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2847A - 종이 펄프를 예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종이 펄프를 예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2847A
KR20010072847A KR1020017002243A KR20017002243A KR20010072847A KR 20010072847 A KR20010072847 A KR 20010072847A KR 1020017002243 A KR1020017002243 A KR 1020017002243A KR 20017002243 A KR20017002243 A KR 20017002243A KR 20010072847 A KR20010072847 A KR 20010072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separation
separation tank
pulp
white water
scre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2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우니 마툴라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안드리츠-알스트롬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안드리츠-알스트롬 오와이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10072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2847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DTREATMENT OF THE MATERIALS BEFORE PASSING TO THE PAPER-MAKING MACHINE
    • D21D5/00Purification of the pulp suspension by mechanical means; Apparatus therefor
    • D21D5/26De-aeration of paper stock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66Pulp catching, de-watering, or recovering; Re-use of pulp-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per (AREA)
  • Preliminary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 펄프를 예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특히 충전물-함유 품등으로 제조하는 제지 기계의 제지 기계 접근 시스템에 사용되도록 적용가능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의 특성화된 특징은 프로펠러 펌프가 가스 분리 탱크(16) 공급 펌프(120)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종이 펄프를 예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ETREATING PAPER PULP}
예를 들어, 미국 특허 공개 제 4,219,340 호에 상세히 게시된, 제지 기계로 종이 펄프를 공급하는 거의 모든 선행 기술의 제지 기계 접근 시스템은 다음의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 백수 탱크(white water tank), 여러 단계 사이에서 공급 펌프 및 펌프들을 가지는 원심 클리닝 플랜트(centrifugal cleaning plant), 진공 제공 수단을 가지는 가스 분리 탱크, 팬 펌프(fan pump), 헤드 박스 스크린(head box screen), 제지 기계 헤드 박스, 및 백수 트레이(tray). 상기 구성 요소들은 제지 기계와 연계되어 위치되고 다음과 같이 작동하도록 배치된다: 초지를 위해 사용되는 섬유질 물질과 제지 기계의 와이어부로부터 얻어지는 이른바 백수로 희석되는 충전물은, 기계 체스트(chest)로부터 밀(mill)의 하단면 높이에 통상적으로 위치되는 백수 탱크로 투입된다. 밀의 하단면 높이에 또한 위치되는 공급 펌프에 의해, 섬유질 현탁액은 백수 탱크로부터 통상적으로 밀의 기계 높이, 즉 제지 기계의 위치 높이에, 또는, 상기 특허에서와 같이, 그 기계상에 위치되는 원심 클리닝 플랜트의 제 1 클리닝 단계로 펌핑(pumping)된다. 원심 클리닝 플랜트는, 각각 그 자신의 공급 펌프를 전형적으로 가지는, 몇가지(가장 일반적으로 4 - 6) 단계를 통상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공급 펌프에 의해 생성되는 압력으로, 원심 클리닝 플랜트의 제 1 클리닝 단계에 수용되는 섬유질 현탁액은 기계 높이상에 전형적으로 위치되는 가스-분리 탱크로 더 전달된다. 실제로 그것은 백수 탱크의 수면상에서 약 10 - 12 미터를 의미한다. 가스-분리 탱크에서 섬유질 현탁액은, 가장 일반적으로 액체 링 펌프(liquid ring pump)인, 진공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진공 영향을 받음으로써, 현탁액에 용해된 가스와 현탁액에서 작은 기포 형태의 가스 모두가 탱크내 액체 수면상으로 상승하고 탱크로부터 진공 장치를 통해 방출된다. 가스-분리 탱크로부터 섬유질 현탁액은, 이것에서부터 가스는 가능한한 철저하게 제거되어, 밀의 하단면 높이에 위치되는 팬 펌프로 유동하고, 이 공급 펌프는 밀의 하단면 높이에 또한 위치되는 (상기 미국 특허에 도시되지 않은) 헤드 박스 스크린으로 섬유질 현탁액을 더 펌핑하며, 그 이후 섬유질 현탁액은 제지 기계의 헤드 박스로 기계 높이까지 유동한다.
