
얼라이너(14)에서의 웨이퍼 정렬 과정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송 로봇(12)에 의해 웨이퍼가 안착부(143)에 안착되면 전송 콘트롤러(16)는 구동 모터(145)를 구동하여 안착부(143)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비전 카메라(141)를 제어하여 웨이퍼의 원주면이 형성하는 궤적을 촬영하도록 제어한다. 비전 카메라(141)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는 메인 콘트롤러(30)로 전송되고, 메인 콘트롤러(30)는 전송되어 오는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플랫(또는 노치)의 위치를 사용자가 소망하는 곳에 정렬시키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웨이퍼의 배면에 마킹하기 위해서는 웨이퍼가 정해진 위치에 놓여져야 되므로 마킹이 이루어지기 바로 전에 웨이퍼 정렬기(22)에 의해 웨이퍼의 위치가 최종적으로 세밀하게 정렬되지만, 얼라이너(14)에서는 어느 정도의 오차를 유지하면서 1차적으로 웨이퍼의 위치를 조정하여 정렬하게 된다.
웨이퍼가 얼라이너(14)에서 정렬이 완료되면 메인 콘트롤러(30)는 전송 콘트롤러(16)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 제어신호에 따라 전송 콘트롤러(16)는 이송 로봇(12)을 구동하여 얼라이너(14)에 안착되어 있는 웨이퍼를 웨이퍼 정렬기(22)로 이송 제어하게 된다.
웨이퍼 정렬기(22)는 웨이퍼(W)를 안착시키고 흡착 고정하기 위한 안착부(223), 안착부(223)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225), 사전에 정해진 장소에 서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안착부(223)와 대향되게 설치되는 두 대의 비전 카메라(221)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도 3에서 안착부(223)는 평면적으로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안착부(223)는 웨이퍼(W)의 모든 배면에 마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웨이퍼(W)와 접하는 부분이 웨이퍼(W)의 원주면으로부터 중심 방향으로 소정 길이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착부(223)는 소정 개수의 지지대(223a∼223c)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웨이퍼(W)를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웨이퍼(W)의 원주면을 따라 모두 면접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웨이퍼(W)를 고정지지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으로 되도록 지지대(223a∼223c)를 3개로 구현하였다. 지지대(223a∼223c)의 상부에 중심으로부터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지지 날개(224a∼224c)를 소정 개수 구비하여 웨이퍼(W)의 크기대로 지지 날개(224a∼224c)를 바꾸면서 웨이퍼(W)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 날개(224a∼224c)를 4개로 구현하였으나 그 날개의 개수는 요구자의 요구에 맞게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고, 각 지지 날개(224a∼224c)는 웨이퍼(W)를 진공 흡착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비전 카메라(221a, 221b)는 안착부(223)에 안착되어 있는 웨이퍼(W)를 각각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한 다음 마킹 콘트롤러(28)로 전달하게 된다. 마킹 콘트롤러(28)는 웨이퍼(W)의 이미지 데이터를 메인 콘트롤러(30)로 전달하게 된다. 메인 콘트롤러(30)는 전송되어 오는 이미지 데이터와 초기화시에 미리 설정하여 둔 웨이퍼(W)의 위치 데이터를 서로 비교 분석하여 현재 안착부(223)에 놓여져 있는 웨이퍼(W)의 위치를 파악한 다음 웨이퍼(W)의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신호를 마킹 콘트롤러(28)로 출력하게 된다. 이 제어신호를 전송받은 마킹 콘트롤러(28)는 상기 제어신호에 맞게 구동 모터(225)를 구동하여 웨이퍼(W)가 안착되어 있는 안착부(223)를 이동시킴으로써 웨이퍼의 위치를 정렬하게 된다.
한편, 전송 콘트롤러(16)로부터 웨이퍼(W)의 ID를 전송받은 메인 콘트롤러(30)는 각 웨이퍼(W)의 ID에 대응되게 미리 저장되어 있는 양품 칩 또는 불량품 칩에 대한 웨이퍼(W)의 상태 정보를 인출하여 이 인출한 웨이퍼 상태 정보를 마킹 콘트롤러(28)로 전달하게 된다. 다시 마킹 콘트롤러(28)는 웨이퍼 상태 정보를 레이저 콘트롤러(26)로 전달하게 된다.
이어서, 레이저 콘트롤러(26)는 상기 웨이퍼 상태 정보를 근거로 굳-다이의 뒷면에 소망하는 마킹 정보를 마킹하도록 마킹 레이저(24)를 구동 제어하게 된다. 한편, 배드-다이의 뒷면에도 마킹을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킹 레이저(24)는 레이저를 발진하는 레이저 발진기(241), 레이저 빔의 방향을 원하는 위치로 바꿔주는 위치 조절기(242)가 구성된다. 상기 레이저 매질로는 인조 고체봉 형태의 ND:YAG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 조절기(242)는 상기 레이저 발진기(241)에서 발진되는 레이저가 소망하는 칩의 원하는 위치로 발사되도록 방향을 조절하는 X축 및 Y축 거울(243, 244)이 구비된다. X축 및 Y축 거울(243, 244)은 각각 X축 및 Y축 스캐너(245, 247)에 의해서 전후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다. 메인 콘트롤러(30)는 마킹 정보를 참조하면서 상기 스캐너(245, 247)를 구동 제어하여 X축 및 Y축 거울(243, 244)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각 칩의 배면에 소망하는 마킹 정보의 마킹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다수의 램프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메인 콘트롤러(30)는 시스템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각 램프의 점멸을 제어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웨이퍼 마킹 장치의 동작을 요약한다.