선행 기술의 제지 기계 접근 시스템에서 한가지 문제점은 가스 분리 탱크와 길고 대형인 배관뿐만 아니라 원심 클리닝 플랜트의 체적에 대부분 기인하는 그 시스템의 거대한 체적이다. 체적 자체는, 공간 이용과 그것이 상대적으로 큰 투자비를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고, 중요한 문제점이 아니지만, 대형 체적에 기인하는 긴 지연 시간은 품등(grade) 변화를 실질적으로 억제하고 품등 변화와 연관된 큰 브로크(broke)를 발생시킨다. 품등 변화와 관련하여, 섬유질 현탁액의 모든 요소들의 상대량이 바람직한 최종 제품의 함량에 부합하도록 접근 시스템을 통해 동일하게 되기전에 브로크는 최종 제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모든 펄프에 관해 발생된다.
상기 문제점은 핀란드 특허 제 89728 호에서 이미 다루어졌고, 이에 따라 다른 유형의 백수가 제지 기계의 와이어부로부터 수집되고 소정의 실재 백수 탱크를 채용하지 않고 제지 기계의 단축 순환으로 직접 안내된다. 상기 공개 특허에서는, 각각의 백수 트레이 하부에 백수를 적절한 위치로 전달하기 위한 펌프가 존재한다. 상기 공개 특허는, 지연 시간이 가능한한 단축되도록, 매우 평평한, 즉 적은 체적의 백수 채널(channel)을 게시한다. 상기 공개 특허에 따른 해법에서, 와이어부의 측면에 배치된 소형 펌핑 콘테이너(pumping container)가 존재하고 펌핑 작업을 제공함을 의미하는데, 이것으로부터 백수는 공정으로 더 전달된다. 그렇지만, 이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탈기(deaeration)는 제지 기계의 방해받지 않는 작업을 제공하는데 충분히 효율적이지 않다.
공간 이용 및 큰 액체 체적과 관련된 문제점에 추가로, 원심 클리닝 플랜트는, 또한, 다른 문제점들을 발생시키는 것이 인지될 수 있다. 제지 기계 접근 시스템에서 원심 클리닝 플랜트의 통상적인 위치는 제지 기계의 헤드 박스에 바로 선행하는 섬유질 현탁액이, 예를 들어, 불순물 또는 불순 입자들로 모두가 호칭될 수 있는, 모래, 나무껍질 조각, 은 및 초과된 크기의 충전물 조각과 같은, 초지에 부적합한 입자들을 가지지 않는 것을 보장하도록 위치가 선택되는 것을 기초로 설명되었다. 실시된 테스트중에, 그러나, 특히 충전물-함유 품등을 제조하는 제지 기계의 경우에서, 제지 기계 헤드 박스로 향하는 유동으로부터 제거된 단편인, 상기 원심 클리닝 플랜트에 의해 리젝팅(rejecting)된 파편의 주요부는 초지에 적합한 것이 인지되었다. 이것에 대한 한가지 원인은 원심 클리닝 플랜트의 사이클론(cyclone)이 헤드박스로의 유동으로부터 소정의 부적절한 물질을 방지하는 치수를 가지고, 다른 한편, 원심 클리너는 한가지 물질과 함께 최적 방식으로 단일 또는 소수의 매우 유사한 물질들을 처리하도록 예정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섬유질 물질 및 광물계 충전물과 같은, 예를 들면 다양한 요소들의 매우 다른 밀도를 고려하면, 그러한 종류의 적용시에 원심 클리닝 플랜트는 소정의 요소에 관하여 최적 기능을 수행할 수 없지만, 원심 클리닝 플랜트의 기본 목적은 클리닝중에 실질적으로 변화되지 않는 섬유질 현탁액에서 요소들의 비율을 유지시키고 초지에 부적절한 소정 입자가 제지 기계의 헤드 박스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어야 한다는 점이 쉽게 인지된다. 실제로, 동일한 문제점이, 원심 클리닝 플랜트로부터 리젝팅되는 것을 수용하지만, 핀란드 특허 제 93753 호 및 제 97736 호에서 다루어진다.
상기된 문제점에 대한 한가지 바람직한 해법은 함께 요소들을 혼합하기 이전에 그 자신의 구획에서 신규 섬유질 현탁액, 펄프 브로크, 재생된 섬유질 물질 등의 종이 펄프의 모든 요소가 개별 처리되도록 언급된다. 그러한 경우에, 각각의 적용시에 각각의 구성 요소를 위한 가장 적절한 클리닝 방법과 장치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는 순수한 단편만이 제지 기계의 단축 순환으로 도입되고 원심 클리닝 플랜트는 전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그것에 추가로, 그 특정 목적을 위한 치수를 가지고 적용되는 장치로 모든 요소를 클리닝하는 것은 에너지 소비 및 선행 기술의 원심 클리닝 플랜트와 비교하여 클리닝을 수행하기 위한 적절한 장치의 선택의 관점에서 실질적으로 더 효율적이고 경제적이다.
원심 클리닝 플랜트에 의해 발생되는 몇가지 추가적인 문제점들이 또한 있다. 큰 액체 체적과 복합 유동 배관 때문에, 원심 클리닝 플랜트는, 종이 펄프 유동과 펄프 압력에서 직접적으로 변동을 발생시키지 않더라도, 이러한 변동을 최소한 유지하고 강화시키려는 경향이 있다. 추가로, 몇가지(가장 일반적으로 4 - 6)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원심 클리닝 플랜트와 다수의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유동 유닛(unit)은 주요 유동 저항을 형성하는데, 수개의 대형 원심 펌프를 사용하는 이것에 대한 보상은 많은 동력을 소모시킨다. 통상적으로 원심 클리닝 플랜트의 각각의 클리닝 단계를 위해 개별 공급 펌프가 존재하는데, 이 경우에 평균 크기의 밀에서 제지 기계의 단축 순환의 모든 펌프의 총 동력 요구량은 2 MW 정도이다.
특히 펌핑의 동력 소모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인자는 서로에 관한 밀의 단축 순환 요소들의 위치이다. 첫번째 단점은 기계 높이상에 통상적으로 위치되는 가스 분리 탱크의 위치인 것이 인지된다. 가스 분리 탱크를 기계 높이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면, 그것은 기계 높이보다 더 높은 공급 펌프로 섬유질 현탁액을 펌핑해야 하는 필요성을 제거시킬 것이다. 그렇지만, 이것에 대한 전제 조건은, 오버플로우(overflow)의 작용이, 실제로 기계 높이상에서부터 기계 높이 하부로, 상대적으로 높은 자유 낙하를 요구하기 때문에, 오버플로우 없이 작용하도록, 또는 오버플로우의 작용을 보장하는 압력차를 생성하도록 오버플로우와 관련하여 배치된펌프를 포함하도록, 가스 분리 탱크가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가스 분리 탱크의 수면 높이(좀더 정확하게는, 팬 펌프의 입구 압력)는, 첫번째 대안을 적용하는 경우, 오버플로우에 의해 결정될 수 없으나, 몇가지 대체 방법은 인지되어야 한다. 가스 분리 탱크의 수면 높이 조절의 기본 목적은, 이미 상기된 바와 같이, 팬 펌프의 입구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므로, 실제로 수면 높이의 변화, 또는 때때로 현저할 수 있는, 종이 펄프 밀도의 변동에 추가로, 고려하는 조절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경제적이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변화는 종이 질의 향상과 제조 공정의 안정화에 의해 수반된다. 따라서, 그 결과는 펌핑시에 에너지 소모의 관점에서 더 경제적이고, 동시에, 종이 질과 공정 진행도에서 명확한 효과를 가지는 해법이다.