우선, 사용자는 마킹하고자 하는 웨이퍼의 크기와 타입(노치, 플랫)을 조작 패널부(32)를 통해 입력하면 메인 콘트롤러(30)는 웨이퍼를 핸들링할 수 있도록 초기화 동작을 실행한다. 이어서, 이송 로봇(12)에 부착된 광센서가 카세트(10)에 꽂혀 있는 웨이퍼의 위치 정보를 습득하여 메인 콘트롤러(30)로 송부한다. 이어서, 메인 콘트롤러(30)의 제어하에 이송 로봇(12)이 웨이퍼를 얼라이너(14)에 올려 놓는다. 이어서, 얼라이너(14)에서는 사용자가 정한 방향으로 웨이퍼를 정렬한다. 이어서, 비전 카메라(141)를 이용해 웨이퍼 ID를 읽고 호스트 컴퓨터(40)와의 통신을 통해 마킹 정보를 다운로드 받는다. 이어서, 웨이퍼를 웨이퍼 정렬기(22) 위에 올려 놓는다. 이어서, 레이저 원점과 웨이퍼 정렬기(22) 위에 올려진 웨이퍼와의 편심량 dx, dy, dθ를 계산한다. 이어서, 계산된 편심량을 고려해 웨이퍼 ID 판독부(18)를 통해 습득된 마킹 정보를 수정한다. 이어서, 웨이퍼의 배면에 마킹을 진행한다. 이때, 마킹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 지의 여부를 실시간으로 검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웨이퍼 마킹이 완료되면 메인 콘트롤러(30)는 이송로봇(12)을 구동하여 마킹이 완료된 웨이퍼를 다시 카세트(10)의 원래의 자리에 꽂는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웨이퍼 레벨에서 필요한 정보를 뒷면에 마킹할 수 있게 됨으로써 웨이퍼에서 칩을 절단해 트레이에 배열하는 과정이나 마킹이 완료된 후 트레이에서 완성된 칩을 분리해 내는 과정등을 단축할 수 있어 비용 절감 및 생상성 향상의 효과가 있다.
또한, 웨이퍼의 크기에 관계없이 모든 웨이퍼에 마킹이 가능하고, 웨이퍼 레벨에서 칩 제조 공정을 완료하는 CSP 공정에 직접 이용이 용이하다.

Claims (12)

  1. 회로 패턴이 완성된 웨이퍼의 배면에 소정의 마킹 정보를 마킹하도록 된 웨이퍼 마킹 장치에 있어서,
    다수 개의 웨이퍼를 일정 간격으로 분리 적재하기 위한 카세트;
    웨이퍼의 방향 및 위치를 설정된 바와 같이 정렬하기 위한 수단;
    웨이퍼의 전면에 마킹된 ID를 판독하기 위한 수단;
    기설정된 마킹 정보를 웨이퍼의 배면에 마킹하기 위한 수단;
    웨이퍼를 카세트에서 꺼내 상기 정렬수단으로 이송하고, 상기 정렬수단에 의해 정렬된 웨이퍼를 상기 마킹수단으로 이송하기 위한 수단;
    각 웨이퍼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
    상기 판독수단으로부터 판독된 웨이퍼 ID에 대응되는 웨이퍼 상태 정보를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인출하여 인출된 상태 정보를 근거로 웨이퍼의 배면에 마킹 정보를 마킹하도록 상기 마킹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마킹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수단은 웨이퍼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
    상기 안착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웨이퍼를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비전 카메라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비전 카메라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구동 모터를 구동하여 웨이퍼를 지정된 위치로 정렬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마킹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카세트가 지정된 위치에 놓인 이후 카세트의 웨이퍼 적재 상태를 검지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검지된 웨이퍼 적재 상태 정보를 근거로 정상적으로 적재된 웨이퍼만을 꺼내도록 상기 이송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마킹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수단은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어 온 웨이퍼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부;
    소정 파장을 갖는 레이저를 발진하는 발진기;
    상기 발진기에서 발진된 레이저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어 있는 웨이퍼 배면의 소망하는 위치에 도달되도록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마킹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3개의 지지대가 일정 간격 떨어져서 전체적으로 정삼각향 모양으로 배열되어 각 지지대의 상부가 웨이퍼의 원주면으로부터 중심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면접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마킹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지지대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상부에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지지 날개를 구비하여 웨이퍼를 지지할 때 각 지지대의 같은 길이의 지지 날개만으로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마킹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의 매질은 ND:YAG 레이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마킹 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기는 발진된 레이저를 소망하는 칩 배면의 특정 위치로 도달시키기 위한 X축 및 Y축 거울;
    상기 X축 및 Y축 거울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스캐너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마킹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웨이퍼 상태 정보를 근거로 굳-다이만 마킹하도록 상기 마킹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마킹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가 지정된 위치에 놓여 있는 지를 감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상기 카세트가 지정된 위치에 놓여 있음이 감지된 이후 웨이퍼 마킹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마킹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마킹수단에 의해 웨이퍼 마킹이 완료되면 상기 이송수단을 구동하여 해당 웨이퍼를 카세트의 원래의 자리로 이송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마킹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웨이퍼 마킹 장치의 동작 상태를 다수의 램프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웨이퍼 마킹 장치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각 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마킹 장치.