제지 기계 접근 시스템에서 펌핑의 에너지 소모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은 백수 탱크의 높이이다. 백수 탱크, 즉 제지 기계로부터 이른바 백수가 수집되는 탱크는 통상적으로 거의 10 미터 높이이고, 제지 밀의 하단면 높이에 위치되는 상대적으로 대형의 콘테이너이며, 이 탱크의 수면 높이는 크게 변동한다. 수면 높이의 차이에 대한 한가지 원인은 예를 들면 기계와 관련한 백수 탱크의 위치이다. 이른바 장망초지기(fourdrinier machine)의 경우에, 그 경우에 또한 와이어 피트(wire pit)로 언급되는, 백수 탱크는 와이어부 하부에 위치됨으로써, 구조상 원인으로 백수 탱크의 수면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한다. 와이어부 등(이른바 오프-머신 사일로(off-machine silo))의 측면에 배치되는 백수 탱크의 수면 높이는, 순차적으로, 항상 실제로 가능성이 있는 높이는 아니다. 대형 백수 탱크는대형 완충 탱크의 존재가 공정을 안정화시키는 명확한 인자로서 인지됨을 기초로 정당화된다. 우선 공급 펌프는 백수 탱크의 때때로 낮은 수면 높이를 보상해야 하고, 나머지는 백수 탱크의 큰 체적에 기인한 공정 지체 때문에, 이것은 또한 에너지 소모의 소정의 증가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종이 펄프를 예비 처리하는 방법 및 그것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이른바 단축 순환 작업을 최적화하기 위해 제지 기계 접근 시스템에 사용되도록 적용가능함이 특히 바람직하다.
도 1은 주로 미국 특허 제 4,219,340 호에 따른 선행 기술의 해법을 도시,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법을 도시,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법을 도시.
밀의 하단면 높이에서 백수 탱크의 상기 위치, 즉, 기계 높이의 하부는 본 발명에 따른 접근 시스템에서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법은 기계 높이에 백수 탱크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또한 백수 탱크의 측면에 위치되는 가스 분리 탱크 공급 펌프가 기계 높이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된 방식으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경우, 실질적으로 적은 동력 요구량을 가지고 원심 펌프와 비교하여 실질적으로 양호한 헤드 대 용적비를 가지는 프로펠러 펌프를 가스 분리 탱크 공급 펌프로서 채용함으로써 제지 기계 접근 시스템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스톡(stock) 모두 또는 적어도 그것의 주요부는 상기 프로펠러 펌프에 의해 가스 분리 탱크로 공급된다. 실제 특징에 관하여, 프로펠러 펌프는 원심 펌프보다 상기 목적을 위해 더 적합하지만, 그 이전에, 프로펠러 펌프가 선행 기술의 공정의 헤드 요구량을 만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적용에 그것을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상기 선행 기술 장치의 약 2 MW의 동력 요구량과 비교하여, 하나의 프로펠러 펌프의 채용은 약 200 kW의 동력이 소모된다, 즉 요구되는 동력의 약 90%를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접근 시스템에서 상기 가스 분리 탱크 공급 펌프를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지 기계 접근 시스템을 또한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소정의 적절한 조건에서 이것은 기계 높이 하부로 가스 분리 탱크를 이동시킴으로써 간단하게 실행될 수 있어서, 백수 탱크로부터 가스 분리 탱크로, 섬유질 현탁액 전체 또는 적어도 그것의 주요부를 전달하는데 요구되는 압력차가 진공 장치 즉 가스 분리 탱크의 진공 펌프에 의해 발생될 수 있을 정도로 작아진다. 이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는, 필요하다면, 백수 탱크로부터 가스 분리 탱크로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이용에 관한 소정의 장점들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더욱 정확한 스크리닝(screening)에 기인한 초지에서 리젝팅의 전체적인 감소,
- 제지 기계 단축 순환의 더욱 안정된 작동,
- 제지 기계 단축 순환에서 작아진 유동 저항,
- 제지 기계 단축 순환의 공간 절약,
- 펌핑을 위해 요구되는 에너지 절약,
- 단축된 지연 시간,
- 신속한 품등 변화,
- 미생물 성장이 없는, 클리너 공정,
- 단순한 구조 - 경제적 투자비.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게시된다.
도 1에 도시된 선행 기술의 접근 시스템은 백수 탱크(10), 공급 펌프(12), (도시되지 않은 몇가지 단계를 가지는) 원심 클리닝 플랜트(14), 진공 장치(17)를 가지는 가스 분리 탱크(16), 팬 펌프(18), 헤드 박스 스크린(20), 제지 기계의 헤드 박스(22) 및 (도시되지 않은) 백수 수집 채널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 요소들은 제지 기계(24)와 연계하여 위치되고 다음과 같이 작동하도록 배치된다. 신규 펄프, 제 2 펄프 및/또는 브로크를 포함할 수 있는, 초지에 사용되는 섬유질 물질, 및 제지 기계로부터, 우선적으로 그 기계의 와이어부로부터, 얻어지는 이른바 백수로 희석되는 충전물은 백수가 수집되고 통상적으로, 종이 펄프를 제조하도록, 선행 기술 장치에서 밀의 하단면 높이에 통상적으로 위치되는 백수 탱크(10)로 도입된다. 밀의 하단면 높이에 또한 위치되는, 공급 펌프(12)에 의해, 상기 종이 펄프는 백수 탱크(10)로부터, 클리닝 플랜트가 가장 일반적으로 4 - 6 단계를 포함하는, 밀의 기계 높이(K, 제지 기계(24)의 위치 높이)에 통상적으로 위치되는 원심 클리닝 플랜트(14)로 펌핑된다. 원심 클리닝 플랜트(14)의 제 1 단계에 의해 수용되는 스톡은 공급 펌프(12)에 의해 생성되는 압력하에서 (그리고 가스 분리 탱크의 진공의 부여 효과(contributory effect)와 함께) 기계 높이상(T)에 위치되는 가스 분리 탱크(16)로 더 진행한다. 가스 분리 탱크(16)는 탱크내 스톡의 수면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오버플로우를 전형적으로 포함한다. 오버플로우에서 탱크로부터 방출된 스톡은 밀의 하단면 높이에 위치되는 백수 탱크(10)로 기계 높이 하부를 하방 유동한다. 가스 분리 탱크(16)로부터 실질적으로 가스-프리 종이 펄프(gas-free paper pulp), 즉 가스가 진공 장치(17)에 의해 가능한한 완전히 제거된 펄프는 밀의 하단면 높이에 위치되는 팬 펌프(18)로 유동하고, 이 팬 펌프는 밀의 하단면 높이에 또한 위치되는 헤드 박스 스크린(20)으로 종이 펄프를 더 펌핑하며, 여기에서부터 수용된 종이 펄프는 제지 기계(24)의 헤드 박스(22)로 기계 높이(K)까지 유동한다.
도 2는 선행 기술의 통상적인 백수 탱크(10)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법을 도시한다. 도면에 따른 해법에서, 3개의 파이프라인(pipeline, 40, 42 및 44)은 백수 탱크(10)와 연결되는데, 각각의 파이프라인은 백수 탱크로 다른 섬유질 펄프를 전달한다. 각각의 파이프라인(40 - 44)은 개별적으로 그 자신의 원심 클리닝 장치(46, 48 및 50)에 연결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슬롯 드럼(slot drum)이 제공되는, 새로운 유형의 압력 스크린이 다양한 펄프 단편의 최종 스크리닝에 매우 적합하므로, 원심 클리닝은 단순한 스크리닝 실행인 것은 아님이 인지되어야 한다. 또한, 모든 상기 파이프라인들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펄프가 백수 탱크 이전에 예를 들어 특정 혼합 탱크에서 서로 혼합되고, 여기에서부터 스톡은 완충 탱크로서 이용되는 이른바 기계 체스트로 수용되는 것이 또한 가능함을 인지하여야 한다. 당연하게도, 당 업자에게 공지된 것이 인지됨에 따라 본문에서 좀더 정확하게 게시되지 않은 적절한 투약을 이러한 종류의 혼합은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원심 클리닝 장치(46 - 50)는 그 자신의 펄프의 종류를 처리하도록 예를 들어 장치(46)는 제지 기계의 브로크 펄퍼(broke pulper)로부터 펄프 브로크를, 장치(48)는 재생된 섬유질 펄프를 그리고 장치(50)는 신규 섬유질 펄프를 처리하도록 인지된다. 상기 도면은 각각의 원심 클리닝 장치와 연계한 펌프를 더 도시하고, 이 펌프로 다른 펄프가 백수 탱크(10)로 클리너를 통과하여 도입된다. 