KR1020000001561A 2000-01-13 2000-01-13 웨이퍼 마킹 장치 KR200100732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1561A KR20010073299A (ko) 2000-01-13 2000-01-13 웨이퍼 마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1561A KR20010073299A (ko) 2000-01-13 2000-01-13 웨이퍼 마킹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299A true KR20010073299A (ko) 2001-08-01

Family

ID=19638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1561A KR20010073299A (ko) 2000-01-13 2000-01-13 웨이퍼 마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73299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974B1 (ko) * 2001-12-01 2004-08-25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칩 스케일 마커의 마킹 위치 보정 방법 및 그 장치
KR100461024B1 (ko) * 2002-04-15 2004-12-13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칩 스케일 마커 및 마킹 방법
KR100762849B1 (ko) * 2005-03-31 2007-10-02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레이저 가공 장치
US7618832B2 (en) 2005-01-22 2009-1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substrate having reference semiconductor chip and method of assembling semiconductor chip using the same
WO2016003005A1 (ko) * 2014-07-03 2016-01-07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웨이퍼 마킹 방법
CN112908903A (zh) * 2021-02-19 2021-06-04 中国科学院苏州纳米技术与纳米仿生研究所 标记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974B1 (ko) * 2001-12-01 2004-08-25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칩 스케일 마커의 마킹 위치 보정 방법 및 그 장치
KR100461024B1 (ko) * 2002-04-15 2004-12-13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칩 스케일 마커 및 마킹 방법
US7618832B2 (en) 2005-01-22 2009-1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substrate having reference semiconductor chip and method of assembling semiconductor chip using the same
KR100762849B1 (ko) * 2005-03-31 2007-10-02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레이저 가공 장치
WO2016003005A1 (ko) * 2014-07-03 2016-01-07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웨이퍼 마킹 방법
US10304778B2 (en) 2014-07-03 2019-05-28 Eo Technics Co., Ltd Wafer marking method
CN112908903A (zh) * 2021-02-19 2021-06-04 中国科学院苏州纳米技术与纳米仿生研究所 标记装置
CN112908903B (zh) * 2021-02-19 2024-04-26 中国科学院苏州纳米技术与纳米仿生研究所 标记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1935B1 (ko) 전자다이 자동배치 방법 및 장치
KR102438590B1 (ko) 기판 반송 장치, 기판 반송 방법 및 기억 매체
US4861162A (en) Alignment of an object
US4789294A (en) Wafer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TW421822B (en) Semiconductor device and alignment method
US6961994B2 (en) Method of high-speed and accurate alignment using a chip mounting device
CN109968854B (zh) 激光打标机及其打标方法
US73631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ise marking and placement of an object
US200201688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rking microelectronic dies and microelectronic devices
JP6923346B2 (ja) 基板搬送装置、それを備える基板処理装置および基板搬送装置のティーチング方法
JP2000082651A (ja) 走査露光装置及び走査露光方法
IE49684B1 (en) Systems for bonding pellets,for example semiconductor chips,to supports
US20070187514A1 (en) Identification mark rea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ame
JP5346759B2 (ja) 基板位置決め方法
KR20010073299A (ko) 웨이퍼 마킹 장치
CN113161273A (zh) 位置偏离检测方法及装置、位置异常判定及搬送控制方法
US20040101000A1 (en) Laser system for dual wavelength and chip scale marker having the same
US20130230371A1 (en) Processing apparatus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US6381005B1 (en) Mask holding device, exposure apparatus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CN110892257A (zh) 摄影装置、凸块检查装置以及摄影方法
JP4026904B2 (ja) 基板搬送装置および露光装置
KR19990073550A (ko) 반도체칩웨이퍼와패턴필름의정렬장치
JPS62102522A (ja) 露光方法および装置
KR102268207B1 (ko) 노광장치, 포토리소그래피 설비 및 노광방법
KR20020076461A (ko) 씨씨디카메라에 의한 문자열 인식기능을 갖춘 반도체웨이퍼정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