그렇지만, 상기 펌프들은 공정에서 클리너로부터 현저하게 더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펌프와 클리너 사이에 다양한 처리 장치를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장치로, 각 종류의 펄프는 가능한한 최적으로, 즉 각각의 클리너가 해당 펄프 종류의 최적 스크리닝에 따라 선택되고 운전될 수 있도록 처리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클리너 이후에, 상기 공정은 다양한 중간 탱크들, 펌핑 또는 각각의 펄프 단편의 처리를 위해 요구되는 기타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의 실시예는 혼합/분산 탱크(56), 충전물 슬러리(slurry) 공급 펌프(58)와 충전물의 스크리닝을 실행하는 원심 클리닝 장치(54)를 포함하는 충전물 처리 장치와 백수 탱크(10)와 공급 펌프(120) 사이로 스크리닝된 충전 물질을 공급하는 파이프라인(52)을 도시한다. 실제로 매우 큰 충전물 입자들만 충전 물질 유동으로부터 제거되고 시스템에서 전체적으로 제거되거나 예를 들어 분산 단계로 귀환되는 것을 이 장치는 보장한다. 따라서, 이 해법은 종이보다 확실히 더 얇은 상당히 큰 충전물 입자들의 리젝팅을 방지하는데, 이리젝팅은 통상적인 선행 기술의 원심 클리닝 플랜트의 경우에는 일반적이다. 공급 펌프(120)로서, 예를 들면 펌프(120)와 가스 분리 탱크(16) 사이에서 유동 저항을 발생시키는 원심 클리닝 플랜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적어도 충분한 헤드를 생성하는 프로펠러 펌프가 채용된다. 그리고, 이미 언급되었듯이, 소정의 경우에는 공급 펌프가 가스 분리 탱크의 진공 장치로 대체될 수 있는데, 이 진공 장치는 종이 펄프를 전달하기 위해 요구되는 압력차를 생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법을 도시한다. 그것은 제지 밀의 기계 높이에 실질적으로 위치되는 새로운 종류의 백수 탱크(100)에 관한 것인데(백수 탱크의 주요부는 기계 높이의 수면상에 있고 수면 높이는 기계 높이의 수면상에 명확하게 존재한다), 이 탱크로 섬유질 단편이 파이프라인(40 - 44)을 통해 이동되고 이것은 높이(S100)에 수면 높이를 갖는다. 도면은 밀의 하단면 높이에 위치되고 높이(S10)에 수면 높이를 가지는 선행 기술의 백수 탱크(10)와 공급 펌프(12)를 파선으로 도시한다. 소정의 경우에, S100과 S10의 수면 높이 사이의 높이차는, 특히 와이어 피트가 제지 기계의 와이어부 하부에 위치되어서, 높이차가 선행 기술에 따른 장치에서 펌핑 에너지의 잉여 소모에서 직접 계산될 수 있는 경우에, 수 미터이다. 그것에 추가로, 대형 백수 탱크는 그 자신의 지연 시간을 공정 중 작동시에 발생시킨다. 도면에 따른 해법에서, 백수 탱크(100)와 가스 분리 탱크(16)의 수면 높이 사이의 높이차(dh)는 9 미터 미만, 바람직하게는 6 미터 미만, 적절하게는 2 - 4 미터이므로, 펌프(120)의 헤드 요구량은 프로펠러 펌프의 사용을 충분히 가능하게 하도록 충분히 작다.
본 발명은 원심 클리닝 플랜트가 없는 제지 기계 단축 순환과 연계되어 게시되었지만,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단지 한가지 특정 실시예인 것이 상기로부터 인지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장치는 원심 클리닝 플랜트가 통상적으로 위치되는 단축 순환에도 적용 가능하다. 그러한 종류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충분히 실시예를 적용하는 경우에 실행가능한, 몇가지 장점들만이 상실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따른 프로펠러 펌프의 채용은 그것의 이용이 항상 정당화되는 모든 적용에서 매우 현저한 장점을 갖는다.
상기된 바와 같이, 제지 기계로 공급되는 종이 펄프를 예비 처리하는 새로운 방법이 개발되었고, 이 방법은 선행 기술의 많은 결점과 단점을 제거하며 선행 기술의 접근 시스템의 사용을 방해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한다. 상기로부터,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게시되는 개별적인 새로운 특징들은 독립적으로 적용 가능하고 결코 그것들이 상기에 제공되는 것과 필연적으로 관련되지 않는 것이 인지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의 특징은 첨부된 특허 청구항에 게시된다.

Claims (18)

  1. 종이 펄프 전체 또는 적어도 그것의 주요부가 가스 분리 탱크 공급 펌프(12, 120)에 의해 가스 분리 탱크(16)로 공급되고 여기에서 팬 펌프(18)에 의해 제지 기계의 헤드 박스(22)로 더 공급되는, 종이 펄프를 예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종이 펄프는 프로펠러 펌프(12)에 의해 상기 가스 분리 탱크(16)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펄프를 형성하는 단편들 중에서, 적어도 충전물 단편과 섬유질 단편은, 상기 가스 분리 탱크(16)로 전달되기 전에, 상기 단편들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그 자신의 스크리닝 단계에서 개별적으로 처리되고, 그 이후에 상기 단편들은 종이 펄프를 형성하도록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펄프 예비 처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펄프에 함유되는 다양한 종류의 섬유질 펄프(예를 들어 VF, DIP, BR)는 각각 그 자신의 스크리닝 단계에서 개별적으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펄프 예비 처리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원심 클리닝은 상기 스크리닝 단계에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펄프 예비 처리 방법.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압력 스크린은 상기 스크리닝 단계에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펄프 예비 처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펄프는 특정 클리닝을 이용하지 않고 백수 탱크(10)로부터 직접 상기 가스 분리 탱크(16)로 프로펠러 펌프(12)에 의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펄프 예비 처리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 펄프는 상기 기계 높이에 실질적으로 위치되는 백수 탱크(100)로부터 상기 가스 분리 탱크(16)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 펄프 예비 처리 방법.
  8. 적어도 하나의 가스 분리 탱크 공급 펌프(12), 가스 분리 탱크(16), 팬 펌프(18) 및 제지 기계의 헤드 박스(22)를 포함하는, 종이 펄프를 예비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 분리 탱크(16) 공급 펌프는 프로펠러 펌프(120)이고, 이것에 의해 상기 종이 펄프는 상기 백수 탱크(10) 등으로부터 상기 가스 분리 탱크(16)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가스 분리 탱크 공급 펌프(120) 이전의공정 순서에 상기 충전물 슬러리를 스크리닝하기 위한 수단(54)과 상기 섬유질 펄프를 스크리닝하기 위한 수단(46, 48, 50) 모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물 슬러리 스크리닝 수단은 원심 클리닝 장치(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질 펄프 스크리닝 수단은 원심 클리닝 장치(46, 48, 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질 펄프 스크리닝 수단은 압력 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9 항,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질 펄프 스크리닝 수단은 각각의 종류의 섬유질 펄프를 위한 특정 개별 스크리닝 장치(46, 48, 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1 항,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질 펄프 스크리닝 장치(46, 48, 50)는 상기 백수 탱크(10) 등의 이전의 공정 순서에 위치되고, 이것은, 순차적으로, 상기 가스 분리 탱크 공급 펌프 이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장치.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분리 탱크(16)에는 오버플로우 없이 상기 팬 펌프(18)의 입구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백수 탱크(100)와 상기 공급 펌프(120)는 상기 기계 높이(K)에 실질적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백수 탱크(100)와 상기 가스 분리 탱크(16) 사이의 수면 높이차는 9 미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백수 탱크(100)와 상기 가스 분리 탱크(16) 사이의 수면 높이차는 바람직하게는 6 미터 미만, 적절하게는 2 - 4 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17002243A 1998-08-21 1999-08-18 종이 펄프를 예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100728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981798A FI105489B (fi) 1998-08-21 1998-08-21 Menetelmä ja laitteisto paperimassan esikäsittelemiseksi
FI981798 1998-08-21
PCT/FI1999/000684 WO2000011265A1 (en) 1998-08-21 1999-08-18 Method and apparatus for pretreating paper pul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2847A true KR20010072847A (ko) 2001-07-31

Family

ID=8552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2243A KR20010072847A (ko) 1998-08-21 1999-08-18 종이 펄프를 예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1) EP1121483B1 (ko)
JP (1) JP2002523642A (ko)
KR (1) KR20010072847A (ko)
CN (1) CN1134567C (ko)
AT (1) ATE260357T1 (ko)
AU (1) AU5374999A (ko)
BR (1) BR9913176B1 (ko)
CA (1) CA2340438C (ko)
DE (1) DE69915089T2 (ko)
ES (1) ES2214877T3 (ko)
FI (1) FI105489B (ko)
WO (1) WO20000112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2916B (fi) * 2007-04-03 2012-08-31 Andritz Oy Laitteisto kaasun poistamiseksi paperikoneen tai vastaavan yhteydessä
DE102009006715A1 (de) * 2009-01-29 2010-08-05 Voith Patent Gmbh Ausschussaufbereitu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9340A (en) * 1978-12-14 1980-08-26 Clark & Vicario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utflowing liquids from chamber maintained under vacuum
FI89728C (fi) * 1992-05-19 1993-11-10 Pom Dev Oy Ab Foerfarande och anlaeggning foer cirkulation av processvattnet i en pappersmaskin
FI97332B (fi) * 1993-12-23 1996-08-30 Pom Technology Oy Ab Laite ja menetelmä kaasun ja nesteen muodostaman seoksen pumppaamiseksi ja erottamiseks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14877T3 (es) 2004-09-16
FI981798A (fi) 2000-02-22
CN1134567C (zh) 2004-01-14
DE69915089D1 (de) 2004-04-01
JP2002523642A (ja) 2002-07-30
BR9913176B1 (pt) 2009-05-05
DE69915089T2 (de) 2004-09-09
CA2340438A1 (en) 2000-03-02
WO2000011265A1 (en) 2000-03-02
ATE260357T1 (de) 2004-03-15
BR9913176A (pt) 2001-05-15
CA2340438C (en) 2008-01-15
EP1121483B1 (en) 2004-02-25
FI981798A0 (fi) 1998-08-21
FI105489B (fi) 2000-08-31
EP1121483A1 (en) 2001-08-08
CN1313917A (zh) 2001-09-19
AU5374999A (en) 2000-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82652C (en) An apparatus for removing gas in connection with a paper machine or corresponding
US5746889A (en) Stock feed system for a multi-layer headbox and method in the operation of a multi-layer headbox
JP3490973B2 (ja) 抄紙機または板紙抄紙機における短循環用プロセス装置
PL192736B1 (pl) Sposób wytwarzania papieru lub tektury
KR20010072847A (ko) 종이 펄프를 예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A2323052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fiber suspension containing minerals, such as coated broke, in paper production
US7407563B2 (en) Apparatus and method in the treatment of the stock passed to a headbox of a paper machine or equivalent
WO2002072947A1 (en)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ing by measuring flow amount and consistency of the pulp
KR100735656B1 (ko) 폐골판지에서 라이나지를 연속적인 공정으로 회수하는 장치및 방법
EP1240386A1 (en)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n approach system of a paper machine or the like web formation apparatus
Sorsamäki et al. Process simulation-based evaluation of design and operational implications of water-laid paper machine conversion to foam technology
US1026819A (en) Paper-stock refining and distributing system.
CA2395232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hort circulation of a paper, paperboard or the like production machine
US20220195668A1 (en) System for managing solids in papermaking whitewater
Holik et al. Stock preparation
CN101755090B (zh) 用于处理纸浆的方法
Tunell A single approach for a multifaceted result when processing recycled fibre
US163176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xing pul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